KR20180018247A - 면허 대역 및 비면허 대역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면허 대역 및 비면허 대역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247A
KR20180018247A KR1020160157378A KR20160157378A KR20180018247A KR 20180018247 A KR20180018247 A KR 20180018247A KR 1020160157378 A KR1020160157378 A KR 1020160157378A KR 20160157378 A KR20160157378 A KR 20160157378A KR 20180018247 A KR20180018247 A KR 20180018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cell
uplink
transmission power
uplink transmission
lic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현
권기범
Original Assignee
남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길 filed Critical 남정길
Publication of KR20180018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면허 대역 및 비면허 대역을 통해 상향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이 수행되는 서빙셀의 타입,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이 수행되는 서빙셀이 속한 그룹,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에 포함되는 정보의 타입, 또는 LBT(Listen-Before-Talk) 우선순위 클래스 중의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결정되는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서빙셀 상에서 전송되는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면허 대역 및 비면허 대역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SUPPORTING UPLINK TRANSMISSION IN LICENSED BAND AND UNLICENSED BAN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보다 비면허 대역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LAA(License Assisted Access) 또는 eLAA(enhanced LAA) 서빙 셀과 같은 비면허 반송파 또는 주파수(unlicensed carrier 또는 frequency) 상에서 동작하는 LAA/eLAA(이하, (e)LAA) 기지국과 단말들의 상향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향링크 전송은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단말들이 기지국에게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 등의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복수의 단말들에 의한 리슨-비포-토크(UL LBT) 방식에 기반하여 상향링크 전송이 요구될 수 있다.
단말에 대해서 비면허 서빙셀(serving cell)이 설정되거나 또는 비면허 서빙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빙셀의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이 설정되는 경우, 비면허 서빙셀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power control)이 요구된다.
여기서, 비면허 서빙셀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의 수행 여부는, 상향링크 전송 직전의 수십 마이크로초(예를 들어, 25 마이크로초)의 시간 구간 동안 수행되는 UL LBT의 결과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수행 여부를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전송 전력을 미리 할당하는 경우, 제한된 전송 전력을 비효율적으로 할당하게 될 수도 있어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비면허 서빙셀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전송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까지 정해진 바 없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서빙셀이 설정된 단말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면허 서빙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빙셀이 설정된 단말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의 우선순위를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서빙셀 상에서 전송이 예정된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전송 전력의 총합이 상기 단말의 전체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전송 전력의 총합이 상기 단말의 전체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소정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우선순위는,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이 수행되는 서빙셀의 타입,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이 수행되는 서빙셀이 속한 그룹,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에 포함되는 정보의 타입, 또는 LBT(Listen-Before-Talk) 우선순위 클래스 중의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서빙셀 상에서 전송이 예정된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전송 전력의 총합이 상기 단말의 전체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전송 전력의 총합이 상기 단말의 전체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소정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우선순위는,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이 수행되는 서빙셀의 타입,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이 수행되는 서빙셀이 속한 그룹,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에 포함되는 정보의 타입, 또는 LBT(Listen-Before-Talk) 우선순위 클래스 중의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AA 네트워크 배치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e)LAA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서빙셀 그룹 내의 복수의 서빙셀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안에 대한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서빙셀 그룹 내의 복수의 서빙셀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서빙셀 그룹 내의 복수의 서빙셀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의 일 예시를 위한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서빙셀 그룹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안에 대한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의 다른 예시를 위한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의 또 다른 예시를 위한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의 또 다른 예시를 위한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내용을 예시적인 도면과 실시 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비-AP 스테이션(non-AP STA)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명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3GPP LTE 또는 LTE-A(LTE-Advanced) 표준 문서들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경제성과 명료성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3GPP LTE 또는 LTE-A 또는 그 후속 표준에 따르는 시스템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채널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것은 해당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제어정보/신호 등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면허 스펙트럼 상에서 동작하는 (e)LAA 기지국과 단말들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본 발명의 예시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시나리오 1은 면허 반송파인 F1(frequency 1)을 사용하는 매크로 셀과,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이 반송파 집성(CA)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매크로 셀과 상기 스몰 셀은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될(non-co-located) 수 있고, 서로 이상적 백홀로 연결될 수 있다. 시나리오 2는 매크로 셀 커버리지 외에(without macro cell coverage) 면허 반송파인 F2를 사용하는 스몰 셀#1과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2이 반송파 집성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시나리오 3은 면허 반송파인 F1을 사용하는 매크로 셀과 스몰 셀#1이 있고, 상기 스몰 셀#1과,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2가 반송파 집성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시나리오 4는 면허 반송파인 F1을 사용하는 매크로 셀, 면허 반송파인 F2를 사용하는 스몰 셀#1, 비면허 반송파인 F3을 사용하는 스몰 셀#2이 있고, 스몰 셀#1과 스몰 셀#2이 반송파 집성으로 연결된 경우이다.
추가적으로, (e)LAA 는 기회적인 채널 점유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에, 기지국은 비면허 대역의 반송파(unlicensed carrier: 이하, UC)를 확보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데, 이 절차에는 동적 반송파 선택(dynamic carrier selection: DCS) 및 LBT 수행을 위한 채널 점유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CCA(Clear Channel Assessment)/ECCA(Extended CCA) 등의 절차 및 동작이 포함된다. 기지국은 DCS 및 CCA 등을 통해서 비면허 주파수 자원의 점유(occupancy) 상태를 확인하고, 가능한 경우(if available) 해당 자원을 일정 시간동안 점유하여 무선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e)LAA 하향링크(DL)/상향링크(UL) LBT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지국은 Td로 정의되는 지연 구간(defer duration) 동안 채널이 아이들(idle)한 것을 센싱한 후, 카운터 N 값이 0이 된 후에, (e)LAA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들)에서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개수의 슬롯으로 정의되는 N 값은 채널 센싱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초기의 N 값인 Ninit은, 0 부터 CWp 값 사이의 랜덤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N이 0 초과이고 기지국이 카운터를 감산하는 경우 N=N-1 값으로 업데이트된다. 추가적인 슬롯 구간 동안 채널을 센싱해서 채널이 아이들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면 N=0이 될 때까지 아이들한 슬롯 구간마다 N=N-1 값으로 업데이트하고, N=0이 되면 N 값의 감산을 멈춘다. 만약 추가적인 슬롯 구간 동안 채널이 아이들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추가적인 지연 구간 Td 동안 채널을 센싱한다. 채널이 아이들인 경우 추가적인 슬롯 구간 동안 N 값의 감산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추가적인 지연 구간 Td 동안 채널을 센싱한다. 여기서, 지연 구간 Td는 Tf(=16 마이크로초)의 구간에 후속하는 mp 개의 연속적인 슬롯 구간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슬롯 구간인 Tsl=9 마이크로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Tf는 시작 부분에 Tsl의 아이들 슬롯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CWp는 경쟁 윈도우(contention window)의 크기이며, CWmin,p≤CWp≤CWmax,p 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e)LAA SCell(s) 전송(들)이 수행되는 채널 상에서 Tmcot,p로 정의되는 기간(period)을 넘는 전송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지 않는다.
아래의 표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p, CWmin,p, CWmax,p, 및 Tmcot,p 는 기지국 전송에 관련된 액세스 우선순위 클래스(access priority class) p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아래의 표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p, CWmin,p, CWmax,p, 및 Tmcot,p 는 기지국 전송에 관련된 액세스 우선순위 클래스(access priority class)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UL LBT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셀프-캐리어 스케줄링(self-carrier scheduling)을 위해 다음과 같은 UL LBT 캔디데이트 과정(candidate procedure)을 적용할 수 있다.
첫 번째 예시로서, 상향링크 버스트 전송(UL burst transmission) 전에, 25 마이크로초(us)의 CCA(Clear Channel Assessment) 구간(duration)을 정의하여, CCA 구간 동안 채널을 센싱(sensing)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이 수행되는 구간은 CCA 구간 이하일 수 있다.
두 번째 예시로서, 25us의 지연 구간을 적용하면서, 최대 경쟁 윈도우 크기(contention window size)는 {3, 4, 5, 6, 7}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UL CCA를 수행하는 시간에서 단말은 25 마이크로초 지연 구간 동안 채널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 채널이 아이들(idle)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면, 경쟁 윈도우 크기에 해당하는 개수의 CCA 슬롯(즉, contention window size * CCA slot duration)만큼 추가적인 채널 센싱(sensing)을 수행하여 N=0 (표 1의 DL LBT 참고)이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CCA 슬롯 구간(CCA slot duration)은 9 마이크로초일 수 있다.
셀프-캐리어 스케줄링에서 하향링크 버스트(DL burst) 전송 바로 다음에, 미리 정의된 시간 갭(time gap)을 두고 상향링크 전송 버스트(UL burst) 전송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 갭은 최대 16 마이크로초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UL LBT candidate procedure를 적용할 수 있다.
첫 번째 예시로서, 상향링크 버스트 전송 전에, 25 마이크로초의 CCA 구간을 정의하여, CCA 구간 동안 채널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이 수행되는 구간은 CCA 구간 이하일 수 있다.
두 번째 예시로서, 상향링크 버스트 전송 전에 지연 구간 및 추가적인 채널 센싱 구간을 적용할 수 있는데, 지연 구간의 크기는 25 마이크로초 이하일 수 있고, 위의 셀프-캐리어 스케줄링과 같이 추가적인 채널 센싱 구간을 결정하는 경쟁 윈도우 크기(contention window size)는 DL LBT의 경우에 적용되는 것 이하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e)LAA UL 환경에서 PSD(Power Spectral Density) 및 최대 전송 전력(maximum transmission power)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PSD 값은 단위 대역폭 당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으로 정의된다. 상기 대역폭은 하나 또는 복수의 물리자원블록(PRB) 개수에 해당하거나, K MHz (K≥1)의 주파수 범위(range)로 정의되거나, PRB 개수 및 주파수 범위의 조합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대역폭 당 허용되는 최대 전송 전력은 각 지역(또는 국가)에 정의된 규정을 따르거나, 기지국에 의해서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signaling)에 의해서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서의 요구사항으로서, 주파수 범위 별로 최대 평균(Max Mean) EIRP(Equivalent Isotropically Radiated Power), 최대 평균 EIRP 밀도 등의 값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의 전체 최대 전송 전력은 PCMAX 라고 표현할 수 있으며,
Figure pat00002
는 인덱스 i 값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에게 설정된 전체 최대 전송 전력인 PCMAX의 선형 값(linear value)에 해당한다.
Figure pat00003
는 PSD를 고려한 각 지역의 규정(regulation)에 따라서 그 상한값과 하한값이 설정될 수 있고, 단말은 그 허용범위 내에서 최대 전송 전력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 및 PSD는 서빙셀 별로 주어질 수도 있다. 즉, 인덱스를 c에 해당하는 서빙셀에서의 단말의 전체 최대 전송 전력 및 PSD는 각각
Figure pat00004
및 PSD,c로 표현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서빙셀에서
Figure pat00005
및/또는 PSD,c 를 고려하여 (예를 들어, 주어진 값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채널 전체에서의 전송 전력의 합계가, 단말에게 설정된 전체 최대 전송 전력
Figure pat00006
를 초과할 수도 있다. 이를, 전력 제한 케이스(power limited case)라고 칭할 수 있다. 전력 제한 케이스에서, 단말은 서브프레임 i에서 서빙셀(들) c 상에서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전송 전력이 아래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조절(adjust)(또는 스케일링)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pat00008
는 서브프레임 i에서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의 전송 전력인 PPUCCH(i)의 선형 값이고,
Figure pat00009
는 PPUSCH,c(i)의 선형 값에 해당한다. 그리고, w(i)는 서빙셀 c의 서브프레임 i에서
Figure pat00010
에 적용되는 스케일링 팩터(scaling factor)이며, 0≤w(i)≤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PUCCH 전송이 없는 경우에,
Figure pat00011
=0의 값을 가진다.
또한, 단말에 대해서 설정된 복수의 서빙셀 중의 일부의 서빙셀에서는 상향링크제어정보(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이 수행되고, 하나의 서빙셀 j에서 UCI를 포함하는 PUSCH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단말의 상향링크 전체 최대 전송 전력이
Figure pat00012
를 초과하는 경우에(즉, 전력 제한 케이스에서), 단말은 UCI를 포함하지 않는 서빙셀 c(즉, c≠j 에 해당하는 서빙셀(들)) 상에서의 PUSCH 전송 전력이 아래의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조절(또는 스케일링)할 수 있다.
Figure pat00013
상기 수학식 2에서
Figure pat00014
는 UCI를 포함하는 PUSCH의 전송 전력에 해당한다. 그리고, w(i)는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의 전송 전력인
Figure pat00015
에 적용되는 스케일링 팩터이다. 여기서, 수학식 2의 좌변의 값이 0이 아니고, 단말의 전체 전송 전력이
Figure pat00016
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Figure pat00017
에는 전송 전력 스케일링이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w(i)>0 일 때 서빙셀들에 걸쳐서 w(i) 값이 동일하지만, 특정 서빙셀(들)에서는 w(i) 값이 0일 수도 있다.
또한, UCI를 포함하는 PUSCH 전송과 PUCCH 전송이 서빙셀 j에서 동시에 수행되고, 나머지 서빙셀(들)에서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단말의 상향링크 전체 최대 전송 전력이
Figure pat00018
를 초과하는 경우에(즉, 전력 제한 케이스에서), 단말은 아래의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 따라서
Figure pat00019
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또한, 단말에게 복수의 서빙셀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빙셀들은 복수의 그룹으로 구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그룹은 프라이머리 PUCCH 그룹 및 세컨더리 PUCCH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리 PUCCH 그룹은 PUCCH 전송이 수행되는 프라이머리 서빙셀(PCell) 및 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세컨더리 서빙셀(즉, PUCCH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 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세컨더리 PUCCH 그룹은 PUCCH 전송이 수행되는 세컨더리 서빙셀(이하, PUCCH-SCell) 및 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세컨더리 서빙셀(즉, PUCCH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 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각각의 그룹에서의 PUCCH 전송은 PCell 또는 PUCCH-SCell 상에서만 수행된다.
또한, 단말에게 이중-접속성(dual-connectivity)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 MCG) 및 세컨더리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이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다. MCG는 마스터 기지국(MeNB)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서빙셀을 포함할 수 있고, SCG는 세컨더리 기지국(SeNB)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는 단말에게 하나의 서빙셀 그룹(예를 들어, 제1 서빙셀 그룹)이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단말에게 복수의 그룹의 서빙셀(예를 들어, 제1 서빙셀 그룹 및 제2 서빙셀 그룹)이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는 제1 서빙셀 그룹 및 제2 서빙셀 그룹이 각각 프라이머리 PUCCH 서빙셀 그룹 및 세컨더리 PUCCH 서빙셀 그룹인 경우와, 제1 서빙셀 그룹 및 제2 서빙셀 그룹이 각각 MCG 및 SCG인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서빙셀 그룹에 관련된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는 주로 2 개의 서빙셀 그룹을 예로 들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며, 3 개 이상의 서빙셀 그룹이 설정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e)LAA 단말의 PUSCH 전송 및 PUCCH 전송을 위한 전력 할당 또는 전력 스케일링 방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e)LAA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하나의 단말에게 복수의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UL grant는 상기 하나의 단말에게 설정된 복수의 서빙셀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면허 반송파(licensed carrier)에서와는 달리 LBT를 수행해야하는 (e)LAA 서빙셀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에 의해서 제공된 UL grant를 성공적으로 획득(또는 복호)하였더라도 UL LBT에 실패하면, 해당 단말은 상기 UL grant에 의해서 스케줄링되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없다.
도 2는 (e)LAA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단말에게 설정된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에(즉, 전력 제한 케이스에서), UL LBT에 실패한 경우에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한 스케일링을 적용하거나 드랍(drop)할 수도 있다.
면허 반송파의 경우와는 달리 비면허 반송파에서는 UL grant에 의해서 스케줄링되는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의 바로 직전의 짧은 시간(예를 들어, 25 마이크로초) 동안에, 단말의 PHY 계층에서 UL LBT 결과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러한 짧은 시간 동안에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기지국의 입장에서 비면허 서빙셀에서도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될 것으로 가정하여 할당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실제로 수행될 상향링크 전송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의 비효율성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면허 서빙셀인 PCell 및 SCell1, 비면허 서빙셀들인 SCell2, SCell3, SCell4가 하나의 단말에게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 단말은 서브프레임 n에서, PCell 및 SCell들 각각에서의 PU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UL grant를 모두 올바르게 획득(또는 복호)한 것으로 가정한다.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 UL grant에 포함된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은 5 개의 서빙셀 각각에서의 PUSCH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고 (만약 전력 제한 케이스인 경우 전력 스케일링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n+4에서 수행될 PUSCH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준비할 수 있다.
면허 서빙셀들인 PCell 및 SCell1에서는 UL grant에 따라서 PUSCH 전송이 수행될 수 있지만, 비면허 서빙셀들인 SCell2, SCell3, SCell4에서는 PUSCH 전송 직전에 UL LBT(또는 CCA)를 수행하여 채널이 아이들 상태인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만 PUSCH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SCell2 및 Scell3에서는 UL LBT(또는 CCA)에 실패하고, SCell4에서만 성공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2의 예시에서와 같이, 단말에 대해서 스케줄링된 서빙셀의 개수와 단말이 실제로 전송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전체 서빙셀들 상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채널/신호(예를 들어, PUCCH, PUSCH,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등)를 위한 전체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 및 스케일링 동작을, 상향링크 전송 직전의 짧은 시간(예를 들어, 25 마이크로초) 이내에 수행하는 것은 단말 구현 비용의 증가의 문제 또는 기술적으로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은 비면허 서빙셀의 경우에는 상향링크 전송 직전에야 비로소 해당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UL LBT 결과를 확인한 후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까지의 시간이 짧기 때문에, 그 동안 단말이 전송 전력을 조절(예를 들어,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될 수 없는 서빙셀에 할당된 전력을 상향링크 전송이 실제로 수행되는 다른 서빙셀에서의 전송 전력으로 이용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지 않을 비면허 서빙셀에 대해서 UL 그랜트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UL LBT 결과에 따라서 낭비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e)LAA 서빙셀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고려한다면, 현재 면허 서빙셀만을 고려한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 및 스케일링 방안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서브프레임 n에서 복수의 서빙셀을 위해서 수신된 UL grant들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 n+4에서 전송될 상향링크 채널/신호를 위한 전송 전력을 할당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이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UL LBT 실패로 인해서 상향링크 전송이 불가능한 상향링크 채널/신호를 위해서도 전송 전력을 할당해야 하는 문제(즉, UL grant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실제로는 상향링크 전송에 이용되지 않고 그대로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실제로 전송이 수행되는 상향링크 채널/신호에 대해서도, 실제로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전송 전력이 남아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e)LAA 시스템에서의 전체적인 성능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예시에서 5 개의 서빙셀 상에서 스케줄링되는 PUSCH 전송을 위해서, 단말은 UL grant 정보 등에 기초하여 각각의 서빙셀에서의 전송 전력을 30(단위 생략)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단말에게
Figure pat00022
는 1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5개의 서빙셀 상에서의 PUSCH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체 전송 전력은 150으로, 단말에게 설정된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므로(즉, 전력 제한 케이스에 해당하므로),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하여 해당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n+4)에서의 PUSCH 전송 전력의 총 합이 100(즉,
Figure pat00023
)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학식 1에 따르면 PCell 또는 PUCCH-SCell 상에서의 PUCCH 전송 전력은 PUSCH 전송 전력에 비하여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PUCCH를 위해 할당한 전송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 전력을, 각각의 서빙셀 상에서의 PUSCH 전송을 위해서 동일한 스케일링 팩터(즉, w(i), 0≤w(i)≤1)를 적용하여
Figure pat00024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간략한 예시를 위해서, 서브프레임 n+4에서 PUCCH 전송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면, 5개의 서빙셀 각각에 대해서 PUSCH 전송을 위해서 할당된 전력 값인 30은 20으로 스케일링(즉, 모든 서빙셀에 동일하게 w(i)의 값이 약 0.67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예시에서와 같이 UL grant에 의해 PUSCH 전송이 스케줄링되는 5 개의 서빙셀 중에서 실제로는 3개의 서빙셀에서만 PUSCH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면, 모든 서빙셀에서의 PUSCH 전송을 가정하여 스케일링된 전송 전력은, 해당 단말의 최대 전송 가능 전력을 모두 활용하지 못하여 성능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즉, 3개의 서빙셀에서만 PUSCH 전송이 가능한 상황을 반영한다면, 각각의 서빙셀에서의 PUSCH 전송 전력 30에 대해서 스케일링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서브프레임 n+4에서의 PUSCH 전송 전력의 총 합이 90이 될 수 있고, 이는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인 100이하이다(즉, 전력 제한 케이스에 해당하지 않아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UL LBT 실패로 인해서, 실제로는 전력 제한 케이스가 아닌 경우에도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하는 비효율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비면허 서빙셀 상에서의 UL LBT 실패로 인해서 면허 서빙셀의 PUSCH 전송이나 SRS 전송에 전송 전력 스케일링이 불필요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비면허 서빙셀의 LBT 실패가 면허 서빙셀에서의 성능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e)LAA 시스템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하나의 단말에게 설정된 복수의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들에 대한 전력은, 상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예정된(expected) 모든 상향링크 전송들을 고려해서 할당하되, 각각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개별적인(또는 독립적인)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높은 값의(즉, 1의 값에 가까운) 스케일링 팩터(예를 들어, w(i))를 적용하고, 우선순위가 낮을수록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낮은 값의(즉, 0의 값에 가까운) 스케일링 팩터(예를 들어, w(i))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우선순위는,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의 타입(예를 들어, 면허 서빙셀, 또는 비면허 서빙셀), 상향링크 전송에 포함되는 정보의 타입(예를 들어, UCI 포함 여부),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이 속한 그룹(예를 들어, 제1 서빙셀 그룹 또는 제2 서빙셀 그룹)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UCI의 세부적인 타입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CI의 세부적인 타입은, UCI는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ACKnowledgment), SR(Scheduling Request),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우선순위는 데이터의 QoS(Quality of Service), QCI(QoS Check Indicator), LBT 우선순위 클래스 등의 LBT 파라미터를 더 조합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서빙셀 그룹인 제1 서빙셀 그룹 및 제2 서빙셀 그룹은 각각 프라이머리 PUCCH 서빙셀 그룹 및 세컨더리 PUCCH 서빙셀 그룹에 해당할 수도 있고, 제1 서빙셀 그룹 및 제2 서빙셀 그룹은 각각 MCG 및 SCG에 해당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최소 전송 전력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예정된 모든 상향링크 전송들은, UL grant에 의해서 스케줄링되는 상향링크 전송(예를 들어, PUSCH 전송), 소정의 타이밍 규칙에 기초하여 전송되는 상향링크 전송(예를 들어, PUCCH 상에서 전송되는 HARQ-ACK), 또는 트리거링에 의하거나 지시에 의해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전송(예를 들어, CSI, SRS)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전송이 항상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이는 PRACH 전송을 수반하는 랜덤 액세스 과정은 단말의 상향링크 타이밍을 결정하는 등의 수반하며,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과정을 통해서 해당 단말이 액세스하려는 것을 알 수 있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예시들에 따르면, 상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각각의 상향링크 전송이 실제로 수행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예정된 모든 상향링크 전송들을 고려해서 상향링크 전송들에 대한 전송 전력을 할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과, 실제로 상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되는 상향링크 전송은, 단말의 UL LBT 성공 여부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우선순위 또는 최소 전송 전력 중의 하나 이상을 각각의 상향링크 전송들에 대해서 적용함으로써,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비면허 반송파 상에서 단말의 히든-노드(hidden-node)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단말에게 하나의 서빙셀 그룹이 설정된 경우(예를 들어, 단말에게 제1 서빙셀 그룹만이 설정된 경우, 또는 제2 서빙셀 그룹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의 본 발명의 예시들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다음으로 단말에게 복수의 서빙셀 그룹이 설정된 경우(예를 들어, 단말에게 제2 서빙셀 그룹이 설정된 경우, 또는 단말에게 제1 서빙셀 그룹 및 제2 서빙셀 그룹이 설정된 경우)의 본 발명의 예시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에게 제2 서빙셀 그룹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말에게 설정된 제1 서빙셀 그룹은 하나 이상의 면허 서빙셀 및/또는 하나 이상의 비면허 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빙셀 그룹 내에서 오직 하나의 PUCCH 서빙셀(예를 들어, PCell)만이 존재하고, PCell은 면허 서빙셀 상에 설정될 수 있다. 즉, PUCCH 전송은 항상 면허 서빙셀인 PCell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서빙셀 그룹 내의 복수의 서빙셀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안에 대한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의 예시에서는, PUCCH 전송, 및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이 (e)LAA 시스템의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서빙셀(또는 반송파) 상에서 예정되는 경우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 방안에 대한 것이다.
서브프레임 i에서 단말의 전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합계가
Figure pat00025
를 초과하는 경우(즉, 전력 제한 케이스의 경우), 상기 단말은 서브프레임 i에서 서빙셀 c에 대해서
Figure pat00026
의 전송 전력이
Figure pat00027
를 초과하지 않도록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빙셀 c가 비면허 서빙셀인지 여부, 최소 전송 전력을 적용할 것인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에 따른 스케일링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브프레임 i에서 복수의 서빙셀 상에서 전송되는 복수의 PUSCH에 대해서 항상 동일한 하나의 스케일링 팩터의 값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스케일링 팩터의 값들의 적용이 허용된다. 이에 따라, 어떤 비면허 서빙셀 상에서 LBT 실패로 인해 서브프레임 i에서 PUSCH의 미전송(예를 들어, 드랍(drop) 또는 연기(delay))이 발생하더라도 보다 낮은 우선순위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해서는 전송 전력을 더 크게 감소(즉, 낮은 값의 스케일링 팩터를 적용)하고, 보다 높은 우선순위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해서는 전송 전력을 더 적게 감소(즉, 높은 값의 스케일링 팩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동시에 전송되는 모든 PUSCH 들에 대해서 비차별적으로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28
상기 표 2의 예시에서 면허/비면허는 해당 상향링크 전송이 면허 서빙셀에서 예정된 것과 비면허 서빙셀에서 예정된 것을 구분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또한, 동일한 우선순위에 속하는 상향링크 전송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이들간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스케일링의 정도는 동일하게 (또는 균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에서 PUCCH 전송은 모든 PUSCH 전송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는 UCI 전송을 수행하는 상향링크 채널 전송에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들 사이에서는 면허 서빙셀에서의 전송이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전송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 1과 같은 우선순위는 면허 또는 비면허 서빙셀에서 전송될 수 있는 UCI의 전송이 사용자 데이터 전송보다는 높은 확률로 (또는 보다 일찍) LBT를 통해 비면허 채널을 점유하는 것을 가정하는 경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2에서는 UCI 전송보다는, 면허 서빙셀에서의 전송이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전송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면허 서빙셀 상으로는 낮은 QoS(Quality of Service)를 가지는 BE(Best Effort) 클래스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반면, PCell을 포함하는 면허 서빙셀에서는 주로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서 더 높은 QoS를 가지는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 2와 같은 우선순위는, 전체 전송 전력에서 면허 서빙셀에서 전송되는 또는 높은 QoS를 가지는 PUCCH/PUSCH 전송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전송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2와 같이 소정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경우에도, PRACH 전송은 항상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면허 서빙셀에 적용되는 스케일링 팩터와, 하나 이상의 비면허 서빙셀에 적용되는 스케일링 팩터가 서로 달리(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허 서빙셀에 적용되는 스케일링 팩터를 wL(i)라 하고, 비면허 서빙셀에 적용되는 스케일링 팩터를 wU(i) 라 한다.
아래의 수학식 5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한 예시들에서 설명한, PUCCH 전송, 및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이 (e)LAA 시스템의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서빙셀(또는 반송파) 상에서 예정되는 경우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 방안을 표현한 것이다.
Figure pat00029
상기 수학식 5에서, wU(i)는 비면허 서빙셀에서 PUSCH 전송을 위한 스케일링 팩터이며, 0≤wU(i)≤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wU(i)의 값은 비면허 서빙셀 상에서의 실제 PUSCH 전송 여부(즉, LBT 성공 여부)는 고려하지 않고 결정된다. 또한, 비면허 서빙셀들 내에서 복수의 서브그룹이 구성되는 경우(예를 들어, UCI 서빙셀 그룹), wU(i)의 값은 상기 서브그룹 별로 독립적인 값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즉, 복수개의 wU(i)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그룹 사이에도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우선순위는 서빙셀 인덱스, UCI의 세부적인 타입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wL(i)는 면허 서빙셀에서 PUSCH 전송을 위한 스케일링 팩터이며, 0≤wL(i)≤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만약 면허 서빙셀의 PUSCH 전송에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하지 않는다면, wL(i)의 값은 1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5에서 km은 서브프레임 i에서 PUSCH 전송이 수행되는 면허 서빙셀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M은 서브프레임 i에서 PUSCH가 전송되는 면허 서빙셀의 개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30
는 PUCCH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31
는 비면허 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 c에서 전송되는 PUSCH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32
는 면허 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 c에서 전송되는 PUSCH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5는 PUCCH 전송 전력 할당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수학식 5는, 비면허 대역에서의 PUSCH 전송 전력은 PUCCH 전송 전력 및 면허 대역의 PUSCH 전송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 이하라는 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5에서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PUCCH 전송이 없다면,
Figure pat00033
는 0 값으로 주어진다.
아래의 수학식 6은 상기 수학식 5에서 비면허 대역 상에서의 최소 전송 전력 조건을 추가적으로 고려한 예시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34
상기 수학식 6에서
Figure pat00035
은 비면허 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전송에 요구되는 최소 전송 전력 값을 나타내며, 기지국에 의해서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단말이 기지국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작은 값으로 설정되더라도 기지국에 의해서 수신될 수 있다면 충분하다. 이는, 상향링크 전송의 수신단인 기지국에서의 수신 전력을 기반으로 송신단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e)LAA 시스템에서는 기지국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너무 작게 설정하면, 비면허 대역에서 주변의 다른 경쟁 단말들이 LBT 또는 CCA 과정 중에 해당 채널이 아이들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채널 점유를 시도할 수도 있다.. 즉, 비면허 대역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너무 작게 설정되면 히든-노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비면허 서빙셀에서는 최소한의 CCA 커버리지를 보장하여 주변 단말들에 의한 불필요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최소 전송 전력(Minimum Tx Power) 값인
Figure pat00036
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Figure pat00037
)의 적용을 지원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면허 서빙셀과 비면허 서빙셀에 독립적인 스케일링 팩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PUSCH 전송 전력이
Figure pat00038
보다 크도록 wL(i) 및 wU(i)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의 제약으로 인해서,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PUSCH 전송의 최소 전송 전력을 보장하기 위해서 면허 서빙셀의 상향링크 전송에도 wL(i)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wU(i) 및 wL(i)의 값은 서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면허 서빙셀들의 PUSCH 전송 전력의 합계가
Figure pat00039
이하가 되도록, 비면허 서빙셀들의 PUSCH 전송이
Figure pat00040
이상이 되도록, 또는 이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wU(i) 및 wL(i)의 값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6은 PUCCH 전송 전력 할당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수학식 6은, 비면허 대역에서의 PUSCH 전송 전력은 PUCCH 전송 전력 및 면허 대역의 PUSCH 전송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 이하이고, 비면허 대역의 최소 전송 전력 값 이상이라는 관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학식 5 및 6의 예시들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 방안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만약 (e)LAA 단말이 서브프레임 i에서 복수의 서빙셀에서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즉, UL LBT 성공 여부는 고려하지 않고 전송이 예정된 모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송 전력의 합이
Figure pat00041
를 초과한다면(즉, 전력 제한 케이스에 해당하면), 아래와 같은 절차에 의해서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먼저,
Figure pat00042
에서 PUCCH(즉, 면허 서빙셀의 PCell 상에서 전송되는 PUCCH) 전송 전력인
Figure pat00043
에는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하지 않고, 필요한 전송 전력을 모두 보장할 수 있다. 이는 면허 서빙셀 뿐만 아니라 비면허 서빙셀에 해당하는 UCI가 PUCCH를 통해서 전송되기 때문에 전력 할당에 있어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at00044
-
Figure pat00045
에 해당하는 전력과,
Figure pat00046
값 중에서 작은 값을
Figure pat00047
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
또한, 비면허 서빙셀들의 PUSCH 전송 전력의 합계인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를 초과하지 않도록, 비면허 서빙셀들을 위한 스케일링 팩터인 wU(i)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비면허 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최소 전송 전력을 정의 또는 설정하는 경우, 위 조건에 추가적으로 최소 전송 전력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된 PUSCH 전송 전력에 대해서 적절한 wU(i) 및 wL(i)를 결정하고, 면허 서빙셀(들) 또는 비면허 서빙셀(들) 중 하나 이상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L(i)는 0≤wL(i)≤1 범위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wL(i)의 값 및 수학식 6의 조건에 따라 wU(i)의 값을 0≤wU(i)≤1 범위에서 선택 및 적용할 수 있다.
또는,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최소 전송 전력을 정의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수학식 5의 조건만 만족하도록 PUSCH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wL(i)의 값은 항상 1일 수 있다(즉, 면허 서빙셀에서는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wU(i)는 수학식 5의 조건에 따라 0≤wU(i)≤1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서빙셀 그룹 내의 복수의 서빙셀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의 예시에서는 서브프레임 i에서 UCI가 PUCCH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고, 도 5의 예시는 서빙셀 그룹 내에서 PUCCH 전송은 없지만 하나 이상의 서빙셀에서 UCI를 포함하는 PUSCH 전송이 다른 서빙셀에서의 PUSCH 전송과 함께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5의 예시에서는, UCI를 포함하는 PUSCH가 면허 서빙셀에서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비면허 서빙셀에서도 전송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UCI를 포함하는 PUSCH 전송은 서빙셀 j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서빙셀 j에서 UCI를 포함하는 PUSCH의 전송 전력은
Figure pat00050
로 표현할 수 있다.
아래의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51
상기 표3에서 실시예 4는 비면허/면허 서빙셀을 불문하고 UCI를 포함하는 PUSCH 전송을 위한 전력 할당을 최우선한다는 의미이다. 만약 UCI는 오직 면허 서빙셀에서만 전송된다고 가정한다면 UCI를 가지는 PUSCH 전송은 항상 면허 서빙셀에서만 전송될 것이다. 그 다음으로 만약 비면허/면허 서빙셀들에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가 복수개 존재한다면, 우선 면허 서빙셀에 해당하는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전송에 전력을 할당한다. 최종적으로 UCI를 포함하는 PUSCH 전송과 면허 서빙셀에서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을 단말 최대 전송 전력에서 제외한 나머지 전력에서, 비면허 서빙셀에서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을 위해서 전력을 조절하여 단말 최대 전송 전력을 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표 3의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 중에서, 실시예 4는 PUCCH 서빙셀 그룹 내에서 UCI 전송이 면허 서빙셀에서 수행되는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항상 UCI를 전송하는 채널에 전력할당을 우선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UCI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LBT 절차는, UCI를 포함하지 않는 상향링크 전송보다 더 높은 확률로 채널을 점유하도록 간소화된 절차와 LBT 파라미터(예를 들어, QoS, QCI, LBT 우선순위 클래스 등)를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소화된 절차는, 25 마이크로초 동안 CCA를 수행하는 방법 또는 DL LBT에서 적용되는 지연 구간 및/또는 경쟁 윈도우 크기(CWS)를 매우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등의 방법 등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 5는 UCI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보다 면허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우선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항상 면허 서빙셀에서 전송되는 채널에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우선 할당함으로써, 잠재적인 LBT 실패로 인해서 낭비될 수 있는 단말의 전송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실시예 6은 실시예 1과 유사하지만, UCI의 세부적인 타입을 기준으로 추가적인 우선순위를 정한 것이다. 여기서, CSI를 포함하는 PUSCH는, HARQ-ACK/SR 이외의 UCI를 포함하는 PUSCH를 의미한다.
실시예 7은 실시예 2와 유사하지만, UCI의 세부적인 타입을 기준으로 추가적인 우선순위를 정한 것이다. 여기서, CSI를 포함하는 PUSCH는, HARQ-ACK/SR 이외의 UCI를 포함하는 PUSCH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표 3과 같이 소정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경우에도, PRACH 전송은 항상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 4의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의 예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의 예시도 포함한다.
아래의 수학식 7은, 도 5를 참조한 예시들에서 설명한, UCI를 포함하는 하나의 PUSCH 전송 및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이 (e)LAA 시스템의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서빙셀(또는 반송파) 상에서 예정되는 경우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 방안을 표현한 것이다.
Figure pat00052
아래의 수학식 8은 상기 수학식 7에서 비면허 대역 상에서의 최소 전송 전력 조건을 추가적으로 고려한 예시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53
단말의 전체 PUSCH 전송 전력의 합계가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인
Figure pat00054
를 초과하는 경우(즉, 전력 제한 케이스에 해당하는 경우),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절에 대해서 상기 수학식 7 및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UCI를 포함하는 PUSCH 전송 전력인
Figure pat00055
에 전송 전력이 최우선적으로 할당된다.
단말 최대 전송 전력에서 UCI를 포함하는 PUSCH 전송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에서, 면허 서빙셀의 PUSCH 전송 전력의 합인
Figure pat00056
를 할당한다. 여기서,
Figure pat00057
-
Figure pat00058
Figure pat00059
보다 작으면
Figure pat00060
의 값은
Figure pat00061
-
Figure pat00062
로 대체되고, 그렇지 않으면
Figure pat00063
값 그대로 해당 PUSCH에게 할당된다.
만약 비면허 서빙셀들에 대한 최소 전송 전력
Figure pat00064
에 대한 설정이 존재한다면, 비면허 서빙셀의 PUSCH 전송에 대한 전력 스케일링 팩터인 wU(i)만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면허 서빙셀의 PUSCH 전송에 대한 전력 스케일링 팩터인 wL(i)의 값을 wU(i) 값이 상호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고려하여 각각의 스케일링 팩터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wL(i)=1 인 것으로 가정하고, wU(i) 값을 선택하여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PUSCH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조절된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PUSCH 전송이 비면허 서빙셀들의 최소 전송 전력
Figure pat00065
보다 작으면, 면허 서빙셀의 PUSCH 전송에도 1이 아닌 wL(i)를 적용하여 전력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PUSCH 전송에 대한 최소 전송 전력 요건을 만족하도록 전체적인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비면허 서빙셀들에 대한 최소 전송 전력 설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면, 오직 비면허 서빙셀 PUSCH에만 전력 스케일링을 wU(i)을 적용하여(이 경우, wL(i)=1 로 고정할 수 있음), 전체 UL 신호의 전송 전력의 합이
Figure pat00066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전송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서빙셀 그룹 내의 복수의 서빙셀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예시에서는 서브프레임 i에서 PUCCH 및 PUSCH 동시 전송(simultaneous PUCCH and PUSCH)이 설정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PUCCH 전송은 PCell에서 수행되고, UCI를 포함하는 PUSCH는 (비면허 또는 면허) SCell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e)LAA 단말은 면허 서빙셀과 비면허 서빙셀 모두에서 PUCCH 및 PUSCH의 각각을 통해서 UCI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LAA 단말이 적어도 HARQ-ACK 정보를 PUCCH 또는 비면허 서빙셀의 PUSCH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면, 해당 단말은 자동적으로 PUCCH 및 PUSCH 동시 전송 캐퍼빌리티를 가지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와 같이 PUCCH 전송, UCI를 포함하는 PUSCH 전송,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가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된 경우, 이들 사이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의 우선순위는 아래의 표 4의 예시들과 같이 정해질 수 있다.
Figure pat00067
상기 표 4의 실시예 12에서 CSI를 포함하는 PUCCH/PUSCH는, HARQ-ACK/SR 이외의 UCI를 포함하는 PUCCH/PUSCH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표 4와 같이 소정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경우에도, PRACH 전송은 항상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 4의 실시예 8의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의 예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의 예시도 포함한다.
상기 표 4에서 실시예 8은 PUCCH 전송이 면허 서빙셀 또는 비면허 서빙셀을 불문하고 최우선으로 PUCCH 전송에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PUCCH 전송에 할당되고 남은 전력은, 면허 서빙셀 또는 비면허 서빙셀을 불문하고 UCI를 포함하는 PUSCH 전송을 위해서 할당할 수 있다. 만약 UCI를 포함하는 PUSCH 전송이 복수개 예정된 경우에는, 면허 서빙셀에서 전송되는 UCI를 포함하는 PUSCH에 전력을 우선 할당할 수 있다. 또는, UCI를 포함하는 복수의 PUSCH 전송에 동일하게 전력을 할당할 수도 있다. 그 후 남은 전력을 면허 서빙셀에서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에 할당하고, 그리고 남은 전력을 단말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비면허 서빙셀에서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에 할당할 수 있다.
아래의 수학식 9는 도 6을 참조한 예시들에서 설명한, 하나의 서빙셀에서의 PUCCH 전송, 하나의 서빙셀 j에서 UCI를 포함하는 PUSCH 전송, 및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이 (e)LAA 시스템의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서빙셀(또는 반송파) 상에서 예정되는 경우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 방안을 표현한 것이다.
Figure pat00068
아래의 수학식 10은 상기 수학식 9에서 비면허 대역 상에서의 최소 전송 전력 조건을 추가적으로 고려한 예시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69
단말의 전체 PUSCH 전송 전력의 합계가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인
Figure pat00070
를 초과하는 경우(즉, 전력 제한 케이스에 해당하는 경우),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절에 대해서 상기 수학식 9 및 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단말은 PUCCH 전송을 위해 전력을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UCI를 포함하는 PUSCH 전송 전력인
Figure pat00071
에 전송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72
-
Figure pat00073
에 해당하는 전력과,
Figure pat00074
값 중에서 작은 값을
Figure pat00075
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면허 서빙셀의 PUSCH 전송 전력의 합인
Figure pat00076
에 전송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77
-
Figure pat00078
-
Figure pat00079
에 해당하는 전력과,
Figure pat00080
의 값 중에서 작은 값을
Figure pat00081
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비면허 서빙셀들에 대한 최소 전송 전력
Figure pat00082
에 대한 설정이 존재한다면, 비면허 서빙셀의 PUSCH 전송에 대한 전력 스케일링 팩터인 wU(i)만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면허 서빙셀의 PUSCH 전송에 대한 전력 스케일링 팩터인 wL(i)의 값을 wU(i) 값이 상호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고려하여 각각의 스케일링 팩터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wL(i)=1 인 것으로 가정하고, wU(i) 값을 선택하여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PUSCH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조절된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PUSCH 전송이 비면허 서빙셀들의 최소 전송 전력
Figure pat00083
보다 작으면, 면허 서빙셀의 PUSCH 전송에도 1이 아닌 wL(i)를 적용하여 전력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PUSCH 전송에 대한 최소 전송 전력 요건을 만족하도록 전체적인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비면허 서빙셀들에 대한 최소 전송 전력 설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면, 오직 비면허 서빙셀 PUSCH에만 전력 스케일링을 wU(i)을 적용하여(이 경우, wL(i)=1 로 고정할 수 있음), 전체 UL 신호의 전송 전력의 합이
Figure pat00084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전송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을 위한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의 예시적인 방법은 (e)LAA 단말에게 하나의 서빙셀 그룹(예를 들어, 제1 서빙셀 그룹)이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제1 서빙셀 그룹은,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PUCCH 서빙셀 그룹일 수도 있고, 또는 MCG일 수도 있다.
단계 S710에서 단말은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된(expected)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합계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서브프레임 i에서 전체 서빙셀 상에서 전송이 예정된 상향링크 채널/신호가 무엇인지(예를 들어, PUSCH, PUCCH, 또는 SRS 중 하나 이상)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결정된 상향링크 채널/신호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그 총합을 계산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단말은 단계 S710에서 계산된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된 전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
Figure pat00085
)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된 전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S725로 진행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73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725에서 단말은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또는 전력 조절) 없이, 상향링크 전송(상향링크 채널/신호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단말은 전술한 표 2 내지 표 4와 같은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이 적용될 수 있다. 즉, 표 2 내지 표 4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중의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표 2 내지 표 4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의 둘 이상이 조합된 우선순위가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우선순위는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의 타입(예를 들어, 면허 서빙셀, 또는 비면허 서빙셀), 상향링크 전송에 포함되는 정보의 타입(예를 들어, UCI 포함 여부), UCI의 세부적인 타입(예를 들어, HARQ-ACK, SR, CSI), QoS(Quality of Service), QCI(QoS Class Identifier), 또는 LBT 우선순위 클래스 중의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소정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경우에도, PRACH 전송은 항상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빙셀 그룹 내에서 PRACH 전송에 대해서는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단말 전체 전송 전력에서 PRACH 전송 전력(
Figure pat00086
)를 제외한 나머지 전력(
Figure pat00087
-
Figure pat00088
)이 PUCCH 전송 전력
Figure pat00089
보다 작은 경우에는
Figure pat00090
에 대해서 전송 전력 스케일링 팩터(α(i))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α(i)의 값은 0≤α(i)≤1이고,
Figure pat00091
에 전송 전력 스케일링이 적용된 결과, 즉,
Figure pat00092
(=α(i)*
Figure pat00093
) 의 값이
Figure pat00094
-
Figure pat00095
의 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학식 5 내지 10에서
Figure pat00096
Figure pat00097
로 대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소정의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높은 값의(즉, 1의 값에 가까운) 스케일링 팩터(예를 들어, w(i))를 적용하고, 우선순위가 낮을수록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낮은 값의(즉, 0의 값에 가까운) 스케일링 팩터(예를 들어, w(i))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함에 있어서, 비면허 서빙셀의 경우에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최소 전송 전력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단계 S740에서 단말은 우선순위에 따라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이 적용된 상향링크 전송(상향링크 채널/신호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에게 복수의 서빙셀 그룹이 설정된 경우(예를 들어, 단말에게 제2 서빙셀 그룹이 설정된 경우, 또는 단말에게 제1 서빙셀 그룹 및 제2 서빙셀 그룹이 설정된 경우)의 본 발명의 예시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e)LAA 단말에 대해서 복수의 서빙셀 그룹이 설정된 경우, 각각의 서빙셀 그룹은 하나 이상의 면허 서빙셀 및/또는 하나 이상의 비면허 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서빙셀 그룹은 하나 이상의 PUCCH 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빙셀 그룹을 PUCCH 서빙셀 그룹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즉, PUCCH 서빙셀 그룹은 하나 이상의 PUCCH 서빙셀을 포함하는 서빙셀들의 그룹이며, 해당 그룹 내의 서빙셀들의 UCI 전송은 해당 그룹 내에 설정된 PUCCH 또는 PUSCH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빙셀 그룹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PUCCH 서빙셀(예를 들어, PCell)을 포함하고, PCell은 면허 서빙셀에 해당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SCell(면허/비면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빙셀 그룹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PUCCH 서빙셀(예를 들어, PSCell(Primary Secondary Serving cell)을 포함하고, PSCell은 면허 서빙셀에 해당할 수도 있고 비면허 서빙셀에 해당할 수도 있으며,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SCell(면허/비면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는 단말에게 PCell 또는 PSCell에 추가적으로 PUCCH-SCell을 포함할 수도 있다. PUCCH-SCell은 PUCCH 전송이 허용되는 세컨더리 서빙셀(SCell)을 의미하며, 면허 서빙셀 또는 비면허 서빙셀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의 예시들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PUCCH 서빙셀 그룹 설정을 고려할 수 있다.
첫 번째 설정은, 제1 서빙셀 그룹이 면허 서빙셀인 PUCCH 서빙셀 및 하나 이상의 면허/비면허 서빙셀을 포함하고, 제2 서빙셀 그룹이 면허 서빙셀인 PUCCH 서빙셀 및 하나 이상의 면허/비면허 서빙셀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우, UCI 중에서 HARQ-ACK/SR은 PUCCH 또는 PUSCH를 통해서 오직 면허 서빙셀에서만 전송될 수 있고, CSI(또는 HARQ-ACK/SR을 제외한 UCI)는 면허 서빙셀의 PUCCH 또는 PUSCH를 통해서 또는 비면허 서빙셀의 PUSCH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두 번째 설정은, 제1 서빙셀 그룹이 면허 서빙셀인 PUCCH 서빙셀 및 하나 이상의 면허/비면허 서빙셀을 포함하고, 제2 서빙셀 그룹이 비면허 서빙셀인 PUCCH 서빙셀 및 하나 이상의 서빙셀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우, UCI의 전송은 면허 서빙셀 또는 비면허 서빙셀의 어디에서도 PUCCH 또는 PUSCH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서빙셀 그룹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안에 대한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PUCCH 서빙셀 그룹 설정에 대한 두 번째 설정에 해당하고, 도 9의 예시는 PUCCH 서빙셀 그룹 설정에 대한 첫 번째 설정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예시는 도 8 또는 도 9의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빙셀 그룹이 설정된 단말에서,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의 전력의 합이 단말의 전체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즉, 전력 제한 케이스에 해당하는 경우), 단말은 아래의 표 5와 같은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98
상기 표 5의 예시들에서는, 먼저 기준1에 따른 전송 전력 스케일링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만약 기준1에 따라서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는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되어 있다면, 그러한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해서 기준2에 따른 우선순위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준1 및 기준2에 따라서도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는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되어 있다면, 그러한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해서 기준3에 따른 우선순위를 적용할 수 있다. 만약 기준 4가 더 정의된다면, 기준1, 기준2, 기준3에 따른 우선순위에 추가적으로 기준4에 따른 우선순위를 적용할 수 있다. 만약 기준1, 기준2, 기준3(및 기준 4)을 모두 적용하여도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는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되어 있다면, 그러한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해서 동일하게 (또는 균등하게)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표 5의 실시예 13에서는, HARQ-ACK/SR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PUCCH 또는 PUSCH)은 최우선적으로 전력을 할당한다. (만약 PRACH 전송이 있다면 HARQ/SR 포함 상향링크 전송에 우선하여 PRACH 전송에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i에서 HARQ-ACK/SR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채널이 복수개 예정되어 있다면, 해당 상향링크 채널이 면허 서빙셀 또는 비면허 서빙셀에서 전송되는지를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결정(예를 들어, 면허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이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 특성(즉, 면허 서빙셀 또는 비면허 서빙셀)이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서빙셀이 속하는 서빙셀 그룹을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결정(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PUCCH 서빙셀 그룹이 세컨더리 PUCCH 서빙셀 그룹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 또는 PCell을 포함하는 서빙셀 그룹(또는 MCG)이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 또는 서빙셀 그룹의 인덱스가 낮을수록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할 수 있다.
실시예 13에 따르면, 서빙셀 특성(예를 들어, 면허 서빙셀 또는 비면허 서빙셀)이 서빙셀 그룹의 특성(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PUCCH 서빙셀 그룹 또는 세컨더리 PUCCH 서빙셀 그룹)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 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UCI를 전송하는 채널의 신뢰성(즉, 면허 서빙셀은, LBT 성공 여부에 따라 실제 상향링크 전송 여부가 달라지는 비면허 서빙셀에 비하여 높은 신뢰성을 가짐)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그렇다고 해서 비면허 서빙셀에서 UCI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전송 전력 할당을 낭비되는 것으로 예정하는 것은 아니며,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UCI 전송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 더 높은 확률로 채널을 점유하도록 간소화된 절차와 LBT 파라미터(예를 들어, QoS, QCI, LBT 우선순위 클래스 등)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UCI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의 드랍(예를 들어, LBT 실패)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전송 전력 할당의 비효율성 문제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상기 표 5의 실시예 14에서는, 실시예 13과 달리 서빙셀 특성을 CSI(또는 HARQ-ACK/SR을 제외한 UCI)에 우선하여 고려할 수 있다. 즉, 우선순위 기준1에서, HARQ-ACK/SR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이 높은 최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을 실시예 13과 동일하지만, UCI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면허 서빙셀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이 CSI(또는 HARQ-ACK/SR을 제외한 UCI)를 포함하는 비면허 서빙셀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에 비하여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점은 실시예 13과 다르다.
이러한 실시예 14에 따르면 CSI(또는 HARQ-ACK/SR을 제외한 UCI)를 포함하는 비면허 서빙셀 상향링크 전송의 드랍 확률이 실시예 13에 비해서 높을 수 있지만, 면허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에 보다 많은 전송 전력을 할당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표 5의 실시예 15 및 16은 각각 실시예 13 및 14에 대해서 서빙셀 그룹의 우선순위 적용 기준보다 LBT 파라미터에 따른 우선순위 적용 기준을 먼저 적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UCI 타입, 동일한 서빙셀 특성을 가지는 경우에, LBT 우선순위 클래스(1번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 또는 QCI(LBT 우선순위 클래스와 연관된 QoS 체크 지시자)를 고려하여 더 높은 LBT 파라미터 특성을 가지는 상향링크 전송에 보다 높은 전송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 5의 실시예 13의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의 예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의 예시도 포함한다.
단말에게 설정된 제1 서빙셀 그룹(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PUCCH 서빙셀 그룹(PCG))의 PUCCH/PUSCH 전송이 제2 서빙셀 그룹(예를 들어, 세컨더리 PUCCH 서빙셀 그룹(SCG))의 PUCCH/PUSCH 전송이 모두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PCG내의 면허 서빙셀 상에서 HARQ-ACK/SR을 포함하는 PUCCH 전송이 예정되고, PCG의 PUCCH 전송 전력(
Figure pat00099
)이 S1(i)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은
Figure pat00100
가 수학식 11을 만족하도록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101
상기 수학식 11에서 α1(i)의 값은 0≤α1(i)≤1이고, S1(i)에 대해서는 아래의 수학식 13에서 정의한다.
상기 수학식 11을 참조하면,
Figure pat00102
가 S1(i)를 초과하는 경우에,
Figure pat00103
에 스케일링 팩터 α1(i)를 이용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이 적용된 결과, 즉,
Figure pat00104
(=α1(i)*
Figure pat00105
) 의 값이 S1(i)의 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만약
Figure pat00106
가 S1(i)를 초과하지 않으면,
Figure pat00107
=
Figure pat00108
이다.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PCG내의 면허/비면허 서빙셀 c 상에서 HARQ-ACK/SR을 포함하는 PUSCH 전송이 예정되고, 이러한 PCG의 PUSCH 전송 전력(
Figure pat00109
)이 S1(i)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은
Figure pat00110
가 수학식 12를 만족하도록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111
상기 수학식 12에서 α1(i)의 값은 0≤α1(i)≤1이고, S1(i)에 대해서는 아래의 수학식 13에서 정의한다.
상기 수학식 12를 참조하면,
Figure pat00112
가 S1(i)를 초과하는 경우에,
Figure pat00113
에 스케일링 팩터 α1(i)를 이용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이 적용된 결과, 즉,
Figure pat00114
(=α1(i)*
Figure pat00115
) 의 값이 S1(i)의 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만약
Figure pat00116
가 S1(i)를 초과하지 않으면,
Figure pat00117
=
Figure pat00118
이다.
아래의 수학식 13은 S1(i)를 정의한다.
Figure pat00119
상기 수학식 13에서
Figure pat00120
는 PCG에서 PRACH 전송 전력을 의미하고,
Figure pat00121
는 SCG에서 PRACH 전송 전력을 의미한다.
S1(i)는 SCG 내의 상향링크 채널 전송에 따라서 그 값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SCG의 면허 서빙셀 상에서 HARQ-ACK/SR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이 예정되고, 또한, PCG의 면허 서빙셀 상에서 HARQ-ACK/SR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이 예정되는 경우,
Figure pat00122
= 0 이다.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SCG의 면허 서빙셀 상에서 HARQ-ACK/SR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이 예정되고, 또한, PCG의 비면허 서빙셀 상에서 HARQ-ACK/SR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이 예정되는 경우,
Figure pat00123
=
Figure pat00124
또는
Figure pat00125
=
Figure pat00126
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Figure pat00127
= 0이다.
다음으로,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PCG내의 면허 서빙셀 상에서 CSI(또는 HARQ-ACK/SR을 제외한 UCI)를 포함하는 PUCCH 전송이 예정되고, PCG의 PUCCH 전송 전력(
Figure pat00128
)이 S2(i)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은
Figure pat00129
가 수학식 14를 만족하도록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130
상기 수학식 14에서 α2(i)의 값은 0≤α2(i)≤1이고, S2(i)에 대해서는 아래의 수학식 16에서 정의한다.
상기 수학식 14를 참조하면,
Figure pat00131
가 S2(i)를 초과하는 경우에,
Figure pat00132
에 스케일링 팩터 α2(i)를 이용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이 적용된 결과, 즉,
Figure pat00133
(=α2(i)*
Figure pat00134
) 의 값이 S2(i)의 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만약
Figure pat00135
가 S2(i)를 초과하지 않으면,
Figure pat00136
=
Figure pat00137
이다.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PCG내의 면허/비면허 서빙셀 c 상에서 CSI(또는 HARQ-ACK/SR을 제외한 UCI)를 포함하는 PUSCH 전송이 예정되고, 이러한 PCG의 PUSCH 전송 전력(
Figure pat00138
)이 S2(i)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은
Figure pat00139
가 수학식 15를 만족하도록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140
상기 수학식 12에서 α2(i)의 값은 0≤α2(i)≤1이고, S2(i)에 대해서는 아래의 수학식 16에서 정의한다.
상기 수학식 15를 참조하면,
Figure pat00141
가 S1(i)를 초과하는 경우에,
Figure pat00142
에 스케일링 팩터 α2(i)를 이용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이 적용된 결과, 즉,
Figure pat00143
(=α2(i)*
Figure pat00144
) 의 값이 S2(i)의 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만약
Figure pat00145
가 S2(i)를 초과하지 않으면,
Figure pat00146
=
Figure pat00147
이다.
아래의 수학식 16은 S2(i)를 정의한다.
Figure pat00148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SCG의 면허/비면허 서빙셀 상에서 HARQ-ACK/SR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이 예정되어 있다면,
Figure pat00149
=
Figure pat00150
또는
Figure pat00151
=
Figure pat00152
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Figure pat00153
= 0이다.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PCG의 면허/비면허 서빙셀 상에서 HARQ-ACK/SR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이 예정되고, 또한, PCG의 면허/비면허 서빙셀 c 상에서 CSI(또는 HARQ-ACK/SR을 제외한 UCI)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이 예정된 경우, 상기 수학식 16에서
Figure pat00154
=
Figure pat00155
+
Figure pat00156
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Figure pat00157
=
Figure pat00158
이다.
다음으로,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PCG내의 면허/비면허 서빙셀 c 상에서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이 예정되고, PCG의 PUSCH 전송 전력의 총합이 S3(i)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은 상기 PCG의 각각의 PUSCH의 전송 전력(
Figure pat00159
)이 수학식 17을 만족하도록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160
상기 수학식 17에서 α3(i)의 값은 0≤α3(i)≤1이고, S2(i)에 대해서는 아래의 수학식 18에서 정의한다.
상기 수학식 17을 참조하면, 의 총합이 S3(i)를 초과하는 경우에, 각각의
Figure pat00161
에 스케일링 팩터 α3(i)를 이용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이 적용된 결과, 즉,
Figure pat00162
(=α3(i)*
Figure pat00163
) 의 총합 값이 S3(i)의 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만약
Figure pat00164
의 총합 값이 S3(i)를 초과하지 않으면,
Figure pat00165
=
Figure pat00166
이다.
아래의 수학식 18은 S3(i)를 정의한다.
Figure pat00167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SCG의 면허/비면허 서빙셀 상에서 UCI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이 예정되어 있다면,
Figure pat00168
=
Figure pat00169
또는
Figure pat00170
=
Figure pat00171
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Figure pat00172
= 0이다.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PCG의 면허/비면허 서빙셀 상에서 UCI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예를 들어, 면허 서빙셀 상의 HARQ-ACK/SR을 포함하는 PUCCH 전송, 및/또는 CSI(또는 HARQ-ACK/SR을 제외한 UCI)를 포함하는 면허/비면허 서빙셀 j3 상의 PUSCH 전송)이 예정되고, 및/또는, PCG의 면허/비면허 서빙셀 c3 상에서 UCI를 포함하지 않는 상향링크 전송이 예정되고,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면허 서빙셀 상에서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이 예정된 경우, 상기 수학식 18에서
Figure pat00173
는 아래의 수학식 19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Figure pat00174
= 0 이다.
Figure pat00175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을 위한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의 예시적인 방법은 (e)LAA 단말에게 복수의 서빙셀 그룹(예를 들어, 제1 서빙셀 그룹 및 제2 서빙셀 그룹)이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는 제1 서빙셀 그룹 및 제2 서빙셀 그룹이 각각 프라이머리 PUCCH 서빙셀 그룹 및 세컨더리 PUCCH 서빙셀 그룹인 경우와, 제1 서빙셀 그룹 및 제2 서빙셀 그룹이 각각 MCG 및 SCG인 경우를 포함한다.
단계 S1010에서 단말은 서브프레임 i에서 각각의 서빙셀 그룹의 서빙셀들에서 예정된 각각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자신에게 설정된 모든 서빙셀 그룹의 모든 서빙셀 각각에서, 서브프레임 i에서 전송이 예정된 상향링크 채널/신호가 무엇인지(예를 들어, PUSCH, PUCCH, 또는 SRS 중 하나 이상)를 결정할 수 있고, 각각의 상향링크 채널/신호에 대한 예정된 전송 전력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예시에서, 서브프레임 i에서 제1 서빙셀 그룹에 속한 PCell 상에서 예정된 PUCCH 전송 전력 및 SCell1 상에서 예정된 UCI를 포함하는 PUSCH의 전송 전력을 각각 결정하고, 제2 서빙셀 그룹에 속한 SCell2 상에서 예정된 PUCCH 전송 전력, SCell3 상에서 예정된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 전력, 및 SCell4 상에서 예정된 UCI를 포함하지 않는 PUSCH 전송 전력을 각각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단말은 서빙셀 c에서의 상향링크 전송과, 서빙셀 c가 속하지 않은 다른 서빙셀 그룹(들)에 속한 서빙셀(들) 상에서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된 각각의 상향링크 전송과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030에서 단말은 서빙셀 c에서의 상향링크 전송과, 서빙셀 c가 속한 서빙셀 그룹의 서빙셀(들) 상에서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된 각각의 상향링크 전송과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020 및 S1030의 순서는 제한되지 않고, 단말은 서브프레임 i에서 서빙셀 c 상에서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과, 나머지 모든 서빙셀들 상에서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어떤 상향링크 전송이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지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020 및 S1030에서의 단말은, 전술한 표 5와 같은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전송 전력 할당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표 5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중의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표 5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의 둘 이상이 조합된 우선순위가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우선순위는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의 타입(예를 들어, 면허 서빙셀, 또는 비면허 서빙셀),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이 속한 그룹(예를 들어, 제1 서빙셀 그룹 또는 제2 서빙셀 그룹), 상향링크 전송에 포함되는 정보의 타입(예를 들어, UCI 포함 여부), UCI의 세부적인 타입(예를 들어, HARQ-ACK, SR, CSI), QoS, QCI, 또는 LBT 우선순위 클래스 중의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소정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경우에도, PRACH 전송은 항상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소정의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높은 값의(즉, 1의 값에 가까운) 스케일링 팩터(예를 들어, α1(i), α2(i), 또는 α3(i))를 적용하고, 우선순위가 낮을수록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낮은 값의(즉, 0의 값에 가까운) 스케일링 팩터(예를 들어, α1(i), α2(i), 또는 α3(i))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함에 있어서, 비면허 서빙셀의 경우에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최소 전송 전력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단계 S1040에서 단말은 상기 단계들에서 결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 i에서 서빙셀 c 상에서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최종 최대 전송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즉, 다른 서빙셀 그룹의 다른 서빙셀의 하나씩의 상향링크 전송과 서빙셀 c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결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서빙셀 c 에서의 최대 전송 전력을 계산할 수 있고, 모든 다른 서빙셀 그룹의 모든 다른 서빙셀과의 우선순위 비교의 결과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서빙셀 c 상에서의 최대 전송 전력(즉, 최종 최대 전력)이 계산될 수 있다. 물론, 최종 최대 전력 계산이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고, 모든 경우의 수를 한꺼번에 고려하여 서빙셀 c에 대한 최종 최대 전송 전력을 계산할 수도 있다.
단계 S1050에서 단말은 서브프레임 i에서 서빙셀 c 상에서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전송 전력이, 단계 S1040에서 계산된 최종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S1055로 진행할 수 있고,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계 S106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1055에서 단말은 서브프레임 i에서 에서 서빙셀 c 상에서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또는 전력 조절) 없이, 상향링크 전송(상향링크 채널/신호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060에서, 단말은 서브프레임 i에서 서빙셀 c 상에서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라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이 적용된 상향링크 전송(상향링크 채널/신호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의 또 다른 예시를 위한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110에서 단말은 소정의 서빙셀 집합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된(expected)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합계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서빙셀 집합은 하나 이상의 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서빙셀 집합은 하나의 서빙셀 그룹에 속한 서빙셀들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서빙셀 그룹에 속한 서빙셀들 중의 일부 부분집합, 또는 둘 이상의 서빙셀 그룹, 또는 하나의 서빙셀 그룹과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서빙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소정의 서빙셀 집합에 대해서, 서브프레임 i에서 전송이 예정된 상향링크 채널/신호가 무엇인지(예를 들어, PUSCH, PUCCH, 또는 SRS 중 하나 이상)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결정된 상향링크 채널/신호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그 총합을 계산할 수 있다.
단계 S1120에서 단말은 단계 S1110에서 계산된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된 전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
Figure pat00176
)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된 전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S1125로 진행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13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1125에서 단말은 서브프레임 i에서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또는 전력 조절) 없이, 상향링크 전송(상향링크 채널/신호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130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이 LBT의 성공 여부에 따라서 실제로 UL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가 결정되는 상황을 가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아직 LBT 성공 여부(또는 실제 전송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즉,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해서도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계산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아직 LBT 성공 여부(또는 실제 전송 여부)가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해서도, LBT 성공 여부(또는 실제 전송 여부)를 반영하지 않고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계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전송을 시도하는 소정의 서빙셀 집합에 대해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하기 위해서 LBT 성공 여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말은 소정의 서빙셀 집합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시도하기 위해서 LBT를 수행하는데, 단말이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 또는 계산함에 있어서 LBT 성공 여부를 고려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말은 각각의 서빙셀에서의 LBT 성공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해당 서빙셀에서의 UL 전송 여부를 결정하지만, UL 전송을 위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의 적용 또는 계산에 있어서는 LBT 성공 여부는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LBT에 실패한 서빙셀에 대해서 LBT 성공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계산하지만, 해당 서빙셀에서는 UL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은 LBT에 성공한 서빙셀에 대해서 LBT 성공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하여 해당 서빙셀에서 UL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표 2 내지 표 4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중에서 LBT 성공 여부를 고려하지 않는 우선순위(예를 들어, 면허/비면허 서빙셀 간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는 우선순위)의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표 2 내지 표 4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의 둘 이상이 조합된 우선순위 중에서 LBT 성공 여부를 고려하지 않는 우선순위(예를 들어, 면허/비면허 서빙셀 간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는 우선순위)가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우선순위는 상향링크 전송에 포함되는 정보의 타입(예를 들어, UCI 포함 여부), UCI의 세부적인 타입(예를 들어, HARQ-ACK, SR, CSI), QoS(Quality of Service), QCI(QoS Class Identifier) 중의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소정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경우에도, PRACH 전송은 항상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빙셀 그룹 내에서 PRACH 전송에 대해서는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소정의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높은 값의(즉, 1의 값에 가까운) 스케일링 팩터(예를 들어, w(i))를 적용하고, 우선순위가 낮을수록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낮은 값의(즉, 0의 값에 가까운) 스케일링 팩터(예를 들어, w(i))를 적용할 수 있다.
단계 S740에서 단말은 우선순위에 따라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이 적용된 상향링크 전송(상향링크 채널/신호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은 LBT 성공여부를 고려하지 않은 우선순위에 따라서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계산하지만, LBT 성공 여부에 따라 실제 상향링크 전송 수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현재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단말에게 설정된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에(즉, 전력 제한 케이스에서), LBT 성공 여부를 고려하지 않은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 스케일링을 계산하지만, LBT에 실패한 경우에는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의 일부 또는 전체를 드랍(drop)할 수도 있다.
즉, LBT는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의 직전의 짧은 시간 동안 수행되므로,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의 비효율성에도 불구하고, LBT 성공 여부를 전송 전력 스케일링에 반영하지 않음으로써 단말 동작의 복잡성 또는 불명료성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예시에서 면허 서빙셀들인 PCell 및 SCell1에서는 UL grant에 따라서 PUSCH 전송이 수행될 수 있지만, 비면허 서빙셀 중에서는 SCell2 및 Scell3에서는 LBT(또는 CCA)에 실패하고, SCell4에서만 성공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와 같이, 단말은 비면허 서빙셀의 경우에는 상향링크 전송 직전에야 비로소 해당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LBT 결과를 확인한 후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까지의 시간이 짧기 때문에, 그 동안 단말이 전송 전력을 조절(예를 들어,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될 수 없는 서빙셀에 할당된 전력을 상향링크 전송이 실제로 수행되는 다른 서빙셀에서의 전송 전력으로 이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오히려 단말 동작의 복잡성으로 인한 비효율 또는 고비용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지 않을 비면허 서빙셀에 대해서 UL 그랜트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LBT 성공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의 또 다른 예시를 위한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210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UL grant 정보에 기초하여, LBT를 수행할 서빙셀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즉, UL grant 정보에 의해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지시되는(indicated) 서빙셀 그룹에서, 단말은 UL LBT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LBT 수행할 것으로 결정되는 서빙셀 그룹은 하나 이상의 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면허 대역에서는 기지국에 의해서 상향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되더라도 해당 서빙셀에서 LBT에 성공한 경우에만 실제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단말은 UL grant 정보에 의해서 스케줄링되는 서빙셀 그룹에 속한 각각의 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UL LBT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220에서 단말은 단계 S1210에서 결정된 서빙셀 그룹에 속한 서빙셀의 각각에서 LBT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230에서 단말은 단계 S1220의 결과, 상기 서빙셀 그룹에 속한 모든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상기 서빙셀 그룹 중의 하나 이상의 서빙셀의 각각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빙셀 그룹에 속한 서빙셀은 LBT에 성공한 서빙셀일 수도 있고 LBT에 실패한 서빙셀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빙셀 그룹은 LBT에 성공한 서빙셀(들) 또는 LBT에 실패한 서빙셀(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빙셀 그룹 중에 LBT에 실패한 서빙셀이 없는 경우(즉, UL grant에 의해서 상향링크 전송이 지시된 모든 서빙셀에서 LBT 성공한 경우), 상기 서빙셀 그룹 중에 LBT에 성공한 서빙셀이 없는 경우(즉, UL grant에 의해서 상향링크 전송이 지시된 모든 서빙셀에서 LBT 실패한 경우), 상기 서빙셀 그룹 중에 일부 서빙셀에서 LBT 실패하고 나머지 서빙셀에서 LBT 성공한 경우(즉, UL grant에 의해서 상향링크 전송이 지시된 서빙셀들의 일부에서 LBT 실패하고, 나머지 서빙셀에서 LBT 성공한 경우)를 구분하지 않고, 단말은 상기 서빙셀 그룹에 속한 모든 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은 상기 서빙셀 그룹에 속한 각각의 서빙셀에서의 LBT 성공 여부를 구분하지 않고 특정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상기 서빙셀 그룹에 속한 각각의 서빙셀에서 실제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지를 구분하지 않고 특정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의 수행 여부에 있어서는 각각의 서빙셀에서의 LBT 성공 여부를 고려하지만, 상향링크 전송의 전송 전력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각각의 서빙셀에서의 LBT 성공 여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의 수행 여부에 있어서는 각각의 서빙셀에서의 LBT 성공 여부를 고려하지만, 상향링크 전송의 전송 전력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각각의 서빙셀에서 실제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LBT에 성공하여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에 대해서만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LBT에 실패한 서빙셀에 대해서도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LBT 성공한 서빙셀에 대해서 결정될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실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지만, 한편으로 LBT에 실패한 서빙셀에 대해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단말은 LBT에 성공하여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에 대해서만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LBT 성공한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LBT 성공 여부를 구분하지 않고 상기 서빙셀 그룹에 속한 모든 서빙셀(즉, UL grant에 의해서 상향링크 전송이 지시된 모든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될 것을 가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UL grant에 의해서 상향링크 전송이 지시되는 모든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이 존재하는 것에 기초하여, 단말은 특정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즉,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절 또는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결정을 위한 비용의 또는 복잡성의 증가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은, 전술한 예시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UL grant에 의해서 상향링크 전송이 지시되는 모든 서빙셀에서의 전송 전력의 합이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 우선순위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전술한 예시들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명료성을 위해서 생략한다.
단계 S1240에서 단말은 단계 S1230에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서빙셀은 상기 단계 S1220에서의 LBT 성공 여부에 따라서 결정된다. 즉, 단계 S1220에서 LBT 성공한 하나 이상의 서빙셀의 각각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며, 여기서 단계 S1230에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 S1230에서와 같이 LBT 성공한 하나 이상의 서빙셀 및 LBT 실패한 하나 이상의 서빙셀 모두에서(즉, UL grant에 의해서 상향링크 전송이 지시되는 모든 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LBT 성공한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의 또 다른 예시를 위한 단말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270에서 단말은 N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UL 그랜트를 수신 및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UL 그랜트는 면허 대역의 서빙셀 및 비면허 대역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275에서 단말은 확인된 UL 그랜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면허 및 비면허 서빙셀 모두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의 수행을 가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1280에서 단말은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서 CCA(또는 LBT)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285에서 단말은 N+4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단계 S1275에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서빙셀은 UL 그랜트에 의해서 상향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된 서빙셀의 전부일 수도 있고, 그 중의 일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면허 대역의 서빙셀에서 CCA(또는 LBT)에 실패한 경우에, 해당 비면허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결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비면허 서빙셀에서는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모든 단계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에 대한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처리 또는 구현하는 장치(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무선 디바이스 및 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하향링크 수신 장치 또는 상향링크 전송 장치의 일례에 해당하는 단말 장치(100)와, 하향링크 전송 장치 또는 상향링크 수신 장치의 일례에 해당하는 기지국 장치(200)를 도시한다.
단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안테나부(120), 트랜시버(130),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111) 및 물리계층 처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111)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물리(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상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 하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단말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12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130)는 무선 주파수(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10)의 연산 처리된 정보,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안테나부(220), 트랜시버(230),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211) 및 물리계층 처리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211)는 MAC 계층, RRC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212)는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하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 상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기지국 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22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230)는 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프로세서(210)의 연산 처리된 정보, 기지국 장치(2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모든 실시예들에서의 단말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110)의 상위계층 처리부(111)는 서빙셀 설정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셀 설정부(1110)는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빙셀 설정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서빙셀 개수, 서빙셀 그룹 개수, 서빙셀 특성(면허 서빙셀/비면허 서빙셀) 등)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100)에 복수의 서빙셀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의 프로세서(110)의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우선순위 결정부(1120) 및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순위 결정부(1120)는 본 발명의 예시들에 따른 표 2 내지 표 5의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 i에서 복수의 서빙셀들 상에서 전송이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표 2 내지 표 5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중의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표 2 내지 표 5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의 둘 이상이 조합된 우선순위가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우선순위는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의 타입(예를 들어, 면허 서빙셀, 또는 비면허 서빙셀),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서빙셀이 속한 그룹(예를 들어, 제1 서빙셀 그룹 또는 제2 서빙셀 그룹), 상향링크 전송에 포함되는 정보의 타입(예를 들어, UCI 포함 여부), UCI의 세부적인 타입(예를 들어, HARQ-ACK, SR, CSI), QoS, QCI, 또는 LBT 우선순위 클래스 중의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소정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경우에도, PRACH 전송은 항상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부(1130)는 우선순위 결정부(1120)에 의해서 결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 i에서 복수의 서빙셀의 각각에서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 적용 여부, 전송 전력 스케일링 팩터의 값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전력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함에 있어서, 비면허 서빙셀의 경우에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최소 전송 전력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부(1130)에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서브프레임 i에서 각각의 서빙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만약 비면허 서빙셀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인 경우에는, 서브프레임 i의 직전에 LBT(또는 CCA)를 수행하여 채널 아이들 상태를 확인한 후,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와 같은 소정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만약 비면허 서빙셀에서 LBT 실패로 인해 실제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지 않더라도, 상향링크 전송 전력 할당의 비효율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예시로서, 서빙셀 설정부(1110)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면허대역의 주서빙셀(PCell)과 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부(1130)는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통해 스케줄링된 서빙셀 및 단말로 하여금 전송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 및 각 서빙셀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채널을 고려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각 서빙셀을 통해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부(1130)가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면허대역의 주서빙셀(PCell)과 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 중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보다 우선순위가 높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은 상기 n+4번째 서브프레임 이전의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occupancy)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주파수 자원 사용이 가능한 경우(if available)에는,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주파수 자원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if not available)에는,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을 전송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USCH)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예시로서, 서빙셀 설정부(1110)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면허대역의 주서빙셀(PCell)과 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부(1130)는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통해 스케줄링된 서빙셀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채널을 고려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각 서빙셀을 통해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부(1130)는,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이 상향링크 제어정보(UCI)를 포함하는 물리상향공유채널(PUSCH)보다 우선순위가 높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정보(UCI)를 포함하는 PUSCH가 상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PUSCH 보다 우선순위가 높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를 포함하는 물리상향공유채널(PUSCH)은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을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은 상기 n+4번째 서브프레임 이전의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occupancy)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을 상기 면허대역의 주서빙셀(PCell)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을, 상기 면허대역의 부서빙셀(PSCell)을 전송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주파수 자원 사용이 가능한 경우(if available)에는,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12)는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주파수 자원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if not available)에는,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고 드랍(Drop)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200)의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모든 실시예들에서의 기지국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0)의 프로세서(210)의 상위계층 처리부(211)는 서빙셀 설정 정보 생성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셀 설정 정보 생성부(1140)는 특정 단말에게 설정될 서빙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서빙셀 개수, 서빙셀 그룹 개수, 서빙셀 특성(면허 서빙셀/비면허 서빙셀)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서빙셀 설정 정보는 물리계층 처리부(212)를 통하여 단말 장치(1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200)의 프로세서(210)의 물리계층 처리부(212)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수신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수신부(1150)는, 기지국 장치(200)가 단말 장치(100)에게 스케줄링한 상향링크 전송, 소정의 타이밍 규칙에 기초하여 전송되는 상향링크 전송, 또는 트리거링에 의하거나 지시에 의해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전송을 기대하고, 서브프레임 i에서 단말 장치(100)로부터의 전송이 예정된 상향링크 전송의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100)의 프로세서(110) 또는 기지국(200)의 프로세서(210)의 동작은 소프트웨어 처리 또는 하드웨어 처리에 의해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처리에 의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또는,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medium)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3GPP LTE 또는 LTE-A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서빙셀 그룹에 속한 서빙셀의 각각에서 LBT(Listen Before Talk)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빙셀 그룹에 속한 모든 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상기 서빙셀 그룹 중의 하나 이상의 서빙셀의 각각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LBT에 성공한 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셀 그룹은, 상기 LBT에 성공한 서빙셀 또는 상기 LBT에 실패한 서빙셀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 수행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셀 그룹에 속한 서빙셀 각각에 대한 LBT 성공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결정되는, 상향링크 전송 수행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셀 그룹 중의 하나 이상의 서빙셀은, 상기 LBT에 성공한 서빙셀인, 상향링크 전송 수행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셀 그룹 중의 하나 이상의 서빙셀은, 상기 서빙셀 그룹에 속한 모든 서빙셀인, 상향링크 전송 수행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서빙셀 그룹의 모든 서빙셀 상에서 전송이 예정된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전송 전력의 총합이 상기 단말의 전체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전송 전력의 총합이 상기 단말의 전체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소정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 수행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우선순위는,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이 수행되는 서빙셀이 속한 그룹, 상기 복수의 상향링크 전송의 각각에 포함되는 정보의 타입, 또는 LBT(Listen-Before-Talk) 우선순위 클래스 중의 하나 이상의 조합에 의해서 결정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수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높은 값의 스케일링 팩터를 적용하고, 우선순위가 낮을수록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낮은 값의 스케일링 팩터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수행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 정보를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서빙셀 그룹에 속한 서빙셀의 각각에서 LBT(Listen Before Talk)를 수행하고;
    상기 서빙셀 그룹에 속한 모든 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상기 서빙셀 그룹 중의 하나 이상의 서빙셀의 각각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및
    결정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LBT에 성공한 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상기 트랜시버를 통하여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상향링크 전송 수행 단말 장치.
  10.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면허대역의 주서빙셀(PCell)과 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통해 스케줄링된 서빙셀 및 단말로 하여금 전송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 및 각 서빙셀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채널을 고려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각 서빙셀을 통해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면허대역의 주서빙셀(PCell)과 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 중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전송 전력보다 우선순위가 높도록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은 상기 n+4번째 서브프레임 이전의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occupancy) 여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주파수 자원 사용이 가능한 경우(if available)에는,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주파수 자원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if not available)에는,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은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을 전송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4.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면허대역의 주서빙셀(PCell)과 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통해 스케줄링된 서빙셀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채널을 고려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과 및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각 서빙셀을 통해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이 상향링크 제어정보(UCI)를 포함하는 물리상향공유채널(PUSCH)보다 우선순위가 높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정보(UCI)를 포함하는 PUSCH가 상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PUSCH 보다 우선순위가 높도록 설정하며,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를 포함하는 물리상향공유채널(PUSCH)은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을 통해 전송 가능하며,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은 상기 n+4번째 서브프레임 이전의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occupancy) 여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은, 상기 면허대역의 주서빙셀(PCell)을 통해 전송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은, 상기 면허대역의 부서빙셀(PSCell)을 통해 전송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주파수 자원 사용이 가능한 경우(if available)에는,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주파수 자원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if not available)에는,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을 통해 상향링크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Drop)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19.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면허대역의 주서빙셀(PCell)과 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통해 스케줄링된 서빙셀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채널을 고려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며,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각 서빙셀을 통해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은,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이 상향링크 제어정보(UCI)를 포함하는 물리상향공유채널(PUSCH)보다 우선순위가 높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정보(UCI)를 포함하는 PUSCH가 상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PUSCH 보다 우선순위가 높도록 설정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은 상기 n+4번째 서브프레임 이전의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occupancy) 여부를 확인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를 포함하는 물리상향공유채널(PUSCH)을 비면허 대역의 부서빙셀(SCell)을 통해 전송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주파수 자원 사용이 가능한 경우(if available)에는, 상기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적용하여 상기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을 통해 상기 PUSCH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자원 점유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주파수 자원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if not available)에는, 상기 비면허대역의 부서빙셀(SCell)을 통해 상기 PUSCH를 송수신하지 않도록(Drop)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장치.
KR1020160157378A 2016-08-12 2016-11-24 면허 대역 및 비면허 대역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0182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242 2016-08-12
KR20160103242 2016-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247A true KR20180018247A (ko) 2018-02-21

Family

ID=6152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378A KR20180018247A (ko) 2016-08-12 2016-11-24 면허 대역 및 비면허 대역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82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369A1 (ko) * 2018-09-21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에서 단말이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CN110999510A (zh) * 2019-11-06 2020-04-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传输冲突的解决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EP3855649A4 (en) * 2018-09-18 2021-09-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NUMBER OF UPRIGHT 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RESOURCES, AND PROGRA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5649A4 (en) * 2018-09-18 2021-09-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NUMBER OF UPRIGHT 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RESOURCES, AND PROGRAM
US11800546B2 (en) 2018-09-18 2023-10-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number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resources, and program
WO2020060369A1 (ko) * 2018-09-21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에서 단말이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CN110999510A (zh) * 2019-11-06 2020-04-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传输冲突的解决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582B2 (en) Uplink channel access, reservation and data transmission for licensed assist access long term evolution (LAA-LTE)
CN107667565B (zh) 在使用非授权频带的蜂窝网络中分配资源的方法及其设备
US1191768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37537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7161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79906B2 (en) Resource reservation for NR-U SL
US20210410187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EP3370359A1 (en) Listen-before-talk parameter processing method, and contention window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US1062404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information
US20220078841A1 (en) Uplink operation for listen before talk
JP5878595B2 (ja) 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160121406A (ko)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및 그 장치
TWI751448B (zh) 處理通道存取程序的裝置及方法
US104555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320743B1 (en) Transmitting node and method therein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s to at least one receiving node on a radio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EP3503660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through multiple unlicensed component carri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device supporting same
US102127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nnel access adaptivel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01967B1 (en) User device and transmission control method
KR102656607B1 (ko) 비면허 대역에서의 다중 채널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70093059A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80018247A (ko) 면허 대역 및 비면허 대역 상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지원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90199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BY A UE OVER A BROAD BANDWIDTH WITH SUB-ASSEMBLY RESTRICTION
KR20230005135A (ko) 랜덤 액세스 대역폭에 기초한 통신 구성
CN114402694B (zh) 信道冲突处理方法及装置
US11683805B2 (en) Resource selection for communica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