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821A - 실시간 시청자 반응을 전달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시청자 반응을 전달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821A
KR20180017821A KR1020160102228A KR20160102228A KR20180017821A KR 20180017821 A KR20180017821 A KR 20180017821A KR 1020160102228 A KR1020160102228 A KR 1020160102228A KR 20160102228 A KR20160102228 A KR 20160102228A KR 20180017821 A KR20180017821 A KR 20180017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oadcasting
user
broadcas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8976B1 (ko
Inventor
차일황
이준성
김동성
전찬기
성민석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9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2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6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rating content, e.g. scoring a recommended movi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송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수신된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실시간 방송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채팅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상기 채팅 데이터 및 상기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실시간 방송 데이터의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분석 평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산출된 평가 스코어를 상기 방송자 단말에 전달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시청자 반응을 전달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for delivering live audience reaction}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 시청자 반응을 직관적으로 방송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해 시간당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종래에는 동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1인 컨텐츠 크리에이터 및 1인 방송국이 급증하기 시작했으며, 관련 서비스 산업 역시 급속도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인터넷 방송을 위해서는 방송자는 영상, 음성 등을 캡쳐 할 수 있는 장비와 방송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는 통신 가능한 방송용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방송 서비스 장치는 방송자의 방송용 장비로부터 수신한 방송 내용을 시청자에게 제공하고, 시청자는 PC(Personal Computer) 등으로 방송 프로그램에 접속해 방송 서비스 장치가 중계해주는 방송자의 방송 내용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 인터넷 방송의 경우 시청자가 프로그램을 보면서 프로그램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나타내기 위해 채팅 또는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아이템을 이용할 수 있다. 방송자는 이러한 채팅 또는 아이템에 대해 방송 내용을 통해 피드백 함으로써 쌍방향 소통이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시청을 위한 접속자 수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 하나의 채팅창에 단기간에 한 명의 방송자가 전부 읽을 수 없을 정도로 많은 텍스트가 출력되게 된다. 이 경우 어떤 내용이 전달되는지 방송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내용 파악을 위해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쏟게 되어 원활하게 방송을 진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방송을 위해서 계속 채팅창만을 주시하고 있는 것이 아니므로 방송에 보여주기 위한 다른 행동 중에는 시청자들의 반응이 어떠한지를 전혀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시청자들의 의견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이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시간 시청자 반응을 방송자에게 제공하여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는, 방송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수신된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실시간 방송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채팅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채팅 데이터 및 상기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실시간 방송 데이터의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분석 평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산출된 평가 스코어를 상기 방송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분석 평가부는, 상기 채팅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수치화하고, 상기 수치화된 키워드에 상기 생체 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실시간 방송 데이터의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스코어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자 단말은 상기 수신한 평가 스코어에 따라 점멸하는 광원이 구비된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상기 방송자 단말에 더 전달하고,상기 알림부는 상기 수신한 키워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는, 상기 채팅 데이터로부터 시청자 호응도를 산출하는 통계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호응도를 상기 방송자 단말에 더 전달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호응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실시간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호응도 또는 상기 평가 스코어를 기초로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는 하이라이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방송자가 시청자 반응을 쉽게 확인해 실시간으로 피드백 할 수 있다.
방송자가 채팅을 읽지 않고도 중요한 정보를 파악해 보다 자유롭게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고, 방송에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가 구성하는 방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의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의 분석 평가부가 채팅데이터와 생체 정보를 이용해서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와 연결된 방송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30)가 구성하는 방송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송 시스템(1)은 방송자 단말(40)과 방송 서비스 장치(30), 사용자 단말(24)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방송자(41)가 방송자 단말(40)로 생산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방송 서비스 장치(30)가 수신해 방송 컨텐츠로 제작해 사용자 단말(24)로 송출해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30)를 이용하는 방송 시스템(1)은 클라이언트-서버(C/S) 구조의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방송 시스템(1)이 작동할 수 있는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포함하며, 지역(Local) 네트워크, 광역(Global) 네트워크, 휴대전화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조합, 인터넷을 포함한다.
방송자 단말(40)은 방송자(41)가 영상을 캡쳐해서 방송 서비스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며, 사용자(21)의 반응과 방송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따라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부(451)를 포함하며, 해당 영상을 수신해 가공하고 방송 서비스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종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송 송출부(44)를 포함한다. 시청자 반응과 방송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송자 화면부(43)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방송자(41)가 시청자 반응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알림부(452, 453)를 포함한다. 촬상부(451)와 알림부(452, 453)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촬상부(451)와 방송 송출부(44)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유무선 통신을 통해서만 연결될 수도 있다. 방송자 단말(40)은 방송자(41)가 착용하고 있는 방송자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42) 와 연결될 수 있다. 방송자 단말(4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30)는 방송자 단말(40)로부터 생산된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24)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4)로부터 채팅 데이터 및 생체 정보를 수신해 가공하여 방송자 단말(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실시간 방송 데이터는 녹화되어 완성된 하나의 방송 데이터가 아니라, 실시간으로 촬영과 함께 방송 송출부(44)를 거쳐 방송 서비스 장치(30)로 전달되는 방송 데이터를 의미한다. 방송 서비스 장치(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사용자 단말(24)은 방송을 시청하는 사용자(21)가 방송 시청을 위해 사용하는 단말로, 사용자(21)는 방송 시청을 위해 사용자 단말(24)을 통해 방송 서비스 장치(30)에 접속한다. 방송 서비스 장치(30)에 접속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21)의 채팅 정보 및 생체 정보를 방송 서비스 장치(30)로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4)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4)은 방송 서비스 장치(30)가 전달하는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사용자(21)에게 사용자 화면부(23)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21)는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22)를 착용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4)은 연결된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22)로부터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채팅 데이터와 함께 방송 서비스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22)는 유/무선으로 사용자 단말(24)과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사용자 단말(24)은 디스플레이 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에 반응하여 사용자(21)가 입력하는 채팅을 받아들이고, 채팅 데이터를 방송 서비스 장치(30)로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4)은 입력부(2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25)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등의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4)은 사용자 화면부(23)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탑(Laptop) 등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장치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데스크탑(Desktop), 비디오 월(Video Wall) 등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장치일 수도 있다.
방송자(41)와 사용자(21)가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2, 42)에는 액세서리형(스마트안경, 스마트워치), 직물/의류 일체형(스마트웨어, 의류 일체형 컴퓨터), 신체 부착형(스킨 패치형 센서), 생체 이식형(이식형 센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2, 42)가 수집할 수 있는 생체 정보는 근수축, 근피로도도, 근이완을 알 수 있는 EMG(Electromyography), 뇌파를 알 수 있는 EEG(Electroencephalography), 체온과 주변 환경의 온도, 심박수 변화와 교감/부교감 신경의 작용을 알 수 있는 ECG(Electrocardiogram)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2, 42)가 수집할 수 있는 정보는 착용자의 생체 정보 외에도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22, 42)가 위치한 장소의 위치 정보가 있다. 위치 정보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30)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30)는 제1 통신부(31), 제2 통신부(32), 분석 평가부(33), 방송 중계부(34), 통계 분석부(35)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31)는 방송자(41)가 방송자 단말(40)을 통해 생산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방송자 웨어러블 디바이스(42)가 수집한 방송자(41)의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방송자 단말(40)이 수신하여 제1 통신부(31)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방송자 단말(40)로 분석 평가부(33)가 산출한 평가 스코어를 전송한다. 제1 통신부(31)는 이 밖에도 분석 평가부(33)의 키워드 추출부(331)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를 더 전송할 수 있으며, 통계 분석부(35)를 통해 산출된 시청자 호응도,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22)가 획득한 사용자(21)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1 통신부(31)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방송자 단말(40)과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통신부(32)는 제1 통신부(31)가 수신한 방송자(41)의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4)로 전송한다. 이 때 실시간 방송 데이터는 제1 통신부(31)가 수신한 그대로일 수 있고, 방송 중계부(34)에 의해서 다른 사용자(21)의 채팅 정보 및 광고 등이 포함된 방송 데이터일 수도 있다. 또한 제2 통신부(32)는 사용자 단말(24)로 전송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21)가 사용자 단말(24)을 통해 입력한 채팅 및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22)가 획득한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4)로부터 수신한다.
이러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2 통신부(32)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4)과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분석 평가부(33)는 사용자 단말(24)로부터 제2 통신부(32)가 수신한 채팅 데이터 및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이를 가공 및 분석하고 평가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4)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 및 평가하기 위해 키워드 추출부(331), 스코어 산출부(332), 단어 데이터베이스(333)를 포함한다. 분석 평가부(33)는 이와 같은 분석 및 평가의 결과로 얻은 평가 스코어를 제1 통신부(31)를 통해 방송자 단말(40)로 전송한다.
키워드 추출부(331)는 사용자 단말(24)로부터 제2 통신부(32)가 수신한 채팅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한다. 채팅 데이터는 텍스트 형식으로 주어지므로, 데이터를 읽어들여 단어를 나누고 그 중 조사 등의 무의미한 음절을 제외하고 단어의 검출 빈도를 저장해 빈출하는 단어들에 대해서 키워드 처리 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을 위한 방법으로는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모델, TextRank 알고리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키워드 추출부(331)는 추출한 키워드 정보를 스코어 산출부(332)로 전달한다.
단어 데이터베이스(333)는 선별된 주요 단어와 해당 단어들이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는지, 혹은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는지를 대응시켜놓은 자료의 목록이다. 단어 데이터베이스(333)는 긍정적/부정적 의미 외에도 단어에서 드러나는 슬픔, 기쁨 등의 의미를 대응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코어 산출부(332)는 상기 키워드 추출부(331)에서 추출한 채팅 데이터의 키워드들을 상기 단어 데이터베이스(333)에 기록된 단어와 대조하여, 사용자(21) 반응, 즉 채팅 데이터중 문장의 긍정/부정 여부 등의 반응을 수치화하여 산출한다. 예를 들어 긍정적인 반응이 하나 있을 경우 해당 수치에 1을 가산하고, 부정적인 반응이 하나 있을 경우 1을 감산하는 식으로 문장 평가를 수치화하여 산출할 수 있으나 방식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코어 산출부(332)는 이렇게 수치화하여 산출한 문장 평가에, 제2 통신부(32)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21) 생체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21)의 맥박이 빠르게 뛰는 경우 이는 사용자(21)가 흥분한 상태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긍정' 혹은 '신남'이라는 감정에 해당하도록 가중치를 가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맥박이 느려진 경우 편안함을 느끼거나 지루함을 느껴 심박이 안정적인 상태가 되었음을 의미하므로, '부정' 혹은 '지루'하다는 감정에 해당하도록 가중치를 감산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가중치를 더하거나 빼는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키워드가 '편안', '안정' 등과 관련이 있다면 맥박이 느려진 경우 가중치를 감산이 아닌 가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가중치는 생체 정보를 분석한 결과뿐이 아니라 다른 종류 정보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부여할 수도 있다.
스코어 산출부(332)는 상기 가중치를 문장 평가에 가/감산한 수치를 종합하여 평가 스코어를 산출한다. 하나의 방송에 대해서 복수의 사용자(21)가 접속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중치를 가/감산한 키워드 평가는 한 개의 수치가 아니라 각 사용자(21)의 반응에 대해서 하나씩 부여된 다수의 수치일 수 있고, 이를 전부 나열하여 방송자 단말(40)로 전송할 경우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수치를 종합하여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렇게 종합 평가된 수치를 방송자(41)에게 전달해야 하는 것이다.
스코어 산출부(332)는 복수의 상기 가중치를 키워드 평가에 가/감산한 수치를 모아서 평균(mean)과 중앙값(median)을 구할 수 있고, 해당 수치를 평가 스코어로 할 수 있다. 다만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최빈값(mode)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스코어 산출부(332)는 산출된 평가 스코어를 제1 통신부(31)로 전달한다. 제1 통신부(31)는 스코어 산출부(332)로부터 전달받은 평가 스코어를 방송자 단말(40)로 전송한다.
방송 중계부(34)는 제1 통신부(31)가 수신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제2 통신부(32)로 가공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방송자(41)가 방송자 단말(40)을 통해 전송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는 서비스에 부적합 할 수 있고, 방송 서비스의 수익 창출을 위한 전처리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간 방송 데이터에 사용자(21)들의 채팅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분석 평가부(33)가 산출한 평가 스코어를 추가하거나, 방송자 위치 정보를 추가하거나, 광고를 덧붙이거나, 유용한 정보를 추가하거나, 통계 분석부(35)가 분석한 시청자 호응도를 추가하거나, 방송에 적합하지 아니한 내용을 검열해 모자이크 등의 방법으로 스크리닝 하여 가공한 뒤 제2 통신부(32)로 전달하는 것이다. 다만 방송 중계부(34)가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가공하는 형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계 분석부(35)는 사용자 단말(24)로부터 전달받은 생체 정보의 통계를 산출하거나, 사용자 단말(24)로부터 전달받은 채팅 데이터의 시간당 개수 및 크기, 방송 서비스 장치(30)에 연결된 사용자(21) 중 해당 방송자(41)의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수, 분단위 혹은 10초 단위로 가장 채팅에 빈번하게 등장한 단어 등을 수집하여 시청자 호응도로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2 통신부(32)와 연결되어 채팅 데이터를 전달받고, 제1 통신부(31)와 연결되어 산출된 시청자 호응도를 전달하며, 제1 통신부(31)는 전달받은 시청자 호응도를 방송자 단말(40)로 전송한다. 또한 통계 분석부(35)가 산출한 시청자 호응도는 방송 중계부(34)로 전달될 수도 있다.
통계 분석부(35)는 이 밖에도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분석 평가부(33)로부터 평가 스코어를 수신해 일정 기간 동안의 방송 데이터에 대한 시청자의 호감도, 방송의 자극성 등에 대한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통계의 기준이 되는 수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산출한 통계 데이터는 제1 통신부(31)로 전달되어 방송자(41)에게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방송자(41)는 방송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추후에 열람하여 그 이후의 방송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산출된 통계 데이터를 제2 통신부(32)로 전달하여 사용자(21)에게 전달되게 함으로써, 사용자(21)가 현재 방송자(41)의 방송이 전반적으로 어떠한 경향을 띄고 있는지 그 성격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밖에도,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30)의 통계 분석부(35)는 하이라이트 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1 통신부로부터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 평가부(33)로부터 수신한 평가 스코어 및 통계 분석부(35) 자체에서 산출한 시청자 호응도를 기준으로 하여 높은 평가 스코어 또는 시청자 호응도와 대응되는 구간의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별도의 저장소에 기록, 하이라이트 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하이라이트 영상은 제1 통신부(31)를 통해 방송자 단말(40)에 전송될 수 있고, 제2 통신부(32)를 통해 사용자 단말(24)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방송자(41)나 사용자(21)는 전체 방송 중에서 중요한 순간에 대해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다만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저장소에 기록되는 실시간 방송 데이터의 기준은 시청자 호응도와 평가 스코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계 분석부(35)가 제공하는 다른 통계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저장소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evice),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1)이 작동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30)의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1)은 사용자(21)와 방송자(41)가 방송에 접속함으로서 시작된다(S10). 이 과정에서 사용자(21)는 사용자 단말(24)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 장치(30)에 접속하고, 접속을 위해서 방송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해야 할 수도 있다. 또한 방송자(41)는 방송자 단말(40)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 장치(30)에 접속하고, 접속을 위해서 방송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해야 할 수도 있다.
방송자 단말(40)은 촬상부(451)가 촬영한 영상을 방송 송출부(44)가 수신해 실시간 방송 데이터로 가공하여 방송 서비스 장치(30)의 제1 통신부(31)로 전송한다. 방송 송출부(44)가 수신해 가공하여 제1 통신부(31)로 전송하는 실시간 방송 데이터는 촬상부(451)가 촬영한 영상뿐 아니라 방송자(41)가 착용하고 있는 방송자 웨어러블 디바이스(42)가 수집한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31)가 수신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는 방송 중계부(34)로 전달되고, 방송 중계부(34)는 전달된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21)들의 채팅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다른 사용자(21)들의 반응에 의해 결정된 평가 스코어, 통계 데이터, 시청자 호응도를 추가하거나, 광고를 덧붙이거나, 방송자(41)의 생체 정보와 위치 정보를 추가하거나, 유용한 정보를 추가하거나, 방송에 적합하지 아니한 내용을 검열해 모자이크 등의 방법으로 스크리닝 하여 가공한 뒤 제2 통신부(32)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21)는 방송자(41)의 방송을 시청함과 동시에 다른 사용자의 채팅 데이터 및 평가 스코어, 통계 데이터, 시청자 호응도를 피드백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통신부(32)는 사용자 단말(24)에 가공되거나 가공되지 않은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송출하고(S20), 사용자 단말(24)은 전달받은 방송 데이터를 사용자 화면부(23)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21)로 하여금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21)는 시청한 방송에 대한 응답으로 채팅을 하거나 생체 정보의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사용자 단말(24)은 사용자(21)가 입력부(25)를 통해 입력한 채팅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21)가 착용한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22)로부터 사용자(21)의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전달받는다(S30).
사용자 단말(24)은 수집한 채팅 데이터와 사용자(21)의 생체 정보 및 위치정보를 방송 서비스 장치(30)로 전송한다(S40). 방송 서비스 장치(30)의 제2 통신부(32)는 상기 채팅 데이터와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 평가부(33)로 전달한다.
분석 평가부(33)는 전달받은 채팅 데이터와 생체 정보를 분석하고 평가한다(S50). 평가의 결과로 평가 스코어가 산출된다. 해당 과정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분석 평가부(33)가 산출한 평가 스코어는 제1 통신부(31)로 전달되며, 제1 통신부(31)는 전달받은 평가 스코어를 방송자 단말(40)로 전송한다(S60). 제1 통신부(31)는 해당 과정에서 실시간 방송 데이터, 채팅 데이터와 통계 분석부(35)가 분석한 시청자 호응도, 사용자(21) 또는 다른 방송자의 위치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방송자 단말(40)은 수신한 평가 스코어에 대응하여 알림부(452, 453)를 통해 사용자(21)에게 사용자(21) 반응을 직관적으로 전달한다(S70). 방송자 단말(40)은 수신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와 채팅 데이터를 방송자 화면부(43)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알림부(452, 453)는 수신한 시청자 호응도에 대응하는 수치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방송자(41)는 시청자의 채팅 및 생체 정보로부터 분석 및 평가된 정보를 방송자 단말(40)의 알림부(452, 453)를 통하여,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피드백 할 수 있다. 또한 방송자 화면부(43)를 확인할 필요 없이 시청자 반응 파악이 가능해 방송자(41)가 비교적 자유롭게 방송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방송 서비스 장치(30)의 작용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30)의 분석 평가부(33)가 채팅 데이터와 생체 정보를 이용해서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통신부(32)가 수신한 채팅 데이터가 분석 평가부(33)의 키워드 추출부(331)로 전달되고, 전달받은 채팅 데이터로부터 키워드 추출부(331)는 키워드를 추출한다(S501).
추출된 키워드는 다시 분석 평가부(33)의 스코어 산출부(332)로 전달되고, 전달받은 키워드에 대해서 스코어 산출부(332)는 단어 데이터베이스(333)를 이용해 대응되는 단어를 확인한다(S502).
스코어 산출부(332)는 단어 데이터베이스(333)로부터 해당 키워드가 어떤 감정을 나타내는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문장 평가로 산출한다(S503).
이어 스코어 산출부(332)는 사용자 단말(24)로부터 수신한 사용자(21)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응하는 가중치를 상기 문장 평가에 가/감 한다(S504). 가중치를 가/감함으로써 서로 조합하는 분석된 생체 정보와 문장 평가는 동일한 시점에 사용자 단말(24)로부터 전달받은 생체 정보와 채팅 데이터로부터 비롯된 것이어야 한다. 해당 시점에 사용자(21)가 시청한 실시간 방송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얻어진 생체 정보 및 채팅 데이터를 조합하여야 정확한 시청자 반응을 산출하여 방송자(41)에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코어 산출부(332)는 모든 사용자(21)의 상기 문장 평가에 가중치가 반영된 수치를 종합하여 대표값인 평가 스코어를 산출한다(S505). 스코어 산출부(332)는 산출된 평가 스코어를 제1 통신부(31)에 전달하고, 제1 통신부(31)는 방송자 단말(40)에 전달받은 평가 스코어를 전송함으로써 방송 서비스 장치(30)의 역할이 종료된다. 방송 서비스 장치(30)는 도 4에 도시된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방송을 중계하는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30)와 연결된 방송자 단말(40)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장치(30)와 연결된 방송자 단말(4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송자 단말(40)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부(451), 방송 송출부(44), 방송자 화면부(43), 알림부(452, 453)를 포함한다. 촬상부(451)와 알림부(452, 453)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촬상부(451)와 방송 송출부(44)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유무선 통신을 통해서만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알림부(452, 453)와 촬상부(451)를 일체로 구성하였으나 방송자 화면부(43)와 방송 송출부(44)는 별도로 구성하여 알림부(452, 453)와 촬상부(451)를 포함하는 방송 모듈(45)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방송자 단말(40)은 방송자(41)가 착용하고 있는 방송자 웨어러블 디바이스(42)(Wearable device)와 연결될 수 있다.
방송자 웨어러블 디바이스(42)는 방송자 단말(40)과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야 하며, 상기 통신이 가능한 장치여야 한다.
촬상부(451)는 방송자(41)가 영상을 캡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영상 촬영이 가능한 일반적인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방송자 화면부(43)는 방송 송출부(44)가 수신한 채팅 데이터, 실시간 방송 데이터 등을 방송자(41)에게 디스플레이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신한 키워드를 채팅창에 팝업 형식으로 보여줄 수도 있다.
방송 송출부(44)는 상기 캡쳐된 영상을 실시간 영상 데이터로 가공하여 방송 서비스 장치(30)의 제1 통신부(31)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방송 송출부(44)가 수신해 가공하여 제1 통신부(31)로 전송하는 실시간 방송 데이터는 촬상부(451)가 촬영한 영상뿐 아니라 방송자(41)가 착용하고 있는 방송자 웨어러블 디바이스(42)가 수집한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송출부(44)는 제1 통신부(3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통신부(31)가 방송자 단말(40)로 전송하는 평가 스코어, 키워드, 시청자 호응도,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 등을 수신하여 방송자 화면부(43)에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따라서 방송 송출부(44)는 네트워크를 이용해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되어야 하며, 방송자 화면부(43)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탑(Laptop) 등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장치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데스크탑(Desktop), 비디오 월(Video Wall) 등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장치일 수도 있다.
알림부(452, 453)는 방송자(41)에게 시청자 반응을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구성요소로, 상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방송 모듈(45)을 구성할 수 있다. 알림부(452, 453)는 방송 송출부(44)가 제1 통신부(31)로부터 전달받은 평가 스코어를 전달받아 이에 대응하여 신호등 형태로 점멸하여 반응을 알리는 광원(452)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452)은 색을 가진 LED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스코어에 따라 제1 기준치를 넘어서지 못하면 빨간색 LED가 점등되고, 제1 기준치를 넘어서면 노란색 LED가 점등되고, 제2 기준치를 넘어서면 초록색 LED가 점등되는 식으로 방송자(41)에게 시청자 반응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방송자(41)는 사용자(21)의 채팅 데이터를 하나하나 읽지 않고도 개략적인 전체 반응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등을 알림부(452, 453)를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광원(452)의 점멸 기준은 평가 스코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청자 호응도일 수도 있다.
알림부(452, 453)는 알림 화면부(453)를 더 포함해서, 전달받은 주요 키워드와 시청자 호응도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자(41)는 알림 화면부(453)를 통해 시청자의 호응이 어떠한지, 현재 주요 키워드가 무엇인지 채팅 데이터를 확인하지 않고도 직관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알림부(452, 453)는 시청자 호응도가 사전에 설정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박수소리, 빵빠레소리 등을 재생하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자 단말(40)은 사용자(21)의 위치 정보 또는 다른 방송자의 위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해 방송자 화면부(43)에 사용자(21) 또는 다른 방송자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여 방송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간접적으로 방송자의 방송에 사용자(21) 도는 다른 방송자가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간접적인 방법 외에도, 방송자 단말(40) 및 사용자 단말(24)이 별도의 방송 참가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각자의 위치 정보 및 생체 정보를 교환하고, 영상, 음성이나 채팅 데이터를 교환하여 방송에 직접 참가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방송 시스템 21 : 사용자
22 : 사용자 웨어러블 디바이스 23 : 사용자 화면부
24 : 사용자 단말 25 : 입력부
30 : 방송 서비스 장치 31 : 제1 통신부
32 : 제2 통신부 33 : 분석 평가부
34 : 방송 중계부 35 : 통계 분석부
40 : 방송자 단말 41 : 방송자
42 : 방송자 웨어러블 디바이스 43 : 방송자 화면부
44 : 방송 송출부 45 : 방송 모듈
331 : 키워드 추출부 332 : 스코어 산출부
333 : 단어 데이터베이스 451 : 촬상부
452 : 광원 453 : 알림 화면부

Claims (6)

  1. 방송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수신된 실시간 방송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실시간 방송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채팅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채팅 데이터 및 상기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실시간 방송 데이터의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분석 평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산출된 평가 스코어를 상기 방송자 단말에 전달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되고,
    상기 분석 평가부는,
    상기 채팅 데이터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수치화하고, 상기 수치화된 키워드에 상기 생체 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실시간 방송 데이터의 평가 스코어를 산출하는 스코어 산출부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자 단말은 상기 수신한 평가 스코어에 따라 점멸하는 광원이 구비된 알림부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상기 방송자 단말에 더 전달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방송자 단말이 수신한 키워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데이터로부터 시청자 호응도를 산출하는 통계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호응도를 상기 방송자 단말에 더 전달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호응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실시간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호응도 또는 상기 평가 스코어를 기초로 하이라이트 영상을 생성하는 하이라이트 생성부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KR1020160102228A 2016-08-11 2016-08-11 실시간 시청자 반응을 전달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KR102528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228A KR102528976B1 (ko) 2016-08-11 2016-08-11 실시간 시청자 반응을 전달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228A KR102528976B1 (ko) 2016-08-11 2016-08-11 실시간 시청자 반응을 전달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821A true KR20180017821A (ko) 2018-02-21
KR102528976B1 KR102528976B1 (ko) 2023-05-03

Family

ID=6152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228A KR102528976B1 (ko) 2016-08-11 2016-08-11 실시간 시청자 반응을 전달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97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849A (ko) 2018-04-27 2019-11-06 유의식 소셜 네트워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90124848A (ko) 2018-04-27 2019-11-06 유의식 다자간 온라인 미팅 시스템 및 그 미팅 방법
KR20200001153A (ko) * 2018-06-27 2020-01-06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13126A (ko) 2019-03-22 2020-10-06 주식회사 케이홀로그램 홀로그램 기반의 실시간 방송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1118050A1 (ko) * 2019-12-10 2021-06-17 강동기 하이라이트 영상 자동 편집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157956A1 (ko) * 2020-02-07 2021-08-12 주식회사 위힐드 방송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송 관리 방법
KR20220082436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605982B1 (ko) * 2023-05-23 2023-11-30 김효겸 라이브 방송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288A (ko) * 2000-06-22 2002-01-05 오재철 인터넷 방송 시청자 반응도 조사 시스템
KR20100111907A (ko) * 2009-04-08 2010-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자 참여정보를 반영한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549183B1 (ko) * 2014-04-30 2015-09-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내용 기반 tv 프로그램 추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288A (ko) * 2000-06-22 2002-01-05 오재철 인터넷 방송 시청자 반응도 조사 시스템
KR20100111907A (ko) * 2009-04-08 2010-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자 참여정보를 반영한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549183B1 (ko) * 2014-04-30 2015-09-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내용 기반 tv 프로그램 추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849A (ko) 2018-04-27 2019-11-06 유의식 소셜 네트워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90124848A (ko) 2018-04-27 2019-11-06 유의식 다자간 온라인 미팅 시스템 및 그 미팅 방법
KR20200001153A (ko) * 2018-06-27 2020-01-06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13126A (ko) 2019-03-22 2020-10-06 주식회사 케이홀로그램 홀로그램 기반의 실시간 방송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1118050A1 (ko) * 2019-12-10 2021-06-17 강동기 하이라이트 영상 자동 편집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157956A1 (ko) * 2020-02-07 2021-08-12 주식회사 위힐드 방송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송 관리 방법
KR20220082436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605982B1 (ko) * 2023-05-23 2023-11-30 김효겸 라이브 방송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976B1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7821A (ko) 실시간 시청자 반응을 전달하는 방송 서비스 장치
US98944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a experience data
US9646046B2 (en) Mental state data tagging for data collected from multiple sources
US2018012445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media experience data
US2018011580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media viewing behavioral data
US20130245396A1 (en) Mental state analysis using wearable-camera devices
US2018012445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media viewing experiential data
US201000862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 emotional characteristic of a user
US9934425B2 (en) Collection of affect data from multiple mobile devices
HUE027777T2 (en) A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automated interpretation of the measurement of responses to stimuli
JP2012524458A (ja) 対話的活動に関するユーザ体験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2002946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estimation of emotional state of user
US2018010982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edia experience data exchange
US1148361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user experience
JP2011505175A (ja) 視聴者からの生理的反応の分散収集および集中処理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AU2011308650A1 (en) Measuring affective data for web-enabled applications
US2018027628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Vatavu Audience silhouettes: peripheral awareness of synchronous audience kinesics for social television
EP2402839A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exing content viewed on an electronic device
DE102016200047A1 (de) Multimodale Überwachungssysteme für physische Aktivität
US11295117B2 (en) Facial modelling and matching systems and methods
US20130052621A1 (en) Mental state analysis of voters
EP32702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presenting content,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ntrol program
JP7206741B2 (ja) 健康状態判定システム、健康状態判定装置、サーバ、健康状態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05775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