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627A - 필터 교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필터 교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627A
KR20180017627A KR1020160101748A KR20160101748A KR20180017627A KR 20180017627 A KR20180017627 A KR 20180017627A KR 1020160101748 A KR1020160101748 A KR 1020160101748A KR 20160101748 A KR20160101748 A KR 20160101748A KR 20180017627 A KR20180017627 A KR 20180017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eplacement
electrode
tim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695B1 (ko
Inventor
신영성
공주은
김덕인
이상복
양우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전자
Priority to KR1020160101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6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16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placing the filt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 B60H3/0092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in the interior of the HVAC unit, e.g. by spraying substances inside th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83Filtering the quality of the filter or the air being chec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교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 교체 판단 장치를 이용한 필터 교체 판단 방법에 있어서, 필터 교체 판단 방법은 필터 교체 판단 장치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필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된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전압의 크기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에 대한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환경에 따른 필터의 훼손 정도를 정확히 판단하여 필터의 교체 시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사용기간을 카운팅하여 교체 시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필터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교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DETERMINING REPLACEMENT OF FILT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필터 교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환경에 따른 필터의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효율적인 필터 교체 시기 정보를 제공하는 필터 교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 현상 등으로 인하여 해가 갈수록 여름이 무더워지면서 에어컨의 사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특히, 차량의 경우 프레임이 금속으로 되어 열전도도가 매우 높고, 공간이 밀폐되어 있으므로, 여름철 차량용 에어컨의 가동하지 않고서는 운행이 불가능하다
에어컨 가동시, 차량 내부의 공기는 대부분 에어컨 필터를 거쳐 실내로 유입된다. 이때, 에어컨 필터는 먼지와 불순물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데, 에어컨 필터의 상태에 따라 차량 내 공기의 쾌적 여부가 좌우된다.
에어컨 필터는 여과지의 정전력을 이용하여 먼지와 불순물을 걸러주게 된다. 이러한 여과지의 정전력은 일반적으로 6개월 정도 지속되므로, 일반적으로 6개월을 주기로 필터를 교체하게 된다.
하지만, 차량의 주행거리나 주행 도로의 상태, 그리고 날씨 등에 따라 에어컨 필터의 상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필터를 장착한지 6개월이 지나지 않더라도 필터의 상태에 따라 수시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에어컨 필터는 먼지, 불순물, 습기 등으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하기 쉽고, 필터에 많은 양의 먼지가 집진된 상태로 에어컨을 가동하는 경우 차량 내에 먼지량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에어컨 필터가 불량한 채로 에어컨을 계속 가동시키는 경우 탑승자의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정해진 필터의 교체시기를 망각하는 경우가 허다할 뿐만 아니라, 필터의 교체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0663861호(2007.01.03.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환경에 따른 필터의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효율적인 필터 교체 시기 정보를 제공하는 필터 교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교체 판단 장치를 이용한 필터 교체 판단 방법에 있어서, 필터 교체 판단 방법은 필터 교체 판단 장치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필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된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전압의 크기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에 대한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서로 단선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에 적층된 먼지나 이온 마이그레이션에 의해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서로 단락되어 발생하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제1단이 상기 필터 교체 판단 장치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2단이 단선되며, 상기 제2 전극은, 제1단이 상기 필터 교체 판단 장치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2단이 단선되며, 상기 제1 전극의 복수의 제2단과 상기 제2 전극의 복수의 제2단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전압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산출된 전압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가 미도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교체 판단 장치는 상기 필터 및 센서와 함께 필터 가이드에 내재되어 고정되며, 상기 필터 가이드는, 방향 화합물을 발산하여 상기 필터로부터 송출된 공기 중 악취를 억제시키는 방향제를 장착할 수 있는 방향제 장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판단 장치는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필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된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류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감지된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된 전압의 크기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는 판단부, 그리고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에 대한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환경에 따른 필터의 훼손 정도를 정확히 판단하여 필터의 교체 시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사용기간을 카운팅하여 교체 시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필터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판단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수명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판단 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판단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판단 장치(100)는 전력공급부(110), 수신부(120), 산출부(130), 판단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하며, 카운팅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전력공급부(110)는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필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된 센서에 전력을 공급한다.
다음으로, 수신부(120)는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류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산출부(130)는 감지된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센서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판단부(140)는 산출된 전압의 크기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40)는 산출된 전압의 크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판단부(140)는 산출된 전압의 크기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필터의 교체 시기가 미도래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140)는 산출된 전압의 크기, 임계값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판단 장치(100)가 전력을 최초로 공급받는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을 이용하여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140)는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판단부(140)는 센서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일 경우에만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가된 전압이 2V 이상인 경우에만, 필터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부(150)는 필터의 교체 시기에 대한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부(150)는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필터의 교체 시기에 대한 판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출력부(150)는 필터가 교체될때까지 스피커를 통해 일정한 간격으로 알람을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운팅부(160)는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을 카운팅한다.
그러면,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20)는 서로 단선된 제1 전극(21) 및 제2 전극(22)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전극(21) 및 제2 전극(22)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21)은 제1단이 필터 교체 판단 장치(100)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2단이 단선된다. 그리고, 제2 전극(22)은 제1단이 필터 교체 판단 장치(100)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2단이 단선된다.
이때, 제1 전극(21)의 복수의 제2단과 제2 전극(22)의 복수의 제2단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단락되지 않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20)는 제1 전극(21) 및 제2 전극(22)의 복수의 제2단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판단 장치(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더라도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류를 감지할 수 없다.
하지만, 일정 시간이 흐르게 되면, 센서(20)에 적층된 먼지가 공기 중 습기와 결합하여 저항 역할을 하는 현상이나 대기중의 수분과 인가된 전력에 의해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의 금속 이온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는 이온 마이그레이션 현상에 의해 제1 전극(21) 및 제2 전극(22)이 서로 단락됨으로써 전류가 발생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는 발생한 전류를 감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센서(20)에 적층된 먼지가 습기를 흡수하게 되면, 습기를 흡수한 먼지는 센서(20)의 저항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면, 저항 역할을 하는 먼지가 서로 단선된 제1 전극(21) 및 제2 전극(22)을 단락시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때, 습기를 흡수한 먼지는 적층된 양에 따라 저항의 크기가 변하게 되므로, 센서(20)의 제1 전극(21) 및 제2 전극(22)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또한 변할 수 있다.
또한, 대기중의 수분과 인가된 전력에 의해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의 금속 이온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함으로써, 서로 단선된 제1 전극(21) 및 제2 전극(22)이 서로 단락된다. 이러한 이온 마이그레이션 현상의 정도에 따라 센서(20)의 제1 전극(21) 및 제2 전극(22)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또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20)가 상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는 것은 주로 먼지와 습기로 인해 필터가 훼손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20)는 필터의 훼손 정도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전류를 감지하므로, 필터에 적층되는 먼지와 가해지는 습기의 정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필터에 인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은 필터(10), 센서(20), 필터 교체 판단 장치(100) 및 필터 가이드(30)를 포함하며, 방향제 장착 모듈(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10), 센서(20) 및 필터 교체 판단 장치(100)는 필터 가이드(30)에 내재되어 고정된다. 이때, 필터 가이드(30)는 필터(10), 센서(20) 및 필터 교체 판단 장치(100)를 고정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필터가 설치되는 장치(예를 들어, 에어컨 등)에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필터 가이드(30)는 방향 화합물을 발산하여 필터(10)로부터 송출된 공기 중 악취를 억제시키는 방향제를 장착할 수 있는 방향제 장착 모듈(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방향제 장착 모듈(40)에 장착된 방향제에 의해 쾌적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향제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선택 자유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필터 가이드(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판단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가 건전지라고 가정하는 경우, 필터 가이드(30)는 건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 장치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판단 장치(100) 사이에 절연탭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터 모듈을 에어컨 등에 장착할 때 절연탭을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판단 장치(1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수명 판단 장치를 이용한 필터 수명 판단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수명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우선, 전력공급부(110)는 필터 교체 판단 장치(100)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필터(1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된 센서(20)에 전력을 공급한다(S410).
다음으로, 수신부(120)는 센서(20)로부터 감지된 전류를 수신하고(S420), 산출부(130)는 감지된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센서(20)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를 산출한다(S430).
다음으로, 판단부(140)는 산출된 전압의 크기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한다(S440 내지 S460).
구체적으로, 판단부(140)는 산출된 전압의 크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이때, 임계값은 센서(20)의 구조 및 센서(20)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S440 단계의 판단 결과, 산출된 전압의 크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판단부(140)는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한다(S450). 반면, 산출된 전압의 크기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판단부(140)는 필터의 교체 시기가 미도래한 것으로 판단한다(S460).
한편, 판단부(140)는 현재 시점 이후에 도래할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40)는 산출된 전압의 크기, 임계값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판단 장치(100)가 전력을 최초로 공급받는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을 이용하여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된 전압의 크기가 6V, 임계값이 12V이고 경과 시간이 3개월 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판단부(140)는 현재로부터 3개월 후의 시점을 필터의 교체 시기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150)는 필터의 교체 시기에 대한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S470). 구체적으로, 출력부(150)는 필터의 교체 시기에 대한 판단 결과를 연동된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카운팅부(160)는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미도시).
그리고, 판단부(140)는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미도시).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이 6개월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카운된 경과 시간이 5개월인 경우, 판단부(140)는 필터의 교체 시기가 미도래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카운팅된 경과 시간이 7개월인 경우, 판단부(140)는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는 출력부(150)로 전송되며, 출력부(150)는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판단부(140)가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출력부(150)는 상기의 S440 내지 S460 단계의 판단 결과와는 무관하게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다는 판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S440 내지 S460 단계에서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출력부(150)는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다는 판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환경에 따른 필터의 훼손 정도를 정확히 판단하여 필터의 교체 시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사용기간을 카운팅하여 교체 시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필터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필터 20 : 센서
21 : 제1 전극 22 : 제2 전극
30 : 필터 가이드 40 : 방향제 장착 모듈
100 : 필터 교체 판단 장치 110 : 전력공급부
120 : 수신부 130 : 산출부
140 : 판단부 150 : 출력부
160 : 카운팅부

Claims (12)

  1. 필터 교체 판단 장치를 이용한 필터 교체 판단 방법에 있어서,
    필터 교체 판단 장치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필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된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전압의 크기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에 대한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 판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서로 단선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에 적층된 먼지나 이온 마이그레이션에 의해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서로 단락되어 발생하는 전류를 감지하는 필터 교체 판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제1단이 상기 필터 교체 판단 장치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2단이 단선되며,
    상기 제2 전극은,
    제1단이 상기 필터 교체 판단 장치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2단이 단선되며,
    상기 제1 전극의 복수의 제2단과 상기 제2 전극의 복수의 제2단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필터 교체 판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전압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산출된 전압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가 미도래한 것으로 판단하는 필터 교체 판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필터 교체 시기 판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교체 판단 장치는 상기 필터 및 센서와 함께 필터 가이드에 내재되어 고정되며,
    상기 필터 가이드는,
    방향 화합물을 발산하여 상기 필터로부터 송출된 공기 중 악취를 억제시키는 방향제를 장착할 수 있는 방향제 장착 모듈을 포함하는 필터 교체 판단 방법.
  7.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필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된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류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감지된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된 전압의 크기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를 판단하는 판단부, 그리고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에 대한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 판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서로 단선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에 적층된 먼지나 이온 마이그레이션에 의해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서로 단락되어 발생하는 전류를 감지하는 필터 교체 판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제1단이 상기 필터 교체 판단 장치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2단이 단선되며,
    상기 제2 전극은,
    제1단이 상기 필터 교체 판단 장치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2단이 단선되며,
    상기 제1 전극의 복수의 제2단과 상기 제2 전극의 복수의 제2단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필터 교체 판단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산출된 전압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산출된 전압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가 미도래한 것으로 판단하는 필터 교체 판단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을 카운팅하는 카운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는 필터 교체 시기 판단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및 센서와 함께 필터 가이드에 내재되어 고정되며,
    상기 필터 가이드는,
    방향 화합물을 발산하여 상기 필터로부터 송출된 공기 중 악취를 억제시키는 방향제를 장착할 수 있는 방향제 장착 모듈을 포함하는 필터 교체 판단 장치.
KR1020160101748A 2016-08-10 2016-08-10 필터 교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9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48A KR101859695B1 (ko) 2016-08-10 2016-08-10 필터 교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48A KR101859695B1 (ko) 2016-08-10 2016-08-10 필터 교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627A true KR20180017627A (ko) 2018-02-21
KR101859695B1 KR101859695B1 (ko) 2018-05-18

Family

ID=6152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748A KR101859695B1 (ko) 2016-08-10 2016-08-10 필터 교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6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7926A1 (en) * 2017-06-23 2018-12-26 Mann+Hummel GmbH A filter element analysi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200171421A1 (en) * 2018-11-29 2020-06-04 Mann+Hummel Gmbh Filter element analysi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230191301A1 (en) * 2021-12-21 2023-06-22 Mann+Hummel Gmbh Filter element analysi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161Y1 (ko) * 2002-06-14 2002-09-09 (주)브이엔지 차량용 에어컨 항균필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7926A1 (en) * 2017-06-23 2018-12-26 Mann+Hummel GmbH A filter element analysi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200171421A1 (en) * 2018-11-29 2020-06-04 Mann+Hummel Gmbh Filter element analysi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230191301A1 (en) * 2021-12-21 2023-06-22 Mann+Hummel Gmbh Filter element analysi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695B1 (ko)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695B1 (ko) 필터 교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N201717512U (zh) 送风装置和离子产生装置
KR100913637B1 (ko) 공기 조화기
JP4732509B2 (ja) 複数の検出抵抗を利用してバッテリーセルの電流量を測定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982566B1 (ko)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필터 잔여 수명시간 예측방법
KR20130080579A (ko) 절연 저항 측정 회로
CN104174502A (zh) 居室换气用电集尘器及组装有该电集尘器的换气系统
EP2441113A1 (en) System for preventing deep battery discharge
CN204128256U (zh) 滤网堵塞报警装置和空调装置、除湿机、空气清净器、加热装置
KR101691799B1 (ko) 제습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제습기
JP2007123166A (ja) 直流式イオナイザ
JP4871684B2 (ja) 電気集塵機の電源装置
CN105223314A (zh) 一种生活环境空气洁净度检测系统和方法
CN102422498B (zh) 离子产生装置
US20130025115A1 (en) Wireless sensor unit and a maintenance method for a wireless sensor
KR20180098179A (ko) 대상 건물에 대한 에너지 절감 가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
JP2007290577A (ja) 空気調和機
JP2006234246A (ja) 空気調和機
JP7018785B2 (ja) 空気清浄機
KR102507739B1 (ko) 전원공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JP6405932B2 (ja) 地絡検出装置および地絡検出方法
EP2221956B1 (en) Motor current calculation devic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US11617979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llution status of a particle filter in an air-cleaning device
KR101427030B1 (ko) 차량 감시 장치 및 방법
JP2555420Y2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