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525A -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525A
KR20180017525A KR1020160101463A KR20160101463A KR20180017525A KR 20180017525 A KR20180017525 A KR 20180017525A KR 1020160101463 A KR1020160101463 A KR 1020160101463A KR 20160101463 A KR20160101463 A KR 20160101463A KR 20180017525 A KR20180017525 A KR 20180017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t
floating
entrance
storage tank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1621B1 (ko
Inventor
강중희
Original Assignee
디에스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정공(주) filed Critical 디에스정공(주)
Priority to KR1020160101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6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1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는: 오물이 저장되는 오물저장탱크와, 오물저장탱크에 구비되고, 출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량에 따라 승하강하여 출입구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오물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는, 오물저장탱크에 오물개폐유닛을 설치함에 있어 2개 이상의 부유부재를 안내부재를 따라 승강하여 출입구를 개폐함으로써, 분뇨와 오폐수를 포함한 오물에서 발생된 거품의 누출을 방지하고, 안내부재에 연통홀부를 형성하여 출입구에서 유입되는 오물이 부유부재를 벗어나 연통홀부를 거쳐 외통부재를 통해 효율적으로 낙하 이송되게 하며, 거품제거부를 이용하여 오물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VALVE DEVICE FOR VACUUM CAR}
본 발명은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물저장탱크에 오물개폐유닛을 설치함에 있어 2개 이상의 부유부재를 안내부재를 따라 승강하여 출입구를 개폐함으로써, 분뇨와 오폐수를 포함한 오물에서 발생된 거품의 누출을 방지하고, 안내부재에 연통홀부를 형성하여 출입구에서 유입되는 오물이 부유부재를 벗어나 연통홀부를 거쳐 외통부재를 통해 효율적으로 낙하 이송되게 하며, 거품제거부를 이용하여 오물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간편하게 제거하도록 하는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뇨의 통상적인 처리방법에 따르면, 변기에서 분뇨는 오수와 혼합되어 배수관 등의 통로를 통하여 정화조로 유입된다. 이후, 정화조에 유입된 문뇨와 오수의 혼합물(이하 오물이라 함)은 정화조 내에서 일정기간 동안 저장되면서,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어 정화조에 설치된 드레인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배출되거나,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을 통해 수거되어 처리된다.
오물수거차량은 정화조 내의 오물을 높은 진공압을 이용해 오물 수거용 버큠로리 탱크로 수거하는 차량으로써, 버큠로리 탱크 내부에 오물 수위를 체크하는 레벨창이 형성되어 있고, 오물을 버큠로리 탱크 내부로 흡입시키기 위한 배관, 공기 세퍼레이터(air separator), 버큠로리 탱크 및 진공펌프 등 여러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오물수거차량의 오물 수거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진공펌프의 구동에 의해 버큠로리 탱크 내부로 오폐수나 분뇨 등의 오물이 흡입되고, 지속적인 진공펌프의 구동에 의해 버큠로리 탱크 내부가 오물로 채워지게 되면 오물의 수위에 의해 부구가 상부로 상승하고, 상승된 부구는 플로트 밸브(float valve)를 위로 밀어 플로트 밸브가 배관의 입구를 폐쇄하여 진공펌프의 흡입에 의한 오물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오물이 고압에 의해 오물수거탱크 내부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오물 거품이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오물 거품은 오물 수위를 체크하는 부구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부구의 상승작용에 의해 플로트 밸브가 배관의 입구를 폐쇄하는 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배관을 타고 진공펌프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하여 부구 및 플로트 밸브의 오작동이 발생하고, 오물이 진공펌프로 유입되어 진공펌프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오물이나 거품으로 인해 진공펌프의 내구성이 떨어져 주기적으로 진공펌프를 수리하거나 심할 경우 진공펌프의 교체 및 오물수거를 위해 구성된 부품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1997-0002646-호(1997.03.31, 발명의 명칭: 분뇨수거차량)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오물저장탱크에 오물개폐유닛을 설치함에 있어 2개 이상의 부유부재를 안내부재를 따라 승강하여 출입구를 개폐함으로써, 분뇨와 오폐수를 포함한 오물에서 발생된 거품의 누출을 방지하고, 안내부재에 연통홀부를 형성하여 출입구에서 유입되는 오물이 부유부재를 벗어나 연통홀부를 거쳐 외통부재를 통해 효율적으로 낙하 이송되게 하며, 거품제거부를 이용하여 오물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간편하게 제거하도록 하는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는, 오물이 저장되는 오물저장탱크; 및 상기 오물저장탱크에 구비되고, 출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량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출입구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오물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물개폐유닛은, 상기 출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싱캡부재; 상기 케이싱캡부재를 결합하고, 관통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재; 유입되는 오물량에 따라 승강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부유부재;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부유부재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및 상기 오물저장탱크에 지지되어 상기 플랜지부재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재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유부재는 상측부유부재와 하측부유부재를 포함한 2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오물에서 발생하는 거품이 하측부유부재의 상측을 통과하여 출입구로 배출되려는 것을 상기 상측부유부재의 상승에 의해 차단하므로 상기 거품의 배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유부재의 하측에는 무게추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부유부재의 상하위치가 유지되고, 상기 안내부재에는 상기 출입구를 통해 낙하하는 오물을 측면으로 유도하여 상기 외통부재로 안내하므로 오물의 유입량을 증가시키는 연통홀부를 형성하며, 상기 외통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부유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오물을 통과시키는 통과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 내측에는 승강하는 상기 부유부재가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외통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안내부재의 하단부에 비해 길게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외통부재의 상측 둘레를 보강 지지하도록 상기 플랜지부재와 볼트 결합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캡부재의 하부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출입구를 차단하는 상기 부유부재와의 밀봉력을 증진시키도록 씰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부유부재와의 접촉력을 높이도록 경사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물저장탱크에는 상기 오물개폐부 하측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제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거품제거부는, 상기 오물저장탱크에 설치되어 거품제거용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오물에서 생성된 거품을 제거하는 유체분사관부재; 및 상기 유치분사관부재에 거품제거용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는, 오물저장탱크에 오물개폐유닛을 설치함에 있어 2개 이상의 부유부재를 안내부재를 따라 승강하여 출입구를 개폐함으로써, 분뇨와 오폐수를 포함한 오물에서 발생된 거품의 누출을 방지하고, 안내부재에 연통홀부를 형성하여 출입구에서 유입되는 오물이 부유부재를 벗어나 연통홀부를 거쳐 외통부재를 통해 효율적으로 낙하 이송되게 하며, 거품제거부를 이용하여 오물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립 단면도 및 조립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오물개폐유닛의 측단면도와 저면 일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의 부유부재의 승하강 상태를 보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조립 단면도 및 조립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오물개폐유닛의 측단면도와 저면 일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의 부유부재의 승하강 상태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는, 오물저장탱크(100) 및 오물개폐유닛(200)을 포함한다.
오물저장탱크(100)는 오물 수거차량에서 분뇨와 오폐수를 포함한 오물을 수용하기 위한 보관구성이다.
오물저장탱크(100)는 단면이 타원형상인 저장통으로서, 차량의 크기에 따라 저장용량이 정해진다.
오물저장탱크(100)는 오물을 저장하는 탱크바디(110)와, 탱크바디(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오물개폐유닛(200)이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설치플레이트(120)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판체로서, 다수개의 볼트를 통하여 탱크바디(110)에 결합될 수 있다.
탱크바디(110)와 설치플레이트(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오물저장탱크(100)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오물개폐유닛(200)은 오물저장탱크(100)에 구비되고, 출입구(310)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량에 따라 승하강하여 출입구(310)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구성이다.
오물개폐유닛(200)은 출입구(310)를 통하여 오물저장탱크(100)로 유입되는 오물에 의해 부유부재(500)가 부유하여 상승함에 따라 출입구(310)를 차단하거나 오물저장탱크(100)에 저장된 오물을 진공펌프(미도시)의 흡입에 의해 오물의 저장량이 줄어듦에 따라 수위가 낮아지므로 부유부재(100)가 하강하여 출입구(310)를 개방되게 한다.
오물개폐유닛(200)은 출입구(310)가 형성되는 케이싱캡부재(300)와, 케이싱캡부재(300)를 결합하고, 관통공(410)이 형성되는 플랜지부재(400)와, 유입되는 오물량에 따라 승강하여 출입구(310)를 개폐하는 부유부재(500)와, 관통공(410)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부유부재(500)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600)와, 오물저장탱크(100)에 지지되어 플랜지부재(5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안내부재(600)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통부재(700)를 포함한다.
케이싱캡부재(300)는 상측이 둥근 모자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배관이 연결되는 연결부(340)가 형성된다.
관통공(410)은 출입구(31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관통공(410)은 안내부재(600)의 통로 형상에 대응된다.
케이싱캡부재(300)는 볼트를 통해 플랜지부재(400)와 결합될 때, 밀봉을 위해 저면에 오링(350)이 삽입되는 설치홈부(360)가 구비될 수 있다.
설치홈부(360)는 사각형 단면으로 도시하지만, 다양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링(350)은 원형으로 도시하지만, 사각형 단면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부유부재(500)는 볼형상, 원통형상, 오뚜기형상, 기둥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부유부재(500)는 상측부유부재(510)와 하측부유부재(520)를 포함한 2개 이상 구비되어 오물에서 발생하는 거품이 하측부유부재(520)의 상측을 통과하여 출입구(310)로 배출되려는 것을 상측부유부재(510)의 상승에 의해 차단하므로 출입구(310)를 통해 거품의 배출이 방지될 수 있다.
상측부유부재(510)와 하측부유부재(520)의 형상은 동일하다.
물론, 상측부유부재(510)와 하측부유부재(520)의 크기는 미세하게 차이날 수도 있다.
상측부유부재(510)와 하측부유부재(520)의 외경은 안내부재(600)의 내경에 비해 약간 작게 형성되므로 미세한 틈새가 발생되어 오물을 상승 및 하강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부유부재(500)의 하측에는 무게추부재(530)가 구비되어 부유부재(500)의 현재 상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부유부재(500)를 2개 이상 형성하는 이유는 거품이 기포에 의해 형성되므로 1개의 부유부재(500)를 벗어나 상측으로 이동하여 부유부재(500)가 출입구(310)를 차단하기 이전에 출입구(310)를 벗어나 배출되려는 것을 하측부유부재(52)의 부유에 연동하여 상승하는 상측부유부재(510)가 출입구(310)를 미리 차단함으로써, 거품이 출입구(310)를 벗어나 배출되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내부재(600)는 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부유부재(500)가 내부에서 승하강한다.
안내부재(600)에는 출입구(310)를 통해 낙하하는 오물을 측면으로 유도하여 외통부재(700)로 안내하므로 오물의 유입량을 증가시키는 연통홀부(610)를 형성한다.
안내부재(600) 내측에는 승강하는 부유부재(500)가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부재(5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620)가 구비된다.
가이드부재(620)는 환봉 형태로 이루어져 안내부재(600)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가이드부재(520)는 120도 간격으로 3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4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부유부재(500)가 오물의 유입과 배출에 의해 승하강 시 일측으로 쏠릴 때, 가이드부재(620)에 접촉됨으로써, 부유부재(500)가 안내부재(600)의 내측면에 닿는 것과 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외통부재(700)의 하측에는 부유부재(500)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오물을 통과시키는 통과지지부재(710)가 구비될 수 있다.
통과지지부재(710)는 격자형 다리 형태로 이루어진다.
통과지지부재(7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도 간격으로 3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형성되는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통과지지부재(710)는 연통부재(700)에서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하측으로 뾰족하게 졸출 형성될 수 있다.
외통부재(700)는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통부재(700)의 하단부는 안내부재(600)의 하단부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연통홀부(610)는 부유부재(500)가 출입구(310)를 차단할 때를 기준으로 부유부재(500)의 중심부 하측 위치로부터 하단부까지 개방 형성된다. 물론, 연통홀부(61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막혀 있고, 중심부위만 내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연통홀부(610)는 상측부위가 반원형상으로 굴곡 형성된다.
플랜지부재(400)의 하측에는 외통부재(700)의 상측 둘레를 보강 지지하도록 플랜지부재(400)와 볼트 결합되는 보강부재(720)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재(720)는 원형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케이싱캡부재(300)의 하부 내측 테두리에는 출입구(310)를 차단하는 부유부재(500)와의 밀봉력을 증진시키도록 씰링부재(3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씰링부재(320)는 부유부재(500)와의 접촉력을 높이도록 하부 내측 모서리부위에 경사면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부(330)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부유부재(500)와 근접하는 경사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물저장탱크(100)에는 오물개폐부유닛(200) 하측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제거부(800)가 더 구비될 수 잇다.
거품제거부(800)는 오물저장탱크(100)에 설치되어 거품제거용 유체를 분사하여 오물에서 생성된 거품을 제거하는 유체분사관부재(810)와. 유체분사관부재(810)에 거품제거용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820)를 포함한다.
유체분사관부재(810)는 오물저장탱크(100)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관부재(812)와, 수직관부재(812)의 하측에 연결되어, 부유부재(500)의 하측 방향으로 거품제거용 유체를 분사하는 경사관부재(814)를 포함한다.
수직관부재(812)는 오물저장탱크(100)의 설치플레이트(120)에 상하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경사관부재(814)는 단부에 스프레이 노즐이 설치되어 유체를 넓 게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사관부재(814)의 경사각도는 수직관부재(812)에 대해 10 내지 60도 범위 내에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는, 설치플레이트(12) 하측으로 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부재(900)를 구비할 수 있다.
차단부재(9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통부재(700) 및 유체분사관부재(810) 보다 하측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오물 흔들림을 차단하는 데 유리하다.
차단부재(900)는 오물저장탱크(100)의 탱크바디(110)에 저장된 오물이 차량의 주행에 의해 흔들려서 오물개폐유닛(200)의 하측부위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는, 오물저장탱크에 오물개폐유닛을 설치함에 있어 2개 이상의 부유부재를 안내부재를 따라 승강하여 출입구를 개폐함으로써, 분뇨와 오폐수를 포함한 오물에서 발생된 거품의 누출을 방지하고, 안내부재에 연통홀부를 형성하여 출입구에서 유입되는 오물이 부유부재를 벗어나 연통홀부를 거쳐 외통부재를 통해 효율적으로 낙하 이송되게 하며, 거품제거부를 이용하여 오물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오물저장탱크 110 : 탱크바디
120 : 설치플레이트 200 : 오물개폐유닛
300 : 케이싱캡부재 310 : 흡입구
320 : 씰링부재 330 : 경사면부
340 : 연결부 350 : 오링
360 : 설치홈부 400 : 플랜지부재
500 : 부유부재 510 : 상측부유부재
520 : 하측부유부재 530 : 무게추부재
600 : 안내부재 610 : 언통홀부
700 : 외통부재 710 : 통과지지부재
720 : 보강부재 800 : 거품제거분사부재
810 : 유체분사관부재 812 : 수직관부재
814 : 경사관부재 820 : 유체공급부

Claims (7)

  1. 오물이 저장되는 오물저장탱크; 및
    상기 오물저장탱크에 구비되고, 출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량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출입구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오물개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개폐유닛은,
    상기 출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싱캡부재;
    상기 케이싱캡부재를 결합하고, 관통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재;
    유입되는 오물량에 따라 승강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부유부재;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부유부재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및
    상기 오물저장탱크에 지지되어 상기 플랜지부재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재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부재는 상측부유부재와 하측부유부재를 포함한 2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오물에서 발생하는 거품이 하측부유부재의 상측을 통과하여 출입구로 배출되려는 것을 상기 상측부유부재의 상승에 의해 차단하므로 상기 거품의 배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4.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부재의 하측에는 무게추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부유부재의 상하위치가 유지되고,
    상기 안내부재에는 상기 출입구를 통해 낙하하는 오물을 측면으로 유도하여 상기 외통부재로 안내하므로 오물의 유입량을 증가시키는 연통홀부를 형성하며,
    상기 외통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부유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오물을 통과시키는 통과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5.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 내측에는 승강하는 상기 부유부재가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유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외통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안내부재의 하단부에 비해 길게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외통부재의 상측 둘레를 보강 지지하도록 상기 플랜지부재와 볼트 결합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캡부재의 하부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출입구를 차단하는 상기 부유부재와의 밀봉력을 증진시키도록 씰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부유부재와의 접촉력을 높이도록 경사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저장탱크에는 상기 오물개폐부 하측에서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제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거품제거부는,
    상기 오물저장탱크에 설치되어 거품제거용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오물에서 생성된 거품을 제거하는 유체분사관부재; 및
    상기 유치분사관부재에 거품제거용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KR1020160101463A 2016-08-09 2016-08-09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KR101841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63A KR101841621B1 (ko) 2016-08-09 2016-08-09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63A KR101841621B1 (ko) 2016-08-09 2016-08-09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525A true KR20180017525A (ko) 2018-02-21
KR101841621B1 KR101841621B1 (ko) 2018-05-04

Family

ID=61525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463A KR101841621B1 (ko) 2016-08-09 2016-08-09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7348A (zh) * 2020-04-07 2020-05-26 湖北省专用汽车研究院 一种吸污车用的二级防溢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624B1 (ko) 2019-01-30 2020-08-20 조경열 버큠 로리의 메인 맨홀
KR102582343B1 (ko) 2021-03-08 2023-09-22 조경열 버큠 로리용 메인 맨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541B2 (ja) * 1994-08-05 2000-08-28 日立設備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ゴム紐自動取付装置
KR100972191B1 (ko) 2003-04-29 2010-07-23 주식회사 포스코 탈지 설비의 오염물 제거 장치
KR100555987B1 (ko) 2004-03-26 2006-03-03 주식회사 크로버 이중 플로트밸브
JP2008132237A (ja) 2006-11-29 2008-06-12 Sanyo Electric Co Ltd 自動排泄物処理装置
KR100871616B1 (ko) 2007-07-24 2008-12-02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물 공급 장치
KR200450213Y1 (ko) 2010-02-08 2010-09-13 김진환 정수기의 급수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7348A (zh) * 2020-04-07 2020-05-26 湖北省专用汽车研究院 一种吸污车用的二级防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621B1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621B1 (ko)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KR20140038713A (ko) 싸이펀작동유발부를 가지는 싸이펀장치
CN204919675U (zh) 一种叠压供水稳压罐
KR100733202B1 (ko) 신축형 스키머
CN102116325A (zh) 一种液压油箱的呼吸器及工程机械
RU2636944C1 (ru) Пескогравиеловка
CN114951102A (zh) 流量计冲洗装置
CN114506921A (zh) 一种顶阀式滗水器
KR100902279B1 (ko) 밸브 개폐 장치
KR102310850B1 (ko) 빗물이용시설
KR102582343B1 (ko) 버큠 로리용 메인 맨홀
KR101921447B1 (ko) 수중 펌프 구동식 상등수 배출장치
KR102003120B1 (ko) 지하수 함양 용수 모래 제거 시스템
CN209989919U (zh) 一种污水处理用真空引水装置
RU30773U1 (ru) Канализационная насосная станция
CN217811493U (zh) 一种水封地漏
KR20050077178A (ko) 부력 부상수문 및 수문부상형 유수분리시스템
CN218786247U (zh) 一种浮顶紧急排水结构
CN217694930U (zh) 一种鲟鱼养殖池
CN210369277U (zh) 污水提升箱双泵复冲系统
CN211200676U (zh) 一种防冲击自清洁一体化预制泵站
CN220058044U (zh) 一种明挖深基坑排水结构
JPS585742Y2 (ja) 簡易中水道装置
CN213684233U (zh) 一种卧式负压排渣放水器
CN218687749U (zh) 一种液位自控式窑气洗涤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