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457A - fitting jig for abutment - Google Patents

fitting jig for abu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457A
KR20180017457A KR1020160101293A KR20160101293A KR20180017457A KR 20180017457 A KR20180017457 A KR 20180017457A KR 1020160101293 A KR1020160101293 A KR 1020160101293A KR 20160101293 A KR20160101293 A KR 20160101293A KR 20180017457 A KR20180017457 A KR 20180017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jig body
jig
fasten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4349B1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이향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60101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349B1/en
Publication of KR2018001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4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3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2Tool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Holders, clamps, or stands for artifici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butment jig selectively coupled to an abutment comprising: a base unit forming a coupling hole, into which a coupling screw is inserted, at a central part and forming at least one D-cut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to be fixated to a fixture; and a coupling unit extended downwardly at a lower end of the base unit to be fitted a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xture, such that the abutment is stably gripped to enhance surgical stability and convenie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butment jig comprising: a jig body unit forming a pressing and fixating hole part therein into which the base unit is forcefully inserted; and a guide protrusion gripped for moving the coupled abutment and protruding outwardly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an upper part of the jig body unit according to positions matched with the D-cut portions to guide a coupling direction of the abutment.

Description

어버트먼트 지그{fitting jig for abutment}A fitting jig for abutment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버트먼트를 안정적으로 그립하여 시술 안전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어버트먼트 지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utment ji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butment jig that stably grips an abutment and improves safety and convenience of operation.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본래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대신 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즉,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으로 만든 픽스츄어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기술이다.Generally, an implant refers to a substitute for replacing a human tissue when the original human tissue is lost, but refers to implanting an artificial tooth in the dentistry. In other words, a fixture made of titanium or the like that does not have a rejection reaction to the human body can be substituted for the lost root, and the tooth is put in the alveolar bon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ooth, and then the artificial tooth is fixed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tooth.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차적인 충치 발생요인이 없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는 자연 치아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잇몸의 통증 및 이물감이 전혀 없으며, 관리만 잘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general prostheses or dentures, the surrounding teeth and bones are damaged over time, but the implants can prevent damage to the surrounding dental tissues and can be used stably because there is no secondary cause of tooth decay. In addition, since the impla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natural teeth, there is no pain or foreign body sensation of the gums, and the implan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only if it is managed properly.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 시술과정은 픽스츄어(fixture)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1차 시술과,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골융합되는 시간(3~6개월)을 기다린 후 최종보철물(crown)을 고정시키는 2차 시술을 포함한다.Here, the implant procedure includes a first procedure in which a fixture is placed in an alveolar bone, a second procedure in which a fixture is held for a period of time (3 to 6 months) .

상세히, 상기 1차 시술에는 치아가 결손된 부분의 잇몸을 여는 잇몸 제거 단계, 픽스츄어가 식립될 천공을 형성하는 다단계 드릴링 단계, 그리고 픽스츄어 식립단계 및 식립된 픽스츄어에 힐링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primary procedure includes a gum removing step of opening the gum of the tooth-missing part, a multi-step drilling step of forming a perforation to which the fixture is to be inserted, and a healing abutment in the fixture placement step and the fixture .

이때,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인접한 부분의 잇몸이 깨끗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At this time, the healing abutment functions to induce the gum adjacent to the implant placement position to be cleanly formed.

그리고, 상기 1차 시술 후 골융합을 위해 일정동안의 회복 기간을 거친 후 픽스츄어에 결합된 힐링 어버트먼트를 분리하고, 최종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삽입하고 고정하는 2차 시술을 시행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된다.After the first procedure, the healing abutment joined to the fixture is separa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recovery period for the osseointegration, and the second procedure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final abutment and the crown is performed. Is completed.

이때,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내지 최종 어버트먼트는 시술을 위해 천공된 부분과 직접 닿는 부품이므로 고도의 청결성과 위생성이 요구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healing abutment or the final abutment is a part directly contacting the perforated part for the treatment, a high degree of cleanliness and hygiene are required.

종래에,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내지 최종 어버트먼트는 살균 또는 항균 처리된 표면이 오염되지 않도록 핀셋을 통해 그립되어 픽스츄어의 상단으로 이동된 후, 각 어버트먼트의 체결나사를 픽스츄어 내부에 체결하여 고정된다. Conventionally, the healing abutment or the final abutment is gripped by the tweezers so as not to contaminate the sterilized or antimicrobially treated surface, mov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and then the fastening screws of the abutments are inserted into the fixture And fastened.

그러나, 핀셋을 이용한 그립시, 어버트먼트에 대한 고정력이 부족하므로 이동 중의 어버트먼트가 핀셋으로부터 쉽게 이탈되고 바닥 등으로 떨어져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gripping with a tweez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butment on the abutment is insufficient, so that the abutment during movemen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tweezers and is contaminated by falling off the floor.

또한, 시술자가 어버트먼트를 정확한 시술위치로 이동시키기 힘들었으며, 핀셋을 통해서는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측으로 밀착 지지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기 어려우므로 시술의 정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the practitioner to move the abutment to the correct operation position,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pressing force for urging the abutment against the fixture side through the tweezers.

한국 등록특허 제10-1108280호Korean Patent No. 10-110828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를 안정적으로 그립하여 시술 안전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어버트먼트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butment jig that stably grips an abutment and improves safety and convenience of operation.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픽스츄어에 고정되도록 중앙부에 체결나사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디컷부가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부에 하향 연장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지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가 압착 삽입되도록 내부에 가압고정홀부가 형성되는 지그바디부; 및 상기 결합된 어버트먼트의 이동을 위해 그립되되 상기 어버트먼트의 결합방향이 안내되도록 상기 디컷부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상기 지그바디부의 상부 외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지그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ture comprising: a base portion having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a fastening screw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o be fixed to a fixture and having at least one dimple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 abutment jig selectively coupled to an abutment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at a lower end of a base portion, the jig body having a pressing and fixing hole formed therein for pressing and inserting the base portion; 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radially outwardly from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jig body alo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tched portion so as to be gripped for movement of the coupled abutment and to guide the engagement direction of the abutment Provides abutment jig.

여기서, 상기 가압고정홀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삽입시 상기 디컷부가 상기 가이드돌기와 정렬되도록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향되는 상부측 내면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정렬압착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is formed with an aligned pressing surface by bending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upper side inner surface portion facing the guide protrusion so that the dimple portion is aligned with the guide protrusion when the base portion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지그바디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체결안내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안내홀은 상기 체결나사의 회전체결을 위한 헥스드라이버의 외주를 회전 지지하되 상기 체결나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체결나사의 외경 미만의 내경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그바디부의 상부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향되는 위치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보조그립지지돌기가 돌설되되, 상기 가압고정홀부의 내면에는 상기 베이스부에 함몰 형성된 걸림홈에 탄발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A fastening guide hol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jig body alo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guide hole rotatably suppor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hex driver for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screw, An auxiliary grip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jig body so as to be radially outward along a position opposite to the guide protrusion, And a latch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latching recess formed in the base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는 치아의 종류에 대응되는 복수의 규격으로 구비되되 상기 지그바디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규격에 대응되는 복수 세트로 구비되며, 상기 지그바디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규격을 표시하는 구분마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abutmen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sizes corresponding to the types of teeth, and the jig body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sets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of the abutment, and the jig body is provided with the abutment standard It is preferable that a division mark is displayed.

한편, 상기 어버트먼트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을 따라 피시술자의 잇몸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마진부가 구비되되, 상기 지그바디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인상모델 제조를 위한 음형 획득시 상기 음형의 표면에 배치되어 인상용 어버트먼트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마진부의 표면에 형합되도록 연장된 마진형합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abutment is provided with a margi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gum of the patient along the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jig body portion, on the surface of the mouthpiece when acquiring a mouth- And a margin-type fitting portion extending to cooperate with the surface of the margin portion for guiding engagement of the deployed abutment.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가이드돌기를 그립하여 상기 지그바디부를 표면 처리된 어버트먼트의 상부로 이동 및 하강시키면 가압고정홀부에 베이스부가 삽입되어 압착 고정됨에 따라 어버트먼트가 시술자의 손/장갑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오염 없이 시술 위치로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미세한 방향 조절이나 픽스츄어를 향한 가압 등이 용이하므로 제품의 시술 안전성 및 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First,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gripped and the jig body i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rface-treated abutment, the bas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ress-fixing hole portion, and the abutment is directly contacted with the hands / gloves of the operator It is possible to safely move to the treatment position without contamination due to contamination and to facilitate fine adjustment of the direction or pressurization toward the fixture, so that the safety and precision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둘째, 상기 베이스부가 가압고정홀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디컷부가 가이드돌기와 대향되는 위치에 절곡 형성된 정렬압착면측으로 유도 삽입되어 가이드돌기 방향으로 정렬되므로 어버트먼트가 가이드돌기를 기준으로 픽스츄어에 정확한 방향으로 배치 및 고정될 수 있어 제품의 시술 정확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Secondly,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base portion into the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the recessed portion is guided and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aligned pressing surface formed at the position facing the guide protrusion and aligned in the direction of the guide protrusion, So that the accuracy and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셋째,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임프레션 코핑과 같은 별도의 인상용 보조도구를 설치하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 그립 이동시 어버트먼트에 결합된 지그를 분리하지 않고 음형을 획득하면 음형 내부에 지그가 매립되고, 음형 표면으로 노출된 마진형합부를 통해 인상용 어버트먼트의 결합이 안내될 수 있으므로 구강인상모델의 제조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ird, jig is buried in the inside of the sound when the sound is obtained without separating the jig attached to the abutment when the grip is moved, without the cumbersome process of installing a separate lifting auxiliary tool such as impression coping inside the mouth of the person to be treated. The ease of manufacture of the oral impression model can be improved since the engagement of the abutment abutment can be guided through the marginal abutment exposed to the surface.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의 식립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이용한 어버트먼트 체결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이용한 음형 획득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abutment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butment ji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n abutment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ed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n abutment fastening process using an abutment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a tone using an abutment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butment ji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의 식립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이용한 어버트먼트 체결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를 이용한 음형 획득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S.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abutment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n abutment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 abutment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a tone using the abutment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abutment fastening process using a butt jig.

도 1a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 지그(100a,100b)는 지그바디부(10)와 가이드돌기(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A to 6, the abutment jigs 100a and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jig body 10 and a guide protrusion 20.

여기서, 상기 어버트먼트 지그(100a,100b)는 상기 어버트먼트(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임플란트 시술시 어버트먼트(4) 표면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 없이 어버트먼트(4)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 시술도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The abutment jigs 100a and 100b ar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abutment 4 to move the abutment 4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abutment 4 during the operation of the implant. This is an implanted procedure.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 지그(100a,100b)가 상기 어버트먼트(4)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는 말은,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 어버트먼트 지그(100a,100b) 및 어버트먼트(4)가 결합되되 시술이 완료되면 어버트먼트 지그(100a,100b)가 어버트먼트(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The abutment jigs 100a and 100b are selectively coupled to the abutment 4 by the abutment jigs 100a and 100b and the abutment 4 are engaged And that the abutment jigs 100a and 100b can be separated from the abutment 4 when the procedure is completed.

그리고, 상기 어버트먼트(4)는 잇몸의 복원 형상을 유도하는 힐링 어버트먼트와, 최종 보철인 크라운을 픽스츄어(5)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최종 어버트먼트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The abutment 4 is understood to mean a healing abutment for guiding the restoration shape of the gum and a final abutment used for connecting the final prosthesis crown to the fixture 5, .

상세히,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어버트먼트(4)는 프로택션 캡, 크라운 등이 결합되는 베이스부(4a)와, 상기 베이스부(4a)의 하단부에 하향 연장되어 픽스츄어(5)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부(4c)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4 to 5, the abutment 4 includes a base portion 4a to which a proccess cap, a crown, and the like are coupled, and a fixture (not shown) extending downwar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4a. 5, and the engaging portion 4c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5c.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4a)의 중앙부에는 체결나사(7)가 삽입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4)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홀(4g)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4g)의 내부에는 체결나사(7)의 헤드가 걸림되는 단턱이 형성된다. A coupling hole 4g penetrating the abutment 4 in a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ortion 4a so that a coupling screw 7 is inserted. Inside the coupling hole 4g, A step is formed in which the head of the fastening screw 7 is hooked.

그리고, 상기 체결홀(4g)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4c)의 하부로 돌출된 체결나사(7)의 하단부가 상기 픽스츄어(5)의 나사홈(5a)에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4)가 상기 픽스츄어(5)에 고정될 수 있다. As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screw 7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4g and project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4c is fastened to the screw groove 5a of the fixture 5, (4) can be fixed to the fixture (5).

또한, 상기 베이스부(4a)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디컷부(4e)가 형성되되, 상기 디컷부(4e)는 어버트먼트(4) 및 픽스츄어(5)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는 기준부가 되며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오랄 스캔시 형상 인식을 위한 기준면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At least one decoupling portion 4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a and the decoupling portion 4e has a base portion 4e for guiding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abutment 4 and the fixture 5, And can be used as a reference plane for shape recognition in oral scans for implant surgery.

상세히, 상기 픽스츄어(5)의 상단부에는 나사홈(5a)의 상부를 따라 상기 결합부(4c)의 하단부가 끼움결합되는 결합홈(5b)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4c)의 하단부 외면과 상기 결합홈(5b)의 내면은 상호 대응되는 육각 내지 다각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5 is formed with an engaging groove 5b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4c is fitte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thread groove 5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5b may be formed in hexagonal or polygonal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이때, 상기 디컷부(4e)는 상기 결합부(4c)의 하단부 외면 중 하나(4d)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컷부(4e)를 통해 잇몸(1)의 표면 형태, 주변 치아(2) 배열, 치조골 밀도, 위치 등에 따라 기설정된 어버트먼트(4)의 결합 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cut portion 4e is 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4c, and the shape of the surface of the gum 1 through the de-cut portion 4e, 2) the direction of attachment of the predetermined abutment 4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lveolar bone density, position, and the like can be guided.

여기서, 상기 어버트먼트(4)는 임플란트 시술 위치(3)에 형성된 천공(3a)을 통해 픽스츄어(5)와 결합되며 잇몸(1) 내지 치조골 등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생체 친화적인 티타늄(titanium) 또는 의료용 PEEK(poly ether ketone) 등과 같은 소재로 제조되며, 표면에 대한 고도의 위생성과 청결성이 요구된다. The abutment 4 is connected to the fixture 5 through the perforations 3a formed in the implant treatment position 3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um 1 or the alveolar bone and therefore biocompatible titanium ) Or medical polyether ketone (PEEK), which require a high level of hygiene and cleanliness of the surface.

한편, 도 1a 내지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지그바디부(10)는 상기 베이스부(4a)의 최대 외경부를 초과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그바디부(10)의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부(4a)가 압착 고정되도록 삽입되는 가압고정홀부(13)가 형성된다. 1A to 2A, the jig body 1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exceeding a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base portion 4a. Inside the jig body 10, And a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13 into which the base portion 4a is inserted so as to be pressed and fixed is formed.

즉, 상기 가압고정홀부(13)에 상기 베이스부(4a)가 삽입되어 압착 고정됨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 지그(100a,100b) 및 상기 어버트먼트(4)가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the abutment jig 100a, 100b and the abutment 4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by inserting the base portion 4a into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and pressing and fixing the base portion 4a.

이때, 상기 지그바디부(10)는 가압고정홀부(13)에 삽입된 베이스부(4a)를 압착 고정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면서도, 가압고정홀부(13)의 내면과 접촉된 베이스부(4a)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4a)의 표면보다 낮은 경도의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티타늄(titanium), 의료용 PEEK(poly ether ketone) 등의 생체 친화적인 금속/합성수지로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jig body 10 ha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for pressing and fixing the base portion 4a inserted in the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13, and a base portion (not shown)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4b and 4b. In order to prevent the surface of the base 4a from being damaged, the base 4a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surface of the base 4a, and biocompatible metal / synthetic resin such as titanium, medical PEEK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돌기(20)는 상기 지그바디부(10)의 상부 외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압고정홀부(13)에 결합된 어버트먼트(4)의 이동을 위해 그립된다. 1A to 3, the guide protrusion 20 is protruded radially outward from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jig body 10, and the abutment 20, which is coupled to the pressurizing fixing hole 13, (4).

즉, 시술자는 살균 등 표면 처리된 어버트먼트(4)가 상기 지그바디부(10)의 내부에 결합되면, 상기 가이드돌기(20)를 그립하여 상기 어버트먼트(4)를 임플란트 시술 위치(3)로 이동시킨 후 나사 체결 등의 후속 임플란트 시술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when a sterilized surface-treated abutment 4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jig body 10, the practitioner grips the guide protrusion 20 to move the abutment 4 to the implant procedure position 3), and a subsequent implant procedure such as screw tightening can be performed.

상세히, 시술자는 상기 가이드돌기(20)를 그립하여 상기 지그바디부(10)를 표면 처리된 어버트먼트(4)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된 어버트먼트(4)를 하강시켜 가압고정홀부(13)의 내부에 베이스부(4a)가 삽입되어 압착 고정될 수 있다. In detail, the practitioner can grip the guide protrusion 20 to move the jig body 1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rface treated abutment 4, lower the moved abutment 4, The base portion 4a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portion 13 and can be fixed by pressing.

이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4)가 시술자의 손이나 장갑 등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오염 없이 시술 위치로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butment 4 can be safely moved to the treatment position without being contaminated by the direct contact of the operator's hand or glove.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20)가 상기 지그바디부(10)와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가이드돌기(20)의 그립을 통한 시술자의 조작이 지그바디부(10) 및 어버트먼트(4)로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Since the guide protrusion 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jig body 10, operation of the operator through the grip of the guide protrusion 20 can be accurately performed by the jig body 10 and the abutment 4 Lt; / RTI >

즉, 어버트먼트(4) 및 픽스츄어(5)의 결합 과정에서, 어버트먼트(4)의 미세한 방향 조절이나 어버트먼트(4)가 픽스츄어(5)측으로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술의 정밀성 및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at is to say, it is easy to adjust the minute direction of the abutment 4 or press the abutment 4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ture 5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abutment 4 and the fixture 5 The accuracy and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가이드돌기(20)는 상기 어버트먼트(4)의 결합방향이 안내되도록 상기 디컷부(4e)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guide protrusion 20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cut portion 4e so that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abutment 4 is guided.

즉, 상기 가이드돌기(20)는 상기 지그바디부(10)의 내부에 베이스부(4a)가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디컷부(4e)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그바디부(10)의 외면에 형성된다. That is, the guide protrusion 2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jig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e-cut portion 4e on the basis of the state where the base portion 4a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jig body 10,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가압고정홀부(13)에 구비된 정렬압착면(13c)을 통해 디컷부(4e)가 기설정된 하나의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4a)가 상기 지그바디부(10)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ase portion 4a is inserted into the jig body 10 so that the de-cut portion 4e is arranged in one predetermined direction through the aligned pressing surface 13c provided in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And can be fixed.

한편, 도 1a 내지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고정홀부(13)에는 상기 베이스부(4a)의 삽입시 상기 디컷부(4e)가 상기 가이드돌기(20)와 정렬되도록 상기 가이드돌기(20)와 대향되는 상부측 내면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정렬압착면(13c)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1A to 2A, the guide protrusion 20 is formed in the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13 so that the cut portion 4e is aligned with the guide protrusion 20 when the base portion 4a is inserted. And an upper pressing surface 13c formed by bending the upper inner surface portion facing the inner side surface in the radial direction.

상세히, 상기 가압고정홀부(13)는 상기 지그바디부(10)의 하단부가 상향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그바디부(10)의 하면부가 상기 베이스부(4a)의 높이 이상으로 상향 함몰되어 상기 가압고정홀부(13)가 형성되되, 상기 가압고정홀부(13)는 상기 베이스부(4a)에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화되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may be form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jig body 10 upward.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jig body 10 is depressed upward by more than the height of the base portion 4a to form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is formed in the base portion 4a,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upper side.

이때, 상기 가압고정홀부(13)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부(4a)의 외면과 대응되는 내면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fixing hole 13 is formed to have an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a.

즉, 상기 가압고정홀부(13)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부(4a)와 유사한 부피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압고정홀부(13)의 하부측 내면과 그의 내부에 삽입된 베이스부(4a)의 하부측 외면이 상호 밀착될 수 있다.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is formed to have a volume similar to that of the base portion 4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4a inserted therein Side outer surfaces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정렬압착면(13c)은 상기 가압고정홀부(13)의 내면에서 상기 가이드돌기(20)와 대향되는 전방 내면부의 상부측이 전방 내면부의 하부측보다 후방으로 더 절곡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aligned pressing surface 13c may be formed as the upper side of the front inner surface portion facing the guide protrusion 2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is further bent rear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ront inner surface portion have.

이때,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고정홀부(13)의 전방 및 후방 내면부를 제외한 좌측 및 우측 내면부(13a,13b)는 상부측 및 하부측이 평탄하게 연속된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2B,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 portions 13a and 13b except for the front and rear inner surface portions of the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13 are provided so th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re flatly continuous .

상세히, 상기 지그(100a,100b)를 표면 처리된 어버트먼트(4)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가이드돌기(20)의 방향과 디컷부(4e)의 방향을 대략적으로 조절한 후 하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가압고정홀부(13)의 내부로 베이스부(4a)가 삽입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fter moving the surface treated abutment 4 upward to the jigs 100a and 100b, the direction of the guide protrusion 20 and the direction of the diced portion 4e are roughly adjusted and then pressed downward , The base portion 4a can be inserted into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4a)가 상기 가압고정홀부(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4a)의 상단부가 상기 정렬압착면(13c)에 도달되면, 상기 베이스부(4a)의 외면 상부에 절곡된 면을 형성하는 디컷부(4e)가 상기 가압고정홀부(13)의 내면에 절곡된 면을 형성하는 정렬압착면(13c)측으로 유도되어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base portion 4a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13 and the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4a reaches the aligned pressing surface 13c, The diced portion 4e forming the bent surface of the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13 can be guided and guided to the aligned pressing surface 13c side forming the bent surfa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13. [

즉, 상기 베이스부(4a)가 상기 가압고정홀부(13)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디컷부(4e)의 경사를 따라 상기 정렬압착면(13c)이 자연스럽게 밀착되며 디컷부(4e)와 가이드돌기(20)가 정확하게 정렬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base portion 4a into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the aligned compression surface 13c is naturally closely contacte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deeper portion 4e, and the deeper portion 4e and the guide The protrusions 20 can be accurately aligned.

이때, 상기 가압고정홀부(13)에는 상기 정렬압착면(13c)과 대면되는 후방 내면부의 상부측이 상기 정렬압착면(13c)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 대향고정면(13d)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13 preferably has an opposing fixing surface 13d formed by bending the upper side of the rear inner surface portion facing the aligned pressing surface 13c toward the aligned pressing surface 13c .

여기서, 상기 정렬압착면(13c) 및 상기 대향고정면(13d) 사이 공간은 상기 베이스부(4a)의 상부보다 협소화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정렬압착면(13c) 및 상기 대향고정면(13d) 사이에 삽입된 상기 베이스부(4a)의 상부측이 압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space between the aligned pressing surface 13c and the opposing fixing surface 13d is preferably narrow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4a and the alignment pressing surface 13c and the opposing fixing surface 13d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4a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13a and 13d can be pressed and stably fixed.

즉, 상기 베이스부(4a)의 상부가 상기 정렬압착면(13c) 및 상기 대향고정면(13d) 사이에 압착되되, 상기 베이스부(4a)의 외면부가 전체적으로 상기 가압고정홀부(13)의 내면부와 밀착되므로 상기 어버트먼트(4)가 상기 지그(100a)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4a is pressed between the aligned pressing surface 13c and the opposing fixing surface 13d, and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4a as a whole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The abutment 4 can be more stably fixed to the jig 100a.

이처럼, 어버트먼트(4)의 이동시 불완전한 그립에 따른 낙하 및 낙하로 인한 어버트먼트(4)의 오염 폐기량이 감소되므로 시술의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4)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구강 내부의 임플란트 시술 위치(3)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taminated waste amount of the abutment 4 due to the falling and falling of the abutment 4 due to the incomplete grip is reduced when the abutment 4 is moved,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procedure can be improved and the abutment 4 can be stably fixed And can be quickly moved to the implant treatment position 3 inside the oral cavity.

그리고, 도 2b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고정홀부(13)의 내면에는 상기 베이스부(4a)에 함몰 형성된 걸림홈(4f)에 탄발 삽입되는 걸림돌기(13e)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2B to 4,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protrusion 13e,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4f formed in the base portion 4a,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13 .

이때, 상기 걸림돌기(13e)는 상기 가압고정홀부(13)의 좌측 및 우측 내면부(13a,13b)의 하부측이 상기 걸림홈(4f)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s 13e are formed such that the low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inner side faces 13a, 13b of the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13 are protruded in a radially inward direction wit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gagement groove 4f .

여기서, 상기 걸림홈(4f)은 상기 어버트먼트(4)에 크라운이나 프로택션 캡 등의 보철물을 가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부(4a)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latching groove 4f is a portion used for joining a prosthesis such as a crown or a pro- tacation cap to the abutment 4, and may be reces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4a.

이때, 상기 베이스부(4a)가 상기 가압고정홀부(13)의 내부공간으로 완전하게 삽입되면, 상기 걸림돌기(13e)가 상기 걸림홈(4f)에 탄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4a) 및 상기 지그바디부(10)가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base portion 4a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as the engaging protrusion 13e is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4f, the base portion 4a and / The jig body 10 can be more stably engaged.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시술시 표면 처리된 어버트먼트(4)는 가압고정홀부(13)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그바디부(10)의 가이드돌기(20)가 그립됨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 위치(3)로 이동될 수 있다. 3 to 5, the abutment 4 surface-treated in the implant treatment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13, a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projection 20 of the jig body 10, Can be moved to the implant treatment position (3) as it is gripped.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20)의 방향을 통해 상기 지그바디부(10)의 내부에 결합된 베이스부(4a)의 디컷부(4e) 방향이 손쉽게 인식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20)를 기준으로 상기 어버트먼트(4)가 잇몸(1)의 표면 형태, 주변 치아(2) 배열, 치조골 밀도, 위치 등에 따라 설정된 방향으로 용이하게 정렬되어 상기 픽스츄어(5)에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de-cut portion 4e of the base portion 4a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jig body 10 can be easily recognized through the direction of the guide protrusion 20, The abutment 4 can be easily aligned and attached to the fixture 5 in a direction set according to the surface shape of the gum 1, the arrangement of the surrounding teeth 2, the alveolar bone density, the position,

즉, 상기 디컷부(4e)가 가이드돌기(20)와 대향되는 위치에 절곡 형성된 정렬압착면(13c)측으로 유도 삽입되어 가이드돌기(20) 방향으로 정렬되므로 어버트먼트(4)가 가이드돌기(20)를 기준으로 픽스츄어(5)에 정확한 방향으로 배치 및 고정될 수 있어 시술 정확성 및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at is, the de-cut portion 4e is inserted and aligned in the direction of the guide protrusion 20 by being guided and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aligned press-contact surface 13c formed at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guide protrusion 20 so that the abutment 4 is guided 20 in the correct direction on the fixture 5, and the accuracy and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can be improved.

여기서, 상기 어버트먼트(4)의 디컷부(4e)는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시 피시술자의 볼방향(buccal)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돌기(20)는 상하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이 'B'의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e-cut portion 4e of the abutment 4 is arranged to be placed in the buccal direction of the surgeon during general implant procedure, and the guide projection 20 has a cross section of 'B' Or the like.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4a)가 상기 지그바디부(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디컷부(4e)를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어버트먼트(4)의 결합 방향이 손쉽게 인식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시술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base portion 4a is inserted into the jig body 10 and the dent portion 4e is not directly checked, the direction of attachment of the abutment 4 can be easily recognized,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지그바디부(10)의 상단부에는 상기 체결홀(4g)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체결안내홀(12)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fastening guide hole 12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jig body 10 alo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4g.

여기서, 상기 체결안내홀(12)은 상기 체결나사(7)의 회전체결을 위한 헥스드라이버(6)의 외주를 회전 지지하되 상기 체결나사(7)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체결나사(7)의 최대외경, 즉 헤드부 외경 미만의 내경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fastening guide hole 12 rotatably suppor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hex driver 6 for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screw 7 so as to prevent the fastening screw 7 from coming off.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with the maximum outer diameter, that is, the inner diameter less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상세히, 상기 어버트먼트(4)는 상기 체결나사(7)가 상기 체결홀(4g)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고정홀부(13)에 삽입된다. Specifically, the abutment 4 is inserted into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screw 7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4g.

이때, 상기 체결안내홀(12)이 상기 체결나사(7)의 헤드부 외경 미만의 내경으로 구비되므로, 체결나사(7)가 상기 체결홀(4g)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체결나사(7)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로 떨어져 삼킴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astening guide hole 12 is provided with an inner diameter less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of the fastening screw 7, so that the fastening screw 7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 4g and lost. It is possible to prevent such a safety accident that the fastening screw 7 is swallow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그리고, 상기 어버트먼트(4) 및 상기 지그바디부(10)가 임플란트 시술 위치(3)로 이동되고, 상기 어버트먼트(4)의 결합부(4c)가 상기 픽스츄어(5)의 결합홈(5b)에 삽입되면, 헥스드라이버(6)를 통해 상기 체결나사(7)가 회전 체결될 수 있다. When the abutment 4 and the jig body 10 are moved to the implant treatment position 3 and the engaging portion 4c of the abutment 4 is engaged with the fixture 5, When inserted into the groove 5b, the fastening screw 7 can be rotationally fastened through the hex driver 6.

이때, 상기 체결나사(7)의 상면에는 다각형상의 조임홈(7a)이 형성되며, 상기 헥스드라이버(6)에는 상기 조임홈(7a)에 형합되는 조임단부(6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polygonal fastening groove 7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screw 7, and the hex driver 6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end 6a which is formed in the fastening groove 7a.

여기서, 상기 체결안내홀(12)은 상기 조임홈(7a)의 외경 이상의 내경을 갖도록 구비되되, 상기 헥스드라이버(6)의 외주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guide hole 12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ightening groove 7a and has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hex driver 6. [

이에 따라, 상기 체결안내홀(12) 내주를 통해 상기 헥스드라이버(6)의 외주가 회전 지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헥스드라이버(6)를 통한 체결나사(7)의 회전 체결 과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Since the outer periphery of the hex driver 6 can be rotatably supported through the inner periphery of the fastening guide hole 12,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fastening screw 7 through the hex driver 6 can be accurately performed .

그리고, 상기 체결나사(7)가 상기 픽스츄어(5)의 나사홈(5a)에 체결되면 상기 지그바디부(10)를 당겨 어버트먼트(4)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When the fastening screw 7 is fastened to the screw groove 5a of the fixture 5, the jig body 10 can be pulled out of the abutment 4.

한편, 상기 지그바디부(10)의 상부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0)와 대향되는 위치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보조그립지지돌기(30)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grip supporting protrusions 3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jig body 10 in the radial direction outside the guide protrusions 20.

즉, 상기 가이드돌기(20) 및 상기 보조그립지지돌기(30)는 상기 지그바디부(10)의 상부 외면에 상호 대향되는 쌍으로 돌설되며, 상기 보조그립지지돌기(30)는 상기 지그바디부(10)의 외면으로부터 돌설된 단부면이 평탄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guide protrusions 20 and the auxiliary grip support protrusions 30 protrude from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jig body 10, and the auxiliary grip support protrusions 30 protrude from the jig body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surface project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10 is provided flat.

이때, 상기 시술자는 상기 가이드돌기(20)의 양측면이나, 상기 가이드돌기(20)의 단부 및 상기 보조그립지지돌기(30)의 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지그바디부(10)를 그립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rator can grip the jig body 10 by us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protrusion 20, the end of the guide protrusion 20, and the end of the auxiliary grip support protrusion 30.

이처럼, 상기 지그바디부(10)의 이동시키는 경우 혹은 체결나사(7)의 조임을 위해 어버트먼트(4)를 픽스츄어(5)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경우 등과 같은 다양한 시술 상황에서 시술자가 시술 상황에 적합한 위치를 선택하여 그립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시술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When the jig body 10 is moved or the abutment 4 is pressed against the fixture 5 in order to tighten the fastening screw 7,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of the product.

한편, 상기 어버트먼트(4)는 대구치(molar), 소구치(pre-molar) 등 치아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규격으로 구비되되, 상기 지그바디부(10)는 상기 어버트먼트(4)의 규격에 대응되는 복수 세트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abutment 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andards having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the types of teeth such as a molar and a pre-molar, and the jig body 10 is provided with the abutmen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set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ation of (4).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4)는 대량 생산된 기성 어버트먼트,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통해 표준화된 대표 규격으로 선택 제조되는 디지털 어버트먼트, 피시술자의 치아 배열에 맞춤 제조되는 커스텀 어버트먼트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butment 4 includes a mass produced abutment, a digital abutment selected and manufactured as a representative standard standardized through a digital library, and a custom abutment customized to the teeth arrangement of the subject .

여기서, 상기 지그바디부(10)는 치아의 종류 및 각 어버트먼트(4)에 대응되도록 기제조될 수 있다. Here, the jig body 10 may be manufactur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kind of tooth and each abutment 4.

예를 들어, 상기 지그바디부(10)는 가압고정홀부(13), 체결안내홀(12), 마진형합부(14) 등이 치아의 종류에 따라 표준화된 규격으로 설계된 복수 세트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각 어버트먼트(4)의 외형에 대응되는 규격으로 설계된 복수 세트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jig body 1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ets designed to have a standardized standard according to the type of tooth, such as a pressing and fixing hole 13, a fastening guide hole 12, a margin fitting 14,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set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outer shape of each abutment 4.

이때, 상기 지그바디부(10)의 측면부에는 그에 대응되는 어버트먼트(4)의 규격을 표시하기 위해 구분마크(11,11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분마크(11,11a)는 치아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나, 어버트먼트(4)의 품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division marks 11 and 11a are preferably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jig body 10 in order to indicate dimensions of the abutment 4 corresponding thereto. That is, the division marks 11 and 11a may be provided with a character indicating the kind of tooth, a part number of the abutment 4,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구분마크(11,11a)는 생체 친화적인 인쇄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지그바디부(10)의 표면에 인쇄되는 것도 가능하나, 인쇄물질이 잇몸이나 치아의 표면에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그바디부(10)의 표면에 음각이나 양각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separation marks 11 and 11a may b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jig body 10 by using a biocompatible printing material.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printing material from transferring to the surface of the gums and teeth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jig body 10 is formed with a depressed or embossed surface.

물론, 상기 구분마크(11,11a)는 상기 보조그립지지돌기(30)의 상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division marks 11 and 11a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grip support protrusion 30.

이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4) 내지 치아의 종류가 설정되면, 그에 적합한 지그바디부(10)가 구분마크(11,11a)를 통해 손쉽게 선택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시술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types of the abutment 4 to the teeth are set, the jig body 10 suitable for the abutment 4 can be easily selected through the division marks 11 and 11a,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product .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어버트먼트(4)에는 상기 베이스부(4a)의 하단을 따라 피시술자의 잇몸(1)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마진부(4b)가 구비된다. 4 to 6, the abutment 4 is provided with a margin portion 4b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gum 1 of the patient to be worn along the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4a.

여기서, 상기 마진부(4b)는 잇몸의 회복 형상을 안내하고, 베이스부(4a)에 결합되는 크라운 등 보철물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4a)의 외면 하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잇몸(1)의 표면에 대응되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margin 4b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4a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prosthesis such as a crown coupled to the base 4a, May be provided in a round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gum (1).

그리고, 상기 지그바디부(10)의 하단부에는 상기 마진부(4b)의 표면에 형합되도록 연장된 마진형합부(1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jig body 10 may be provided at its lower end with a margin-fitting portion 14 extending to fit on the surface of the margin portion 4b.

상세히, 상기 지그바디부(10)는 상기 어버트먼트(4)의 3차원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압고정홀부(13), 마진형합부(14), 체결안내홀(12) 등이 설계되어 제조될 수 있다. In detail, the jig body 10 is designed such that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the margin fitting portion 14, and the fastening guide hole 12 are formed on the basis of the three-dimensional design information of the abutment 4 .

이때, 상기 베이스부(4a)가 상기 가압고정홀부(13)에 삽입되면 상기 마진형합부(14)가 상기 마진부(4b)의 상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4a)의 상단부가 상기 정렬압착면(13c) 및 대향고정면(13d) 사이에 압착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base portion 4a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13,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4a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rgin portion 4b, And can be pressed and fixed between the alignment pressing surface 13c and the opposing fixing surface 13d.

한편, 임플란트 시술 관련 법규의 규제 증가로 인해 시술 당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와, 픽스츄어 식립 당시 천공의 모습을 나타내는 구강인상모델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상기 구강인상모델은 픽스츄어(5)에 어버트먼트(4)가 고정되는 단계에서 제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increase in the regulations of the implantation-related regulations, the importance of the oral cavity impression model showing the inside of the patient's mouth and the perforation at the time of fixture placement at the time of the procedure is increasing, and the oral cavity impression model is fixed to the fixture It can be manufactured at a stage where the buttment 4 is fixed.

상세히, 상기 지그바디부(10)가 어버트먼트(4)에 결합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4)가 픽스츄어(5)에 고정되면, 레진 등의 인상재(impression material)를 상기 지그(100a,100b) 및 그의 주변부로 도포하여 음형(200)이 획득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abutment 4 is fixed to the fixture 5 in a state where the jig body 10 is coupled to the abutment 4, an impression material, such as a resin, 100a, 100b and the periphery thereof, so that the musical instrument 200 can be obtained.

이때, 상기 마진형합부(14)는 마진부(4b)에 안착되어 상기 잇몸(1)의 표면과 연속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음형(200)은 지그바디부(10)의 외부로 노출된 치아(2) 및 잇몸(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획득될 수 있다. Since the marginal joint portion 14 is seated on the margin portion 4b and is disposed continuously with the surface of the gum 1, the mouthpiece 200 is inserted into the teeth 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jig body 10 And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m 1 can be obtained.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20) 내지 보조그립지지돌기(30) 등이 음형(200)의 내부에 고정되므로 소정의 경화 시간 후 음형(200)을 분리하면, 상기 지그(100a,100b)는 음형(200)에 매립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Since the guide protrusions 20 to the auxiliary grip supporting protrusions 30 and the like are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sounding mold 200, when the sounding mold 200 is separated after a predetermined curing time, the jigs 100a, 200 in a state where it is embedded in the abutment 4.

이때, 상기 지그바디부(10)의 마진형합부(14)는 상기 음형(200)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마진형합부(14) 및 상기 가압고정홀부(13)를 기준으로 인상용 어버트먼트의 결합이 안내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argin-fitting portion 14 of the jig body 10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dice 200, and the lower side of the marginal-shaped fitting portion 14 and the pressing- Can be guided.

여기서, 인상용 어버트먼트는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결합된 어버트먼트(4)와 동일한 규격의 제품을 의미한다. Here, the pull-up abutment means a product having the same size as the abutment 4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lient.

즉, 상기 인상용 어버트먼트의 마진부 및 베이스부가 상기 마진형합부(14) 및 상기 가압고정홀부(13)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음형(20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인상용 어버트먼트가 상기 음형(200)에 결합된 위치 및 방향과, 상기 어버트먼트(4)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결합된 위치 및 방향이 일치될 수 있다. That is, as the margin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of the pull-up abutment are coupled to the negative dice 200 with reference to the direction of the marginal crimping portion 14 and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13,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abutment 4 coupled to the mouthpiece 200 and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engagement of the abutment 4 inside the mouth of the subject can be matched.

이때, 상기 인상용 어버트먼트에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식립된 픽스츄어(5)와 동일한 규격의 인상용 픽스츄어 혹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식립된 픽스츄어(5)와 동일한 규격이되 나사산이 제거된 아날로그(analogue) 등을 결합하고, 상기 음형(200)의 표면으로 석고 등을 주입하여 구강인상모델이 제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ull-up fixture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fixture (5) placed in the oral cavity of the wearer or the fixture (5) placed in the mouth of the wearer is fitted to the pull- An oral impression model can be manufactured by combining gums and analogs and injecting gypsum or the like into the surface of the mouth mold 200. [

이처럼,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기결합된 어버트먼트를 분리하고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 등 별도의 인상용 보조도구를 설치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 없이, 그립 이동시 어버트먼트(4)에 결합된 지그(100a,100b)를 분리하지 않고 음형을 획득하면 음형 내부에 지그가 매립되고, 음형 표면으로 노출된 마진형합부(14)를 통해 인상용 어버트먼트의 결합이 안내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abutment joined to the abutment 4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any cumbersome process such as separating the abutment bond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patient and installing a separate lifting auxiliary tool such as an impression coping, A jig is buried in the inside of the negative tone and the engagement of the pull-up abutment can be guided through the margin-type engaging portion 14 exposed to the negative tone surface.

이에 따라, 지그(100a,100b)가 어버트먼트(4)의 그립 이동과 함께, 구강인상모델의 제조과정에 활용될 수 있으므로 구강인상모델의 제조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jigs 100a and 100b can be utiliz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mouth raising model together with the grip movement of the abutment 4,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the mouth raising model can be improved.

즉. 어버트먼트(4)의 식립 과정 내에서 구강인상모델이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시술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oral impression model can be continuously manufactured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abutment 4, the convenience of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improv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a,100b: 어버트먼트 지그 10: 지그바디부
20: 가이드돌기 30: 보조그립지지돌기
100a, 100b: abutment jig 10: jig body part
20: Guide projection 30: Auxiliary grip support projection

Claims (5)

픽스츄어에 고정되도록 중앙부에 체결나사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디컷부가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부에 하향 연장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지그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가 압착 삽입되도록 내부에 가압고정홀부가 형성되는 지그바디부; 및
상기 결합된 어버트먼트의 이동을 위해 그립되되 상기 어버트먼트의 결합방향이 안내되도록 상기 디컷부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상기 지그바디부의 상부 외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지그.
And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at a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to be fitted to an upper end of the fixture, wherein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so as to be fixed to the fixture, An abutment jig selectively coupled to an abutment,
A jig body portion having a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formed therein so that the base portion is pressed and inserted; And
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radially outwardly from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jig body portion alo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cut portion so as to be gripped for movement of the combined abutment and to guide the engagement direction of the abutment. Burtment ji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홀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삽입시 상기 디컷부가 상기 가이드돌기와 정렬되도록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향되는 상부측 내면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정렬압착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upper side inner surface portion facing the guide protrusion is bent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so that the recessed portion is aligned with the guide protrusion when the bas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ressure fixing hol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바디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체결안내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안내홀은 상기 체결나사의 회전체결을 위한 헥스드라이버의 외주를 회전 지지하되 상기 체결나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체결나사의 외경 미만의 내경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그바디부의 상부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향되는 위치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보조그립지지돌기가 돌설되되,
상기 가압고정홀부의 내면에는 상기 베이스부에 함몰 형성된 걸림홈에 탄발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astening guide hol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jig body along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Wherein the fastening guide hole is provided with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astening screw so as to rotate and support the outer periphery of the hex driver for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screw,
An auxiliary grip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on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jig body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along a position opposite to the guide protrusion,
Wherein an engaging protrusion is insert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and fixing hole portion so as to be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formed in the bas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치아의 종류에 대응되는 복수의 규격으로 구비되되 상기 지그바디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규격에 대응되는 복수 세트로 구비되며,
상기 지그바디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규격을 표시하는 구분마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utmen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sizes corresponding to the types of teeth, the jig body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sets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of the abutment,
Wherein the jig body part is provided with a dividing mark indicating a size of the abut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을 따라 피시술자의 잇몸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마진부가 구비되되,
상기 지그바디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인상모델 제조를 위한 음형 획득시 상기 음형의 표면에 배치되어 인상용 어버트먼트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마진부의 표면에 형합되도록 연장된 마진형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butment is provided with a margin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gum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long the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jig body portion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negative dent during the acquisition of a dental implant for preparing the oral cavity lifting model of the subject, and has a marginal fitting portion extended to fit on the surface of the margin portion to guide engagement of the pull- And the abutment jig.
KR1020160101293A 2016-08-09 2016-08-09 fitting jig for abutment KR101854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293A KR101854349B1 (en) 2016-08-09 2016-08-09 fitting jig for abu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293A KR101854349B1 (en) 2016-08-09 2016-08-09 fitting jig for abu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457A true KR20180017457A (en) 2018-02-21
KR101854349B1 KR101854349B1 (en) 2018-05-03

Family

ID=6152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293A KR101854349B1 (en) 2016-08-09 2016-08-09 fitting jig for abu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34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788A (en) * 2019-12-06 2021-06-16 허덕수 Scanbody assembly
KR20210123114A (en) *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디오 fitting zig for angled abutment for denture
KR20230152306A (en) 2022-04-27 2023-11-03 (주) 코웰메디 Abutment pos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489B1 (en) * 2019-09-16 2021-08-24 주식회사 디오 abutment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790B1 (en) * 2014-04-23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fitting jig for healing abutment
KR101612671B1 (en) * 2015-02-17 2016-04-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Abutment holder for immediate implant restor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788A (en) * 2019-12-06 2021-06-16 허덕수 Scanbody assembly
KR20210123114A (en) *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디오 fitting zig for angled abutment for denture
KR20230152306A (en) 2022-04-27 2023-11-03 (주) 코웰메디 Abutment pos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349B1 (en)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5152B2 (en) Method for forming bis-acrylic or other crown
KR101452849B1 (en) Dental prosthesis method using multi-function abutment set
US9572640B2 (en) Casting jig for chair-side manufacture of customizable sculptable anatomical healing caps
US10568720B2 (en) Dental implants with markers for determining three-dimensional positioning
KR10179715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KR101854349B1 (en) fitting jig for abutment
KR101638558B1 (en) digital onebody abutment for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library
KR101621373B1 (en) maxillary sinus drilling kit for flapless surgery
KR101731541B1 (en) An abutment for healing
EP3335667A1 (en) Dental implant
KR200476682Y1 (en) guide stent for placing dental implants
US20110318711A1 (en) Implant prosthetic part s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plication plaster model including abutment using the same
US11559379B2 (en) Dental implants with markers for determining three-dimensional positioning
US10709525B2 (en) Methods for taking an oral scan without requiring removal of a temporary healing abutment
KR101446072B1 (en) Healing abutment having impression coping function
KR101918936B1 (en) Tray-guide and Tray-guide manufacturing system
US20220249206A1 (en) Methods for scanning without requiring removal of a temporary healing abutment
KR20180132222A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use diastema
KR101763763B1 (en) Apparatus for guiding implant position
KR101472570B1 (en) Discriminating the direction and location of fixture healing abutment
KR101388185B1 (en) Healing abutment having impression coping function
KR101473835B1 (en) Protect cap for healing abutment
KR101363062B1 (en) Impression cap for healing abutment
KR101406043B1 (en) Separated type healing abutment
KR101515790B1 (en) fitting jig for healing abu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