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541B1 - An abutment for healing - Google Patents

An abutment for hea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541B1
KR101731541B1 KR1020160086317A KR20160086317A KR101731541B1 KR 101731541 B1 KR101731541 B1 KR 101731541B1 KR 1020160086317 A KR1020160086317 A KR 1020160086317A KR 20160086317 A KR20160086317 A KR 20160086317A KR 101731541 B1 KR101731541 B1 KR 10173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healing
shape
fixtur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익
김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8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5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5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healing abutment, which can simplify production of a prosthetic appliance by coupling a post for scanning or taking impression to a healing body. The healing abutment comprises a post which is attachable and detachable to be coupled on the healing body when the healing body to be coupled to a fixture and the prosthetic appliance is produced, wherein the healing body includes a shape recognition unit having a shape of a first polygon for identifying a coupling shape with respect to the fixture; a protruding unit extending to an outer side than the shape recognition unit; and an insertion unit having a shape of a second polygon insertable into the fixture at a lower part of the protruding unit, and the post includes: a post body having an aperture; and a plurality of fixation units arranged alternately with concave ends on the post body near the aperture, being able to be fixated by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ding unit by elastic force, and generating a coupling sound when coupled to the healing body.

Description

치유 어버트먼트{An abutment for healing}An abutment for healing

본 발명은 치과 보철물 치료시에 이용되는 치유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시술시 스캐닝 과정 혹은 인상 채득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치유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ing abutment used in the treatment of a dental prosthesi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ling abutment which can simplify a scanning process or an impression preparing process in an implant treatment.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 반응이 없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 치근을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 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Generally, an implant implies a replacement that restores when the original tissue has been lost, but implants an artificial tooth in a dentist. Implant is a procedure in which a root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at does not have a rejection reaction to the human body is replaced in the alveolar bone that the tooth has escaped to replace the lost root, and then the tooth is restored by fixing the artificial tooth.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general prostheses or dentures, the surrounding teeth and bones are damaged over time, but the implants do not injure the surrounding dental tissue, and they have the same function and shape as the natural teeth, but do not have cavities. Therefore, they can be used semi-permanently.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Implants also improve the function of dentures in patients with single missing teeth restoration, as well as partial and total toothless teeth, and improve the aesthetic aspects of dental prosthesis restoration. Furthermore, it helps to stabilize the dentition as well as to disperse the excessive stress applied to the surrounding supporting bone tissue.

이와 같이 치과에서 행하는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픽스쳐(fixture)를 매식하는 수술 과정과, 심겨진 픽스쳐에 지대주를 연결하여 인공치아를 장착하는 보철 과정으로 구분된다.The dental implant procedure is divided into a surgical procedure for implanting a fixture into the alveolar bone and a prosthetic procedure for attaching an artificial tooth by connecting the abutment to the implanted fixture.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임플란트 시술법은, 보철 과정에서 인상을 채득할 때 구강 내에서 인상 코핑(impression coping)을 연결하여 구강 내의 모델을 완성하는 픽스쳐 레벨 임프레션(fixture level impression) 방법이다.The procedure of these implants can be varied. The implant procedure described below is a fixture level impression method for completing a model in the oral cavity by connecting an impression coping in the oral cavity when the impression is made during the prosthesis process.

우선, 치조골에 드릴링(drilling) 및 탭핑(tapping) 과정을 거쳐 픽스쳐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픽스쳐 상부에 마운트(mount)를 체결한다. 이후에, 수술용 핸드 피스를 이용하여 픽스쳐와 마운트를 치조골에 매식한 다음 마운트를 픽스쳐에서 제거함으로써, 치조골에 픽스쳐를 매식하게 된다.First, drilling and tapping are performed on the alveolar bone to form a groove conforming to the fixture dimension, and a mount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Thereafter, the fixture and the mount are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using the surgical handpiece, and then the mount is removed from the fixture, so that the fixture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그리고 픽스쳐의 상부에 덮개 나사를 체결하여 픽스쳐를 봉합함으로써 1차 수술이 완료된다.The first operation is completed by fastening the cover screw to the top of the fixture and sealing the fixture.

덮개 나사는 픽스쳐의 골융합을 기다리는 동안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및 이물질이 픽스쳐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골융합 기간은 환자의 골질과 매식 위치에 따라 다소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3개월 내지 6개월이 소요된다.The cover screw prevents bacteria and foreign substances present in the mouth from intruding into the fixture while waiting for the fixture's osseointegration. The duration of ossification is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patient's bone quality and implantation position, but usually takes 3 to 6 months.

이어서, 2차 수술을 통해 잇몸을 열어 덮개 나사를 노출시킨 후 픽스쳐의 골융합 정도를 확인하고 덮개 나사를 제거한다. 그리고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해 치유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의 상부에 체결하고, 2주 내지 3주 동안 기다린다. 근래에는 이러한 2차 수술의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해, 덮개 나사를 체결 및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치유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1차 시술법이 사용되기도 한다.Next, the gums are opened through the second operation to expose the cover screws, check the degree of fusion of the fixtures, and remove the cover screws. And a healing abutment is fastened to the top of the fixture for aesthetic gingival formation and waited for two to three weeks.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exity of such a secondary operation, a first-aid procedure for fastening the healing abutment is often used, omitting the process of fastening and removing the cover screw.

다음으로,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확인한 후 치유 어버트먼트를 제거하고, 보철물 제작을 위해 인상 코핑을 픽스쳐 상부에 체결한다. 이어서 인상재를 사용하여 구강 내에서 예비 인상을 채득하고 인상 코핑을 제거한다.Next, after confirming the esthetic gingival formation, the healing abutment is removed, and the impression coping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to make the prosthesis. The impression material is then used to create a preliminary impression in the mouth and remove impression copings.

이후,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인공 치아 즉 인공치관을 기공한 후 픽스쳐 상부에 지대주(abudment)를 체결하고, 지대주 위에 보철물 즉 인공 치관을 고정하여 인공치아를 완성한다.Thereafter, a tooth model is prepared, an artificial tooth, that is, an artificial crown is pierced, an abutment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xture, and an artificial tooth is completed by fixing a prosthesis or artificial crown on the abutment.

이상의 임플란트 시술법에서 보철물 제작을 위해 인상 채득법을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설계에서 제조에 이르는 모든 공정을 컴퓨터로 관리하는 캐드캠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이는 거의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매우 높기 때문에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다. However, in recent years, a CAD cam system has been used to manage all processes from design to manufacture by computer. This can be done very precisely because it is so close to perfection.

캐드캠 시스템에 의한 경우에도 1차 수술의 완료 후에, 치유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의 상부에 체결하며, 2주 내지 3주의 시간이 경과되면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확인한 후 치유 어버트먼트를 제거한다. After the first operation, the healing abutment is fastened to the top of the fixture even after the first operation, and after 2 to 3 weeks, the healing abutment is removed after the aesthetic gum formation is confirmed.

이어서, 구강 내에 스캔 어버트먼트를 고정한 후 3차원 스캐너로 스캐닝하여 3차원 스캔 데이터를 확보한다. 이와 같이 확보된 3차원 스캔 데이터에서의 스캔용 구조물의 형상과 사전에 입력되어 있는 어버트먼트의 형상 파일을 대조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하고자 하는 치아의 픽스쳐 위치와 정확한 깊이와 방향, 중심 좌표의 위치를 추출하여 역설계로 산출하며, 이에 맞추어 보철물을 제작한다.Then, the scan abutment is fixed in the oral cavity, and then the three-dimensional scanner is scanned to secure the three-dimensional scan data. The shape of the scan structure in the thus obtained three-dimensional scan data is compared with the shape file of the abutment inputted in advance, and the position of the fixture position of the tooth to be implanted, the exact depth and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center coordinate Extraction is performed by reverse engineering, and the prosthesis is manufactured accordingly.

인상 채득법 및 캐드캠 시스템과 같은 임플란트의 시술시에는 일반적으로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하여 치유 어버트먼트가 사용된다.Healing abutments are generally used for aesthetic gum formation during implant procedures such as impression taking and CAD cam systems.

그러나, 임플란트 시술에서 보철물 제작을 위한 어떤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종래의 치유 어버트먼트는 픽스쳐로부터 분리한 후, 인상 코핑 또는 스캔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추가로 체결해야 하는 과정이 있다. 이로 인해, 협소한 구강 내부에서 상당히 복잡한 시술 과정이 요구되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도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even if an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osthesis is used in the implant surgery, the conventional healing abutment is separated from the fixture, and thereafter, the impression coping or the scan abutment is additionally fastened to the fixture. As a result, a complicated procedure is required inside the narrow mouth, which is not easy and inconvenient for the patient.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2221호(2005.05.06.)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42221 (2005.05.06.)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7951호(2012.02.29.)2. Kor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17951 (Feb. 29, 2012) 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46072호(2014.10.01.)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46072 (Oct. 1, 2014). 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73835호(2014.12.17.)4.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73835 (Dec. 17, 201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임플란트 시술시 치유 어버트먼트를 픽스쳐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스캐닝 과정 혹은 인상 채득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보철물 제작을 단순화하는 치유 어버트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ling abutment that simplifies the manufacture of a prosthesis by performing a scanning process or an impression making process without separating the healing abutment from the fixture during the implant proced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유 어버트먼트의 탈부착 회수를 감소시켜, 환자의 치조골 등의 손실을 저하시키므로, 신속한 치유가 가능하고, 의사의 시술 편의성을 증대하는데 있다. 아울러, 치은과 치유 어버트먼트의 부착 기간이 길어져 근본적인 치유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umber of times of detachment of the healing abutment and lower the loss of the alveolar bone and the like of the patient, so that rapid healing is possible and the convenience of the physician is improved. In addition, the period of attachment of the gingiva and the healing abutment is prolonged, so that a fundamental healing function can be stably performed.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픽스쳐에 결합가능한 힐링 바디 및 보철물의 제조시에 상기 힐링 바디 상에 결합하도록 착탈가능한 포스트(post)를 포함하는 치유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힐링 바디는 상기 픽스쳐에 대한 결합 형태를 파악하도록 제 1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형태 인식부와, 상기 형태 인식부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상기 픽스쳐에 삽입가능한 제 2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는 개구부를 갖는 포스트 바디와. 상기 개구부 주위의 상기 포스트 바디에 오목단과 교대로 배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에 밀착됨으로서 고정가능하며 상기 힐링 바디와 결합시에 결합음을 발생하는 복수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치유 어버트먼트.을 발생하는 복수의 고정부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ling abutment including a healing body attachable to a fixture and a post removable to be coupled to the healing body during manufacture of the prosthesis, The healing body includes a shape recognition unit having a first polygonal shape to capture a shape of the fixture, a protrus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hape recognition unit, and a second polygon A post body having an opening; And a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disposed alternately with the concave portion in the post body around the opening portion and fixed by being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by an elastic force and generating a coupling sound when engaged with the healing body. And a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for generating the fixing portions.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형태 인식부는 상기 제 1 다각형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 단면들(outer end faces)과 에지들을 구비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고정부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 단면들과 각각 대응하는 내측 단면들(inner end faces)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힐링 바디와 상기 포스트 간의 결합시에, 상기 각 내측 단면은 중앙 영역에서만 상기 각 외측 단면과 접촉하도록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hape recogniz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outer end faces and edges constituting the first polygon, the posts being disposed inwardly of the fixing portion at the opening portion, and the outer end faces Wherein each of the inner end faces has a convex shape in contact with each of the outer end faces only in a central region thereof when the healing body and the pos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형태 인식부는 적어도 상부면의 모서리에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형태 인식부는 상기 외측 단면들과 상기 에지들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포스트와 결합시에 상기 고정부를 상기 돌출부로 안내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넓어지는 폭을 갖도록 테이퍼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결합시에 상기 내측 단면의 하단과 대응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외측 단면들의 각각과 상응하는 절개면들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recognition unit is formed to be round at at least the corner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hape recognition unit is disposed at the lower ends of the outer end faces and the edges, Further comprising a tapered guide portion having a width that widens from an upper portion to a lower portion to guide the guide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rtion, .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형태 인식부의 상부면으로부터 0.5mm 내지 1.5mm인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rotrusion may be disposed at a portion of 0.5 mm to 1.5 m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hape recognizing portion.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형태 인식부 및 상기 삽입부에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다각형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다각형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 단면들과 에지들은 상기 제 2 다각형을 구성하는 복수의 삽입면들과 삽입 모서리들에 소정의 정렬 패턴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polygons in the shape recognition unit and the insert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the plurality of outer cross-sections and the edges constituting the first polygon form the second polygon And may b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lignment pattern on the plurality of insertion surfaces and insertion edges that constitute the imaging device.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단은 상기 고정부들 사이에서 상기 돌출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cave end may be formed to expose the protrusion between the fixing portions.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개구부 주위의 상기 포스트 바디에 적어도 4 개 이상 배열될 수 있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fixture may be arranged on the post body around the opening at least four or more.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트는 스캔용 포스트 또는 인상(impression) 채득용 포스트로 구성되고, 상기 포스트가 상기 스캔용 포스트인 경우, 상기 포스트는 스캔시에 위치값을 산출하기 위해 적어도 표면이 무광택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 바디에 배치도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표지부는 제 1 경사부와, 상기 제 1 경사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직 벽부와, 상기 포스트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가상면에 대해 상기 제 1 경사부보다 낮은 각도의 경사를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하단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제 2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ost is comprised of a post for scanning or an impression, and if the post is a scan post, the post is at least a matte to surface, And the position indicator on the post body includes a grip portion and a position indicator formed in a shape different from the grip portion, wherein the position indicator includes a first inclined portion, a vertical wall portion disposed below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in a curved surface having an inclination angle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plane passing horizontally through the post and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grip portion.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힐링 바디가 상기 개구부로 삽입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의 최내측에 공간이 잔류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내측 끝단에 중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ost may include a hollow portion at the inner end of the opening so that a space remains at the innermost portion of the opening when the healing body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opening.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힐링 바디는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는 체결부가 통과하도록 상기 형태 인식부에서 상기 삽입부까지 관통하는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체결공 주위의 상기 형태 인식부의 상부면은 상기 체결부의 상부면과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healing body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hole penetrating from the shape recognition portion to the insertion portion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coupled with the fixture is passed, and the fastening portion is coupled with the fixture through the fastening hole The upper surface of the shape recognizing portion around the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ve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치유 어버트먼트를 픽스쳐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스캐닝 과정 혹은 인상 채득 과정을 통한 보철물의 제조시 치유 어버트먼트의 힐링 바디에 스캔용 혹은 인상 채득용 포스트를 결합시킴으로써 보철물 제작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포스트가 힐링 바디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 부착 과정에서 결합음을 발생함에 따라, 미소한 포스트의 힐링 바디에 대한 양호한 결합을 확인함과 아울러서, 정확한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production of prostheses by combining scans or impression posts in the healing body of the healing abutment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prosthesis through a scanning process or an impression taking process without detaching the healing abutment from the fixture . Also, since the post can be fixed to the healing body by being coupled using the elastic force, and the binding sound is generated in the attachment process due to the elastic force, good binding to the healing body of the minute post can be confirmed, Lt; / RTI >

형태 인식부의 외측 단면들과 대응하는 포스트의 각 내측 단면은 중앙 영역에서만 각 외측 단면과 접촉하도록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포스트가 힐링 바디에 더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outer end faces of the shape recognition portion and each inner end face of the corresponding post have a convex shap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spective outer end faces only in the central region so that the posts can be more tightly coupled to the healing body.

아울러, 돌출부는 형태 인식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범위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포스트가 힐링 바디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is dispos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hape recognizing portion, so that the post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healing body.

또한, 포스트가 적어도 표면에서 무광택으로 형성된 스캔용 포스트로 적용하는 경우, 포스트가 파지부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표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스캔시에 위치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위치 표지부가 제 1 경사부, 수직 벽부 및 제 1 경사부보다 낮은 각도의 경사를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파지부의 하단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제 2 경사부를 구비함으로써,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post is applied as a scanning post formed at least on the surface thereof, the position can be calculated at the time of scanning by providing the position marking portion in which the post is formed in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gripping portion, The vertical wall portion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grip portion, so that the 3D scan data can be accurately extra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힐링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힐링 바디의 상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스캔용 포스트의 상측 및 하측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스캔용 포스트를 힐링 바디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인상 채득용 포스트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8은 인상 채득용 포스트를 힐링 바디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를 임플란트 시술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ling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healing body.
3 is a top view of the healing body.
4A and 4B are upper and lower perspective views of the scan post.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scan post is coupled to a healing body.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ling abu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impression preparing post.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t for pulling up is joined to the healing body. Fig.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 healing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lant surgery.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being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 as used herein, unless the recited element, step, operation, and / Or additions.

이하, 도 1 내지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healing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B.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힐링 바디의 측면도이고, 도 3은 힐링 바디의 상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스캔용 포스트의 상측 및 하측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스캔용 포스트를 힐링 바디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ling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healing body, and Fig. 3 is a top view of the healing body. 4A and 4B are upper and lower perspective views of the scan post.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scan post is coupled to a healing body.

본 실시예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10)는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3차원 스캔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표식으로서 스캔용 포스트(200)를 포함한다. The healing abutme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when a prosthesis is manufactured using a CAD cam system, and includes a scanning post 200 as a marker for securing three-dimensional scan data.

치유 어버트먼트(10)는 치조골에 골융합되어 식립된 픽스쳐(20)에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해 소정 기간 동안 결합가능한 힐링 바디(100) 및 보철물 제작을 위한 3차원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시에 위치값을 산출하기 위해 힐링 바디(100) 상에 착탈가능한 스캔용 포스트(200)를 포함한다. The healing abutment 10 includes a healing body 100 that can be engag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form an aesthetic gum on the fixture 20 that is fusion-bonded to the alveolar bone, and a three- And a scanning post 200 detachable on the healing body 100 to calculate a position value.

픽스쳐(20)는 치유 어버트먼트(10)의 하단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22), 삽입홈(22)의 하부에 치유 어버트먼트(10)의 체결부(150)와 체결되는 나사선(미도시) 및 치조골에 식립되도록 외주면에 가공되는 스크류(24)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22)은 보철물과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결합할 수 있도록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정육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오각형, 정팔각형, 서로 다른 변의 길이를 갖는 다양한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xture 20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22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healing abutment 10 can be inserted and a threaded portion 22 which is fastened to the coupling portion 150 of the healing abutment 1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22. [ (Not shown), and a screw 24 that is machi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The insertion groove 22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directional connection with the prosthesis. Although the insertion groove 22 is shown as a regular hexagon in FIG. 1, the insertion groove 22 is not limited to the regular pentagon, Having various shapes of polygons.

힐링 바디(100)는 티타늄 등의 금속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픽스쳐(20)에 대한 결합 형태를 파악하도록 제 1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형태 인식부(110), 형태 인식부(110)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20), 돌출부(120)의 하부에 일체로 배치되는 컬럼부(130), 컬럼부(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픽스쳐(20)에 삽입가능한 제 2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삽입부(140) 및 픽스쳐(20)와 결합되는 체결부(150)가 통과하도록 형태 인식부(110)로부터 삽입부(140)까지 관통하는 체결공(160)을 포함한다. The healing body 100 may be integrally formed of a metal such as titanium and includes a shape recognition unit 110 having a first polygonal shape for recognizing the shape of the fixture 20, A column portion 130 integrally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20 and a second polygon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lumn portion 130 and insertable into the fixture 20, And a fastening hole 160 penetrating from the shape recognition unit 110 to the insertion unit 140 so that the fastening unit 150 coupled to the fixture 20 can pass.

형태 인식부(110)는 스캔용 포스트(200)와의 양호한 결합 밀착력을 위해 제 1 다각형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 단면들(outer end faces; 112)과 에지들(114)을 구비할 수 있다. 가공 조건이 가능하다면 형태 인식부(110)의 외측 단면들(112)과 에지들(114)이 증가할수록, 시술자는 스캔용 포스트(200)를 과도하게 회전함이 없이 작은 조작량으로 힐링 바디(100)에 결합할 수 있다. The shape recognizing unit 110 may have a plurality of outer end faces 112 and edges 114 constituting a first polygon for a good bonding strength with the scan post 200. As the outer end faces 112 and the edges 114 of the shape recognition unit 110 are increased, the operator can move the healing body 100 ). ≪ / RTI >

형태 인식부(110)는 픽스쳐(20)의 삽입홈(22)과 동일한 형상의 제 1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힐링 바디(100)가 체결부(150)를 통해 픽스쳐(20)에 결합되는 경우에 삽입부(140)의 삽입홈(22)에 대한 결합 형태, 예컨대 결합 방향을 형태 인식부(110)에 의해 간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형태 인식부(110)가 삽입홈(2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결합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면, 형태 인식부(110)의 제 1 다각형의 형상은 삽입홈(22)과 상이할 수 있다. The shape recognition unit 110 may be formed of a first polygon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insertion groove 22 of the fixture 20. When the healing body 100 is coupled to the fixture 20 through the coupling part 150, the coupling shape of the insertion part 140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groove 22, ). ≪ / RTI > The shape of the first polygon of the shape recognition unit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insertion groove 22 when the shape recognition unit 110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insertion groove 22, Lt; / RTI >

또한, 형태 인식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이 제작되기 전에 힐링 바디(100)가 픽스쳐(20) 상에 노출된 상태로 체결되는 경우, 저작시 힐링 바디(100)에 의해 구강 내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적어도 상부면의 모서리에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2, when the healing body 100 is fastened in a state exposed on the fixture 20 before the prosthesis is manufactured, the shape recognizing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healing body 100 So as to be rounded at least at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형태 인식부(110)는 외측 단면들(112)과 에지들(114)의 하부에 배치되며, 스캔용 포스트(200)와 결합시에 고정부(240)를 돌출부(120)의 폭으로 확장시키면서 안내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넓어지는 폭을 갖도록 테이퍼진 가이드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스캔용 포스트(200)가 힐링 바디(100)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도록, 스캔용 포스트(200)의 내측 단면들(270)의 하단과 대응하여 외측 단면들(112)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절개면들(118)이 제공될 수 있다. The shape recognizing unit 110 is disp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outer end faces 112 and the edges 114 and enlarges the fixing unit 240 to the width of the protrusion 120 when the scanning post 200 is engaged with the scanning post 200 And may include a guide portion 116 that is tapered to have a width that widens from top to bottom for guiding. In addition to this, the scan post 200 extends from each of the outer end faces 112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wer end of the inner end faces 270 of the scan post 200 so that the scan post 200 stably seats in the healing body 100 Cutting surfaces 118 may be provided.

체결부(150)가 픽스쳐(20)에 노출되어 결합되는 경우에 저작시 힐링 바디(100)에 의해 구강 내부가 손상되지 않고 체결공(160)에 음식 또는 치료 약물 등의 이물질 등이 잔류하지 않도록, 형태 인식부(110)는 체결공(160) 주위의 상부면에 있어서, 픽스쳐(20)와 결합 완료된 체결부(150)의 상부면과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fastening part 150 is exposed and coupled to the fixture 20,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s not damaged by the healing body 100 during chewing,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food or therapeutic medicine do not remain on the fastening hole 160 The shape recognizing unit 11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ve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150 that is engaged with the fixture 20 on the upper surface around the fastening hole 160.

돌출부(120)는 가이드부(116)의 하부에 배치되며, 결합시에 스캔용 포스트(200)의 고정부들(240)과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형태 인식부(110)보다 돌출된다. 돌출부(120)는 형태 인식부(110)의 상부면으로부터 0.5mm 내지 1.5mm인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20)가 0.5mm 미만의 부분에 배치되면 스캔용 포스트(200)의 결합이 불완전하여 스캔 데이터의 정확한 획득이 곤란하고, 1.5mm 이상의 부분에 위치되면 소정 기간 동안 힐링 바디(100)가 노출된 상태에서 잇몸이 성장하여 돌출부(120)를 덮게 되므로, 스캔용 포스트(200)의 결합이 불가능하다. The protrusion 12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16 and protrudes from the shape recognition portion 110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with the fixed portions 240 of the scan post 200 when the protrusion 120 is engaged. The protrusion 120 may be disposed at a portion of 0.5 mm to 1.5 m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hape recognition unit 110. If the protrusion 120 is disposed at a portion less than 0.5 mm, the coupling of the scan post 200 is incomplete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acquire the scan data. When the protrusion 120 is positioned at a portion of 1.5 mm or more, the healing body 100 is exposed The gums grow to cover the protrusion 120, so that the coupling of the scan post 200 is impossible.

컬럼부(130)는 돌출부(120)와 삽입부(140)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고, 상부로 갈수록 넓은 폭을 갖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컬럼부(130)가 하부로 갈수록 넓은 폭을 가지거나 상하부에서 동일한 폭을 갖는다면, 힐링 바디(100)와 치아(혹은 잇몸)과의 간격이 과도히 협소하게 되므로, 치아나 잇몸에 대한 간섭이 발생하여 픽스쳐(20)에 대한 결합이 곤란하고, 스캐닝 시에도 간격이 매우 협소하여 스캐닝 광의 도달이 불량하게 된다. The column portion 130 integrally connects the protrusion 120 and the insertion portion 140, and can be tapered so as to have a wider width toward the upper portion. If the column portion 130 has a wider width or has the same width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s the portion goes downward, the gap between the healing body 100 and the teeth (or gums) becomes excessively narrow, And it is difficult to couple to the fixture 20, and even when scanning, the interval is very narrow and the arrival of the scanning light becomes poor.

삽입부(140)는 형태 인식부(110)보다 작으며 삽입홈(22)과 동일한 제 2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다각형을 구성하는 복수의 삽입면들(142)과 삽입 모서리들(144)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150)를 통해 픽스쳐(20)에 체결되는 경우, 삽입부(140)는 체결부(150)의 체결에 의해 삽입홈(22) 내부로 이동하므로, 힐링 바디(100)의 삽입 깊이와 결합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40)가 제 2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스캔 어버트버트(10)의 픽스쳐(20)에 대한 방향이 특정되므로, 치유 어버트먼트(10)를 기준으로 하여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스캔 데이터가 정확하게 추출될 수 있으며, 보철물을 제작함에 있어서 오차가 현저히 감소된다. The insertion section 140 is formed in a shape of a second polygon which is smaller than the shape recognition section 110 and is the same as the insertion groove 22 and has a plurality of insertion faces 142 and insertion edges 142 144). The insertion portion 140 moves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22 by fastening the fastening portion 150 so that the insertion depth of the healing body 100 The joining direction can be grasped accurately. Since the insertion portion 140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second polygon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scan assert butt 10 with respect to the fixture 20 is specified, It is possible to use library for production. In this way, the scan data can be accurately extracted and errors in manufacturing the prosthesis are significantly reduced.

삽입부(140)의 제 2 다각형은 형태 인식부(11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삽입면들(142)과 삽입 모서리들(144)은 복수의 외측 단면들(112)과 에지들(114)에 소정의 정렬 패턴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삽입면(142)이 각 외측 단면(112)에 수직으로 정렬되고, 각 삽입 모서리(144)가 각 에지(114)에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삽입부(140)가 삽입홈(22)으로 이동되어 노출되지 않더라도 외측 단면들(112)과 에지들(114)의 정렬 패턴에 따라 힐링 바디(100)의 픽스쳐(20)에 대한 삽입 방향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단면(112)이 삽입면(142)에 수직 정렬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삽입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second polygon of the insertion portion 14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recognition portion 110 and the plurality of insertion surfaces 142 and the insertion edges 144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outer cross- And the edges 114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alignment pattern. Each insert face 142 may be vertically aligned with each outer face 112 and each insert edge 144 may be positioned so that it is perpendicular to each edge 114 as shown in FIG. The insertion of the healing body 100 into the fixture 20 of the healing body 100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lignment pattern of the outer end faces 112 and the edges 114 even if the insertion portion 140 is moved to the insertion groove 22 and is not exposed. Direction can be confirmed indirectly. Although the outer end face 112 is vertically aligned with the insertion face 142 in the present embodimen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in which the insertion direction can be confirmed.

체결부(150)는 체결공(160)으로 삽입되고,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결공(160)의 소정 위치에 단턱(162)이 설치되어, 체결부(150)의 상단부의 이동이 단턱(162)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체결부(150)가 픽스쳐(20)에 노출되어 결합되는 경우에, 픽스쳐(20)와 결합 완료된 체결부(150)의 상부면이 체결공(160) 주위의 형태 인식부(110)의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단턱(162)은 위치되어 체결부(15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체결부(150)가 픽스쳐(20)에 노출되어 결합하더라도 저작시에 힐링 바디(100)에 의해 구강 내부가 손상되지 않고 체결공(160)에 음식 또는 치료 약물 등의 이물질 등이 잔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삽입부(140)에 삽입되는 체결부(150)의 부분이 단턱(162)에 의해 결정되어 체결부(150)의 픽스쳐(20)에 대한 삽입 깊이가 설정되므로, 스캔용 포스트(200)에 의한 스캔 데이터의 정확한 추출이 가능하다.The fastening part 15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60 and a step 162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 160 as shown in FIG. (Not shown). When the fastening part 150 is exposed to the fixture 20 and is coupled to the fixture 20,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150, which is engaged with the fixture 20, The step 162 can be positioned to support the fastening portion 150. As shown in Fig. Thus, even if the fastening part 150 is exposed to the fixture 20,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s not damaged by the healing body 100 at the time of chewing, and foreign matter such as food or therapeutic medicine remains in the fastening hole 160 I can not. Since the part of the coupling part 15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40 is determined by the step 162 and the insertion depth of the coupling part 150 with respect to the fixture 20 is se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extract the scan data.

한편, 스캔용 포스트(200)는 크라운(crown)과 같은 보철물의 제작시에 픽스쳐(20)와 힐링 바디(100)의 구강 내 위치값을 산출하기 위해, 개구부(260)를 통해 힐링 바디(100)에 결합되며, 스캔용 포스트(200)가 힐링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캔용 포스트(200)의 표면을 통해, 스캐너에 의한 스캔 데이터가 추출된다. 스캔용 포스트(200)는 스캔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보철물 제조시에만 힐링 바디(100)에 결합되며, 보철물이 설치되기 전까지 힐링 바디(100)로부터 분리되어 있다.The scan post 200 may be positioned on the healing body 100 through the opening 260 in order to calculate the position value of the fixture 20 and the healing body 100 in the oral cavity during the preparation of a prosthesis such as a crown. And the scan data by the scanner is extracted through the surface of the scan post 200 in a state where the scan post 200 is coupled to the healing body 100. The scan post 200 is coupled to the healing body 100 only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prosthesis for obtaining scan data, and is separated from the healing body 100 until the prosthesis is installed.

구체적으로, 스캔용 포스트(200)는 개구부(260)를 갖는 스캔용 포스트 바디(210) 및 개구부(260) 주위의 스캔용 포스트 바디(210)에 오목단(250)과 교대로 배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120)에 밀착됨으로서 고정가능하며 힐링 바디(100)와 결합시에 결합음을 발생하는 복수의 고정부들(240)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scanning post 200 is disposed alternately with the concave edge 250 in the scanning post body 210 having the opening 260 and the scanning post body 210 around the opening 260, And a plurality of fixing parts 240 which are fix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art 120 by the protruding part 120 and generate a coupling sound when engaged with the healing body 100.

스캔용 포스트(200)는 적어도 표면이 무광택으로 형성됨으로써 스캔 광을 반사하지 않아 스캔 데이터와 위치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스캔용 포스트 바디(210)와 고정부들(240)은 스캔 데이터의 추출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PEEK(PolyEther Ether Ketone)과 같은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the surface of the scan post 200 is formed with a matte surface, so that the scan light and the position value can be extracted without reflecting the scan light. For example, the scan post body 210 and the fixing portions 240 may be formed of a resin such as PEEK (Polyether Ether Ketone) to secure the extraction and durability of scan data.

고정부들(240)은 스캔용 포스트 바디(210)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자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들(240)이 도면에서는 3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한정된 개구부(260)의 면적에서 각 고정부(240)가 더 양호한 탄성력을 갖기 위해서, 적어도 4개 이상 배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부(240)가 돌출부(12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The fixing portions 240 are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scanning post body 210, and can have a self-elastic force. Although three fixing portions 240 are formed in the drawing, at least four or more fixing portions 240 may be arranged in order to have a better elastic force in the area of the limited opening portion 260. Thus, the fixing portion 24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protruding portion 120.

이와 같은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들(240)이 돌출부(120)에 의해 미세하게 외측으로 이동한 후, 돌출부(120) 하부로 하강하면서 복원력으로 인해 결합됨으로써, 고정부들(240)이 돌출부(120)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스캔용 포스트(200)가 힐링 바디(100)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다. 더욱이, 고정부들(240)이 복원력에 의해 돌출부(120)에 충돌하면서 스캔용 포스트(200)와 힐링 바디(100)의 결합시에 결합음이 발생된다. 수 mm의 작은 사이즈의 스캔용 포스트(200)의 힐링 바디(100)에 대한 결합은 육안으로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으나, 결합음에 의해 정확한 결합을 식별할 수 있다. Due to the elastic force, the fixing portions 240 are slightly moved outward by the protrusions 120 and then are coupled to each other due to the restoring force by being lowered below the protrusions 120, 120, and the scan post 200 can be accurately seated on the healing body 100. In addition, when the fixing posts 240 collide with the protrusion 120 due to the restoring force, a coupling sound is generated when the scanning post 200 and the healing body 100 are coupled. The coupling of the scanning post 200 of a small size of several millimeters to the healing body 100 has a limitation to grasp accurately by the naked eye but can identify the correct coupling by the coupling sound.

오목단들(250)은 도 4a 내지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부들(240) 사이에서 돌출부(120)를 노출시키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오목단들(250)이 전술한 위치로 형성됨으로써, 고정부들(240)이 더 길게 형성되어 양호한 자체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오목단들(250)에 의해 노출되는 금속 재질의 돌출부가 광 반사가 가능하여 정확한 결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캔용 포스트(200)를 힐링 바디(100)에 결합할 때, 스캔용 포스트(200)의 개구부에 잔류한 공기가 오목단들(250)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므로, 스캔용 포스트(200)가 더욱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The concave ends 250 may be formed at positions that expose the protrusions 120 between the fixing portions 240, as shown in Figs. 4A to 5B. By forming the recessed ends 250 at the above-described positions, the fixing portions 240 can be formed longer to have a good self-elasticity, and the projections of the metal material exposed by the recessed ends 250 can be reflected by the light reflection So that the correct coupling can be visually confirmed. When the scan post 200 is coupled to the healing body 100, the air remaining in the opening of the scan post 200 leaks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cave ends 250, May be more easily combined or separated.

한편, 힐링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캔용 포스트(200)가 유동되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스캔용 포스트(200)는 개구부(260)에서 고정부(240)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외측 단면들(112)과 각각 대응하는 내측 단면들(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can post 200 is disposed inside the opening 260 inward of the fixing portion 240 so that the scan post 200 is not moved and fixed in a fixed position while being coupled to the healing body 100 And may further include inner sections 270 corresponding to outer sections 112, respectively.

각 내측 단면(270)은 힐링 바디(100)와 스캔용 포스트(200) 간의 결합시에, 중앙 영역에서만 각 외측 단면과 접촉하도록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캔용 포스트(200)가 힐링 바디(100)에 더 밀착되어 고정되어, 스캐닝 데이터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Each inner side surface 270 can be designed to have a convex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uter side surface only in the central region upon joining between the healing body 100 and the scan post 200. [ As a result, the scanning post 200 is more closely fixed to the healing body 100, so that the scanning data can be accurately extracted.

또한, 스캔용 포스트(200)는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힐링 바디(100)가 개구부(260)로 삽입 결합되는 경우에 개구부(260)의 최내측에 공간이 잔류하도록, 개구부(260)의 내측 끝단에 배치되는 중공부(280) 및 형태 인식부(110)의 상부가 고정되도록 중공부(280)의 하부에 제공되는 걸림부(282)를 구비할 수 있다. 중공부(280)를 구비함에 따라, 결합시에 누설되지 못한 공기가 잔류할 수 있어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리시에 잔류된 공기에 의해 결합 해체가 더욱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중공부(280)는 내측 단면들(270)의 부근의 스캔용 포스트 바디(210)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내측 단면(270)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스캔용 포스트(200)의 용이한 결합 및 분리에 기여한다. 걸림부(282)가 제공됨으로써, 힐링 바디(100)가 개구부(260) 내에서 유동되지 않고 정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5A and 5B, when the healing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260, the scanning post 2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260 (see FIG. 5A) so that the space remains at the innermost side of the opening 260 A hollow portion 280 disposed at an inner end of the shape recognizing portion 110 and a retaining portion 282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280 to fix the upper portion of the shape recognizing portion 110. Since the hollow portion 280 is provided, air that has not leaked at the time of coupling can remain, so that the coupling is easy, and the disassembly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by the air remaining at the time of separation. The hollow portion 280 is formed by thinly forming the scan post body 210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end faces 270 so as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inner end face 270 and facilitate the easy coupling of the scan post 200 Contributes to separation. By providing the latching portion 282, the healing body 100 can be fixed in position without flowing in the opening portion 260. [

이에 더하여, 스캔용 포스트(200)는 스캔용 포스트 바디(210)의 외주연에 배치되는 파지부들(220) 및 파지부들(220) 사이의 외주연에 배치되며 스캔시에 치유 어버트먼트(10)의 위치값을 산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위치 표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an post 200 is disposed at the outer periphery between the grip portions 220 and the grip portions 220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can post body 210, and is provided with a healing abutment And a position indicator 230 provided to calculate a position value of the position indicator 10.

파지부들(220)은 스캔용 포스트 바디(210)의 외주면의 일부를 수직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파지부들(220)의 주변의 스캔용 포스트 바디(210)의 상부 모서리는 파지의 편의성을 위해 라운드처리될 수 있다. The upper edges of the scan post body 210 around the grips 220 may be formed by vertically cutting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an post body 210, Lt; / RTI >

위치 표지부(230)는 보철물 제작을 위한 스캔 데이터의 획득시에 위치값 및 기준값을 산출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스캔 데이터와 상호 대응되는 라이브러리 혹은 캐드 데이터가 선별되는데 참조되며, 이를 위해 파지부들(220)과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위치 표지부(230)는 스캔용 포스트 바디(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경사부(232)와, 제 1 경사부(232)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직 벽부(234)와, 스캔용 포스트(200)를 수평 관통하는 가상면에 대해 제 1 경사부(232)보다 낮은 각도의 경사를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파지부들(220)의 하단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제 2 경사부(236)를 구비할 수 있다. The position marker 230 is a region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at the time of obtaining the scan data for manufacturing the prosthesis, and is referred to when selecting the library or CAD data corresponding to the scan data. For this purpose, 220, respectively. The position indicator 230 includes a first inclined portion 232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an post body 210 and a vertical wall portion 234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232, A second inclined portion 224 which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having an inclination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232 with respect to a virtual plane passing horizontally through the scanning post 200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grip portions 220, (236).

수직 벽부(234)와 제 2 경사부(236)로만 이루어진 위치 표지부의 경우에, 시술자가 스캐너의 카메라를 치유 어버트먼트(10)의 상부면을 향해 촬영할 때, 구강 내의 제한된 공간에서 제 2 경사부(236)의 굴곡된 면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2 경사부(236)보다 큰 각도의 제 1 경사부(232)가 수직 벽부(234) 상에 배치됨으로서, 치유 어버트먼트(10)의 상부면을 향해 볼 때, 제 2 경사부(236)의 굴곡면이 용이하게 시인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를 치유 어버트먼트(10)의 상부면에 정확하게 정렬하지 못하더라도 제 2 경사부(236)의 굴곡면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의 촬영 자유도가 증대된다. In the case of the position mark made up only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234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36, when the operator photographs the camera of the scanner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ling abutment 10, The bent surface of the portion 236 can not be accurately recognized. The first inclined portion 232 at an angl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36 is disposed on the vertical wall portion 234 so that when view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ling abutment 10, The curved surface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36 can be easily seen. Further, even if the camera can not be accurately alig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ling abutment 10, the curved surface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36 can be recognized, thereby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photographing by the practitioner.

제 2 경사부(236)는 파지부들(220)의 하단보다 하부로 연장되어 굴곡진 끝단을 구비함으로써, 스캔 데이터의 획득시의 기준 영역으로서 파지부들(220)과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다.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36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grip portions 220 and has a curved end so that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36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grip portions 220 as a reference region at the time of obtaining scan data .

이에 더하여, 위치 표지부(230)가 수직 벽부(234)와 같은 단순한 절개면이 아닌 다양한 각도의 절개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측면에서의 스캔 데이터의 획득시에 많은 좌표가 부여되어 데이터가 더욱 정확하게 추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on markers 230 are formed of a combination of cut surfaces at various angles other than a simple cut surface such as the vertical wall portion 234, so that many coordinates are given at the time of obtaining the scan data at the side, Can be accurately extracted.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표지부(230)가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된 형상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구강 또는 픽스쳐(20)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들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들을 수집한 라이브러리로부터 스캔 데이터에 합치하는 캐드 데이터가 선택된다. 4A and 4B, the position marker 2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oral cavity or the fixture 20. In addition, The CAD data matching the scan data is selected.

이하,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healing abu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인상 채득용 포스트의 하측 사시도이고, 도 8은 인상 채득용 포스트를 힐링 바디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ling abu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the impression preparing post,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impression preparing post is coupled to the healing body.

본 실시예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10a)는 인상 채득법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인상를 확보하기 위한 인상 채득용 포스트(300)를 포함한다. The healing abutment 1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prosthesis using the impression-making method, and includes a post 300 for pulling up for securing an impression.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b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10)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요소에 동일한 번호가 부여됨과 아울러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healing abutment 10 according to FIGS. 1 to 5B,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인상 채득을 위한 치유 어버트먼트(10a)는 치조골에 골융합되어 식립된 픽스쳐(20)에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해 소정 기간 동안 결합가능한 힐링 바디(100) 및 보철물 제작을 위한 인상 채득에 적용하도록 힐링 바디(100) 상에 착탈가능한 인상 채득용 포스트(300)를 포함한다. The healing abutment 10a for impression preparation includes a healing body 100 that can be engag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form an aesthetic gum on the fixture 20 that is articulated to the alveolar bone and healed to apply the impression for making the prosthesis, And a pull-up post 300 detachable on the body 100.

힐링 바디(100)는 도 1 내지 도 5b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10)와 마찬가지로, 형태 인식부(110), 돌출부(120), 컬럼부(130), 삽입부(140) 및 체결공(160)에 관통 삽입되는 체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Like the healing abutment 10 according to FIGS. 1 to 5B, the healing body 100 includes a shape recognition unit 110, a protrusion 120, a column unit 130, an insertion unit 140, And a fastening part 150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part 160.

인상 채득용 포스트(300)는 개구부(360)를 갖는 인상 채득용 포스트 바디(310) 및 개구부(360) 주위의 인상 채득용 포스트 바디(310)에 오목단(350)과 교대로 배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120)에 밀착됨으로서 고정가능하며 힐링 바디(100)와 결합시에 결합음을 발생하는 복수의 고정부들(340)을 포함한다. The pulling post 300 is alternately arranged with the concave end 350 in the pull body post body 310 having the opening 360 and the pull body post body 310 around the opening 360, And a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340 that are fix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120 by the protruding portion 120 and generate a coupling sound when engaged with the healing body 100.

고정부들(340)은 인상 채득용 포스트 바디(310)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자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들(340)이 도면에서는 3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한정된 개구부(360)의 면적에서 각 고정부(340)가 더 양호한 탄성력을 갖기 위해서, 적어도 4개 이상 배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부(340)가 돌출부(12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The fixing portions 340 are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post body 310 for pulling up and have self-elasticity. Although three fixing portions 340 are formed in the drawing, at least four or more fixing portions 340 may be arranged in the area of the limited opening portion 360 so as to have a better elastic force.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fixing portion 340 to easily engage with the protruding portion 120.

고정부들(340)의 탄성력 및 복원력에 의해, 인상 채득용 포스트(300)가 힐링 바디(100)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인상 채득용 포스트(300)와 힐링 바디(100)의 결합시에 결합음이 발생되어, 정확한 결합을 식별할 수 있다. The pulling post 300 can be accurately seated in the healing body 100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xing portions 340 and when the heeling body 100 is joined with the post 300 for pulling up the impression A joint tone can be generated to identify the correct combination.

오목단들(350)은 도 1 내지 도 5b의 오목단들(250)과 같이, 고정부들(340) 사이에서 돌출부(120)를 노출시키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oncave ends 350 may be formed at positions that expose the protrusions 120 between the fixing portions 340, such as the concave ends 250 of Figs. 1 to 5B.

힐링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인상 채득용 포스트(300)가 유동되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인상 채득용 포스트(300)는 개구부(360)에서 고정부(340)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외측 단면들(112)과 각각 대응하는 내측 단면들(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각 내측 단면(370)은 힐링 바디(100)와 인상 채득용 포스트(300) 간의 결합시에, 중앙 영역에서만 각 외측 단면과 접촉하도록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The pulling post 300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340 in the opening 360 so that the pulling post 300 is not moved and fixed in the fixed position while being coupled to the healing body 100 And may further include inner sections 370 corresponding to outer sections 112, respectively. Of course, each inner section 370 can be designed to have a convex shape in contact with each outer section only in the central region upon engagement between the heeling body 100 and the pulling post 300.

또한, 인상 채득용 포스트(300)는 도 8에서와 같이, 힐링 바디(100)가 개구부(360)로 삽입 결합되는 경우에 개구부(360)의 최내측에 공간이 잔류하도록, 개구부(360)의 내측 끝단에 배치되는 중공부(380) 및 형태 인식부(110)의 상부가 고정되도록 중공부(380)의 하부에 제공되는 걸림부(382)를 구비할 수 있다. 중공부(380)와 걸림부(382)는 도 1 내지 도 5b의 중공부(280) 및 걸림부(28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 8, when the healing body 100 is inserted into and joined to the opening 360, the post 300 is formed so that a space remains in the innermost portion of the opening 360, A hollow portion 380 disposed at the inner end and a retaining portion 382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380 to fix the upper portion of the shape recognition portion 110. The hollow portion 380 and the engaging portion 382 have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s the hollow portion 280 and the engaging portion 282 shown in Figs. 1 to 5B.

이에 더하여, 인상 채득용 포스트(300)는 인상을 획득하기 위해 인상 채득용 포스트 바디(310) 상에 제공되는 인상 코핑부(330; impression coping section) 및 인상 코핑부(330)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지부들(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pression preparation post 300 is disposed below the impression coping section 330 and the impression coping section 330 provided on the post body 310 for pulling up to obtain an impression And may further include grippers 330.

도 1 내지 도 8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들(10, 10a)에 의하면, 임플란트 시술시 치유 어버트먼트를 픽스쳐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스캐닝 과정 혹은 인상 채득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보철물 제작을 단순화할 수 있다. The healing abutments 10, 10a according to Figs. 1 to 8 can simplify the manufacture of the prosthesis by performing the scanning process or the impression making process without separating the healing abutment from the fixture during the implant procedure.

또한, 치유 어버트먼트(10, 10a)의 탈부착 회수를 감소시켜, 환자의 치조골 등의 손실을 저하시키므로, 신속한 치유가 가능하고, 의사의 시술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아울러, 치은과 치유 어버트먼트(10, 10a)의 부착 기간이 길어져 근본적인 치유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times of attachment / detachment of the healing abutments 10, 10a is reduced, and the loss of the alveolar bone or the like of the patient is lowered, so that rapid healing is possible and convenience for the physician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attachment period of the gingiva and the healing abutment 10, 10a is prolonged, a fundamental healing function can be stably performed.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b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를 적용하여 임플란트 시술의 스캐닝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를 임플란트 시술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performing scanning of an implant procedure by applying a healing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B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 healing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lant surgery.

먼저, 시술자는 픽스쳐(20)를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한 후, 골융합 정도를 확인하고,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해 픽스쳐(20)에 치유 어버트먼트(10)의 힐링 바디(100)를 체결한다. 체결부(150)를 통해 힐링 바디(100)를 픽스쳐(20)의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대응하는 다각형의 삽입부(140)와 삽입홈(22)에 의해 삽입 깊이와 결합 방향이 결정되어 정확한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형태 인식부(110)와 삽입부(140) 간의 정렬된 패턴을 통해, 시술자는 힐링 바디(100)의 픽스쳐(20)에 대한 결합 방향을 확인하면서 힐링 바디(100)의 결합을 진행할 수 있다. First, the practitioner places the fixture 20 on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confirms the degree of osseointegration, and tightens the healing body 100 of the healing abutment 10 to the fixture 20 for esthetic gingival formation . The healing body 100 is stably fix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fixture 20 through the coupling part 150 and the insertion depth and the coupling direction are determined by the corresponding polygonal insertion part 140 and the insertion groove 22. [ So that accurate scanning data can be obtained. Through the aligned pattern between the shape recognition unit 110 and the insertion unit 140, the practitioner can advance the joining of the healing body 100 while confirming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healing body 100 to the fixture 20 have.

다음으로, 보철물 제작을 위한 스캐닝 과정을 수행할 때, 힐링 바디(100) 상부에 스캔용 포스트(200)를 결합한다. 스캔용 포스트(200)의 결합시에 탄성력을 가진 고정부(240)에 의해 돌출부(120)와의 결합시에 발생하는 결합음을 청취하여 정상적인 결합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는 오목단들(250)에 의해 노출된 돌출부(120)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정상적인 결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외측 단면(112)과 상응하는 내측 단면(270)의 볼록한 형상으로 인해, 스캔용 포스트(200)가 힐링 바디(100)의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으며, 더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Next, when performing a scanning process for fabricating the prosthesis, the scan post 20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healing body 100.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binding for the scan post 200 is normal by listening to the binding sound generated when the scanning post 200 is coupl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120 by the fixing portion 240 having elasticity. In addition, the practitioner can visually check the protrusion 120 exposed by the concave ends 25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rotrusion 120 is normally engaged. In addition, due to the convex shape of the inner end face 270 corresponding to the outer end face 112, the scan post 200 does not flow in the inserted state of the healing body 100, and can be fixed more tightly .

시술자는 스캔용 포스트(200)가 힐링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캐너(30)로 구강 내부를 스캔하여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추출한다. 수지로 형성된 스캔용 포스트 바디(210)의 무광택의 표면과 다양한 각도의 절개면들이 조합된 위치 표지부(230)를 구비함에 따라, 정확한 스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10)에 의해 획득된 스캔 데이터를 통해, 주변 치아의 높이, 폭, 치열, 교합 상태 및 임플란트를 시술하고자 하는 위치의 환자의 턱뼈와 주변 치아와의 관계 등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The practitioner scans the inside of the mouth with the scanner 30 in a state where the scan post 200 is coupled to the healing body 100 to extract the three-dimensional scan data. Since the post-body 210 of the scan body formed of resin is provided with the matched surface and the position markers 230 in which the cut surfaces at various angles are combined, accurate scan data can be secured. The height, width, dentition, occlusion sta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wbone of the patient and the surrounding teeth at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is to be performed, and the like are determined through the scan data acquired by the healing abutme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ccurate data can be obtained.

다음으로, 스캔 데이터의 획득 후에, 스캔용 포스트(200)를 힐링 바디(100)로부터 분리하고, 힐링 바디(100)만이 픽스쳐(20)에 유지된 채 환자는 저작한다. Next, after acquisition of the scan data, the scan post 200 is separated from the healing body 100, and the patient holds the healing body 100 while being held in the fixture 20.

한편, 추출된 스캔 데이터를 캐드캠 장비에 제공하여 픽스쳐(20), 치유 어버트먼트(10)의 위치, 삽입된 깊이 및 방향 중심 좌표를 역산출하고, 기입력된 라이브러리 정보를 활용하여 보철물을 설계하고 가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유 어버트먼트(10)로 인해, 스캔용 포스트(200)의 표면 데이터를 인식하며 치유 어버트먼트(10)의 길이를 산출함으로써, 픽스쳐(20)의 고정 구멍의 방향성 및 기울어진 각도 등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캐드캠 장비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xtracted scan data is provided to the CAD cam apparatus to inversely calculate the position, inserted depth and direction center coordinates of the fixture 20 and the healing abutment 10, and the prosthesis is designed And processed. The healing abutme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ognizes the surface data of the scanning post 200 and calculates the length of the healing abutment 10 so that the orientation of the fixing hole of the fixture 20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and the like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Based on this, the prosthesis is manufactured using the CAD cam apparatus.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 appended claims.

10: 치유 어버트먼트 100: 힐링 바디
110: 형태 인식부 120: 돌출부
130: 컬럼부 140: 삽입부
150: 체결부 160: 체결공
200: 스캔용 포스트 210: 스캔용 포스트 바디
220: 파지부 230: 위치 표지부
240: 고정부 250: 오목단
260: 개구부 270: 내측 단면
280: 중공부 320: 인상 코핑부
10: Healing abutment 100: Healing body
110: shape recognition unit 120:
130: column portion 140:
150: fastening part 160: fastening hole
200: scan post 210: scan post body
220: grip part 230: position mark part
240: fixing portion 250: concave portion
260: opening 270: inner cross section
280: hollow portion 320: pull-up coping portion

Claims (10)

픽스쳐에 결합가능한 힐링 바디 및 보철물의 제조시에 상기 힐링 바디 상에 결합하도록 착탈가능한 포스트(post)를 포함하는 치유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힐링 바디는 상기 픽스쳐에 대한 결합 형태를 파악하도록 제 1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형태 인식부와, 상기 형태 인식부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상기 픽스쳐에 삽입가능한 제 2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는 개구부를 갖는 포스트 바디와. 상기 개구부 주위의 상기 포스트 바디에 오목단과 교대로 배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에 밀착됨으로서 고정가능하며 상기 힐링 바디와 결합시에 결합음을 발생하는 복수의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는 스캔용 포스트로서,
상기 포스트는 스캔시에 위치값을 산출하기 위해 적어도 표면이 무광택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 바디에 배치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표지부는 제 1 경사부와, 상기 제 1 경사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직 벽부와, 상기 포스트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가상면에 대해 상기 제 1 경사부보다 낮은 각도의 경사를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하단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제 2 경사부를 구비하는 치유 어버트먼트.
A healing abutment comprising a healable body engageable with a fixture and a post detachable to engage on the healing body during manufacture of the prosthesis,
Wherein the healing body comprises: a shape recognition unit having a shape of a first polygon so as to grasp a coupling shape with respect to the fixture; a protrusion extending outward from the shape recognition unit; and a second polygon And an insertion portion having a shape of < RTI ID = 0.0 >
The post includes a post body having an opening. And a plurality of fixing portions which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concave portion in the post body around the opening portion and are fixed by being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by an elastic force and generate a coupling sound when engaged with the healing body,
The post is a scanning post,
Wherein the post is formed with at least a matte surface to calculate a position value at the time of scanning and includes a grip portion disposed on the post body and a position indicator formed in a shape different from the grip portion,
The position marking portion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having a first inclined portion, a vertical wall portion disposed below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a tilted inclination angle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with respect to a virtual surface passing horizontally through the post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grip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 인식부는 상기 제 1 다각형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 단면들(outer end faces)과 에지들을 구비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고정부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 단면들과 각각 대응하는 내측 단면들(inner end faces)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힐링 바디와 상기 포스트 간의 결합시에, 상기 각 내측 단면은 중앙 영역에서만 상기 각 외측 단면과 접촉하도록 볼록한 형상을 갖는 치유 어버트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pe recognition unit has a plurality of outer end faces and edges constituting the first polygon,
The posts further include inner end faces disposed inwardly of the fixed portion at the openings and corresponding respectively to the outer end faces,
Wherein when engaging the healing body and the post, each inner cross-section has a convex shape to contact the respective outer cross-section only in the central reg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 인식부는 적어도 상부면의 모서리에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형태 인식부는 상기 외측 단면들과 상기 에지들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포스트와 결합시에 상기 고정부를 상기 돌출부로 안내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넓어지는 폭을 갖도록 테이퍼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결합시에 상기 내측 단면의 하단과 대응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외측 단면들의 각각과 상응하는 절개면들을 구비하는 치유 어버트먼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ape recognition unit is formed so as to round at least the corner of the upper surface,
The shape recogniz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tapered guide portion disposed at the outer end faces and below the edges and having a width that widens from top to bottom to guide the fixing portion to the protrusion when engaged with the post,
Wherein the guide portion has incision surfaces corresponding to respective ones of the outer sections to correspond to a lower end of the inner section at the time of engag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형태 인식부의 상부면으로부터 0.5mm 내지 1.5mm인 부분에 배치되는 치유 어버트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disposed at a portion of 0.5 mm to 1.5 m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hape recogniz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 인식부 및 상기 삽입부에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다각형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다각형을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 단면들과 에지들은 상기 제 2 다각형을 구성하는 복수의 삽입면들과 삽입 모서리들에 소정의 정렬 패턴에 따라 배치되는 치유 어버트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pe recognition unit and the first and second polygons in the insertion unit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a plurality of outer end faces and edges constituting the first polygon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insertion faces And a healing abutment disposed on the insertion edg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ignment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단은 상기 고정부들 사이에서 상기 돌출부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치유 어버트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ave end is formed to expose the protrusion between the fixing por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개구부 주위의 상기 포스트 바디에 적어도 4 개 이상 배열되는 치유 어버트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four or more fixing portions are arranged on the post body around the openin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힐링 바디가 상기 개구부로 삽입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의 최내측에 공간이 잔류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내측 끝단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치유 어버트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t has a hollow portion at an inner end of the opening so that a space remains in the innermost portion of the opening when the healing body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힐링 바디는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는 체결부가 통과하도록 상기 형태 인식부에서 상기 삽입부까지 관통하는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체결공 주위의 상기 형태 인식부의 상부면은 상기 체결부의 상부면과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형성되는 치유 어버트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ling body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hole penetrating from the shape recognition portion to the insertion portion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coupled with the fixture passes,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shape recognizing portion around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ve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when the fasten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fixture through the fastening hole.
KR1020160086317A 2016-07-07 2016-07-07 An abutment for healing KR1017315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317A KR101731541B1 (en) 2016-07-07 2016-07-07 An abutment for hea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317A KR101731541B1 (en) 2016-07-07 2016-07-07 An abutment for hea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541B1 true KR101731541B1 (en) 2017-05-11

Family

ID=5874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317A KR101731541B1 (en) 2016-07-07 2016-07-07 An abutment for hea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541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995B1 (en) 2017-07-05 2017-09-05 (주)대구덴탈 Scan cap for oral scan
KR101919894B1 (en) 2018-09-21 2018-11-19 왕기복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surgery
WO2019030525A3 (en) * 2017-08-09 2019-03-28 Neoss Limited Dental implant assembly
KR101966407B1 (en) * 2018-11-21 2019-04-05 주식회사 하이니스 Abutment assembly
KR20190089338A (en) * 2018-01-22 2019-07-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Healing abutment/impression cap assembly for dental implant
CN112370195A (en) * 2020-11-23 2021-02-19 广东安特齿科有限公司 Healing abutment assembly
US11246686B2 (en) 2016-04-14 2022-02-15 Neoss Limited Screwdriver and screw for medical applications, in particular for dental applic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072B1 (en) 2014-01-08 2014-10-01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Healing abutment having impression coping function
KR101473835B1 (en) 2013-12-26 2014-12-17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Protect cap for healing abut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835B1 (en) 2013-12-26 2014-12-17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Protect cap for healing abutment
KR101446072B1 (en) 2014-01-08 2014-10-01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Healing abutment having impression coping functio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6686B2 (en) 2016-04-14 2022-02-15 Neoss Limited Screwdriver and screw for medical applications, in particular for dental applications
KR101770995B1 (en) 2017-07-05 2017-09-05 (주)대구덴탈 Scan cap for oral scan
WO2019030525A3 (en) * 2017-08-09 2019-03-28 Neoss Limited Dental implant assembly
CN110996838A (en) * 2017-08-09 2020-04-10 尼欧斯有限公司 Dental implant assembly
AU2021215175B2 (en) * 2017-08-09 2023-02-16 Neoss Limited Dental Implant Assembly
KR20190089338A (en) * 2018-01-22 2019-07-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Healing abutment/impression cap assembly for dental implant
KR102119932B1 (en) * 2018-01-22 2020-06-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Healing abutment and impression cap assembly for dental implant
KR101919894B1 (en) 2018-09-21 2018-11-19 왕기복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surgery
KR101966407B1 (en) * 2018-11-21 2019-04-05 주식회사 하이니스 Abutment assembly
CN112370195A (en) * 2020-11-23 2021-02-19 广东安特齿科有限公司 Healing abutmen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541B1 (en) An abutment for healing
KR101452849B1 (en) Dental prosthesis method using multi-function abutment set
US20210369407A1 (en) Edentulous surgical guide
KR101881421B1 (en) Abutment assembly
KR101554157B1 (en) reference marker for attaching intraor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guide stent of dental implant operation using the same
KR101638558B1 (en) digital onebody abutment for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library
KR101539089B1 (en) Dental prosthesis method using 3d printer
KR101621373B1 (en) maxillary sinus drilling kit for flapless surgery
KR200476682Y1 (en) guide stent for placing dental implants
KR102246985B1 (en)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KR101770995B1 (en) Scan cap for oral scan
KR101918936B1 (en) Tray-guide and Tray-guide manufacturing system
KR101446072B1 (en) Healing abutment having impression coping function
KR101291754B1 (en) Implant parallel procedure device and method
KR101473835B1 (en) Protect cap for healing abutment
KR20190040590A (en) General-purpose abutment with reduced Surgery procedure
KR101388185B1 (en) Healing abutment having impression coping function
KR101854349B1 (en) fitting jig for abutment
US20160022385A1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675503B1 (en) reference wire attached in mou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using thereof for dental implant
KR101820489B1 (en) Multi-purpose abutment with reduced Surgery procedure
KR20140037719A (en) Separated type healing abutment
KR20170139414A (en) Medical implant
KR101524192B1 (en) Cervical Shape Abutment for Dental Implant
KR200483373Y1 (en) Healing abutment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