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187A - 복수의 카메라들을 정렬하기 위한 카메라 영상 분석 방법 및 영상 분석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카메라들을 정렬하기 위한 카메라 영상 분석 방법 및 영상 분석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187A
KR20180016187A KR1020160100303A KR20160100303A KR20180016187A KR 20180016187 A KR20180016187 A KR 20180016187A KR 1020160100303 A KR1020160100303 A KR 1020160100303A KR 20160100303 A KR20160100303 A KR 20160100303A KR 20180016187 A KR20180016187 A KR 20180016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ordinates
viewpoint
coordinate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숙
김상원
정일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0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6187A/ko
Publication of KR2018001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5/217
    • H04N5/232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들의 정렬을 상대적으로 빠르게 하기 위한 카메라들의 정렬 결과 영상에 대한 피드백과 관련된 시각적 피드백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영상 분석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카메라들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수평 또는 수직 등의 위치 차이를 분석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라 물리적으로 복수 개의 카메라들 간에 위치를 조정한 후, 위치가 조정된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재 분석하여 복수 개의 카메라들 간의 위치를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카메라들을 정렬하기 위한 카메라 영상 분석 방법 및 영상 분석 표시 장치{MULTIPLE IMAGE ANALYSIS METHOD FOR ALIGNING MULTIPLE CAMERA, AND IMAGE ANALYSIS DISPLAY APPARATUS}
아래의 설명은 복수의 카메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시각적 피드백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로 존재하는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수평 또는 수직 등의 위치 차이를 분석하여 각 카메라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빠른 시각적 피드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는 복수 개의 카메라 간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을 고려하여 하나의 장면을 촬영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카메라들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늘어서서 배치된 각 위치에서 영상을 수집한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이용해 하나의 장면을 완성하게 된다.
이 때, 복수 개의 카메라들 각각에서 촬영된 영상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늘어선 복수 개의 카메라 간에 수직 또는 수평이 맞은 상태에서 촬영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장면을 완성함에 있어, 사용자는 복수 개의 카메라들 각각에서 획득한 영상의 수직 또는 수평이 맞지 않으면 완성하고자 하는 장면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 개의 카메라들 간에 위치를 조정한다. 하지만, 복수 개로 존재하는 카메라 간의 수직, 수평을 맞추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복수개의 카메라를 물리적인 위치로만 정확하게 정렬하는 것은 매우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든다. 이는 현재 카메라를 정렬하는 방법으로는 상대적인 위치를 컴퓨터로 일일이 가져와서 눈으로 대조하기 때문이다.
또한, 카메라들 간에 물리적으로 발생하는 미세한 차이는 영상에서 크게 차이나 보이기 때문에 결과물인 장면에서는 0.1mm의 물리적인 카메라의 위치 차이가 아주 크게 확대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카메라를 물리적으로 위치를 조정하고, 영상을 통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다시 보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시작적인 피드백을 주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인접하여 위치한 복수 개의 카메라들을 통해 촬영된 시점 영상들에 포함된 기준 객체의 위치를 분석하여 분석된 시점 영상들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피드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피드백된 시점 영상들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직접 또는 기타 장치를 통해 복수 개의 카메라들 간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 방법은 복수의 카메라들 각각에서 촬영된 시점 영상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으로부터 기준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 인식된 기준 객체의 기준점에 이용하여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상 비교 조건에 따라 상기 결정된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 비교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화면 표시 구간에 따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비교 조건은 i) 상기 시점 영상들의 각 기준 좌표를 일치시킬지에 대한 일치 조건 ii) 상기 시점 영상들 간의 기준 좌표를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으로 배치할지에 대한 간격 배치 조건 중 하나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비교 조건이 일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일치시키기 위해 지정한 x좌표 또는 y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좌표에 대응하여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에 대한 중간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에 대한 중간 좌표와 각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 결정된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구성하는 x좌표 또는 y좌표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비교 조건이 간격 배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시점 영상들 중에서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하나의 시점 영상에 대한 기준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점의 비교 좌표로부터 정해진 순서에 대응하여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와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의 기준 좌표를 비교하여 각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 간의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기준점의 비교 좌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에 따라 x좌표 또는 y좌표 간에 차이를 갖도록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 간의 오차를 기준으로 i) 오차의 차이가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나타내는 시점 영상 또는 ii) 특정 값 이상의 오차를 나타내는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여 시점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x좌표 또는 y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정렬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 방법은 시점 영상들 각각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들 중 위치가 조정된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위치가 조정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시점 영상에 영상 비교 조건을 적용하여 영상 비교 조건이 적용된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들 각각에서 촬영된 시점 영상들을 수신하여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으로부터 기준 객체를 인식하는 기준 객체 인식부;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 인식된 기준 객체의 기준점에 이용하여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결정하는 기준 좌표 결정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상 비교 조건에 따라 상기 결정된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 비교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시점 영상 추출부; 및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화면 표시 구간에 따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비교 조건은 i) 상기 시점 영상들의 각 기준 좌표를 일치시킬지에 대한 일치 조건 및 ii) 상기 시점 영상들 간의 기준 좌표를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으로 배치할지에 대한 간격 배치 조건 중 하나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영상 추출부는 상기 영상 비교 조건이 일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일치시키기 위해 지정한 x좌표 또는 y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확인하고 상기 결정된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좌표에 대응하여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에 대한 중간 좌표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에 대한 중간 좌표와 각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 결정된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구성하는 x좌표 또는 y좌표 간의 차이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영상 추출부는 상기 영상 비교 조건이 간격 배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시점 영상들 중에서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하나의 시점 영상에 대한 기준점을 결정하며, 결정된 기준점의 비교 좌표로부터 정해진 순서에 대응하여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와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의 기준 좌표를 비교하여 각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 간의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좌표 결정부는 상기 결정된 기준점의 비교 좌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에 따라 x좌표 또는 y좌표 간에 차이를 갖도록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영상 추출부는 상기 계산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 간의 오차를 기준으로 i) 오차의 차이가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나타내는 시점 영상 또는 ii) 특정 값 이상의 오차를 나타내는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부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여 시점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부는 x좌표 또는 y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정렬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영상 추출부는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들 중 위치가 조정된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위치가 조정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시점 영상에 영상 비교 조건을 적용하여 영상 비교 조건이 적용된 시점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 방법 및 장치는 복수 개의 카메라들에 위치 센서를 부착하지 않고, 복수 개의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각각의 시점 영상에 포함된 기준 객체의 기준점들 간의 위치 차이를 분석한 후, 분석된 결과를 시각적으로 피드백함으로써,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시점 영상들에 따른 카메라들의 위치를 바로 확인 및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 방법 및 장치는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시점 영상들에 따른 카메라들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확인 및 필요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카메라들의 위치를 재설정하기 위한 시간을 절약하고, 이에 따른 영상 제적의 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영상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 방법 및 장치는 카메라들의 위치에 따라 촬영된 시점 영상들을 통해 카메라들의 현재 배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카메라들 각각의 위치 정렬을 위한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받음에 따라 위치 정렬의 시간이 많이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석 표시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시점 영상에 포함된 기준 객체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시점 영상에 포함된 기준 객체의 위치를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복수의 카메라들(102) 각각에서 촬영된 시점 영상들(103)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카메라들(102)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특정한 공간 내에 상대적 위치에 배열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카메라들(102)은 상대적 위치에 배열된 각각의 위치에서 시점 영상들(103)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카메라들(102)은 촬영된 각 시점 영상들(103)을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시점 영상들(103) 각각으로부터 기준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상세하게, 수신한 시점 영상들(103)은 특정한 공간 내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들(102)로부터, 서로 다른 시점을 갖는 동일한 배경 또는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서로 다른 시점을 갖는 동일한 배경 또는 객체를 포함하는 시점 영상들(103) 각각으로부터 기준이 되는 기준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기준 객체는 시점 영상들(103) 각각에 포함된 물체 또는 사물일 수 있으며, 또는 배경을 이루는 특정 지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기준 객체는 시점 영상들(103) 각각에 포함된 인물 또는 배경에 포함된 벤치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 인식된 기준 객체의 기준점에 이용하여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각 시점 영상들(103)에 포함된 기준 객체를 기준으로 결정된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분석함으로써, 시점 영상들(103) 간에 배치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사용자로(104)로부터 복수의 카메라들(102)로부터 수신한 시점 영상들(103)을 분석하기 위한 정보로써, 영상 비교 조건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영상 비교 조건은 사용자(104) 입장에서 복수의 카메라들(102)로부터 수신한 시점 영상들(103)을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움직여야 할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 비교 조건은 '사용자가 어느 좌표를 일치시킬지', '어느 좌표 간격을 일정하게 할지?', '간격을 일정하게 하는 경우, 간격은 얼마나 할지?', '좌표 간의 차이에 대한 오차값은 어느 정도로 할지?' 등의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례로, 영상 비교 조건은 “영상의 중간에 있는 맨 왼쪽 검은색 띠 위 경계의 y 좌표값을 일치시키고, 오차는 3픽셀 이내로 한다”라고 지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영상 비교 조건은 “영상의 중간에 있는 맨 왼쪽 검은색 띠 위 경계의 y 좌표값이 인접한 카메라별로 10픽셀 차이가 나야 하고, 오차는 3픽셀 이내로 한다”라고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상 비교 조건에 따라 결정된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분석하여 영상 비교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화면 표시 구간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상황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영상 표시 조건을 입력 받고, 입력된 영상 표시 조건을 만족하도록 조정된 화면 표시 구간에 시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화면 표시 구간에 따라 화면에 하나의 시점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화면에 표시된 시점 영상에 따라 카메라를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움직여야 할지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의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에 대응하는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복수의 카메라들(102) 중에서 배열된 위치가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시점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시점 영상에 기초하여 특정한 공간 내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들(102)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사용자에 의해 위치가 변경된 카메라로부터 현 위치에서 촬영된 시점 영상을 재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위치가 변경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시점 영상에 한하여 기준 객체, 기준점, 기준 좌표를 실시간으로 재분석하고, 재 분석된 시점 영상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시킨 카메라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빠르게 피드백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시점 영상 중 오차가 크게 발생한 시점 영상이 촬영된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고,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위치가 조정된 카메라의 시점 영상을 분석하여 기준값과 다시 비교하여 이에 따른 오차값을 해당 시점 영상과 함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결국,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복수 개의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각각의 시점 영상에 포함된 기준 객체의 기준점들 간의 위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시점 영상들에 따른 카메라들의 위치를 바로 확인 및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 표시 장치(101)는 카메라들의 위치에 따라 촬영된 시점 영상들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카메라들의 현재 배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 카메라들 각각의 위치 정렬을 위한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받음에 따라 위치 정렬의 시간이 많이 단축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석 표시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영상 분석 표시 장치(201)는 복수 개의 카메라들을 통해 촬영된 시점 영상들에 포함된 기준 객체의 위치를 분석하여 분석된 시점 영상들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분석 표시 장치(201)는 기준 객체 인식부(202), 기준 좌표 결정부(203), 시점 영상 추출부(204) 및 화면 표시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객체 인식부(202)는 복수의 카메라들(207) 각각에서 촬영된 시점 영상들(206)을 수신하여 시점 영상들(206) 각각으로부터 기준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준 객체 인식부(202)는 서로 다른 시점을 갖는 동일한 배경 또는 객체를 포함하는 시점 영상들(206) 각각으로부터 시점 영상들(206)에 공통적으로 기준이 되는 기준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기준 좌표 결정부(203)는 시점 영상들(206) 각각에서 인식된 기준 객체의 기준점에 이용하여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준 좌표 결정부(203)는 기준 객체를 중심으로 영상 간에 비교를 위한 기준 객체의 기준점을 설정하고,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 설정된 기준점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기준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동일한 기준 객체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시점 영상 A는 (200, 351)의 기준 좌표가 결정될 수 있으며, 시점 영상 B는 (215, 351)의 기준 좌표가 결정될 수 있다.
즉, 기준 좌표 결정부(203)는 복수의 카메라들(207)이 특정한 공간 내에 상대적 위치에 배열되고, 이로 인해 서로 다른 시점을 갖는 시점 영상이 수신됨으로써, 각각의 시점에 따른 서로 다른 좌표를 갖는 기준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사용자로부터 시점 영상들을 비교하기 위한 영상 비교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비교 조건은, i) 시점 영상들의 각 기준 좌표를 일치시킬지에 대한 일치 조건 및 ii) 시점 영상들 간의 기준 좌표를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으로 배치할지에 대한 간격 배치 조건 중 하나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영상 비교 조건에 따라 상기 결정된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분석하여 영상 비교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통해 영상 비교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i) 일치 조건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영상 비교 조건이 일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가 일치시키기 위해 지정한 x좌표 또는 y좌표 중 하나의 중심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시점 영상들 각각에 포함된 중심 좌표들 간에 중간값을 나타내는 중간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결정된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 중에서 중심 좌표에 대응하여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을 추출할 수 있다.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추출된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에 대한 중간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결정된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에 대한 중간 좌표와 각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 결정된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구성하는 x좌표 또는 y좌표 간의 차이값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시점 영상들 간에 기준 좌표를 일치시켜야 하는 경우, 일치시켜야하는 중심 좌표를 기준으로 n개의 시점 영상 들에 포함된 좌표에 대한 중간 좌표를 결정하고, 중간 좌표와 각 시점 영상의 기준 좌표 간에 차이점을 계산함으로써, 영상 비교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한 구성은 도 3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ii) 간격 배치 조건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영상 비교 조건이 간격 배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시점 영상들 중에서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추출한 하나의 시점 영상에 대한 기준점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한 하나의 시점 영상은 상대적 위치로 배열된 카메라들의 정해진 순서에 의해 촬영되는 각 시점 영상들 중 카메라들을 정렬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영상일 수 있다. 그리고, 시점 영상에 대한 기준점은 카메라를 정렬하기 위한 시점 영상 내 기준이 되는 기준 객체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기준 객체는 카메라들을 통해 촬영된 연속된 시점 영상들에 포함될 수 있다.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결정된 기준점의 비교 좌표로부터 정해진 순서에 대응하여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하나의 시점 영상에서 결정된 기준점의 비교 좌표에 기초하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촬영된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의 비교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간격을 고려하여 기준점의 비교 좌표를 기준으로 정해진 순서로 연속된 시점 영상들의 기준점이 가져야 하는 비교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결정된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와 시점 영상들 각각의 기준 좌표를 비교하여 각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 간의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좌표는 정해진 순서로 연속된 시점 영상들의 기준점이 실제로 나타내는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시점 영상들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에 따라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하고, 결정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를 비교하여 좌표 간의 오차를 계산함으로써, 영상 비교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한 구성은 도 4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시점 영상 추출부(204)는 계산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 간의 오차를 기준으로 i) 오차의 차이가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나타내는 시점 영상 또는 ii) 특정 값 이상의 오차를 나타내는 시점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화면 표시부(205)는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화면 표시 구간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화면 표시부(205)는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여 시점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화면 표시부(205)는 x좌표 또는 y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정렬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면 표시부(205)는 상황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영상 표시 조건을 입력 받고, 입력된 영상 표시 조건을 만족하도록 조정된 화면 표시 구간에 시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자세한 구성은 도 5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시점 영상에 포함된 기준 객체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비교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시점 영상들의 각 기준 좌표를 일치시킬지에 대한 일치 조건을 포함하는 영상 비교 조건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시점 영상들 간에 기준 좌표를 일치시켜야 하는 경우, 일치시켜야 하는 중심 좌표를 기준으로 n개의 시점 영상 들에 포함된 좌표에 대한 중간 좌표를 결정하고, 중간 좌표와 각 시점 영상의 기준 좌표 간에 차이점을 계산함으로써, 영상 비교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사용자가 일치시키기 위해 지정한 x좌표 또는 y좌표 중 하나의 중심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사용자가 일치시키고자 하는 중심 좌표를 확인하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시점 영상들을 기준 좌표에 따른 y좌표로 일치시키고자 함에 따라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사용자가 입력한 영상 비교 조건에 따른 y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각 시점 영상 별로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 중에서 확인된 중심 좌표에 대응하여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을 추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영상 비교 조건에 따른 y좌표에 대응하여 각 시점 영상 별 y좌표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영상 비교 조건에 따른 y좌표에 대응하여 n개의 시점 영상들 각각에 따른 n개의 x좌표들을 추출할 수 있다. 자세하게,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시점 영상(302), (303), (304)들 각각에서 결정된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x1, y1), (x2, y2), (x3, y3)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상 비교 조건에 따른 y 좌표에 대응하여 시점 영상(302)로부터 (y1)에 대한 좌표를 추출하고, 시점 영상(303)로부터 (y2)에 대한 좌표를 추출하고, 시점 영상(304)로부터 (y3)에 대한 좌표를 추출함으로써, n개의 시점 영상들 각각에 따른 n개의 x좌표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추출된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에 대한 중간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추출된 n개의 x좌표들에 대한 중간 값을 나타내는 중간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y1)의 좌표값, (y2)의 좌표값, (y3)의 좌표값들에 대한 중간 좌표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결정된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에 대한 중간 좌표와 각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 결정된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구성하는 x좌표 또는 y좌표 간의 차이값을 계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한 공간 내에 상태적 위치에 배열된 복수의 카메라들은 서로 다른 시점을 갖는 시점 영상들이 촬영됨에 따라, 시점 영상의 기준점은 어떤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었는가에 따라 서로 다른 좌표값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좌표값을 나타내는 시점 영상 간에 좌표를 일치시키기 위해, x좌표 또는 y좌표에 대한 중간값을 이용함으로써, 중간값과 기준 좌표 간의 차이를 통한 시점 영상들의 각 기준 좌표를 일치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시점 영상에 포함된 기준 객체의 위치를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로부터 영상 비교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시점 영상들 간의 기준 좌표를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으로 배치할지에 대한 간격 배치 조건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분석 표시 장치(301)는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으로 결정되는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하고, 결정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를 비교하여 좌표 간의 오차를 계산함으로써, 영상 비교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분석 표시 장치(401)는 영상 비교 조건이 간격 배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시점 영상들 중에서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영상 분석 표시 장치(401)는 기준 객체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기준 객체가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 분석 표시 장치(401)는 추출한 하나의 시점 영상에 대한 기준점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분석 표시 장치(401)는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수신한 n개의 시점 영상들에 대하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시점 영상들 간에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n개의 시점 영상들 중 기준이 되는 영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상에 따른 기준점을 결정할 수 있다. 결국, 영상 분석 표시 장치(401)는 시점 영상들 간에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기준점이 되는 하나의 시점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분석 표시 장치(401)는 n개의 시점 영상들(402), (403), (404), (405) 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시점 영상(404)으로써, 3번 영상이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 표시 장치(401)는 결정된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와 시점 영상들 각각의 기준 좌표를 비교하여 각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 간의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 결정된 3번 영상(404)의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는 (x3, y3) 일 수 있으며, 이 때, 하나의 시점 영상(404)의 기준점이 나타내야 하는 비교 좌표는 (200, 300)일 수 있으며, 시점 영상들 간에는 x축으로 5씩 차이가 발생해야 한다. 이에 따라, 3번 영상(404)을 기준으로 순서에 따라 시점 영상들에 가져야 하는 비교 좌표는 1번 영상(402'): (190, 300), 2번 영상(403'): (195, 300), 3번 영상(404'): (200, 300), 4번 영상(405'): (205, 300) 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 표시 장치(401)는 각각의 시점 영상에 결정된 비교 좌표와 각각의 시점 영상의 기준 좌표를 비교함으로써, 좌표간의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시점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영상 비교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화면 표시 구간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영상 비교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 및 다른 시점 영상들을 하나 또는 몇 개씩 모아서, 화면 표시 구간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여 시점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의 식별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i) 상기 시점 영상들의 각 기준 좌표를 일치시킬지에 대한 일치 조건 또는 ii) 상기 시점 영상들 간의 기준 좌표를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으로 배치할지에 대한 간격 배치 조건에 결정된 결과를 기반으로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가지는 시점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특정 값 이상의 오차를 나타내는 시점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살펴보면,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추출된 시점 영상에 대하여 화면에 보기 좋은 화면 표시 구간을 이용해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기 설정된 화면 표시 구간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개수에 따라 일정하게 나눠진 화면 표시 구간을 이용하여 추출된 시점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기준 영상과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시점 영상을 나란히 배치하여 볼 수 있는 화면 표시 구간을 이용하여 시점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살펴보면,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기준 영상과 복수의 다른 시점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화면 표시 구간을 이용하여 추출된 시점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기준영상과 다른 영상 3개를 나란히 배치하여 볼 수 있는 화면 표시 구간을 이용하여 시점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살펴보면,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가지는 시점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개수의 구간으로 일정하게 나누고, 나눠진 구간값을 저장한 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저장된 구간값을 이용해 시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9개를 3x3 배열을 기반으로 구간값이 3픽셀이라고 할 때, 중간값 아래, 위로 각각 0-3픽셀 차이, 4-6픽셀 차이, 7-9 픽셀 차이 등의 구간에 해당되는 영상들을 저장하고 구간별 시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각 시점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의 식별 정보는 시점 영상과 함께, 또는 사용자가 호출했을 때 보여질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화면 표시 조건을 입력받고, 입력된 화면 표시 조건에 따라 시점 영상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화면 표시 조건은 사용자가 원할 시, 사용자에게서 위의 구간의 간격값을 입력받은 정보로써,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화면 표시 조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의 영상들을 가려내고, 해당 카메라 ID 와 함께 보여주며, 사용자가 결과를 원하는 방식으로 볼 수 있도록 세팅할 수 있다.
결국,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카메라 정렬을 빠르고, 쉽게 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움직여야 할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빠르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화면 표시 조건에 따라 시점 영상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601)에서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들 각각에서 촬영된 시점 영상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602)에서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시점 영상들 각각으로부터 기준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603)에서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 인식된 기준 객체의 기준점에 이용하여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604)에서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상 비교 조건에 따라 결정된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분석하여 영상 비교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영상 비교 조건이 일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일치시키기 위해 지정한 x좌표 또는 y좌표 중 하나의 중심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결정된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좌표에 대응하여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추출된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에 대한 중간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결정된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에 대한 중간 좌표와 각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 결정된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구성하는 x좌표 또는 y좌표 간의 차이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영상 비교 조건이 간격 배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시점 영상들 중에서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추출한 하나의 시점 영상에 대한 기준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점의 비교 좌표로부터 정해진 순서에 대응하여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결정된 기준점의 비교 좌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에 따라 x좌표 또는 y좌표 간에 차이를 갖도록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결정된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와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의 기준 좌표를 비교하여 각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 간의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계산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 간의 오차를 기준으로 i) 오차의 차이가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나타내는 시점 영상 또는 ii) 특정 값 이상의 오차를 나타내는 시점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605)에서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화면 표시 구간에 따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표시 구간은 상대적 위치로 배열된 카메라들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 결과에 대한 시점 영상들을 표시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여 시점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x좌표 또는 y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정렬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영상 비교 조건에 적용된 시점 영상에 대응하여 i) 영상 비교 조건에 일치하는 시점 영상들의 집합과 ii) 영상 비교 조건에 일치하지 않는 시점 영상들의 집합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각 집합에 속하는 시점 영상들을 식별 번호와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식별 번호는 해당 시점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영상 비교 조건에 일치하지 않는 시점 영상들에 대하여 각 시점 영상들에 대한 오차값을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된 해당 시점 영상들의 오차값을 통해 보다 빠르게 카메라를 정렬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결국,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복수 개의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한 기준점을 하나하나 취합하여 확인한 후, 영상 비교 조건이 적용된 분석 결과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영상 비교 조건이 만족하지 않은 시점 영상에 재정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분석 표시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를 정렬함에 있어 기존의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카메라들의 위치 정렬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영상 제작의 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영상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영상 분석 표시 장치
102: 복수의 카메라들
103: 시점 영상들
104: 사용자

Claims (18)

  1. 복수의 카메라들 각각에서 촬영된 시점 영상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으로부터 기준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 인식된 기준 객체의 기준점에 이용하여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상 비교 조건에 따라 상기 결정된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 비교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화면 표시 구간에 따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각적 피드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비교 조건은,
    i) 상기 시점 영상들의 각 기준 좌표를 일치시킬지에 대한 일치 조건
    ii) 상기 시점 영상들 간의 기준 좌표를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으로 배치할지에 대한 간격 배치 조건
    중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는 시각적 피드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비교 조건이 일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일치시키기 위해 지정한 x좌표 또는 y좌표 중 하나의 중심 좌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좌표에 대응하여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에 대한 중간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x좌표들 또는 y좌표들에 대한 중간 좌표와 각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 결정된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구성하는 x좌표 또는 y좌표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각적 피드백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비교 조건이 간격 배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시점 영상들 중에서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하나의 시점 영상에 대한 기준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점의 비교 좌표로부터 정해진 순서에 대응하여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와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의 기준 좌표를 비교하여 각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 간의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각적 피드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기준점의 비교 좌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에 따라 x좌표 또는 y좌표 간에 차이를 갖도록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하는 시각적 피드백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 간의 오차를 기준으로 i) 오차의 차이가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나타내는 시점 영상 또는 ii) 특정 값 이상의 오차를 나타내는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각적 피드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여 시점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는 시각적 피드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x좌표 또는 y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정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시각적 피드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들 중 위치가 조정된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위치가 조정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시점 영상에 영상 비교 조건을 적용하여 영상 비교 조건이 적용된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각적 피드백 방법.
  10. 복수의 카메라들 각각에서 촬영된 시점 영상들을 수신하여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으로부터 기준 객체를 인식하는 기준 객체 인식부;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 인식된 기준 객체의 기준점에 이용하여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결정하는 기준 좌표 결정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상 비교 조건에 따라 상기 결정된 각 시점 영상 별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들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 비교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시점 영상 추출부; 및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화면 표시 구간에 따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를 포함하는 영상 분석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비교 조건은,
    i) 상기 시점 영상들의 각 기준 좌표를 일치시킬지에 대한 일치 조건 및
    ii) 상기 시점 영상들 간의 기준 좌표를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으로 배치할지에 대한 간격 배치 조건
    중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는 영상 분석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영상 추출부는,
    상기 영상 비교 조건이 일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일치시키기 위해 지정한 x좌표 또는 y좌표 중 하나의 중심 좌표를 확인하고,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에 포함된 중심 좌표들 간에 중간값을 나타내는 중간 좌표를 결정한 후, 중간 좌표와 각 시점 영상들 각각에서 결정된 기준점에 대한 기준 좌표를 구성하는 x좌표 또는 y좌표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영상 분석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영상 추출부는,
    상기 영상 비교 조건이 간격 배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시점 영상들 중에서 하나의 시점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하나의 시점 영상에 대한 기준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점의 비교 좌표로부터 정해진 순서에 대응하여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와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의 기준 좌표를 비교하여 각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 간의 오차를 계산하는 영상 분석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영상 추출부는,
    상기 결정된 기준점의 비교 좌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간격에 따라 x좌표 또는 y좌표 간에 차이를 갖도록 시점 영상들 각각의 비교 좌표를 결정하는 영상 분석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영상 추출부는,
    상기 계산된 비교 좌표와 기준 좌표 간의 오차를 기준으로 i) 오차의 차이가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나타내는 시점 영상 또는 ii) 특정 값 이상의 오차를 나타내는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분석 표시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부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들 각각에 대응하여 시점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는 영상 분석 표시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부는,
    x좌표 또는 y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시점 영상을 정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 분석 표시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영상 추출부는,
    상기 시점 영상들 각각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들 중 위치가 조정된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위치가 조정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시점 영상에 영상 비교 조건을 적용하여 영상 비교 조건이 적용된 시점 영상을 추출하는 영상 분석 표시 장치.
KR1020160100303A 2016-08-05 2016-08-05 복수의 카메라들을 정렬하기 위한 카메라 영상 분석 방법 및 영상 분석 표시 장치 KR20180016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303A KR20180016187A (ko) 2016-08-05 2016-08-05 복수의 카메라들을 정렬하기 위한 카메라 영상 분석 방법 및 영상 분석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303A KR20180016187A (ko) 2016-08-05 2016-08-05 복수의 카메라들을 정렬하기 위한 카메라 영상 분석 방법 및 영상 분석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187A true KR20180016187A (ko) 2018-02-14

Family

ID=6122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303A KR20180016187A (ko) 2016-08-05 2016-08-05 복수의 카메라들을 정렬하기 위한 카메라 영상 분석 방법 및 영상 분석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618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871A (ko) * 2018-02-27 2019-09-04 포디리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다채널 영상을 위한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다채널 영상 처리 방법
WO2019225808A1 (ko) * 2018-05-25 2019-1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 개의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10035039A (ko) * 2019-09-23 2021-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기 검출 방법 및 장치
CN114500849A (zh) * 2022-02-21 2022-05-13 上海东方传媒技术有限公司 一种多视角环绕拍摄矫正方法及系统
US11869365B2 (en) 2019-09-23 2024-01-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unmanned aerial vehic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871A (ko) * 2018-02-27 2019-09-04 포디리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다채널 영상을 위한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다채널 영상 처리 방법
WO2019225808A1 (ko) * 2018-05-25 2019-1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 개의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10035039A (ko) * 2019-09-23 2021-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기 검출 방법 및 장치
US11869365B2 (en) 2019-09-23 2024-01-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unmanned aerial vehicle
CN114500849A (zh) * 2022-02-21 2022-05-13 上海东方传媒技术有限公司 一种多视角环绕拍摄矫正方法及系统
CN114500849B (zh) * 2022-02-21 2023-11-24 上海东方传媒技术有限公司 一种多视角环绕拍摄矫正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6187A (ko) 복수의 카메라들을 정렬하기 위한 카메라 영상 분석 방법 및 영상 분석 표시 장치
KR101761751B1 (ko) 직접적인 기하학적 모델링이 행해지는 hmd 보정
CN107071376B (zh) 一种投影拼接显示校正方法及装置
KR102281184B1 (ko)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CN103329518B (zh) 拍摄系统及其使用的摄像机控制装置、拍摄方法及摄像机控制方法
US20200074646A1 (en) Method for obtaining image tracking point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10303926B2 (en) Decreasing lighting-induced false facial recognition
CN109584307B (zh) 改进摄像机固有参数校准的系统和方法
JP6016268B2 (ja) フィールド作業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053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s
US8902323B2 (en) Fac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taking group photo
JP2012212428A (ja) 視差算出装置、距離算出装置及び視差算出方法
KR201600578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의한 이미지 처리 방법
CN110245561A (zh) 一种人脸识别方法及装置
JP2005309746A (ja) 動物体追跡方法、動物体追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ならびに、動物体追跡装置
KR102037997B1 (ko) 전자 장치 및 콘텐츠 생성 방법
WO2022193516A1 (zh) 一种基于深度相机的人流分析方法及装置
KR102466942B1 (ko) 얼굴 인식을 위한 얼굴 자세 등록 장치 및 방법
CN107995476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装置
US201802764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70133666A (ko) 영상 분석을 이용한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CN114495195B (zh) 一种应用于视频会议系统的人脸检测方法及视频会议系统
JP6262610B2 (ja) 情報登録装置及び情報継続登録装置並びに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279352B (zh) 通过投球练习的三维信息获取系统及摄像头参数算出方法
JP5985327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