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409A -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 Google Patents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409A
KR20180015409A KR1020160098889A KR20160098889A KR20180015409A KR 20180015409 A KR20180015409 A KR 20180015409A KR 1020160098889 A KR1020160098889 A KR 1020160098889A KR 20160098889 A KR20160098889 A KR 20160098889A KR 20180015409 A KR20180015409 A KR 20180015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filter
mask
suc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온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일리스
(주)루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일리스, (주)루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일리스
Priority to KR102016009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5409A/ko
Publication of KR20180015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들숨과 날숨이 서로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마스크 본체가 얼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를 제시한다. 제시된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돌출부에 설치되고 날숨시에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마스크 본체의 일측부에 형성시킨 연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정화된 공기를 연결부를 통해 마스크 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을 포함한다.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은 기판 수납용 하우징과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 및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을 포함하되, 기판 수납용 하우징의 내부에는 PCB 기판이 수납되고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의 내부에는 흡입팬이 수납되고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의 내부에는 공기 정화 필터가 수납된다.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의 일측 끝단부에는 공기 정화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설치된다.

Description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Portable air purification mask}
본 발명은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을 갖춘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지공장, 방직공장, 채석장 등의 작업환경에서는 많은 분진이 발생하며, 또한 각종 화학공장 및 용접, 제련, 도금 등의 금속가공공장의 작업환경에서는 다량의 유독성 기체가 발생한다.
이러한 분진 등을 작업자가 흡입할 경우 폐 등에 치명적인 질환을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식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는 먼지나 유해물질이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해환경으로부터 자신의 건강을 보호하는 공기정화 마스크를 착용하게 된다.
근래에 들어서는 분진발생 작업시 작업자의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간단하고 가벼우며 또한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작업장의 오염 정도에 따라 일회 또는 수회의 반복 사용 가능한 필터지에 의한 반구형의 방진 마스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에 따라, 무전원 정전기를 보유한 원통형 공기 청정 필터를 마스크에 부착하여, 기존의 여과 필터(직포, 부직포)를 사용하여 제작한 감염 방지용 마스크의 단점들인 낮은 집진율, 압력 상승에 따른 통기성의 저하 등을 시정하기 위한 방진 마스크가 제안되었다.
도 1은 무전원 정전기를 보유한 원통형 공기 청정 필터를 마스크에 부착한 종래의 마스크의 일 예이다.
도 1의 마스크는 고분자 합성수지 필름(1)에 10 내지 40kV의 하전장치에 의하여 하전을 함과 동시에 다수의 돌기(2)를 형성한다. 그리고, 필름(1)을 통형상으로 감아서 공기의 흐름방향과 평행한 통기로(3)을 형성하여 마스크(5)와 입이 접촉하는 부위에 부착한다. 한편, 통기로(3) 이외의 부분은 비닐, 코팅된 포직, 모양이 형성된 고무, 수지(4) 등을 사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막는다.
그런데, 상술한 도 1의 마스크는 정전기를 보유한 원통형 공기 청정 필터를 이용하되, 입에 접촉하는 부위인 마스크 중앙부위에 필터를 부착하고, 나머지부위는 공기 유입이 안되는 소재로 마스크를 만듬으로써, 공기유입은 원통형 필터로만 유입된다.
따라서, 종래의 마스크(도 1 참조)는 숨을 내쉴 때에도 원통형 공기 청정 필터를 통해서 대부분이 나간다. 즉, 수분이 많은 날숨이 원통형 공기 청정 필터로 나가면 정전기 집진능력이 현저히 감소되고, 그에 따라 공기정화능력이 감소된다.
그리고, 종래의 마스크(도 1 참조)는 1개의 원통형 공기 청정 필터를 통해서만 흡입과 배출을 하므로 통기성이 원할하지 않을 경우 내쉬는 숨이 마스크밖으로 전부 배출되지 못한 채 유입된 공기와 섞여서 호흡된다. 이와 같이 1개의 원통형 공기 청정 필터를 통해서만 흡입과 배출을 하므로 통기성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는 마스크와 얼굴 사이의 틈으로 공기유입과 배출이 된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38240호(영구정전기 나노필터를 이용한 감염방지마스크)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1474호(방진마스크)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39204호(하우징을 장착한 방진마스크) 선행기술 4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9123호(방진마스크)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들숨과 날숨이 서로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마스크 본체가 얼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돌출부에 설치되고, 날숨시에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부에 형성시킨 연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정화된 공기를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은 기판 수납용 하우징과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 및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기판 수납용 하우징의 내부에는 PCB 기판이 수납되고 상기 기판 수납용 하우징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의 내부에는 흡입팬이 수납되고, 상기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의 내부에는 공기 정화 필터가 수납되고, 상기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의 일측 끝단부에는 상기 공기 정화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부는, 들숨시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날숨시에만 배출가능하게 동작하는 일방향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배출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배출 구멍은 상기 돌출부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배출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배출 구멍은 상기 돌출부의 저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수납용 하우징과 상기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 및 상기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은 일체로 직렬로 구성되거나 상호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배출구는 직접적으로 상호 연결되거나 연결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착용자가 코로 숨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부에서 코부위에 근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테두리부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 필터는 전처리 카본필터 및 영구정전기 필름 필터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 필터는 고분자 플라스틱 필름에 하전함과 더불어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원통형으로 감아서 필름 사이에 통기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기로가 상기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은 상기 기판 수납용 하우징과 상기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이 구동됨에 따라 외부 공기가 상기 흡입 구멍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흡입팬을 경유하여 상기 공기 정화 필터에게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을 마스크의 일측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하고 코부위에 배출부를 설치함으로써, 흡입부(마스크의 일측부)과 배출부(마스크의 코부위)의 위치를 다르게 하게 되어 들숨과 날숨이 서로 방해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가 얼굴에 착 달라 붙도록 성형금형을 통하여 입체감을 준다.
또한, 마스크에 부착된 흡입부(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는 탈부착이 가능하고, 마스크 본체는 세탁이 가능하고, 소독후 여러 차례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무전원 정전기를 보유한 원통형 공기 청정 필터를 마스크에 부착한 종래의 마스크의 일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흡입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공기 정화 모듈내의 공기 정화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공기 정화 모듈내의 공기 정화 필터의 일부 전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흡입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공기 정화 모듈내의 공기 정화 필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공기 정화 모듈내의 공기 정화 필터의 일부 전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10)에 형성된 돌출부(20)의 저부에 설치된 배출부(30), 및 마스크 본체(10)에 형성된 연결부(40)에 연결되는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60)을 포함한다.
마스크 본체(10)는 유해물질이 착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지 않도록 착용자의 얼굴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입과 코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부직포 및 정전필터 재질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마스크 본체(10)의 일측부에는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6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부(40)는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60)과 연결되는데, 끼움결합 방식으로 연결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60)의 배출구(61)가 연결부(40)의 내부에 끼워지거나, 연결부(40)가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60)의 배출구(61)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60)에서 정화된 공기가 연결부(40)를 통해 마스크 본체(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부(40)는 착용자가 코로 숨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스크 본체(10)의 일측부에서 코부위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부(40)와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호스(도시 생략)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별도의 호스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연결부재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10)에는 돌출부(20)가 형성된다. 돌출부(20)는 착용자가 마스크 본체(10)를 착용하였을 경우 코 부위에 해당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0)는 볼록하게 돌출된다.
배출부(30)는 착용자의 배기만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출부(30)에는 다수의 배출 구멍(30a)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출 구멍(30a)은 돌출부(20)의 저면에 형성된다.
배출부(30)는 들숨시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날숨시에만 배출가능하게 동작하는 일방향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방향 체크밸브는 도면에서 보여지지 않지만, 돌출부(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고 이해하면 된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부(50)가 돌출형성된다. 테두리부(50)는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데, 특히 착용자의 얼굴중에서 광대뼈 부분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광대뼈 부분과의 밀착을 위해 해당 부위가 라운드졌다. 이에 의해 마스크와 얼굴 사이의 틈새를 없애줄 수 있다.
공기 정화 모듈(60)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기판 수납용 하우징(62)과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63) 및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64)을 포함하되, 기판 수납용 하우징(62)의 내부에는 PCB 기판(65)이 수납되고,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63)의 내부에는 흡입팬(67)이 수납되고,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64)의 내부에는 공기 정화 필터(68)가 수납된다. 그리고,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64)의 일측 끝단부에는 공기 정화 필터(68)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61)가 설치된다.
여기서, 기판 수납용 하우징(62)과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63) 및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64)은 일체로 직렬로 구성되거나 상호 끼움결합될 수 있다.
기판 수납용 하우징(62)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흡입)되는 흡입 구멍(62a)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 수납용 하우징(62)의 내부에는 배터리 등도 수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판 수납용 하우징(62)의 일측 끝단부에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극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PCB 기판(65)에는 흡입팬(67)의 풍속 조절(예컨대, 강/중/약 등으로 조절)을 위한 제어기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63)은 기판 수납용 하우징(62)과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64) 사이에 설치된다.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63)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63a)가 형성되고,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63)의 내부에는 흡입팬(67)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66)가 설치된다.
여기서, 흡입팬(66)은 도 5에서와 같이, 팬 하우징(67a)의 중앙에 모터 팬(67b)을 설치한 것으로서, 기판 수납용 하우징(62)의 흡입 구멍(62a)과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64)의 공기 정화 필터(68) 사이에 설치된다. 흡입팬(66)을 거치대(66)에 설치할 때 팬 하우징(67a)의 주위에 고무 또는 연질 합성수지제 탄성링(67c)을 스크류 등으로 고정하여 탄성링(67c)을 거치대(66)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입팬(66)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을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게 한다.
공기 정화 필터(68)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틸렌 등의 고분자 플라스틱 필름(71)에 하전장치에 의하여 하전하여 정(+)극성과 부(-)극성의 전하(정전기)를 보유함과 더불어 다수의 돌기(72)를 형성하고, 필름(26)을 원통형으로 감아서 필름 사이에 통기로(73)를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원통형으로 감겨진 공기 정화 필터(68)는 하우징(69)에 수납되어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64)내에 수납되고, 통기로(73)가 하우징(69)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정화하려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위치한다. 즉, 통기로(73)가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64)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필름(71)의 두께는 대략 0.1~1mm 로 형성하여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72)의 높이는 대략 0.1~5mm 의 범위 내에서 집진하려는 공기의 조건, 통기량(흡입 공기량)에 따라서 통기로(73)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돌기(72)는 그 높낮이를 필름(71)의 폭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력손실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즉, 필름(71)의 폭을 작게 할 경우에는 돌기(72)의 높이를 작게 형성하고, 필름(71)의 폭을 크게 할 경우에는 돌기(72)의 높이를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기(72)는 불규칙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돌기(72)를 불규칙하게 형성하게 되면 집진(정화)하려는 공기가 통기로(73)를 통과할 때 돌기(72)에 부딪쳐 우회통로를 형성하여 상호 마찰함으로써 집진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한편, 공기 정화 필터(68)는 전처리 카본필터 및 영구정전기 필름 필터를 혼합한 구성이어도 된다. 다시 말해서, 전처리 카본필터의 일면에 영구정전기 필름 필터가 적층된 구조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영구정전기 필름 필터는 앞서 설명한 공기 정화 필터(68)의 구조(즉,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틸렌 등의 고분자 플라스틱 필름(71)에 하전장치에 의하여 하전하여 정(+)극성과 부(-)극성의 전하(정전기)를 보유함과 동시에 다수의 돌기(72)를 형성하고, 필름(71)을 원통형으로 감아서 필름 사이에 통기로(73)를 형성한 것)로 구성될 수 있다.
이번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공기 정화 모듈(60)을 마스크 본체(10)의 연결부(40)에 연결시킨 후, 공기 정화 모듈(60)내의 흡입팬(67)을 구동시킨다.
그에 따라, 외기가 공기 정화 모듈(60)의 흡입 구멍(62a)을 통해 흡입되어 흡입팬(67)을 경유하여 공기 정화 필터(68)에게로 유입된다.
공기 정화 필터(68)에게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 정화 필터(68)의 통기로(73)를 통과하면서 필름(71)에 영구적으로 부여된 전하(정전기)와 분진 등이 대전함으로써 집진됨과 더불어 산성 또는 알카리성 가스, 미생물 등이 집진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구(61)를 통하여 마스크 본체(10)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가 집진 정화될 때, 극성을 띠고 있는 분진, 산성 또는 알카리성 가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은 공기 정화 필터(68)의 필름(71)에 보유된 정전기(정극성 및 부극성의 전하)와 대전함으로써 포집 정화된다. 그리고, 극성을 띠지 않은 분진 등은 공기 정화 필터(68)의 필름(71)에 보유된 정전기의 유도에 의하여 극성을 띠게 됨으로써 분진 등의 집진 정화 성능이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기가 집진 정화될 때 집진하려는 공기는 통기로(73)와 평행하게 흐름으로써 압력손실이 작게 되고, 또한 집진하려는 공기의 통과 길이가 길게 되어 대전이 양호하게 됨으로써 집진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한편, 공기 정화 필터(68)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경우에는 돌기(72)의 높이를 크게 하고, 길이를 짧게 형성할 경우에는 돌기(72)의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60)을 마스크 본체(10)의 일측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하고 코부위에 배출부(30)를 부착함으로써, 흡입부(마스크의 일측부)와 배출부(마스크의 코부위)의 위치가 다르게 된다. 이에 의해, 들숨과 날숨이 서로 방해하지 않게 된다. 즉, 들숨시에는 마스크 본체(10)의 일측부에 연결되는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60)로부터의 외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날숨시(즉, 흡입한 공기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배출부(30)의 배출 구멍(30a)을 통해서만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마스크 본체(10)의 테두리부(50)가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되므로, 들숨시 및 날숨시에는 마스크 본체(10)가 얼굴에 착 달라 붙을 수 있게 되어 마스크와 얼굴 사이의 틈새를 없애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와 비교하여 보면, 배출부의 배출 구멍의 위치에서 차이나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도 2 참조)에서 배출부(30)는 배출 구멍(30a)을 돌출부(20)의 저면에 형성시켰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도 8 참조)에서 배출부(80)는 배출 구멍(80a)을 돌출부(20)의 저부 측면에 형성시켰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의 작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의 작용과 대동소이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마스크 본체
20 : 돌출부
30 : 배출부
40 : 연결부
50 : 테두리부
60 : 공기 정화 모듈

Claims (9)

  1.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돌출부에 설치되고, 날숨시에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부에 형성시킨 연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정화된 공기를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외장형 공기 정화 모듈은 기판 수납용 하우징과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 및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기판 수납용 하우징의 내부에는 PCB 기판이 수납되고 상기 기판 수납용 하우징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의 내부에는 흡입팬이 수납되고, 상기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의 내부에는 공기 정화 필터가 수납되고,
    상기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의 일측 끝단부에는 상기 공기 정화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들숨시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날숨시에만 배출가능하게 동작하는 일방향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배출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배출 구멍은 상기 돌출부의 저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배출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배출 구멍은 상기 돌출부의 저부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 수납용 하우징과 상기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 및 상기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은 일체로 직렬로 구성되거나 상호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테두리부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필터는 전처리 카본필터 및 영구정전기 필름 필터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필터는 고분자 플라스틱 필름에 하전함과 더불어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원통형으로 감아서 필름 사이에 통기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기로가 상기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 수납용 하우징은 상기 기판 수납용 하우징과 상기 공기 정화 필터 수납용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이 구동됨에 따라 외부 공기가 상기 흡입 구멍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흡입팬을 경유하여 상기 공기 정화 필터에게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KR1020160098889A 2016-08-03 2016-08-03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KR20180015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889A KR20180015409A (ko) 2016-08-03 2016-08-03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889A KR20180015409A (ko) 2016-08-03 2016-08-03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409A true KR20180015409A (ko) 2018-02-13

Family

ID=6123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889A KR20180015409A (ko) 2016-08-03 2016-08-03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54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773A (ko) * 2019-07-18 2021-01-27 서병윤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
KR102337725B1 (ko) * 2021-01-19 2021-12-13 한국과학기술원 싸이클론을 활용한 음압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773A (ko) * 2019-07-18 2021-01-27 서병윤 보조 흡기구조를 갖는 마스크
KR102337725B1 (ko) * 2021-01-19 2021-12-13 한국과학기술원 싸이클론을 활용한 음압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5411A (ko)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US20200297962A1 (en) Super mask respirator system having a face mask and a sub-peak inspiratory flow blower
JP5916704B2 (ja) 空気濾過装置
KR101968591B1 (ko) 고성능 공기정화 마스크
RU257934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воздуха с регулируемой системой распределения воздуха
JP5851487B2 (ja) 二重化給気システム付きヘルメット装着型レスピレータ器具
RU257934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воздуха, содержащее подсекции, между которыми отсутствует связь по текучей среде
US20180028846A1 (en) Breath Responsive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EP3512608B1 (en) Exhalation valve and respirator including same
KR20200032887A (ko) 미세먼지 방지용 이중마스크
KR101574021B1 (ko) 전동식 공기정화 호흡기 보호구
CN203852751U (zh) 一种便携式空气净化器
KR20090092815A (ko) 사용자 입에 유지되게 배치된 소형화 호흡 보호 장치
US11938352B2 (en) Filtering mask assembly
KR20180015409A (ko) 휴대용 공기정화 마스크
KR102428122B1 (ko) 휴대용 공기공급장치
CN111589010A (zh) 一种口罩
SG2013097183A (en) Respiratory devices
CN111135495A (zh) 口罩用排出阀、带有该排出阀的口罩及该口罩的挂带部
KR20220032685A (ko) 배출 및 흡입공기 제어수단을 구비한 마스크형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KR102390122B1 (ko) 원활한 호흡이 가능하고 정화 및 항균기능이 뛰어난 기능성 마스크
CN106924905A (zh) 可穿戴呼吸装置
EP3919137A1 (en) Super mask respirator system having a face mask and a sub-peak inspiratory flow blower
CN212522760U (zh) 一种口罩
CN216653167U (zh) 一种用于固定空间岗位的污染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