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796A -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796A
KR20180014796A KR1020180009375A KR20180009375A KR20180014796A KR 20180014796 A KR20180014796 A KR 20180014796A KR 1020180009375 A KR1020180009375 A KR 1020180009375A KR 20180009375 A KR20180009375 A KR 20180009375A KR 20180014796 A KR20180014796 A KR 20180014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image
display
recognized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3632B1 (ko
Inventor
박진
정용수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6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지 확인하고,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을 연기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것에 대한 발명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태블릿(Tablet)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어, 현대인들의 일상생활에 있어 필수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인터넷 서핑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데 휴대단말기를 이용한다.
이렇게 휴대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단순한 전화기능만을 제공할 때보다 휴대단말기를 보다 자주 그리고 더 오래 사용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사용시간이 증가할수록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는 급격히 증가하게 되므로, 최근의 휴대단말기는 여러 가지 방안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휴대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극대화고자 노력하고 있다.
휴대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안 중에서, 디밍 모드(Dimming Mode)와 락 스크린 모드(Lock Screen Mode)로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를 변환하는 것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디밍 모드는 미리 정해진 동안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조작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면, 표시화면의 밝기를 낮추어 표시장치(예를 들어, LCD)에 의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안이다. 락 스크린 모드는 디밍 모드로 진입한 후에도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조작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표시화면을 더 이상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표시장치의 전력 소모를 없애는 방안이다.
전술한 디밍 모드와 락 스크린 모드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경과 여부를 토대로 진입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사용에 여러 가지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서핑 중 장문의 내용이 게시된 글을 읽을 경우,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디밍 모드로 진입하여 표시화면의 밝기를 떨어뜨려 인터넷 서핑 이용에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사용에 불편함을 끼치지 않는 발명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사용에 불편함을 끼치지 않는 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지 확인하고,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여부의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을 연기하는 과정과, 상기 여부의 확인 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카메라 모듈과, 제1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지 확인하고,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을 연기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디밍 모드 및 락 스크린 모드의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휴대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사용에 불편함을 끼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디밍 모드 진입시에도 종래의 디밍 모드일 때보다 전력 소모를 더욱더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에 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에 관한 제1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에 관한 제2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에 관한 제3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단말기,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태블릿(Tablet) 또는 휴대용 게임기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가정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25)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소리 정보로 통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25)는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가 디밍 모드 또는 락스크린 모드로 진입(전환)하면, 동작모도의 진입 여부를 사용자에게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 또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등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키입력부(27)는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50)는 키입력부(27)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27)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소정의 미리 설정된 키를 입력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수동으로 디밍 모드 또는 락 스크린 모드로 전환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27) 또는 표시부(5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진입중인 제1절전모드 또는 제2절전모드가 해제(예를 들어, 정상적인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로의 전환을 요청)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30)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등의 외장형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0)는 HDD(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isk) 등과 같은 디스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40)은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또는 촬영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사용자는 이를 통해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0)은 빛을 집광하여 카메라센서로 전달하며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렌즈와, 영상의 촬영시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센서와, 촬영된 영상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카메라메모리와, 촬영시의 주변 상황에 따라 적절한 광량을 제공하는 플래쉬와, 카메라 모듈(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카메라센서를 통해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카메라제어부 등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유닛에 대해서 별도로 표시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40)은 복수의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어 복수의 카메라 모듈 모두가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0)와 같은 면에 위치하는 전면카메라(40a) 모듈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피사체를 감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40)은 미리 설정된 피사체를 감지하는 용도로 이용되고, 이를 통해 제1절전모드 또는 제2질전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데, 미리 설정된 피사체는 사용자의 얼굴과 같은 사람의 얼굴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런데,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카메라모듈(40)은 미리 설정된 피사체 대신에 사람의 홍체를 인식하고 홍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데 이용되어, 사람의 시선이 표시부(50) 쪽을 향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40)에 의해 사람의 시선이 표시부(50)를 향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제1절전모드 또는 제2절전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모듈(40)을 통해 홍체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시선이 표시부(50)를 향하는지 판단하는 기술은 종래기술에 속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입력부(27) 또는 표시부(5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전환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제1절전모드인 디밍 모드 또는 제2절전모드인 락 스크린 모드로 진입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계속 사용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키입력부 또는 표시부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키 입력)이 소정 시간 동안 발생되지 않으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1절전모드 또는 제2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절전 모드는 제어부(10)의 동작 클럭을 다운 클럭하거나 오디오 처리부(25)를 오프(off)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모드로 이해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절전모드로의 진입을 디밍 모드로의 진입으로, 제2절전모드로의 진입을 락 스크린 모드(또는 스크린 잠금 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가 디밍모드로 진입하였을 경우에 배터리(미도시)의 전력 소모를 보다 최소화할 수 있도록, 표시부(50)의 감마값 및 대비값을 추가적으로 조절하도록 제어하며, 이는 도 5를 통해 설명될 수 있는데 후술되는 바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표시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표시부(50)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 방식 등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패널(Panel), 구동부(Driver IC), 연성회로(FPCB; Flexible PCB), 백 라이트(Back light, 표시부가 LCD일 경우 포함됨) 등 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별도로 표시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는 제어부(10) 및 구동부의 제어에 따라 공급전압이 조절되어 표시부(50)의 밝기가 조절되는 디밍(dimm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디밍 기능은 본 발명의 표시부(50)가 LCD이면 CCFL(Cold Cathode Florescent Lamp) 또는 LED로 구성되는 백라이트에 대한 공급전원이 조절되어 제공되고, 본 발명의 표시부(50)가 OLED이면 표시부를 구성하는 픽셀 전체(또는 개별)의 밝기가 조절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소정 시간이 지나면 락(Lock) 해제 전까지는 표시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락 스크린(Lock Screen)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는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가 디밍모드일 때(예를 들어, 표시부의 밝기값이 작아졌을 때),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감마값 및 대비값을 추가적으로 조절되어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0)는 디밍 모드로 진입함으로 인해 표시밝기(표시화면의 표시밝기)가 디밍 모드 진입 이전보다 어두워진 상태(예를 들어, 표시부의 밝기 속성이 작게 조절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검은색이 흰색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감마값 및 대비값이 조절(예를 들어, 작게 또는 낮게 조절)되어 왜곡된 표시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블록도에는 GPS(Ground Positioning System)모듈, 블루투스 모듈, WiFi 모듈,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지자계 센서 및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수신기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는 장치들이 미도시되었으나, 이들 미도시된 장치들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에 포함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구도에 필요한 배터리가 도 1의 블록도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배터리 또한 내장형 또는 탈착 가능한 형태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는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여 휴대단말기의 운동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의 표시방향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근접을 감지하는데, 터치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이로스코프(gyroscope)는 회전하는 휴대단말기의 역학적인 움직임을 관찰하는데, 가속도 센서와 연동되어 휴대단말기의 6축, 즉, 상하, 좌우, 전후방, x축, y축 및 z축의 회전 모션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과정에 관한 제1예시도 내지 제3예시도이다.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201-S202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제1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지 확인하고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카메라 모듈(40)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인터넷 브라우저)이 실행되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는 도중에, 키입력부(27) 또는 표시부(50)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키입력이 사용자로부터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초) 동안 입력되지 않을 경우, 종래기술의 경우 즉각 절전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키입력 또는 휴대단말기의 조작(예를 들어, 휴대단말기를 가로 또는 세로로 기울임)이 없을 경우 즉각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대신에, 카메라 모듈(40)이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S203-S205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카메라 모듈(40)을 통해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제1절전모드로 진입(또는 전환)하는 것을 연기하도록 제어하고, 구동중인 카메라 모듈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는 구동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미리 설정된 피사체(예를 들어, 사람의 얼굴)가 인식되는지 확인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카메라 모듈(40)을 통해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된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가 제1절전모드로 진입되는 것을 소정의 시간 동안 연기(예를 들어, 10초)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절전모드는 디밍모드에 대응되고 후술될 제2절전모드는 락 스크린 모드에 대응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디밍 모드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키입력이 없을 경우 진입되고 락 스크린 모드는 디밍 모드 상태에서 다시 소정 시간 동안 키입력이 없을 경우 진입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S203 단계에서는 카메라 모듈(40)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는 것을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계속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계속 사용하고 있음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203 단계에서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면 사람의 시선이 표시부(50) 또는 휴대단말기의 본체 방향을 향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람의 시선을 확인하는 것은 사람의 홍채 및 홍채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에 의해 가능한데, 이는 종래기술에 해당함으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206-S207 단계에서, 제어부(10)는 S203 단계의 확인 결과에서 미리 설정된 피사체가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고, 구동중인 카메라 모듈(40)의 구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는 카메라모듈(40)을 통해 미리 설정된 피사체(즉,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제1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절전모드는 디밍 모드에 대응되기 때문에, 제어부(10)는 S206 단계에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화면의 표시 밝기를 디밍 모드 진입 이전보다 어둡게 조절하여, 표시부(50)에 의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
제1절전모드의 진입이 진행된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즉시 구동중인 카메라 모듈(40)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제어하여, 카메라 모듈(40)의 구동에 따른 전력 소모 또한 최소화하도록 제어한다.
S208 단계에서, 제어부(10)는 표시부의 감마값 및 대비값을 추가적으로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S206 및 S207 단계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제1절전모드(즉, 디밍 모드)로 진입하고 카메라 모듈(40)의 구동이 중지되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활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절전모드에서의 배터리 소모를 보다 최소화할 수 있도록 표시부(50)의 감마값 및 대비값을 제1절전모드에 대응되게(즉, 표시부(50)에 의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조절한다.
표시부(50)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은 여러가지 색상이 표시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검은색이 표시될 때보다 흰색이 표시될 때가 배터리를 보다 많이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디밍 모드로 진입하여 표시부(50)의 표시밝기(표시화면의 표시밝기)가 디밍 모드 진입 이전보다 어두워진 상태(예를 들어, 표시부의 밝기 속성이 작게 조절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검은색이 흰색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표시되도록 왜곡되게 표시화면이 표시되도록 감마값 및 대비값을 조절(예를 들어, 작게 또는 낮게 조절)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것이 일반적인 표시부(50)의 속성일 경우, 제1절전모드에 진입하여 표시부(50)의 밝기값 속성이 낮아지고, 추가적으로 표시부(50)의 감마값 및 대비값 속성 또한 낮게 조절되면, 표시부(5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속성을 가지게 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0)의 표시 속성이 변경되면, 표시부(50)는 도 5의 (a)의 표시 속성을 가질 때 보다 전력을 덜 소모하게 된다.
S209-S210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제1절전모드 진입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가 제2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제1절전모드로 진입한 후에도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제2절전모드(즉, 락 스크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락 스크린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표시부(50)의 구동은 중지되며, 추후 사용자가 다시 휴대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키 조작을 할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김 상태에 있는 스크린에 대해 소정의 입력(예를 들어, 슬라이드 터치 입력)이 입력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1)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제1 밝기로 동작하는 중, 제1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밝기로 동작하는 중, 상기 제1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전자 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캡쳐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에서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1 밝기로부터 상기 제1 밝기보다 더 어두운 제2 밝기로 변경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1 밝기로 유지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 밝기로 동작하는 중, 제2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이 없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2 밝기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1 밝기로부터 상기 제2 밝기로 변경하는 동작 이후에,
    상기 전자 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캡쳐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에서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제2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이 없으면, 상기 화면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2 밝기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 이후에,
    상기 전자 장치를 잠긴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긴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이후에,
    미리 지정된 입력에 의해 상기 잠긴 상태가 해제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1 밝기로부터 상기 제2 밝기로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 값, 감마 값, 또는 대비(contrast)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1 밝기로부터 상기 제2 밝기로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변경하는 동작에 대응하여 지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서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에서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서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서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에서 사람의 시선이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서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에서 사람의 홍채 또는 홍채의 움직임이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전자 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1 밝기로 동작하는 중, 제1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밝기로 동작하는 중, 상기 제1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이 없으면, 상기 이미지 센서가 이미지를 캡쳐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에서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1 밝기로부터 상기 제1 밝기보다 더 어두운 제2 밝기로 변경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1 밝기로 유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 밝기로 동작하는 중, 제2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2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이 없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2 밝기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1 밝기로부터 상기 제2 밝기로 변경하도록 제어한 이후,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캡쳐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제2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이 없으면, 상기 화면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2 밝기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하도록 제어한 이후에,
    상기 전자 장치를 잠긴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긴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이후에,
    미리 지정된 입력에 의해 상기 잠긴 상태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 값, 감마 값, 또는 대비(contrast)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1 밝기로부터 상기 제2 밝기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1 밝기로부터 상기 제2 밝기로 변경할 때, 상기 스피커를 통해 지정된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서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이미지에서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전자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이미지에서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전자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서 사람의 시선이 인식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이미지에서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전자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서 사람의 홍채 또는 홍채의 움직임이 인식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이미지에서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전자 장치.
  2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전자 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이미지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1 밝기로 동작하는 중, 제1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밝기로 동작하는 중, 상기 제1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이 없으면, 상기 이미지 센서가 제1 이미지를 캡쳐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캡쳐된 제1 이미지에서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1 밝기로부터 상기 제1 밝기보다 더 어두운 제2 밝기로 변경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상기 제1 밝기로 유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2 밝기로 동작하는 중, 상기 이미지 센서가 제2 이미지를 캡쳐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제2 특정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이 없으면, 상기 화면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009375A 2018-01-25 2018-01-25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13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375A KR101913632B1 (ko) 2018-01-25 2018-01-25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375A KR101913632B1 (ko) 2018-01-25 2018-01-25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425A Division KR101824413B1 (ko) 2011-08-30 2011-08-30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796A true KR20180014796A (ko) 2018-02-09
KR101913632B1 KR101913632B1 (ko) 2018-11-01

Family

ID=6119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375A KR101913632B1 (ko) 2018-01-25 2018-01-25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63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2650A (ja) 2008-04-09 2009-10-29 Nec Saitama Ltd 情報端末の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632B1 (ko)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413B1 (ko)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1127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based on frequency operation cycl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frequency
CN109981839B (zh) 一种具有柔性屏幕的电子设备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2199436B1 (ko) 단말기 제어 방법 및 단말기
CN101815127B (zh) 移动终端及其屏幕视效调整方法
US10025380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gaze detection capabilities
WO2020020063A1 (zh) 对象识别方法及移动终端
US11323619B2 (en) Method of controlling camera and terminal
US20200043427A1 (en) Backlight adjusting method and backlight adjusting device
CN112740152B (zh) 手写笔检测方法、系统及相关装置
CN110244893A (zh) 一种分屏显示的操作方法及电子设备
CN110012153A (zh) 灭屏显示的方法和电子设备
WO2017113326A1 (zh) 显示屏背光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13964900A (zh) 动态调节电源适配器的供电电压的方法及电子设备
KR20130093962A (ko) 휴대 단말기등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안면 인식을 이용한 소비 전력 저감 방법 및 장치
CN110851107B (zh)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4422686A (zh) 参数调整方法及相关装置
KR101913632B1 (ko) 휴대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5798418A (zh) 图像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6264635A (zh) 长焦拍照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821129A (zh) 一种显示窗口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7516028B (zh) 便携式电子装置及其运作方法
CN111163223A (zh) 闪光灯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16700585B (zh) 熄屏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3207715A1 (zh) 亮屏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