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653A -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653A
KR20180014653A KR1020170080878A KR20170080878A KR20180014653A KR 20180014653 A KR20180014653 A KR 20180014653A KR 1020170080878 A KR1020170080878 A KR 1020170080878A KR 20170080878 A KR20170080878 A KR 20170080878A KR 20180014653 A KR20180014653 A KR 20180014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ming
call
user
management server
intern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4734B1 (ko
Inventor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이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희 filed Critical 이진희
Publication of KR20180014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전송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미리 구비된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부터 해당 사용자가 착신 받고자 하는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한 후, 상기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바탕으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전송하는 로밍 관리서버와, 음성 전용회선 또는 국제 전화망을 통해 상기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며,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발신통화 단말기가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로 발신할 경우, 상기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발신을 수행하여 상기 발신통화 단말기와 상기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에 수신통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통화 단말기기로 국제 로밍통화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음영지역에서 유선전화에 의한 국제 로밍통화, 착신만 가능한 회선 혹은 통화 단말기로도 발신통화가 가능하며, 사설망 밖에서도 사설망의 전용회선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경제성과 활용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INTERNATIONAL ROAMING SERVICE SYSTEM USING INTERN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외국 출장, 외국 여행하는 사람들의 수가 상당한 수준에 이르러, 외국 어디에 가 있더라도 언제나, 어디서나 통화가 필요한 수요가 크게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회사들 간의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가 보편화되어 많은 가입자가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국제 로밍 서비스 사용자에게는 그 서비스 요금이 과다하여 국제 로밍 전화발신은 물론 로밍 착신전화를 받지 않거나 스스로 활용을 절제하고 있고 또, 현지에서 걸려온 착신전화도 국제 로밍 착신전화로서 부가적인 로밍 착신 요금을 내야 되는 실정이다.
한편, 인터넷 환경에서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술을 접목한 음성통화 서비스는 매우 저렴한 이유를 강점으로 발전하였으며, 상당한 부분의 국제 전화통신 수요를 잠식하고 있으나, 공중망 인터넷의 정보 전송량과 속도 제약에 의한 음질 문제 때문에 사용자의 불만이 있었다.
또한, 국제 데이터 로밍 서비스에 의한 mVoIP 음성통화는 오히려 일반 음성 국제 로밍 전화보다 요금이 훨씬 비싼 실정으로, 주로 무료 와이파이(Wi-Fi) 지역에서만 활용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기간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국가간 인터넷 전용회선을 임대하여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방식에 의해 저렴한 국제전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외국 현지에 교환기를 보유하고 있지 않거나, 현지에서 접속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운영할 수 없을 경우에는, 국내에서 발신만 즉, 현지에서는 착신만 가능하기 때문에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외국 현지의 이동통신 인프라(Infra)가 미흡하여 이동통신 전화가 불가능한 음영 지역에서는 국제 로밍 서비스를 받더라도, 통화를 할 수 없어 연락두절의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도 많다.
한편, 외국 여행, 외국 출장 간 현지 국가에서 구입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활용하면 비교적 저렴한 국제전화 및 현지 가입자 간의 통화가 가능하지만, 변경된 전화번호를 국내의 다른 사람은 알 수 없어 변경된 전화번호를 알려주기 전에는 통화할 방법이 없었다.
그리고, 회사나 단체에 근무하는 사람이 사무실 밖의 외부에서 유선 전화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활용하여 회사 또는 단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렴한 국제 전용회선의 접속으로 국제통화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불편해 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국제 로밍 시스템은 기술적으로 규격이 다른 시스템 혹은 망(Network) 사이의 로밍(Roaming)은 안되거나, 운영자에 의한 설정으로 가능하나 활용에 불편함이 있다.
한편, 종래의 국제 로밍 서비스는 자동 로밍이 되어 편리하지만, 국제 로밍 요금이 과다하다고 판단하여 기피하는 사람이 많고, 해외 유선 전화기로의 착신이 안되어 불편해 하는 사용자가 많은 실정이다.
국내특허등록 제10-08841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로밍 관리서버에 국제 로밍정보를 등록하고, 로밍 관리서버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등록된 국제 로밍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국제통화경로를 탐색하여 착신전환을 설정하고,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의한 교환기를 통해 수신통화 및/또는 발신통화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통화 단말기기로 국제 로밍통화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음영지역에서 유선전화에 의한 국제 로밍통화, 착신만 가능한 회선 혹은 통화 단말기로도 발신통화가 가능하며, 사설망 밖에서도 사설망의 전용회선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경제성과 활용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국 현지 이동통신에 가입된 모바일기기 혹은 이동통신망의 음영 지역에서 통화불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선전화 등으로도 국제전화 수신, 발신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적이면서 현지의 이동통신 혹은 유선통신 수준의 통화품질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간통신사업자들이 각 국가 통신사업자 간의 협약에 의하여 보유하고 있는 인터넷 전용망의 회선을 임대하여, VoIP 방식에 의하여 국제통화회선을 구성하면 저렴하고 품질이 우수한 국제통화회선 망을 구축할 수 있으나, 외국 현지에 교환기나 회선 접속을 위한 현지 전화번호를 운영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국내에서 외국으로 발신만 가능하고 즉, 아웃바운드 호(outbound call)만 가능하고, 외국에서 국내로 수신은 불가능한, 즉 인바운드 호(inbound call)는 불가능한 회선의 경우라도, 아웃바운드 통화는 물론 인바운드 통화도 가능한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이동하는 국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통화경로가 있을 수 있으며, 시스템이 능동적으로 최적의 국제통화경로를 탐색하여 선택할 수 있게 하여, 국제통화경로 운영의 경제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사 또는 단체에서 외국 국가 간의 국제전용회선이 있더라도 사무실 안의 내선 전화기에서는 사용 가능하지만, 외출중의 경우에는 국제 전용회선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지만, 회사 또는 단체 사무실 밖에 있어도 모바일기기 혹은 유선 전화기로도 국제전화 발신 및 수신통화가 가능한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전송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미리 구비된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부터 해당 사용자가 착신 받고자 하는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한 후, 상기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바탕으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전송하는 로밍 관리서버; 및 음성 전용회선 또는 국제 전화망을 통해 상기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며,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발신통화 단말기가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로 발신할 경우, 상기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발신을 수행하여 상기 발신통화 단말기와 상기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에 수신통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은,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로밍 국가, 사용자가 착신전화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 로밍 기능을 시작하는 시간 및 로밍 기능을 종료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로밍 관리서버에 등록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은,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국가별로 음성 전용회선 또는 국제 전화망, 우선순위, 회선수, 국가코드, 접속코드, 요율 또는 분, 심야할인, 및 허용내선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은, 각 국가의 시간대별 우선순위, 시간대별 요율, 및 사용자의 등급(Class Of Service, COS)에 따른 특정 경로의 접속 허용여부 항목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이용하여 국가별 및 경로별 경로정보의 시간적, 상태적 조건과 해당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기 설정된 탐색조건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은,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미리 구비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할 수 있고,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와 함께 상기 전송된 해당 사용자의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가 미리 구비된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에 기록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회원 가입자의 이름, 아이디(ID), 비밀번호, 휴대폰 전화번호, DID(Direct Inword Dialing)착신번호, 및 고유 내선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은,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화원 가입자별로 회원 가입자의 고유 내선번호, 로밍 상태, 로밍 국가, 국가코드, 및 로밍 착신전화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미리 구비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의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매칭되는 고유 내선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인터넷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로밍등록 실패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신호는 인터넷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을 활용할 수 있고,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고정 IP(Internet Protocol) 또는 도메인 주소(Domain Address)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에 대한 접속코드 및 국가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통화경로에 접속하기 위한 호(Call)를 라우팅(Routing)할 수 있는 라우팅 식별번호(Prefix)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발신통화 단말기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에 착신되는 호(Call)를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를 미리 구비된 호 라우팅 테이블에 기록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 라우팅 테이블은,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고유 내선번호, 라우팅 식별번호(Prefix),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와 상기 교환기 사이의 제어명령 데이터 전송과 연동 프로토콜은 컴퓨터 전화 통합(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TI)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교환기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교환기에 의해 착신전환 설정 등록이 성공될 경우 상기 인터넷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착신전환 설정 등록 성공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시 전송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미리 구비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함과 아울러 상기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에서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인터넷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로밍 전화발신 요청 성공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함과 아울러 상기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에서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로 1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1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제1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1차 호(Call)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교환기를 통해 1차 호 발신을 수행한 후,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2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호(Call)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교환기를 통해 2차 호 발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 상기 교환기를 통해 수행된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되도록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 사이에 발신전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고유 내선번호이면서 로밍등록 중일 경우,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의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2차 호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모듈; 회원 가입자의 이름, 아이디(ID), 비밀번호, 휴대폰 전화번호, DID(Direct Inword Dialing)착신번호, 및 고유 내선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는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 화원 가입자별로 회원 가입자의 고유 내선번호, 로밍 상태, 로밍 국가, 국가코드, 및 로밍 착신전화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는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 국가별로 음성 전용회선 또는 국제 전화망, 우선순위, 회선수, 국가코드, 접속코드, 요율 또는 분, 심야할인, 및 허용내선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는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 고유 내선번호, 라우팅 식별번호(Prefix),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는 호 라우팅 테이블;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전송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부터 해당 사용자가 착신 받고자 하는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하는 로밍등록 처리모듈; 및 상기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바탕으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여 상기 교환기를 제어하는 교환기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의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매칭되는 고유 내선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로밍등록 실패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등록 처리모듈은, 상기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이용하여 국가별 및 경로별 경로정보의 시간적, 상태적 조건과 해당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기 설정된 탐색조건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등록 처리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을 통해 사용자 인증 성공시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할 수 있고,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와 함께 상기 전송된 해당 사용자의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상기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에 기록되도록 데이터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등록 처리모듈은, 상기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에 대한 접속코드 및 국가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통화경로에 접속하기 위한 호(Call)를 라우팅(Routing)할 수 있는 라우팅 식별번호(Prefix)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를 상기 호 라우팅 테이블에 기록되도록 데이터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환기 제어모듈은, 상기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여 상기 교환기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등록 처리모듈은, 상기 교환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교환기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교환기에 의해 착신전환 설정 등록이 성공될 경우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착신전환 설정 등록 성공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시 전송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을 통해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함과 아울러 상기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에서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로밍 전화발신 요청 성공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로 1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1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제1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1차 호(Call)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은, 상기 교환기를 통해 1차 호 발신을 수행한 후,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2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호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은, 상기 교환기를 통해 2차 호 발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 상기 교환기를 통해 수행된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되도록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로부터 전송된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 사이에 발신전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고유 내선번호이면서 로밍등록 중일 경우,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의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2차 호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로밍 관리서버와, 음성 전용회선 또는 국제 전화망을 통해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교환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국제 로밍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전송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별도의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부터 해당 사용자가 착신 받고자 하는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바탕으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전송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신통화 단말기가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로 발신할 경우, 상기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발신을 수행하여 상기 발신통화 단말기와 상기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에 수신통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로밍 국가, 사용자가 착신전화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 로밍 기능을 시작하는 시간 및 로밍 기능을 종료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로밍 관리서버에 등록 및 해제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에서, 상기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은,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국가별로 음성 전용회선 또는 국제 전화망, 우선순위, 회선수, 국가코드, 접속코드, 요율 또는 분, 심야할인, 및 허용내선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은, 각 국가의 시간대별 우선순위, 시간대별 요율, 및 사용자의 등급(Class Of Service, COS)에 따른 특정 경로의 접속 허용여부 항목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이용하여 국가별 및 경로별 경로정보의 시간적, 상태적 조건과 해당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기 설정된 탐색조건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전송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별도의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하는 단계와,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와 함께 상기 전송된 해당 사용자의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별도의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에 기록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회원 가입자의 이름, 아이디(ID), 비밀번호, 휴대폰 전화번호, DID(Direct Inword Dialing)착신번호, 및 고유 내선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은,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화원 가입자별로 회원 가입자의 고유 내선번호, 로밍 상태, 로밍 국가, 국가코드, 및 로밍 착신전화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별도의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의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매칭되는 고유 내선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로밍등록 실패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신호는 인터넷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을 활용할 수 있고,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고정 IP(Internet Protocol) 또는 도메인 주소(Domain Address)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는, (c-1)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에 대한 접속코드 및 국가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통화경로에 접속하기 위한 호(Call)를 라우팅(Routing)할 수 있는 라우팅 식별번호(Prefix)를 생성하는 단계; 및 (c-2)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c-1)에서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2) 이후에,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단계(c-2)에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신통화 단말기에 의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에 착신되는 호(Call)를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2) 이후에,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c-1)에서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를 별도의 호 라우팅 테이블에 기록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 라우팅 테이블은,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고유 내선번호, 라우팅 식별번호(Prefix),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밍 관리서버와 상기 교환기 사이의 제어명령 데이터 전송과 연동 프로토콜은 컴퓨터 전화 통합(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TI)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 이후에,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교환기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교환기에 의해 착신전환 설정 등록이 성공될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착신전환 설정 등록 성공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d) 이후에, (e)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e)에서 전송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별도의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f) 이후에, (g)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함과 아울러 상기 단계(e)에서 전송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에서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h)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로밍 전화발신 요청 성공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h) 이후에, (i)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g)에서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로 1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1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j)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단계(i)에서 전송된 제1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g)에서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1차 호(Call)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 (k)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g)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2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l)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단계(k)에서 전송된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g)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호(Call)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 (m)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j)에서 수행된 1차 호 발신 및 상기 단계(l)에서 수행된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되도록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n)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단계(m)에서 전송된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상기 단계(g)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 사이에 발신전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l)에서, 상기 단계(g)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고유 내선번호이면서 로밍등록 중일 경우,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단계(k)에서 전송된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g)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의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2차 호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술한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로밍 관리서버에 국제 로밍정보를 등록하고, 로밍 관리서버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등록된 국제 로밍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국제통화경로를 탐색하여 착신전환을 설정하고,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의한 교환기를 통해 수신통화 및/또는 발신통화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통화 단말기기로 국제 로밍통화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음영지역에서 유선전화에 의한 국제 로밍통화, 착신만 가능한 회선 혹은 통화 단말기로도 발신통화가 가능하며, 사설망 밖에서도 사설망의 전용회선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경제성과 활용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국 현지에서 교환기나 전화번호를 운영할 수 없어 수신만 가능한, 기간통신사업자의 인터넷 전용회선을 임대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음성품질이 우수하지만, 발신이 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여 활용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국 현지의 이동통신 단말기 혹은 유선 전화기가 본 발명의 착신통화 단말기가 될 수 있으므로, 외국 현지 이동통신수준의 이동 중 발신 또는 수신 통화기능 및 음성품질, 유선통신의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이 제한된 통화 단말기이거나, 음영 지역에서 유선 전화기로도 국제전화 발신, 수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국제 전용회선, 망이 있을 경우, 회선 또는 망의 능동적인 탐색 및 선택 기능이 있어, 회선 또는 망 운영에 경제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사 또는 단체에서 국제 전용회선이 있을 경우, 사무실 밖에서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화면으로 서버에 기능수행 명령을 송신하는 것으로서, 간편하고 감각적인 디자인의 화면을 제공,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로밍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호 라우팅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로밍등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로밍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호 라우팅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 단말기(100), 로밍 관리서버(200), 및 교환기(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인터넷(10)을 통해 로밍 관리서버(2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인터넷(10)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기(100)가 로밍 관리서버(2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인터넷(10)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이더넷(Ethernet),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인터넷(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10)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로밍 관리서버(200)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100)는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국제 로밍등록을 요청할 경우,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로밍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국제 로밍등록을 요청할 경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로밍 국가, 사용자가 착신전화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 로밍 기능을 시작하는 시간 및 로밍 기능을 종료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입력하여 로밍 관리서버(200)에 등록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더욱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국제 로밍등록을 요청할 경우, 상기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로밍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서비스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로밍 전화발신을 요청할 경우,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로밍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서비스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로밍 관리서버(200)로 전송되는 신호는 예컨대, 인터넷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을 활용함이 바람직하고, 로밍 관리서버(200)는 예컨대, 고정 IP(Internet Protocol) 또는 도메인 주소(Domain Address)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예컨대, 앱 스토어(App Store) 또는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국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Download)받아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는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로밍 관리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110), A/V(Audio/Video) 입력모듈(120), 사용자 입력모듈(130), 센싱모듈(140), 출력모듈(150), 저장모듈(160), 인터페이스 모듈(170), 단말 제어모듈(180) 및 전원모듈(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110)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로밍 관리서버(2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110)은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사용자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115)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모듈(180)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110)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160)에 저장된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로밍 관리서버(2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120)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121)와 마이크부(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121)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모듈(130)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150)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되는 국제 로밍관련 언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센싱모듈(140)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사용자 단말기(100)의 방위, 사용자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180)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180)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150)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알람부(153) 및 햅틱부(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100)가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출력부(152)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153)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부(154)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154)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154)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저장모듈(160)은 단말 제어모듈(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160)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160)은 국제 로밍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국제 로밍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질 수 있으며, 국제 로밍 서비스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16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70)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170)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180)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단말 제어모듈(180)은 저장모듈(160)에 저장된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로밍등록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수신통화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180)은 상기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로밍 전화발신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수신자 전화번호로 발신통화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180)은 상기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국제 로밍 서비스의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151)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152), 알람부(153), 햅틱부(154)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180)은 배터리부(195)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16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160)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190)은 단말 제어모듈(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190)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195)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160)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제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10)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스마트폰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로밍 관리서버(200)는 인터넷(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컴퓨터 전화 통합(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TI) 기술을 통해 교환기(300)와도 연결되어 있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전송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미리 구비된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210)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부터 해당 사용자가 착신 받고자 하는 착신통화 단말기(400)(예컨대, 유선 전화기, 음성 및/또는 영상통화 가능한 통신 단말기 등)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상기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바탕으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교환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210)을 이용하여 국가별 및 경로별 경로정보의 시간적, 상태적 조건과 해당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기 설정된 탐색조건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한 국제통화경로의 탐색 및 선택이라 함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등록된 로밍 국가까지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통화경로를 탐색하여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국가별 통화경로는 여러 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 각 경로마다 사용하기 위한 조건이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야할인 조건, 우선순위 조건 등이 있을 수 있다. 또, 사용자의 조건 즉, 사용자의 등급(Class Of Service, COS)에 따라 접속 허용 여부가 결정되는 등에 따라 다양해 질 수도 있다. 이런 국가별 통화경로별 경로의 시간적 상태 조건과 사용자의 조건에 걸 맞는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을 최적 국제통화경로 탐색이라 지칭하였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국가 A와 국가 B는 각각 다른 회선 및/또는 망을 갖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특정 경로의 세부 사항으로 우선순위, 요율 및/또는 분, 심야할인 등을 예시 하였고, 이외에 또 다른 사항이 추가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시간대별로 요율이 변경되는 경우를 추가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우선 순위가 시간대별로 능동적으로 변경되도록 해 놓을 수도 있다. 즉, 특정 경로는 시간대별 요율이 달라질 수 있고, 내선 가입자의 등급에 의해 특정 경로는 선택할 수 없게 하는 등 사용자의 조건, 경로의 시간적, 상태적 조건(예컨대, 모든 회선이 통화중) 등에 맞추어 탐색 조건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고 시스템이 능동적으로 경로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미리 구비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인증 성공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한 후,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와 함께 상기 전송된 해당 사용자의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가 미리 구비된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230)에 기록되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하는 이유는, 인터넷(10) 상에서는 통상 아이디(ID)로 회원 가입자를 구분하지만, 교환기(300)에서는 고유 내선번호로 회원 가입자를 구분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230)에 기록될 때는, 고유의 포맷(format)으로 수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되어 기록되고, 회원 가입자의 로밍 상태를 "로밍 중"으로 하여, 각 회원 가입자 필드에 기록한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의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비교 분석하여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에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매칭되는 고유 내선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인터넷(10)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로밍등록 실패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최적 국제통화경로가 탐색 및 선택되면, 통화경로, 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코드(또는 경로코드), 국가코드가 결과물로 산출된다.
즉, 로밍 관리서버(200)는 상기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에 대한 접속코드 및 국가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통화경로에 접속하기 위한 호(Call)를 라우팅(Routing)할 수 있는 라우팅 식별번호(Prefix)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상기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로밍 관리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는, 예컨대, "사용자 회원 아이디(ID)가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에 착신되는 호(Call)는 기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Prefix)를 경유하여, 최종 목적 전화번호인 사용자 로밍 착신전호번호로 착신전환하라"는 명령어가 될 수 있다.
한편, 로밍 관리서버(200)와 교환기(300) 사이의 제어명령 데이터 전송과 연동 프로토콜은 예컨대, 컴퓨터 전화 통합(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TI)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상기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를 미리 구비된 호 라우팅 테이블(240)에 기록되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교환기(300)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전송한 후, 교환기(300)에 의해 착신전환 설정 등록이 성공될 경우 인터넷(10)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착신전환 설정 등록 성공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넷(10)을 통해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시 전송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성공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함과 아울러 상기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에서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한 후, 인터넷(10)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로밍 전화발신 요청 성공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함과 아울러 상기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에서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로 1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1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교환기(300)를 통해 1차 호 발신을 수행한 후,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2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교환기(300)를 통해 2차 호 발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 교환기(300)를 통해 수행된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되도록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로밍 관리서버(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210),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230), 호 라우팅 테이블(240), 인터넷 통신모듈(250),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260), 로밍등록 처리모듈(270), 교환기 제어모듈(280), 및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로밍 관리서버(2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로밍 관리서버(2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210)은 로밍 관리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가별로 음성 전용회선 및/또는 국제 전화망, 우선순위, 회선수, 국가코드, 접속코드, 요율 및/또는 분, 심야할인, 및 허용내선 항목정보들을 테이블(table)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또한,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210)은 각 국가의 시간대별 우선순위, 시간대별 요율, 및 사용자의 등급(Class Of Service, COS)에 따른 특정 경로의 접속 허용여부 항목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는 로밍 관리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 가입자의 이름, 아이디(ID), 비밀번호, 휴대폰 전화번호, DID(Direct Inword Dialing)착신번호, 및 고유 내선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table)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230)은 로밍 관리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원 가입자별로 회원 가입자의 고유 내선번호, 로밍 상태(예컨대, "로밍 중" 등), 로밍 국가, 국가코드, 및 로밍 착신전화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table)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호 라우팅 테이블(240)은 로밍 관리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유 내선번호, 라우팅 식별번호(Prefix),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table)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인터넷 통신모듈(250)은 인터넷(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260)은 사용자의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26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의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비교 분석하여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에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매칭되는 고유 내선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인터넷 통신모듈(250)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로밍등록 실패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260)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모듈(250)을 통해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시 전송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로밍등록 처리모듈(270)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전송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210)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부터 해당 사용자가 착신 받고자 하는 착신통화 단말기(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로밍등록 처리모듈(270)은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210)을 이용하여 국가별 및 경로별 경로정보의 시간적, 상태적 조건과 해당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기 설정된 탐색조건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밍등록 처리모듈(270)은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260)을 통해 사용자의 로밍등록 요청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성공시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한 후,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와 함께 상기 전송된 해당 사용자의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230)에 기록되도록 데이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밍등록 처리모듈(270)은 상기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에 대한 접속코드 및 국가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통화경로에 접속하기 위한 호(Call)를 라우팅(Routing)할 수 있는 라우팅 식별번호(Prefix)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를 호 라우팅 테이블(240)에 기록되도록 데이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밍등록 처리모듈(270)은 교환기 제어모듈(280)을 통해 교환기(300)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전송한 후, 교환기(300)에 의해 착신전환 설정 등록이 성공될 경우 인터넷 통신모듈(250)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착신전환 설정 등록 성공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교환기 제어모듈(280)은 로밍등록 처리모듈(270)에 의해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바탕으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교환기(300)로 전송하여 교환기(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교환기 제어모듈(280)은 로밍등록 처리모듈(270)에 의해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교환기(300)로 전송하여 교환기(30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290)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모듈(250)을 통해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정보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290)은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260)을 통해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성공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함과 아울러 상기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에서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한 후, 인터넷 통신모듈(250)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로밍 전화발신 요청 성공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로 1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1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교환기(300)에서는 로밍 관리서버(200)의 로밍등록 처리모듈(27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로밍 관리서버(200)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290)로부터 전송된 제1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1차 호(Call)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290)은 교환기(300)를 통해 1차 호 발신을 수행한 후,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2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교환기(300)에서는 로밍 관리서버(200)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290)로부터 전송된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호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290)은 교환기(300)를 통해 2차 호 발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 교환기(300)를 통해 수행된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되도록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교환기(300)에서는 로밍 관리서버(200)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290)로부터 전송된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 사이에 발신전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로밍 관리서버(200)의 제어명령에 의해, 교환기(300)는 상기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을 결합 또는 묶는다. 이는 교환기(300) 안에서 두 전화 또는 호사이의 TX 채널과 RX 채널을 교차하여 연결하여 줌으로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고유 내선번호이면서 로밍등록 중일 경우, 교환기(300)에서는 로밍 관리서버(200)의 로밍등록 처리모듈(27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로밍 관리서버(200)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290)로부터 전송된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의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2차 호 발신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교환기(300)는 음성 전용회선(20) 및/또는 국제 전화망(30)(즉, 일반적인 국제전화 발신을 통해 각 해외 국가로 접속되는 전화망)을 통해 착신통화 단말기(4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컴퓨터 전화 통합(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TI) 기술을 통해 로밍 관리서버(200)와도 연결되어 있다.
이때, 음성 전용회선(20)은 회사 또는 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국제 전용회선으로서, 예컨대, 기간통신사업자가가 보유하고 있는 국제 인터넷 전용선에 VoIP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해 해외 현지 공중전화망(PSTN) 또는 이동통신망으로 접속되는 기간통신사업자 회선임대의 경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기간통신사업자의 회선임대의 경우에는 외국 현지에 교환기나 전화번호를 운용할 수 없을 경우이며, 저렴하고 음질이 우수한 망 구축이 가능하나, 국내에서 외국으로 아웃바운드 전화만 가능하고, 외국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인 바운드 전화는 불가능하다.
또한, 교환기(300)는 로밍 관리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로밍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발신통화 단말기(500)(예컨대, 유선 전화기, 음성 및/또는 영상통화 가능한 통신 단말기 등)가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로 발신할 경우, 착신통화 단말기(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발신을 수행하여 발신통화 단말기(500)와 착신통화 단말기(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 간에 수신통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교환기(300)는 로밍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발신통화 단말기(50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에 착신되는 호(Call)를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발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환기(300)는 로밍 관리서버(20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제1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1차 호(Call) 발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환기(300)는 로밍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호(Call) 발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환기(300)는 로밍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 사이에 발신전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고유 내선번호이면서 로밍등록 중일 경우, 교환기(300)는 로밍 관리서버(20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의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2차 호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로밍등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은,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전송한다(S100).
이때, 상기 단계S1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로밍 국가, 사용자가 착신전화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 로밍 기능을 시작하는 시간 및 로밍 기능을 종료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입력하여 로밍 관리서버(200)에 등록 및 해제함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S100 이후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전송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로밍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110)와,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S110에서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별도의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120)와,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S120에서 사용자 인증 성공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하는 단계(S130)와,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S130에서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와 함께 상기 단계S110에서 전송된 해당 사용자의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별도의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230)에 기록되도록 관리하는 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는 로밍 관리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회원 가입자의 이름, 아이디(ID), 비밀번호, 휴대폰 전화번호, DID(Direct Inword Dialing)착신번호, 및 고유 내선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230)은 로밍 관리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화원 가입자별로 회원 가입자의 고유 내선번호, 로밍 상태, 로밍 국가, 국가코드, 및 로밍 착신전화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단계S120에서,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S110에서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의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비교 분석하여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에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매칭되는 고유 내선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로밍등록 실패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로밍 관리서버(200)로 전송되는 신호는 예컨대, 인터넷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을 활용함이 바람직하고, 로밍 관리서버(200)는 예컨대, 고정 IP(Internet Protocol) 및/또는 도메인 주소(Domain Address) 등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S100에서 전송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별도의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210)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부터 해당 사용자가 착신 받고자 하는 착신통화 단말기(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한다(S200).
이때, 상기 단계S200에서,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210)은 로밍 관리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국가별로 음성 전용회선 및/또는 국제 전화망, 우선순위, 회선수, 국가코드, 접속코드, 요율 및/또는 분, 심야할인, 및 허용내선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210)은 예컨대, 각 국가의 시간대별 우선순위, 시간대별 요율, 및 사용자의 등급(Class Of Service, COS)에 따른 특정 경로의 접속 허용여부 항목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S200에서,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210)을 이용하여 국가별 및 경로별 경로정보의 시간적, 상태적 조건과 해당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기 설정된 탐색조건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S200에서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바탕으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한다(S300).
이때, 상기 단계S3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S200에서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에 대한 접속코드 및 국가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통화경로에 접속하기 위한 호(Call)를 라우팅(Routing)할 수 있는 라우팅 식별번호(Prefix)를 생성하는 단계(S310)와,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S310에서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300)로 전송하는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S320 이후에,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S310에서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를 별도의 호 라우팅 테이블(240)에 기록되도록 관리하는 단계(S3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호 라우팅 테이블(240)은 로밍 관리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고유 내선번호, 라우팅 식별번호(Prefix),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단계S320 및/또는 상기 단계S330 이후에, 교환기(300)를 통해 상기 단계S320에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신통화 단말기(500)에 의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에 착신되는 호(Call)를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S3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로밍 관리서버(200)와 교환기(300) 사이의 제어명령 데이터 전송과 연동 프로토콜은 예컨대, 컴퓨터 전화 통합(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TI)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교환기(300)를 통해 상기 단계S300에서 전송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신통화 단말기(500)가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로 발신할 경우, 착신통화 단말기(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발신을 수행하여 발신통화 단말기(500)와 착신통화 단말기(400)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 간에 수신통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S400).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S300 이후에,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교환기(300)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전송한 후, 교환기(300)에 의해 착신전환 설정 등록이 성공될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착신전환 설정 등록 성공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계S400 이후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넷(10)을 통해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450)와,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S500에서 전송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별도의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500 이후에,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인증 성공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0)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함과 아울러 상기 단계S450에서 전송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에서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S550)와,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로밍 전화발신 요청 성공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600 이후에,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S550에서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로 1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1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300)로 전송하는 단계(S650)와, 교환기(300)를 통해 로밍 관리서버(20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단계S650에서 전송된 제1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S550에서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1차 호(Call)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S700)와,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S550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2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300)로 전송하는 단계(S750)와, 교환기(300)를 통해 상기 단계S750에서 전송된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S550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호(Call)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S800)와, 로밍 관리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계S700에서 수행된 1차 호 발신 및 상기 단계S800에서 수행된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되도록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300)로 전송하는 단계(S850)와, 교환기(300)를 통해 상기 단계S850에서 전송된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상기 단계S550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 사이에 발신전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9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계S800에서, 상기 단계S550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고유 내선번호이면서 로밍등록 중일 경우, 교환기(300)를 통해 로밍 관리서버(20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단계S750에서 전송된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S550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의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2차 호 발신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이라 함은, 발신신호 처리과정에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교환기(300)에 직접 다이얼(Dial)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발신신호 처리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로밍 관리서버(200)에 송신하여, 발신신호 처리를 요청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다이얼 방식과 구분하기 위하여 "로밍 전화발신"으로 명명하였다.
즉,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과정은, 사용자가 인터넷(10)을 통하여 로밍 관리서버(200)에 로밍 발신전화를 요청하면, 로밍 관리서버(200)가 교환기(300)를 제어하여, 발신을 요청한 사용자에게 발신하여 하나의 첫 번째 호(Call)를 형성한 후, 수신자에게 발신하여 또 다른 하나의 두 번째 호(Call)를 형성하고, 첫 번째 호(Call)와 두 번째 호(Call)를 결합하면 하나의 호(Call)가 되는 효과가 있어, 결과적으로 발신을 요청한 사용자 즉, 발신자와 수신자가 통화를 이루게 하는 절차이다. 이때, 상기 하나의 호(Call)의 결합은 CTI 명령어로 "Call Join" 혹은 "Call Bridge" 명령어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로밍 전화발신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디지트(digit)를 입력하여 다이얼 입력하는 방식이 아니라, 로밍 관리서버(200)에 요청하면, 로밍 관리서버(200)가 교환기(300)를 제어하여 발신 호를 형성해 주는 특징적인 방법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로밍 관리서버,
210 :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
220 :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
230 :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
240 : 호 라우팅 테이블,
250 : 인터넷 통신모듈,
260 :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
270 : 로밍등록 처리모듈,
280 : 교환기 제어모듈,
290 :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
300 : 교환기,
400 : 착신통화 단말기,
500 : 발신통화 단말기

Claims (23)

  1.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전송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미리 구비된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부터 해당 사용자가 착신 받고자 하는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한 후, 상기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바탕으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전송하는 로밍 관리서버; 및
    음성 전용회선 또는 국제 전화망을 통해 상기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며,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발신통화 단말기가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로 발신할 경우, 상기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발신을 수행하여 상기 발신통화 단말기와 상기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에 수신통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은,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로밍 국가, 사용자가 착신전화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 로밍 기능을 시작하는 시간 및 로밍 기능을 종료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로밍 관리서버에 등록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은,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국가별로 음성 전용회선 또는 국제 전화망, 우선순위, 회선수, 국가코드, 접속코드, 요율 또는 분, 심야할인, 및 허용내선 항목정보들과 함께 각 국가의 시간대별 우선순위, 시간대별 요율, 및 사용자의 등급(Class Of Service, COS)에 따른 특정 경로의 접속 허용여부 항목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이용하여 국가별 및 경로별 경로정보의 시간적, 상태적 조건과 해당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기 설정된 탐색조건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은,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미리 구비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하고,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와 함께 상기 전송된 해당 사용자의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가 미리 구비된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에 기록되도록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미리 구비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의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매칭되는 고유 내선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인터넷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로밍등록 실패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회원 가입자의 이름, 아이디(ID), 비밀번호, 휴대폰 전화번호, DID(Direct Inword Dialing)착신번호, 및 고유 내선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며,
    상기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은,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화원 가입자별로 회원 가입자의 고유 내선번호, 로밍 상태, 로밍 국가, 국가코드, 및 로밍 착신전화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신호는 인터넷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을 활용하고,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고정 IP(Internet Protocol) 또는 도메인 주소(Domain Addres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에 대한 접속코드 및 국가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통화경로에 접속하기 위한 호(Call)를 라우팅(Routing)할 수 있는 라우팅 식별번호(Prefix)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를 미리 구비된 호 라우팅 테이블에 기록되도록 관리하며,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발신통화 단말기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에 착신되는 호(Call)를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발신을 수행하며,
    상기 호 라우팅 테이블은,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고유 내선번호, 라우팅 식별번호(Prefix),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관리서버와 상기 교환기 사이의 제어명령 데이터 전송과 연동 프로토콜은 컴퓨터 전화 통합(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TI) 기술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교환기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교환기에 의해 착신전환 설정 등록이 성공될 경우 상기 인터넷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착신전환 설정 등록 성공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시 전송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미리 구비된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함과 아울러 상기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에서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인터넷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로밍 전화발신 요청 성공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로 1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1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제1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1차 호(Call) 발신을 수행하며,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교환기를 통해 1차 호 발신을 수행한 후,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2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호(Call) 발신을 수행하며,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교환기를 통해 2차 호 발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 상기 교환기를 통해 수행된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되도록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 사이에 발신전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고유 내선번호이면서 로밍등록 중일 경우,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의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2차 호 발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모듈;
    회원 가입자의 이름, 아이디(ID), 비밀번호, 휴대폰 전화번호, DID(Direct Inword Dialing)착신번호, 및 고유 내선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는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
    화원 가입자별로 회원 가입자의 고유 내선번호, 로밍 상태, 로밍 국가, 국가코드, 및 로밍 착신전화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는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
    국가별로 음성 전용회선 또는 국제 전화망, 우선순위, 회선수, 국가코드, 접속코드, 요율 또는 분, 심야할인, 및 허용내선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는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
    고유 내선번호, 라우팅 식별번호(Prefix),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는 호 라우팅 테이블;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전송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부터 해당 사용자가 착신 받고자 하는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하는 로밍등록 처리모듈; 및
    상기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바탕으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여 상기 교환기를 제어하는 교환기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의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매칭되는 고유 내선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로밍등록 실패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로밍등록 처리모듈은, 상기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이용하여 국가별 및 경로별 경로정보의 시간적, 상태적 조건과 해당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기 설정된 탐색조건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하며, 상기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을 통해 사용자 인증 성공시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하고,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와 함께 상기 전송된 해당 사용자의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상기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에 기록되도록 데이터 처리하며, 상기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에 대한 접속코드 및 국가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통화경로에 접속하기 위한 호(Call)를 라우팅(Routing)할 수 있는 라우팅 식별번호(Prefix)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를 상기 호 라우팅 테이블에 기록되도록 데이터 처리하고, 상기 로밍등록 처리모듈은, 상기 교환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교환기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교환기에 의해 착신전환 설정 등록이 성공될 경우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착신전환 설정 등록 성공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교환기 제어모듈은, 상기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여 상기 교환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시 전송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은, 상기 사용자 인증 처리모듈을 통해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함과 아울러 상기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에서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한 후,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로밍 전화발신 요청 성공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로 1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1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제1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1차 호(Call) 발신을 수행하며,
    상기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은, 상기 교환기를 통해 1차 호 발신을 수행한 후,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2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호 발신을 수행하며,
    상기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은, 상기 교환기를 통해 2차 호 발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 상기 교환기를 통해 수행된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되도록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전화발신 요청처리모듈로부터 전송된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 사이에 발신전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고유 내선번호이면서 로밍등록 중일 경우,
    상기 교환기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의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2차 호 발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15. 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로밍 관리서버와, 음성 전용회선 또는 국제 전화망을 통해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교환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국제 로밍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전송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별도의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부터 해당 사용자가 착신 받고자 하는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바탕으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전송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신통화 단말기가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로 발신할 경우, 상기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발신을 수행하여 상기 발신통화 단말기와 상기 착신통화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에 수신통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로밍 국가, 사용자가 착신전화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 로밍 기능을 시작하는 시간 및 로밍 기능을 종료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로밍 관리서버에 등록 및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은,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국가별로 음성 전용회선 또는 국제 전화망, 우선순위, 회선수, 국가코드, 접속코드, 요율 또는 분, 심야할인, 및 허용내선 항목정보들과 함께 각 국가의 시간대별 우선순위, 시간대별 요율, 및 사용자의 등급(Class Of Service, COS)에 따른 특정 경로의 접속 허용여부 항목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국가별 통신망 경로 정보테이블을 이용하여 국가별 및 경로별 경로정보의 시간적, 상태적 조건과 해당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기 설정된 탐색조건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최적 국제통화경로를 탐색 및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국제 로밍등록 요청시 전송된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별도의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의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와 매칭되는 고유 내선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로밍등록 실패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전송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별도의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하는 단계와,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와 함께 상기 전송된 해당 사용자의 국제 로밍관련 정보데이터를 별도의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에 기록되도록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는,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회원 가입자의 이름, 아이디(ID), 비밀번호, 휴대폰 전화번호, DID(Direct Inword Dialing)착신번호, 및 고유 내선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회원 가입자 상태 정보테이블은,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화원 가입자별로 회원 가입자의 고유 내선번호, 로밍 상태, 로밍 국가, 국가코드, 및 로밍 착신전화번호 항목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c-1)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탐색 및 선택된 최적 국제통화경로에 대한 접속코드 및 국가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까지의 통화경로에 접속하기 위한 호(Call)를 라우팅(Routing)할 수 있는 라우팅 식별번호(Prefix)를 생성하는 단계; 및
    (c-2)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c-1)에서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c-2) 이후에,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c-1)에서 생성된 라우팅 식별번호와 함께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를 별도의 호 라우팅 테이블에 기록되도록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단계(c-2)에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신통화 단말기에 의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 이전전화번호에 착신되는 호(Call)를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 라우팅 테이블은, 상기 로밍 관리서버의 제어에 따라 고유 내선번호, 라우팅 식별번호(Prefix),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
  21.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 이후에,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교환기로 착신전환 설정을 위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교환기에 의해 착신전환 설정 등록이 성공될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착신전환 설정 등록 성공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
  22.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 이후에,
    (e)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국제 로밍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로밍 전화발신 요청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e)에서 전송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회원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별도의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g)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회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회원 아이디(ID)를 기 설정된 고유 내선번호로 치환함과 아울러 상기 단계(e)에서 전송된 로밍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데이터에서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h)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로밍 전화발신 요청 성공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i)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g)에서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로 1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1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j)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단계(i)에서 전송된 제1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g)에서 치환된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1차 호(Call)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
    (k)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g)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전화발신이 수행되도록 제2 호(Call)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l)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단계(k)에서 전송된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g)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로 2차 호(Call)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
    (m) 상기 로밍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j)에서 수행된 1차 호 발신 및 상기 단계(l)에서 수행된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되도록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n)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단계(m)에서 전송된 호 결합수행 명령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1차 호 발신 및 2차 호 발신이 하나의 호(Call)로 결합하여 해당 사용자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상기 단계(g)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 사이에 발신전화가 형성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l)에서, 상기 단계(g)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가 고유 내선번호이면서 로밍등록 중일 경우,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로밍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로밍등록시 전송된 라우팅 식별번호 및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단계(k)에서 전송된 제2 호 발신수행 명령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단계(g)에서 추출된 수신자 전화번호의 고유 내선번호에 의해 상기 라우팅 식별번호를 경유하여 해당 수신자의 로밍 착신전화번호로 2차 호 발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방법.
KR1020170080878A 2016-08-01 2017-06-27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4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7716 2016-08-01
KR1020160097716 2016-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653A true KR20180014653A (ko) 2018-02-09
KR102014734B1 KR102014734B1 (ko) 2019-08-27

Family

ID=611989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878A KR102014734B1 (ko) 2016-08-01 2017-06-27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70080889A KR20180014654A (ko) 2016-08-01 2017-06-27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889A KR20180014654A (ko) 2016-08-01 2017-06-27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147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405A (ko) * 2005-04-13 2006-10-18 시스템베이스 주식회사 착신전환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83549A (ko) * 2007-03-12 2008-09-18 이승욱 인터넷 폰을 이용한 이동통신 로밍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100884113B1 (ko) 2007-05-11 2009-02-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국제로밍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1300A (ko) * 2012-03-05 2013-09-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로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로밍 서비스 장치 및 로밍 단말
KR20160010002A (ko) * 2014-07-18 2016-01-27 (주) 티오티테크놀러지 국제 식별 번호 선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959B1 (ko) * 2014-12-29 2015-12-24 (주)오픈벡스 착신 전환 서비스를 이용한 로밍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405A (ko) * 2005-04-13 2006-10-18 시스템베이스 주식회사 착신전환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83549A (ko) * 2007-03-12 2008-09-18 이승욱 인터넷 폰을 이용한 이동통신 로밍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100884113B1 (ko) 2007-05-11 2009-02-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국제로밍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1300A (ko) * 2012-03-05 2013-09-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로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로밍 서비스 장치 및 로밍 단말
KR20160010002A (ko) * 2014-07-18 2016-01-27 (주) 티오티테크놀러지 국제 식별 번호 선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654A (ko) 2018-02-09
KR102014734B1 (ko)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57600A1 (en) Virtual SIM
US101545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ellular network for call routing
JP4894532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2004032319A (ja) 無線端末、無線端末管理装置及び位置登録補助装置
JP5656925B2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KR20130120213A (ko)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과 그 통신 단말
JP5109702B2 (ja) 通信システム
KR100589962B1 (ko) Ptt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단말
JP5583168B2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KR10201473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86664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ting a sounder device
US9949097B1 (en) Sharing SIM functionality between devices
US2023019969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cking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0899442B1 (ko) 영상 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678108B1 (ko) 유선망/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및 그 동작 방법
KR20050023551A (ko) 무전기 겸용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모드 자동 전환방법
KR100899443B1 (ko) 영상 통화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RU2569338C2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трехстороннего вызова
WO2017047203A1 (ja) 通信処理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通信処理装置、通信端末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EP3703419A1 (en)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JP2019050479A (ja) 判定システム、判定装置及び判定方法
KR1006634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정보 확인 서비스 방법
KR20110119946A (ko) 착신전환 예약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201743630A (zh) 具有多重網路功能的無線通訊方法及其裝置
KR20130019517A (ko) 호 제어 방법, 장치 및 착신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