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465A - 염색용 빗 - Google Patents

염색용 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465A
KR20180014465A KR1020160097745A KR20160097745A KR20180014465A KR 20180014465 A KR20180014465 A KR 20180014465A KR 1020160097745 A KR1020160097745 A KR 1020160097745A KR 20160097745 A KR20160097745 A KR 20160097745A KR 20180014465 A KR20180014465 A KR 20180014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hair
dyeing
tooth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혁
Original Assignee
김수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혁 filed Critical 김수혁
Priority to KR1020160097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4465A/ko
Publication of KR20180014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2Single-piece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Hair brus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색용 빗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 염색을 자연스럽게 연출하기 위하여 머리카락을 일정 간격마다 소정 수량씩 간편하게 취하여 염색할 수 있기 위한 염색용 빗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은 소정 길이를 갖는 빗대와, 빗대 전방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머리카락을 취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빗살이 형성되되, 빗살은 빗대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사선을 이루고, 빗살은 빗대와 만나는 지점에서 빗살의 끝단 사이에 빗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빗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빗살이 상기 소정 각도 θ만큼 기울어질 경우, 빗대와 만나는 지점에서 빗살의 끝단 사이 길이가 L이면 빗살과 빗대 사이에 빗대의 길이방향으로 L×cosθ 깊이만큼 소정 공간 파고드는 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빗살의 끝단은 유선형의 나셀(nacelle) 형상으로 빗대에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빗살에 형성된 홈은 소정 수량의 머리카락이 걸리는 후크(hook) 기능을 한다.

Description

염색용 빗{Comb for dyeing}
본 발명은 염색용 빗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 염색을 자연스럽게 연출하기 위하여 머리카락을 일정 간격마다 소정 수량씩 간편하게 취하여 염색할 수 있기 위한 염색용 빗에 관한 것이다.
머리염색은 오랜 옛날부터 행하여져 왔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헤나(henna:염료로 쓰이는 관목)를 사용하여 염색한 기록이 있고, 로마시대에서는 머리카락을 표백하는 것이 귀부인들 사이에서 유행하였다고 한다.
염색제로는 감국·호두 등에서 짜낸 즙액을 19세기 중반까지 사용하였다고 한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쓰이는 염색제인 산화염료는 1883년 프랑스에서 파라페니랭자밍이 머리염색에 사용한 것이 최초라고 한다.
20세기에 들어와 영화가 발달함에 따라 미국 등지에서 배우 및 연예인 사이에 널리 유행하였고 현재에는 일반 여성들 및 일부 남성들에게도 머리염색은 많이 행해지고 있다.
한편 한국에서는 주로 옻칠을 주원료로 하여 만든 염색제로서 거의 흰머리를 검게 물들이는 데 사용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영화나 드라마에 출연하는 배우들 사이에 카메라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탈색이나 염색으로 머리빛깔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경향 있고 이에 따라 일반 여성들뿐만 아니라 젊은 남성들도 색채가 있는 머리염색을 즐겨 하고 있다.
이러한 머리염색은 헤어틴트(hair tint)라고도 한다. 즉, 헤어블리치(hair bleach)는 탈색에 의해 검은 머리카락의 빛깔을 엷게 만드는 것이고 헤어틴트(hair tint)는 염색제를 써서 머리카락의 빛깔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모발을 염색할 때 서양 사람들은 원래 머리카락의 빛깔을 먼저 탈색한 후에 원하는 빛깔로 염색을 하는데 한국 사람들(동양인)은 원래 흑발이라 탈색만 해도 갈색이나 황갈색이 되어 염색과 같은 효과가 나므로 머리카락의 탈색을 염색의 일종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에서는 머리염색이란 헤어틴트(hair tint)나 헤어블리치(hair bleach)를 다 포함하고 있는 의미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이러한 머리염색 중에서도 모발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위빙(weaving) 염색이라는 것이 있다. 위빙(weaving) 염색이란 모발을 가로·세로 섹션을 나누어서 꼬리빗 등을 사용해서 슬라이싱(slicing)하여 머리카락을 떠서 일정 간격으로 몇 가락을 취하여 염색하므로 머리빛깔이 자연스럽게 표현되도록 염색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번호가 제20-0449171호(등록일자 2010년06월10일)이고 고안의 명칭이 "염색용 빗"에 관한 기술이나, 등록번호가 제20-0451473호(등록일자 2010년12월10일)이고 고안의 명칭이 "염색용 빗"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인 '염색용 빗'으로는 위빙(weaving) 염색을 하기 위하여 머리카락을 슬라이싱(slicing)하여 일정 간격으로 떠서 몇 가락씩 선택하여 취하는 기술을 제안하지 못하였고, 종래의 다른 기술들로도 사람의 손이 많이 가는 위빙(weaving) 염색 작업을 간편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73878호(등록일 2014.07.30.)인 헤어 미용용 툴 및 제10-1548902호(등록일 2015.08.25.)인 크리에티브 컬러 작업을 위한 헤어용 빗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가 발명한 상기 기술들이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염색 시간을 단축시키고 간편한 사용으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자는 상기 기술들을 더욱 개선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즉, 종래보다 생산 단가를 낮추면서 그 기능은 그대로 유지되거나 향상할 수 있는 염색용 빗이 필요하였다.
KR 등록번호 제20-0473878호(등록일자 2014년07월30일), 고안의 명칭 "헤어 미용용 툴" KR 등록번호 제20-0449171호(등록일자 2010년06월10일), 고안의 명칭 "염색용 빗" KR 등록번호 제20-0451473호(등록일자 2010년12월10일), 고안의 명칭 "염색용 빗"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에 의해서 창출된 것으로서, 머리 염색을 자연스럽게 연출하기 위하여 머리카락을 소정 간격 소정 수량씩 간편하게 일시에 취하여 염색할 수 있는 염색용 빗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은 머리 미용을 하기 위한 염색용 빗이고, 소정 길이를 갖는 빗대와, 빗대 전방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머리카락을 취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빗살이 형성되되, 빗살은 빗대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사선을 이루고, 빗살은 빗대와 만나는 지점에서 빗살의 끝단 사이에 빗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빗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빗살이 상기 소정 각도 θ만큼 기울어질 경우, 빗대와 만나는 지점에서 빗살의 끝단 사이 길이가 L이면 빗살과 빗대 사이에 빗대의 길이방향으로 L×cosθ 깊이만큼 소정 공간 파고드는 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빗살의 끝단은 유선형의 나셀(nacelle) 형상으로 빗대에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빗살에 형성된 홈은 소정 수량의 머리카락이 걸리는 후크(hook)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에 따르면, 사선으로 기울어진 복수의 빗살 공간으로 소정 수량씩 선별하여 머리카락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용이하게 취득된 머리카락은 편리하게 염색 가능하여 미용 시간을 단축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빗살의 간격이나 빗살의 기울기를 달리하는 염색용 빗을 준비하여 머리카락의 염색 깊이나 염색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음을 언급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100)은 크게 빗대(110)와 빗살(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100)은 머리 미용을 하기 위한 도구로, 소정 길이를 갖는 빗대(110)와, 빗대(110) 전방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머리카락을 취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빗살(120)이 형성되되, 빗살(120)은 빗대(110)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사선을 이루고, 빗살(120)은 빗대(110)와 만나는 지점(121)에서 빗살의 끝단(123) 사이에 빗대(110)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빗살(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h) 홈(12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빗살(120)은 빗대(110)에서 소정 각도 θ(10°< θ < 80°)만큼 기울어져 사선을 이루고, 빗대(110)와 만나는 지점(121)에서 빗살의 끝단(123) 사이 길이가 L이면 빗살(120)과 빗대(110) 사이에 빗대(110)의 길이방향으로 L×cosθ 깊이(L')만큼 소정 공간 파고드는 골(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빗살의 끝단(123)은 유선형의 나셀(nacelle) 형상으로 빗대(110)에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또한, 빗살의 끝단(123)은 둥근 머리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 들어가는 반달 형상이나 일측이 소정 간격 들어가는 반원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빗살(120)에 형성된 홈(125)은 소정 수량의 머리카락이 걸리는 후크(hook) 기능을 한다.
또한, 빗대(110)에 형성된 걸림부(140)는 손가락 엄지로 쉽게 힘을 주어 누를 수 있도록 홈이 파져 있다.
그럼, 본 발명이 제안하는 염색용 빗(100)에 대해서 그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100)은 소정 길이를 갖는 빗대(110)와, 빗대(110) 하방으로 연장되어 머리카락을 가지런히 빗을 수 있는 복수 개의 빗살(120)을 포함하고 빗대(110) 일측에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13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빗대(110)는 소정의 길이가 있는 바(bar) 형상으로, 일반적인 빗(comb)에서 뼈대에 해당하는 것으로 단순한 일자형이거나 완만한 굴곡이 있는 곡선형을 이루되 후술하는 빗살(120)을 튼튼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빗대(110)는 염색을 위해 머리카락을 호일로 감싸 접을 때 접힐 호일을 가볍게 눌러 표시하여 쉽게 접힐 수 있게 한다.
참고로, 빗대(110)는 직선이나 곡선 형태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여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빗대(110) 전방으로 연장되어 규칙적으로 복수 개의 빗살(120)이 형성되는 데, 빗살(120)은 소정 각도 θ만큼 기울어져 형성된다.
빗살(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대(110) 전방으로 연장되어 머리카락을 빗을 수 있되, 빗대(110)에서 소정 각도 θ만큼 기울어져 사선을 이룬다.
여기서, 빗살(120)이 빗대(110)에서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권취되는 머리카락이 달라지므로 필요에 따라 그 기울기(θ)를 정하여 제작하면 되고, 그 기울기 θ는 10°< θ < 80° 범위 내에서 허용하면 된다.
즉, 빗대(110)는 바(bar)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형성하며, 빗살(120)은 빗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빗대(110) 전방으로 연장되어 경사지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빗대(110)와 만나는 지점(121)에서 빗살의 끝단(123) 사이 길이가 L이면 빗살(120)과 빗대(110) 사이에 빗대(110) 길이방향으로 L×cosθ 깊이(L')만큼 소정 공간의 만 또는 골(111)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골(111)은 머리카락을 빗으면서 들어올릴 때 소정의 머리카락이 취득되는 부분으로 복수의 빗살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용이하게 일률적으로 소정 수량의 머리카락을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빗살(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대(110)와 만나는 지점(121)에서 빗살의 끝단(123) 사이에 빗대(110)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빗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h) 홈(125)이 형성된다.
특히, 빗살의 끝단(12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의 나셀(nacelle) 형상으로 머리카락이 부드럽게 유입될 수 있게 라운드가 져 있고 빗대(110)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또한, 빗살(120)에 형성된 홈(125)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턱(126) 및 제 2턱(127) 사이에 형성되어 소정 수량의 머리카락이 걸리는 후크(hook) 기능을 하는데, 염색용 빗(100)을 빗어 들어올릴 때 소정 수량의 머리카락이 걸리는 부분(hook)으로 염색하기 용이하게 소정 수량씩 가지런하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빗살(120)이 시작되는 뿌리부분(121)은 빗대(110)와 만나는 곳을 기점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빗살(120) 사이에 머리카락이 유입될 수 있는 만 또는 골(111)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빗살(120)은 인접하는 빗살(120) 사이로 유입되는 머리카락을 잡아 주게 되며, 이러한 머리카락들은 빗살(120)의 제 1 턱(126) 및 제 2 턱(127) 사이에 형성된 홈(125)에 소정 수량의 머리카락이 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으로 들어올리면 헤어 미용이 편리한 위치에 놓이게 되어 미용사가 편리하게 헤어 미용(염색)을 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Comb)을 사용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카락(모발)을 빗게 되면 일정 간격으로 소정 수량의 머리카락이 유입되고, 빗(comb)을 "V"자 형태로 살짝 위로 들면 원하는 소정 수량의 머리카락들이 홈(125)에 걸려 분리하게 된다.
이렇게 소정 간격 일렬로 들린 머리카락을 미용사는 호일이나 기타 도구로 받치고 염색 등과 같은 원하는 모발 미용 작업을 하면 된다.
참고로, 종래에는 염색을 하기 위하여 머리카락(모발)을 가로·세로 섹션을 나누어서 사람의 손으로 꼬리빗 등을 사용해서 슬라이싱(slicing)하여 머리카락을 떠서 일정 간격으로 몇 가락을 취하는 작업을 하여야 했지만, 본 발명이 제안하는 염색용 빗(100)을 사용한다면 머리카락(모발)을 'V'자 형태로 빗어 올리기만 하여도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어 미용사들 또는 사용자들에게는 헤어 미용 시술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여 질 수 있고 자연스런 머리 염색이 가능하다.
또한, 빗살의 끝단(123)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람의 둥근 머리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 들어가는 반달 형상이나 일측이 소정 간격 들어가는 반원 형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손잡이부(130)는 빗대(110) 일측에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손잡이부(130)는 빗(comb)을 잡는 파지 가능한 부분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쥐의 꼬리 형상일 수 있고, 가늘고 긴 봉일 수 있으며, 빗살 사이 간격이 좁은 빗살부가 있거나 기타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부(1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대(110)의 일단에 소정 깊이 함몰된 홈이 형성되어 손가락 엄지가 잘 안착될 수 있게 안내한다. 또한, 걸림부(140)에 안착된 손가락은 자유자재로 움직이면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소정 힘을 주거나 누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염색용 빗(100)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고무, 실리콘 등을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고, 그립(grip)감이 좋으며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이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100)을 다음과 같이 사용하여 시술하여 보았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염색용 빗(100)을 사용하여 모발을 빗게 되면 일정 간격으로 소정 수량의 머리카락을 잡아 주는데, 염색용 빗(100)을 도 4와 같이 "V"자 방향으로 아래로 내렸다가 살짝 위로 들면 원하는 소정 수량의 머리카락이 빗살(120)과 빗살(120) 사이에 형성된 골(111)에 유입되어 홈(125)에 걸려 들리게 된다.
이때 각 빗살(120)마다 'A' 방향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빗대(110) 길이방향으로 L' (=L×cosθ)폭만큼 머리카락이 홈(125)에 걸려 들리게 된다.
이렇게 들린 머리카락을 미용사는 호일이나 기타 도구로 받치고 염색 등과 같은 원하는 모발 미용 작업을 하면 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염색용 빗(100)의 빗살을 머리 두피에 최대한 근접하게 삽입한 상태에서 왼손의 힘을 빼는 동시에 염색용 빗(100)의 빗살(120) 끝을 두피 방향 쪽으로 기울이면서 "V"자 방향으로 아래로 빗었다가 들어올린다.
특히, 종래의 일반 빗들은 직각 또는 사각의 "
Figure pat00001
"자 형태로 머리카락 아래가 뭉뚱하게 뭉쳐 들려져 머리모양이 세련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제안하는 염색용 빗(100)은 홈(125)에 걸리는 머리카락이 "V"자 형태로 취득되어 보다 세련된 느낌의 염색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렇게 건져진 머리카락을 호일로 받치고 염색용 빗(100)을 빼내어 가닥가닥 일렬로 건져진 머리카락을 호일 위에 염색액(약액)을 도포하여 감싼다.
이렇게 작업을 하므로 종래에 소요되는 작업 시술 시간보다 매우 많이 단축된다.
즉, 종래에 시술은 모발을 약 0.5mm 떠서 한가닥 한가닥 빠르게 뜨게질 하듯 건져진 모발을 호일에 약품을 감싸는 작업이였고, 종래 방식의 시술시간은 한 패널(일정 규격의 호일 면적)당 약 5초가 소요되었다.(전문가의 기준)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염색용 빗(100)을 사용하면 시술시간이 한 패널당 약 1초 정도가 소용될 뿐만 아니라 초보자가 1시간 정도의 연습만으로도 전문가 못지않은 염색 시술 능력을 갖추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10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염색용 빗에 따르면, 사선으로 기울어진 복수의 빗살 공간으로 소정 수량씩 선별하여 일렬로 머리카락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용이하게 취득된 머리카락은 편리하게 염색 가능하여 머리 미용 시간을 단축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빗살의 간격이나 빗살의 기울기를 달리하는 염색용 빗을 준비하여 머리카락의 염색 깊이나 염색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보다 금형 제작 비용이 절감되고 제품 불량률이 감소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염색용 빗(100)을 사용하여 초보자도 전문가 못지않은 헤어 컬러를 표현할 수 있고, 새로운 모발(신생모)과의 컬러 연결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염색용 빗(100)을 사용하여 염색함으로써 컬러의 단차가 적어 훨씬 자연스러워 지고 시각적 효과가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염색용 빗(100)을 사용하여 시술함으로, 입체적으로 보여 세련미가 돋보이고, 얼굴이 작아 보이는 느낌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염색용 빗(100)을 사용하므로 작업자의 미용 작업시 종래의 미용 도구로 인한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이 제안하는 염색용 빗
110 : 빗대 120 : 빗살
130 : 손잡이부 140 : 걸림부

Claims (3)

  1. 머리 미용을 하기 위한 염색용 빗에 있어서,
    소정 길이를 갖는 빗대와,
    상기 빗대 전방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머리카락을 취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빗살이 형성되되,
    상기 빗살은 상기 빗대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사선을 이루고,
    상기 빗살은 상기 빗대와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빗살의 끝단 사이에 상기 빗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빗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 빗.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이 상기 소정 각도 θ만큼 기울어질 경우,
    상기 빗대와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빗살의 끝단 사이 길이가 L이면 상기 빗살과 상기 빗대 사이에 상기 빗대의 길이방향으로 L×cosθ 깊이만큼 소정 공간 파고드는 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 빗.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의 끝단은 유선형의 나셀(nacelle) 형상으로 상기 빗대에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빗살에 형성된 상기 홈은 소정 수량의 머리카락이 걸리는 후크(hook)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 빗.
KR1020160097745A 2016-08-01 2016-08-01 염색용 빗 KR20180014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745A KR20180014465A (ko) 2016-08-01 2016-08-01 염색용 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745A KR20180014465A (ko) 2016-08-01 2016-08-01 염색용 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465A true KR20180014465A (ko) 2018-02-09

Family

ID=6119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745A KR20180014465A (ko) 2016-08-01 2016-08-01 염색용 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44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7130A (en) Highlighting comb
US4993438A (en) Hair weaving comb and method for use
US5024243A (en) Comb for practicing selective hair coloring
US777984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hair processing materials
US5018542A (en) Instrument for selectivity separating strands of hair
US7044138B2 (en) Multi-purpose hair highlighting comb and method of use
US3552403A (en) Hair-colo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200473878Y1 (ko) 헤어 미용용 툴
ES2618215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decolorar o teñir selectivamente una pluralidad de mechones de pelo
US3696823A (en) Hair comb
GB2447737A (en) Hair highlights or balayage kit and method
US20160309870A1 (en) Hair coloring applicator
US89671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 hair coloring
US3835870A (en) Hair treating instrument and method
US4325393A (en) Hair strand separating implement
EP3110286B1 (en) Hair applicator brush for generating streak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548902B1 (ko) 크리에티브 컬러 작업을 위한 헤어용 빗
US7891364B2 (en) Passage braid guide measuring comb
US5575297A (en) Hair braiding device
KR20180014465A (ko) 염색용 빗
RU202495U1 (ru) Инструмент колориста
US4987909A (en) Method of selective hair coloring and coloring comb for practicing method
US7637264B1 (en) Hairstyling device
KR200451473Y1 (ko) 염색용 빗
US7111628B2 (en) Hair combing apparatus for hair coloring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