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450A - 스마트 약통 - Google Patents

스마트 약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450A
KR20180014450A KR1020160097718A KR20160097718A KR20180014450A KR 20180014450 A KR20180014450 A KR 20180014450A KR 1020160097718 A KR1020160097718 A KR 1020160097718A KR 20160097718 A KR20160097718 A KR 20160097718A KR 20180014450 A KR20180014450 A KR 20180014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
tablet
receptacle
motor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조혁진
김대선
이호준
Original Assignee
박재현
조혁진
이호준
김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현, 조혁진, 이호준, 김대선 filed Critical 박재현
Priority to KR1020160097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4450A/ko
Publication of KR20180014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을 갖는 알약 수납통과 상기 알약 수납통에 수납되는 알약을 인출하기 위한 알약 인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알약 인출부는 상기 알약 수납통의 바닥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결된 알약 인출관; 상기 알약 인출관의 하단에 위치하며, 알약이 거치될 수 있는 알약 거치부를 갖는 알약 받이체; 상기 알약 받이체를 회전 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알약 받이체의 하단에 위치하며, 경사를 갖는 알약 이동판; 및 상기 알약 이동판의 경사 하단에 위치하는 알약 인출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 및상기 타이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맞춰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스마트 약통{SMART DRUG MACHINE}
본 발명은 스마트 약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해진 시간에 맞춰 알약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약통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는 대한민국 국민의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고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의약품의 소비도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 의약품의 경우, 소비자들은 먹기에 편리한 알약을 선호하고 있다.
한편, 의약품은 대부분 권장 복용량과 권장 복용 시간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정해진 용법에 따라 의약품을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나이가 많은 노인층의 경우, 이러한 용법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584541호에는 알림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약통 및 세트가 개시되어 있다.
위 한국등록특허에서는 모바일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약 복용 시간을 알려주는 알림등 및 스피커를 구성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약 복용 시간에 맞춰 알림등 및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게 된다. 또한,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위 한국등록특허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약통으로부터 알약을 인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해진 시간에 맞춰 자동으로 알약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약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뚜껑을 갖는 알약 수납통과 상기 알약 수납통에 수납되는 알약을 인출하기 위한 알약 인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알약 인출부는 상기 알약 수납통의 바닥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결된 알약 인출관; 상기 알약 인출관의 하단에 위치하며, 알약이 거치될 수 있는 알약 거치부를 갖는 알약 받이체; 상기 알약 받이체를 회전 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알약 받이체의 하단에 위치하며, 경사를 갖는 알약 이동판; 및 상기 알약 이동판의 경사 하단에 위치하는 알약 인출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 및상기 타이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맞춰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알약 이동판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는 알약이 상기 알약 인출통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알약 이동판에 마련된 이탈 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수동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작동시킬 경우 상기 알약 받이체를 정방향으로 180。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역방향으로 180。 만큼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알약 받이체는 상기 알약 거치부의 입구가 사방으로 곡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알약 수납통은 하단으로 갈수록 수납 면적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알약 수납통의 뚜껑은 상기 알약 수납통 내부에 수납되는 알약들을 휘저을 수 있도록 마련된 믹서(mixer)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었을 경우 이를 알리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알약 수납통에 적재된 알약이 정해진 시간에 맞춰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알약의 인출시 알약이 알약 인출통으로 정확하게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머를 미처 설정하지 못한 경우에도 직접 알약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알약의 인출시 알약이 다른 위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알약이 알약 거치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알약 수납통에 적재된 알약이 인출되지 못하고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알약이 인출된 것을 소리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약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약통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약통의 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알약 수납통의 분해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알약 받이체 및 모터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약통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약통(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1)과 알약 수납통(110)과 알약 인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알약 수납통(110)은 사용자가 복용하기 위한 알약을 수납하기 위한 통으로서, 뚜껑(111)을 갖도록 마련된다. 사용자는 상기 알약 수납통(110)의 뚜껑(111)을 열어 알약을 적재한 후, 뚜껑(111)을 닫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알약 인출부는 상기 알약 수납통(110)에 적재되는 알약을 인출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체(170), 알약 인출관(180), 알약 받이체(130), 모터(140), 제어부, 알약 이동판(150) 및 알약 인출통(16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170)는 상기 알약 수납통(1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알약 인출관(180)은 상기 알약 수납통(110)의 바닥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알약 수납통(110)에 적재된 알약은 상기 알약 인출관(180)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알약 수납통(110)에 적재된 알약이 상기 알약 인출관(180)으로 인출되지 못하고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알약 수납통(110)은 하단으로 갈수록 수납 면적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약 수납통(110)의 뚜껑(111)은 상기 알약 수납통(110) 내부에 수납되는 알약들을 휘저을 수 있도록 마련된 믹서(mixer, 111a)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알약 수납통(110)에 적재된 알약이 상기 알약 인출관(180)으로 인출되지 못하고 막히는 경우, 상기 뚜껑(111)에 마련된 믹서(111a)를 이용해 알약들을 저어줌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알약이 상기 알약 인출관(180)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알약 받이체(130)는 상기 알약 인출관(180)으로부터 인출되는 알약을 받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알약 인출관(180)의 하단에 위치하며 알약이 거치될 수 있는 알약 거치부(131)를 갖는다.
상기 알약 수납통(110)에 적재된 알약은 상기 알약 인출관(180)을 거쳐 상기 알약 받이체(130)의 상기 알약 거치부(131)에 놓이게 된다. 그런데 알약 거치부(131)에 거치되는 알약의 형상은 대체로 비슷하나 알약의 종류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알약 거치부(131)의 입구가 각이 지게 되면 알약의 형상에 따라 알약이 안정적으로 거치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알약 받이체(130)는 상기 알약 거치부(131)의 입구가 사방으로 곡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알약 거치부(131)의 입구가 사방으로 곡면을 갖도록 마련된 경우, 상기 알약 거치부(131)는 보다 안정적으로 알약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140)는 상기 알약 받이체(1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알약 받이체(13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4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알약 받이체(130)가 같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알약 거치부(131)에 거치되어 있던 알약은 상기 알약 받이체(130)가 회전함에 따라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모터(14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타이머 및 조작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머의 시간은 상기 조작부(120)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맞춰 상기 모터(140)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이 때, 상기 모터(140)가 상기 알약 받이체(130)를 360。 회전시킬 경우, 원심력에 의해 알약 거치부(131)에 놓인 알약이 아래로 떨어지지 못하고 다른 방향으로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140)를 작동시킬 경우 상기 알약 받이체(130)를 정방향으로 180。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역방향으로 180。 만큼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140)를 제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알약 받이체(130)가 위와 같이 회전할 경우, 알약 거치부(131)에 놓인 알약이 다른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아래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알약 이동판(150)은 상기 알약 받이체(130)의 하단에 위치하며, 경사를 갖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알약 받이체(130)가 회전함으로 인해 상기 알약 거치부(131)로부터 이탈된 알약은 상기 알약 이동판(150)으로 떨어지게 되며, 알약 이동판(150)의 경사로 인해 상기 알약 이동판(150)을 따라 내려가게 된다.
상기 알약 인출통(160)은 상기 알약 이동판(150)을 따라 이동한 알약을 적재하여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알약을 인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알약 이동판(150)의 경사 하단에 위치한다. 상기 알약 인출통(160)은 상기 알약 이동판(150)을 따라 내려온 알약이 적재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있도록 마련된다.
위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약통(100)에 의하면,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맞춰 알약 수납통(110)에 적재되어 있던 알약이 알약 인출통(160)으로 인출되므로, 사용자는 손쉽게 알약을 시간에 맞춰 복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었을 경우 이를 알리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알람 시간을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서도 소리를 통해 알약이 인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약 수납통(110), 알약 인출관(180), 알약 받이체(130) 및 모터(140)는 복용하는 알약의 종류에 맞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면 복용하는 알약의 종류가 여러 종류인 경우에도 여러 종류의 알약들을 한번에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알약 이동판(150)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는 알약은 알약 인출통(160)의 크기가 상기 알약 이동판(150)의 너비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알약 인출통(160)으로 적재되지 못하고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알약 이동판(150)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는 알약이 상기 알약 인출통(160)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알약 이동판(150)에 마련된 이탈 방지판(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판(151)은 상기 알약 이동판(150)의 경사를 따라 상기 이탈 방지판(151)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알약 이동판(150)을 따라 이동하는 알약이 상기 알약 인출통(160)으로 정확히 적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140)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미처 타이머를 설정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직접 알약을 인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140)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수동 스위치(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타이머를 설정하지 못한 경우에도 상기 수동 스위치(102)를 이용해 직접 알약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스마트 약통 101: 케이싱
102: 수동 스위치 110: 알약 수납통
111: 뚜껑 111a: 믹서(mixer)
112: 알약 수납통 본체 120: 타이머 조작부
130: 알약 받이체 131: 알약 거치부
140: 모터 150: 알약 이동판
151: 이탈 방지판 160: 알약 인출통
170: 지지체 180: 알약 인출관

Claims (7)

  1. 케이싱과 뚜껑을 갖는 알약 수납통과 상기 알약 수납통에 적재되는 알약을 인출하기 위한 알약 인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에 있어서,
    상기 알약 인출부는
    상기 알약 수납통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
    상기 알약 수납통의 바닥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결된 알약 인출관;
    상기 알약 인출관의 하단에 위치하며, 알약이 거치될 수 있는 알약 거치부를 갖는 알약 받이체;
    상기 알약 받이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알약 받이체와 연결된 모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알약 받이체의 하단에 위치하며, 경사를 갖는 알약 이동판; 및
    상기 알약 이동판의 경사 하단에 위치하는 알약 인출통;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맞춰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된 스마트 약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약 이동판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는 알약이 상기 알약 인출통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알약 이동판에 마련된 이탈 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수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작동시킬 경우 상기 알약 받이체를 정방향으로 180。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역방향으로 180。 만큼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게 마련된 스마트 약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약 받이체는
    상기 알약 거치부의 입구가 사방으로 곡면을 갖도록 마련된 스마트 약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약 수납통은
    하단으로 갈수록 수납 면적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알약 수납통의 뚜껑은
    상기 알약 수납통 내부에 수납되는 알약들을 휘저을 수 있도록 마련된 믹서(mixer)를 갖도록 마련된 스마트 약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었을 경우 이를 알리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약통.
KR1020160097718A 2016-08-01 2016-08-01 스마트 약통 KR20180014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718A KR20180014450A (ko) 2016-08-01 2016-08-01 스마트 약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718A KR20180014450A (ko) 2016-08-01 2016-08-01 스마트 약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450A true KR20180014450A (ko) 2018-02-09

Family

ID=6119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718A KR20180014450A (ko) 2016-08-01 2016-08-01 스마트 약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44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3371A (zh) * 2018-06-01 2018-11-06 武汉大学人民医院(湖北省人民医院) 一种可共享智能药盒系统及其应用方法
KR20210125154A (ko) 2020-04-07 2021-10-18 (주)글로웨일 복약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3371A (zh) * 2018-06-01 2018-11-06 武汉大学人民医院(湖北省人民医院) 一种可共享智能药盒系统及其应用方法
KR20210125154A (ko) 2020-04-07 2021-10-18 (주)글로웨일 복약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0269B2 (en) Tablet cassette of automatic tablet packing apparatus
EP2436362B1 (en) Rotary-type tablet feeder
US6497339B1 (en) Systems for feeding, counting and dispensing discrete objects
EP2263638B1 (en) Dispensing canister for delivery of solid medications
CA2498496A1 (en) Dosett loaded automatic prescription pill dispensing system
US20020113077A1 (en) Bulk medication dispenser and monitoring device
CN107635887B (zh) 分配装置、阀、具有其的装纳设备、内含物移动设备以及内含物设备
KR20140119170A (ko) 스마트 캡 시스템
US6554157B2 (en) Cassette systems for feeding, counting and dispensing discrete objects
US6659304B2 (en) Cassettes for systems which feed, count and dispense discrete objects
KR20180014450A (ko) 스마트 약통
KR20090121265A (ko) 약봉지 자동 배출 장치
TW201545741A (zh) 藥劑卡匣及藥劑包裝裝置
KR200440603Y1 (ko) 약 보관함
KR20140085029A (ko) 용기뚜껑
TW200428300A (en) Article retrieval equipment
EP3324373A1 (en) Dispenser for continuously feeding frying machines
KR102178983B1 (ko) 식품캡슐 배출기
US6578733B2 (en) Cassette for storing and feeding discrete objects
KR101890924B1 (ko) 약통 및 상기 약통과 약제 배출 카트리지의 조립체
JP2002291845A (ja) 薬剤供給装置
KR102664319B1 (ko) 정제 연속 공급장치
KR102652276B1 (ko) 정제 자동 공급장치
US3095118A (en) Ejector control mechanisms for straw dispensers
KR102073099B1 (ko) 복용 시간 알람 기능을 구비한 약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