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412A - Led lamp unit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Led lamp unit for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4412A
KR20180014412A KR1020160103120A KR20160103120A KR20180014412A KR 20180014412 A KR20180014412 A KR 20180014412A KR 1020160103120 A KR1020160103120 A KR 1020160103120A KR 20160103120 A KR20160103120 A KR 20160103120A KR 20180014412 A KR20180014412 A KR 20180014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mp
substrate
heat dissip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1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40449B1 (en
Inventor
곽병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0733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21724A1/en
Publication of KR2018001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4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4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LED lamp unit for a vehicle to improve a direct contact method instead of existing terminal connection methods and to improve a poor structure which can occur in an instrument assembly process. The LED lamp unit for a vehicle is mounted on a vehicle lamp base (2) having a base terminal (20) mounted on a vehicle and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to be connected with the base terminal (20).

Description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LED LAMP UNIT FOR A VEHICLE}LED LAMP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램프 유니트로서, 제조 비용을 최소화하고 보다 내구성 및 감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램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unit mounted on a vehicle, which can minimize manufacturing costs and enhance durability and sensitivity.

자동차용 램프, 예를 들어 차량용 룸 램프는 단순하게 차량 내부에 조명을 제공해 주는 형태로서, 차량의 내구성 확보를 위하여 차량에는 종래의 할로겐 등의 벌브 타입의등의 전형적 램프가 채택되었다. A vehicle lamp, for example, a vehicle room lamp, is a type that provides illumination inside the vehicle. In order to ensure the durability of the vehicle, a conventional lamp such as a bulb type such as a conventional halogen is adopted for the vehicle.

하지만, 차량 운전자의 체감적 만족감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LED 램프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었다.However,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demand for LED lamps due to an increase in demand for vehicle driver's satisfaction.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Bulb 전구와의 호환을 위하여 Bulb 전구 소켓형상의 LED Module을 구성하였다. 또한, 광원(LED) 실장을 위한 PCB와 Driver 구성을 위한 PCB를 체결한 형상으로 이루어졌다.To this end, a bulb bulb socket-shaped LED module has been constructed for compatibility with bulb bulbs. In addition, PCBs for light source (LED) mounting and PCB for driver configuration are tightened.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광원(LED)이 실장된 PCB와 Driver가 구성된 PCB는 서로 분리된 형태였으며, 연결을 위하여 커넥터를 필요로 하였고, 커넥터는 PCB의 사이즈 문제로 인하여 수작업으로 부착되었으며, 이에 따라 광원(LED) PCB와 Driver PCB간 정렬 문제가 발생하였고, 조립공정상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램프 접점과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 PIN이 필요하였으며, 터미널 PIN과 PCB와의 연결을 위한 Soldering 공정이 필요하였다.However, in this structure, the PCB on which the light source (LED) is mounted and the PCB on which the driver is forme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connector is required for connection, and the connector is manually attached due to the PCB size problem, (LED) alignment problems between the PCB and the driver PCB, and there was a case that the assembly was in a bad state. In addition, a terminal PIN was required for connection to the lamp contact, and a soldering process was requir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PIN and the PCB.

즉,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원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That is,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cost is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터미널 연결방식이 아닌 직접 접촉 방식 구조 개선하고, 기구물 조립 공정상 발생 가능한 불량 구조 개선을 이루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ular LED lamp unit which improves the direct contact type structure, .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고 배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터미널(20)을 갖는 차량용 램프 베이스(2)에 상기 베이스 터미널(20)과 접속되도록 장착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로서,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는: 상기 베이스 터미널(20) 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배치되는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터미널(2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유니트 기판(200)과, 상기 유니트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LED 소자를 포함하는 유니트 램프(300)와, 상기 유니트 기판(200)와 접촉하여 상기 유니트 램프(300)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유니트 방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lamp unit (10) for a vehicle, the vehicle lamp base (2) having a base terminal (20) (10) comprising: a unit housing (100) at least partly inserted into the base terminal (20) side, and a lamp unit (100) disposed in the unit housing (1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A unit lamp 300 including an LED elemen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nit substrate 200 and a lamp unit 300 connected to the unit substrate 200 to generate light in the unit lamp 300 And a unit heat dissipation unit (400)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by the unit heat dissipation unit (400).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기판(200)은 플렉서블 기판(FPCB)이고, 상기 유니트 기판(200)은: 상기 유니트 램프(300)가 배치되는 램프 기판(210)과, 상기 램프 기판(210) 측과 연결되고 상기 유니트 램프(3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소자가 배치되는 소자 기판(220)을 포함하고,상기 램프 기판(210)과 상기 소자 기판(220)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교차되는 평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lamp unit 10, the unit substrate 200 is a flexible substrate (FPCB), and the unit substrate 200 includes: a lamp substrate 210 on which the unit lamp 300 is disposed; And an element substrate 220 connected to the lamp substrate 210 and arranged to transmit an electric signal to the unit lamp 300. The lamp substrate 210 and at least part of the element substrate 220 May be arranged on a plane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방열부(400)는: 상기 램프 기판(210)과 접촉하는 램프 방열부(410)와, 상기 램프 방열부(410)와 연결되고 상기 소자 기판(220)과 접촉하여 상기 소자 기판(220)의 열을 방출하는 소자 방열부(4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unit heat dissipation unit 400 includes a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amp substrate 210 and a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that is connected to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And a device heat dissipation unit 420 that contacts the device substrate 220 to emit heat from the device substrate 220.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터미널(20)과 상기 유니트 기판(200) 사이에는 접촉에 의한 전기적 접속을 이루고 적어도 일부의 일단이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 배치되는 커넥터 터미널부(600)가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 기판(200)과 상기 커넥터 터미널부(600) 사이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컨택 터미널부(5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a connector terminal portion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terminal 20 and the unit substrate 200 to make electrical connection by contact and at least one end of which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unit housing. And a contact terminal unit 500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unit substrate 200 and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컨택 터미널부(500)는:상기 유니트 기판(200)에 배치되는 기판 컨택 터미널(510)과, 상기 커넥터 터미널부(600)와 연결되고 상기 기판 컨택 터미널(510)과 접속되는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contact terminal unit 500 includes a substrate contact terminal 510 disposed on the unit substrate 200 and a connection terminal unit 6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And a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connected to the terminal 510.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컨택 터미널(520)은: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기 기판 컨택 터미널(510)에 대향 배치되는 커넥터 컨택 터미널 접속부(521)와, 일단은 상기 커넥터 컨택 터미널 접속부(52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 터미널부(600)에 연결되는 커넥터 컨택 터미널 연결부(5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includes: a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1 disposed inside the unit housing 100 so as to face the substrate contact terminal 510; And a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2 connected to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1.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컨택 터미널 접속부(521)가 상기 커넥터 컨택 터미널 연결부(522)를 사이에 두고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사이에 상기 유니트 방열부(400)의 적어도 일부를 탄성 접촉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521 are arranged in pairs via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2, and at least a part of the unit heat radiation portion 400 Thereby forming an elastic contact state.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상기 커넥터 컨택 터미널 연결부(522)의 측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may be connected to a side of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unit 522.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방열부(410)와 상기 소자 방열부(420)는 직교 배치되고, 상기 램프 방열부(410)는 원형, 원판, 각형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ng unit 420 are arranged in a perpendicular arrangement and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is formed of at least one of a circular, .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고 배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터미널(20)을 갖는 차량용 램프 베이스(2)에 상기 베이스 터미널(20)과 접속되도록 장착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로서,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는: 상기 베이스 터미널(20) 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배치되는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터미널(2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유니트 기판(200)과, 상기 유니트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LED 소자를 포함하는 유니트 램프(300)와, 상기 유니트 기판(200)와 접촉하여 상기 유니트 램프(300)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유니트 방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트 기판(200)은 플렉서블 기판(FPCB)이고, 상기 유니트 기판(200)은: 상기 유니트 램프(300)가 배치되는 램프 기판(210)과, 상기 램프 기판(210) 측과 연결되고 상기 유니트 램프(3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소자가 배치되는 소자 기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기판(210)과 상기 소자 기판(220)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교차되는 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니트 방열부(400)는: 상기 램프 기판(210)과 접촉하는 램프 방열부(410)와, 상기 램프 방열부(410)와 연결되고 상기 소자 기판(220)과 접촉하여 상기 소자 기판(220)의 열을 방출하는 소자 방열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방열부(410)와 상기 소자 방열부(420)는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 연결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LED lamp unit (10) mounted on a vehicle and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20) in a vehicle lamp base (2) having a base terminal , Wherein the vehicle lamp unit (10) comprises: a unit housing (100)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base terminal (20) side; A unit lamp 300 including an LED elemen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nit substrate 200 and a lamp unit 300 connected to the unit lamp 200 in contact with the unit substrate 200, And a unit heat dissipating unit 400 for dissipating the generated heat, wherein the unit substrate 200 is a flexible substrate (FPCB), and the unit substrate 200 includes: a lamp substrate 300 on which the unit lamp 300 is disposed; And an element substrate 220 connected to the lamp substrate 210 and having an element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unit lamp 300.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 substrate 3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least a part of the lamp unit 220 is disposed on an intersecting plane and the unit heat dissipation unit 400 includes a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contacting the lamp substrate 210, And a device heat dissipating unit 420 connected to the device substrate 220 and emitting heat of the device substrate 220 in contact with the device substrate 220.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ng unit 420 are directly As shown in FIG.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방열부(410)와 상기 소자 방열부(420)는 상호 맞춤 연결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on unit 420 may be mutually connected.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방열부(410)와 상기 소자 방열부(420)는 직교 연결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on unit 420 may be connected in an orthogonal manner.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방열부(410)에는 램프 방열 장착부(413)를 구비하고, 상기 소자 방열부(420)에는 상기 램프 방열 장착부(413)와 맞물림되는 소자 방열 장착부(4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is provided with a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3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ng unit 420 is provided with an element heat dissipating mount part 413 which is engaged with the lamp heat dissipating mount part 413, (423).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방열 장착부(413)와 상기 소자 방열 장착부(423)는 상기 램프 방열부(410)이 속하는 평면 상에 슬라이드 끼워 맞춤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lamp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13 and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23 may be slidably fitted on a plane to which the lamp heat dissipating portion 410 belongs.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방열 장착부(413)와 상기 소자 방열 장착부(423)는 상기 램프 방열부(410)와 상기 소자 방열부(420)의 직교 연결 방향으로 끼워 맞춤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lamp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13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23 are fitted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orthogonal connection of the lamp heat dissipation portion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on portion 420 It is possible.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램프 기판(210)과 상기 소자 기판(220)은 사이에 연결 기판(230)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램프 방열부(410)의, 상기 연결 기판(230)의 배치되는 단부 측에는 챔퍼링되는 램프 방열 컷오프(411)가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 substrate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substrate 230, and the lamp substrate 210, 230 may b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lamp heat-dissipating cut-off 411 to be chamfered.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램프 기판(210) 내측으로, 상기 램프 기판(210)과 상기 연결 기판(230)의 연결 지점의 외측에 형성되는 램프 기판 컷오프(211)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방열 컷오프(411)의 단부 측에는 상기 램프 방열부(4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입 형성되고 상기 연결 기판(230)의 수용을 형성하는 램프 방열 컷오프 수용부(4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And a lamp substrate cutoff 211 formed inside the lamp substrate 210 and outside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connection substrate 230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And a lamp heat dissipation cutoff accommodating portion 415 which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lamp heat dissipating portion 410 and forms an accommodation of the connection substrate 230 at an end of the lamp heat dissipation cutoff 411. [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은: 차량 램프 베이스에 장착되는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하우징 바디(110)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12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120)의 내부에는 상기 유니트 기판(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커버 기판 지지 리브(125)을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lamp unit 10, the unit housing 100 includes: a housing body 110 mounted on a vehicle lamp base; a housing cover 120, which is engaged with the housing body 110 to form an internal space; And a cover substrate supporting rib 125 for stably supporting the unit substrate 200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cover 120.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고 배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터미널(20)을 갖는 차량용 램프 베이스(2)에 상기 베이스 터미널(20)과 접속되도록 장착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로서,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는: 상기 베이스 터미널(20) 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배치되는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터미널(2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유니트 기판(200)과, 상기 유니트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LED 소자를 포함하는 유니트 램프(300)와, 상기 베이스 터미널(20)과 상기 유니트 기판(200) 사이에는 접촉에 의한 전기적 접속을 이루고 적어도 일부의 일단이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 배치되는 커넥터 터미널부(600)와, 상기 유니트 기판(200)과 상기 커넥터 터미널부(600) 사이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컨택 터미널부(500)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 터미널부(500)는 상기 유니트 기판(200)와 상기 유니트 기판(200)의 배면 측에서 접속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lamp unit (20) for a vehicle, the vehicle lamp base (2) having a base terminal (20) (10) comprising: a unit housing (100) at least partly inserted into the base terminal (20) side; a base unit (20) disposed in the unit housing (100) A unit lamp 300 including an LED elemen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nit substrate 200 and a light emitting diode 300 disposed between the base terminal 20 and the unit substrate 200 A connector terminal part 600 having electrical connection by contact and at least one end of which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unit housing, And the contact terminal unit 50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unit substrate 200 and the back side of the unit substrate 200 .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컨택 터미널부(500)와 상기 커넥터 터미널부(600)의 적어도 일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at least a part of the contact terminal unit 500 and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컨택 터미널부(500)는: 상기 유니트 기판(200)의 상기 유니트 램프(300)가 배치되는 일면의 배면에 배치되는 기판 컨택 터미널(510)과, 상기 커넥터 터미널부(600)와 연결되고 상기 기판 컨택 터미널(510)과 접속되는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contact terminal unit 500 includes a substrate contact terminal 510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one side of the unit substrate 200 on which the unit lamp 300 is disposed, And a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connected to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and connected to the substrate contact terminal 510.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과 상기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and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컨택 터미널(520)과 연결되는 커넥터 터미널 베이스(601)와, 상기 커넥터 터미널 베이스(601)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터미널(20)과 접속하는 커넥터 터미널 접촉부(603)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includes a connector terminal base 601 inserted into the unit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And a connector terminal contact portion 603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20 and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20.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와 상기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절곡 형성되는 도전성 스트립의 양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and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a bending conductive strip.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단부에는 상기 커넥터 터미널 접촉부(603)가 돌출 배치되는 바디 커넥터 관통구(117)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a body connector through-hole 117 through which the connector terminal contact portion 603 is protruded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unit housing.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 터미널 베이스(601)를 수용 배치시키고 상기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의 가동을 제한하는 바디 커넥터 장착부(119)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unit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body connector mounting portion 119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or terminal base 601 and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는 상기 유니트 기판(200)을 안착 지지시키는 바디 기판 지지부(114)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unit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body substrate support 114 for supporting the unit substrate 200 in a seated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고 배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터미널(20)을 갖는 차량용 램프 베이스(2)에 상기 베이스 터미널(20)과 접속되도록 장착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로서,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는:상기 베이스 터미널(20) 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배치되는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터미널(2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유니트 기판(200)과, 상기 유니트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LED 소자를 포함하는 유니트 램프(300)와, 상기 베이스 터미널(20)과 상기 유니트 기판(200) 사이에는 접촉에 의한 전기적 접속을 이루고 적어도 일부의 일단이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 배치되는 커넥터 터미널부(600)와, 상기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상기 유니트 기판(200) 상에 배치되되, 상기 유니트 램프(300)와 동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땜납일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lamp unit (20) for a vehicle, the vehicle lamp base (2) having a base terminal (20) (10) comprising: a unit housing (100) at least partly inserted into the base terminal (20) side; a base unit (20) disposed in the unit housing (100) A unit lamp 300 including an LED elemen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nit substrate 200 and a light emitting diode 300 disposed between the base terminal 20 and the unit substrate 200 A connector terminal part (600) hav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y contact and at least one end of which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unit housing, and a connector terminal part (600) Doedoe disposed on the plate 200, the lamp unit 300 and is disposed on the same surface,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may be a solder.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기판(200)은: 상기 유니트 램프(300)가 배치되는 램프 기판(210)과, 상기 램프 기판(210) 측과 연결되고 상기 유니트 램프(3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소자가 배치되는 소자 기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기판(210)과 상기 소자 기판(220)는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lamp unit includes a lamp substrate 210 on which the unit lamp 300 is disposed and a lamp unit 210 connected to the lamp unit 210 and connected to the unit lamp 300 And a device substrate 220 on which an element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is disposed.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device substrate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disposed on the same plane.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상기 유니트 기판(200)을 탄성 지지하는 기판 서포트부(700)가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a substrate support unit 70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unit substrate 200 may be disposed in the unit housing 100.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기판 서포트부(700)는 Y자 형상일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substrate support unit 700 may be Y-shaped.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기판 서포트부(700)는: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삽입 배치되는 기판 서포트 베이스(730)와, 상기 기판 서포트 베이스(730)와 연결되고 상기 유니트 기판(200)의 배면을 지지하는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substrate support unit 700 includes: a substrate support base 730 inserted into the unit housing; a light source unit 730 connected to the substrate support base 730, (Not shown).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기판 서포트 베이스(730)와 상기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는 절곡 형성되는 스트립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substrate support base 730 and the substrate support contact portions 710 and 720 may include a strip formed by bending.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기판 서포트 베이스(730)와 상기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는 스트립으로 펀칭 절곡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substrate support base 730 and the substrate support contact portions 710 and 720 may be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a strip.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는 상기 차량용 램프 베이스의 배면을 향하여 돌출 배치되는 홀딩 인크리먼트(8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ular LED lamp unit 10, the unit housing may include a holding increment 800 protruding toward a rear surface of the vehicle lamp base.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는 원주 돌출 형성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바디(110)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 인크리먼트(800)는 원주 방향으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 경사 형성 구조일 수도 있다.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the unit housing 100 includes a housing body 110 including a circumferential protrusion forming portion. The holding length 800 has a different heigh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may be an inclined forming structure.

본 발명에 의하면,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저비용 고효율 고신뢰성을 확보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hicular LED lamp unit that assures low cost, high efficiency, and high reliability through a compact and simple structure.

또한, 기존 별도의 터미널 연결방식이 아닌 직접 접촉 방식 구조 개선하고, 기구물 조립 공정상 발생 가능한 불량 구조 개선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rect contact type structure, not the existing terminal connection type, and to improve the defective structure that can occur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apparatus.

또한, 종래의 방열판 부착형 FPCB를 이용한 LED Module은 LED PCB와 Driver PCB가 분리된 구조로 조립 시 공수가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으며, LED PCB에서 발생하는 열은 LED PCB에서만 방출 하는 구조였으나, 본 발명은 LED PCB와 Driver PCB를 체결하는 구조를 통하여 Driver PCB가 LED PCB의 중앙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상단 LED PCB에 힘을 가하여 Driver PCB를 기구물에 체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LED PCB에서 발생하는 열을 Driver PCB에 전달이 가능하여 LED의 수명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LED module using the conventional heat sink-attached FPCB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ED PCB and the driver PC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air generated from the LED PCB is emitted only from the LED PCB. However, The driver PCB is positioned at the central part of the LED PCB through the structure of fastening the LED PCB and the driver PCB and it becomes easy to fasten the driver PCB to the equipment by applying the force to the upper LED PCB, Can be transferred to the driver PCB, which can solve the heating problem which has an absolute effect on the lifetime of the LED.

또한, 기판과의 접속이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컴팩트한 공간 배치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with the substrate may be made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compact space arrangement may be possible.

또한, 스트립의 절곡 내지 펀칭 등을 통하여 형성되는 구조를 통하여 공정 원가 절감을 이룰 수도 있고, Y자 형상의 터미널 구조를 통하여 접속 및 탄성 지지를 통한 접속 상태 강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Also, the process cost can be reduced through the structure formed through bending or punching of the strip, or the connection state strengthening structure can be formed through connection and elastic support through the Y-shaped terminal structure.

또한, 홀딩 인크리먼트를 토아ㅎ여 땜납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터미널을 구비하는 경우 접속 상태 강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 when the holding increment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terminal formed of solder, the connection state may be enhanc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장착 상태를 나탸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투영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유니트 기판 및 유니트 방열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조립 전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컨택 터미널부 및 커넥터 터미널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조립 접속 상태의 개략적인 부분 정면도 및 부분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가 접속되는 차량용 램프 베이스의 배면의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유니트 방열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 및 도 34는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홀딩 인크리먼트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기판 서포트부의 변형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 1 and FIG.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unted state of an automotive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vehicular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unit substrate and a unit heat dissipation unit of an automotive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a schematic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state before assembling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terminal portion and a connector terminal portion of a vehicular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a schematic partial front view and a partial side view of an assembled connection state of an automotive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view of the rear surface of a lamp base for a vehicle to which an automotive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unit heat dissipation unit of an automotive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7 are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a vehicle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nd 19 are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a vehicular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and 21 are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vehicular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motive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utomotive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ular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to 28 are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a vehicular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utomotive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a vehicular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a vehicular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schematic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tomotive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and 34 are a schematic plan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holding increment of a lamp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substrate support unit of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는 차량에 엘이디로부터 빛을 생성 제공하는 램프 유니트를 제공한다. An automotive LED lamp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mp unit that generates and provides light from an LED to a vehicle.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는 차량용 램프 베이스(2)에 장착된다. 차량용 램프 베이스(2)는 차량에 장착된다. 차량용 램프 베이스(2)는 전면에 차량용 램프 베이스 커버(2a)가 배치되고, 하기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로부터 생성되는 빛은 차량용 램프 베이스 커버(2a)를 통하여 출사된다. More specifically, the vehicle LED lamp unit 10 is mounted on the lamp base 2 for a vehicle. The vehicle lamp base 2 is mounted on the vehicle. The vehicular lamp base 2 is provided with a vehicular lamp base cover 2a on its front surface and light generated from the vehicular LED lamp unit 10 is emitted through the vehicular lamp base cover 2a.

본 실시에 따른 차량용 램프 베이스(2)는 배면에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구 및 베이스 터미널(20)을 구비한다. 베이스 터미널(20)는 장착구의 외주에 두 개의 분할된 단자 형태로 배치되는데, 이의 장착구에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가 삽입되고,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의 전면으로 차량용 램프 베이스(2)의 배면에 형성된 베이스 터미널(20)의 대응되는 위치에 접속되는 커넥터 터미널부(600)가 배치된다. The lamp base 2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mount and a base terminal 20 on the rear surface of which a vehicle LED lamp unit 10 is inserted. The base terminal 20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unting hole in the form of two divided terminals.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is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terminal, and the vehicle lamp base 2 And a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base terminal 20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is dispos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는 유니트 하우징(100)과, 유니트 기판(200)과, 유니트 램프(300)을 구비하고, 경우에 따라 유니트 방열부(400)와 컨택 터미널부(500)를 선택적으로 내지 전체적으로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는 유니트 방열부(400)와 컨택 터미널부(500)를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기술하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선택 및 구성이 가능하다. The vehicle lamp unit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nit housing 100, a unit substrate 200 and a unit lamp 300. In some cases, the unit heat dissipation unit 400 and the contact terminal unit 500 The lamp unit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cribed mainly in the case where the unit heat radiation part 400 and the contact terminal part 500 are provided. Various choices and configurations are possible.

먼저, 유니트 하우징(100)은 차량용 램프 베이스(2)의 베이스 터미널(20) 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배치된다. First, the unit housing 100 is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base terminal 20 side of the lamp base 2 for a vehicle.

유니트 하우징(100)은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커버(120)를 포함하고,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커버(120)는 각각 맞물리어 다른 구성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The unit housing 100 includes a housing body 110 and a housing cover 120. The housing body 110 and the housing cover 120 respectively fit together to form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different configurations.

하우징 바디(110)는 메인 바디(111)를 구비하고, 메인 바디(111)의 외주에 바디 홀더(113)가 구비되고, 중앙에 다른 구성을 수용하는 바디 수용부(115)를 포함한다. 바디 홀더(113)는 하우징 커버(120)의 외주에 대응하는 커버 홀더(123)과 맞물리는 구성을 취한다. The housing body 110 includes a main body 111 and a body holder 113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111 and a body receiving portion 115 accommodating a different configuration in the center. The body holder 113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cover holder 123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cover 120. [

하우징 바디(110)의 메인 바디(111)의 외주에는 바디 커넥터 관통구(117)가 형성되는데, 바디 커넥터 관통구(117)를 통하여 하기되는 커넥터 터미널의 적어도 일부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궁극적으로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를 차량용 램프 베이스(2)에 장착시키는 경우 베이스 터미널(20)과 접속되도록 한다. A body connector through hole 117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11 of the housing body 110.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or terminal through the body connector through hole 117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20 whe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is mounted on the lamp base 2 for a vehicle.

하우징 커버(120)의 전단에는 소정의 빛의 전달을 원활하게 하는 광학표시나 경우에 따라 아이콘 등이 배치되는 커버 전달부(121)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하우징 커버(120)의 내부에는 커버 기판 지지 리브(125)가 구비되어 유니트 기판(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The front cover of the housing cover 120 may be provided with an optical display for smoothly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light, or a cover transmitting unit 121 in which an icon or the like is disposed in some cases. A cover substrate supporting rib 125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cover 120 to stably support the unit substrate 200.

유니트 기판(200)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베이스 터미널(2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유니트 기판(200)은 하기되는 커넥터 터미널부(600) 내지 컨택 터미널부(500)를 통하여 베이스 터미널(20) 측과 연결될 수 있고, 베이스 터미널(20)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외부 전원이 전기적 신호로서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로 전달될 수 있다. The unit substrate 200 is disposed in the unit housing 100 and electrically communicates with the base terminal 20. The unit substrate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200 through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and the contact terminal unit 500, The base terminal 2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external power source may be transmitted as an electric signal to the vehicle LED lamp unit 10. [

본 발명의 유니트 기판(200)은 FPCB의 플랙서블 기판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종래의 하드 타입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The unit substrat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f an FPCB or a conventional hard type printed circuit board. In this embodiment,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mainly described.

유니트 기판(200)은 램프 기판(210)과, 소자 기판(220)을 포함한다.The unit substrate 200 includes a lamp substrate 210 and an element substrate 220.

램프 기판(210)의 일면 상에는 유니트 램프(300)가 배치된다. A unit lamp 3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amp substrate 210.

소자 기판(220)은 램프 기판(210) 측과 연결되고 유니트 램프(3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소자가 배치된다. The element substrate 220 is connected to the lamp substrate 210 side and an element for transmitting an electric signal to the unit lamp 300 is disposed.

램프 기판(210)과 소자 기판(220)은 본 실시예에서 연결 기판(230)으로 연결되는데, 램프 기판(210)과 소자 기판(220)과 연결 기판(230)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도 6 참조).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 substrate 22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ubstrate 230 in this embodiment and the lamp substrate 210, the element substrate 220 and the connection substrate 230 are integrally formed (See FIG. 6).

또한, 램프 기판(210)과 소자 기판(220)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교차되는 평면 상에 배치되는데, 램프 기판(210)과 소자 기판(220)은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에 배치되는 경우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고 서로 교차하는 평면, 즉 본 실시예에서는 직교하는 평면 상에 배치된다(도 5 참조). At least a part of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 substrate 220 are disposed on a plane intersecting with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 substrate 220. When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 substrate 220 are disposed i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Are arranged on a plane that is not located on a plane but intersects with each other, that is, a plane orthogonal to the present embodiment (see Fig. 5).

연결 기판(230)은 램프 방열부(410)에 부착된 램프 기판(210)과 소자 방열부(420)에 부착된 소자 기판(220)을 연결하는데, 연결 기판(230)은 램프 방열부(410)의 측부 및 저면을 따라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The connection substrate 230 connects the lamp substrate 210 attached to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and the device substrate 220 attached to the device heat dissipating unit 420. The connection substrate 230 is connected to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 Along the side and bottom.

소자 기판(220)에는 하기되는 컨택 터미널부(500)의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가 형성되어 커넥터 터미널부(600)와의 접촉 접속 상태를 형성한다. A contactor terminal 520 of the contact terminal unit 500 is formed on the element substrate 220 to form a contact connection state with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한편, 유니트 램프(300)는 소정의 LED 소자로 구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단수 개가 되었으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unit lamp 300 is implemented by a predetermined LED ele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it lamp 300 is a single unit, but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유니트 램프(300)는 유니트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LED 소자를 포함한다. The unit lamp 300 includes an LED elemen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nit substrate 200. [

또한, 유니트 방열부(400)는 유니트 기판(200)과 접촉하여 유니트 램프(300)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한다. 유니트 방열부(400)는 전기적 소통을 제한하되 비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열의 발산을 허용한다. In addition, the unit heat dissipation unit 400 contacts the unit substrate 200 and emits heat generated from the unit lamp 300. The unit heat dissipation unit 400 restricts electrical communication but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metal to permit heat dissipation.

유니트 방열부(400)는 램프 방열부(410)와, 소자 방열부(420)를 포함한다. 램프 방열부(410)는 램프 기판(210)과 접촉하고, 소자 방열부(420)는 램프 방열부(410)와 연결되고 소자 기판(220)과 접촉하여 소자 기판(220)의 열을 방출한다. The unit heat dissipation unit 400 includes a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and a device heat dissipation unit 420.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is in contact with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ng unit 420 is connected to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and contacts the device substrate 220 to emit heat of the device substrate 220 .

본 실시예에서 램프 방열부(410)와 소자 방열부(420)는 직교 배치되는데, 램프 방열부(410)는 다양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중 원판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램프 기판(210)도 원형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램프 방열부의 원판(원형) 형상 및 램프 기판의 대응 형상의 경우 제조성을 증진시키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나, 이러한 램프 방열부/램프 기판 등의 형상은 원판(원형)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실질적 원형, 타원형 및 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ng unit 420 are arranged in a perpendicular manner.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may have various shapes. Correspondingly, the lamp substrate 210 may also have a circular shape. In the case of the circular shape of the lamp heat dissipation part and the corresponding shape of the lamp substr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enhancing manufacturability. However, the shape of the lamp heat dissipation part / lamp substrate is not limited to the circular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elliptic, or rectangular sha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램프 방열부(410)와 소자 방열부(420)의 일면에는 소정의 접착부가 배치되고 램프 기판(210) 및 소자 기판(220)이 접착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A predetermined bonding portion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lamp heat dissipating portion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ng portion 420 and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 substrate 220 may be bonded together.

또한,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베이스 터미널(20)과 직접적인 접촉을 이루는데,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베이스 터미널(20)과 유니트 기판(200) 사이에는 접촉에 의한 전기적 접속을 이룬다.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적어도 일부의 일단이 유니트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인출 배치된다.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makes direct contact with the base terminal 20 so that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provides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base terminal 20 and the unit substrate 200 by contact. At least one end of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unit housing 100.

즉,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의 메인 바디(111)의 외주에는 바디 커넥터 관통구(117)가 형성되고,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적어도 일부의 일단이 바디 커넥터 관통구(117)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를 차량용 램프 베이스(2)에 장착시키는 경우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베이스 터미널(20)과 접속된다.As described above, a body connector through hole 117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11 of the housing body 110, and at least one end of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is connected to the body connector through hole 117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is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20 whe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is mounted on the vehicle lamp base 2. [

한편, 컨택 터미널부(500)는 유니트 기판(200)과 커넥터 터미널부(600)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Meanwhile, the contact terminal unit 500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unit substrate 200 and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보다 구체적으로, 컨택 터미널부(500)는 기판 컨택 터미널(510)과,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을 구비하는데, 기판 컨택 터미널(510)는 유니트 기판(200)에 배치되고,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은 커넥터 터미널부(600)와 연결되고 기판 컨택 터미널(510)과 접속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500 includes a substrate contact terminal 510 and a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wherein the substrate contact terminal 510 is disposed on the unit substrate 200, (5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and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contact terminal (510).

커넥터 컨택 터미널(520)은 커넥터 컨택 터미널 접속부(521)와, 커넥터 컨택 터미널 연결부(522)를 포함한다(도 8 참조).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includes a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1 and a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2 (see FIG. 8).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컨택 터미널(520)은 T자 형상의 도전성 금속편을 절곡시켜 형성할 수 있는데, 커넥터 컨택 터미널 접속부(521)와, 커넥터 컨택 터미널 연결부(522)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can be formed by bending a T-shaped conductive metal piece, and includes a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1 and a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2.

커넥터 컨택 터미널 접속부(521)는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유니트 기판(200)에 형성된 기판 컨택 터미널(510)에 대향 배치된다. 또한, 커넥터 컨택 터미널 연결부(522)는 일단이 커넥터 컨택 터미널 접속부(521)와 연결되고, 타단이 커넥터 터미널부(600)에 연결된다.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상기 커넥터 컨택 터미널 연결부(522)의 측부에 연결된다.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1 is arranged to face the substrate contact terminal 510 formed in the unit substrate 200 inside the unit housing 100. [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2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2.

또한, 커넥터 컨택 터미널 접속부(521)는 커넥터 컨택 터미널 연결부(522)를 사이에 두고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사이에 유니트 방열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탄성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즉, 커넥터 컨택 터미널 접속부(521)는 커넥터 컨택 터미널 연결부(522)를 사이에 두고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절곡되어 대향 배치되는 경우, 소정의 사전 설정된 사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대향 배치되는 커넥터 컨택 터미널 접속부(521)는 사전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사전 설정 간격을 유니트 방열부(400)의 소자 방열부(420)의 두께보다 작은 값으로 형성되어 소자 방열부(420)가 삽입 배치되어 위치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소자 방열부(420)의 일면 상에 접촉 배치되는 소자 기판(220)의 일면 상에 형성된 기판 컨택 터미널(510)와 커넥터 컨택 터미널 접속부(521)와의 접속 상태를 보다 공고히 할 수 있다.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1 is disposed in pairs so that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2 is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unit heat radiation portion 400 is elastically contacted in the unit housing 100 . That is,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521 ar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interval in a case where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521 are arranged to be paired with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2 therebetween and are bent and opposed to each other. The predetermined interval is set to a valu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unit 420 of the unit heat dissipation unit 400 so that the device heat dissipation unit 42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position is maintained. Through this structure,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bstrate contact terminal 51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lement substrate 220 and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521, which are placed on one surface of the element heat dissipating unit 420, have.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의 유니트 방열부(400)는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nit heat radiation part 400 of the vehicle lamp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various configurations.

즉,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유니트 기판(200)은 플렉서블 기판(FPCB)이고, 유니트 기판(200)은 유니트 램프(300)가 배치되는 램프 기판(210)과, 램프 기판(210) 측과 연결되고 유니트 램프(3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소자가 배치되는 소자 기판(220)을 포함하고, 램프 기판(210)과 소자 기판(220)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교차되는 평면 상에 배치되고, 유니트 방열부(400)는 램프 기판(210)과 접촉하는 램프 방열부(410)와, 램프 방열부(410)와 연결되고 소자 기판(220)과 접촉하여 소자 기판(220)의 열을 방출하는 소자 방열부(420)를 포함하는데, 램프 방열부(410)와 소자 방열부(420)는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 연결된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unit substrate 200 is a flexible substrate (FPCB), and the unit substrate 200 includes a lamp substrate 210 on which the unit lamp 300 is disposed, And at least a part of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 substrate (220) are arranged on a plane intersecting each other, and the unit lamp The heat dissipating unit 400 includes a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amp substrate 210, a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and contacts the device substrate 220 to emit heat from the device substrate 220 And a heat dissipation unit 420.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on unit 420 are direct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램프 방열부(410)와 소자 방열부(420)는 상호 맞춤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램프 방열부(410)와 소자 방열부(420)는 직교 연결될 수 있는데, 램프 방열부(410)와 소자 방열부(420)를 직교 연결시키는 구성은 램프 방열 장착부(413)와 소자 방열 장착부(423)를 포함하는데, 램프 방열 장착부(413)는 램프 방열부(410)에 구비되고, 소자 방열 장착부(423)는 소자 방열부(420)에 형성되어 램프 방열 장착부(413)와 맞물림린다.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ng unit 420 may be mutually connected and connected. That is,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ng unit 420 can be connected in an orthogonal manner.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ng unit 420 are orthogon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lamp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13 is provided on the lamp heat dissipating portion 410 and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23 is formed on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portion 420 and is engaged with the lamp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13.

이와 같은 끼워 맞춤 방식의 일예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방열 장착부(413)와 소자 방열 장착부(423)는 램프 방열부(410)이 속하는 평면 상에 슬라이드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램프 방열 장착부(413)는 램프 방열부(410)의 저면에는 직선 형태 요홈으로 슬라이드 라인이 형성되고, 소자 방열부(420)는 상단에는 소자 방열 장착부(423)가 돌출 형성되고, 소자 방열 장착부(423)가 램프 방열 장착부(413)에 삽입 배치된다. 21, the lamp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13 and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23 can be slidably fitted on the plane to which the lamp heat dissipating portion 410 belongs . That is,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3 is formed with a slide line as a straight groove recess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unit 420 has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installation part 423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thereof, The mounting portion 423 is inserted into the lamp heat radiation mounting portion 413.

이와 같은 슬라이드 삽입 공정을 통하여 보다 신속하고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By adopting such a slide insert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take a configuration to prevent a quick and undesired separation / separation.

또한, 본 발명의 끼워 맞춤 방식의 램프 방열 장착부(413)와 소자 방열 장착부(423)의 맞물림 구조는 슬라이드 방식 이외에 직접 수직한 방향으로의 간결한 끼워 맞춤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ngagement structure of the lamp heat radiation mounting portion 413 and the element heat radiation mounting portion 423 of the fitting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opt a simple fitting method in a direction directly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type.

즉,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방열 장착부(413)와 소자 방열 장착부(423)는 램프 방열부(410)와 소자 방열부(420)의 직교 연결 방향으로 끼워 맞춤될 수도 있다. 14 to 17, the lamp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13 and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23 may be fitted in the direction of orthogonal connection of the lamp heat dissipating portion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ng portion 420 .

램프 방열 장착부(413)와 소자 방열 장착부(423)는 램프 방열부(410)이 속하는 평면 상에 돌출 구조가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램프 방열 장착부(413)는 램프 방열부(410)에는 관통 형성 내지 저면에 요홈 구조가 형성되고, 소자 방열부(420)는 상단에는 소자 방열 장착부(423)가 돌출 형성되고, 램프 방열부(410)가 이루는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자 방열부(420)가 배치되고 소자 방열 장착부(423)가 램프 방열 장착부(413)에 삽입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램프 방열 장착부(413)와 소자 방열 장착부(423)는 두 개가 이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고 각각이 서로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취한다. The lamp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13 and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23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rotruding structure is fitted on a plane to which the lamp heat dissipating portion 410 belongs. That is,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3 is formed in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so as to have a through-hole or a recessed structure on its bottom surface.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unit 420 has a device heat dissipation unit 423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thereof,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unit 420 i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formed by the heat dissipation unit 410 and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installation unit 423 is inserted into the lamp heat dissipation installation unit 413. In this embodiment, the lamp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13 and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mounting portion 423 are structured such that two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fitted to each other.

이와 같은 압입 삽입 공정을 통하여 보다 신속하고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Such a press-inserting process can be used to prevent a quick and undesired separation and separation.

한편,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유니트 방열부(400)에는 유니트 기판(200)이 부착 배치되는데, 연결 기판(230)의 꺾임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유니트 방열부(400)가 원형 형상인 경우 연결 기판(230)과 연결되는 램프 기판(210) 및 소자 기판(230)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램프 기판(210)과 소자 기판(220)은 사이에 연결 기판(230)을 통하여 연결되고, 램프 방열부(410)의, 연결 기판(230)의 배치되는 단부 측에 챔퍼링되는 램프 방열 컷오프(411)가 배치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unit substrate 200 is attached to the unit heat dissipation unit 400, and when the unit heat dissipation unit 400 has a circular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due to bending of the connection substrate 230, The lamp substrate 210 connected to the substrate 230 and the element substrate 230 may be further provided. That is,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 substrate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substrate 230 and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is chamfered to the end side where the connection substrate 230 is disposed. The cutoff 411 is disposed.

램프 방열부(410)가 원형 형상인 경우 램프 방열 컷오프(411)는 램프 방열부(410)의 단부 측에 형성되어 유니트 기판(200)의 꺾임 각도를 완화하거나 박리로 인한 램프 방열부(410) 내지 소자 방열부(420)로부터 램프 기판(210)과 소자 기판(220)이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amp radiating cutoff 411 may be formed on the end side of the lamp radiating portion 410 to reduce the angle of bending of the unit base plate 200 or to prevent the lamp radiating portion 4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 substrate 220 from being separated from and separated from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unit 420.

한편, 이러한 구조의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연결 기판(230)이 두 개의 소자 방열 장착부(423) 사이로 배치되어 램프 방열부(410) 및 소자 방열부(42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램프 기판(210)에 배치되는 유니트 램프(300)와 소자 기판(220)에 배치되는 소자는 유니트 기판(200)의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도 19 참조), 연결 기판(230)이 두 개의 소자 방열 장착부(423) 사이로 배치되고 램프 방열부(410) 및 소자 방열부(420)의 사이에서 위치 고정되는 노화에 따른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having such a structure, the connection board 230 is disposed between the two element heat dissipation units 423 so as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on unit 420 It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unit lamp 300 disposed on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s disposed on the element substrate 220 are dispos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unit substrate 200 (see FIG. 19)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due to aging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device heat radiation mounting portions 423 and is fixed between the lamp heat radiation portion 410 and the device heat radiation portion 420.

즉, 발열로 인한 접착성능 저하로 인한 램프 기판(210) 내지 소자 기판(220)이 램프 방열부(410) 및 소자 방열부(420)로부터 박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mp substrate 210 to the element substrate 220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ng unit 420 due to deterioration of adhesion performance due to heat generation.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는 방열부로부터 기판이 박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vehicular LED lamp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substrate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heat dissipation unit.

램프 기판 컷오프(211)와 램프 방열 컷오프 수용부(415)가 더 구비되는데, 램프 기판 컷오프(211)는 램프 기판(210) 내측으로, 램프 기판(210)과 상기 연결 기판(230)의 연결 지점의 외측에 형성되고, 램프 방열 컷오프 수용부(415)는 램프 방열 컷오프(411)의 단부 측에는 램프 방열부(4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입 형성되고 연결 기판(230)의 수용을 형성한다. The lamp substrate cutoff 211 and the lamp heat dissipation cutoff accommodating unit 415 ar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lamp substrate 210. The lamp substrate cutoff 211 is disposed inside the lamp substrate 210 and at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connection substrate 230 And the lamp heat dissipation cutoff accommodating portion 415 is protruded toward the inside of the lamp heat dissipating portion 410 on the end side of the lamp heat dissipation cutoff 411 to form the accommodating of the connection substrate 230.

또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와 달리 본 발명의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접속되는 컨택 터미널부와는 달리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의 컨택 터미널부의 접속 상태를 형성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달리 유니트 기판(200)과 컨택 터미널부(500)가 접속되고 유니트 방열부(400)가 배제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unlike the contact terminal unit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LED lamp unit 10, the vehicle LED lamp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tact terminal unit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LED lamp unit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LED lamp unit 10 It may take a structure to form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on the vertical plane.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unit substrate 200 and the contact terminal unit 500 are connected and the unit heat radiation unit 400 is excluded will be described,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23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는 유니트 하우징(100)과, 유니트 기판(200)과, 유니트 램프(300)와, 커넥터 터미널부(600)와, 컨택 터미널부(500)를 포함하는데, 컨택 터미널부(500)는 유니트 기판(200)과 커넥터 터미널부(600)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데, 유니트 기판(200)와 컨택 터미널부(500)는 유니트 기판(200)의 배면 측에서 접속된다. 23 to 28, the vehicle LED lamp unit 10 includes a unit housing 100, a unit substrate 200, a unit lamp 300, a connector terminal unit 600, The contact terminal unit 500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unit substrate 200 and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The unit substrate 200 and the contact terminal unit 5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it substrate 200, (Not shown).

본 실시예에서 유니트 기판(200)은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니트 기판(200)의 일면 상에 유니트 램프(300)가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unit substrate 200 may be formed of a general printed circuit board. A unit lamp 300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unit substrate 200.

하우징 바디(110)의 메인 바디(111)의 외주에는 바디 커넥터 관통구(117)가 형성되는데, 바디 커넥터 관통구(117)를 통하여 하기되는 커넥터 터미널의 적어도 일부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궁극적으로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를 차량용 램프 베이스(2)에 장착시키는 경우 베이스 터미널(20)과 접속되도록 한다. A body connector through hole 117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11 of the housing body 110.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or terminal through the body connector through hole 117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20 whe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is mounted on the lamp base 2 for a vehicle.

앞선 경우와 동일하게, 하우징 바디(110)의 메인 바디(111)의 외주에는 바디 커넥터 관통구(117)가 형성되는데, 바디 커넥터 관통구(117)를 통하여 하기되는 커넥터 터미널의 적어도 일부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궁극적으로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를 차량용 램프 베이스(2)에 장착시키는 경우 베이스 터미널(20)과 접속되도록 한다.A body connector through hole 117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111 of the housing body 110. At least a part of the end of the connector terminal through the body connector through hole 117 is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20 whe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is ultimately mounted on the vehicle lamp base 2.

또한,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베이스 터미널(20)과 직접적인 접촉을 이루는데,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베이스 터미널(20)과 유니트 기판(200) 사이에는 접촉에 의한 전기적 접속을 이룬다.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적어도 일부의 일단이 유니트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인출 배치된다. 즉,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의 메인 바디(111)의 외주에는 바디 커넥터 관통구(117)가 형성되고,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적어도 일부의 일단이 바디 커넥터 관통구(117)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를 차량용 램프 베이스(2)에 장착시키는 경우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베이스 터미널(20)과 접속된다.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makes direct contact with the base terminal 20 so that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provides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base terminal 20 and the unit substrate 200 by contact. At least one end of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unit housing 100. As described above, a body connector through hole 117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11 of the housing body 110, and at least one end of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is connected to the body connector through hole 117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is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20 when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is mounted on the vehicle lamp base 2. [

본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관통구(117)를 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커넥터 터미널부(600)와 유니트 기판(200)의 배면에 접속되는 컨택 터미널부(500)의 적어도 일부는 일체 형성된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at least partially exposed through the connector through-hole 117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500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unit substrate 200 are integrally 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컨택 터미널부(500)는 기판 컨택 터미널(510)과,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500 includes a substrate contact terminal 510 and a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기판 컨택 터미널(510)는 유니트 기판(200)의 유니트 램프(300)가 배치되는 일면의 배면에 배치되고,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는 커넥터 터미널부(600)와 연결되고 유니트 기판(200)의 배면에 형성되는 기판 컨택 터미널(510)과 접속된다. The substrate contact terminal 51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nit lamp 300 on which the unit lamp 300 is disposed and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To the substrate contact terminal 510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bstrate.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과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커넥터 터미널 베이스(601)와, 커넥터 터미널 접촉부(603)를 포함한다.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and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includes a connector terminal base 601 and a connector terminal contact portion 603.

커넥터 터미널 베이스(601)는 유니트 하우징에 삽입 배치되고 커넥터 컨택 터미널(520)과 연결되고, 커넥터 터미널 접촉부(603)는 커넥터 터미널 베이스(601)와 연결되고 베이스 터미널(20)과 접속한다. The connector terminal base 601 is inserted into the unit housing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and the connector terminal contact portion 603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terminal base 601 and to the base terminal 20.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와 상기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절곡 형성되는 도전성 스트립의 양단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긴 스트립 타입의 도전성 금속띠를 절곡시켜서, 도 24에서와 같은 Y자 형상의 도전성 구조체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하나의 긴 스트립 타입의 도전성 금속띠를 절곡시키는 경우 하나의 긴 스트립 타입의 도전성 금속띠의 양 단부는 각각 상단 측을 형성하는데,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와 상기 커넥터 터미널부(600)에는 돌출 형성되는 고정 터미널 접촉 돌출부(523)와 커넥터 터미널 접촉 돌출부(605)가 형성되어 유니트 기판(100)의 배면에 형성되는 커넥터 컨택 터미널(520) 및 베이스 터미널(20)과의 접촉을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and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may be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conductive strip to be bent. That is, one long strip type conductive metal band may be bent to form a Y-shaped conductive structure as shown in FIG. 24. When one long strip type conductive metal band is bent, one long strip type Terminal contact protrusions 523 and connector terminal contact protrusions 605 protruding from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and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ductive metal strip So that contact with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and the base terminal 20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unit substrate 100 can be facilitated.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유니트 하우징의 단부에는 커넥터 터미널 접촉부(603)가 돌출 배치되는 바디 커넥터 관통구(117)가 구비되는데, 바디 커넥터 관통구(117)의 외주에는 경사 배치 구조를 이루어 인출되는 커넥터 터미널부(600)의 커넥터 터미널 접촉부(603)의 안내 내지 과도한 휨을 방지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nit housing has a body connector through-hole 117 through which the connector terminal contact portion 603 is protrud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connector through-hole 117,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uiding and excessive warping of the connector terminal contact portion 603 of the terminal portion 600. [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유니트 하우징 수용부(112)가 형성되는데, 유니트 하우징 수용부(112)의 외측에는 바디 기판 지지부(114)가 형성되어 유니트 기판(200)의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유니트 하우징 수용부(112)에 방열 기능을 수행하는 유니트 방열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A unit housing receiving portion 112 is formed inside the unit housing 100. A body substrate supporting portion 114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unit housing receiving portion 112 to form a stable supporting state of the unit substrate 200 .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it housing receiving portion 112 may further include a unit heat radiating portion that performs a heat radiating function.

유니트 하우징 수용부(112) 측부에는 바디 커넥터 장착부(119)가 구비된다. 즉, 유니트 하우징(100)에는 바디 커넥터 장착부(119)가 구비되는데, 바디 커넥터 장착부(119)는 커넥터 터미널 베이스(601)를 수용 배치시키고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의 가동을 제한한다. A body connector mounting portion 119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unit housing receiving portion 112. That is, the unit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the body connector mounting portion 119, which accommodates the connector terminal base 601 and restricts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

유니트 하우징 수용부(112)의 내측면과 바디 커넥터 장착부(119)에는 커넥터 터미널 베이스(601)가 삽입 배치되고, 커넥터 터미널 베이스(601)의 상단에 배치되는 커넥터 컨택 터미널(520)과 커넥터 터미널 접촉부(603)가 상단부 측으로 노출되는데, 커넥터 컨택 터미널(520)은 유니트 기판(200)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커넥터 터미널 접촉부(603)는 외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A connector terminal base 601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nit housing receiving portion 112 and the body connector mounting portion 119 and has a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terminal base 601,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is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unit substrate 200 and the connector terminal contact portion 603 is disposed toward the outside.

이와 같이 Y자 형상으로 구현되는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와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유니트 기판(200)을 탄성 지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바디 기판 지지부(114)가 유니트 기판의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형성하되, 커텍터 컨택 터미널(520)이 Y자 형상의 일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소정의 초기 높이 단차를 형성하여 탄성 지지하는 방식을 통하여 유니트 기판(200)의 배면에 형성되는 기판 컨택 터미널(510)과의 보다 정확한 접촉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and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which are implemented in the Y-shape, may be realized by a method of elastically supporting the unit substrate 200. That is, the body substrate support part 114 forms a stable state of the unit substrate, and the connector contact terminal 520 forms a Y-shaped one end part, thereby forming a predetermined initial height step, It may form a more accurate contact state with the substrate contact terminal 510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bstrate 200. [

또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와 달리 본 발명의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는 컨택 터미널부가 배제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 구성요소 내지 실질적인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번호를 부여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 내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는 유니트 하우징(100)과, 유니트 기판(200)과, 유니트 램프(300)와, 커넥터 터미널부(600)를 구비하고,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유니트 기판(200) 상에 배치되되, 유니트 램프(300)와 동일면 상에 배치되고, 커넥터 터미널부(600)는 땜납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 vehicular LED lamp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is omitt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ubstantially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those in the preceding embodiment,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29 to 35, a vehicular LED lamp unit 10 includes a unit housing 100, a unit substrate 200, a unit lamp 300, and a connector terminal unit 600, The terminal unit 600 is disposed on the unit substrate 200 and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unit lamp 300 and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may be formed of solder.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컨택 터미널부의 구성이 배제되고, 커넥터 터미널부(600)가 직접 베이스 터미널(20)과 접속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유니트 기판(200)은 유니트 램프(300)가 배치되는 램프 기판(210)과, 램프 기판(210) 측과 연결되고 유니트 램프(3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소자가 배치되는 소자 기판(220)을 포함하는데, 램프 기판(210)과 소자 기판(220)는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기판(210)과 소자 기판(220)은 일체 형성되는데, 원형 형상의 램프 기판(210)의 외주에 소자 기판(220)이 180도 대향 상태로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소자 기판(220)에는 커넥터 터미널부(600)가 배치된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separate contact terminal portion is excluded, and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20. The unit substrate 200 includes a lamp substrate 210 on which the unit lamp 300 is disposed, an element substrate 220 connected to the lamp substrate 210 side and to which an element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unit lamp 300 is disposed, Wherein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 substrate 220 are integrally formed and arranged on the same plane as each other. 31,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 substrate 220 are integrally formed. The element substrate 220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ircular lamp substrate 210 in a state where the element substrate 220 is opposed to the lamp substrate 210 by 180 degrees. In the embodiment,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is disposed on the element substrate 220.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유니트 하우징의 단부에는 바디 커넥터 관통구(117)가 구비되는데, 앞선 실시예에서의 커넥터 터미널부가 돌출되는 경우와 달리 소자 기판(220)이 배치되는 위치를 형성한다. As described above, a body connector through-hole 117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unit housing, which forms a position where the element substrate 220 is disposed, unlike the case where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in the previous embodiment is protruded.

유니트 기판(200)의 하부에는 기판 서포트부(700)가 구비된다. 기판 서포트부(700)는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니트 기판(200)을 탄성 지지한다. 기판 서포트부(700)는 Y자 형상을 이루는데, 유니트 기판(200)을 탄성 지지하는 기능적 면에서 앞선 실시예에서의 Y자 형상의 컨택 터미널부 및 커넥터 터미널부의 구조와 유사하다.A substrate support unit 700 is provided below the unit substrate 200. The substrate support unit 700 is disposed inside the unit housing 100 to elastically support the unit substrate 200.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700 has a Y-shape, and is similar in structure to the Y-shaped contact terminal portion and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in the above embodiment in terms of the function of elastically supporting the unit substrate 200.

기판 서포트부(700)는 기판 서포트 베이스(730)와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를 포함한다. 기판 서포트 베이스(730)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삽입 배치되고,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는 기판 서포트 베이스(730)와 연결되고 유니트 기판(200)의 배면을 지지한다.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700 includes a substrate support base 730 and substrate support contacts 710 and 720. The substrate support base 730 is inserted into the unit housing 100 and the substrate support contacts 710 and 720 are connected to the substrate support base 730 and support the back surface of the unit substrate 200.

앞선 경우와 동일하게,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유니트 하우징 수용부(112)가 형성되는데, 유니트 하우징 수용부(112)의 외측에는 바디 기판 지지부(114)가 형성되어 유니트 기판(200)의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유니트 하우징 수용부(112)에 방열 기능을 수행하는 유니트 방열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The unit housing receiving portion 112 is formed inside the unit housing 100. A body substrate supporting portion 114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unit housing receiving portion 112 to support the unit substrate 200 Thereby forming a stable support state.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it housing receiving part 11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unit heat radiating part that performs a heat radiat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유니트 하우징(100)에는 바디 커넥터 장착부(119)가 구비되는데, 바디 커넥터 장착부(119)는 기판 서포트 베이스(730)를 수용 배치시키고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의 가동을 제한한다. The unit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body connector mount 119 that accommodates the substrate support base 730 and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substrate support contacts 710 and 720.

유니트 하우징 수용부(112)의 내측면과 바디 커넥터 장착부(119)에는 기판 서포트 베이스(730)가 삽입 배치되고, 기판 서포트 베이스(730)의 상단에 배치되는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가 상단부 측으로 노출되는데,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의 하나는 유니트 기판(200)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의 다른 하나는 외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The substrate support base 7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unit housing receiving portion 112 and the body connector mounting portion 119 and the substrate support contact portions 710 and 720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substrate support base 730 are exposed One of the substrate support contacts 710 and 720 is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unit substrate 200 and the other of the substrate support contacts 710 and 720 is disposed toward the outside.

이와 같이 Y자 형상으로 구현되는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는 유니트 기판(200)을 탄성 지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바디 기판 지지부(114)가 유니트 기판의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형성하되,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이 Y자 형상의 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소정의 초기 높이 단차를 형성하여 유니트 기판(200)을 베이스 터미널(20)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방식을 통하여 커넥터 터미널부(600)와 베이스 터미널(20)과의 보다 정확한 접촉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Y-shaped substrate support contact portions 710 and 720 may be formed in a mann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unit substrate 200. That is, the body substrate support portion 114 forms a stable state of the unit substrate, and the substrate support contact portions 710 and 720 form a Y-shaped end portion to form a predetermined initial height step, A more accurat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and the base terminal 20 may be formed through a method of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se terminal 20 side.

기판 서포트 베이스(730)와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는 절곡 형성되는 스트립을 포함한다. The substrate support base 730 and the substrate support contacts 710 and 720 include strips that are bent.

즉, 기판 서포트 베이스(730)와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는 절곡 형성되는 스트립의 양단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긴 스트립 타입의 가능한 비도전성 금속띠를 절곡시켜서, 도 30에서와 같은 Y자 형상의 비도전성 구조체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하나의 긴 스트립 타입의 비도전성 금속띠를 절곡시키는 경우 하나의 긴 스트립 타입의 금속띠의 양 단부는 각각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의 상단 측을 형성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substrate support base 730 and the substrate support contact portions 710 and 720 may be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strip to be bent.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bend one non-conductive metal band of one long strip type to form a Y-shaped non-conductive structure as shown in Fig. 30, in which one long strip type non-conductive metal band is bent Both ends of the long strip-type metal strip of the substrate support contact 710 and 720 may form the upper end sides of the substrate support contacts 710 and 720, respectively.

한편, 하나의 비도전성 스트립의 절곡에 의한 기판 서포트부의 형성 이외에 펀칭 공정을 통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기판 서포트 베이스(730)와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는 스트립으로 펀칭 절곡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서포트 접촉부(710,720) 중의 적어도 하나는 펀칭되어 형성되고 다른 부위와 반대 방향으로 꺾여져 Y자 형상을 이루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복잡한 절곡 구조를 배제하여 보다 간결하고 신속하게 구성요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공정 시간 내지 제조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by punching in addition to forming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by bending one non-conductive strip. In other words, the substrate support base 730 and the substrate support contact portions 710 and 720 may be formed by punching into strips. As shown in FIG. 35, at least one of the substrate support contact portions 710 and 720 may be formed by punching, and may b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other portions to form a Y-shaped structure. This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components more simply and quickly by eliminating a complicated bending structure, thereby achieving process time and manufacturing cost reduction.

또한, 경우에 따라 유니트 하우징(100)에는 땜납으로 구현되는 커넥터 터미널부(600)와 베이스 터미널(20) 간의 접속 상태를 강화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nit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and the base terminal 20, which is realized by solder.

즉, 땜납으로 구현되는 커넥터 터미널부(600)의 차량용 램프 베이스(2) 측으로의 삽입 접속 장착 과정에서 보다 원활한 접속 상태를 확보하도록, 유니트 하우징(100)의 하우징 바디(110)의 메인 바디(111)의 외주에는 차량용 램프 베이스(2)를 향한 일면에 원주를 따라 형성되되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의 길이 방향으로 변화되는 높이를 갖는 홀딩 인크리먼트(80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That is, the main body 111 of the housing body 110 of the unit housing 1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1 of the unit housing 100 so as to secure a smooth connection state during the insertion and connection process of the connector terminal unit 600, which is realized by soldering, And a holding increment 800 having a height vary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ular LED lamp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on a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ehicle lamp base 2,

홀딩 인크리먼트(800)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차량용 램프 베이스의 배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데, 유니트 하우징(100)에는 원주 돌출 형성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바디(110)를 포함하고, 홀딩 인크리먼트(800)는 원주 방향으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 경사 형성 구조이다. 즉,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차를 갖는 경사 형성 구조의 홀딩 인크리먼트(800)를 통하여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를 차량용 램프 베이스(2)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땜납으로 구현되는 커넥터 터미널부(600)와 베이스 터미널(20)가 땜납의 변형으로 유격 형성으로 인한 접촉 불량 상태 형성을 방지하도록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를 장착하는 방향으로 경사 단차를 갖는 홀딩 인크리먼트(800)를 이용하여 유니트 하우징과 차량용 램프 베이스(2)의 배면 간의 유격 형성을 방지 내지 최소화하여 커넥터 터미널부(600)와 베이스 터미널(20)의 정확한 접속 상태 형성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The holding increment 800 is disposed in the unit housing 100 and protrudes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lamp base. The unit housing 100 includes a housing body 110 including a circumferential protrusion forming portion, The holding increment 800 is an inclined forming structure having different height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32 to 34,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on the vehicle lamp base 2 through the holding increment 800 having a tilt forming structure having a height difference, And the base terminal 20 is formed with a holding increment having an inclined step in a direction to mount the automotive LED lamp unit 10 so as to prevent formation of a contact failure state due to the formation of the clearance due to deformation of the solder, The clearance between the unit housing and the rear surface of the vehicle lamp base 2 may be prevented or minimized to form a precis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nector terminal portion 600 and the base terminal 20 by using the lamp 80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차량에 장착되고 배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터미널(20)을 갖는 차량용 램프 베이스(2)에 상기 베이스 터미널(20)과 접속되도록 장착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로서,
상기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는: 상기 베이스 터미널(20) 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배치되는 유니트 하우징(100)과,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터미널(2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유니트 기판(200)과, 상기 유니트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LED 소자를 포함하는 유니트 램프(300)와, 상기 유니트 기판(200)와 접촉하여 상기 유니트 램프(300)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유니트 방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유니트 기판(200)은 플렉서블 기판(FPCB)이고, 상기 유니트 기판(200)은: 상기 유니트 램프(300)가 배치되는 램프 기판(210)과, 상기 램프 기판(210) 측과 연결되고 상기 유니트 램프(30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소자가 배치되는 소자 기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기판(210)과 상기 소자 기판(220)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교차되는 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유니트 방열부(400)는: 상기 램프 기판(210)과 접촉하는 램프 방열부(410)와, 상기 램프 방열부(410)와 연결되고 상기 소자 기판(220)과 접촉하여 상기 소자 기판(220)의 열을 방출하는 소자 방열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방열부(410)와 상기 소자 방열부(420)는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
1. A vehicular LED lamp unit (10) mounted on a vehicle and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20) in a vehicle lamp base (2) having a base terminal (20)
The vehicle lamp unit 10 for a vehicle includes a unit housing 100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unit housing 100 is inserted into the base terminal 20 and a plurality of unit lamps 20 disposed in the unit housing 100 and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base terminal 20. [ A unit lamp 300 includes a unit substrate 200 and an LED elemen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nit substrate 200. The heat generated from the unit lamp 300 in contact with the unit substrate 200, And a unit heat dissipation unit (400)
Wherein the unit substrate 200 is a flexible substrate FPCB and the unit substrate 200 includes a lamp substrate 210 on which the unit lamp 300 is disposed and a lamp substrate 210 connected to the lamp substrate 210,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 substrate (220) are arranged on a plane intersecting each other, and the lamp substrate (210)
The unit heat dissipating unit 400 includes a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amp substrate 210 and a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that is connected to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and is in contact with the device substrate 220, And a heat dissipation unit 420 for dissipating heat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420,
Wherein the lamp heat dissipating par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ng part (420) are directly contacted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방열부(410)와 상기 소자 방열부(420)는 상호 맞춤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mp heat dissipating par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ng part (420) are mutually connected and align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방열부(410)와 상기 소자 방열부(420)는 직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on unit (420) are connected in an orthogonal mann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방열부(410)에는 램프 방열 장착부(413)를 구비하고,
상기 소자 방열부(420)에는 상기 램프 방열 장착부(413)와 맞물림되는 소자 방열 장착부(4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
The method of claim 3,
The lamp heat dissipation part 410 is provided with a lamp heat dissipation mounting part 413,
And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unit 420 includes an element heat dissipation installation part 423 which is engaged with the lamp heat dissipation installation part 4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방열 장착부(413)와 상기 소자 방열 장착부(423)는 상기 램프 방열부(410)이 속하는 평면 상에 슬라이드 끼워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3) and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unit (423) slide on a plane to which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belong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방열 장착부(413)와 상기 소자 방열 장착부(423)는 상기 램프 방열부(410)와 상기 소자 방열부(420)의 직교 연결 방향으로 끼워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3) and the element heat dissipation unit (423) are fitted to each other in an orthogonal connection direction of the lamp heat dissipation unit (410) and the device heat dissipation unit (420)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기판(210)과 상기 소자 기판(220)은 사이에 연결 기판(230)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램프 방열부(410)의, 상기 연결 기판(230)의 배치되는 단부 측에는 챔퍼링되는 램프 방열 컷오프(411)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element substrate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substrate 230,
Wherein a lamp heat dissipation cutoff (411) to be chamfered is disposed on an end side of the lamp heat dissipating unit (410) where the connection substrate (230) is dispos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기판(210) 내측으로, 상기 램프 기판(210)과 상기 연결 기판(230)의 연결 지점의 외측에 형성되는 램프 기판 컷오프(211)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방열 컷오프(411)의 단부 측에는 상기 램프 방열부(4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입 형성되고 상기 연결 기판(230)의 수용을 형성하는 램프 방열 컷오프 수용부(4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lamp substrate cutoff 211 formed inside the lamp substrate 210 and outside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lamp substrate 210 and the connection substrate 230,
And a lamp heat dissipation cutoff accommodating portion 415 which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lamp heat dissipating portion 410 and forms an accommodation of the connection substrate 230 on an end side of the lamp heat dissipation cut- Vehicle LED lamp unit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100)은:
차량 램프 베이스에 장착되는 하우징 바디(110)와
상기 하우징 바디(110)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12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120)의 내부에는 상기 유니트 기판(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커버 기판 지지 리브(1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 램프 유니트(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housing (100) comprises:
A housing body 110 mounted on the vehicle lamp base,
And a housing cover (120) which engages with the housing body (110) to form an internal space,
And a cover substrate supporting rib (125) for stably supporting the unit substrate (200) is provided in the housing cover (120).

KR1020160103120A 2016-07-29 2016-08-12 Led lamp unit for a vehicle KR1018404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7337 WO2018021724A1 (en) 2016-07-29 2017-07-07 Vehicle led lamp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23 2016-07-29
KR20160097424 2016-07-29
KR1020160097424 2016-07-29
KR20160097423 2016-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412A true KR20180014412A (en) 2018-02-08
KR101840449B1 KR101840449B1 (en) 2018-03-21

Family

ID=6123246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119A KR101848557B1 (en) 2016-07-29 2016-08-12 Led lamp unit for a vehicle
KR1020160103118A KR101841841B1 (en) 2016-07-29 2016-08-12 Led lamp unit for a vehicle
KR1020160103120A KR101840449B1 (en) 2016-07-29 2016-08-12 Led lamp unit for a vehicle
KR1020160103121A KR101840450B1 (en) 2016-07-29 2016-08-12 Led lamp unit for a vehicle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119A KR101848557B1 (en) 2016-07-29 2016-08-12 Led lamp unit for a vehicle
KR1020160103118A KR101841841B1 (en) 2016-07-29 2016-08-12 Led lamp unit for a vehicl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121A KR101840450B1 (en) 2016-07-29 2016-08-12 Led lamp unit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4) KR101848557B1 (en)
CN (1) CN209638867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196A (en) 2018-09-04 2020-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ed lamp apparatus for vehicle
KR102272936B1 (en) 2019-10-21 2021-07-05 주식회사 반디 Led lamp for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9456B2 (en) 2012-08-22 2016-09-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Light source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638867U (en) 2019-11-15
KR101841841B1 (en) 2018-05-08
KR20180014413A (en) 2018-02-08
KR101840450B1 (en) 2018-03-21
KR20180014411A (en) 2018-02-08
KR20180014410A (en) 2018-02-08
KR101848557B1 (en) 2018-04-13
KR101840449B1 (en)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734B2 (en) Vehicular light source unit
US8523411B2 (en) Light source device
US8415895B2 (en) Lamp comprising a base and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US9153882B2 (en) Connector having a cylindrical section with a contact connected to an electrical wire therein
US20130163261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connector
JP2012049367A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ttachment modul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modul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ligh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ttachment module
US20110051446A1 (en) Vehicle lamp
JP2011119168A (en) Light source unit and lighting fixture for vehicle
KR20140099302A (en) Solid state lighting assembly
KR20120082822A (en) Illumination device
EP2525447A2 (en) LED connector and lighting device
CN110265840B (en)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electrical contacts in a lamp base
KR101840449B1 (en) Led lamp unit for a vehicle
JP2002157914A (en) Luminescent device with socket
JP2016126931A (en) Lamp device and illuminating device
DK2345840T3 (en) LAMP CONNECTION CLIPS
CN109073186B (en) Power supply accessory and vehicle lamp
JP6681286B2 (en) Terminal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ion
WO2018021725A1 (en) Vehicle led lamp unit
JP7121574B2 (en) lamp
JP2018110094A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system
CN110120619B (en) Lamp holder and lamp holder assembly
US10041657B2 (en) Clip unit and edge mounted light emitting diode (LED) assembly comprising a clip unit
JP2004319121A (en) Socket for led lamp
US11563286B2 (en) Lighting device with plug connection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wo circuit bo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