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4263A - Suspension of front double axle truck - Google Patents
Suspension of front double axle tru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4263A KR20180014263A KR1020160095824A KR20160095824A KR20180014263A KR 20180014263 A KR20180014263 A KR 20180014263A KR 1020160095824 A KR1020160095824 A KR 1020160095824A KR 20160095824 A KR20160095824 A KR 20160095824A KR 20180014263 A KR20180014263 A KR 201800142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leaf spring
- seat
- coupled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60G2202/112—Leaf spring longitudinally arran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60G2300/026—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팬이 변형될 때의 자유도를 높이고, 승차감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에 관한 기술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device for a front two-axis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spension device for a front two-axis vehicle capable of increasing a degree of freedom when a span is deformed and contributing to an improvement in ride comfort.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차에서의 전축(100,200)은 조향이 가능한 차량 앞쪽의 축이 되고, 후축(900)은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이 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일부 대형트럭의 전축(100,200)은 2개로 구성되어서 전1축(100)과 전2축(200)으로 분리되는데, 상기 전1축(100)과 전2축(200)의 현가장치에 해당하는 전방 리프스프링(300)과 후방 리프스프링(400)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전방 리프스프링(300)의 전방 단부에 해당하는 아이부(550)는 차체프레임(500)에 결합된 제1전방브라켓(510)과 결합되고, 상기 전방 리프스프링(300)의 후방 단부는 전방 새클(560)과 결합되고, 상기 전방 새클(560)은 차체프레임(500)에 결합된 제2전방브라켓(520)과 결합된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후방 리프스프링(400)의 전방 단부에 해당하는 아이부(570)는 차체프레임(500)에 결합된 제1후방브라켓(530)과 결합되고, 상기 후방 리프스프링(400)의 후방 단부는 후방 새클(580)과 결합되고, 상기 후방 새클(580)은 차체프레임(500)에 결합된 제2후방브라켓(540)과 결합된다.The
그러나 종래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의 경우에는, 리프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각각 브라켓을 통하여 차체프레임에 고정되는 구조로서, 구성이 복잡하고 기능이 단순한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uspension device for a front two-shaft vehicle as described above, both side ends of the leaf spring are fixed to the vehicle body frame through the brackets, respectively.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방 리프스프링의 후방 단부와 후방 리프스프링의 전방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차체프레임에 대해 회전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전1축과 전2축에 높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기능성을 증대시키고, 부품의 구성을 줄여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in which a rear end portion of a front leaf spring and a front end portion of a rear leaf spri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spension device for a front two-axle vehicle that can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a high load on a vehicle, and can reduce weight by reducing the configuration of part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는 전1축과 연결된 전방 리프스프링과 전2축과 연결된 후방 리프스프링 사이에 위치되고, 차체프레임에 고정되는 중간브라켓; 일단이 상기 전방 리프스프링의 후방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 리프스프링의 전방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새클; 및 일단이 상기 중간브라켓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새클의 중심측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새클;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spension system for a front two-axis vehicle, the suspension system comprising: an intermediate bracket positioned between a front leaf spring connected to a front single shaft and a rear leaf spring connected to front two axes, A first flange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front leaf spring and the other end pivo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rear leaf spring; And a second chuck rotatably coupled to the intermediate bracket at one end and pivotal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chuck at the other end.
상기 중간브라켓은 상단측이 상기 차체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2새클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상기 제2새클 일단의 제1체결홀이 위치되어 상기 결합홀을 중심으로 상기 제2새클의 타단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Wherein the middle bracket has an upper end fixed to the vehicle body frame and a lower end formed with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second sleeve and a first coupling hole at one end of the second hub is located in the coupling hol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second chain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center.
상기 제1새클에는 중심측에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새클의 타단에는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상기 제1새클이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A second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ea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eat, And the first chain can be coupl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제2새클은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중간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제1새클은 상기 제2새클에 중심측이 고정되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새클과 제1새클은 수직을 이룰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seat is coupled to the middle bracket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seat is fixed to the second seat by a central side thereof, and is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
상기 전1축 또는 전2축 중 어느 하나의 축으로부터 축하중이 입력되면, 상기 제1새클은 상기 제2새클의 타탄을 기준으로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2새클은 일단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회동되어 하나의 축으로 입력된 하중이 두 개의 축으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Wherein when the axial load is inputted from any one of the all-axes or all-axes, the first shaft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with reference to the tarts of the second shaft, So that the load applied to one shaft can be dispersed in two axe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에 따르면 차량에 상기 전1축 또는 전2축 중 어느 하나의 축으로부터 축하중이 입력되면, 상기 제1새클은 상기 제2새클의 타탄을 기준으로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2새클은 일단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아이부가 종래 대비하여 더 큰 변위량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상기 전1축의 하중이 상기 전2축측으로 전달되어 축하중이 분산되어 종래 대비하여 부드러운 승차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suspension system of the front two-axle vehicl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axle load is inputted from any one of the all-axes or all-axes of the vehicle, the first axle is connected to the tread of the second axle And the second seat is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first end so that the eye portion has a larger displacement amount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The load is transmitted to the front two axes and the axial load is distributed, so that a smooth ride feeling can be realiz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또한, 종래에는 차량의 전축의 일측을을 기준으로 브라켓부 4개소와 새클부 2개소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전방 2축 착량의 현가장치를 적용할 경우, 브라켓부 3개소와 새클부 1개소가 필요하여 구성이 간단해지고, 차량의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Conventionally, four bracket portions and two new corner portions were required on the basis of one side of the front axle of the vehicle. However, in the case of applying the forward biaxial mounting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bracket portions and one new corner portion The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 weight and cost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도 1은 전방 2축을 구비한 대형트럭의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의 제1새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은 차량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1 is a side view of a heavy truck with two front axles;
2 is a view showing a suspension device of a conventional front two-axis vehicle.
3 is a view showing a first shift of a suspension device of a front two-axi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coupled to the vehicle; Fig.
Fig.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Fig. 4;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suspension system for a front two-axis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전방 2축을 구비한 대형트럭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의 제1새클(7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가 차량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한다.FIG. 1 is a side view of a large truck having two front axles, FIG. 2 is a view showing a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트럭은 조향을 위한 전축과 동력전달을 위한 후축(900)으로 구성되며, 일부 대형트럭의 전축은 전1축(100)과 전2축(200)으루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1축(100) 및 전2축(200)은 현가장치에 해당되는 리프스프링이 마련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1축(100)에는 전방 리프스프링(300)이 구비되고, 상기 전2축(200)에는 후방 리프스프링(400)이 구비되어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a large truck is composed of a front axle for steering and a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는 전1축(100)과 연결된 전방 리프스프링(300)과 전2축(200)과 연결된 후방 리프스프링(400) 사이에 위치되고, 차체프레임(500)에 고정되는 중간브라켓(600); 일단이 상기 전방 리프스프링(300)의 후방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 리프스프링(400)의 전방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새클(700); 및 일단이 상기 중간브라켓(60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새클(700)의 중심측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새클(800);을 포함한다.3 to 5, the suspension system for a front 2-axis vehic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즉, 상기 전1축(100)에는 상기 전방 리프스프링(300)이 구비되되, 상기 전방 리프스프링(300)의 전방 단부는 종래와 같이 상기 차체프레임(500)에 결합된 제1전방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 단부는 상기 제1새클(700)에 결합된다. 상기 전2축(200)에는 상기 후방 리프스프링(400)이 구비되되, 상기 후방 리프스프링(400)의 전방 단부는 상기 제1새클(700)이 결합되고, 후방 단부는 종래와 같이 상기 차체프레임(500)에 결합된 제2후방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새클(700)은 상기 차체프레임(500)의 상기 전1축(100)과 전2축(200) 사이에 마련되어 고정된 상기 중간브라켓(600)에 상기 제2새클(80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at is, the
상기 중간브라켓(600)은 상단측이 상기 차체프레임(500)에 고정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2새클(80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새클(800)에는 중심측에 상기 제1새클(70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중간브라켓(600)의 상단측은 상기 프레임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고, 하단측에는 상기 제2새클(800)이 결합되는 결합홀(610)이 형성된다.4, the upper end of the
상기 제2새클(800)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홀(610)에 체결되기 위한 제1체결홀(810)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610)에 상기 제2새클(800) 일단의 상기 제1체결홀(810)이 위치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브라켓(600)의 결합홀(610)과 상기 제2새클(800) 일단의 상기 제1체결홀(810)이 체결되어 결합홀(610)과 제1체결홀(810)을 중심으로 상기 제2새클(800)의 타단측이 차량의 하중 입력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 first fastening hole 810 for fastening the fastening hole 610 to the
또한, 상기 제2새클(800)의 타단에는 제2체결홀(8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새클(700)에는 중심측에 상기 제2새클(800)의 제2체결홀(8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7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새클(800) 타단의 상기 제2체결홀(830)과 상기 제1새클(700)의 관통홀(710)이 체결되어 제2체결홀(830)과 관통홀(710)을 중심으로 상기 제1새클(700)이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 second fastening hole 83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특히, 상기 제2새클(800)은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중간브라켓(600)에 결합되고, 상기 제1새클(700)은 상기 제2새클(800)에 중심측이 고정되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새클(800)과 제1새클(700)은 수직 혹은 수직 전후의 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Particularly, the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방 리프스프링(300)과 결합된 아이부(730)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차량에 상기 전1축(100) 또는 전2축(200) 중 어느 하나의 축으로부터 축하중이 입력되면, 상기 제1새클(700)은 상기 제2새클(800)의 타탄을 기준으로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2새클(800)은 일단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아이부(730)가 도면의 A지점에서 B지점까지 스윙하면서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변위량을 갖는다.5, when the
만약, 상기 전1축(100)에 축하중이 입력되었다면, 상기 제1새클(700)과 제2새클(800)이 회동되면서 상기 관통홀(710)을 중심으로 상기 전1축(100)의 하중이 상기 전2축(200)측으로 전달되어 축하중이 분산되어 종래 대비하여 부드러운 승차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f the axial load is inputted to the first
또한, 도 1에서처럼 종래에는 차량의 전축의 일측을을 기준으로 브라켓부 4개소와 새클부 2개소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전방 2축 착량의 현가장치를 적용할 경우, 브라켓부 3개소와 새클부 1개소가 필요하여 구성이 간단해지고, 차량의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conventionally, four bracket portions and two new bracket portions are required on the basis of one side of the front axle of the vehicle. However, in the case of applying the forward biaxial mounting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and reduce the weight and cost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전1축
200 : 전2축
300 : 전방 리프스프링
400 : 후방 리프스프링
500 : 차체프레임
600 : 중간브라켓
610 : 결합홀
700 : 제1새클
710 : 관통홀
730 : 아이부
800 : 제2새클
810 : 제1체결홀
830 : 제2체결홀
900 : 후축100: All 1 axis 200: All 2 axis
300: front leaf spring 400: rear leaf spring
500: Body frame 600: Middle bracket
610: Coupling hole 700: 1st shaft
710: Through hole 730:
800: Second seal 810: First seal hole
830: second fastening hole 900: rear axle
Claims (5)
일단이 상기 전방 리프스프링의 후방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 리프스프링의 전방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새클; 및
일단이 상기 중간브라켓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새클의 중심측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새클;을 포함하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An intermediate bracket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leaf spring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shaft and the rear leaf spring connected to the front two axes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frame;
A first flange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front leaf spring and the other end pivo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rear leaf spring; And
And a second seat rotatably coupled to the intermediate bracket at one end and pivotally coupled to the center side of the first seat at the other end.
상기 중간브라켓은 상단측이 상기 차체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2새클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에 상기 제2새클 일단의 제1체결홀이 위치되어 상기 결합홀을 중심으로 상기 제2새클의 타단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ddle bracket has an upper end fixed to the body frame and a lower end formed with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second sleeve,
Wherein a first fastening hole at one end of the second chain is located in the coupling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hain is pivotable around the fastening hole.
상기 제1새클에는 중심측에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새클의 타단에는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상기 제1새클이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vehicl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is formed on the center side of the first seat,
And a second fastening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ea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first seat is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about the through hole. Suspension of a vehicle.
상기 제2새클은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중간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제1새클은 상기 제2새클에 중심측이 고정되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새클과 제1새클은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eat is coupled to the middle bracket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seat is fixed to the second seat by a central side thereof, and is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braking device is a braking device.
상기 전1축 또는 전2축 중 어느 하나의 축으로부터 축하중이 입력되면, 상기 제1새클은 상기 제2새클의 타탄을 기준으로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2새클은 일단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회동되어 하나의 축으로 입력된 하중이 두 개의 축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2축 차량의 현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axial load is inputted from any one of the all-axes or all-axes, the first shaft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with reference to the tarts of the second shaft, So that the load applied to one of the axes is dispersed in two ax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5824A KR20180014263A (en) | 2016-07-28 | 2016-07-28 | Suspension of front double axle tru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5824A KR20180014263A (en) | 2016-07-28 | 2016-07-28 | Suspension of front double axle tru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4263A true KR20180014263A (en) | 2018-02-08 |
Family
ID=6123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5824A KR20180014263A (en) | 2016-07-28 | 2016-07-28 | Suspension of front double axle tru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14263A (en) |
-
2016
- 2016-07-28 KR KR1020160095824A patent/KR20180014263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038124B (en) | Omnidirectional wheel assembly and omnidirectional vehicle | |
US10023019B2 (en) | Rear suspension systems with rotary devices for laterally tiltable multitrack vehicles | |
US8864153B2 (en) | Automotive rear suspension subassembly | |
US20140252732A1 (en) | Laterally tiltable, multitrack vehicle | |
CN102892597B (en) | Vehicle suspension system | |
CN105163961A (en) | Suspension device for in-wheel motor driven wheel | |
US20150375590A1 (en) | Wheel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 |
EP1888355B1 (en) | Suspension systems | |
JP2005306090A (en) | Motor driving system of automobile | |
CN110997356B (en) | Axle with centrally arranged drive unit | |
AU2001252005B2 (en) | Running gear for a rail vehicle | |
WO2021153013A1 (en) | Drive device for electric truck | |
US10065470B2 (en) | Suspension of front double-axle vehicle | |
WO2021153014A1 (en) | Drive device for electric truck | |
US10464388B2 (en) | Vehicle in-wheel motor suspension | |
CN209814091U (en) | Knuckle, automobile drive axle and automobile | |
AU2018231941B2 (en) | Modification of a two-wheel drive vehicle for improved ground clearance and/or traction | |
KR101529002B1 (en) | Suspension system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 |
KR20180014263A (en) | Suspension of front double axle truck | |
JP2014133488A (en) | Three-wheeled vehicle | |
US8801011B1 (en) | Articulatable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 |
CN104890463A (en) | Automobile double-front axle structure with semi-independent inclined leaf spring | |
JP2018095026A (en) | Mounting structure for steering gear box | |
KR20230060000A (en) | Independent corner module | |
KR20190004009A (en) | Cornering Anti-roll Chair System for Ka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