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886A -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and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 Google Patents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and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886A
KR20180013886A KR1020177033259A KR20177033259A KR20180013886A KR 20180013886 A KR20180013886 A KR 20180013886A KR 1020177033259 A KR1020177033259 A KR 1020177033259A KR 20177033259 A KR20177033259 A KR 20177033259A KR 20180013886 A KR20180013886 A KR 20180013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unit
light
generating
chlo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4364B1 (en
Inventor
카즈키 마츠바라
야스히로 타키가와
카즈히코 타구치
코우이치 타우라
미유세 사카세가와
코이치 나카하라
다이스케 카토
코시로 소가와
Original Assignee
다이꼬 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꼬 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꼬 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1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3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01B11/023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 C01B11/024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from chlor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4Palla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Abstract

[과제] 소형이면서, 실용적으로 충분한 양의 이산화염소를, 장시간에 걸쳐 방출할 수 있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으로서, 상기 유닛은 약제 수납부, 및 적어도 2개의 광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부는 실질적으로 가시 영역의 파장으로 이루어지는 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약제 수납부에는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가 수납되어 있고, 상기 약제 수납부에는 상기 약제 수납부의 내부와 외부를 에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약제 수납부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는 통기성 시트로 덮여 있고, 여기서, 상기 약제 수납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약제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광에 의해 조사됨으로써, 이산화염소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을 제공한다.
[PROBLEMS] To provide a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which is capable of releasing a small amount of chlorine dioxide practically in a sufficient amount over a long period of time.
[MEANS FOR SOLVING PROBLEMS] As a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the unit has a medicine storage portion and at least two light source portions, and the light source portion is for generating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a substantially visible region, and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Wherein the medicament containing solid hypochlorite is housed in the medicament containing section and one or a plurality of openings are provided in the medicament containing section so that air can move inside and outside the medicament containing section, Wherein a plurality of openings are covered with a breathable sheet, wherein the chemical agent present inside the medicine containing portion is irradiated by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thereby generating chlorine dioxide gas. And provides a generating unit.

Description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및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and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및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에 가시 영역의 파장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이산화염소가 발생하는 메카니즘을 이용한, 소형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및 당해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을 구비하는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차(예를 들면, 자가용차, 버스, 택시 등)나 그 밖의 탈것(예를 들면, 비행기, 전차, 배 등)에 적합하게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소형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난방 용기, 냉방 용기, 공기 청정기, 가습기 등의 공조 설비에 편입시킬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an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for generating a small amount of chlorine dioxide by using a mechanism in which chlorine dioxide is generated by irradiating light of a wavelength in the visible region to a drug containing solid chlorate, and a unit And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unted especially on cars (for example, cars, buses, taxis, etc.) or other vehicles (for example, airplanes, trams, boats, etc.). Further, since the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it can be incorporated in air conditioning equipment such as a heating container, a cooling container, an air purifier, a humidifier, and the like.

종래부터,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수용액이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겔제 등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장치는 알려져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그러나, 종래의 이산화염소 제조 장치는, 운반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것이 아니어서, 대규모의 것이 많았다. 또한, 종래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액체, 또는 그것을 함유한 겔상물이 주 성분(이산화염소 발생원)이고, 이들을 굳이 운반하고자 하면, 당해 주 성분이, 또는 폐액이 넘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순히 소형화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해도, 소형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문제, 즉(아염소산염의 절대량이 부족하여) 이산화염소 발생의 지속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새롭게 발생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어려웠다. Conventionally, an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chlorite or a gel containing chlorite has been known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However, the conventional chlorine dioxide producing apparatus has not been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carrying, and many of them are large-scale. Further, in the conventional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quid containing chlorite or the gel containing it is the main component (chlorine dioxide generating source), and if it is intended to carry them, the main component or the waste liquid overflows . In addition, even if it can be simply miniaturized and transported, a problem that is caused by compactness, that is, a shortage of persistence of chlorine dioxide generation (due to insufficient absolute amount of chlorite) is newly generated, and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use .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의「소형화」와「계속적인 사용」이라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한 장치로서, 소정의 구조를 구비한 카트리지에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를 포함시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An apparatus which solves the problems of "miniaturization" and "continued use" of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at the same time, comprising a cartridge containing a solid chlorate in a cartridge having a predetermined structure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chlorine dioxide (Patent Document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224386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224386 WO2011/118447WO2011 / 118447

상기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장치는, 종래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와 비교하여 소형이고, 또한,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그러나, 당해 장치는,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이산화염소 발생원으로서 사용하는 점에서,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수용액이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겔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장치와 비교하여, 이산화염소의 발생량이 적다는, 또 하나의 과제가 있었다. The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is excellent in that it is small in siz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and can be continuously used. However, since this apparatus uses a solid chlorosilicate as a source of chlorine dioxide, as compared with an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chlorite or a gel containing chlorite, chlorine dioxide There is another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the generated gas is small.

종래,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에 광을 조사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파장의 광 중에서도, 보다 에너지가 높은 자외 영역의 광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라고 생각되어 왔다. Conventionally, in the case where chlorine dioxide is generated by irradiating light to a drug containing solid chlorite, in order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more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use light of ultraviolet region having higher energy among lights of various wavelengths It has been considered essential.

본 발명자들은,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를 이산화염소의 발생원으로서 사용하는 장치의 이산화염소 발생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예상외로,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이산화염소뿐만 아니라, 오존까지도 발생하여, 이 오존이 이산화염소와 간섭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의 양이 오존의 양보다도 감소되어 있는 것을 밝혀내었다(본 명세서의 실시예 1 및 도 3도 참조할 것).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intensive investigations to increase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in a device using a drug containing a solid chlorite as a source of chlorine dioxide. As a result, unexpectedly, when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 a drug containing a solid chlorite, not only chlorine dioxide but also ozone is generated, and this ozone interferes with chlorine dioxide, so that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as a whole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ozone (See also Example 1 and FIG. 3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지견에 기초하여,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를 이산화염소의 발생원으로서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더욱 검토를 거듭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in an apparatus using a solid chlorate-containing medicament as a source of chlorine dioxide, based on the above knowledge,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as a whole while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ozone, Further review was made.

그 결과, 종래, 고형의 아염소산염으로부터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기 위해 필수라고 생각되어 왔던 자외선이 아니라, 가시 영역의 광을 사용함으로써, 오존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장치 전체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이산화염소의 양을 증가시키는데 성공하였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generated ozone by using light in the visible region, not ultraviolet ray,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considered to be necessary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from solid chlorite, Of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또한,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보다도 에너지가 낮은 가시 영역의 광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반응성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해, 장치의 개량을 거듭한 결과, 놀랍게도,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에 대해, 복수의 광원부로부터 광을 조사하면, "상승적"으로 이산화염소의 발생 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밝혀내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ors have repeatedly improved the apparatu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owering of the reactivity due to the use of the light in the visible region where the energy is lower than that of the ultraviolet ray. As a result, surprisingly, It was found that the efficiency of generation of chlorine dioxide was improved in a "synergistic" manner.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에 있어서의 약제 수납부를, 통기성 시트로 덮음으로써, 약제 수납부 중의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가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통기에 의한 약제의 과도한 건조 또는 과도한 습윤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산화염소를 방출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었다. Further,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by covering the medicament containing section of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breathable sheet, the medicament containing the solid chlorate salt in the medicament-containing section is prevented from overflowing, Excessive drying or excessive wetting of the medicament can be prevented, and the device can release chlorine dioxide more stably.

이러한 예의 연구에 의해, 본 발명자들은, 소형이면서, 실용적으로 충분한 양의 이산화염소를, 매우 장시간에 걸쳐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및 당해 유닛을 구비하는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를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According to the study of this example, the present inventors can release a small amount of chlorine dioxide in a practically sufficient amount over a very long time. Thereby completing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nit.

즉, 본 발명은, 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으로서,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 one embodiment thereof,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상기 유닛은, 약제 수납부, 및 적어도 2개의 광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부는, 실질적으로 가시 영역의 파장으로 이루어지는 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약제 수납부에는,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가 수납되어 있고, 상기 약제 수납부에는, 상기 약제 수납부의 내부와 외부를 에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1개 또는 복수의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약제 수납부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는, 통기성 시트로 덮여 있으며, 여기서, 상기 약제 수납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약제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광에 의해 조사됨으로써, 이산화염소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에 관한 것이다. Wherein the unit is provided with a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and at least two light source portions, the light source portion is for generating light having a wavelength substantially in a visible region, and the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drug containing solid chlorate Wherein one or a plurality of openings are provided in the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air can move inside and outside the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hemical agent contained in the chemical containing section is irradiated by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section so that chlorine dioxide gas is generated .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납부와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원부가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원부는, 상기 약제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약제에 대해, 적어도 2방향에서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the medicine containing section and the at least two light source sections are integrally arranged, and the at least two light source sections are stored in the medicine containing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light is irradiated to the medicament in at least two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사하는 광의 파장이, 360 내지 4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ne embodiment, the wavelength of the light to be irradiated is 360 to 450 nm.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가, 램프, 또는, 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ne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comprises a lamp or a chip.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칩이, LED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the above-mentioned chip is an LED chip.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가, 광을 간헐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ne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is a light source unit capable of intermittently irradiating light.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가, (A) 아염소산염을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 및 (B)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 를 함유하는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ne embodiment, the agent containing the solid chlorate is (A) a porous material carrying a chlorite, and (B) a metal catalyst or a metal oxide catalyst , ≪ / RTI >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아염소산염을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이, 아염소산염 수용액을 다공질 물질에 함침시키고, 다시 건조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ne embodiment, the above "porous material carrying a chlorite" is obtained by impregnating a porous material with an aqueous solution of chlorite and drying again.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가, 팔라듐, 루비듐, 니켈, 티탄, 및 이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ne embodiment, the metal catalyst or the metal oxide catalys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lladium, rubidium, nickel, titanium, and titanium dioxide.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물질이, 세피오라이트(sepiolite), 팔리고스카이트(palygorskite),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실리카겔, 규조토, 제올라이트, 및 펄라이트(pearlite)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The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t for producing chlorine dioxi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rein the porous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piolite, palygorskite, montmorillonite, silica gel, diatomaceous earth, zeolite, and pearlite pearlite, < / RTI >

상기 아염소산염이, 아염소산나트륨, 아염소산칼륨, 아염소산리튬, 아염소산칼슘, 및 아염소산바륨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haracterized in that the chlorite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chlorite, potassium chlorite, lithium chlorite, calcium chlorite, and barium chlorite.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납부 중의 상기 약제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염과 상기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의 질량비가, 1:0.04 내지 0.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ne embodiment, the mass ratio of the chlorate to the metal catalyst or the metal oxide catalyst in the medicament in the medicament containing portion is 1: 0.04 to 0.8 .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물질이, 또한 알칼리제를 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ne embodiment, the porous material further carries an alkali agent.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제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및 탄산리튬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ne embodiment, the alkaline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lithium hydroxide, sodium carbonate, potassium carbonate, and lithium carbonate.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제 중의 상기 아염소산염과 상기 알칼리제의 몰비가, 1:0.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ne embodiment, the molar ratio of the chlorate salt to the alkali agent in the medicament is 1: 0.1 to 2.0.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아염소산염 및 알칼리제를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은, 아염소산염 및 알칼리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다공질 물질에 함침시키고 건조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the "porous material carrying the chlorite and the alkali agent" can be obtained by impregnating and drying the chlorite and the alkali agent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in the porous material .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을 구비하는,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comprising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described in any one of the above-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And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중의, 상기 약제 수납부에 수납된 약제에 에어를 보내기 위한, 송풍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n air blowing unit for sending air to the medicine stored in the chemical storage unit of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in one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가,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에어를 끌어들이기 위한 팬, 또는,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에어를 방출하기 위한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blower for blowing air from the outside of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to the inside of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And is a fan for discharging air.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납부의 개구부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약제 수납부의 측면에 존재하고, 상기 송풍부로부터 보내어진 에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약제 수납부의 측면에 존재하는 개구부를 통하여, 약제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openings of the medicament containing section is present on the side of the medicament containing section, and the air sent from the air inflow section is at least partially Is sent to the medicament through the opening portion existing on the side surface of the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납부 중의 상대 습도가, 상기 송풍부로부터 보내지는 에어에 의해, 30 내지 80% RH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ne embodiment,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is maintained at 30 to 80% RH by the air sent from the blowing portion.

상기의,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복수의 특징을, 당업자의 관점에서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도록 임의로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bove-described one or mor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bitrarily combined so as not to be technically inconsistent from the view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및 당해 유닛을 구비하는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상기의 구성을 취함으로써, 소형이면서, 실용적으로 충분한 양의 이산화염소를, 매우 장시간에 걸쳐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탈것 탑재용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소형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난방 기기, 냉방 기기, 공기 청정기, 가습기 등의 공조 설비에 편입시킬 수도 있다. Since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the unit can emit chlorine dioxide in a small and practically sufficient amount for a very long time by adopting the above configuration, For example, it can be suitably used for mounting a vehicle. Further, since the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it can be incorporated in air conditioning equipment such as a heating device, a cooling device, an air purifier, a humidifier, and the like.

도 1은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를 삽입한,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을 삽입한,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에 광을 조사하는 경우에 있어서, 조사하는 광의 파장을 변화시킨 경우의 에어 중의 이산화염소 농도 및 오존 농도의 실측값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이산화염소 농도 및 오존 농도의 실측값 중, 자외 영역에 있어서의 측정값의 평균값과, 가시 영역에 있어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에 광을 조사하는 경우에 있어서, 약제에 혼합하는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의 형상에 의한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고형의 아염소산염, 및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이산화티탄)를 함유하는 약제 중의 아염소산염과 이산화티탄의 비율을 변화시킨 경우의,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7은 고형의 아염소산염, 및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이산화티탄)를 함유하는 약제 중의, 이산화티탄의 함유량과, 가시광 조사에 의해 발생한 이산화염소 농도의 최대값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
도 8은 고형의 아염소산염 및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이산화티탄)를 함유하는 약제에 장시간 가시광을 계속 조사한 경우의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의 사시도, 상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을 삽입한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에 있어서, 약제 수납부 중의 약제에 대해, 1개의 광원부(편면)로부터만 광을 조사한 경우와, 2개의 광원부(양면)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의,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비교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에 있어서, 약제 수납부 중의 약제에 대해, 1개의 광원부(편면)로부터만 광을 조사한 경우와, 2개의 광원부(양면)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의,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비를 플롯한 도면을 도시한다. 또한, 2개의 광원부(양면)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에는, 1개의 광원부(편면)로부터만 광을 조사한 경우와 비교하여, 이산화염소의 발생량이 2배 이상이 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비를 취하기 위한, 편면 조사인 경우의 이산화염소 발생량은, 2배값을 사용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에 있어서, 2개의 광원부(양면)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에는, 1개의 광원부(편면)로부터만 광을 조사한 경우와 비교하여, 약제 수납부 중의 약제로, 효율적으로 광을 도달시킬 수 있는 것을 설명한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에 있어서, 약제 수납부 중의 상대 습도를 변화시킨 경우의,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변화를 도시한다. 또한, 도 14에서는, 1개의 광원부(편면)로부터만 광을 조사한 경우의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에 있어서, 약제 수납부 중의 상대 습도를 변화시킨 경우의,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계시적(繼時的)인 변화를 도시한다. 또한, 도 15에서는, 2개의 광원부(양면)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의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에 있어서, 약제 수납부 중의 약제에 대해, 2개의 광원부(양면)로부터 간헐적으로 광을 조사한 경우의,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계시적 변화를 도시한다. 또한, 도면 중의「10s/80s」란, 조사 개시 2분간은 광을 계속 조사하고, 조사 개시 2분 이후에는 10초 광을 조사(LED를 ON)하고, 80초 광의 조사를 정지(LED를 OFF)하는 사이클을 반복한 것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도면 중,「20s/80s」란, 조사 개시 2분간은 광을 계속 조사하고, 조사 개시 2분 이후에는 20초 광을 조사(LED를 ON)하고, 80초 광의 조사를 정지(LED를 OFF)하는 사이클을 반복한 것을 나타내고,「30s/80s」란, 조사 개시 2분간은 광을 계속 조사하고, 조사 개시 2분 이후에는 30초 광을 조사(LED를 ON)하고, 80초 광의 조사를 정지(LED를 OFF)하는 사이클을 반복한 것을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유닛의 약제 수납부를, 통기성 시트로 덮는 구조로 한 경우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에 기재된 약제 수납부를 편입시킨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에 있어서는, 장치 중을 흐르는 공기의 대부분이 약제 수납부의 표면을 본뜨듯이 흘러, 일부의 공기만이 약제 수납부의 내외를 오고 감으로써, 안정적으로 이산화염소를 방출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Fig. 1 show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into which a medicament containing a solid chlorite is inserted.
Fig. 2 show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in which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Fig. 1 is inserted. Fig.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of the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ozone concentration in air when the wavelength of irradiated light is changed in the case of irradiating light to a drug containing solid chlorite. FIG.
4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values in the ultraviolet region and an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values in the visible region amo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ozone concentration in Fig.
FIG. 5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by the shape of a metal catalyst or a metal oxide catalyst mixed with a chemical agent when light is irradiated to a chemical agent containing solid chlorate. FIG.
Fig. 6 shows a change in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when the ratio of chlorite and titanium dioxide in a solid chlorate salt and a medicament containing a metal catalyst or a metal oxide catalyst (titanium dioxide) is changed.
Fig. 7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titanium dioxide and the maximum value of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by visible light irradiation in a drug containing solid chlorites and a metal catalyst or a metal oxide catalyst (titanium dioxide).
Fig. 8 shows a change in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when a long period of visible light is continuously irradiated to a solid chlorosite and a medicament containing a metal catalyst or a metal oxide catalyst (titanium dioxide).
Fig. 9 shows a perspective view, a top view, and a side view of a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 schematic view of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in which a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is inserted,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se where light is irradiated from only one light source portion (one side) and the case where light is irradiated from two light source portions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medicine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is compared.
1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se where light is irradiated from only one light source portion (one side) and the case where light is irradiated from two light source portions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medicine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on amount is plotted. Further, in the case of irradiating light from two light source portions (both surfaces), in order to indicate that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ion is twice or m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light is irradiated only from one light source portion (one surface) In order to take the ratio,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in the case of one-side irradiation is double the value.
1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from two light source portions (both surfaces) and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one surface) in the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light can be efficiently reached with the use of a chemical agent.
Fig. 14 shows a change in chlorine dioxide emission amount when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is changed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shows data in the case where light is irradiated only from one light source portion (single surface).
Fig. 15 shows a change in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ion in a temporal manner when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chemical storage unit is changed in the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shows data when light is irradiated from two light source portions (both surfaces).
16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during irradiation of light from two light source portions (both surfaces) with respect to the medicine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In the figure, "10s / 80s" means that light is continuously irradiated for 2 minutes from the start of irradiation, 10 seconds light is turned on (LED is turned on) after 2 minutes from the start of irradiation, ) Is repeated. Similarly, in the figure, " 20s / 80s " means that light is continuously irradiated for 2 minutes from the start of irradiation, 20 seconds light is irradiated (LED is ON) after 2 minutes from the start of irradiation, Quot; 30s / 80s " means that light is continuously irradiated for 2 minutes from the start of irradiation, 30 seconds light is irradiated after 2 minutes from the start of irradiation (LED is turned ON) (LED is turned off) is repeated.
17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hemical storage portion of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vered with a breathable sheet.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incorporating the medicament containing section described in Fig. 17, most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pparatus flows as if the surface of the medicament receiving section is viewed, and only a part of the air flows in and out of the medicament receiving section The chlorine dioxide can be stably released.

본 발명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으로서, 상기 유닛은, 약제 수납부, 및 적어도 2개의 광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부는, 실질적으로 가시 영역의 파장으로 이루어지는 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약제 수납부에는,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가 수납되어 있고, 상기 약제 수납부에는, 상기 약제 수납부의 내부와 외부를 에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약제 수납부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는, 통기성 시트로 덮여 있으며, 여기서, 상기 약제 수납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약제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광에 의해 조사됨으로써, 이산화염소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wherein the unit includes a medicine storage section and at least two light source sections, wherein the light source section generates light having a wavelength substantially in the visible region Wherein the medicament containing solid hypochlorite is housed in the medicament housing part, and one or a plurality of openings are provided in the medicament housing part so that air can move inside and outside the medicament housing part Wherein one or a plurality of the openings of the medicament containing section are covered with a breathable sheet, wherein the medicines present inside the medicament containing section are irradiated by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section, To a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characterized in that chlorine gas is generated.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에 있어서는, 적어도 2개의 광원부(예를 들면, 2, 3, 4, 5, 6 또는 그 이상의 개수의 광원부)를 구비하지만, 당해 적어도 2개의 광원부의 위치 관계는, 이산화염소의 발생원인 약제에 대해, 적어도 2방향(예를 들면, 2, 3, 4, 5, 6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광원부는, 이산화염소의 발생원인 약제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인 위치에 배치된다.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light source portions (for example, 2, 3, 4, 5, 6 or more light source portions) are provide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agen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as long as it can irradiate light from at least two directions (for example, 2, 3, 4, 5, 6 or more directions). Preferably, the at least two light source portions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agent causing the chlorine dioxid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원은, 가시 영역의 광을 단독으로, 또는 가시 영역을 포함하여 방출하는 것이면 종래 공지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파장은, 가시 영역의 광의 파장(360 내지 830㎚)만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자외 영역의 광의 파장(~360㎚) 및 적외 영역의 광의 파장(830㎚~)을 포함한 광이라도 상관없다. 그러나, 자외 영역의 파장의 광을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에 조사하면, 부산물로서 오존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적외 영역의 파장의 광은 에너지가 약하기 때문에,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에 조사해도 발생하는 이산화염소의 양이 적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실질적으로 가시 영역의 파장의 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360 내지 450㎚ 파장의 광인 것이 바람직하며, 380 내지 450㎚ 또는 360 내지 430㎚ 파장의 광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80 내지 430㎚ 파장의 광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light sour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conventionally known light source as long as it emits light in the visible region alone or in a visible region. Therefore, the waveleng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wavelength (360 to 830 nm) of the light in the visible region, and the wavelength (? 360 nm) of the light in the ultraviolet region and the wavelength It does not matter whether it contains light. However, when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the ultraviolet region is irradiated to a medicament containing solid chlorite, ozone is easily generated as a by-product, and since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the infrared region is weak in energy,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that is generated even when irradiating the medicine is smal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composed of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the visible region.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360 to 450 nm, more preferably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380 to 450 nm or 360 to 430 nm, more preferably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380 to 430 nm desirable.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파장이 실질적으로 특정한 파장 영역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공지의 측정 기기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파장이나 에너지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The fact that the wavelength of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included in the range of a specific wavelength range can be confirmed by measuring the wavelength or energy of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by a known 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광원은, 가시 영역의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가시 영역의 광을 발생시키는 램프(백열 램프, LED 램프), 칩, 레이저 장치 등,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지향성의 관점에서, 또한, 장치의 소형화의 관점에서, 광원으로서 칩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칩 형태의 광원은 지향성이 좁기 때문에, 광이 확산되지 않아, 조사 대상물에 대해 효율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어, 장치의 이산화염소 발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파장을 한정하고, 자외 영역이나 적외 영역의 광을 포함하지 않도록 한다는 관점에서는, 광원으로서, 가시 영역의 광을 발생시키는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장치의 소형화의 관점, 및 이산화염소의 발생 효율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광원은, 가시 영역의 광을 발생시키는 LED 칩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light sour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generate light having a wavelength in the visible region. For example, a variety of light sources such as a lamp (incandescent lamp, LED lamp) Can be u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directivi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in view of downsizing of the apparatus, it is preferable to use a chip-type light source. Since the light source in the form of a chip has a narrow directivity, light is not diffused, light can be efficiently irradiated to the object to be irradiated, and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efficiency of the apparatus can be improved. Further, from the viewpoint of limiting the waveleng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not including light in the ultraviolet region or the infrared region, it is preferable to use an LED that generates light in the visible region as the light source. In particular, from the viewpoint of downsizing of the device and the efficiency of generation of chlorine dioxid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light sour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LED chip that generates light in the visible region.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광원은, 광을 간헐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광원이면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광원은, 일정 시간 광을 조사한 후, 일정 시간 광의 조사를 정지하는 사이클을 반복하는 광원이면 좋다. 광을 간헐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광원의 제어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Further, the light sour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light source capable of intermittently irradiating light.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light source that repeats a cycle of irradiating ligh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n stopping irradiation of ligh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 control method of the light source for intermittently irradiating ligh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carried out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using a known method.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에 있어서의 광원부와 약제 수납부는,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좋지만, 약제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약제에 대해,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조사시키기 위해서는,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원부와 약제 수납부는, 분리 불가능한 형태로 일체적으로 배치 또는 접속되어 있어도 좋고, 분리 가능한 형태로 일체적으로 배치 또는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광원부와 약제 수납부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일체적으로 배치 또는 접속되는 경우에는, 약제 수납부는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이면 좋다.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medicine reservoir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integrally or separately and may be disposed separately. However, with respect to the medicine stored in the medicine storage uni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can be efficiently In order to irradiate them,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rranged integrally. Here, the light source portion and the medicine accommodation portion may be integrally arranged or connected in a non-separable form, or may be integrally arranged or connected in a separable form. When the light source part and the medicine storage part are integrally arranged or connected in a detachable form, the medicine storage part may be a replaceable cartridge.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약제 수납부는, 내부와 외부를 에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는 한, 그 소재나 구조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약제 수납부(특히, 약제 수납부 중, 광원부로부터의 광이 직접 조사되는 면)의 소재를, 공지의 광투과성의 소재로 함으로써,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약제 수납부의 내부의 약제로 조사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제 수납부의 소재를, 실질적으로 가시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는 수지제로 함으로써, 광원부로부터 발생된 광이 수지에 흡수되지 않고 약제 조사부의 내부의 약제에 조사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가시 영역의 파장의 광을 투과시키는 수지란, 예를 들면, 조사된 가시 영역의 파장의 광의 80% 이상을 투과시키는 수지이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사된 가시 영역의 파장의 광의 90% 이상을 투과시키는 수지이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사된 가시 영역의 파장의 광의 95% 이상을 투과시키는 수지이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수납부 중, 광원부로부터의 광이 직접 조사되는 면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제, 염화비닐제, PET제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The medicament housing par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its material and structure as long as one or a plurality of openings are provided so that air can move inside and outside. For example, by making the material of the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in particular, the surface of the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where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directly irradiated) to be a known light transmitting material,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is irradiated to the inside It can be irradiated with medicines. Preferably, the material of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is made of a resin that transmits light in the visible region substantially, so tha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is not absorbed by the resin but irradiated to the medicament inside the medicament irradiating por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resin that trans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substantially in the visible region is, for example, a resin that transmits at least 80% of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the irradiated visible region, and preferably, It is sufficient that the resin transmits at least 90% of the wavelength of the light. More preferably, the resin may transmit at least 95% of the light of the wavelength of the irradiated visible region. Concretely, as the material of the surface of the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directly irradiated with light from the light source, for example, acrylic, vinyl chloride or PET can be used, but th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se.

또한, 예를 들면, 약제 수납부를, 수납물이 흘러 넘치지 않을 정도의 그물코를 갖는 그물상 판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약제 수납부의 외부의 에어가, 약제 수납부의 내부와 외부를 이동할 수 있어, 광원부로부터 발생한 광은 그물코를 통해 약제 수납부 내부의 약제에 조사된다. Further, for example, the medicament containing section may be constituted by a net plate having a mesh to the extent that the stored substance does not overflow.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air outside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can move inside and outside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and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is irradiated to the medicine inside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through the mesh.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약제 수납부의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는, 통기성 시트로 덮여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통기성 시트」란, 기체(예를 들면, 공기, 가스, 습기, 등)는 통과시키지만, 고형의 물질(예를 들면, 분말상의 물체, 입자상의 물체)을 실질적으로 통과시키지 않는 시트상의 구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통기성 시트」는, 액체(예를 들면, 물방울)를 실질적으로 통과시키지 않는 성질을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통기성 시트의 소재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섬유를 열·기계적 또는 화학적인 작용에 의해 접착 또는 얽히게 함으로써 시트상으로 한 소재, 미다공질 필름(매우 작은 구멍을 다수 갖는 소재의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장 포개어 붙인 소재나, 무공질이라도 가스나 공기, 습기(수증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 소재, 고밀도 직물에 강력한 발수 처리를 가한 코팅 타입의 소재, 또는, 이들 소재를 조합하여 형성한 소재를 예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통기성 시트로서, 예를 들면, 부직포(엘베스(등록상표, 유니티카사 제조), 액스타(등록상표, 토레사 제조) 등), 고어텍스(등록상표)나 엑세폴(등록상표, 미쯔비시쥬시사 제조: 미다공질 폴리올레핀계 필름과 각종 부직포 등을 조합한, 통기성·투습성·방수성이 우수한 소재), 엔트란트 E(등록 상표, 토레사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통기성 시트는, 약제 수납부에 장착하기 쉽게 하기 위해, 히트 씰성(열용착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one or a plurality of openings of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vered with a breathable sheet. As used herein, the term " breathable sheet " refers to a sheet that passes a gas (e.g., air, gas, moisture, etc.) but does not substantially pass a solid material (e.g., a powdery object, Means a sheet-like structure. The " breathable sheet "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have a property of not allowing liquid (for example, water droplets) to pass substantially through. The material of the air-permeable shee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a sheet-like material, a microporous film (material having a very small number of pores) Or a material that allows movement of gas, air, moisture (water vapor) even in the case of nonporous materials, a coating type material which is subjected to a strong water repellent treatment to a high density fabric, And a material formed by combining materials can be exemplified. More specifically, as the breathable sheet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ELVES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UniCasa), Axa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Toray Industries, Inc.) Permeable, moisture-permeable, and water-resistant materials), Entrant E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Toray Industries, Inc.)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non-porous polyolefin film . The breathabl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heat-sealing property (heat-weldable property) in order to facilitate attachment to the medicine housing part.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통기성 시트의 형상이나 두께는, 당해 통기성 시트가, 약제 수납부의 내부와 외부의 경계에 있어서,「가스나 공기, 습기는 투과시키지만, 어느 일정상 크기의 물체를 통과시키지 않는다」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기성 시트로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평량이 15 내지 120g/㎡(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g/㎡), 두께가 0.1 내지 1.0㎜(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hape and thickness of the breathable she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uch that the breathable sheet permeates gas, air, and moistur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edicine containing section, It is possible for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appropriately select it as long as it can achieve the object of " For example, when a nonwoven fabric is used as the breathable sheet,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s weight is 15 to 120 g / m 2 (preferably 40 to 100 g / m 2, more preferably 50 to 80 g / m 2) , Preferably 0.2 to 0.5 mm, and more preferably 0.2 to 0.4 mm).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아염소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염소산알칼리 금속염이나 아염소산알칼리 토금속염을 들 수 있다. 아염소산알칼리 금속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염소산나트륨, 아염소산칼륨, 아염소산리튬을 들 수 있고, 아염소산알칼리 토금속염으로서는, 아염소산칼슘, 아염소산마그네슘, 아염소산바륨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입수가 용이한 점에서, 아염소산나트륨, 아염소산칼륨이 바람직하며, 아염소산나트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 아염소산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상관없다. Examples of the chlorites t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lkali metal chlorides and alkali chlorides. Examples of the alkali metal chlorite include sodium chlorite, potassium chlorite, and lithium chlorite. Examples of the alkali earth metal chlorate include calcium chlorite, magnesium chlorite, and barium chlorite. Among them, sodium chlorite and potassium chlorite are preferable, and sodium chlorite is most preferable from the standpoint of availability. These chlorite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species.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고형의 아염소산염은, 다공질 물질에 담지되어 있어도 좋다. The solid chlorate sal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orted on a porous material.

본 발명에 있어서,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다공질 물질에 담지시켜, 다공질 물질의 표면에 있어서 광과 반응시킴으로써,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그 상태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적은 에너지로 반응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다공질 물질에 담지시켜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다공질 물질은, 예를 들면, 세피오라이트, 팔리고스카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실리카겔, 규조토,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등 사용할 수 있지만, 아염소산염을 분해시키지 않기 위해, 물에 현탁시킨 경우에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팔리고스카이트와 세피오라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며, 세피오라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orting a solid chlorite on a porous material and reacting it with light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material, a reaction can be induced with less energy as compared with a case in which solid chlorate is used as it is hav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chlorine dioxide can be generated more efficiently by using a solid chlorosilicate supported on a porous material. The porous materi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example, sepiolite, palycycite, montmorillonite, silica gel, diatomaceous earth, zeolite, pearlite, etc. However, in order not to decompose chlorite, It is more preferable that palliatite and sepiolite are used, and sepiolite is particularly preferable.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염소산염을 다공질 물질에 담지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아염소산염을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은, 아염소산염 수용액을 다공질 물질에 함침시키고, 건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아염소산염을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의 함수율은 1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5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supporting the chlorite on the porous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porous material carrying a chlorite" can be obtained by impregnating a porous material with an aqueous solution of chlorite and drying. The water content of the " porous material carrying the hypochlorite " is preferably 10%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5% by weight or less.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아염소산염을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은 어떠한 입자 직경의 것을 사용해도 좋지만, 특히 평균 입자 직경이 1 내지 3㎜인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s the " porous material carrying the chlorite salt "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y material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any particle size may be used, and those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3 mm can be suitably used.

본 발명에 있어서의「아염소산염을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의 평균 입자 직경은, 예를 들면, 광학 현미경에 의해, 사용하는「아염소산염을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의 입자 직경을 측정하고, 통계 처리를 행하여,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계산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orous material carrying the chlorite"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by, for example, measuring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porous material carrying the chlorite" to be used by an optical microscope, And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and the standard devi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아염소산염을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중의 아염소산염의 농도는, 1중량% 이상이면 유효하지만, 25중량%를 초과하면 극물에 해당하기 때문에, 1중량% 이상 2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며, 5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concentration of the chlorate in the " porous material carrying the chlorite salt "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when it is 1% by weight or more, but when it exceeds 25% by weight, By weight, more preferably 5% by weight or more and 20% by weight or less.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는, 추가로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를 함유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는, (A) 아염소산염을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 및 (B)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 를 함유하는 약제이면 좋다. The " agent containing solid chlorate salt "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 metal catalyst or a metal oxide catalyst. For example, the " agent containing solid chlorate salt "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agent containing (A) a porous material carrying a chlorite and (B) a metal catalyst or a metal oxide catalyst .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팔라듐, 루비듐, 니켈, 티탄, 이산화티탄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이산화티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산화티탄은, 단순히 산화티탄, 또는 티타니아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는 분말상, 입자상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약제 중의 아염소산염과,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의 혼합 비율에 의해, 당업자가 적절히 바람직한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제 중의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경우에는, 입자상의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약제 중의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의 비율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는 입자상의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를 선택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Examples of the metal catalyst or metal oxide catalys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alladium, rubidium, nickel, titanium, and titanium dioxide. Of these, titanium dioxide is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Further, the titanium dioxide may be simply referred to as titanium oxide or titania. The metal catalyst or the metal oxide catalys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powder or particulate form and may be suitab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depending on the mixing ratio of the chlorate in the agent and the metal catalyst or metal oxide catalyst You can choose. For example, when the proportion of the metal catalyst or the metal oxide catalyst in the drug is relatively high, a particulate metal catalyst or a metal oxide catalyst can be selected. When the ratio of the metal catalyst or the metal oxide catalyst in the drug is relatively low, Metal catalysts, or metal oxide catalysts.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분말상」또는「입자상」 크기의 대략적인 기준으로서는, 예를 들면 분말상이란, 평균 입자 직경이 0.01 내지 1㎜인 크기의 고형물을 말하고, 또한 입자상이란, 평균 입자 직경이 1 내지 30㎜인 크기의 고형물을 말하지만,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s used herein, the powder phase refers to a solid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1 to 1 mm, and the particle phase refers to a solid phase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Refers to a solid having a size of 1 to 30 mm,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약제 중의, 아염소산염과,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의 질량비는, 아염소산염: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1:0.04 내지 0.8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1:0.07 내지 0.6이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7 내지 0.5이면 좋다. 약제 중에 있어서,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의 함유량이 아염소산염의 함유량의 1배를 상회하는 경우, 및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의 함유량이 아염소산염의 함유량의 0.04배를 하회하는 경우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가시광을 조사한 경우에 발생하는 이산화염소의 양은 저하될 수 있다. The mass ratio of the chlorite to the metal catalyst or the metal oxide catalyst in the ag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range of 1: 0.04 to 0.8, preferably 1: 0.07 to 0.6 And more preferably from 1: 0.07 to 0.5. In the case where the content of the metal catalyst or the metal oxide catalyst is more than 1 times the content of the chlorite in the chemical and the content of the metal catalyst or the metal oxide catalyst is less than 0.04 times the content of the chlorate ,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when visible light is irradiated may be lowered.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아염소산염을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은, 추가로 알칼리제를 담지하고 있어도 좋다. The " porous material carrying the chlorite salt "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arry an alkali agent.

본 발명의 약제의 조제에 있어서 사용되는 알칼리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세슘, 수산화루비듐,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리튬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아염소산염을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에 알칼리제를 추가로 담지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약제의 pH를 조정할 수 있어, 약제 자체의 안정성을 높여, 광의 조사를 행하고 있지 않은 보관시 등의 불필요한 이산화염소의 방출을 억제할 수 있다. As the alkali agent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medic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lithium hydroxide, cesium hydroxide, rubidium hydroxide, sodium carbonate, potassium carbonate and lithium carbonate can be used, . The pH of the medica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by further supporting an alkali agent on the "porous material carrying the chlorite", there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the medicament itself and suppressing unnecessary dioxidation The release of chlorine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의 약제의 조제에 있어서 사용되는 알칼리제의 양은, 아염소산염(mol)에 대해 0.1 당량 이상 2.0 당량 이하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0.1 당량 이상 1.0 당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당량 이상 0.7 당량 이하이다. 0.1 당량 미만에서는 담지된 아염소산염이 상온에서도 분해될 우려가 있으며, 2.0 당량을 초과하면 안정성은 향상되지만, 이산화염소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발생 농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The amount of the alkaline agent to be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medic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y 0.1 to 2.0 equivalents, preferably 0.1 to 1.0 equivalents, more preferably 0.1 to 0.7 equivalents, relative to the chlorite (mol) Equivalent or less. If the amount is less than 0.1 equivalent, the supported chlorosalt may be decomposed even at room temperature. If the amount exceeds 2.0 equivalents, the stability improves, but chlorine dioxide is less likely to be generated and the concentration is lowered, which is not preferable.

본 발명의 약제의 조제에 있어서,「아염소산염을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에 알칼리제를 추가로 담지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염소산염 및 알칼리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다공질 물질에 함침시켜 건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면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다공질 물질에 아염소산염 수용액 및/또는 알칼리제를「분무 흡착」시켜 건조시킴으로써, 목적의 조성물을 얻는 경우가 있는데,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분무 흡착」은 용어「함침」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eparation of the medic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dditionally supporting an alkali agent on the " porous material carrying a chlorite salt "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chlorite and an alkali agent may b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pplied to a porous material Impregnation and drying may be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tended composition may be obtained by " spraying " the aqueous solution of the chlorate and / or the alkaline agent to the porous material and dry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spray adsorption" .

본 발명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을 구비하는,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의 약제 수납부에 수납된 약제에 에어를 보내기 위한, 송풍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좋다. 당해 송풍부는 장치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에어를 끌어 들이기 위한 것이라도 좋고, 장치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에어를 방출하기 위한 것이라도 좋다.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lowing portion for sending air to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medicine containing portion of the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The blowing portion may be for drawing air from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to the inside or may be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에 있어서, 약제 수납부에 수납된 약제에 에어를 보내기 위한 송풍부는, 예를 들면 팬 또는 에어펌프이면 좋지만, 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송풍부를 구비함으로써, 약제 수납부의 내부의 약제에 의해 많은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약제에 의해 많은 에어가 공급됨으로써,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와 에어 중의 수분(수증기)의 접촉 빈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광이 조사된 고형의 아염소산염으로부터 이산화염소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section for sending air to the medicament housed in the medicament receiving section may be, for example, a fan or an air pump, but is preferably a fan. By providing such an air blowing portion, a large amount of air can be supplied by the medicine in the medicine containing portion. Since a large amount of air is supplied by the medicament, the frequency of contact between the medicament containing the solid chlorate salt and the moisture (water vapor) in the air is increased, so that chlorine dioxide is apt to be generated from the light-irradiated solid chlorate.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송풍부로부터 보내지는 에어에 의해, 약제 수납부 중의 상대 습도를 30 내지 80%RH(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RH,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RH)로 조절할 수 있다. 약제 수납부 중의 상대 습도를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이산화염소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medicine containing section is 30 to 80% RH (preferably 40 to 70% RH, more preferably 40 to 60% RH). By adjusting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to the above range, the amount of generated chlorine dioxide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에 있어서, 약제 수납부 중으로, 에어 중의 수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모으는 펠티에 소자(펠티에 효과)를 이용할 수도 있다(수증기의 침입이나 결로가 발생하는 펠티에 소자의 결점을 역이용하여 습도 상승에 작용하게 할 수도 있다.).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method for supplying water vapor in the air into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a Peltier element (Peltier effect) for condensing and collecting moisture in the air may be used The defects of the Peltier element in which condensation occurs can be reversely used to cause the humidity to rise).

장치 내의 상대 습도의 제어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공지 기술을 사용하여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 본체 내부에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계를 설치하고, 수분량을 감시하면서, 송풍부로부터의 송풍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펠티에 소자에 의한 흡습량을 조절함으로써, 상대 습도를 컨트롤하면 좋다.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apparatu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uitab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known techniques. For example, a relative humidity can be controlled by providing a hygrometer for measuring humidity inside the apparatus main body,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blowing from the blowing unit, or adjusting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ed by the Peltier element while monitoring the water amount.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은 소형이기 때문에, 이산화염소의 발생을 주 목적으로 하지 않는 가전 제품 등에 삽입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의 발생을 주 목적으로 하지 않는 가전 제품 등에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을 삽입시킨 장치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난방 기기, 냉방 기기, 공기 청정기, 가습기 등의 공조 설비에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을 삽입시킴으로써, 공조 설비에서 방출되는 바람의 효과에 의해 이산화염소 발생 유닛에 있어서의 이산화염소의 발생이 촉진되는 동시에, 공조 설비로부터 공간으로 방출되는 바람에 실려, 이산화염소를 효율적으로 공간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it may be inserted into an appliance or the like which does not primarily generate chlorine dioxide. In addition, an apparatus in which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n appliance for which no chlorine dioxide is mainly generated is also included in the "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by inserting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such as a heating device, a cooling device, an air purifier, a humidifier, or the like, the effect of wind emitted from the air- And the chlorine dioxide can be efficiently diffused into the space by being blown into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ing equipment into the space.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발명을 한정하는 의도는 아니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for explaining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포함한다」라는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상이한 이해를 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기재된 사항(부재, 스텝, 요소 또는 숫자 등)이 존재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며, 그 이외의 사항(부재, 스텝, 요소 또는 숫자 등)이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 comprising "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mean the presence of stated items (such as absence, step, element, or number),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Bu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other matters (such as absence, step, element, or number).

상이한 정의가 없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를 포함한다)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당업자에 의해 널리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는, 상이한 정의가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명세서 및 관련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의미와 정합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며, 이상화되고, 또는,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에 있어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he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synonym with the mean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related art unless the different definitions are explicitly stated. In the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It does not have to be interpreted.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모식도를 참조하면서 설명되는 경우가 있는데, 모식도인 경우,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chematic diagram. In the case of a schematic diagram, for the sake of clarity, the diagram may be exaggera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예를 들면, 「1 내지 10%」라고 표현되어 있는 경우, 당업자는, 당해 표현이, 1, 2, 3, 4, 5, 6, 7, 8, 9 또는 10%를 개별 구체적으로 가리키는 것을 이해한다. In this specification, for example, when expressed as "1 to 10%",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expression may be used to indicate that 1, 2, 3, 4, 5, 6, 7, 8, 9 or 10% I understand what it refers to specifically.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성분 함유량이나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모든 수치는, 특별히 명시가 없는 한, 용어「약」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10배」란, 특별히 명시가 없는 한, 「약 10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In this specification, all numerical values used for indicating ingredient content or numerical range are understood to include the meaning of the term " about " unless otherwise specified. For example, " 10 times " is understood to mean " about 10 times " unless otherwise specified.

본 명세서 중에 인용되는 문헌은, 이들 모든 개시가, 본 명세서 중에 원용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문맥에 따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이들 선행기술문헌에 있어서의 관련되는 개시 내용을,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원용하여 이해한다. The documents cit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incorporated in all of these disclosur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in the context of this disclosure, without prejudice to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ure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에 의해 구현화할 수 있고, 여기에 기재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실시예Example

실시예 1: 조사하는 광의 파장에 의한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변화Example 1: Change in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by wavelength of irradiated light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이산화염소 발생 유닛 및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In this embodiment, the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and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도 1은, 본 실시예에 사용한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의 약제 수납부 및 광원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10)은 약제 수납부(11) 및 가시 영역의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LED 칩(12) 및 조작 기판(13))를 구비한다. 약제 수납부(11)는, 시험용 약제(14)를 포함한다. 약제 수납부(11)는, 내부와 외부를 에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16)를 구비한다.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10)은, 장치 외부의 에어를 장치 내로 유도하기 위한 튜브(15)를 구비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light source portion of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FIG. 1,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10 includes a medicine storage portion 11 and a light source portion (LED chip 12 and operation substrate 13) for generating light in a visible region. The medicament storage portion 11 includes a test medicament 14.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11 is provided with an opening portion 16 so that air can move inside and outside.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10 has a tube 15 for guiding air outside the apparatus into the apparatus.

튜브(15)로부터 도입된 에어는, 개구부(16)를 통해 약제 수납부(11)의 내부로 공급된다. 공급된 에어 중에 포함되는 수증기는, 시험용 약제(14) 중의 아염소산염에 흡수된다. 광원부로부터 발생한 가시 영역의 광은, 약제 수납부(11)의 저면을 투과하여, 약제 수납부(11)의 내부에 존재하는 시험용 약제(14)에 조사된다. 수증기를 포함한 아염소산염은, 조사된 광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킨다. 아염소산염과 함께 시험용 약제(14)에 포함되는 이산화티탄은, 가시 영역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아염소산염으로부터 이산화염소가 발생하는 반응을 촉진시킨다. 발생한 이산화염소는, 개구부(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The air introduced from the tube 15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11 through the opening portion 16. The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supplied air is absorbed into the chlorate in the test agent 14. [ The light in the visible region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11 and irradiated to the test medicament 14 present inside the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11. [ The chlorites, including water vapor, react with the irradiated light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The titanium dioxide contained in the test drug 14 together with the chlorite accelerates the reaction in which chlorine dioxide is generated from the chlorite by irradiating light in the visible region. The generated chlorine diox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portion 16.

도 2는, 본 실시예에 사용한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20)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21)을 내부에 구비한다.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20)의 장치 본체(22)는, 장치 외부의 에어를 장치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에어 공급구(23), 및 장치 내부의 에어를 장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 배출구(25)를 구비한다. 또한,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20)는, 장치 내부로 효율적으로 에어를 도입하기 위해, 팬(24)을 내부에 구비한다.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used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chlorine dioxide generator 20 includes a unit 21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The apparatus main body 22 of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20 includes an air supply port 23 for introducing air outside the apparatus into the apparatus and an air outlet 25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apparatus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Respectively. The chlorine dioxide generator 20 also includes a fan 24 for efficiently introducing air into the apparatus.

팬(24)의 구동에 의해, 에어 공급구(23)로부터 장치 본체(22)의 내부로 에어가 도입된다. 도입된 에어는, 장치 내부에 설치된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21)을 통과하여, 에어 배출구(25)로부터 배출된다.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21)에서는, 도 1에 기재된 장치와 같은 기구로 이산화염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에어 배출구(25)로부터 배출되는 에어에는 이산화염소가 포함된다. Air is introduced from the air supply port 23 into the in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22 by driving the fan 24. [ The introduced air passes through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21 installed in the apparatus and is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25. [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21, chlorine dioxide is generated by the same mechanism as the apparatus shown in FIG. 1,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25 contains chlorine dioxide.

10wt% 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70g을 100g의 세피오라이트에 분무 흡착시켜 건조시킨 후, 다시 10wt%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g을 분무 흡착시켜 건조시켰다. 여기에, 티탄 분말에 소성 처리를 가하여 조제한 분말상의 이산화티탄 20g을 혼합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하는 시험용 약제로 하였다. 70 g of a 10 wt% sodium chlorite aqueous solution was sprayed and adsorbed on 100 g of sepiolite, and then 20 g of a 10 wt%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was sprayed on and dried. 20 g of powdery titanium dioxide prepared by subjecting the titanium powder to a baking treatment were mixed to obtain a test drug used in this Example.

도 2에 기재된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중의 약제 수납부에, 상기의 약제를 저장하였다. 약제 수납부의 개구부로부터 1L/min으로 약제 수납부 내에 에어를 도입하고, LED 칩으로부터 약제 수납부 내의 약제에 대해 광을 조사하였다. LED 칩으로부터 조사하는 광의 파장을 80 내지 430㎚까지 2㎚마다 변화시켜,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된 에어에 함유되는 이산화염소 농도 및 오존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를 약 7리터의 챔버에 저장하여 행하고, 이산화염소 농도 및 오존 농도의 측정은, 당해 챔버 내에 있어서의 이산화염소 농도 및 오존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도시하였다. 또한, 본 시험에는, 주파수 카운터(MCA3000, 테크트로닉스사), 스펙트럼·애널라이저(BSA, 아질렌트·테크놀로지사), 파장 스위프 광원(TSL-510, 선텍사), 자외선 적산 광량계(UIT-250, 우시오덴키사), 및 자외선 적산 광량계 수광기(VUV-S172, UVD-C405, 우시오덴키사)를 사용하였다. The above-mentioned medicament was stored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Air was introduced into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from the opening of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at 1 L / min, and light was irradiated from the LED chip to the medicine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The wavelength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chip was changed every 2 nm from 80 to 430 nm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and the concentration of ozone contained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The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 ozone concentration were measur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and the concentration of ozone in the chamber.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and Fig. In this test, a frequency counter (MCA3000, manufactured by Tecronix), a spectrum analyzer (BSA, Agilent Technologies), a wavelength sweep light source (TSL-510, Suntech) And UV ultraviolet light photodetectors (VUV-S172, UVD-C405, Ushio Denshika) were used.

도 3은, 다양한 광의 파장에 있어서의, 에어 중의 이산화염소 농도 및 오존 농도의 실측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4는, 상기의 측정값 중, 자외 영역(80 내지 358㎚)에 있어서의 측정값의 평균값과, 가시 영역(360 내지 430㎚)에 있어서의 측정값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자외 영역 및 가시 영역에 있어서의 이산화염소의 측정값의 평균값은 각각 약 2.25ppm, 약 4.87ppm이며, 자외 영역 및 가시 영역에 있어서의 오존의 측정값의 평균값은 각각 약 7.04ppm, 약 3.04ppm이었다. Fig. 3 is a graph showing measured values of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 and ozone concentration in air at various wavelengths of light.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d values in the ultraviolet region (80 to 358 nm) And a measured value in a visible region (360 to 430 nm). 4, the average values of the measured values of chlorine dioxide in the ultraviolet region and the visible region were about 2.25 ppm and 4.87 ppm,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values of the measured values of the ozone in the ultraviolet region and the visible region were about 7.04 ppm, and about 3.04 ppm.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에 조사하는 광의 파장을 자외 영역으로부터 가시 영역에 걸쳐 이동시켜 가면, 에어 중의 오존 농도는 자외 영역에서 극대가 되어, 자외 영역에서부터 가시 영역에 걸쳐 감소되어 가는 것이 나타났다. 한편, 놀랍게도, 에어 중의 이산화염소 농도는, 자외 영역에서부터 가시 영역에 걸쳐 상승되어 가는 것이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파장의 범위는, 본 실시예의 측정 범위의 상한인 430㎚을 초과하여, 예를 들면, 적어도 450㎚ 정도의 파장에 있어서도 문제없이 사용 가능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wavelength of the light irradiated to the medicine is moved from the ultraviolet region to the visible region, the concentration of ozone in the air becomes maximum in the ultraviolet region and decreases from the ultraviolet region to the visible region . On the other hand, surprisingly, the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ir has risen from the ultraviolet region to the visible region. From these resul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range of the wavelengths suitab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than 430 nm, which is the upper limit of the measurement range of this embodiment, and can be used without any problem even at a wavelength of at least about 450 nm I can understand that.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외 영역과 가시 영역에 있어서의, 에어 중의 오존 농도 및 이산화염소 농도의 각각의 평균값을 비교하면, 오존 농도는 자외 영역에서부터 가시 영역에 걸쳐 약 43%까지 감소된데 대해, 이산화염소 농도는 자외 영역에서부터 가시 영역에 걸쳐 약 213%까지 상승하였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average values of the ozone concentration and the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ir in the ultraviolet region and the visible region are compared, the ozone concentration is reduced to about 43% from the ultraviolet region to the visible region , The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 rose from the ultraviolet region to the visible region by about 213%.

즉, 고형의 아염소산염, 및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의 혼합물에 대해 가시 영역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자외 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것 보다도 매우 효율적으로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at is, it has been found that chlorine dioxide can be generated more efficiently than when irradiating light in the visible region to a mixture of solid chlorite and a metal catalyst or a metal oxide catalyst, as compared with irradiating light in the ultraviolet region.

실시예 2: 촉매의 형상에 의한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변화Example 2: Change in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by the shape of the catalys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하는 샘플 1에서는, 입자상의 이산화티탄(티탄을 소성 처리하여 조제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약제를 조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샘플 2 및 샘플 3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약제를 조제하였다. In Sample 1 used in this example, a pharmaceutical agen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articulate titanium dioxide (prepared by calcining titanium) was used. In Sample 2 and Sample 3 used in this Example, a drug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상기의 방법에 의해 조정한 약제(샘플 1 내지 3)를 각각 실시예 1에 기재된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의 약제 수납부에 저장하였다. 샘플 1 및 샘플 2에 관해서는, 약제 수납부의 개구부로부터 1L/min으로 장치 내에 에어를 도입하고, 광원부의 LED 칩으로부터 405㎚의 광을 조사하였다. 샘플 3에 관해서는, 약제 수납부의 개구부로부터 1L/min으로 장치 내에 에어를 도입하기만 하고, 광은 조사하지 않았다. 조사 개시로부터 11시간 후까지의, 장치로부터 배출된 에어에 포함되는 이산화염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샘플 1 내지 3 각각에 관한 측정 결과를 도 5에 도시한다. The medicines (Samples 1 to 3) adjusted by the above method were respectively stored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of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described in Example 1. With respect to Sample 1 and Sample 2, air was introduced into the device from the opening of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at 1 L / min, and light of 405 nm was irradiated from the LED chip of the light source portion. With respect to Sample 3, air was introduced into the apparatus from the opening of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at 1 L / min, and no light was irradiated.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pparatus from 11 hours after the start of the irradiation was measured. Fig. 5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samples 1 to 3, respectively.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중에 입자상의 이산화티탄을 혼합한 경우(샘플 1)는, 약제 중에 입자상의 이산화티탄을 혼합한 경우(샘플 2)와 비교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 5, in the case of mixing particulate titanium dioxide in the medicine (Sample 1), it is possible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more efficiently than in the case of mixing particulate titanium dioxide in the medicine (Sample 2) I could see that I could.

실시예 3: 약제 중의 아염소산염과 이산화티탄의 함유 비율에 관한 검토Example 3: Examination of the content ratio of chlorite and titanium dioxide in a pharmaceutical

10wt% 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70g을 100g의 세피오라이트에 분무 흡착시켜 건조시킨 후, 다시 10wt%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g을 분무 흡착시켜 건조시켰다. 여기에, 분말상의 이산화티탄을, 양을 변화시켜 혼합하고,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시험용 약제로 하였다. 시험용 약제로의 가시광의 조사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및 조사 방법으로 행하고, 이산화염소 농도의 측정도,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였다. 70 g of a 10 wt% sodium chlorite aqueous solution was sprayed and adsorbed on 100 g of sepiolite, and then 20 g of a 10 wt%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was sprayed on and dried. Here, the powdery titanium dioxide was mixed with varying amounts and used as a test drug used in this Example. The irradiation with visible light to the test drug was performed by the sam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and irradiation method as in Example 1, and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was also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도 6은,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아염소산염과 이산화티탄의 비율을 변화시킨 경우의,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중에 있어서 도시되는, 약제 중의 이산화티탄의 함유량(wt%)과, 약제 중의 아염소산염과 이산화티탄의 질량비와, 가시광 조사 개시 1시간 후의 에어에 포함되는 이산화염소 농도(ppm)의 관계를 표 1에 기재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약제 중의 이산화티탄의 함유량과, 가시광 조사에 의해 발생한 이산화염소 농도의 최대값의 관계를 도시한다.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chlorine dioxide emission amount when the ratio of chlorate and titanium dioxide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Fi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wt%) of titanium dioxide in the medicament, the mass ratio of chlorate and titanium dioxide in the medicament, and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ppm) contained in air after 1 hour from the start of visible light irradiation, 1. 7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titanium dioxide in the medic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by visible light irradiation.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도 6, 도 7,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용 약제에 가시광을 조사한 경우에 발생하는 이산화염소의 양은, 약제 중의 아염소산염에 대한 이산화티탄의 질량 비율이 0 내지 약 0.3으로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고, 아염소산염에 대한 이산화티탄의 질량 비율이 약 0.3을 초과하면 서서히 저하되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조성물 중의 아염소산염에 대한 이산화티탄의 질량 비율이 약 1.0을 초과하면, 이산화티탄을 혼합하지 않은 경우보다도 이산화염소의 발생량이 저하되는 것이 나타났다. As shown in Figs. 6, 7 and Table 1,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when visible light is irradiated to the test agent rises as the mass ratio of titanium dioxide to chlorate in the medicine increases from 0 to about 0.3 , And when the mass ratio of titanium dioxide to chlorite exceeds about 0.3, it is gradually lowered. Further, when the mass ratio of titanium dioxide to chlorate in the composition exceeds about 1.0, the amount of generated chlorine dioxide is lower than that in the case where titanium dioxide is not mixed.

도 8은, 본 실시예의 시험용 약제에 장시간 가시광을 계속 조사한 경우의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시간에 걸쳐 관찰한 경우라도, 도 6이나 도 7에 도시하는 결과와 같이, 시험용 약제에 있어서의 아염소산염과 이산화티탄의 혼합 비율(질량비)은, 1:0.04 내지 0.8(바람직하게는 1:0.07 내지 0.6,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7 내지 0.5)로 한 경우, 혼합 비율을 그 이외의 범위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고농도의 이산화염소를 안정적으로 계속 방출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when a test ag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tinuously irradiated with visible light for a long time. As shown in Fig. 6 and Fig. 7, the mixing ratio (mass ratio) of chlorite and titanium dioxide in the test drug is 1: 0.04 to 1: 1, even when observ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Preferably 1: 0.07 to 0.6, more preferably 1: 0.07 to 0.5), it is possible to stably continue to release chlorine dioxide at a high concentration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mixing ratio is set to other ranges .

실시예 4: 광원부의 샌드위치 구조에 관한 검토Example 4: Examination on the sandwich structure of the light source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원부의 샌드위치 구조의 유효성에 관한 시험을 행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9에 기재된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및 도 10에 기재된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Tests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andwich structure of the light source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ere conducted. In this embodiment,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shown in Fig. 9 and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shown in Fi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3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30)은, 약제 수납부(32) 및 가시 영역의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전자 기판(33) 및 LED 칩(34))를 구비한다. 약제 수납부(32)는, 내부에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를 포함한다. 약제 수납부(32)는, 내부와 외부를 에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스 발생구(31), 에어 도입구(36))를 구비한다. Fig. 9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3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emical storage section 32 and a light source section (electronic substrate 33 and LED chip 34) for generating light in the visible region Respectively. The medicament accommodating portion 32 includes a medicament containing solid chlorate in its interior. The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32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 gas generating port 31 and an air inlet 36) so that air can move inside and outside.

에어 도입부(36)로부터 도입된 에어는, 약제 수납부(32)의 내부에 공급된다. 공급된 에어 중에 포함되는 수증기는, 약제 수납부(32)에 수납되어 있는 시험용 약제에 흡수된다. 광원부로부터 발생한 가시 영역의 광은, 약제 수납부(32)의 외장부(35)를 투과하여, 약제 수납부(32)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약제에 조사된다. 수증기를 포함한 시험용 약제는, 조사된 광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킨다. 발생한 이산화염소는, 가스 발생구(31)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troducing portion 36 is supplied into the medicine containing portion 32. The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supplied air is absorbed by the test drug stored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32. The light in the visible region originating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external portion 35 of the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32 and irradiated to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32. The test drug containing water vapor reacts with the irradiated light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The generated chlorine dioxide is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s generating port (31).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4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LED 칩 장착 기판(41), 및 약제 수납부(42))을 내부에 구비한다.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는, 내부에 송풍 팬(44)을 추가로 구비하고, 송풍 팬(44)의 구동에 의해,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내부로 에어를 공급한다. 송풍 팬(44)의 구동을 조절함으로써,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중의 약제 수납부 내의 상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40,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the LED chip mounting substrate 41 and the medicine containing section 42),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blowing fan 44 in the inside thereof, and supplies air into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by driving the blowing fan 44.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blowing fan 44,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chemical storage portion of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can be adjusted.

송풍 팬(44)의 구동에 의해,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의 에어 도입구로부터 약제 수납부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된다. 공급된 에어 중에 포함되는 수증기는, 약제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시험용 약제에 흡수된다. 광원부로부터 발생한 가시 영역의 광은, 약제 수납부의 외장부를 투과하여, 약제 수납부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약제에 조사된다. 수증기를 포함한 시험용 약제는, 조사된 광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킨다. 발생한 이산화염소는, 가스 발생구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Air is supplied from the air inlet of the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to the inside of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by driving the blowing fan 44. [ The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supplied air is absorbed by the test drug stored in the drug storage portion. The light in the visible region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external portion of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and irradiated to the medicine stored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The test drug containing water vapor reacts with the irradiated light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The generated chlorine dioxide is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s generator.

10wt% 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70g을 100g의 세피오라이트에 분무 흡착시켜 건조시킨 후, 다시 10wt%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g을 분무 흡착시켜 건조시켰다. 여기에, 분말상의 이산화티탄 약 1.8g을 혼합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하는 시험용 약제로 하였다. 조제한 시험용 약제를, 도 9에 기재된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의 약제 수납부에 수납하고, 2면의 광원부(각각 100㎟)로부터 가시광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은 1㎥의 챔버 내에서 행하고, 챔버 내의 온도는 약 26℃, 상대 습도는 약 40%이었다. 비교예에 있어서는, 1면(편면)의 광원부를 가시광의 조사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와 같이 시험을 행하였다. 70 g of a 10 wt% sodium chlorite aqueous solution was sprayed and adsorbed on 100 g of sepiolite, and then 20 g of a 10 wt%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was sprayed on and dried. About 1.8 g of powdery titanium dioxide was mixed with the mixture to prepare a test drug for use in this example. The prepared test drug was contained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of the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shown in Fig. 9, and visible light was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s (100 mm2 each) of the two surfaces. This test was performed in a chamber of 1 m < 3 >, and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was about 26 DEG C and the relative humidity was about 40%. In the comparative example, tests were conduc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xamples except that the light source part on one side (one side) was used for the irradiation of visible light.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챔버 내의 이산화염소 농도의 계시적인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또한, 조사 개시로부터의 각각의 시간에 있어서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있어서의 챔버 내의 이산화염소 농도의 비를 도 12에 도시하였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2개의 광원부(양면)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에는, 1개의 광원부(편면)로부터만 광을 조사한 경우와 비교하여, 이산화염소의 발생량이 2배 이상이 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비를 취하기 위한, 편면 조사의 경우의 이산화염소 발생량은, 2배값을 사용하고 있다.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change in the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chamber are shown in Fig. The ratio of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in the chamber in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at each time from the start of irradiation is shown in Fig. 12, in the case of irradiating light from two light source portions (both surfaces), in order to indicate that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ion is twice or m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light is irradiated only from one light source portion (one surface) , And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in the case of single-side irradiation for taking the ratio of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ion is double the value.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시광을 2개의 광원부(양면)로부터 조사한 경우에는, 놀랍게도, 가시광을 1개의 광원(편면)으로부터만 조사한 경우와 비교하여, 이산화염소의 발생량이 2배 이상이 되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 있어서의 이산화염소 발생량에 대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비의 값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더욱 상승하는 것도 나타났다. As shown in Figs. 11 and 12, when visible light is irradiated from two light source portions (both surfaces), it is surprisingly found that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is twice or m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visible light is irradiated only from one light source . As shown in Fig. 12, the value of the ratio of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in the examples to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in the comparative example also increased with the lapse of time.

상기의 결과는, 도 13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즉, 광 강도는, 광이 매질 중을 통과할 때에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편면으로부터만 조사하면, 약제의 내부나 안쪽까지는 광이 도달하기 어려워, 약제 전체에 효율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나, 약제에 대해 2방향(또는, 2 이상의 방향)에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약제의 내부까지, 반응에 필요한 양의 광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산화염소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The above result can be explained by Fig. That is, since the light intensity exponentially decreases when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medium, it is difficult for the light to reach the inside or the inside of the medicament when irradiated only from one side, It is difficult. However, by irradiating light to the medicine in two directions (or two or more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amount of light necessary for the reaction to the inside of the medicine, and it becomes possible to efficiently generate chlorine dioxide.

실시예 5: 약제 수납부의 상대 습도에 관한 검토Example 5: Study on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medicine compartment

도 9에 기재된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및 도 10에 기재된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약제 수납부 내의 상대 습도에 의한, 이산화염소 발생량의 변화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Using the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shown in Fig. 9 and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0, the change in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due to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medicine storage unit was examined.

약제 수납부에 수납하는 약제, 가시광의 조사 방법, 및 이산화염소 농도의 측정에 관해서는, 실시예 4와 같은 조건을 사용하였다. 약제 수납부 내의 상대 습도는, 송풍 팬의 구동에 의해, 약제 수납부로 공급되는 에어의 양(즉, 약제로 공급되는 수증기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조절하였다. 약제 수납부 내의 상대 습도와, 챔버 내의 이산화염소 농도의 관계를,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였다. 도 14는, 0.5시간에서 2시간의 광 조사 중에 복수회 측정한 이산화염소 농도를 평균한 값 및 그 표준 편차를 도시하고, 도 15는 챔버 내의 이산화염소 농도의 계시적 변화를 도시한다.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4 were used for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the irradiation method of visible light, and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wa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that is, the amount of steam supplied to the medicine) by driving the blowing fa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in the chamber is shown in Figs. 14 and 15. Fig. Fig. 14 shows values obtained by averaging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s measured a plurality of times during light irradiation for 0.5 hour to 2 hours and their standard deviations, and Fig. 15 shows an evolution of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chamber.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수납부 내의 상대 습도를 30 내지 80%RH(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RH,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RH)로 조절함으로써, 이산화염소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약제 수납부 내의 상대 습도가 30% 미만이 되면, 아염소산염으로부터 이산화염소가 발생하는 반응에 필요한 수분이 부족하고, 상대 습도가 80%보다도 높아지면, 결로된 물에 발생한 이산화염소가 용해되기 때문에, 가스로서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양이 감소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As shown in FIG. 14,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is increased by adjusting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to 30 to 80% RH (preferably 50 to 70% RH, more preferably 40 to 60% RH) I can do it. In addition, when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is less than 30%, if the moisture required for the reaction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from chlorite is insufficient and the relative humidity is higher than 80%, chlorine dioxide generated in the condensed water dissolv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released as a gas is reduced.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수납부 내의 상대 습도를 30 내지 80%RH(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RH,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RH)로 조절함으로써, 상대 습도가 30% 미만인 경우와 비교하여, 조사 개시로부터 시간이 경과해도, 방출되는 이산화염소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대 습도를 20%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조사 개시 초기의 이산화염소 농도가 높아지는 것은, 조사 개시전의 약제 자체에 어느 정도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15, by adjusting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to 30 to 80% RH (preferably 40 to 70% RH, more preferably 40 to 60% RH), the relative humidity is 30 %,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released can be kept high even after a lapse of time from the start of irradiation. In addition, even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set to 20%,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in the initial stage of irradiation is high because the chemical itself before the irradiation starts contains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실시예 6: 간헐 조사의 유용성에 관한 검토Example 6: Examination on usability of intermittent investigation

도 9에 기재된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시광의 간헐 조사의 유용성에 관해서 검토를 행하였다. Using the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described in Fig. 9, the usability of the intermittent irradiation of visible light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examined.

약제 수납부에 수납하는 약제, 및 이산화염소 농도의 측정에 관해서는, 실시예 4와 같은 조건을 사용하였다. 광원부로부터의 가시광의 간헐 조사는, LED의 ON/OFF의 전환에 의해, 가시광의 조사와 정지를 교대로 행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1) 내지 (3)의 조건으로, 간헐 조사를 행하였다.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4 were us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agent and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contained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The intermittent irradiation of the visibl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was performed by alternately irradiating and stopping the visible light by switching ON / OFF of the LED. Concretely, intermittent irradiation was per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1) to (3).

(1) 조사 개시 2분간은 광을 계속 조사하고, 조사 개시 2분 이후에는, 10초 광을 조사(LED를 ON)하고, 80초 광의 조사를 정지(LED를 OFF)하는 사이클을 반복하였다. (1) Light irradiation was continued for 2 minutes from the start of irradiation, and after 2 minutes from the start of irradiation, 10 seconds light (LED ON) and 80 seconds light irradiation (LED OFF) were repeated.

(2) 조사 개시 2분간은 광을 계속 조사하고, 조사 개시 2분 이후에는, 20초 광을 조사(LED를 ON)하고, 80초 광의 조사를 정지(LED를 OFF)하는 사이클을 반복하였다. (2) Light was continuously irradiated for 2 minutes from the start of irradiation, and after 2 minutes from the start of irradiation, 20 seconds light (LED ON) and 80 seconds light irradiation (LED OFF) were repeated.

(3) 조사 개시 2분간은 광을 계속 조사하고, 조사 개시 2분 이후에는, 30초 광을 조사(LED를 ON)하고, 80초 광의 조사를 정지(LED를 OFF)하는 사이클을 반복하였다. (3) The light was continuously irradiated for 2 minutes from the beginning of the irradiation, and after 2 minutes from the start of the irradiation, the irradiation was repeated for 30 seconds (LED turned on) and 80 seconds light stopped (LED turned off).

본 시험의 결과를 도 16에 도시한다. 또한, 도 16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상대 ClO2 가스 농도」는, 조사 개시 2분후의 이산화염소 농도를 1로 한 경우의, 각각의 시간에 있어서의 이산화염소 농도의 상대값을 나타낸다. The results of this test are shown in Fig. The "relative ClO 2 gas concentration" in the graph of FIG. 16 represents the relative value of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 at each time when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after two minutes from the start of irradiation is set to "1".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광원부로부터 가시광을 간헐 조사하고, 당해 간헐 조사에 있어서의 조사 시간과 정지 시간의 밸런스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농도의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킬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 16, in the present invention, chlorine dioxide having a desired concentration can be generated by intermittently irradiating visibl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and adjusting the balance between the irradiation time and the stopping time in the intermittent irradiation.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광원부로부터 가시광을 간헐 조사함으로써, 조사 개시 초기에 비교적 고농도의 이산화염소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광원부로부터 가시광을 계속 조사하는 경우(즉, 간헐 조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6의 그래프와 같이, 조사 개시 초기에 이산화염소 발생 농도가 극대가 되고, 그 후 서서히 감쇠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광원부로부터 가시광을 간헐 조사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이산화염소를 방출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rmittently irradiating visibl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it was possible to prevent the release of chlorine dioxide at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at the beginning of irradiation. When the visible light is continuously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that is, when intermittent irradiation is not performed), for example,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6,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is maximized at the initial stage of irradiation and then gradually attenuat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chlorine dioxide can be released more stably by intermittently irradiating visibl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또한, 당연한 일이지만, 광원부로부터 가시광을 간헐 조사하는 경우에는, 광원부로부터 가시광을 계속 조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산화염소의 공급원인,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의 소비량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가시광을 간헐 조사할 수 있는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의 사용 가능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Also, naturally, when the visible light is intermittently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upply amount of the chlorine dioxide and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medicament containing the solid chlorate salt,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visible light is continuously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ble period of the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can be extended by using a light source capable of intermittently irradiating visible light.

실시예 7: 약제 수납부에 있어서의 통기성 시트의 사용의 검토 1Example 7: Examination of use of breathable sheet in drug compartment 1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0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약제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고형의 약제로 수분(수증기)을 공급하기 위해, 및/또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보다 광범위하게 확산시키기 위해, 송풍 팬에 의해, 약제 수납부로 능동적으로 공기를 보내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약제 수납부로 보내는 바람의 양이나 공기의 습도 등에 따라서는, 약제가 과도하게 건조되어, 이산화염소의 발생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나, 약제가 과도하게 습윤해지는 경우가 있다.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in order to supply water (water vapor) with a solid medicine contained in the medicine storage section and / There is a case where air is actively sent to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by the blowing fan in order to spread it widely. However, depending on the amount of wind to be sent to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the humidity of the air, etc., the medicine may be excessively dried, the efficiency of generating chlorine dioxide may be lowered, or the medicine may be excessively wetted.

그래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수납부의 개구부를 통기성 시트(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엑세폴(등록상표)(미쯔비시쥬시사 제조)을 사용)로 덮는 구조로 하고,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를 구동하는 실험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장치 중으로 보낸 공기의 대부분이 약제 수납부의 표면을 본뜨듯이 흐르고, 일부의 공기만이 약제 수납부의 내외를 오고 감으로써, 약제 수납부로 보내는 바람의 양이나 공기의 습도의 변화에 상관없이, 고형 약제의 상태를 안정화할 수 있었다. 즉, 통기성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의 이산화염소 확산 능력을 유지한 채로, 이산화염소의 발생 효율을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도 18). 또한, 약제 수납부의 개구부를 통기성 시트로 덮음으로써, 보내는 공기의 기세를 높여도, 약제가 약제 수납부의 밖으로 흘러 넘치는 일이 없어져, 장치의 실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었다. Thus, as shown in Fig. 17, the opening of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is covered with a breathable sheet (in this embodiment, Exepol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Mitsubishi Jusi Co., Ltd.) is used) An attempt was made to drive a chlorine generator. As a result, most of the air sent to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s through the surface of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and only a part of the air flows in and out of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The state of the solid medicament could be stabilized regardless of the change in humidity. That is, by using the breathable sheet, the generation efficiency of chlorine dioxide can be stabilized while maintaining the chlorine dioxide diffusion ability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Further, by covering the opening portion of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with the breathable sheet, the medicine does not flow over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even if the force of the air to be sent is increased, and the practicality of the device can be further improved.

실시예 8: 약제 수납부에 있어서의 통기성 시트의 사용의 검토 2Example 8: Examination of the use of the breathable sheet in the medicine compartment 2

상기의 실시예 7에 있어서, 통기성 시트로서 부직포(엘베스(등록상표, 유니티카사 제조))를 사용하여, 같은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장치 중으로 보낸 공기의 대부분이 약제 수납부의 표면을 본뜨듯이 흐르고, 일부의 공기만이 약제 수납부의 내외를 오고 감으로써, 약제 수납부로 보내는 바람의 양이나 공기의 습도의 변화에 상관없이, 고형 약제의 상태를 안정화할 수 있었다. 즉,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의 이산화염소 확산 능력을 유지한 채, 이산화염소의 발생 효율을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도 18). 또한, 약제 수납부의 개구부를 부직포로 덮음으로써, 보내는 공기의 기세를 높여도, 약제가 약제 수납부 밖으로 흘러 넘치는 일이 없어져, 장치의 실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었다. In Example 7, the sam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a nonwoven fabric (ELVES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UniCasa)) as a breathable sheet. As a result, most of the air sent to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s through the surface of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and only a part of the air flows in and out of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The state of the solid medicament could be stabilized regardless of the change in humidity. That is, by using the nonwoven fabric, the generation efficiency of chlorine dioxide can be stabilized while maintaining the chlorine dioxide diffusion ability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Further, by covering the opening portion of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with the nonwoven fabric, even if the force of the air to be sent is increased, the medicine does not flow over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and practicality of the device can be further improved.

10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11 약제 수납부
12 LED 칩
13 조작 기반
14 약제
15 튜브
16 개구부
20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21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22 장치 본체
23 에어 공급구
24 팬
25 에어 배출구
30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21 가스 발생구
32 약제 수납부
33 전자 기판
34 LED 칩
35 외장부
36 에어 도입구
40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41 LED 칩 장착 기판
42 약제 수납부
43 하우징부
44 송풍 팬
51 투명 수지판
52 약제 수납부
53 통기성 시트
54 LED 칩 장착 기판
55 약제 수납부
56 송풍 팬
10 Unit for the production of chlorine dioxide
11 Drug holder
12 LED chips
13 Operational base
14 Pharmaceuticals
15 tubes
16 opening
20 Chlorine Dioxide Generator
21 Unit for the production of chlorine dioxide
22 Device body
23 Air supply port
24 fans
25 Air outlet
30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21 gas generator
32 Drug collection part
33 Electronic substrate
34 LED chips
35 Exterior
36 air inlet
40 Chlorine Dioxide Generator
41 LED chip mounting board
42 Drug holder
43 housing part
44 blowing fan
51 transparent resin plate
52 Drug collection
53 breathable sheet
54 LED chip mounting board
55 Drug collection
56 blowing fan

Claims (20)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으로서
상기 유닛은 약제 수납부, 및 적어도 2개의 광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부는 실질적으로 가시 영역의 파장으로 이루어지는 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약제 수납부에는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가 수납되어 있고,
상기 약제 수납부에는 상기 약제 수납부의 내부와 외부를 에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약제 수납부의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는 통기성 시트로 덮여 있고,
여기서, 상기 약제 수납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약제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에 의해 조사됨으로써, 이산화염소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As a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Wherein the unit comprises a medicine storage portion and at least two light source portions,
The light source unit is for generating light having a wavelength substantially in the visible region,
Wherein the medicament containing solid hypochlorite is contained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Wherein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openings for allowing air to move inside and outside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Wherein one or a plurality of openings of the medicine accommodating portion are covered with a breathable sheet,
Wherein the chemical contained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is irradiated with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portion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gas.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납부와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원부가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원부는, 상기 약제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약제에 대해 적어도 2방향에서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edicine accommodating section and the at least two light source sections are integrally arranged and the at least two light source sections irradiate light in at least two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medicine containing section,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하는 광의 파장이 360 내지 4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wavelength of the light to be irradiated is 360 to 450 nm.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가 램프, 또는 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source portion comprises a lamp or a chip.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칩이 LED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Characterized in that the chip is an LED chip.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광을 간헐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light source unit is a light source unit capable of intermittently irradiating light.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의 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약제는, (A) 아염소산염을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 및 (B)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를 함유하는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id chlorosalt-containing medicament is a medicament containing (A) a porous material carrying a chlorite and (B) a medicament containing a metal catalyst or a metal oxide catalyst.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염을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이, 아염소산염 수용액을 다공질 물질에 함침시키고, 추가로 건조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8. The method of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us material carrying the chlorite is obtained by impregnating a porous material with an aqueous solution of chlorite and further drying the porous material.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가 팔라듐, 루비듐, 니켈, 티탄, 및 이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said metal catalyst or metal oxide catalys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lladium, rubidium, nickel, titanium, and titanium dioxide.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물질이 세피오라이트(sepiolite), 팔리고스카이트(palygorskite),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실리카겔, 규조토, 제올라이트, 및 펄라이트(pearlite)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아염소산염이 아염소산나트륨, 아염소산칼륨, 아염소산리튬, 아염소산칼슘, 및 아염소산바륨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porous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piolite, palygorskite, montmorillonite, silica gel, diatomaceous earth, zeolite, and pearlit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lorite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chlorite, potassium chlorite, lithium chlorite, calcium chlorite, and barium chlorite.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납부 중의 약제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염과 상기 금속 촉매 또는 금속 산화물 촉매의 질량비가 1:0.04 내지 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mass ratio of the chlorite to the metal catalyst or the metal oxide catalyst is 1: 0.04 to 0.8,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물질이 추가로 알칼리제를 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1,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us material further carries an alkali agent.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제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및 탄산리튬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alkaline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lithium hydroxide, sodium carbonate, potassium carbonate, and lithium carbonate.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염과 상기 알칼리제의 몰비가 1:0.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Wherein the molar ratio of the chlorite to the alkali agent is 1: 0.1 to 2.0.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염 및 알칼리제를 담지시킨 다공질 물질이 아염소산염 및 알칼리제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다공질 물질에 함침시켜 건조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4,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us material carrying the chlorite and the alkali agent is obtained by impregnating a porous material with a chlorite and an alkali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followed by drying.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을 구비하는,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16.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용 유닛 중의, 상기 약제 수납부에 수납된 약제에 에어를 보내기 위한, 송풍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blowing unit for blowing air to the chemical contained in the chemical storage unit in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Chlorine dioxide generator.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가,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에어를 끌어들이기 위한 팬, 또는, 상기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에어를 방출하기 위한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blowing unit is a fan for drawing air from the outside of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to the inside or a fan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inside of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to the outside.
Chlorine dioxide generator.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납부의 개구부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약제 수납부의 측면에 존재하고,
상기 송풍부로부터 보내진 에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약제 수납부의 측면에 존재하는 개구부를 통하여 약제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or 18,
At least one of the openings of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is present on the side surface of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sent from the air supply portion is at least partly sent to the medicament through an opening in the side surface of the medicament receiving portion.
Chlorine dioxide generator.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납부 중의 상대 습도는, 상기 송풍부로부터 보내지는 에어에 의해 30 내지 80% RH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2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19,
Wherein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medicine storage portion is maintained at 30 to 80% RH by the air sent from the air supply portion.
Chlorine dioxide generator.
KR1020177033259A 2015-06-03 2016-05-31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and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KR10258436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13005 2015-06-03
JPJP-P-2015-113005 2015-06-03
PCT/JP2016/065948 WO2016194883A1 (en) 2015-06-03 2016-05-31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and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886A true KR20180013886A (en) 2018-02-07
KR102584364B1 KR102584364B1 (en) 2023-10-04

Family

ID=5744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259A KR102584364B1 (en) 2015-06-03 2016-05-31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and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84786B2 (en)
KR (1) KR102584364B1 (en)
CN (2) CN106241741B (en)
TW (1) TWI687370B (en)
WO (1) WO2016194883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958A (en) * 2020-04-13 2021-10-21 이명오 Portable space sterilizer using chlorine dioxide gas
KR20210127287A (en) * 2020-04-13 2021-10-22 이명오 Autonomous driving space sterilization robot for indoor space preven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7370B (en) * 2015-06-03 2020-03-11 日商大幸藥品股份有限公司 Chlorine dioxide producing unit and chlorine dioxide producing apparatus
CN206846979U (en) * 2017-01-15 2018-01-05 佛山市顺德区德尔玛电器有限公司 A kind of humidifier with purifier
JP7045036B2 (en) * 2018-04-03 2022-03-31 株式会社アントレックス Gas generator
CN108782552A (en) * 2018-08-09 2018-11-13 中昊(大连)化工研究设计院有限公司 The new process for producing of chlorine dioxide slow-release piece
JPWO2021066081A1 (en) * 2019-10-01 2021-04-08
CN111345315B (en) * 2020-03-06 2021-12-14 天津清科环保科技有限公司 Electrostatic self-assembly slow-release chlorine dioxide air purification gel,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WO2023136192A1 (en) * 2022-01-13 2023-07-20 大幸薬品株式会社 Chlorine dioxide generator
CN114992977B (en) * 2022-07-14 2023-04-18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Refrigerator fresh-keep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3977A (en) * 1999-05-18 2002-12-24 サウスウエスト・リサーチ・インスティチュート Energy activated compositions for controlled gas sustained release
JP2005224386A (en) 2004-02-12 2005-08-25 Daiichi Seidenki Kk Apparatus for chlorine dioxide gas sterilization
WO2011118447A1 (en) 2010-03-26 2011-09-29 大幸薬品株式会社 Device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JP2012011028A (en) * 2010-07-01 2012-01-19 Yoshinori Matsuyama Slowly releasing implement for chlorine dioxide gas
JP2012036072A (en) * 2010-08-09 2012-02-23 Cleancare Inc Product shape and component composition of chlorine dioxide generator at using time
JP2012111673A (en) * 2010-11-25 2012-06-14 Cleancare Inc Composition of visible light responsive chlorine dioxide generator and chlorine dioxide releasing product based on the composition
KR20140035345A (en) * 2011-03-23 2014-03-21 다이꼬 야꾸힝 가부시끼가이샤 Chlorine dioxide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95477A (en) * 1999-05-18 2008-06-11 西南研究院 Energy-activated compositions for controlled sustained release of a gas
TWI687370B (en) * 2015-06-03 2020-03-11 日商大幸藥品股份有限公司 Chlorine dioxide producing unit and chlorine dioxide produc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3977A (en) * 1999-05-18 2002-12-24 サウスウエスト・リサーチ・インスティチュート Energy activated compositions for controlled gas sustained release
JP2005224386A (en) 2004-02-12 2005-08-25 Daiichi Seidenki Kk Apparatus for chlorine dioxide gas sterilization
WO2011118447A1 (en) 2010-03-26 2011-09-29 大幸薬品株式会社 Device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KR20130018756A (en) * 2010-03-26 2013-02-25 다이꼬 야꾸힝 가부시끼가이샤 Device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JP2012011028A (en) * 2010-07-01 2012-01-19 Yoshinori Matsuyama Slowly releasing implement for chlorine dioxide gas
JP2012036072A (en) * 2010-08-09 2012-02-23 Cleancare Inc Product shape and component composition of chlorine dioxide generator at using time
JP2012111673A (en) * 2010-11-25 2012-06-14 Cleancare Inc Composition of visible light responsive chlorine dioxide generator and chlorine dioxide releasing product based on the composition
KR20140035345A (en) * 2011-03-23 2014-03-21 다이꼬 야꾸힝 가부시끼가이샤 Chlorine dioxide gener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958A (en) * 2020-04-13 2021-10-21 이명오 Portable space sterilizer using chlorine dioxide gas
KR20210127287A (en) * 2020-04-13 2021-10-22 이명오 Autonomous driving space sterilization robot for indoor space pre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41741A (en) 2016-12-21
WO2016194883A1 (en) 2016-12-08
TWI687370B (en) 2020-03-11
KR102584364B1 (en) 2023-10-04
CN205773321U (en) 2016-12-07
CN106241741B (en) 2020-10-02
JPWO2016194883A1 (en) 2018-04-19
TW201700398A (en) 2017-01-01
JP6684786B2 (en)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3886A (en)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and chlorine dioxide generating unit
JP6537452B2 (en) Unit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and chlorine dioxide generator
JP5688407B2 (en) Chlorine dioxide generator
KR102275014B1 (en) Chlorine dioxide generation device and unit for chlorine dioxide generation
JP6224007B2 (en) Gas generating apparatus and gas generating method
JP6725153B2 (en) How to inactivate suspended microorganisms in space
JP2011104515A (en) Photocatalytic reac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