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430A -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430A
KR20180013430A KR1020160097159A KR20160097159A KR20180013430A KR 20180013430 A KR20180013430 A KR 20180013430A KR 1020160097159 A KR1020160097159 A KR 1020160097159A KR 20160097159 A KR20160097159 A KR 20160097159A KR 20180013430 A KR20180013430 A KR 20180013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mensional
led light
afterimage
light 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룡
Original Assignee
나무애그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무애그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무애그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3430A/ko
Publication of KR2018001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H05B37/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부(30)가 저장부(31)로 입력된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독출(reading)하는 제 1 단계; 제어부(30)가 제 1 내지 제 n(n은 2 이상의 자연수) 지지대(22)에 각기 부착된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을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의 형상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 회전을 통한 VR(Virtual reality) 잔상 이미지를 구성하는 제 2 단계; 제어부(30)가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VR 잔상 이미지 생성완료 뒤, 단계(S11)에서 독출된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와 VR 잔상 이미지가 매칭되거나, 3차원 후광 연출 영상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VR 잔상 이미지가 매칭되는지 분석하는 제 3 단계; 및 제어부(30)가 분석 결과 매칭되는 경우,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에 대한 회전 제어 정보 및 부착된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색상 구현 제어 정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불상 등과 같은 조형물에 심미적 기능을 정밀한 제어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Method for 3-Dimensional back light image direc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불상 등과 같은 조형물에 심미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형물은 단순한 모형으로 제공됨으로써, 어떠한 환경 그리고 상태에서의 조형물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배경 지식을 갖춰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다른 문화환경이나 유아 등과 같은 어린이에게는 설명을 해야하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0-0090955호 "조형물의 후광 연출장치(Back light device for sculptur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불상 등과 같은 조형물에 심미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후광 연출 방법은, 제어부(30)가 저장부(31)로 입력된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독출(reading)하는 제 1 단계; 제어부(30)가 제 1 내지 제 n(n은 2 이상의 자연수) 지지대(22)에 각기 부착된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을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의 형상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 회전을 통한 VR(Virtual reality) 잔상 이미지를 구성하는 제 2 단계; 제어부(30)가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VR 잔상 이미지 생성완료 뒤, 단계(S11)에서 독출된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와 VR 잔상 이미지가 매칭되거나, 3차원 후광 연출 영상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VR 잔상 이미지가 매칭되는지 분석하는 제 3 단계; 및 제어부(30)가 분석 결과 매칭되는 경우,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에 대한 회전 제어 정보 및 부착된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색상 구현 제어 정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4 단계 이후, 제어부(30)가 회전 제어 정보 및 색상 구현 제어 정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후광 연출 휠(20)로 전송하여 구동되도록 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후광 연출 장치는, 조형물(10); 제어부(30); 저장부(31); 외에 조형물(10) 배면에 형성되어 제 1 내지 제 n(n은 2 이상의 자연수) LED 광원(21), 그리고 각 LED 광원(21)을 지지하여 휠 형상을 만드는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를 구비하는 후광 연출 휠(20); 를 포함하는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저장부(31)로 입력된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독출(reading)한 뒤, 제 1 내지 제 n(n은 2 이상의 자연수) 지지대(22)에 각기 부착된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을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의 형상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 회전을 통한 VR(Virtual reality) 잔상 이미지를 구성하는 잔상 이미지 생성모듈(30a);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VR 잔상 이미지 생성완료 뒤, 독출된 것이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인 경우 독출된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와 VR 잔상 이미지가 매칭되는지를 분석하며, 독출된 것이 3차원 후광 연출 영상인 경우 독출된 3차원 후광 연출 영상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된 VR 잔상 이미지가 매칭되는지 분석하는 잔상 이미지 분석모듈(30b); 및 잔상 이미지 분석모듈(30b)의 분석 결과 매칭되는 경우,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에 대한 회전 제어 정보 및 부착된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색상 구현 제어 정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하는 후광 연출 휠 제어모듈(30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는, 불상 등과 같은 조형물에 심미적 기능을 정밀한 제어에 의해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 중 후광 연출 휠(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 중 제어부(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가 실제로 제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후광 연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 중 후광 연출 휠(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 중 제어부(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가 실제로 제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는 조형물(10), 후광 연출 휠(20), 제어부(30) 및 저장부(31)를 포함한다.
그리고 후광 연출 휠(20)은 제 1 내지 제 n(n은 2 이상의 자연수) LED 광원(21), 그리고 각 LED 광원(21)을 지지하여 휠 형상을 만드는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어부(30)는 잔상 이미지 생성모듈(30a), 잔상 이미지 분석모듈(30b), 그리고 후광 연출 휠 제어모듈(30c)로 구분된다.
잔상 이미지 생성모듈(30a)은 저장부(31)로 입력된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독출(reading)한다.
잔상 이미지 생성모듈(30a)은 제 1 내지 제 n(n은 2 이상의 자연수) 지지대(22)에 각기 부착된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을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의 형상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 회전을 통한 VR(Virtual reality) 잔상 이미지를 구성한다. 여기서 독출된 것이 3차원 후광 연출 영상인 경우 잔상 이미지 생성모듈(30a)에 의해 생성되는 VR 잔상 이미지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다수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상 이미지 분석모듈(30b)은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VR 잔상 이미지 생성완료 뒤, 독출된 것이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인 경우 독출된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와 VR 잔상 이미지가 매칭되는지를 분석한다. 한편, 잔상 이미지 분석모듈(30b)은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VR 잔상 이미지 생성완료 뒤, 독출된 것이 3차원 후광 연출 영상인 경우 독출된 3차원 후광 연출 영상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된 VR 잔상 이미지가 매칭되는지 분석한다.
후광 연출 휠 제어모듈(30c)은 잔상 이미지 분석모듈(30b)의 분석 결과 매칭되는 경우,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에 대한 회전 제어 정보 및 부착된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색상 구현 제어 정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한다.
후광 연출 휠 제어모듈(30c)은 회전 제어 정보 및 색상 구현 제어 정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후광 연출 휠(20)로 전송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후광 연출 휠(20)에 구현되는 실시예는 도 4와 같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후광 연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저장부(31)로 입력된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독출(reading)한다(S11).
단계(S11) 이후, 제어부(30)는 제 1 내지 제 n(n은 2 이상의 자연수) 지지대(22)에 각기 부착된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을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의 형상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 회전을 통한 VR(Virtual reality) 잔상 이미지를 구성한다(S12).
단계(S12) 이후, 제어부(30)는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VR 잔상 이미지 생성완료 뒤, 단계(S11)에서 독출된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와 VR 잔상 이미지가 매칭되거나, 3차원 후광 연출 영상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VR 잔상 이미지가 매칭되는지 분석한다(S13).
단계(S13) 이후, 제어부(30)는 단계(S13)의 분석 결과 매칭되는 경우,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에 대한 회전 제어 정보 및 부착된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색상 구현 제어 정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한다(S14).
단계(S14) 이후, 제어부(30)는 회전 제어 정보 및 색상 구현 제어 정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후광 연출 휠(20)로 전송하여 구동되도록 한다(S15).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3차원 후광 연출 장치
10 : 조형물
20 : 후광 연출 휠
21 : LED 광원
22 : 지지대
30 : 제어부
30a : 잔상 이미지 생성모듈
30b : 잔상 이미지 분석모듈
30c : 후광 연출 휠 제어모듈
31 : 저장부

Claims (3)

  1. 제어부(30)가 저장부(31)로 입력된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독출(reading)하는 제 1 단계;
    제어부(30)가 제 1 내지 제 n(n은 2 이상의 자연수) 지지대(22)에 각기 부착된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을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의 형상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 회전을 통한 VR(Virtual reality) 잔상 이미지를 구성하는 제 2 단계;
    제어부(30)가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VR 잔상 이미지 생성완료 뒤, 단계(S11)에서 독출된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와 VR 잔상 이미지가 매칭되거나, 3차원 후광 연출 영상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VR 잔상 이미지가 매칭되는지 분석하는 제 3 단계; 및
    제어부(30)가 분석 결과 매칭되는 경우,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에 대한 회전 제어 정보 및 부착된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색상 구현 제어 정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이후,
    제어부(30)가 회전 제어 정보 및 색상 구현 제어 정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후광 연출 휠(20)로 전송하여 구동되도록 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3. 조형물(10); 제어부(30); 저장부(31); 외에 조형물(10) 배면에 형성되어 제 1 내지 제 n(n은 2 이상의 자연수) LED 광원(21), 그리고 각 LED 광원(21)을 지지하여 휠 형상을 만드는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를 구비하는 후광 연출 휠(20); 를 포함하는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저장부(31)로 입력된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독출(reading)한 뒤, 제 1 내지 제 n(n은 2 이상의 자연수) 지지대(22)에 각기 부착된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을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의 형상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 회전을 통한 VR(Virtual reality) 잔상 이미지를 구성하는 잔상 이미지 생성모듈(30a);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VR 잔상 이미지 생성완료 뒤, 독출된 것이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인 경우 독출된 3차원 후광 연출 이미지와 VR 잔상 이미지가 매칭되는지를 분석하며, 독출된 것이 3차원 후광 연출 영상인 경우 독출된 3차원 후광 연출 영상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된 VR 잔상 이미지가 매칭되는지 분석하는 잔상 이미지 분석모듈(30b); 및
    잔상 이미지 분석모듈(30b)의 분석 결과 매칭되는 경우, 제 1 내지 제 n 지지대(22)에 대한 회전 제어 정보 및 부착된 제 1 내지 제 n LED 광원(21)에 대한 색상 구현 제어 정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하는 후광 연출 휠 제어모듈(30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후광 연출 장치.
KR1020160097159A 2016-07-29 2016-07-29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 KR20180013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59A KR20180013430A (ko) 2016-07-29 2016-07-29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59A KR20180013430A (ko) 2016-07-29 2016-07-29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430A true KR20180013430A (ko) 2018-02-07

Family

ID=6120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59A KR20180013430A (ko) 2016-07-29 2016-07-29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34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802A1 (en) 2018-02-02 2019-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cessing a speech signal for speaker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implement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802A1 (en) 2018-02-02 2019-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cessing a speech signal for speaker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implement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2081B2 (en) Holographic display device and method involving ionization of air by infrared radiation for rotated 3-D image
CN102449680B (zh) 信息呈现装置
US20160261856A1 (en) Designing Content for Multi-View Displays
CN105723420A (zh) 混合现实聚光灯
US10425625B2 (en) Projecting images and videos onto engineered curved surfaces
WO2020139719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an amusement ride
TW202040222A (zh) 多重投影機顯示器架構
CN104735378B (zh) 投影装置以及投影方法
WO2017199855A1 (ja) 立体画像制作支援装置
KR20180013430A (ko)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
Bohdal Devices fo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KR20180130658A (ko) 영상처리를 이용한 코딩장치
JP2015138084A (ja) 映像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映像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20180080899A (ko)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
US87670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stereoscopic video material simultaneously with multiple participants
CN110060301B (zh) 用于投影光栅建模的标定系统及方法
KR20210100906A (ko) 림버스 연출 장치
US10146110B1 (en) Three-dimensional floating image system
KR20180013426A (ko)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
EP3525458B1 (en) Projecting images and videos onto curved fabricated surfaces
Kajimoto et al. Projection type light field display using undulating screen
KR20180080898A (ko)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
JPH08171074A (ja) 三次元立体像表示装置
US20210150796A1 (en) Image generation device, image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90142161A (ko)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