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196A - 뷰 모드를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뷰 모드를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196A
KR20180013196A KR1020160096556A KR20160096556A KR20180013196A KR 20180013196 A KR20180013196 A KR 20180013196A KR 1020160096556 A KR1020160096556 A KR 1020160096556A KR 20160096556 A KR20160096556 A KR 20160096556A KR 20180013196 A KR20180013196 A KR 20180013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iew mode
original image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8863B1 (ko
Inventor
정경전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8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04N5/2329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의 자세에 따라 적합한 뷰 모드를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가 획득한 원본 영상 및 상기 카메라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가 생성한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센서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자세를 구하고, 상기 카메라의 자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추천하는 뷰 모드 추천부;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포함하는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된 뷰 모드에 따라 상기 원본 영상을 드워프하는 드워프부; 및 상기 드워프된 원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를 포함함으로써 카메라가 설치된 자세에 대응되는 최적화된 뷰 모드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시행착오 없이 관심 영역의 드워핑된 보정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Description

뷰 모드를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Monitoring system recommending viewer mode}
본 발명은 어안 렌즈를 사용해 촬영한 이미지를 보정하여 뷰 모드를 제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서 최적의 뷰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어안 렌즈를 사용해 촬영한 이미지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백화점, 일반 주택가를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서 감시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 시스템은 범죄 예방, 보안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실내의 애완동물 또는 어린 아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감시 시스템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스템은, 감시를 원하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사용자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감시할 수 있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시스템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전방 카메라의 경우에는 화각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어, 감시를 하려는 대상이 이동을 하여 화각을 벗어나면 감시 대상을 놓치기 쉽다. 카메라가 팬, 틸트, 줌(Pan, Tilt, Zoom: PTZ)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명령을 내려야 하거나, 카메라가 자동으로 팬, 틸트, 줌 기능을 수행하더라도 감시 대상이 빠르게 이동한다면 카메라가 이를 놓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최근에는 어안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를 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어안 카메라는 180° 정도의 넓은 화각을 가지는 어안 렌즈를 장착한 카메라이며, 심지어 180° 보다 훨씬 넓은 화각을 가지는 어안 렌즈도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러한 어안 렌즈 두 개를 대향하도록 장착하여 카메라가 패닝 또는 틸팅할 필요 없이 전방위가 모두 촬영이 가능한 360°카메라도 소개되었다. 어안 렌즈를 이용하면, 카메라의 사각 지대를 감소시키고 감시 대상도 놓치지 않을 수 있어 감시 시스템에 매우 효과적이다.
어안 렌즈와 관련된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어안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하여도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어안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한 어안 이미지의 원본 영상은, 넓은 화각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람의 시각 시스템에 최적화되지 않아 사용자가 모니터링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원본 영상을 사람의 시각 시스템에 최적화하기 위해 드워프(Dewarp)를 수행하여 보정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정 영상은 특정 영역을 자세히 나타내므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를 상세히 관찰하는 데에 용이하다. 그리고 원본 영상은 넓은 화각을 가지므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 용이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원본 영상과 보정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어안 카메라가 바라보고 있는 각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본 영상으로부터 관심을 두는 영역의 위치는 달라지게 된다.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상황에 알맞은 관심 영역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다양한 뷰 모드를 제공한다. 다만 사용자가 직접 카메라의 설치 방향에 대해 파악하고, 수많은 뷰 모드 중 원하는 뷰 모드를 직접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시하는 뷰 모드는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천장에서 지면을 향해 설치된 경우, 벽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경우, 바닥에서 연직 상방을 향해 설치된 경우에 제한되었다. 따라서 임의의 각도로 설치된 카메라에 대해서는 적합한 뷰 모드를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공개공보 제1997-20218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의 뷰 모드와 보정된 영상을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카메라가 획득한 원본 영상 및 상기 카메라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가 생성한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센서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자세를 구하고, 상기 카메라의 자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추천하는 뷰 모드 추천부;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포함하는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된 뷰 모드에 따라 상기 원본 영상을 드워프하는 드워프부; 및 상기 드워프된 원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어안 렌즈를 장착한 어안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화면부는, 상기 원본 영상을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원본 영상 위에 마우스 오버가 될 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에 대응되는 폴리곤을 상기 원본 영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화면부는 상기 폴리곤에 상기 원본 영상을 드워프한 방향으로 화살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체 뷰 모드 중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제외한 뷰 모드의 목록을 비활성화된 상태로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부는 상기 센서 신호에 대응되는 기울기를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보정 각도를 입력받아 상기 센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뷰 모드 추천부로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카메라가 설치된 자세에 대응되는 최적화된 뷰 모드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시행착오 없이 관심 영역의 드워핑된 보정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본 영상을 촬영하는 어안 카메라에 사용되는 어안 렌즈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된 감시 카메라가 공간 내에서 천장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된, 천장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가 획득하여 모니터링 장치로 전달한 원본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면부를 통해 도 3과 같이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원본 영상과 보정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원본 영상에 마우스 오버가 될 때 폴리곤과 드워핑 화살표가 더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또 다른 뷰 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된 감시 카메라가 벽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된, 벽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가 획득하여 모니터링 장치로 전달한 원본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면부를 통해 도 8과 같이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원본 영상과 보정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된 감시 카메라가 공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된, 임의의 각도로 설치된 감시 카메라가 획득하여 모니터링 장치로 전달한 원본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면부를 통해 도 10과 같이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원본 영상과 보정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뷰 모드 추천부에 의해 추천되지 않은 뷰 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입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특정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2),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을 수신해서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장치(1)를 포함한다. 카메라(2)와 모니터링 시스템은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카메라(2)가 영상 데이터 또는 신호를 발신하면 모니터링 장치(1)가 발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는 바람직하게는 어안 렌즈가 장착된 어안 카메라이며,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은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이다. 여기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이란, 어안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어안 이미지의 영상을 말한다.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은 모니터링 시스템(1)에서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 인코딩, 디코딩 및 렌더링 등의 영상 처리는 수행될 수 있으나, 왜곡을 보정하는 드워프 작업은 수행되지 않는다.
카메라(2)는 센서(22)를 포함하고, 센서(22)로는 감시 카메라(2)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22)인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카메라(2)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란, 회전 운동을 하는 물체의 방위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22)이다. 자이로 센서는 물체가 회전하면 발생하는 자이로 효과(Gyro Effect)를 사용하여 원점의 위치를 역으로 추정함으로써, 물체의 회전량을 구할 수 있다. 3축으로 직접 회전하는 기계식, 코리올리의 힘을 이용한 튜닝포크 방식의 MEMS식, 레이저의 도달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는 광학식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소형 기기에는 크기가 가장 작은 MEMS식 자이로 센서가 장착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자이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가속도 센서는 다양한 축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출력할 수 있는 센서(22)로서, 상기 출력된 가속도를 2중 적분하면 직선 변위를 연산할 수 있다. 이러한 직선 변위는 알려진 회전축과 회전 반경으로부터 마찬가지로 회전각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는,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면 지구 중력 방향을 알 수 있고, 이로부터 현재 감시 카메라(2)가 향하는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는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원본(Original) 영상과 이를 드워프(Dewarp)한 보정 영상(115a, 115b, 115c, 117a, 117b, 117c), 사용자 인터페이스(12)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장치(1)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탑(Laptop) 등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장치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데스크탑(Desktop), 비디오 월(Video Wall) 등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장치일 수도 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는 카메라(2)로부터 영상과 센서(2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3), 수신한 센서(22) 신호에 대응되는 뷰 모드를 추천하는 뷰 모드 추천부(14), 추천된 뷰 모드의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에 따라 수신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드워프하는 드워프부(15), 수신한 원본 영상(111a, 111b, 111c)과 드워프부(15)에서 드워프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11)를 포함한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터치 기능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입력 수단이 별도로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입력 수단으로는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리모콘 등이 있다. 만약 터치 기능을 제공한다면 화면부(11)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터치 센서(2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22)는 화면부(11)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와 함께 일체로 장착되며, 화면부(11)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서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좌표, 터치의 횟수 및 세기 등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결과를 드워프부(15)에 전달한다. 모니터링 시스템이 터치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화면부(11)가 터치 센서(22)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별도의 터치 패드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터치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미세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팁이 장착된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수신부(13)는 카메라(2)로부터 유무선으로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부(13)는 카메라(2)로부터 수신되는 센서(22) 신호 및 데이터를 주파수 다운컨버팅 및 복조하여 뷰 모드 추천부(14)로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수신부(13)는 카메라(2)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센서(2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뷰 모드 추천부(14)는 수신부(13)로부터 센서(22)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한 센서(22) 신호에 대응되는 뷰 모드를 추천한다. 본 발명에서 뷰 모드(viewer mode)란, 화면부(11)에 영상을 어떤 방식으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식을 일컫는 말이다. 뷰 모드에 배치되는 영상은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일 수도 있고,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의 왜곡을 보정한 영상일 수도 있고,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의 일부분을 잘라 왜곡을 보정한 영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의 하단에 원본 영상(111a)의 왜곡을 보정한 파노라마 영상을 가로로 길게 배치하는 뷰 모드를 가질 수 있고, 이는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배치하고 동일한 영상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관심을 두는 영역은 다를 수 있으므로 동일한 카메라(2) 설치 방향에 대해서도 복수의 뷰 모드를 구성할 수 있다.
뷰 모드 추천부(14)가 추천하는 뷰 모드는 카메라(2)가 설치되어있는 자세에 따라서 달라진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카메라(2)의 자세를 측정하는 센서(22)를 카메라(2)에 내장하고, 상기 센서(22)의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1)가 수신부(13)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현재 카메라(2)의 자세에 적합한 뷰 모드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가 천장에서 지면을 향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주변부 모두를 파노라마로 관찰하고자 함과 동시에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이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두 관심을 둘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관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원본 영상(111a, 111b, 111c)과 드워프된 파노라마 영상을 모두 표시하는 뷰 모드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긴 복도의 벽면에서 수평방향을 향해 광축을 형성하도록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 복도가 관심 영역이 되므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의 수평선 영역을 드워프한 가로로 긴 영상과, 관심 영역 두 군데를 확대해 드워프한 정사각형 모양의 영상을 나란히 배치하는 뷰 모드가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예시는 본 발명의 뷰 모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이며, 그밖에도 모니터링에 적합한 뷰 모드가 다수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뷰 모드 추천부(14)가 뷰 모드를 추천하는 방식으로, 일정 각도 구간에 대해 제작사가 경험적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한 뷰 모드를 대응시켜 놓은 매핑 테이블을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장 및 벽에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 일반적으로 추천되는 뷰 모드의 목록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센서(22)가 천장 및 벽에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를 감지하면 상기 널리 알려진 뷰 모드의 목록을 추천하도록 매핑 테이블을 구성한다. 그리고 천장에서 지면을 향해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를 0°라고 가정했을 때, ±10°의 각도 구간에서는 천장에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의 뷰 모드와 유사한 뷰 모드를 추천하도록 매핑 테이블을 구성하는 것이다. 다만 본 예시는 본 발명의 뷰 모드 추천 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이며, 그밖에도 해석적인 방식으로 수신한 센서(22) 신호를 분석해 뷰 모드를 추천하는 등 뷰 모드를 추천하는 방식이 다수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천장에서 지면을 향해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를 0°라고 가정했을 때, ±45°로 카메라(2)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일반적인 천장이나 벽에 카메라(2)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의 중간지점에 해당한다. 따라서 어떠한 뷰 모드도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천장 및 벽에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의 뷰 모드 중 택일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뷰 모드 추천부(14)가 추천한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의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나열된 뷰 모드 중 원하는 뷰 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추천된 뷰 모드의 목록을 각각의 명칭을 기입한 버튼으로 구성해서 표시할 수도 있고, 각 뷰 모드에 해당하는 아이콘으로 버튼을 구성해서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 표시된 뷰 모드의 버튼을 사용자가 터치 혹은 클릭함으로써 뷰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뷰 모드에 대한 정보는 신호화되어 드워프부(15)로 전달된다.
드워프부(15)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서 선택한 뷰 모드에 따라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드워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에 대한 정보를 드워프부(15)가 수신한다. 또한 드워프 하기 위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수신부(13)로부터 수신한다. 각각의 뷰 모드는 드워핑 영역과 드워프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드워프부(15)는 수신한 뷰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드워프한다. 드워핑은 원본 영상(111a, 111b, 111c) 전체에 대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원본 영상(111a, 111b, 111c) 중 선택된 뷰 모드의 드워핑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해서 이루어진다. 뷰 모드에 따라 드워핑 영역이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드워프한 보정 영상(115a, 115b, 115c, 117a, 117b, 117c)의 복수 영역을 잘라서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뷰 모드가 포함하고 있는 드워핑 영역에 대한 정보는 미리 정해진 영역일 수도 있고, 움직임이 많은 영역을 인식하여 해당 영역을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으로 두어 드워핑 영역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드워핑 알고리즘은 미리 정해두되, 사용자가 후술할 화면부(11)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해 표시된 폴리곤(Polygon)(112a, 112b, 112c, 116a, 116b, 116c)을 드래그해서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드워프 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어안 렌즈를 설명하면서 후술하고, 드워핑 영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도 5에서 후술한다.
드워프부(15)는 수신한 뷰 모드에 따라 드워프한 보정 영상(115a, 115b, 115c, 117a, 117b, 117c)과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배치, 구성하여 화면부(11)에 전달한다.
화면부(11)는 뷰 모드 레이아웃에 맞게 드워프부(15)로부터 수신한 드워프된 보정 영상(115a, 115b, 115c, 117a, 117b, 117c)과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배치한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드워핑 영역에 대응되는 폴리곤(Polygon)(112a, 112b, 112c, 116a, 116b, 116c)을 원본 영상(111a, 111b, 111c)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드워프 방향을 따라 드워핑 화살표(113a, 113b, 113c)를 더 표시할 수 있다. 폴리곤(112a, 112b, 112c, 116a, 116b, 116c)과 드워핑 화살표(113a, 113b, 113c)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에 사용되는 어안 렌즈의 구조도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감시 카메라(2)는 어안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카메라는 최근에 소개된 360° 카메라일 수도 있다. 360° 카메라란, 어안 렌즈(20)를 복수로 장착하여 카메라가 직접 패닝 또는 틸팅할 필요 없이 전방위가 모두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말한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는 어안 렌즈(20)를 사용하여,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이 왜곡되어 어느 정도 보정할 필요가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안 렌즈(20)는 다양한 렌즈 요소(20a~20h)들을 적게는 6매, 많게는 10매 이상 겹쳐서 제작함으로써, 180° 이상의 넓은 화각을 가진다. 이러한 다양한 렌즈 요소(20a~20h)는 볼록, 오목 렌즈를 포함하고, 구면, 비구면 렌즈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부 렌즈 요소(20a)를 180°로 입사한 광선은 렌즈 요소(20a~20h)를 모두 투과한 후에 촬상 소자(21)에 조사된다. 그리고 촬상 소자(21)는 조사된 광선의 파장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촬상 소자(21)는 일반적인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소자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소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어안 렌즈(2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안 카메라(2)에 설치된다.
어안 렌즈(20)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영상은 넓은 화각을 제공해 주는 대신에 광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영상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수록 굴절에 의한 왜곡이 심해진다. 따라서 렌즈 중심점 부근의 피사체는 극단적으로 크게 찍히고 주변의 피사체는 아주 작게 찍히는 현상이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왜곡된 형태의 영상을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한 경우가 있지만 특정 분야에서는 왜곡된 영상을 보정해서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이 어안 렌즈(20)에 의해 형성된 왜곡된 형태의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보정하는 것을 보통 '왜곡 보정(Distortion Calibration)' 또는 '드워프(Dewarp)'라고 하며, 이러한 드워프는 어안 렌즈(20)에서 사용되는 투사 방식에 따라 어안 렌즈(20)의 초점 거리나 광중심 위치 등과 같은 파라미터(parameter)를 이용하여 적절한 수식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카메라의 직선 왜곡이 없는 매핑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원근법 투사(
Figure pat00001
) 방법이다. 이는 일반 카메라로 촬영된 원근법 이미지 내의 지점의 위치를 찾아 매핑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어안 렌즈(20)를 위한 가장 단순한 매핑 함수로써 리니어-스케일드(linear-scaled) 투사(
Figure pat00002
) 방법이 있다. 이는 어안 렌즈(20)를 통해 촬영된 원본 영상(111a, 111b, 111c) 내 지점의 방사위치를 찾는 방법이다. 왜곡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보정하기 위해 실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원근법 이미지처럼 변형하여 매핑하여야 한다. 따라서 위 원근법 매핑과 어안 매핑을 정의하는 2개의 연립방정식을 풀이하여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의 관계를 찾음으로써 왜곡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은 모니터링 장치(1)에 전송된 후 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의 방법으로 보정될 수도 있으나, 최근에는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의 왜곡을 보정하는 칩(Chip)이 어안 카메라(2)의 내부에 장착되는 기술이 소개되었다. 상기 칩은 SoC(System on Chip)로서, 여러 개의 반도체 부품들이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러한 시스템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칩은 ISP(Image Signal Processing) 칩으로서, 영상 보정을 전용으로 수행하는 하드웨어 처리 방식의 칩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카메라(2) 자체적으로 드워프할 수 있게 되면, 카메라(2)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모니터링 장치(1)에 드워프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하나의 카메라(2)에서 여러 모니터링 장치(1)에 영상을 전송할 때에는, 모든 모니터링 장치(1)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아도 드워프가 가능하므로 보정 영상(115a, 115b, 115c, 117a, 117b, 117c)을 곧바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장치(1)에서 소프트웨어를 통해 원본 영상(111a, 111b, 111c)을 보정 영상(115a, 115b, 115c, 117a, 117b, 117c)으로 드워프할 수도 있으나, 카메라(2)가 자체적으로 드워프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와 연결된 카메라(2)가 천장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카메라(2)는 설치 공간의 천장에 지면을 바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표시된 화살표가 상기 카메라(2)가 바라보는 방향이다. 카메라(2)는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공간을 바라보고,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을 획득함과 동시에, 카메라(2)가 포함하고 있는 센서(22)가 카메라(2)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을 감지해 센서(22) 신호를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와 연결된, 천장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2)가 획득하여 모니터링 장치(1)로 전달한 원본 영상(111a)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영상은 도 3의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인 카메라(2)를 사용하는 경우 직사각형 모양의 영상을 얻을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어안 카메라(2)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어안 카메라(2)를 사용하는 경우 도 4와 같이 원형의 영역에 카메라(2) 스펙이 허용하는 화각 내의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면부(11)를 통해 도 3과같이 설치된 카메라(2)가 촬영한 원본 영상(111a)과 보정 영상(115a)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2)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카메라(2)는 획득한 원본 영상(111a)과 생성한 센서(22) 신호를 모니터링 시스템의 수신부(13)로 전달한다. 수신부(13)는 수신한 센서(22) 신호를 뷰 모드 추천부(14)로 전달하고, 뷰 모드 추천부(14)는 수신한 센서(22) 신호에 따라 적합한 뷰 모드를 추천한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현재 카메라(2)는 천장에 지면을 바라보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뷰 모드 추천부(14)는 상기 설치 자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의 목록을 추천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2)로 전달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와 화면부(11)의 내용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추천된 뷰 모드 아이콘(121a)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추천된 뷰 모드는 해당하는 뷰 모드의 명칭을 기입한 버튼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같이 아이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그 밖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거나 영상 외에 확인해야 할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의 뷰 모드 아이콘(121a) 중에서 원하는 뷰 모드에 해당하는 뷰 모드 아이콘(121a)을 선택한다. 선택은 마우스 등의 입력 수단을 입력하는 경우 클릭으로, 터치 센서(22)를 이용하는 경우 터치로 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에 대한 정보를 드워프부(15)로 전달한다. 드워프부(15)는 수신부(13)로부터 원본 영상(111a)을 전달받아 상기 선택된 뷰 모드에 따라 영상을 드워프하고 배치한다.
드워프부(15)는 화면부(11)로 재배치한 영상과 원본 영상(111a)을 전달한다. 화면부(11)는 전달받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는 상단에 원본 영상(111a)을 디스플레이하고 하단에는 원본 영상(111a)을 드워프한 파노라마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화면부(11)의 상단에 원본 영상(111a)이, 하단에 드워프된 보정 영상(115a)이 디스플레이된다. 화면부(11)는 사용자가 뷰 모드를 선택하기 전이라 하더라도 추천된 뷰 모드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원본 영상(111a)과 보정 영상(115a)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원본 영상에 마우스 오버가 될 때 폴리곤과 드워핑 화살표가 더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면부(11)에 디스플레이되는 원본 영상(111a)에 마우스 오버가 된 경우, 화면부(11)는 보정 영상(115a)에 대응되는 드워핑 영역을 나타내는 폴리곤(112a)을 원본 영상(111a)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폴리곤(112a)은, 원본 영상(111a)에서 드워프된 드워핑 영역을 둘러싸도록 단일폐곡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화면부(11)는 마우스 오버가 된 경우 폴리곤(112a)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지만, 마우스 오버가 되지 않더라도 원본 영상(111a)에 폴리곤(112a)을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화면부(11)는 마우스 오버가 끝난 경우 폴리곤(112a)을 더 이상 원본 영상(111a)의 위에 디스플레이 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드워핑 영역이란, 원본 영상(111a)에서 보정 영상(115a)과 대응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드워프부(15)가 원본 영상(111a)을 드워프하여 보정 영상(115a)을 생성할 때, 하나의 원본 영상(111a)의 전체가 하나의 보정 영상(115a)으로 생성되지 않는다. 이는 원본 영상(111a)과 보정 영상(115a)의 화각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드워프부(15)에서는 원본 영상(111a)의 일부 영역만이 보정 영상(115a)으로 생성되는데, 이러한 일부 영역을 드워핑 영역이라 한다.
화면부(11)가 원본 영상(111a)의 드워핑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에 폴리곤(112a)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원본 영상(111a) 중 어떤 영역이 드워프되어 보정 영상(115a)으로 출력되는지 알 수 있고, 다른 어떤 영역이 드워핑 영역에서 제외되었는지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워핑 영역에서 제외된 영역의 정보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원본 영상(111a) 중심의 일부 원형 영역만을 제외한 고리 모양의 영역에 폴리곤(112a)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카메라(2)가 천장에 지면을 바라보고 설치된 상태이므로, 카메라(2) 주변부 전부가 관심 영역이 되므로 주변부 전체를 빙 둘러서 드워핑 영역으로 지정한 것이다. 원본 영상(111a)에서 폴리곤(112a)의 모양에 대응되는 영역이 드워핑 영역에 해당하므로, 폴리곤(112a)의 경계 내에 위치한 영상이 드워프부(15)에 의해 드워프 되어 원본 영상(111a)의 하방에 파노라마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고리 모양의 드워핑 영역을 파노라마 영상으로 드워프 하기 위해서는 시작점이 필요하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선택한 뷰 모드에서는 원본 영상(111a)의 최상단 꼭지점에서 원본 영상(111a)의 중심을 향해 그은 직선을 드워프 시작 선으로 한다. 다만 드워프 시작 선은 도 5에서 도시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뷰 모드에 따라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화면부(11)는 원본 영상(111a)에 마우스 오버가 된 경우, 원본 영상(111a)이 드워프된 방향을 따라 드워핑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드워핑 화살표(113a)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파노라마 보정 영상(115a)이 시작되는 지점부터 드워프 된 방향인 시계방향을 향하도록 드워핑 화살표(113a)를 나타내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드워핑 화살표(113a)를 직선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드워핑 방향이 직선이 아닌 경우 드워핑 방향을 따라 곡선으로 도시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또 다른 뷰 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와 동일한 뷰 모드 아이콘(121a)이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인터페이스(12) 좌측의 화면부(11)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도 7이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서 다른 뷰 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기 때문이다.
도 7의 실시예가 나타내고 있는 뷰 모드에서는 사분할된 화면부(11)의 제2 사분면에 원본 영상(111a)과 폴리곤(116a, 116b, 116c)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나머지 사분면에 각 폴리곤(116a, 116b, 116c)에 대응되는, 드워프부(15)에 의해 드워프된 보정 영상(117a, 117b, 117c)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드워핑 영역은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응되는 폴리곤(116a, 116b, 116c)과 보정 영상(117a, 117b, 117c) 역시 다수로 형성된다.
다수의 폴리곤(116a, 116b, 116c) 및 보정 영상(117a, 117b, 117c)이 형성되는 경우, 폴리곤(116a, 116b, 116c) 경계의 색을 보정 영상(117a, 117b, 117c)의 색과 동일하게 하고, 폴리곤(116a, 116b, 116c) 별로 서로 다른 색의 경계를 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어느 폴리곤(116a, 116b, 116c)이 어떤 보정 영상(117a, 117b, 117c)으로 나타나는지를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 6과 도 7에서는 원본 영상(111a)과 하단 혹은 타 사분면에 보정 영상(115a, 117a, 117b, 117c)을 디스플레이 하는 뷰 모드를 도시하였는데, 그 외에도 오로지 보정 영상(115a)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원본 영상(111a)과 드워핑 영역을 나타내는 폴리곤(112a, 116a, 116b, 116c) 및 드워핑 화살표(113a)는 별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14a)에 표시된 소스 뷰 모드(미도시)를 선택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도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뷰 모드는 다른 뷰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벗어날 수도 있다. 또한 'x'등의 모양으로 형성된 종료 버튼이 형성되어 이를 선택하면 소스 뷰 모드가 종료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on/off' 등이 기재된 토글 버튼이 형성되어 이를 이용해 일시적으로 소스 뷰 모드를 켜고 끄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일정 시간 동안만 원본 영상(111a)이 디스플레이 되었다가 사라지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 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와 연결된 감시 카메라(2)가 벽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카메라(2)는 설치 공간의 벽면에 수평 방향을 바라보고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 표시된 화살표가 상기 카메라(2)가 바라보는 방향이다. 카메라(2)는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공간을 바라보고,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을 획득함과 동시에, 카메라(2)가 포함하고 있는 센서(22)가 카메라(2)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을 감지해 센서(22) 신호를 생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결된, 벽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2)가 획득하여 모니터링 장치(1)로 전달한 원본 영상(111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영상은 도 8의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도 7과 동일하게 어안 카메라(2)를 사용한 경우를 가정해서 영상을 구성한 모습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면부(11)를 통해 도 8과같이 설치된 카메라(2)가 촬영한 원본 영상(111b)과 보정 영상(115b)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2)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카메라(2)는 획득한 원본 영상(111b)과 생성한 센서(22) 신호를 모니터링 시스템의 수신부(13)로 전달한다. 수신부(13)는 수신한 센서(22) 신호를 뷰 모드 추천부(14)로 전달하고, 뷰 모드 추천부(14)는 수신한 센서(22) 신호에 따라 적합한 뷰 모드를 추천한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현재 카메라(2)는 벽면에 수평방향을 바라보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뷰 모드 추천부(14)는 상기 설치 자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의 목록을 추천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2)로 전달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와 화면부(11)의 내용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추천된 뷰 모드 아이콘(121b)을 포함한다. 도 10의 경우 벽면에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가 포함하는 뷰 모드의 목록과 상이한 뷰 모드의 목록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의 뷰 모드 아이콘(121b) 중에서 원하는 뷰 모드에 해당하는 뷰 모드 아이콘(121b)을 선택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에 대한 정보를 드워프부(15)로 전달한다. 드워프부(15)는 수신부(13)로부터 원본 영상(111b)을 전달받아 상기 선택된 뷰 모드에 따라 영상을 드워프하고 배치한다.
드워프부(15)는 화면부(11)로 재배치한 영상과 원본 영상(111b)을 전달한다. 화면부(11)는 전달받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는 상단에 원본 영상(111b)을 디스플레이하고 하단에는 원본 영상(111b)을 드워프한 파노라마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화면부(11)의 상단에 원본 영상(111b)이, 하단에 드워프된 보정 영상(115b)이 디스플레이된다. 카메라(2)가 수평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심 영역이 가로로 펼쳐진 복도가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관찰의 필요성이 떨어지는 천장과 바닥을 제외한 복도 영역을 드워핑 영역으로 해서 파노라마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뷰 모드를 추천하는 것이다.
도 10에서는 원본 영상(111b)에 마우스 오버가 됐을 때 나타나는 폴리곤(112b)이, 원본 영상(111b)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로방향 양 단이 중심에 비해 두꺼운 형태로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폴리곤(112b)이 더 디스플레이된 화면부(11)의 원본 영상(111b)은 마치 야구공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음을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다. 폴리곤(112b)의 형태가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를 하는 이유는 바로 위 문단에서 설명한 바 있다.
화면부(11)는 원본 영상(111b)에 마우스 오버가 된 경우, 원본 영상(111b)이 드워프된 방향을 따라 드워핑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드워핑 화살표(113b)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드워프를 시작한 방향인 왼쪽에서 드워프 된 방향인 오른쪽 방향으로 드워핑 화살표(113b)를 나타내었다.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가 벽면에서 수평 방향을 바라보고 설치될 때 추천되는 뷰 모드와 화면부(11),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만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이 밖에도 다양한 뷰 모드와 드워핑 영역, 폴리곤(112b)의 형태, 드워핑 화살표(113b)의 형태, 뷰 모드 아이콘(121b)이 도입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와 연결된 감시 카메라(2)가 공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카메라(2)는 설치 공간의 벽면에 임의의 각도로 지면 방향을 바라보고 설치될 수 있다. 도 11에 표시된 화살표가 상기 카메라(2)가 바라보는 방향이다. 카메라(2)는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공간을 바라보고,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을 획득함과 동시에, 카메라(2)가 포함하고 있는 센서(22)가 카메라(2)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을 감지해 센서(22) 신호를 생성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와 연결된, 임의의 각도로 설치된 감시 카메라(2)가 획득하여 모니터링 장치(1)로 전달한 원본 영상(111c)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영상은 도 10의 카메라(2)가 획득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과 동일하게 어안 카메라(2)를 사용한 경우를 가정해서 영상을 구성한 모습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면부(11)를 통해 도 11과 같이 설치된 카메라(2)가 촬영한 원본 영상(111c)과 보정 영상(115c)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2)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카메라(2)는 획득한 원본 영상(111c)과 생성한 센서(22) 신호를 모니터링 시스템의 수신부(13)로 전달한다. 수신부(13)는 수신한 센서(22) 신호를 뷰 모드 추천부(14)로 전달하고, 뷰 모드 추천부(14)는 수신한 센서(22) 신호에 따라 적합한 뷰 모드를 추천한다.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현재 카메라(2)는 벽면에 임의의 각도로 지면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뷰 모드 추천부(14)는 상기 설치 자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의 목록을 추천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2)로 전달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와 화면부(11)의 내용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추천된 뷰 모드 아이콘(121c)을 포함한다. 도 13의 경우 임의의 각도로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도 5 및 도 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가 포함하는 뷰 모드의 목록과 상이한 뷰 모드의 목록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의 뷰 모드 아이콘(121c) 중에서 원하는 뷰 모드에 해당하는 뷰 모드 아이콘(121c)을 선택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에 대한 정보를 드워프부(15)로 전달한다. 드워프부(15)는 수신부(13)로부터 원본 영상(111c)을 전달받아 상기 선택된 뷰 모드에 따라 영상을 드워프하고 배치한다.
드워프부(15)는 화면부(11)로 재배치한 영상과 원본 영상(111c)을 전달한다. 화면부(11)는 전달받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는 상단에 원본 영상(111c)을 디스플레이하고 하단에는 원본 영상(111c)을 드워프한 파노라마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화면부(11)의 상단에 원본 영상(111c)이, 하단에 드워프된 보정 영상(115c)이 디스플레이된다. 카메라(2)가 지면을 임의의 각도로 바라보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심 영역이 가로로 펼쳐진 복도가 되되, 도 10의 드워핑 영역에 비해서 다소 아래로 치우친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관찰의 필요성이 떨어지는 천장과 바닥을 제외한 복도 영역을 드워핑 영역으로 해서 파노라마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뷰 모드를 추천하는 것이다.
도 13에서는 원본 영상(111c)에 마우스 오버가 됐을 때 나타나는 폴리곤(112c)이, 원본 영상(111c)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로방향 양 단이 중심에 비해 두꺼운 형태로 원본 영상(111c)의 하단에 치우쳐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폴리곤(112c)이 더 디스플레이된 화면부(11)의 원본 영상(111c)은 마치 야구공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음을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다. 폴리곤(112c)의 형태가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를 하는 이유는 바로 위 문단에서 설명한 바 있다.
도 13에서는 도 11과 같은 형태로 카메라(2)가 설치된 경우의 드워핑 영역을 나타낸 것인데, 만약 카메라(2)가 지면을 향해 더 구부러지게 된다면 그 경우의 드워핑 영역은 오히려 도 6의 드워핑 영역과 유사한 고리 형태에 가까워 질 수 있다. 다만 정확히 도 6의 드워핑 영역과 일치하진 않고, 중심의 작은 원이 일정 방향으로 치우쳐 찌그러진 타원형을 이루게 될 것이다.
화면부(11)는 원본 영상(111c)에 마우스 오버가 된 경우, 원본 영상(111c)이 드워프된 방향을 따라 드워핑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드워핑 화살표(113c)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드워프를 시작한 방향인 왼쪽에서 드워프 된 방향인 오른쪽 방향으로 드워핑 화살표(113c)를 나타내었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가 벽면에서 수평 방향을 바라보고 설치될 때 추천되는 뷰 모드와 화면부(11),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만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이 밖에도 다양한 뷰 모드와 드워핑 영역, 폴리곤(112c)의 형태, 드워핑 화살표(113c)의 형태, 뷰 모드 아이콘(121c)이 도입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2)에 뷰 모드 추천부(14)에 의해 추천되지 않은 뷰 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밝은 색으로 표시된 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1)과, 음영처리된 비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2)이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2)의 자세에 따라 뷰 모드 추천부(14)가 적합한 뷰 모드를 추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추천된 뷰 모드의 목록을 사용자 인터페이스(32)에 나열한다. 다만 추천된 뷰 모드만을 나열하는 방법 이외에도, 전체 뷰 모드의 목록을 나열하고 그 중 뷰 모드 추천부(14)가 추천한 뷰 모드를 밝은 색으로, 뷰 모드 추천부(14)가 추천하지 않은 뷰 모드를 음영처리해서 표시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여기서 뷰 모드 추천부(14)가 추천한 뷰 모드는 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1)으로, 추천하지 않은 뷰 모드는 비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2)으로 표시된다. 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1)은 사용자가 클릭 혹은 터치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되고, 비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2)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는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서는 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1)을 음영이 없는 형태로, 비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322)을 음영이 있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그 밖에 두 종류의 뷰 모드 아이콘(321, 322)을 서로 구분 지을 수 있는 방법이라면 사용이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 포함된 입력부(4)를 도시한 도면이다.
카메라(2)에 포함된 센서(22)에 의해 감지된 카메라(2)의 자세에 따라 추천받은 뷰 모드가 사용자의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를 대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직접 사용자가 원하는 파라미터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 입력부(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센서(22)에 의해 측정된 카메라(2)의 기울기를 시각화하여 카메라 심볼(41)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2)의 기울기를 각도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4)는 사용자가 원하는 파라미터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42, 43, 44)을 포함한다. 도 15의 제3 실시예의 입력부에서는 PTZ가 가능한 카메라(2)를 가정하여, 팬(Pan), 틸트(Tilt), 줌(Zoom)에 대한 파라미터를 임의의 값으로 사용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파라미터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4)는 사용자가 입력 창(42, 43, 44)에 입력한 값을 센서(22) 신호와 같이 변환하여 뷰 모드 추천부(14)로 전달하고, 뷰 모드 추천부(14)는 수신한 센서(22) 신호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이용해 뷰 모드를 추천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임의로 원하는 자세에 해당하는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비록 원하는 뷰 모드를 정확하게 추천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임의로 원하는 뷰 모드를 추천할 수 있도록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모니터링 장치 2 : 카메라
4 : 입력부 11 : 화면부
12, 32 : 사용자 인터페이스 13 : 수신부
14 : 뷰 모드 추천부 15 : 드워프부
22 : 센서 41 : 카메라 심볼
42, 43, 44 : 입력 창 111a, 111b, 111c : 원본 영상
112a, 112b, 112c, 116a, 116b, 116c : 폴리곤
113a, 113b, 113c : 드워핑 화살표
115a, 115b, 115c, 117a, 117b, 117c : 보정 영상
121a, 121b, 121c : 뷰 모드 아이콘
321 : 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 322 : 비활성화 뷰 모드 아이콘

Claims (6)

  1. 카메라가 획득한 원본 영상 및 상기 카메라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가 생성한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센서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자세를 구하고, 상기 카메라의 자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추천하는 뷰 모드 추천부;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포함하는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된 뷰 모드에 따라 상기 원본 영상을 드워프하는 드워프부; 및
    상기 드워프된 원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어안 렌즈를 장착한 어안 카메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는, 상기 원본 영상을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원본 영상 위에 마우스 오버가 될 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뷰 모드에 대응되는 폴리곤을 상기 원본 영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부는 상기 원본 영상을 드워프한 방향으로 상기 폴리곤에 화살표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체 뷰 모드 중 상기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뷰 모드를 제외한 뷰 모드의 목록을 비활성화된 상태로 더 표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센서 신호에 대응되는 기울기를 더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상기 센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뷰 모드 추천부로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60096556A 2016-07-29 2016-07-29 뷰 모드를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18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556A KR102518863B1 (ko) 2016-07-29 2016-07-29 뷰 모드를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556A KR102518863B1 (ko) 2016-07-29 2016-07-29 뷰 모드를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196A true KR20180013196A (ko) 2018-02-07
KR102518863B1 KR102518863B1 (ko) 2023-04-06

Family

ID=6120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556A KR102518863B1 (ko) 2016-07-29 2016-07-29 뷰 모드를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8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687A (ko) 2019-12-26 2021-07-06 전미경 문잠김 방지용 래치 고정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180A (ja) 1996-01-29 1997-08-05 Niles Parts Co Ltd 車載カメラ装置
JP2005192057A (ja) * 2003-12-26 2005-07-14 D Link Corp 空間画像の切出し表示方法及び装置
KR101297294B1 (ko) * 2013-06-13 2013-08-14 이범수 카메라 제어용 맵 인터페이스 시스템
JP2013236215A (ja) * 2012-05-08 2013-11-21 Panasonic Corp 表示映像形成装置及び表示映像形成方法
JP2014501046A (ja) * 2010-09-20 2014-01-16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携帯端末機を用いた統合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180A (ja) 1996-01-29 1997-08-05 Niles Parts Co Ltd 車載カメラ装置
JP2005192057A (ja) * 2003-12-26 2005-07-14 D Link Corp 空間画像の切出し表示方法及び装置
JP2014501046A (ja) * 2010-09-20 2014-01-16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携帯端末機を用いた統合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及び装置
JP2013236215A (ja) * 2012-05-08 2013-11-21 Panasonic Corp 表示映像形成装置及び表示映像形成方法
KR101297294B1 (ko) * 2013-06-13 2013-08-14 이범수 카메라 제어용 맵 인터페이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687A (ko) 2019-12-26 2021-07-06 전미경 문잠김 방지용 래치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863B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40260A1 (en) Panoramic camera
KR101270893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그 프로그램 및 그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촬상 장치
JP2012160898A (ja) 画像処理装置
US9936112B2 (en) Monitoring camera
KR20180129667A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CN109565569B (zh) 监测设备和系统
KR20170136904A (ko)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18863B1 (ko) 뷰 모드를 추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EP3602253B1 (fr) Système de transparence pour caméra banalisée
JP5955114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62060A (ko) 영상 감시 시스템
KR102518855B1 (ko)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JP2012147059A (ja) 画像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0212927A (ja) 映像表示装置
JP2007322704A (ja)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6234506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6245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