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523A - 양궁용 핑거탭 - Google Patents

양궁용 핑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523A
KR20180012523A KR1020160095480A KR20160095480A KR20180012523A KR 20180012523 A KR20180012523 A KR 20180012523A KR 1020160095480 A KR1020160095480 A KR 1020160095480A KR 20160095480 A KR20160095480 A KR 20160095480A KR 20180012523 A KR20180012523 A KR 20180012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hold
support plate
tab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541B1 (ko
Inventor
유보영
Original Assignee
(주)파이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빅스 filed Critical (주)파이빅스
Priority to KR1020160095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5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42Accessories for arc or bow sho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03Details of b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42Accessories for arc or bow shooting
    • F41B5/1473Archer's finger t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지와 중지만을 이용하여 활의 현을 당기고 릴리스할 수 있도록 핑거탭에 약지와 소지에 의한 힘이 효율적으로 가해지도록 함은 물론, 약지와 소지가 핑거탭을 움켜쥐는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양궁용 핑거탭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손으로 붙잡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된 탭을 포함하는 양궁용 핑거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단부에서 상기 탭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홈에 약지로 움켜쥐는 약지홀드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Description

양궁용 핑거탭{ARCHERY FINGER TAB}
본 발명은 양궁용 핑거탭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검지와 중지만을 이용하여 활의 현을 당기고 릴리스할 수 있도록 핑거탭에 약지와 소지에 의한 힘이 효율적으로 가해지도록 함은 물론, 약지와 소지가 핑거탭을 움켜쥐는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양궁용 핑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궁은 준비자세에 해당하는 셋팅(SETTING), 화살을 활의 현에 끼우는 동작인 노킹(NOCKING), 현에 손가락을 거는 동작인 후킹(HOOKING), 활을 좌우 균등하게 밀고 당기는 드로잉(DRAWING), 발사 직전의 동작인 홀딩(HOLDING), 현을 놓아 화살을 발사하는 동작인 릴리징(RELEASING) 및 릴리즈의 결과 자연스럽게 남는 최후 동작인 팔로우 스로잉(FOLLOW THROWING)의 연속동작으로 진행된다.
아울러, 정확한 슈팅(SHOOTING)으로 화살의 적중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후킹 동작에서부터 릴리징 동작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힘의 배분과 균형의 유지가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활의 현을 당기고 자연스럽게 릴리즈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손가락을 보호하는 장비인 핑거탭(FINGER TAB)이 사용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기존의 핑거탭 상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턱받침대, 엄지손가락 지지대, 새끼손가락 지지대, 손목지지대 및 손목밴드를 구비하는 핑거탭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양궁용 핑거탭은 활의 현을 감싸 손가락을 보호하고 부드러운 릴리스를 가능하게 하는 가죽 재질의 탭을 구비하는데, 이 탭은 검지와 중지 사이 부분이 절개된 형대로 제공된다.
이렇게 절개되어 분리된 위쪽 탭은 검지로 누르고 아래쪽 탭은 중지와 약지를 함께 사용하여 누르게 되는데, 앞서 설명한 드로잉 동작과 릴리징 동작에서, 궁사는 검지, 중지 및 약지를 이용하여 현을 당긴 후 릴리즈하게 된다.
여기서, 좋은 슈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릴리징 동작에서 검지, 중지 및 약지가 통일되게 현을 릴리스하여야 하는데, 이때, 아래쪽 탭에 중지와 함께 얹혀지지만 그 길이도 중지보다 짧음은 물론 중지에 비해 활의 현에 걸치는 부분도 적은 약지로 인해, 숙련되지 않은 궁사나 시합 중 긴장감이 고조된 궁사는 약지로 활의 현을 튕기거나 긁게 된다.
이럴 경우 활의 현이 흔들리게 되고, 이에 따른 반발로서 화살이 날아가면서 휘는 정도가 더 커지게 되는 것을 통해, 조준된 과녁의 지점에서 화살이 벗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문헌 2에는 검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활의 현을 당긴 후, 릴리스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양궁용 핑거탭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개선에도 불구하고, 궁사들마다 각기 다른 손가락의 길이, 벌어짐 또는 유연성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되도록 하여 릴리징 동작시 미세한 흔들림마저 억제되도록 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7875호(2003.09.2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3847호(2015.12.02.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지와 중지만을 이용하여 활의 현을 당기고 릴리스할 수 있도록 핑거탭에 약지와 소지에 의한 힘이 효율적으로 가해지도록 하되, 이를 위해, 약지와 소지가 핑거탭을 움켜쥐는 그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양궁용 핑거탭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의 특징적인 구성은, 손으로 붙잡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된 탭을 포함하는 양궁용 핑거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단부에서 상기 탭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홈에 약지로 움켜쥐는 약지홀드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에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은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약지홀드부를 결합시키는 고정나사가 선택적으로 관통 삽입되고, 다수의 상기 체결홀은 상기 고정나사의 몸체가 삽입 고정되는 원형의 홀이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약지홀드부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고 상기 약지홀드부의 전·후 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 형태의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과 함께 상기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결합부와, 두께를 가지며 타측 후단부가 상기 결합홈의 타측 전단부에 거치되는 거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결합홈의 하측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지로 움켜쥐는 소지홀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손으로 붙잡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된 탭을 포함하는 양궁용 핑거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단부에서 상기 탭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홈에 약지로 움켜쥐는 약지홀드부 및 소지로 움켜쥐는 소지홀드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에도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홈은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약지홀드부와 소지홀드부를 결합시키는 고정나사가 선택적으로 관통 삽입되고, 다수의 상기 체결홀은 상기 고정나사의 몸체가 삽입 고정되는 원형의 홀이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약지홀드부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결합홈의 타측 전단부에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지홀드부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하측 전단부가 오목한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지로 움켜쥐는 홀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지홀드부 및 약지홀드부의 결합부는 각각 상기 소지홀드부 및 약지홀드부의 전·후 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 형태의 제1 및 2나사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과 함께 상기 고정나사가 삽입되고, 상기 거치부는 타측 후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단부와 상기 소지홀드부의 상측 전단부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결합홈은 상기 체결홀의 일측에 가이드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소지홀드부의 결합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타측에 끼워지고, 상기 약지홀드부의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소지홀드부의 결합부는 상기 약지홀드부의 결합부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지지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약지홀드부 및 소지홀드부를 통해 검지와 중지만으로 현을 당기고 릴리스할 수 있어 약지의 사용에 따른 실수가 방지되고, 약지와 소지에 의한 힘이 효과적으로 분배되어 검지와 중지만에 의한 슈팅이 아니라 손가락 전체의 효율적인 사용에 따른 정확한 슈팅이 가능해 궁사가 최고의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를 위해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약지홀드부 및 소지홀드부의 결합위치가 결합홈에서 전·후 방향으로 조절 가능함으로써, 궁사들마다 각기 다른 손가락의 길이, 벌어짐 또는 유연성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릴리징 동작시 미세한 흔들림마저 억제함에 따라, 슈팅의 정확도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양궁용 핑거탭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을 이용하여 활의 현을 당기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측과 하측은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탭이 지지플레이트의 결합홈보다 상측에 있도록 한 사용상태를 기준으로 하며, 일측은 지지플레이트의 폭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결합홈에 약지홀드부가 위치된 방향 또는 그 방향이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타측은 일측의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전방은 지지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약지홀드부가 결합홈으로 결합되는 방향 또는 그 방향이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검지와 중지만을 이용하여 활의 현을 당기고 릴리스할 수 있도록 핑거탭에 약지와 소지에 의한 힘이 효율적으로 가해지도록 함은 물론, 약지와 소지가 핑거탭을 움켜쥐는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양궁용 핑거탭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궁사가 손으로 붙잡는 지지플레이트(10), 지지플레이트(10)의 타측면에 결합된 탭(20) 및 지지플레이트(10)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약지홀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플레이트(10)는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량을 감소시킴은 물론 통기성을 향상시키며, 강도를 강하게 하기 위해 일측면과 타측면을 관통하는 관통부(12)를 구비할 수 있고, 이 관통부(12)는 2개 이상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탭(20)은 지지플레이트(10)의 타측면 상부에 나사 등으로 고정 결합되어 지지플레이트(10)의 전단부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검지용 탭(21)과 중지용 탭(22)으로 이루어지고, 이 검지용 탭(21)과 중지용 탭(22)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갖으며 가죽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가죽을 덧대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약지홀드부(30)는 지지플레이트(10)의 전단부에서 탭(20)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홈(11)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궁사가 지지플레이트(10)의 후단부를 손바닥에 밀착시켜 지지플레이트(10)를 붙잡은 상태에서 약지로 움켜쥐게 된다.
더불어, 약지홀드부(30)는, 두께를 가지며 결합홈(11)의 타측 전단부에 거치되는 거치부(30b)와, 결합홈(11)에 끼워지는 결합부(30a)로 이루어지고, 결합부(30a)는 전·후 방향으로 약지홀드부(3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 형태의 나사공(31)이 형성되어 후술할 체결홀(11a)과 함께 고정나사(F)가 삽입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거치부(30b)는 타측 후단부가 지지플레이트(10)의 전단부에 거치된다.
이러한 약지홀드부(30)는 거치부(30b)의 전단부가 오목한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궁사의 약지가 얹혀지기 용이한 구조를 이루어 보다 효과적으로 약지를 통해 움켜쥘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약지홀드부(30)는 거치부(30b)의 전단부 일측단 및 타측단이 경사를 이루도록 처리한 약지테이퍼부(33)를 구비하고, 이러한 약지테이퍼부(33)가 레이저마킹을 통한 미세한 요철면을 이루게 함으로써, 궁사의 약지를 통해 움켜쥘 때 미끄러짐을 견고하게 방지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약지홀드부(30)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10)의 결합홈(11)은 약지홀드부(30)의 후단부인 결합부(30a)와 대응하는 형상을 이룸은 물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홀(11a)이 지지플레이트(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관통하며 형성되어 약지홀드부(30)를 결합시키는 고정나사(F)가 선택적으로 관통 삽입되고, 다수의 체결홀(11a)은 고정나사(F)의 몸체가 삽입 고정되는 원형의 홀이 이어져 있다.
이를 통해, 선택적으로 체결홀(11a)에 삽입 결합된 고정나사(F)가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궁사의 습관이나 미세한 움직임에도 그 고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정확한 슈팅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나사(F)는 상술한 나사공(31)을 관통함과 함께 일측에 단턱(31a)이 구비된 나사공(31)의 타측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10)의 체결홀(11a)에도 동시에 삽입되어 약지홀드부(30)를 지지플레이트(10)에 결합시키는 것인데, 즉, 나사공(31)을 통과하여 체결홀(11a)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너트(미도시) 등으로 체결을 이룸으로써, 약지홀드부(30)의 고정 결합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체결홀(11a)이 결합홈(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구비되는 것을 통해, 고정나사(F)의 체결 전, 궁사의 손가락, 특히, 약지의 길이, 중지와 소지 사이의 벌어짐 정도 또는 약지가 갖는 유연성 등을 고려하여 결합홈(11) 내에서 약지홀드부(3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한 다음 고정나사(F)를 삽입 체결함으로써, 궁사의 약지가 가장 효율적인 위치에서 약지홀드부(30)에 움켜쥐는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정확한 슈팅을 이룰 수 있다.
아울러, 결합홈(11)은 후단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약지홀드부(30)를 결합홈(11) 내에서 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약지홀드부(30)의 전·후방 위치 조절의 범위를 증대시켜 결합홈(11) 내에서 약지홀드부(30)의 결합위치 조절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지지플레이트(10)는 결합홈(11)의 하측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지홀드부(40)를 구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궁사가 지지플레이트(10)의 후단부를 손바닥에 밀착시켜 지지플레이트(10)를 붙잡은 상태에서 소지로 움켜쥐게 한다.
이러한 소지홀드부(40)는 오목한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궁사의 소지가 얹혀지기 용이한 구조를 이루어 보다 효과적으로 소지를 통해 움켜쥘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소지홀드부(40)는 일측단 및 타측단이 경사를 이루도록 처리한 소지테이퍼부(43)를 구비하고, 이러한 소지테이퍼부(43)가 레이저마킹을 통한 미세한 요철면을 이루게 함으로써, 궁사의 약지를 통해 움켜쥘 때 미끄러짐을 견고하게 방지한다.
이를 통해, 궁사는 상술한 약지홀드부(30)의 결합위치를 조절함에 있어서, 소지홀드부(40)를 소지로 움켜쥔 상태에서 약지만의 효과적인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한 슈팅을 도모하고자 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지지플레이트(10)의 일측면 상측에는 엄지안착홈(13)이 형성되는데, 이 엄지안착홈(13)은 곡률을 갖는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을 이용하여 활의 현(1)과 화살(2)을 당길 때, 별도로 엄지를 거치시키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엄지안착홈(13)에는 단턱(13b)이 구비된 나사공(13a)이 형성될 수 있고, 이 나사공(13a)에는 지지플레이트(10)의 타측면에 카운터핀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나사(F)가 삽입되는 것이며, 상술한 나사공(13a)은 장공 형태로 구비되어 카운터핀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10)는 상술한 엄지안착홈(13)의 나사공(13a) 하측에 그 일측면과 타측면을 관통하도록 스트랩고정부(14)를 구비하는데, 이 스트랩고정부(14)에는 스트랩이 설치되어 지지플레이트(10)의 타측으로 노출되고,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정구(미도시)가 지지플레이트(10)의 타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구비된 스트랩에는 궁사의 중지를 끼운 상태에서 검지와 중지 사이에 카운터핀치가 배치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은, 지지플레이트(10), 탭(20) 및 약지홀드부(30)를 구비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0)의 결합홈(11)에 상술한 약지홀드부(30) 뿐만 아니라, 궁사의 소지로 움켜쥐는 소지홀드부(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약지홀드부(30)는, 두께를 가지며 결합홈(11)의 타측 전단부에 거치되는 거치부(30b)와, 결합홈(11)에 끼워지는 결합부(30a)로 이루어지고, 소지홀드부(30)는, 결합홈(11)에 끼워지는 결합부(40a)와, 결합부(40a) 하측 전단부가 오목한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지로 움켜쥐는 홀딩부(40b)로 이루어진다.
이때, 약지홀드부(30)의 거치부(30b) 전단부와 소지홀드부(40)의 홀딩부(40b) 전단부는 오목한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궁사의 약지 및 소지가 얹혀지기 용이한 구조를 이루어 보다 효과적으로 약지 및 소지를 통해 각각 약지홀드부(30)와 소지홀드부(40)를 움켜쥘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약지홀드부(30)의 거치부(30b) 전단부와 소지홀드부(40)의 홀딩부(40b) 전단부는 일측단 및 타측단이 경사를 이루도록 처리한 각각의 약지테이퍼부(33)와 소지테이퍼부(43)를 구비하고, 이러한 약지테이퍼부(33)와 소지테이퍼부(43)가 레이저마킹을 통한 미세한 요철면을 이루게 함으로써, 궁사의 약지 및 소지를 통해 움켜쥘 때 미끄러짐을 견고하게 방지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약지홀드부(30)와 소지홀드부(40)가 함께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홈(11)은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홀(11a)이 관통 형성되어 약지홀드부(30)와 소지홀드부(40)를 결합시키는 고정나사(F)가 선택적으로 관통 삽입되고, 다수의 체결홀(11a)은 고정나사(F)의 몸체가 삽입 고정되는 원형의 홀이 이어져 있다.
이를 통해, 선택적으로 체결홀(11a)에 삽입 결합된 고정나사(F)가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궁사의 습관이나 미세한 움직임에도 그 고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정확한 슈팅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결합홈(11)은 체결홀(11a)의 일측에서 전단부를 제외한 그 내측면을 따라 가이드레일(11b)을 구비하여 소지홀드부(40)의 결합부(40a)가 가이드레일(11b)의 타측에 끼워지고, 약지홀드부(30)의 결합부(30a)는 가이드레일(11b)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한다.
즉, 이러한 가이드레일(11b)을 통해, 소지홀드부(40)의 결합부(40a)가 가이드레일(11b)의 타측에 끼워짐과 동시에 약지홀드부(30)의 결합부(30a)가 가이드레일(11b)의 일측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합홈(11)을 일측과 타측으로 구획하여 약지홀드부(30)와 소지홀드부(40)의 결합을 용이하게 가이드한다.
물론, 상술한 가이드레일(11b)의 구성없이 결합홈(11)에 약지홀드부(30)와 소지홀드부(40)를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하여 함께 결합시켜도 무방하지만, 가이드레일(11b)을 통해 약지홀드부(30)와 소지홀드부(40)의 순차적인 장착을 더욱 용이하게 가이드하는 것이다.
그리고, 소지홀드부(40)의 상부에는 단턱(42a)이 구비된 제1나사공(42)이 형성되고, 약지홀드부(30)의 후단부에는 단턱(32a)이 구비된 제2나사공(32)이 형성되는데, 즉, 소지홀드부(40) 및 약지홀드부(30)의 결합부(40a,30a)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소지홀드부(40) 및 약지홀드부(3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 형태의 제1 및 2나사공(42,32)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홀(11a)과 함께 고정나사(F)가 삽입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거치부(30b)는 타측 후단부가 지지플레이트(10)의 전단부와 소지홀드부(40)의 상측 전단부에 거치된다.
이렇게 제1 및 2나사공(42,32)은 장공 형태로 구비되어 고정나사(F)를 삽입 체결하는 것을 통해 소지홀드부(40) 및 약지홀드부(30)의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며, 고정나사(F)의 체결은 지지플레이트(10)의 타측면을 관통한 고정나사(F)의 타측 단부에서 고정너트(미도시) 더 체결함으로써 마무리할 수 있다.
이때, 고정나사(F)는 상술한 결합홈(11)에,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약지홀드부(30)와 소지홀드부(40)의 순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제1 및 2나사공(42,32)을 모두 관통함과 동시에 체결홀(11a)에도 관통 삽입되어 약지홀드부(30)와 소지홀드부(40)를 모두 지지플레이트(10)에 결합시키는 것인데, 제1 및 2나사공(42,32)을 통과하여 체결홀(11a)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너트(미도시) 등으로 체결을 이룸으로써, 약지홀드부(30) 및 소지홀드부(40)의 결합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체결홀(11a)이 결합홈(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통해, 고정나사(F)의 체결 전, 궁사의 손가락, 특히, 약지 및 소지의 길이, 중지, 약지 및 소지 사이의 벌어짐 정도 또는 약지 및 소지가 갖는 유연성 등을 고려하여 결합홈(11) 내에서, 먼저, 소지홀드부(4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한 다음 약지홀드부(30)를 결합홈(11)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그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한 후, 고정나사(F)를 삽입 체결함으로써, 궁사의 약지 및 소지가 가장 효율적인 위치에서 약지홀드부(30) 및 소지홀드부(40)에 움켜쥐는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정확한 슈팅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결합홈(11)은 후단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약지홀드부(30) 또는 소지홀드부(40)를 결합홈(11) 내에서 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약지홀드부(30) 및 소지홀드부(40)의 전·후방 위치 조절의 범위를 증대시켜 결합홈(11) 내에서 약지홀드부(30)와 소지홀드부(40) 결합의 위치 조절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궁사는 상술한 약지홀드부(30) 및 소지홀드부(40)의 결합위치를 조절함에 있어서, 지지플레이트(10)의 후단부를 손바닥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먼저, 소지가 소지홀드부(40)를 움켜쥘 수 있는 효과적인 위치를 설정할 수 있음과 더불어, 소지홀드부(40)를 소지로 움켜쥔 상태에서 약지가 약지홀드부(30)를 움켜쥘 수 있는 효과적인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한 슈팅을 도모하고자 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약지홀드부(30) 및 소지홀드부(40)의 장착을 설명함에 있어서, 소지홀드부(40)를 먼저 결합홈(11)에 장착한 다음 약지홀드부(30)를 그 일측에 장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궁사의 손가락, 특히, 약지 및 소지의 길이, 중지, 약지 및 소지 사이들의 벌어진 정도 또는 약지 및 소지가 갖는 유연성과 함께, 후킹 동작시 궁사의 작은 습관마저도 고려하여 그 장착 순서의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검지용 탭(21), 중지용 탭(22), 약지홀드부(30)의 거치부(30b) 및 소지홀드부(40)의 홀딩부(40b)는 상·하 방향으로 그 높이가 고르게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검지용 탭(21), 중지용 탭(22), 약지홀드부(30)의 거치부(30b) 및 소지홀드부(40)의 홀딩부(40b)의 상·하 방향 높이가 1 : 1 : 1 : 1을 이루며 고르게 분할되어 궁사의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의 두께나 각각의 손가락들이 이루는 간격을 고려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슈팅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은, 지지플레이트(10), 탭(20), 약지홀드부(30) 및 소지홀드부(40)를 구비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지홀드부(40)는 상부 일측면에 약지홀드부(30)가 끼워지는 가이드홈(41)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가이드홈(41)은 소지홀드부(40)의 결합부(40a)에 형성되어 약지홀드부(30)의 결합부(30a)가 끼워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결합홈(11)에 소지홀드부가(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약지홀드부(30)의 장착을 더욱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음은 물론, 결합홈(11)에 함께 설치되는 약지홀드부(30)와 소지홀드부(40)가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양궁용 핑거탭의 안정적인 사용이 보장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궁사는 본 발명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을 이용함에 있어서, 활의 현(1)에 화살(2)이 걸려진 상태에서 활의 현(1)을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 궁사의 엄지는 엄지안착홈(13)에 안착된 상태이고, 엄지의 방향은 화살(3)의 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궁사는 검지를 검지용 탭(21)에 올려놓고 중지를 중지용 탭(22)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현(1)을 당기게 되며, 이와 함께, 약지는 이미 최적의 위치로 지지플레이트(10)에 결합된 약지홀드부(30)의 전단부에, 소지 또한 이미 최적의 위치로 지지플레이트(10)에 구성된 소지홀드부(40)의 하측 전단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양궁용 핑거탭을 이용해 현을 당기게 되는 것이고, 이때, 궁사는 필요에 따라 홀딩 동작에서 지지플레이트(10)의 상측 단부가 턱에 닿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을 이용하게 되면, 검지와 중지만을 이용하여 탭(20)에 지지되는 현(1)을 당기게 됨으로써, 약지의 잘못된 사용에 따른 오발사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검지와 중지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약지를 약지홀드부(3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핑거탭을 사용하게 되므로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약지홀드부(30)와 소지홀드부(40)를 궁사의 약지 및 소지의 길이, 중지, 약지 및 소지 사이들의 벌어진 정도 또는 약지 및 소지가 갖는 유연성과 함께, 후킹 동작시 궁사의 작은 습관마저도 고려한 최적의 위치에 장착되도록 하여 상술한 효과는 더욱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약지와 더불어 소지 또한 소지홀드부(40)에 올려놓고, 엄지를 엄지안착홈(13)에 안착시킨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손가락 전체를 이용하여 통일성 있고 일체감 있게 활의 현(1)을 당겨 릴리스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양궁용 핑거탭이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에 힘이 효율적으로 분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통해 가능한 것이다.
1 : 현 2 : 화살
10 : 지지플레이트 11 : 결합홈
11a : 체결홀 11b : 가이드레일
12 : 관통부 13 : 엄지안착홈
13a : 나사공 13b : 단턱
14 : 스트랩고정부 20 : 탭
21 : 검지용 탭 22 : 중지용 탭
30 : 약지홀드부 30a : 결합부
30b : 거치부 31 : 나사공
31a : 단턱 32 : 제2나사공
32a : 단턱 33 : 약지테이퍼부
40 : 소지홀드부 40a : 결합부
40b : 홀딩부 41 : 가이드홈
42 : 제1나사공 42a : 단턱
43 : 소지테이퍼부 F : 고정나사

Claims (10)

  1. 손으로 붙잡는 지지플레이트(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0)에 결합된 탭(20)을 포함하는 양궁용 핑거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0)의 전단부에서 상기 탭(20)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홈(11)에 약지로 움켜쥐는 약지홀드부(30)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용 핑거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은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홀(11a)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약지홀드부(30)를 결합시키는 고정나사(F)가 선택적으로 관통 삽입되고,
    다수의 상기 체결홀(11a)은 상기 고정나사(F)의 몸체가 삽입 고정되는 원형의 홀이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용 핑거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약지홀드부(30)는, 상기 결합홈(11)에 끼워지고 상기 약지홀드부(30)의 전·후 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 형태의 나사공(3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11a)과 함께 상기 고정나사(F)가 삽입되는 결합부(30a)와, 두께를 가지며 타측 후단부가 상기 결합홈(11)의 타측 전단부에 거치되는 거치부(3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용 핑거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0)는 상기 결합홈(11)의 하측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지로 움켜쥐는 소지홀드부(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용 핑거탭.
  5. 손으로 붙잡는 지지플레이트(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0)에 결합된 탭(20)을 포함하는 양궁용 핑거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0)의 전단부에서 상기 탭(20)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홈(11)에 약지로 움켜쥐는 약지홀드부(30) 및 소지로 움켜쥐는 소지홀드부(40)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용 핑거탭.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은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홀(11a)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약지홀드부(30)와 소지홀드부(40)를 결합시키는 고정나사(F)가 선택적으로 관통 삽입되고,
    다수의 상기 체결홀(11a)은 상기 고정나사(F)의 몸체가 삽입 고정되는 원형의 홀이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용 핑거탭.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약지홀드부(30)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결합홈(11)의 타측 전단부에 거치되는 거치부(30b)와, 상기 결합홈(11)에 끼워지는 결합부(30a)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지홀드부(30)는, 상기 결합홈(11)에 끼워지는 결합부(40a)와, 상기 결합부(40a) 하측 전단부가 오목한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지로 움켜쥐는 홀딩부(4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용 핑거탭.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홀드부(40) 및 약지홀드부(30)의 결합부(40a,30a)는 각각 상기 소지홀드부(40) 및 약지홀드부(30)의 전·후 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공 형태의 제1 및 2나사공(42,32)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11a)과 함께 상기 고정나사(F)가 삽입되고,
    상기 거치부(30b)는 타측 후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10)의 전단부와 상기 소지홀드부(40)의 상측 전단부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용 핑거탭.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1)은 상기 체결홀(11a)의 일측에 가이드레일(11b)을 구비하여 상기 소지홀드부(40)의 결합부(40a)가 상기 가이드레일(11b)의 타측에 끼워지고, 상기 약지홀드부(30)의 결합부(30a)는 상기 가이드레일(11b)의 일측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용 핑거탭.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홀드부(40)의 결합부(40a)는 상기 약지홀드부(30)의 결합부(30a)가 끼워지는 가이드홈(4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용 핑거탭.
KR1020160095480A 2016-07-27 2016-07-27 양궁용 핑거탭 KR101885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480A KR101885541B1 (ko) 2016-07-27 2016-07-27 양궁용 핑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480A KR101885541B1 (ko) 2016-07-27 2016-07-27 양궁용 핑거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523A true KR20180012523A (ko) 2018-02-06
KR101885541B1 KR101885541B1 (ko) 2018-09-11

Family

ID=6122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480A KR101885541B1 (ko) 2016-07-27 2016-07-27 양궁용 핑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5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6849A1 (en) * 2019-05-23 2020-11-26 Feradyne Outdoors, Llc Bowstring relea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875Y1 (ko) 2003-06-23 2003-09-26 백종대 핑거텝
KR20150053547A (ko) * 2013-11-08 2015-05-18 (주)파이빅스 양궁용 핑거탭
KR101551624B1 (ko) * 2014-11-03 2015-09-08 윈엔윈(주) 양궁용 핑거 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875Y1 (ko) 2003-06-23 2003-09-26 백종대 핑거텝
KR20150053547A (ko) * 2013-11-08 2015-05-18 (주)파이빅스 양궁용 핑거탭
KR101573847B1 (ko) 2013-11-08 2015-12-02 (주)파이빅스 양궁용 핑거탭
KR101551624B1 (ko) * 2014-11-03 2015-09-08 윈엔윈(주) 양궁용 핑거 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6849A1 (en) * 2019-05-23 2020-11-26 Feradyne Outdoors, Llc Bowstring release
US11719506B2 (en) 2019-05-23 2023-08-08 Feradyne Outdoors, Llc Bowstring rel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541B1 (ko)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49084A1 (en) Back Tension Bow Release
US6732411B2 (en) Hand tool handle modification system
US8869781B2 (en) Archery release
US4930485A (en) Archery bow system having a center nock and string drawing apparatus
US9046318B2 (en) Platform finger tab with finger loops
US20180020649A1 (en) Fishing rod grip
US8492630B1 (en) Musical instrument pick with replaceable strap
US20150143973A1 (en) Pick-rite guitar aid
KR101551624B1 (ko) 양궁용 핑거 탭
US20140076120A1 (en) Handled plectrum and strap-retainer assembly
KR101573847B1 (ko) 양궁용 핑거탭
KR101885541B1 (ko) 양궁용 핑거탭
US20090044684A1 (en) Drum band
US3604407A (en) Bowstring pulling and releasing device
KR200327875Y1 (ko) 핑거텝
KR101968682B1 (ko) 핑거 탭
KR101968681B1 (ko) 핑거 탭
CN106152869B (zh) 弓箭用指套
KR20130067367A (ko) 고무줄 새총
KR101573851B1 (ko) 양궁용 핑거탭
KR20150102779A (ko) 손에 착용되는 라켓
US6253753B1 (en) Release mounted arrow shaft gripper
US20010032409A1 (en) Finger release sling holder and sling spear with finger release sling holder
CN112755497B (zh) 射箭用指套
US11002506B2 (en) Archery finger t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