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099A - Brock toy - Google Patents

Brock to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099A
KR20180012099A KR1020160094932A KR20160094932A KR20180012099A KR 20180012099 A KR20180012099 A KR 20180012099A KR 1020160094932 A KR1020160094932 A KR 1020160094932A KR 20160094932 A KR20160094932 A KR 20160094932A KR 20180012099 A KR20180012099 A KR 20180012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inforcing plate
reinforcing
fold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9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60114B1 (en
Inventor
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찬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찬진
Priority to KR102016009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114B1/en
Publication of KR20180012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0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1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65D5/443Integral reinforcements, e.g. folds,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joined to opposite edges of the container bod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hildren or toddlers apply an impact on the brick toy, one and the other side vertical fixing plates composing one and the other side upper portion plate portions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shortening one and the other side reinforcing plate portions at front and rear directions, paper consumption consumed in one and the oth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at front and rear directions can be reduced. By reinforcing a central space portion within the brick toy, the center of the brick toy is prevented from severely crushed even if a child or a kid steps on the center of a wall body block.

Description

벽돌 완구{Brock toy} Brick Toys {Brock toy}

본 발명은 벽돌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들이나 유아들의 블록 완구에 충격을 가할 경우에 일,타측 상부판부를 구성하는 일,타측 수직 고정판이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후방 일,타측 보강판부를 짧게 하여 전,후방 일,타측 보강판부에 사용되는 종이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벽돌 완구의 내부 중앙 공간부를 보강하여 어린이나 아이가 벽체 블록의 중앙을 밟더라도 벽돌 완구의 중앙이 심하게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벽돌 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ck to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ick toy which can prevent the other vertical fixing plat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work, constituting the other upper plate porti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a block toy of children or infant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paper used for the front, rear, and oth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by shortening the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 at the rear side and reinforcing the inner central space portion of the brick toy, so that even if a child or a child steps on the center of the block, To prevent the center of the brick from being strongly distorted.

일반적으로 벽돌 완구는 골판지나 두꺼운 종이로 제작되어 어린이들이나 유아들이 벽돌 쌓기 놀이를 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Generally, brick toys are made of corrugated cardboard or thick paper, and are used for children and infants to play bricklaying and have a rectangular shape.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벽돌 완구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벽돌 완구의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35484호의 "유아 학습용 블록 완구"(이하, "종래의 블록 완구"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f a conventional brick toy. First, 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rick toy, an "infant learning block to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ventional block toy")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35484 As follows.

종래의 블록 완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골판지(2)를 블록완구(1)로 절첩하기 위해서는 우선 외주면에는 벽돌이 적층 된 것처럼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벽돌 문양(3)을 인쇄한 골판지(2)를 전개한 상태에서 전면과 배면에 위치한 절첩편(5, 5a)을 순차적으로 접어서 상부의 전,후방에 전후 방향으로 긴 끼움홈(8)을 형성한 후, 다시 좌측면과 우측면에 위치한 절첩편(5b,5c)을 접어서 전면과 배면의 절첩편(5, 5a)에 형성된 끼움홈(8)에 절첩된 좌측면(5b)과 우측면(5c) 끝단부(10)를 끼워서 블록완구(1)을 완성한다. 6, in order to fold the expanded corrugated cardboard 2 into the block toy 1, the brick pattern 3 is first printed (pri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visually felt as if the bricks are stacked Folded folds 5 and 5a located on the front and back faces are sequentially folded in a state in which a corrugated cardboard 2 is developed to form long fitting grooves 8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portion, Folding the folding tabs 5b and 5c located on the right side and sandwiching the left side face 5b and the right side face 5c end portions 10 folded in the fitting groove 8 formed in the folding tabs 5 and 5a on the front and back sides, The block toy 1 is completed.

그런데, 종래의 블록 완구는 전면과 배면의 절첩편(5, 5a)의 중앙에 형성된 끼움홈(8)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후방의 중앙에 형성된 끼움홈(8)에는 좌측면(5b)과 우측면(5c) 끝단부(10)가 직선형으로 끼워지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lock toy, the fitting groove 8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olding tabs 5, 5a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is formed to be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fitting groove 8 formed in the front- (5b) and the end portion (10) of the right side surface (5c) are fitted in a straight line.

따라서, 종래의 블록 완구는 전개된 골판지를 절첩하여 블록 완구를 조립한 상태에서, 좌측면(5b)과 우측면(5c) 끝단부(10)가 상기 전면과 배면의 절첩편(5, 5a)에 중아에 형성된 끼움홈(8)에 전후 방향의 직선형으로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어린이들이나 유아들의 블록 완구에 충격을 가할 경우에는 절첩된 좌측면(5b)과 우측면(5c)의 끝단부(10)가 상부 전,후방의 중앙에 형성된 직선형으로 형성된 끼움홈(8)에서 쉽게 빠지게 됨으로써 절첩되어 조립된 블록 완구가 쉽게 해체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block toy, when the expanded corrugated cardboard is folded and the block toy is assembled, the left side face 5b and the right side face 5c end portion 10 are folded on the folded faces 5, 5a of the front face and the back face The front end 10 of the folded left side face 5b and the right side face 5c can be folded in such a manner that when a shock is applied to the block toys of children or infants, Which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upper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upper part, is easily detached from the fitting groove 8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thus the assembled block toy is easily disassembled.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35484호의 "유아 학습용 블록 완구"(2007.01.19)"Block toy for infant learning"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35484 (2007.01.1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들이나 유아들의 블록 완구에 충격을 가할 경우에 일,타측 상부판부를 구성하는 일,타측 수직 고정판이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충격에도 벽돌 완구가 쉽게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벽돌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other side vertical fixing plat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work, constituting the other upper plate portion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block toy of children or infants, thereby preventing the brick toy from being easily disassembled To provide brick toy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타측 상부판부를 구성하는 일,타측 수직 고정판에 형성된 일,타측 전방 절곡 끼움판의 상단이 상기 전,후방 상부 수평판의 하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전,후방 절곡판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벽돌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one or both of the upper and lower front upper and lower folded plates are closely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upper horizontal plates,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ar bending pla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방 일,타측 보강판부를 짧게 하여 전,후방 일,타측 보강판부에 사용되는 종이의 사용량을 줄임에 따라, 좀 더 저가로 블록완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벽돌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orten the front, rear and oth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so as to reduce the amount of paper used for the front, rear and oth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Toys and toy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돌 완구의 내부에 형성된 중앙 공간부를 보강함으로써, 어린이나 아이가 벽체 블록의 중앙을 밟더라도 벽돌 완구의 중앙이 심하게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벽돌 완구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벽돌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ysetting apparatus and a toysetting apparatus which can prevent a center of a brick toy from being severely crushed even if a child or a child steps on the center of the wall block by reinforcing a central space portion formed inside the brick toy, So that the brick to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돌 완구의 내부 중앙 공간부의 양측을 보강함으로써, 어린이나 아이가 벽체 블록의 중앙을 밟더라도 벽돌 완구의 중앙 모서리부분이 심하게 찌그러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벽돌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ck toy which can prevent the damage of the center corner portion of the brick toy even when the child or the child steps on the center of the wall block by reinforcing both sides of the inner central space portion of the brick toy, Toy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는 하판과 전,후판 및 일,타측판과, 상기 전판의 일,타측에 형성되어 절첩을 통해 내부 전방의 일,타측을 보강하는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와, 상기 후판의 일,타측에 형성되어 절첩을 통해 내부 후방의 일,타측을 보강하는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와, 상기 전판의 상부에 후방으로 절첩되게 형성되고 제 1 종방향홀이 형성된 전방 상부 보강판부와, 상기 후판의 상부에 전방으로 절첩되게 형성되고 제2 종방향홀이 형성된 후방 상부 보강판부와, 상기 일,타측판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절첩되고 각각은 상기 제1,2 종방향홀에 삽입되는 일,타측 수직 고정판을 포함하는 일,타측 상부판부를 포함하는 벽돌 완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방향홀의 전방 양측에는 제1 횡방향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종방향홀의 후방 양측에는 제2 횡방향 끼움홀이 형성되며, 상기 일,타측 수직 고정판의 전방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골되어 상기 제1 횡방향 끼움홀에 삽입되는 전방 절곡 끼움판이 형성되고, 상기 일,타측 수직고정판의 후방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골되어 상기 제2 횡방향 끼움홀에 삽입되는 후방 절곡 끼움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plate, a front plate, a front plate, a side plate, and a side plate, an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plate, A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plate to reinforce the other side of the rear side through folding;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to be folded rearward, A rear upper reinforcing plat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ck plate so as to be folded forward and formed with a second longitudinal hole, and a rear upper reinforcing plate portion folded i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plate, The brick to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rst vertical hole has a first lateral insertion hol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longitudinal hole, The second species A second lateral fitting hole is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directional hole, a front bent-fitted plate inserted into the first lateral fitting hole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one and the other side vertical fixing plates, And a rear bending plate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vertical fixing plate so as to be outwardly bent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lateral fitting 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의 각각의 상기 전방 절곡 끼움판(7)의 상부에는 각각의 전방 절곡 끼움판이 상기 제1 횡방향 끼움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전방 절곡 끼움판의 상단이 제1 횡방향 끼움홀의 하부에 위치되게 하는 전방이 개방된 전방 함몰홈이 더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후방 절곡 끼움판의 상부에는 각각의 후방 절곡 끼움판이 상기 제2 횡방향 끼움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후방 절곡 끼움판의 상단이 제2 횡방향 끼움홀의 하부에 위치되게 하는 후방이 개방된 후방 함몰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front bending plates 7 of the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where the respective front bending plate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lateral fitting holes, And a front reces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ateral insertion hole and having an upper end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ateral insertion hole, And a rear recess formed i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lateral insertion hole, the rearward recess being formed in the second lateral insertion 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의 상기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의 후방과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의 전방 사이에 중앙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central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s of the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between 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의 상기 일,타측 수직 고정판의 하부 중앙에는 일,타측 수직 고정판이 수직으로 절첩되어 상기 제1,2 종방향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이 하판의 상면이 밀착되는 중앙 수직 보강판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lower center of the one and the other side vertical fixing plates of the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and the other side vertical fixing plates are vertically folded, and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holes, And a central vertical reinforcing plate to be adhered is formed to be long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의 상기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의 외측 수직판의 후방에는 후방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후방 끼움홈이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 전방 보강판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되고, 상기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의 외측 수직판의 전방에는 전방에 상기 후방 끼움홈에 끼워지는 하부가 개방된 전방 끼움홈이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 후방 보강판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central front reinforcing plate having a rear fitting groove, which is vertically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upper portion,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outer vertical plate of the front and other side reinforcing plate portions of the "brick toy " And a central rear reinforcing plate vertically formed in the front of the outer vertical plate of the other side reinforcement plate portion and having a front fitting groove which is open at the lower portion and is fitted to the rear fitting groove at the front is protruded forward do.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나 유아들의 블록 완구에 충격을 가할 경우에 일,타측 상부판부를 구성하는 일,타측 수직 고정판이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 충격에도 벽돌 완구가 쉽게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된 벽돌 완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events one or both of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plates from escaping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children's or infant's block toy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rick toy having an improved durability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또한, 본 발명은, 일,타측 상부판부를 구성하는 일,타측 수직 고정판에 형성된 일,타측 전방 절곡 끼움판의 상단이 상기 전,후방 상부 수평판의 하면에 밀착되게 함에 따라, 전,후방 절곡판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타측 상부판부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 plates is form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upper horizontal plat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side of the plate from being detach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ix the other upper plate portion more firmly.

또한, 본 발명은, 전,후방 일,타측 보강판부를 짧게 하여 전,후방 일,타측 보강판부에 사용되는 종이의 사용량을 줄임에 따라, 좀 더 저가로 블록완구를 제조함으로써 좀 더 가격이 싼 벽돌 완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amount of paper used for the front, rear, and oth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by shortening the front, rear, and oth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block toy at a lower cost, There is also the effect of providing brick toys.

또한, 본 발명은, 벽돌 완구의 내부 중앙 공간부를 보강함으로써, 어린이나 아이가 벽체 블록의 중앙을 밟더라도 벽돌 완구의 중앙이 심하게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벽돌 완구가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Further, by reinforcing the inner central space portion of the brick to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enter of the brick toy from being severely crushed even if the child or the child steps on the center of the wall block, There is also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벽돌 완구의 내부 중앙 공간부의 양측을 보강함으로써, 어린이나 아이가 벽체 블록의 중앙을 밟더라도 벽돌 완구의 중앙 모서리부분이 심하게 찌그러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center edge of the brick toy even when a child or a child steps on the center of the wall block by reinforcing both sides of the inner central space of the brick to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를 나타낸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의 전방 부분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의 후방 부분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의 일측 부분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의 타측 부분을 접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블록 완구의 절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n exploded view of a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ont portion of a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portion of a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one side portion of the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4A is a perspective view,
4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4A.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lding the other side there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a conventional block to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의 전방 부분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의 후방 부분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의 일측 부분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의 타측 부분을 접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 is a developed view of a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front part of a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part of a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and 4B show a state in which one side portion of the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4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4A.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lded on the other side thereof.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는 골판지나 두꺼운 종이로 구성되는 것으로,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판(1)과, 하판(1)의 전,후방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절첩되는 전,후판(2)(3)과, 하판(1)의 양측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절첩되는 일,타측판(4)(5)과, 상기 전판(2)의 일,타측에 형성되어 절첩을 통해 내부 전방의 일,타측을 보강하는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와, 상기 후판(3)의 일,타측에 형성되어 절첩을 통해 내부 후방의 일,타측을 보강하는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와, 상기 전판(2)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첩되게 형성되어 절첩된 상기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에 조립되는 전방 상부 보강판부(21)와, 상기 후판(3)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절접되게 형성되어 절첩된 상기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에 조립되는 후방 상부 보강판부(31)와, 상기 일,타측판(4)(5)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절첩되어 상부를 커버하는 일,타측 상부판부(41)(51)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a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corrugated cardboard or thick paper, and includes a lower plate 1 formed to be long in the front and rear, and a lower plate 1 formed in front and rear of the lower plate 1, The other side plates 4 and 5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1 and folded vertically and the other side plates 4 and 5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plate 2, A front side reinforcing plate portion 22a and a rear side reinforcing plate portion 22b for reinforcing the other side of the inner front side through the rear plate 3, A front upper reinforcing plate portion 32a and a front upper reinforcing plate portion 32b which are assembled to the front and oth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a and 22b folded rea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2 And a rear upper part (32b) assembled to the rear side, other side reinforcing plate parts (32a) and (32b) formed to be folded forward at the upper part of the thick plate (3) And reinforcing plate portions 31 and upper and lower upper plate portions 41 and 51 which are folded inward at the upper portions of the other side plates 4 and 5 to cover the upper portion.

상기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는 전판(2)의 일,타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후방으로 접혀지는 외측 수직판(221)과, 외측 수직판(221)이 상부에서 수평으로 접혀지는 수평판(222)과, 수평판(222)의 내측에서 수직으로 접혀지는 내측 수직판(22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부와 내측에 횡방향으로 제1 횡방향홀(2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수직판(223)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접혀지는 하부 수평판(223a)이 더 형성된다. The front side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a and 22b include an outer side plate 221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front plate 2 and folded backward, A horizontal plate 222 which is folded and an inner vertical plate 223 which is vertically folded inside the horizontal plate 222. In the state where the front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a and 22b are folded, the first lateral holes 224 are formed laterally on the upper and inner sides. A lower horizontal board 223a is further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vertical board 223.

상기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는 후판(3)의 일,타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방으로 접혀지는 외측 수직판(321)과, 외측 수직판(321)이 상부에서 수평으로 접혀지는 수평판(322)과, 수평판(322)의 내측에서 수직으로 접혀지는 내측 수직판(323)을 포함한다. 그리고 후방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부와 내측부에 횡방향으로 제2 횡방향홀(3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수직판(323)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접혀지는 하부 수평판(323a)이 더 형성된다.The other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s 32a and 32b are formed by an outer side plate 321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thick plate 3 and folded forward, And includes an inner vertical plate 323 folded vertically inside the horizontal plate 322. In a state where the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s 32a and 32b are folded backward, the second transverse holes 324 are formed laterally in the upper and inner side portions. A lower horizontal board 323a is further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vertical board 323.

상기 전방 상부 보강판부(21)는 상기 전판(2)의 상부에서 후방을 접혀지는 전방 상부 수평판(211)과, 전방 상부 수평판(211)의 후방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횡방향홀(224)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전방 삽입 고정판(2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상부 수평판(211)과 전방 삽입 고정판(212)의 상부에는 종방향으로 제1 종방향홀(2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 삽입 고정판(212)의 전방의 양측에는 상기 제1 횡방향홀(224)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일,타측 보강판(22a)(22b)의 내측 수직판(223)에 끼워지는 제1,2 끼움홈(214a)(214b)이 형성되는 것이다. The front upper reinforcing plate portion 21 includes a front upper horizontal plate 211 folded rea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2 and a second upper horizontal plate 211 bent perpendicularly from the rear of the front upper horizontal plate 211, And a front inserting and fixing plate 212 which is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24. A first longitudinal hole 213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upper horizontal board 211 and the front side insertion fixing board 212. 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front inserting and fixing plate 212, there is formed a first through hole 224 which is inserted in the first transverse hole 224 and inserted into the inner vertical plate 223 of the front, other side reinforcing plates 22a,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grooves 214a and 214b are formed.

상기 후방 상부 보강판부(31)는 상기 후판(3)의 상부에서 전방을 접혀지는 후방 상부 수평판(311)과, 후방 상부 수평판(311)의 전방에서 수직을 절곡되어 상기 제2 종방향홀(313)에 삽입되는 후방 삽입 고정판(3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상부 수평판(311)과 후방 삽입 고정판(312)의 상부에는 종방향으로 제2 종방향홀(3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 삽입 고정판(212)의 후방의 양측에는 상기 제2 횡방향홀(324)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 일,타측 보강판(32a)(32b)의 내측 수직판(323)에 끼워지는 제3,4 끼움홈(314a)(314b)이 형성되는 것이다.The rear upper reinforcing plate 31 includes a rear upper horizontal plate 311 that is folded forwar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hick plate 3 and a second upper vertical plate 311 bent vertically at the front of the rear upper horizontal plate 311, And a rear insertion and fixing plate 31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3. A second longitudinal hole 313 is formed longitudinally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upper horizontal plate 311 and the rear insertion plate 312. 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lates 32a and 32b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transverse holes 324 at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front inserting and fixing plate 212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vertical plate 323 of the rear, 3 and 4 fitting grooves 314a and 314b are formed.

상기 일측 상부판부(41)는 상기 일측판(4)의 상부에서 내측의 수평으로 절곡되는 상부 일측 수평판(411)과, 상부 일측 수평판(411)의 내측 단부에 수직으로 절첩되어 상기 제1,2 종방향홀(213)(313)에 삽입되는 일측 수직 고정판(412)을 포함한다. The one upper side plate 41 has an upper one side horizontal plate 411 bent horizontally inward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one side plate 4 and an upper end side vertical plate 411 vertically folded on the inner side end of the upper one side horizontal plate 411, And one vertical fixing plate 412 inserted into the two-dimensional direction holes 213 and 313. [

상기 타측 상부판부(51)는 상기 타측판(5)의 상부에서 내측의 수평으로 절곡되는 상부 타측 수평판(511)과, 상부 타측 수평판(511)의 내측 단부에 수직으로 절첩되어 상기 제1,2 종방향홀(213)(313)에 삽입되는 타측 수직 고정판(512)을 포함한다. The other upper plate portion 51 is folded vertically to an inner end of the upper second horizontal plate 511 and a second upper horizontal plate 511 bent i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plate 5, And the other side vertical fixing plate 512 inserted into the two-dimensional direction holes 213 and 313.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종방향홀(213)의 전방에는 양측의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횡방향 끼움홀(6a)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종방향홀(313)의 후방에는 양측의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횡방향 끼움홀(6b)이 더 형성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1 to 4, the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lateral insertion hole 6a protruding laterally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longitudinal hole 213 And a second lateral fitting hole 6b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econd longitudinal hole 313 so as to protrude laterally from both sides.

상기 일,타측 수직 고정판(412)(512)의 전방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골되어 상기 제1 횡방향 끼움홀(6a)에 삽입되는 전방 절곡 끼움판(7)이 형성되고, 상기 일,타측 수직 고정판(412)(412)의 후방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골되어 상기 제2 종방향홀(313)에 삽입되는 후방 절곡 끼움판(8)이 형성된다.A front bending plate 7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other side vertical fixing plates 412 and 512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lateral fitting hole 6a in the outward direction, A rear bending plate 8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holes 313 and 412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longitudinal hole 313.

또한 상기 각각의 전방 절곡 끼움판(7)의 상부에는 각각의 전방 절곡 끼움판(7)이 상기 제1 횡방향 끼움홀(6a)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전방 절곡 끼움판(7)의 상단이 제1 횡방향 끼움홀(6a)의 하부에 위치되게 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전방 함몰홈(71)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절곡 끼움판(7)이 제1 횡방향 끼움홀(6a)에 삽입되어 상단의 제1 횡방향 끼움홀(6a)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각 전방 절곡 끼움판(7)이 일부 펼쳐지게 됨에 따라 전방 절곡 끼움판(7)의 상단이 상기 전방 상부 수평판(211)의 하면 밀착됨으로써, 전방 절곡판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front-side bending plates 7, in the state where the front-side bending plates 7 are inserted into the first lateral-side fitting holes 6a, The front recessed groove 71 may be further opened to allow the upper end to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lateral insertion hole 6a. Therefore, when the front-side bent plate 7 is inserted into the first lateral-side fitting hole 6a and positioned below the first lateral-side fitting hole 6a, The upper end of the front bending plate 7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upper horizontal plate 211, thereby preventing the front bending plate from being deviated from the outside.

상기 각각의 후방 절곡 끼움판(8)의 상부에는 각각의 후방 절곡 끼움판(8)이 상기 제2 횡방향 끼움홀(6b)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후방 절곡 끼움판(8)의 상단이 제2 횡방향 끼움홀(6b)의 하부에 위치되게 할 수 있도록 후방이 개방된 후방 함몰홈(81)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절곡 끼움판(8)이 제2 횡방향 끼움홀(6b)에 삽입되어 상단의 제1 횡방향 끼움홀(6a)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각 후방 절곡 끼움판(8)이 일부 펼쳐지게 됨에 따라 전방 절곡 끼움판(7)의 상단이 상기 후방 상부 수평판(311)의 하면 밀착됨으로써, 각 후방 절곡 끼움판(8)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rear bending inserts 8, each rear bending insert 8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ateral insertion holes 6b, And a rear depression groove 81 opened rearward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second lateral insertion hole 6b may be further formed. Therefore, when the rear-side bent-fit plate 8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ateral-side fitting hole 6b and positioned below the first lateral-side fitting hole 6a, The upper end of the front bending insert plate 7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upper horizontal plate 311, thereby preventing the rearward bending plate 8 from deviating from the outsid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assembly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를 구성하는 골판지나 두꺼운 종이를 펼친 상태에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벽돌 완구를 만들 경우에는, 먼저, 하판(1)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판(2)을 수직으로 세운다. 1 to 5, when making a brick toy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a state in which a corrugated cardboard or a thick paper constituting a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the brick toy is first placed in front of the lower plate 1 The front plate (2) is set up vertically.

다음 전판(2)의 일,타측에 형성된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를 접첩하여 상기 하판(1)의 상부 전방의 양측에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를 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의 상부에 전방 상부 보강판부(21)를 접어 밀착시키면서 전방 삽입 고정판(212)을 상기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에 형성되는 제1 횡방향홀(224)에 삽입시킨다. The front side and the other side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a and 22b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next front plate 2 are attached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ont side of the lower plate 1 and the other side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a and 22b Respectively. While the front upper reinforcing plate portion 21 is fold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a and 22b at the front side, 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a and 22b Is inserted into the first transverse hole (224) formed.

다음 후판(3)을 수직으로 세운다. 그리고, 상기 후판(3)의 일,타측에 형성된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를 접첩하여 상기 하판(1)의 상부 후방의 양측에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를 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의 상부에 후방 상부 보강판부(31)를 접어 밀착시키면서 후방 삽입 고정판(312)을 상기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에 형성되는 제2 횡방향홀(324)에 삽입시킨다.Next, the thick plate (3) is set up vertically. One side of the thick plate 3 and the other side of the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s 32a and 32b are joi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oth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32a and 32b ). The rear-side upper reinforcing plate portion 31 is folded and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side other-side reinforcing plate portions 32a and 32b while the rear-side inserting and fixing plate 312 is attached to the rear-side oth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32a and 32b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ransverse hole (324) formed.

다음 상기 일측판(4)을 세운다. 그리고, 일측판(4)의 상부에 형성된 일측 상부판부(41)를 내측으로 접어 상부를 커버하면서, 일측 수직 고정판(412)(을 상기 전,후방 상부 보강판부(21)(31)의 상기 제1,2 종방향홀(213)(313)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일측 수직 고정판(412)을 상기 제1,2 종방향홀(213)(313)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일측 수직 고정판(412)의 전,후방에 형성된 전,후방 절곡 끼움판(7)(8)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상기 전,후방 상부 보강판부(21)(31)에 형성된 제1,2 횡방향 끼움홀(6a)(6b)에 삽입한다.Next, the one side plate 4 is set up. One side upper plate portion 4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plate 4 is folded inward to cover the upper portion and one side vertical fixing plate 412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upper plate portions 21, And then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holes 213 and 313.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one vertical fixing plate 412 into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holes 213 and 313, 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s 21 and 31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upp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21 and 31 are bent outwar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lateral fitting holes 6a and 6b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upp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21 and 31, ) 6b.

다음 상기 타측판(5)을 세운다. 그리고, 타측판(5)의 상부에 형성된 타측 상부판부(51)를 내측으로 접어 상부를 커버하면서, 타측 수직 고정판(512)을 상기 전,후방 상부 보강판부(21)(31)의 상기 제1,2 종방향홀(213)(313)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타측 수직 고정판(512)을 상기 제1,2 종방향홀(213)(313)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타측 수직 고정판(512)의 전,후방에 형성된 후방 절곡 끼움판(7)(8)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상기 전,후방 상부 보강판부(21)(31)에 형성된 제1,2 횡방향 끼움홀(6a)(6b)에 삽입한다.Next, the other side plate 5 is set up. The other side upper plate portion 5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plate 5 is folded inward to cover the upper portion and the other side vertical fixing plate 512 i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upper plate portions 21, And the two-directional holes 213 and 313,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other side vertical fixing plate 512 into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holes 213 and 313, the rear side bent plate 7 (8)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other side vertical fixing plate 512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fitting holes 6a and 6b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upp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21 and 31, respective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일,타측 수직 고정판(412)(512)의 전방에 형성된 각각의 전,후방 절곡 끼움판(7)을 상기 제1 종방향홀(213)의 전방 양측에 형성된 제1 횡방향 끼움홀(6a)에 삽입하고, 상기 일,타측 수직 고정판(412)(512)의 후방에 형성된 각각의 후방 절곡 끼움판(8)을 상기 제2 종방향홀(313)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제2 횡방향 끼움홀(6b)에 삽입함으로써, 어린이들이나 유아들의 블록 완구에 충격을 가할 경우에 상기 일,타측 수직 고정판(412)(512)이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된 벽돌 완구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bending plates 7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other side vertical fixing plates 412 and 512 is inserted into the first lateral direction 213 formed on the front sides of the first longitudinal hole 213,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ixing plates 412 and 512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s 6a and the rear bent fitting plates 8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ixing plates 412 and 512 are inserted 51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block toys of children or infants by inserting the two vertical fitting plates 412, 512 into the two lateral fitting holes 6b,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rick toy Which is a useful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1)의 상부 전방의 양측에 절첩되어 구비되는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의 전후방의 길이를 짧게 하고, 상기 하판(1)의 상부 후방의 양측의 절첩되어 구비되는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의 전후방의 길이를 짧게 하여, 상기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의 후방과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의 전방 사이에 중앙 공간부(S)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전,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를 짧게 함으로써, 전,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32a)(32b)에 사용되는 종이의 사용량을 줄임에 따라, 좀 더 저가로 블록완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1 to 4, a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ront and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a and 22b which are folded on both sides of an upper front side of the lower plate 1, 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a and 22b are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s 32a and 32b which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lower plate 1,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central space S between the rear and rear sides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portion 22b and the front side of the oth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32a and 32b.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paper used for the front, rear and other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a, 22b, 32a and 32b is reduced by shortening 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s 32a and 32b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block toys at a lower cost.

그리고 상기 일,타측 수직 고정판(412)(512)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중앙 공간부(S)를 보강할 수 있도록, 일,타측 수직 고정판(412)(512)이 수직으로 절첩되어 상기 제1,2 종방향홀(213)(313)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이 하판(1)의 상면이 밀착되는 중앙 수직 보강판(9)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중앙 수직 보강판(9)을 통해 벽돌 완구의 중앙 공간부(S)를 보강함으로써, 어린이나 아이가 벽체 블록의 중앙을 밟더라도 벽돌 완구의 중앙이 심하게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벽돌 완구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The other vertical fixing plates 412 and 512 are vertically folded vertically on the lower center of the other vertical fixing plates 412 and 512 so as to reinforce the central space S, It is preferable that a central vertical reinforcing plate 9 with a lower end there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 is formed to be long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two-dimensional direction holes 213 and 313. Therefore, by reinforcing the central space S of the brick toy through the central vertical stiffening plate 9,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enter of the brick toy from being severely crushed even if the child or the child steps on the center of the wall block Of course, the brick toy may b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의 외측 수직판(221)의 후방에는 후방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후방 끼움홈(231)이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 전방 보강판(23)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의 외측 수직판(321)의 전방에는 전방에 상기 후방 끼움홈(231)에 끼워지는 하부가 개방된 전방 끼움홈(331)이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 후방 보강판(33)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1 to 4, the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upper portion on the rear side of the outer vertical plate 221 of the front side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a and 22b on the front side, A central front reinforcing plate 23 having a rear fitting groove 231 formed vertically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and a front front plate 321 of the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s 32a, A central rear reinforcing plate 33 having a front fitting groove 331, which is open to a lower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rear fitting groove 231,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따라서 상기 전,후방 보강판(23)(33)을 통해 상기 중앙 공간부(S)의 양측을 보강함으로써, 어린이나 아이가 벽체 블록의 중앙을 밟더라도 벽돌 완구의 중앙 모서리부분이 심하게 찌그러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by reinforcing both sides of the central space S through 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lates 23 and 33, even if a child or a child steps on the center of the wall block, the center corner portion of the brick toy is severely damaged Can be prevented.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완구가 직육면체의 형상의 접혀져 조립된 상태에서 벽돌 완구의 표면에는 어린이나 아이들이 벽돌 완구라는 인식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벽돌 모양이 인쇄를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in the state that the brick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nd assembl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many bricks ar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brick toys so that children or children can recognize it as brick toys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하판
2 : 전판
21 : 전방 상부 보강판부
211 : 전방 상부 수평판, 212 : 전방 삽입 고정판,
213 : 제1 종방향홀, 214a : 제1 끼움홈, 214b : 제2 끼움홈
22a : 전방 일측 보강판부, 22b : 전방 타측 보강판부
221 : 외측 수직판, 222 : 수평판, 223 : 내측 수직판,
224 : 제1 횡방향홀
23 : 중앙 전방 보강판
231 : 후방 끼움홈
3 : 후판
31 : 후방 상부 보강판부
311 : 후방 상부 수평판, 312 : 후방 삽입 고정판,
313 : 제2 종방향홀, 314a : 제3 끼움홈, 314b : 제4 끼움홈
32a : 후방 일측 보강판부, 32b : 후방 타측 보강판부
321 : 외측 수직판, 322 : 수평판, 323 : 내측 수직판,
324 : 제2 횡방향홀
33 : 중앙 후방 보강판
331 : 전방 끼움홈
4 : 일측판
41 : 일측 상부판부
411 : 상부 일측 수평판, 412 : 일측 수직 고정판
5 : 타측판
51 : 타측 상부판부
511 : 상부 타측 수평판, 512 : 타측 수직 고정판
6a : 제1 횡방향 끼움홀, 6b : 제2 횡방향 끼움홀
7 : 전방 절곡 끼움판
71 : 전방 함몰홈
8 : 후방 절곡 끼움판
81 : 후방 함몰홈
9 : 중앙 수직 보강판
S : 중앙 공간부
1: lower plate
2: front plate
21: front upper reinforcing plate
211: front upper horizontal plate, 212: front insertion plate,
213: first-type directional hole, 214a: first fitting groove, 214b: second fitting groove
22a: front side reinforcing plate portion, 22b: front another side reinforcing plate portion
221: an external vertical plate, 222: a horizontal plate, 223: an inner vertical plate,
224: first transverse hole
23: central front reinforcing plate
231: rear fitting groove
3: Plates
31: rear upper reinforcing plate
311: rear upper horizontal plate, 312: rear insertion plate,
313: second longitudinal hole, 314a: third fitting groove, 314b: fourth fitting groove
32a: rear side reinforcing plate portion, 32b: rear side other reinforcing plate portion
321: an outer vertical plate, 322: a horizontal plate, 323: an inner vertical plate,
324: second transverse hole
33: central rear reinforcing plate
331: front fitting groove
4: one side plate
41: one upper plate
411: upper one side horizontal plate, 412: one side vertical fixing plate
5:
51: the other upper plate
511: upper side horizontal flat plate, 512: other side vertical flat plate
6a: first lateral fitting hole, 6b: second lateral fitting hole
7: front bending plate
71: front recessed groove
8: rear bending plate
81: rear recessed groove
9: Central vertical stiffening plate
S: central space section

Claims (5)

하판(1)과 전,후판(2)(3) 및 일,타측판(4)(5)과, 상기 전판(2)의 일,타측에 형성되어 절첩을 통해 내부 전방의 일,타측을 보강하는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와, 상기 후판(3)의 일,타측에 형성되어 절첩을 통해 내부 후방의 일,타측을 보강하는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와, 상기 전판(2)의 상부에 후방으로 절첩되게 형성되고 제 1 종방향홀(213)이 형성된 전방 상부 보강판부(21)와, 상기 후판(3)의 상부에 전방으로 절첩되게 형성되고 제2 종방향홀(313)이 형성된 후방 상부 보강판부(31)와, 상기 일,타측판(4)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절첩되고 각각은 상기 제1,2 종방향홀(213)(313)에 삽입되는 일,타측 수직 고정판(412)(512)을 포함하는 일,타측 상부판부(41)(51)를 포함하는 벽돌 완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방향홀(213)의 전방 양측에는 제1 횡방향 끼움홀(6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종방향홀(313)의 후방 양측에는 제2 횡방향 끼움홀(6b)이 형성되며,
상기 일,타측 수직 고정판(412)(512)의 전방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골되어 상기 제1 횡방향 끼움홀(6a)에 삽입되는 전방 절곡 끼움판(7)이 형성되고,
상기 일,타측 수직고정판(412)(512)의 후방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골되어 상기 제2 횡방향 끼움홀(6b)에 삽입되는 후방 절곡 끼움판(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완구.
The front and rear plates 2 and 3 and the one and the other side plates 4 and 5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plate 2 so as to reinforc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a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 32a (32b)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ck plate 3 for reinforcing the other side of the inner rear portion through folding, A front upper reinforcing plate portion 21 formed to be folded rearwar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2 and having a first longitudinal hole 213 formed thereon and a front upper reinforcing plate portion 21 formed to be folded forwar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hick plate 3 A rear upper reinforcing plate portion 31 formed with a second longitudinal hole 313 and a plurality of second longitudinal holes 313 which are folded i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plate 4, And the other upper plate portions 41 and 51 including the other side vertical fixing plates 412 and 512 inserted in the brick toy,
A first lateral fitting hole 6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longitudinal hole 213,
A second lateral fitting hole 6b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second longitudinal hole 313,
A front bending plate 7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other side vertical fixing plates 412 and 512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lateral insertion hole 6a,
And a rear bending plate (8)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other side vertical fixing plates (412) and (512)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lateral fitting hole (6b).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전방 절곡 끼움판(7)의 상부에는 각각의 전방 절곡 끼움판(7)이 상기 제1 횡방향 끼움홀(6a)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전방 절곡 끼움판(7)의 상단이 제1 횡방향 끼움홀(6a)의 하부에 위치되게 하는 전방이 개방된 전방 함몰홈(71)이 더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후방 절곡 끼움판(8)의 상부에는 각각의 후방 절곡 끼움판(8)이 상기 제2 횡방향 끼움홀(6b)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후방 절곡 끼움판(8)의 상단이 제2 횡방향 끼움홀(6b)의 하부에 위치되게 하는 후방이 개방된 후방 함몰홈(8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front bending inserts 7, each front bending insert 7 is inserted into the first lateral insertion holes 6a, Is formed with a forward recessed groove (71) which is open at the front and is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lateral insertion hole (6a)
In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rear bending inserts 8, each of the rear bending inserts 8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ateral insertion holes 6b, And a rear depression groove (81) for opening rearward to be positioned below the second lateral fitting hole (6b).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의 후방과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의 전방 사이에 중앙 공간부(S)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완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central space S is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a and 22b and between 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late portions 32a and 32b.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타측 수직 고정판(412)(512)의 하부 중앙에는 일,타측 수직 고정판(412)(512)이 수직으로 절첩되어 상기 제1,2 종방향홀(213)(313)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이 하판(1)의 상면이 밀착되는 중앙 수직 보강판(9)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완구.
The method of claim 3,
The other vertical fixing plates 412 and 512 are vertically folded and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holes 213 and 313 in the lower center of the other vertical fixing plates 412 and 512 , And a central vertical reinforcing plate (9) whos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 is formed to be long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일,타측 보강판부(22a)(22b)의 외측 수직판(221)의 후방에는 후방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후방 끼움홈(231)이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 전방 보강판(23)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되고,
상기 후방 일,타측 보강판부(32a)(32b)의 외측 수직판(321)의 전방에는 전방에 상기 후방 끼움홈(331)에 끼워지는 하부가 개방된 전방 끼움홈(331)이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 후방 보강판(33)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완구.
The method of claim 3,
A central front reinforcing plate 23 having a rear fitting groove 231 vertically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upper portion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outer vertical plate 221 of the front reinforcing plate portions 22a and 22b, As shown in Fig.
A front fitting groove 331 is formed at a front portion of the outer side vertical plate 321 of the rear side reinforcing plate portions 32a and 32b, And the rear reinforcing plate (33) is further formed to protrude forward.
KR1020160094932A 2016-07-26 2016-07-26 Brock toy KR1018601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932A KR101860114B1 (en) 2016-07-26 2016-07-26 Brock to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932A KR101860114B1 (en) 2016-07-26 2016-07-26 Brock to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099A true KR20180012099A (en) 2018-02-05
KR101860114B1 KR101860114B1 (en) 2018-06-27

Family

ID=6122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932A KR101860114B1 (en) 2016-07-26 2016-07-26 Brock to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11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90Y1 (en) * 2018-03-12 2019-10-21 플레이닥터주식회사 Paper block
KR200489891Y1 (en) * 2018-03-12 2019-10-23 플레이닥터주식회사 Trapezoidal-shaped paper block
KR102593090B1 (en) * 2022-09-14 2023-10-23 정균섭 Foldable Assembly Bloc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977Y1 (en) 2006-05-10 2006-08-14 사단법인 아이코리아 Paper block
KR200435484Y1 (en) * 2006-06-20 2007-01-25 이은상 The block toy for body's stud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90Y1 (en) * 2018-03-12 2019-10-21 플레이닥터주식회사 Paper block
KR200489891Y1 (en) * 2018-03-12 2019-10-23 플레이닥터주식회사 Trapezoidal-shaped paper block
KR102593090B1 (en) * 2022-09-14 2023-10-23 정균섭 Foldable Assembly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114B1 (en)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114B1 (en) Brock toy
US9637265B2 (en) Origami sheet for making regular hexahedron box, origami money box, and origami packaging box
US10399735B2 (en) Assembly-type packaging box
US10905965B2 (en) Paper model toy
EP3095496A1 (en) Assembly toy
EP3326927B1 (en) Assembly-type packaging box
US20110101080A1 (en) Box cover
JP2009029481A (en) Paper-made storing box
US20190344191A1 (en) Structural element
IT201900000424A1 (en) Paper converting display
JP2009120207A (en) Separately packaging box
KR200248675Y1 (en) fabricated lunch box
JP3219316U (en) Cardboard blocks
JP7456533B2 (en) file box
KR102025046B1 (en) Block toys
JP7444015B2 (en) tray
JP5065990B2 (en) Corner structure of assembly-type case
KR200490327Y1 (en) Block for toy
JP3231252U (en) Mask storage box
KR101686819B1 (en) Assembly blocks for building insect
JP4714794B1 (en) duct
US10863835B2 (en) Mounting system and method for artwork
JP2549921Y2 (en) Divider
JP2017053594A (en) Thermal insulation panel
KR20220073930A (en) fold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