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909A -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909A
KR20180011909A KR1020160094140A KR20160094140A KR20180011909A KR 20180011909 A KR20180011909 A KR 20180011909A KR 1020160094140 A KR1020160094140 A KR 1020160094140A KR 20160094140 A KR20160094140 A KR 20160094140A KR 20180011909 A KR20180011909 A KR 2018001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mounted display
display device
imag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관희
안다미
류가애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909A/ko
Publication of KR2018001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원격 진료 시스템은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고, 환자의 환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전송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원영상을 출력하는 의료진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TELEMEDICINE SYSTEM USING HEAD MOUNTED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고, 건강을 지키지 못한 환자가 발생하면, 환자는 해당 의료진의 진료를 통하여 약을 투약하거나 필요한 의료 조치를 받게 된다.
이러한 의료 행위는 환자가 병원과 같은 의료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해당 의료진에게 진찰을 받은 후 처방을 받아야 시행 받을 수 있지만, 인근에 병원이 없는 장소 등에서는 위급한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매우 곤란을 겪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4-0038324(공개일자: 2004년 05월 08일, 발명의 명칭: 원격진료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이하게 원격 진료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원격 진료 시스템은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고, 환자의 환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전송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원영상을 출력하는 의료진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 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 받아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의료진 단말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어노테이션 동작으로 진단과 진단에 따른 조치가 기재된 변형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변형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이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원격 진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고 환자의 환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의료진 단말은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원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원격 진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의료진 단말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어노테이션 동작으로 진단과 진단에 따른 조치가 기재된 변형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의료진 단말은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로 변형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송된 변형된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변형된 영상을 영상 출력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환부 영상을 원격지의 의료진 단말로 전송해, 원격지에 위치한 의료진으로부터 진단과 필요한 조치를 처방 받으므로 환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병원과 같은 의료 기관까지 환자의 이송 시간이 절약되고, 실시간으로 전송된 환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필요한 조치가 신속하게 취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영상 획득 장치와 의료진 단말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의료진 단말에서 어노테이션 동작이 행해진 영상의 한 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시스템은 영상 획득 장치(10), 그리고 통신망을 통하여 영상 획득 장치(10)와 통신하는 의료진 단말(20)을 구비한다.
영상 획득 장치(10)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HMD, head mounted display)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환자 곁에 위치하는 위치하는 보호자나 간호사와 같은 의료진이 머리에 착용하여 환자의 환부 부위를 촬영해 영상을 획득한다.
이러한 영상 획득 장치(10)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영상 획득 장치(10)는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11), 촬영부(11)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12), 제어부(12)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13), 제어부(12)와 연결되어 있는 영상 출력부(14) 그리고 제어부(12)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15)를 구비한다.
촬영부(11)는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미 설명한 것처럼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해당 부위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제어부(12)로 출력한다.
제어부(12)는 영상 획득부(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으로서, 촬영부(1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3)로 저장하며 영상 출력부(14)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2)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또는 필요할 경우 통신부(15)를 통해 의료진 단말(20)로 전송한다.
저장부(13)는 영상 획득부(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생성된 데이터(예,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memor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영상 출력부(14)는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제어부(12)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15)는 통신망을 통해 의료진 단말(2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로서,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 장치(1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 기기와 연결되어, 휴대 기기로 촬영부(11)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나 의료진 단말(2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여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영상 획득 장치(10)에 휴대 기기가 연결된 경우, 영상 획득 장치(10)는 별도의 촬영부(11)를 구비하는 대신 휴대 기기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와 같은 촬영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위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처럼, 휴대 기기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가 획득되면, 휴대 기기는 구비된 통신부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획득 장치(10)로 전송하고, 영상 획득 장치(10)는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출력부(14)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의료진 단말(20)로부터 휴대 기기로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휴대 기기는 수신된 의료진 단말(20)의 영상 데이터를 영상 획득 장치(10)로 전송하여 영상 획득 장치(10)의 영상 출력부(14)로 수신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환자의 환부 상태나 의료진 단말(20)를 통해 의료진의 진단 결과나 치료법을 휴대 기기로 출력하여 주변 사람들과 공유하므로, 환자의 상태를 주변 사람들이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20)은 영상 획득 장치(10)와 통신하여 영상 획득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또한 영상 획득 장치(10)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획득 장치(10)는 의료진 단말(2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통신부(15)를 이용하여 수신한 후, 영상 출력부(14)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진 단말(20)은 사용자 입력부(21), 사용자 입력부(21)와 연결된 제어부(22), 제어부(22)와 연결된 저장부(13), 제어부(22)와 연결된 영상 출력부(25), 그리고 제어부(22)와 연결된 통신부(25)를 구비한다.
사용자 입력부(21) 및 제어부(22)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23-25)는 영상 획득 장치(10)의 구성요소(13-15)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입력부(21)는 사용자가 의료진 단말(2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이나 데이터 등을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2)로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21)는 의료진 단말(20)을 동작시키기 위한 텍스트(text)나 이미지의 입력뿐만 아니라 영상 출력부(14)로 출력되는 영상 위에 이미지나 텍스트를 추가하는 어노테이션(annotation) 기능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는 영상 획득 장치(1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출력하여 환자의 상태를 확인한 후 영상 위에 진단, 처방이나 처치와 같은 필요한 조치를 글이나 그림으로 기입하여 환자나 보호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단 결과를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어노테이션 기능을 통해 의료진의 필요한 조치가 끝나면 의료진 단말(20)의 제어부(22)는 어노테이션이 행해진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통신부(15)를 통해 영상 획득 장치(10)로 전송하게 되고, 영상 획득 장치(10)는 자신의 영상 출력부(14)나 자신과 연결된 휴대기기를 통해 의료진 단말(2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해당 영상으로 출력하여, 의료진에 의해 내려진 진단과 그에 필요한 처방이나 처치를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게 된다.
의료진 단말(20)의 제어부(22)는 사용자 입력부(2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의료진 단말(20)의 동작을 제어하며, 통신부(25)를 이용하여 영상 획득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해 영상 출력부(24)로 해당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2)는 사용자 입력부(21)의 어노테이션 기능에 의해 영상 출력부(24)의 영상에 텍스트나 이미지가 추가되며, 어노테이션 기능이 행해진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즉 변형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영상 획득 장치(10)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어노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변형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원격 진료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영상 획득 장치(10)는 촬영부(11)를 이용하여 환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영상 출력부(14)로 출력한다(S11, S12).
이미 설명한 것처럼, 영상 획득 장치(10)에 휴대 기기가 연결되는 경우, 영상 획득 장치(10)는 휴대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면, 전송된 영상 데이트를 영상 출력부(14)로 출력한다.
이처럼, 환자의 환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획득되면, 영상 획득 장치(10)는 촬영부(11)나 휴대 기기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통신부(15)를 이용하여 의료진 단말(20)로 전송한다(S13).
의료진 단말(20)은 영상 획득 장치(1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통신부(25)를 이용하여 수신한 후 영상 출력부(25)로 출력한다.
따라서, 의료진은 영상 출력부(25)로 출력되는 환자의 환부 영상을 이용하여 현재 환자 상태를 면밀히 살펴보고, 현재 환자의 병명이나 상태를 진단하며, 진단된 상태에 적합한 처방이나 처치 방법과 같은 필요한 조치를 정하게 된다.
환자의 환부 상태에 따른 진단과 그에 필요한 처방이나 처치 방법을 정한 후, 의료진은 의료진 단말(20)의 어노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진단과 필요한 조치를 사용자 입력부(21)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따라서, 제어부(22)는 사용자 입력부(21)의 어노테이션 기능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와 영상 획득 장치(10)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 즉, 원영상 데이터를 결합시켜 변형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부(23)에 저장하고(S15), 변형된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즉, 변형된 영상)(도 4 참조)을 영상 출력부(14)로 출력한다(S16). 이로 인해, 의료진 단말(20)의 영상 출력부(24)는 원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즉, 원영상) 위에 어노테이션 동작에 의해 추가된 텍스트나 이미지가 추가된 영상이 출력된다.
다음, 제어부(22)는 변형된 영상 데이터를 통신부(25)를 이용하여 영상 획득 장치(10)로 전송한다(S17).
영상 획득부(10)의 제어부(12)는 전송된 변형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부(14)를 출력하여 변형된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변형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S18).
이와 같이, HMD 형태의 영상 획득 장치(10)를 이용하거나 영상 획득 장치(10)에 연결된 휴대 기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후 원격지에 위치하고 있는 의료진 단말(20)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원격지의 의료진으로부터 진단과 필요한 조치를 원격으로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환자가 직접 병원을 방문하거나 의료진을 만나지 않고도 환부에 대한 진단과 필요한 조치를 전달받으므로, 환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영상 획득 장치 20: 의료진 단말
11: 촬영부 12, 22: 제어부
13, 23: 저장부 14, 24: 영상 출력부
15, 25: 통신부 21: 사용자 입력부

Claims (6)

  1.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고, 환자의 환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전송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원영상을 출력하는 의료진 단말
    을 포함하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부를 포함하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 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 받아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의료진 단말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어노테이션 동작으로 진단과 진단에 따른 조치가 기재된 변형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변형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이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5.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고 환자의 환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의료진 단말은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원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의료진 단말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어노테이션 동작으로 진단과 진단에 따른 조치가 기재된 변형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의료진 단말은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로 변형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송된 변형된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변형된 영상을 영상 출력부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60094140A 2016-07-25 2016-07-25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80011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40A KR20180011909A (ko) 2016-07-25 2016-07-25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40A KR20180011909A (ko) 2016-07-25 2016-07-25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09A true KR20180011909A (ko) 2018-02-05

Family

ID=6122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140A KR20180011909A (ko) 2016-07-25 2016-07-25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19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5785B1 (en) Heads-up displays for augmented reality network in a medical environment
US2020031545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analyzing, and sending still and video images of the fundus during examination using an ophthalmoscope
US9392164B2 (en) User terminal for a telemedicine image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86020B2 (en) Telemedicine components, devices, applications and uses thereof
KR10132142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용 화상시스템
KR101906551B1 (ko)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KR101580559B1 (ko) 의료 영상 및 정보 실시간 상호전송 및 원격 지원 장치
JP2009125133A (ja) 歯科医療支援システム及び歯科医療支援用x線センサ
KR101789166B1 (ko) 이미지 기반 황달 진단 방법 및 장치, 이미지 기반 황달 진단 보조 장치
KR20190053446A (ko) 구강 진단 시스템
CN104706422A (zh) 一种头戴式医疗装置、医疗系统及其操作方法
CN105245857A (zh) 基于wifi的移动式x线机上的智能遥控装置
KR20180011909A (ko)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42306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구강 엑스선 촬영 장치 및 시스템
KR100590284B1 (ko)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KR101728844B1 (ko)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검이경 및 검이경 시스템
TWI821721B (zh) 醫療用影像輔助系統及醫療用影像輔助方法
CN204351799U (zh) 便携式眼部检查设备及系统
KR20130067710A (ko) 구강 촬영 화상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구강용 내시경 장치
KR20220094062A (ko) WebRTC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공유기능을 제공하는 피부질환 영상 관리 시스템
WO2022091945A1 (ja) 眼科システム、眼科装置遠隔操作方法、眼科装置遠隔操作プログラム
JP7099768B1 (ja) めまいの診断装置並びに遠隔めまい診断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KR20180109207A (ko) 재택의료형 플랙시블 에어너스 스테이션
JP2017070479A (ja) 遠隔医療支援システムおよび遠隔医療支援端末装置
JPWO2017010424A1 (ja) 画像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