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831A - 스터디 패드 - Google Patents

스터디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831A
KR20180011831A KR1020180008310A KR20180008310A KR20180011831A KR 20180011831 A KR20180011831 A KR 20180011831A KR 1020180008310 A KR1020180008310 A KR 1020180008310A KR 20180008310 A KR20180008310 A KR 20180008310A KR 20180011831 A KR20180011831 A KR 20180011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tracking module
holder
pupil tracking
lea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욱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831A/ko
Publication of KR20180011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터디 패드는, 학습자가 학습하는 책상 위에 펼쳐두고 사용하면, 동공 추적 모듈이 학습자의 동공을 센싱하고 추적하여 학습자가 미리 설정된 설정 감지영역을 벗어나면 이를 경보해줌으로써, 학습자의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고 졸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학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학습자가 사용하는 책상 위에 펼침으로써, 학습자의 올바른 자세를 안내할 수 있는 설정감지영역이 정해지기 때문에, 학습자가 별도의 영역 설정을 할 필요가 없으며, 시간과 사용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다. 또한,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학습자가 학습하는 공간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학습자의 몸에 직접 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터디 패드{Study pad}
본 발명은 스터디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의 올바른 학습 자세를 안내하여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터디 패드에 관한 것이다.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특정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을 포함하는 학습자들은 책상에 앉아서 장시간 학습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책상에 앉아 있는 시간 중에서 학습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에 한계가 있으며, 학습에 집중하는 시간이 줄어들수록 학습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책상에 앉아 있는 학습 자세가 올바르지 못할 경우에도 집중력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어린 학생들일수록 시력 저하나 척추 이상 등의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19766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나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학습자의 학습 태도를 개선시켜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터디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터디 패드는, 학습자가 책상 위에 펼치고 학습 도구를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학습자의 동공을 센싱하고 추적하여 상기 학습자가 미리 설정된 설정 감지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학습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학습자 또는 제3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공 추적 모듈이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터디 패드는, 학습자가 학습하는 책상 위에 펼쳐두고 사용하면, 적외선 카메라 모듈이 학습자의 동공을 센싱하고 추적하여 학습자가 미리 설정된 설정 감지영역을 벗어나면 이를 경보해줌으로써, 학습자의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고 졸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학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학습자가 사용하는 책상 위에 펼침으로써, 학습자의 올바른 자세를 안내할 수 있는 설정감지영역이 정해지기 때문에, 학습자가 별도의 영역 설정을 할 필요가 없으며, 시간과 사용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다.
또한,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학습자가 학습하는 공간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학습자의 몸에 직접 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에서 진동전달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를 감아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적외선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에서 적외선 카메라 모듈의 설정 감지 영역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에서 적외선 카메라 모듈의 설정 감지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에서 진동전달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를 감아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적외선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는(1), 학습자의 동공을 센싱하고 추적하여 상기 학습자가 미리 설정된 설정감지영역(A)을 벗어나면 상기 학습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학습자 또는 제3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공 추적 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학습자의 학습자세 등을 가이드해주는 학습 보조 아이템이다. 이하,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은 적외선 램프와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는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스터디 패드(1)는, 책상 위에 펼치고 연필이나 노트 등의 학습도구를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패드부(10)와, 상기 패드부(10)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홀더부(20)와, 진동전달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스터디 패드(1)는, 상기 패드부(10)를 상기 홀더부(20)를 중심으로 감아서 말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스터디 패드(1)는, 고무 소재나 실리콘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패드부(10)는, 상기 책상 위에 펼쳐지는 패드이다. 상기 패드부(10)의 하부면에는 상기 책상에 흡착되도록 복수의 오목홈들(11)이 형성된다. 상기 패드부(10)의 길이는 후술하는 적외선 카메라(52)가 상기 학습자를 인식할 수 있는 최적의 거리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즉, 상기 학습자가 상기 패드부(10)의 후방 끝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패드부(1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적외선 카메라(52)의 인식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드부(10)의 길이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52)의 사양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52)의 인식 범위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상기 패드부(10)의 길이는 약 40cm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홀더부(20)는, 상기 패드부(10)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홀더부(20)는, 상기 패드부(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원통 형상의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이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홀더부(20)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이 사각 기둥 형상이면 상기 홀더부(20)도 이에 대응하도록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20)는, 신축이 가능하고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을 끼울 때 용이하다. 상기 홀더부(20)에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이 끼워지도록 모듈 끼움홀(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부(20)의 상면에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구홀(22)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20)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진동전달부재(30)의 돌기부(32)가 끼워지도록 관통홀(23)이 형성된다.
상기 진동전달부재(30)는, 상기 홀더부(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홀더부(20)를 관통하여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 결합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 구비된 진동 모터(52)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책상으로 전달한다.
상기 진동전달부재(3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지 않고 전달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패드부(10)와 상기 홀더부(20)는 고무 소재나 실리콘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전달부재(30)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 결합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책상 위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진동전달부재(30)는,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부(20)의 하부를 감싸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판부(31)와, 상기 판부(31)에서 돌출된 돌기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부(32)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2개가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돌기부(32)는, 상기 홀더부(20)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홀(23)을 관통하여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하부에 끼워진다. 상기 돌기부(32)는, 상기 판부(31)로부터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하부에 결합시 상기 적외선 카메라(52)의 주시 방향이 정확하게 상기 학습자를 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돌기부(32)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상기 적외선 카메라(52)의 주시 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돌기부(32)에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방열홀(32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돌기부(32)는,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은, 학습자의 동공을 센싱하고 추적하여 상기 학습자가 미리 설정된 설정감지영역(A)을 벗어나면, 상기 학습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학습자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은 원통 형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다각형인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은, 도 6을 참조하면, 원통 형상의 케이싱(60)의 내부에 적외선 램프(IR LED)(미도시), 적외선 카메라(52), 복수의 버튼들(53), 제어유닛(미도시)이 구비된 기판(54), 표시 램프(미도시), 진동 모터(56), 디스플레이 패널(57), 스피커(미도시)나 부저(미도시) 등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싱(60)은 상부 케이싱(61)과 하부 케이싱(62)을 포함하고, 서로 결합된다. 상기 상부 케이싱(6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57)과 상기 적외선 카메라(52)를 보호하기 위한 글래스 커버(58)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버튼들(53)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버튼과, 상기 학습자를 감지하기 위한 시간 설정 등을 입력하기 위한 시간 선택 버튼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케이싱(62)에는 상기 진동전달부재(30)의 상기 돌기부(32)가 압입되도록 압입홈(63)이 형성되고, 상기 압입홈(63)에는 복수의 방열홀들(63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양단부 중 일측에는 다양한 USB 액세서리 등을 연결할 수 있는 USB 포트(64)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방열홀(65)이 형성된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은, 상기 학습자가 미리 설정된 설정 감지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학습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진동 모터(56)나 상기 부저(미도시) 등을 통해 상기 학습자에게 이를 경보하여, 상기 학습자가 자세를 교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은,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학습자의 자세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무선 단말기 또는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자는 상기 학습자의 부모님이나 선생님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학습자가 미리 설정된 설정 감지 영역을 벗어날 때마다 학습자의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설정 감지 영역을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동안 벗어나는 경우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52)는, 상기 케이싱(60)의 내부에서 중앙에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설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52)는 수평방향으로 위치한 상기 패드부(10)를 기준으로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52)가 상기 패드부(10)를 기준으로 기울어진 각도와 상기 적외선 카메라(52)의 사양에 따라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서 감지하는 상기 설정감지영역(A)이 정해지게 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에서 적외선 카메라 모듈의 설정 감지 영역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에서 적외선 카메라 모듈의 설정 감지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설정 감지 영역은, 상기 적외선 카메라(52)가 상기 패드부(10)를 기준으로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때, 상기 적외선 카메라(52)의 인식 각도인 상하좌우 60도 범위이고, 인지 거리가 약 30cm 내지 50cm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설정감지영역(A)은, 상기 적외선 카메라(52)의 사양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자 등의 사용자가 상기 스터디 패드(1)를 책상 위에 펼친다. 이 때, 학습자는 자신의 앞에 상기 스터디 패드(1)가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상기 패드부(1)는, 상기 오목홈들(11)에 의해 상기 책상 위에 밀착되어,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패드부(1)가 상기 책상 위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적외선 카메라(52)가 흔들림 없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0) 위에는 책이나 노트 등을 올려둘 수 있으므로, 상기 스터디 패드(1)로 인해 책상 위 공간이 부족해지지 않으며 학습에도 방해가 되지 않는다.
학습자는, 상기 복수의 버튼들(53)을 이용하여,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원하는 학습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시간은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을 이용하는 시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30분, 60분 등 30분 단위로 학습시간을 추가하여 설정할 수 있다.
학습자가 상기 스터디 패드(1)를 바라보면, 학습자의 눈동자 위치가 상기 설정감지영역(A)안에 위치된다. 상기 설정감지영역(A)은, 상기 적외선 카메라(52)의 인식 각도인 상하방향으로 60도이고, 좌우방향으로 60도 범위이며, 인지 거리는 약 30cm 내지 50cm이다. 상기 설정감지영역(A)은, 상기 적외선 카메라(52)와 상기 적외선 램프의 각 사양과, 학습자의 올바른 최적 자세 범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다.
따라서, 학습자가 올바른 자세로 학습을 할 경우, 학습자의 동공 위치가 상기 설정감지영역(A)안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서는 별도의 경보를 하지 않는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학습자의 동공 위치가 상기 설정감지영역(A)안에 위치하면, 상기 표시 램프(미도시) 중 녹색 램프를 점등하여 올바른 자세임을 알리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학습자의 동공 위치가 상기 설정감지영역(A)을 벗어났다고 판단하면, 상기 학습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하다고 판단하여, 상기 진동 모터(56)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부저(미도시)등을 이용해 경보음을 울릴 수 있다. 상기 학습자의 동공이 상기 설정감지영역(A)을 벗어나면, 학습자가 엎드리거나 비뚤어진 자세로 학습하고 있거나, 학습자가 자리를 이탈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자의 동공이 상기 설정감지영역(A)에 위치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눈을 감는 경우, 상기 학습자의 동공을 인식하지 못하므로 학습자가 졸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학습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진동 모터(56)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부저(미도시)등을 이용해 경보음을 울릴 수 있다. 상기 진동 모터(56)나 상기 부저(미도시)의 작동시간이나 간격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터(56)나 상기 부저(미도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상기 표시 램프(미도시) 중 적색 램프를 점등하여 경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학습자 또는 상기 제3자의 무선 단말기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진동 모터(56)에서 진동 발생되면, 진동이 상기 진동전달부재(30)를 통해 상기 책상 위에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진동전달부재(3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진동이 상기 책상 위에 강하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터(56)의 구동시간은 미리 설정된다. 상기 진동이 책상으로부터 느껴지면, 학습자는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학습자에게 올바른 자세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책이나 종이 등으로 상기 적외선 카메라(52)가 가려지는 경우에도,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서 학습자에게 부저 등을 통해 경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스터디 패드(1)는, 학습자가 사용하는 책상 위에 펼쳐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학습자가 사용하는 책상 위에 펼침으로써, 상기 학습자의 올바른 자세를 안내할 수 있는 상기 설정감지영역(A)이 정해지기 때문에, 학습자는 별도의 영역 설정 없이 매번 쉽고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도 학습자의 동공 추적을 항상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터디 패드(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부(20)를 중심으로 상기 패드부(10)를 말아서 감을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하다. 또한, 휴대하여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패드부(10)와 상기 홀더부(20)를 이용해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을 책상 위에 올려둘 수 있기 때문에, 원통 형상의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이 책상 위에서 굴러다니는 것이 방지되고, 항상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수평이 맞지 않으면, 상기 적외선 카메라(52)의 주시 방향도 바뀌게 되어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스터디 패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200)는, 패드부(210), 홀더부(220) 및 진동전달부재(230)를 포함하고,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이 상기 홀더부(2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진동전달부재(230)가 상기 홀더부(220)와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을 결합시키는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유사 구성에 대해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패드부(210)와 상기 홀더부(220)는 모두 신축성과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며, 고무 소재나 실리콘 소재 중 하나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패드부(210)와 상기 홀더부(220)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220)는, 상기 패드부(210)에서 연장 형성되되 원통 형상의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하측 일부만을 감싸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220)에는 상기 진동전달부재(230)가 관통하도록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상기 진동전달부재(230)는,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진동 모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책상 위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진동전달부재(230)는, 상기 홀더부(220)의 하부를 감싸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판부(231)와, 상기 판부(231)에서 돌출되어 상기 홀더부(220)의 관통홀(221)을 관통하여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하부에 압입 결합되는 돌기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부(232)는, 상기 판부(231)로부터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하부에 결합시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 포함된 적외선 카메라(52)의 주시 방향이 정확하게 학습자를 향하도록 안내한다. 즉, 상기 돌기부(232)가 상기 판부(231)로부터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상기 적외선 카메라(52)의 주시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232)에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하도록 방열홀(232a)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232)가 상기 홀더부(220)의 관통홀(221)을 통해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압입홈(63)으로 압입되면,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상기 진동전달부재(230)와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하부를 한번 더 체결 고정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진동전달부재(230)는, 상기 홀더부(220)와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을 결합시키는 역할과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서 발생한 진동을 책상 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200)는, 상기 패드부(210)와 상기 홀더부(220)의 형상이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210)와 상기 홀더부(220)를 이용해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을 책상 위에 올려둘 수 있기 때문에, 원통 형상의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이 책상 위에서 굴러다니는 것이 방지되고, 항상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수평이 맞지 않으면, 상기 적외선 카메라(52)의 주시 방향도 바뀌게 되어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300)는, 패드부(310), 홀더부(320) 및 진동전달부재(330)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310)와 상기 홀더부(320)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전달부재(330)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이 상기 제2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유사 구성에 대해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패드부(310)와 상기 홀더부(320)는, 신축성과 유연성을 갖는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며, 고무 소재나 실리콘 소재 중 하나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패드부(310)는 책상위에 펼쳐지도록 패드 형상이고, 상기 홀더부(320)가 놓여지는 일측에 관통홀(310a)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320)는 원통 형상의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이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진동전달부재(330)는,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진동 모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책상 위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진동전달부재(330)는, 상기 패드부(310)의 하부를 감싸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판부(331)와, 상기 판부(331)에서 돌출되어 상기 패드부(310)의 관통홀(310a)을 관통하여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하부에 압입 결합되는 돌기부(332)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부(332)에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하도록 방열홀(332a)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332)가 상기 패드부(310)의 관통홀(310a)을 통해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압입홈(63)으로 압입되면,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상기 진동전달부재(330)와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의 하부를 한번 더 체결 고정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진동전달부재(330)는, 상기 패드부(310), 상기 홀더부(320)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을 모두 결합시키는 역할과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서 발생한 진동을 책상 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300)는, 상기 패드부(310)와 상기 홀더부(320)가 모두 고무 소재나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나, 별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400)는, 패드부(410)와 홀더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410)와 상기 홀더부(420)는 별도로 형성되되 상기 패드부(410)는 고무 소재와 실리콘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42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것이 상기 제3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유사 구성에 대해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패드부(410)와 상기 홀더부(4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결합 돌기(411)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결합홈(421)이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410)와 상기 홀더부(420)가 상기 결합 돌기(411)와 상기 결합홈(421)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드부(410)에 상기 결합 돌기(411)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420)에 상기 결합홈(421)이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패드부(410)는, 책상 위에 펼칠 수 있도록 패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복수의 상기 결합돌기들(411)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420)는, 원통 형상의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이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중공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책상 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면은 편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부(420)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들(411)에 대응되게 복수의 결합홈(42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400)는, 상기 패드부(410)와 상기 홀더부(420)가 별도로 형성되므로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420)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서 발생된 진동을 책상 위로 직접 전달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진동전달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500)는, 패드부(510)와 홀더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510)와 상기 홀더부(520)는 별도로 형성되되 상기 패드부(510)는 고무 소재와 실리콘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52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510)와 상기 홀더부(520)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 것이 상기 제4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유사 구성에 대해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패드부(510)는, 책상 위에 펼칠 수 있도록 패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단차부(511)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520)는, 원통 형상의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이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중공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책상 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면은 편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부(520)에는 상기 패드부(510)의 단차부(511)에 대응되는 단차부(521)가 형성된다.
상기 패드부(510)의 단차부(511)와 상기 홀더부(520)의 단차부(521)가 맞대어진 후, 체결볼트(530)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패드(500)는, 상기 패드부(510)와 상기 홀더부(520)가 별도로 형성되므로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520)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외선 카메라 모듈(50)에서 발생된 진동을 책상 위로 직접 전달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진동전달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패드부 20: 홀더부
30: 진동전달부재 50: 적외선 카메라 모듈

Claims (18)

  1. 학습자가 책상 위에 펼치고 학습 도구를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학습자의 동공을 센싱하고 추적하여 상기 학습자가 미리 설정된 설정 감지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학습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학습자 또는 제3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공 추적 모듈이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스터디 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은 통형상이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패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이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중공의 통형상으로 형성된 스터디 패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홀더부를 관통하여 상기 동공 추적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동공 추적 모듈에 구비된 진동 모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책상으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터디 패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고무 소재와 실리콘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 전달 부재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판부와, 상기 판부에서 미리 설정된 설정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부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의 하부에 끼워지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스터디 패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는 상기 동공 추적 모듈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홀이 형성된 스터디 패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은 통형상이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패드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의 하측 일부를 감싸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와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을 결합시키고, 상기 동공 추적 모듈에 구비된 진동 모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책상으로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터디 패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는,
    상기 홀더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판부와, 상기 판부에서 미리 설정된 설정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부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의 하부에 압입 결합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스터디 패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은 통형상이고,
    상기 홀더부는, 고무 소재와 실리콘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이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의 전방측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패드부, 상기 홀더부 및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을 결합시키고, 상기 동공 추적 모듈에 구비된 진동 모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책상으로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터디 패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재는,
    상기 패드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판부와, 상기 판부에서 미리 설정된 설정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드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홀더부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의 하부에 압입 결합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스터디 패드.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는 상기 동공 추적 모듈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홀이 형성된 스터디 패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홀더부를 중심으로 말아지도록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스터디 패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고무 소재와 실리콘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스터디 패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하면에는 상기 책상에 흡착되도록 복수의 오목홈들이 형성된 스터디 패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은,
    적외선 램프와, 상기 설정 감지 영역에 근거하여 수평방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적외선 카메라와,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의 작동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들과, 상기 학습자의 동공이 상기 설정 감지 영역을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에서 판단한 결과에 따라 감지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램프와, 상기 제어유닛에서 판단한 결과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를 포함하는 스터디 패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고무 소재와 실리콘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와 상기 홀더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스터디 패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고무 소재와 실리콘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와 상기 홀더부는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스터디 패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은, 블루투스와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학습자와 상기 제3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정보를 전달하는 스터디 패드.
  18. 학습자가 책상 위에 펼치고 학습 도구를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학습자의 동공을 센싱하고 추적하여 상기 학습자가 미리 설정된 설정 감지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학습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학습자 또는 제3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공 추적 모듈이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홀더부를 관통하여 상기 동공 추적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동공 추적 모듈에 구비된 진동 모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책상으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와 상기 홀더부는, 고무 소재와 실리콘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 전달 부재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의 하면에는 상기 책상에 흡착되도록 복수의 오목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패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원통 형상의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이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 전달 부재는, 상기 홀더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판부와, 상기 판부에서 미리 설정된 설정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부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동공 추적 모듈의 하부에 끼워지고 상기 동공 추적 모듈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스터디 패드.
KR1020180008310A 2018-01-23 2018-01-23 스터디 패드 KR20180011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310A KR20180011831A (ko) 2018-01-23 2018-01-23 스터디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310A KR20180011831A (ko) 2018-01-23 2018-01-23 스터디 패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384A Division KR101825549B1 (ko) 2016-03-30 2016-03-30 스터디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831A true KR20180011831A (ko) 2018-02-02

Family

ID=6122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310A KR20180011831A (ko) 2018-01-23 2018-01-23 스터디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18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0888A (zh) * 2019-12-26 2020-03-2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0888A (zh) * 2019-12-26 2020-03-2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N110930888B (zh) * 2019-12-26 2021-06-2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3713B (zh) 適於配置於一醫療裝置上之可拋棄式黏性基板
JP201850802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方法
US8894585B2 (en) Portable diagnostic instrument and a method for its use
JPH07114812B2 (ja) 光を利用した睡眠等の誘導補助具
KR101825549B1 (ko) 스터디 패드
KR20180011831A (ko) 스터디 패드
WO2018084816A2 (en) Motion-liberating smart walking stick
ES2401252A2 (es) Bastón virtual para auxilio a personas ciegas
ES2541653B1 (es) Dispositivo de trazado y pintado de dibujos en relieve para ciegos y personas con dificultad motora manual
US9612442B2 (en) Keyboard magnifying device
KR20100102398A (ko) 전자필기판용 교탁
US20160174703A1 (en) Stowable sensory learning assembly
CN204029125U (zh) 一种防近视、防驼背、防瞌睡三用装置
WO20080615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navigational instructions to a user
RU166675U1 (ru) Носимое устройство-тренажер для глаз
KR200490690Y1 (ko) 독서실용 책상
US20190183401A1 (en) Hemoencephalography Neurofeedback Device
US20220362099A1 (en) Powered massage head
KR20200012193A (ko) 색각 이상자를 위한 색 정보 알림 펜
CN221014202U (zh) 一种理疗灯头及其仪器
US11538327B1 (en) Proximity alert system for access badges
Lam Vibrotactile pattern recognition on the torso with one and two dimensional displays
CN211000636U (zh) 具有报警功能的笔套
ES2966863A1 (es) Gafa
KR101622131B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라이트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