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822A -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Autonomously Drived Based on Patient's Condi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 Google Patents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Autonomously Drived Based on Patient's Condi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1822A KR20180011822A KR1020180004957A KR20180004957A KR20180011822A KR 20180011822 A KR20180011822 A KR 20180011822A KR 1020180004957 A KR1020180004957 A KR 1020180004957A KR 20180004957 A KR20180004957 A KR 20180004957A KR 20180011822 A KR20180011822 A KR 201800118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information
- condition information
- medical suction
- cathe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08000003028 Stuttering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08000024794 sputum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434 in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21 bronchi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443 Unconsci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32 heart rat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387 respiratory r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16 vomi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3 vo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03—Detecting lung or respiration noi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5—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partial oxygen pressure (P-O2)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환자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자율 구동되는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부가, 환자의 호흡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환자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복수의 환자 상태 정보와 기 설정된 환자의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며, 복수의 환자 상태 정보와 기 설정된 환자의 기준 상태 정보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카테터의 환자의 호흡기 내부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래 제거가 필요한 경우에 나타나는 환자별 고유의 신체 반응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된 환자별 상태 정보의 개별 기준값을 의료용 석션기의 동작 개시 결정의 기준값으로 설정함으로써, 환자별 신체 반응 특성을 고려하여 카테터의 환자의 호흡기 내부로의 진입 필요 여부를 능동적으로 판단하는 맞춤형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가 제공된다.Disclosed is a control method of an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machine that is autonomously driven based on patient's state information. A control unit of a medical suction unit measures a plurality of patient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respiration information of a patient, compares a plurality of patient condition information with preset reference condition information of a patien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atheter enters the patient's respiratory system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reference state information of the set pat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individual reference value of the selected state information of the patient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unique body reaction characteristic which appears when sputum removal is required, the reference value of the operation start determination of the medical suction machine, A customized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machine for actively determining whether a catheter needs to enter a patient's respiratory system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 및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가래 등의 이물질 흡입용 카테터의 환자의 호흡기 내부로의 진입 필요 여부를 능동적으로 판단하는 맞춤형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 및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an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unit and an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uni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patient's state information,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machine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machine.
의료용 석션기는 병원에서 시술을 하면서 환자의 몸속으로부터 발생되는 피, 타액, 구토물 및 분비물 등의 이물질을 용기로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하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 장치이다. The medical suction unit is a medical foreign body suction device for forcibly suck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blood, saliva, vomit and secretion generated in the body of a patient while performing a procedure in a hospital.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가정에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상시 석션기를 장착하고 보호자나 간호사의 도움을 받아 가래 등의 이물질을 기도나 기관지에서 빼내게 된다.In general, patients who are uncomfortable in hospitals or at home are equipped with a constant suction machine and are assisted by a caregiver or nurs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sputum from airway or bronchial tubes.
그러나, 가래 등의 이물질은 수면 중에도 발생하여 환자의 기도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간호사, 간병인 및 보호자는 수시로 석션기를 구동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 보호자는 환자의 상태를 상시 직접 확인해가면서 수시로 석션기를 구동하여 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는 어려움을 감수해야 한다.However, since foreign substances such as sputum can occur during sleep and block the airway of the patient, the nurse, caregiver and guardian must not only drive the suction machine from time to time, but also the guardian drives the suction machine from time to time You have to take the trouble of removing the foreign objec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가래 등의 이물질 흡입용 카테터의 환자의 호흡기 내부로의 진입 필요 여부를 능동적으로 판단하는 맞춤형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 및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rsonalized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unit and an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unit which analyze the state information of a patient and actively judge whether a catheter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sputum is required to enter the inside of the respiratory apparatus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은, 카테터를 이용하여 호흡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부가, 환자의 호흡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환자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환자 상태 정보와 기 설정된 환자의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환자 상태 정보와 기 설정된 환자의 기준 상태 정보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카테터의 상기 환자의 호흡기 내부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medical suction unit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a respiratory apparatus by using a cathet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Measuring a plurality of patient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breathing information; (b) the control unit comparing the plurality of patient condition information with reference condition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patient; And (c) determining whether the catheter enters the patient's respiratory apparatus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plurality of patient condition information and predetermined reference state information of the pati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자 상태 정보는, 상기 환자의 청진음 정보, 상기 환자의 맥박 정보, 및 상기 환자의 산소 포화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atient condi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stasis tone information of the patient, pulse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oxygen satur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는, 카테터를 이용하여 호흡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의료용 석션기에 있어서, 환자의 호흡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호흡 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 정보와 기 설정된 환자의 기준 상태 정보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카테터의 상기 환자의 호흡기 내부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dical suction unit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he inside of a respiratory apparatus using a catheter, the medical suction unit including: a sensor unit for measuring respiration information of a patient;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atheter enters the patient's respiratory apparatus based on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patient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respir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reference condition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patient .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가래 등의 이물질 흡입용 카테터의 환자의 호흡기 내부로의 진입 필요 여부를 능동적으로 판단하는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unit for analyzing state information of a patient and actively judging whether a catheter for aspirating a foreign object such as a sputum is required to enter a patient's respiratory apparatus is provid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가래 제거가 필요한 경우에 나타나는 환자별 고유의 신체 반응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된 환자별 상태 정보의 개별 기준값을 의료용 석션기의 동작 개시 결정의 기준값으로 설정함으로써, 환자별 신체 반응 특성을 고려하여 카테터의 환자의 호흡기 내부로의 진입 필요 여부를 능동적으로 판단하는 맞춤형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individual reference value of the selected patient-stat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pecific body reaction characteristics that appear when sputum removal is necessary, as the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start of the medical suction unit, There is provided a customized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machine which actively judges whether or not the patient needs to enter the respiratory apparatu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의 실행을 위한 환자별 개별 기준값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4는 환자가 가래 등으로 인한 호흡 장애가 없는 상태에서 측정된 청진음의 파형을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으로 변환하여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가래 등으로 인한 호흡 장애가 발생한 상태에서 측정된 청진음의 파형을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으로 변환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individual reference values for each patient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for an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infusion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n execution process of a control method of an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waveform of a stethoscope measured in a state where a patient has no respiratory disturbance due to sputum or the like and converting the waveform into a frequency domain;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waveform of a stethoscope measured in a state where a respiratory disturbance due to sputum or the like has occurred and converting the waveform into a frequency domai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의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200)는 카테터(100)를 이용하여 호흡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카테터(100)의 단부에 연결 설치된 흡입 펌프(210), 센서부(220), 구동부(230), 청진 마이크(240), 압력 센서(250), 맥박 측정부(260), 제어부(270), 및 산소 포화도 측정부(280)를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t
먼저, 흡입 펌프(210)는 카테터(100)의 일단에 설치되어, 환자의 호흡기 내부로 삽입된 카테터(100)의 타단을 통해 가래 등의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카테터(100) 내부에서의 흡입압을 발생시킨다.First, the
센서부(220)는 환자의 흡기 가스의 질량과 호기 가스의 질량을 각각 측정하는 질량유량계(MASS FLOW METER: MFM) 센서를 포함하며, 환자의 흡기 가스와 호기 가스의 질량을 각각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제어부(27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구체적으로, 센서부(220)는 제1 질량 유량계 센서와 제2 질량 유량계 센서를 포함하며, 제1 질량 유량계 센서는 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호흡용 마스크의 호기 배출구로부터 환자의 호기 호흡량을 측정하고, 제2 질량 유량계 센서는 호흡용 마스크의 흡기 유입구로부터 환자의 흡기 호흡량을 측정한다.Specifically, the
한편, 구동부(230)는 카테터(100)의 기관지 내부로의 삽입을 위해 카테터(100)를 전진 이동시키거나, 카테터(100)의 기관으로부터의 제거를 위해 카테터(100)를 후진 이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청진 마이크(240)는 환자의 청진음을 측정하며, 측정된 청진음을 제어부(270)로 전송하고, 맥박 측정부(260)는 환자의 맥박수를 측정하여, 측정된 맥박수를 제어부(270)로 전송하며, 산소 포화도 측정부(280)는 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샘플로부터 산화 포화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산소 포화도를 제어부(270)로 전송한다.The
한편, 제어부(270)는 청진 마이크(240)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청진음 정보, 맥박 측정부(260)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맥박수 정보, 산소 포화도 측정부(280)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산소 포화도 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환자의 기관지 내에서 가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아울러, 압력 센서(250)는 카테터(10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압력(음압)의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값을 제어부(270)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의 실행을 위한 환자별 개별 기준값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의 실행을 위한 환자별 개별 기준값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setting individual reference values for each patient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edical suct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2, an individual reference value setting process for a patient to perform a control method of an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200)의 제어부(270)는 정상 상태(가래 제거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환자의 호흡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환자 상태 정보를 측정하며(S310), 측정된 각각의 상태 정보값의 누적 평균값을 산출한다. First, the
이하에서는 제어부(270)가 각각의 상태 정보에 대한 누적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the
-호흡량의 누적 평균값, 호흡(흡기/호기) 주기의 누적 평균값 -- cumulative mean value of breathing volume, cumulative mean value of breathing (inspiration / expiration) cycle -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200)의 제어부(270)는 제1 질량 유량계 센서로부터 환자의 호기 호흡량 측정값과 제2 질량 유량계 센서로부터 환자의 흡기 호흡량 측정값을 번갈아가며 수신하게 되며, 그 결과 제어부(270)는 환자의 호흡 주기당 호흡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아울러, 제어부(270)는 제1 질량 유량계 센서로부터 호기 호흡량 측정값이 수신된 시간과, 그 다음번 호기 호흡량 측정값이 수신된 시간과의 간격을 연산함으로써 해당 환자의 호흡(흡기/호기) 주기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제어부(270)에는 환자의 호흡량 정보와 호흡 주기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누적 저장되며, 제어부(270)는 환자의 호흡량의 누적 평균값을 산출 및 저장하고, 또한 해당 환자의 호흡 주기의 누적 평균값을 산출 및 저장한다.
The
-- 청진음Stethoscope 파형 크기의 누적 평균값- Cumulative average value of waveform size -
또한, 제어부(270)는 청진 마이크(240)로부터 측정된 환자의 가슴에서의 청진음(또는 숨소리)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수신된 청진음에 대해 도 3에서와 같은 파형 분석을 실시한다. 도 3은 환자가 가래 등으로 인한 호흡 장애가 없는 상태에서 측정된 청진음의 파형을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으로 변환하여 나타낸 도면이다.In addition, the
제어부(270)는 이와 같이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청진음에 대해 분석된 파형의 최대 진폭(Amplitude)를 누적한 평균값을 산출 및 저장한다.
The
-맥박수의 누적 평균값-- Cumulative mean value of pulse rate -
제어부(270)는 환자의 손목에 설치된 맥박 측정부(260)로부터 환자의 맥박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누적 수신된 맥박수의 누적 평균값을 산출 및 저장한다.
The
-산소 -Oxygen 포화도의Saturation 누적 평균값- Cumulative average value -
제어부(270)는 산소 포화도 측정부로부터 수신된 산소 포화도의 누적 평균값을 산출 및 저장한다.
The
한편, 상기와 같이 각 상태 정보에 대한 누적 평균값이 연속적으로 산출 및 저장되는 동안, 환자를 간호하는 보호자, 간호사 등과 같은 의료용 석션기(200)의 관리자는 환자의 호흡, 숨소리, 표정의 상태(또는 환자의 가래 제거 요청)를 직접 모니터링하여, 가래 제거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석션기(200)의 조작 입력 패널(미도시)을 통해 직접 수동 조작으로 석션기(200)를 구동시킴으로써 가래 제거를 실행한다(S330).Meanwhile, while the cumulative average value for each state information is continuously calculated and stored as described above, the manager of the
아울러, 제어부(270)는 관리자가 수동 조작을 위해서 입력 패널을 통해 석션기(200)의 동작 명령을 입력한 시점(즉, 가래 제거 필요 시점)에 측정된 환자 상태 정보를 상기에서 산출 및 저장된 누적 평균값들과 각각 비교한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해당 시점(가래 제거 필요 시점)에 측정된 호흡량을 기 저장된 호흡량의 누적 평균값과 비교하고, 해당 시점에 측정된 호흡 주기를 기 저장된 호흡 주기의 누적 평균값과 비교하며, 해당 시점에 측정된 청진음 파형 크기를 기 저장된 청진음 파형 크기의 누적 평균값과 비교하고, 해당 시점에 측정된 맥박수를 기 저장된 맥박수의 누적 평균값과 비교하며, 해당 시점에 측정된 산소 포화도를 기 저장된 산소 포화도의 누적 평균값과 비교한다. Specifically, the
한편, 제어부(270)는 가래 제거 필요 시점에 측정된 상기 복수의 환자 상태 정보 중 기 저장된 누적 평균값과 비교하여 소정 비율(예를 들면, 10%) 이상의 편차가 발생한 상태 정보를 하기의 표 1에서와 같이 추출 및 저장한다(S350).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복수의 상태 정보 중에서 관리자가 특정 환자를 직접 모니터링함으로써 석션을 실행한 시점(즉, 가래 제거 필요 시점)에서 소정 비율(예를 들면, 10%) 이상의 편차가 발생한 상태 정보를, 해당 환자에 있어서 가래 발생으로 인해 그 값이 유의미하게 변화함으로써 환자 자신의 상태(가래 제거가 필요한 상태)를 외부로 적극적으로 표지하는 지표인 '이상(abnoraml) 지표'로서 채택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able 1, a deviation of a predetermined ratio (for example, 10%) or more from the time point when the suction is performed by monitoring the specific patient directly from the plurality of state information The state information that has occurred is adopted as an abnormality index which is an indicator for positively marking the patient's own state (state requiring removal of sputum) to the outside, because the value of the patient changes significantly due to the occurrence of sputum .
아울러, 제어부(270)는 이상 지표로 채택된 상태 정보와 관려하여, 관리자에 의한 수동 석션 실행 시점에서 측정된 측정값들을 해당 환자가 가래 제거 요청 상태(즉, 이상 상태)에 있음을 표지하는 값인 기준값으로 설정 및 저장한다(S370).In addition, the
즉, 본 발명에서는 가래 제거가 필요한 상태인 경우에 나타나는 환자별 고유의 신체 반응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된 환자별 개별 기준값을 석션기(200)의 동작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환자별로 개별 설정된 기준값에 해당 환자의 상태 정보가 근접하게 되는 경우를 해당 환자에 대한 석션기(200)의 구동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함으로써, 환자별 신체 반응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간호가 가능하게 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ed individual reference value for each patient is set as an operation reference value of the
한편, 상기 표 1에서의 호흡량, 호흡 주기, 청진음 파형 크기, 맥박수, 산소 포화도는 환자별 특성에 따라서 각각 모두 이상 지표가 될 수도 있는 것이며, 그 구체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respiratory volume, respiratory cycle, stethoscopic waveform size, pulse rate, and oxygen saturation in Table 1 may all be an abnormal index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each patient, and the specific reason is as follows.
통상적으로 호흡기에 가래 등의 이물질이 일정 정도 이상 누적되는 경우 환자의 호흡은 가빠지게 되며, 그 결과 호흡주기가 짧아짐과 동시에 호흡주기당 호흡량이 감소하게 된다. In general, when foreign substances such as sputum accumulate more than a certain degree in the respiratory tract, the respiration of the patient becomes complicated, resulting in a shortening of the respiratory cycle and a decrease in respiratory rate per breathing cycle.
또한, 가래 등에 의해 환자의 숨소리가 거칠어진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청진음의 파형 크기는 일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atient's breathing becomes rough due to sputum or the like, the waveform size of the stethoscope generally increases.
아울러, 의식이 없는 환자가 가래 등의 호흡기의 이물질로 인해 호흡이 곤란하게 된 결과 해당 환자의 맥박수가 증가하게 되며, 산소 포화도는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unconscious patient has difficulty in breathing due to foreign substances from the respiratory system such as sputum, resulting in increased pulse rate of the patient and decreased oxygen satur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한편, 도 3에서는 특정 환자의 상태 정보 중 호흡량, 호흡 주기, 청진음 파형 크기, 맥박수, 산소 포화도가 모두 '이상 지표'로서 채택되어 각각 기준값으로 설정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FIG.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 exemplifies a case where the respiration amount, the respiratory cycle, the size of the stethoscopic sound waveform, the pulse rate, and the oxygen saturation are all adopted as 'abnormal indices' and set as reference values,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3,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method of controll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270)는 센서부(22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환자의 호흡 주기당 호흡량이 해당 환자에 대해 전술한 S370 단계에서 기 설정된 동작 기준값인 기준 호흡량과 소정의 오차 범위(예를 들면, 5%)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First, the
그 결과, 해당 환자의 현재 호흡량이 기준 호흡량과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70)는 해당 환자의 가래의 제거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흡입 펌프(210) 및 구동부(230)에 동작 개시 명령을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카테터(100)의 호흡기로의 진입이 개시된다(S490).As a resul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breathing amount of the patient is within the tolerance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breathing amount, the
만약, 전술한 S410 단계에서, 해당 환자의 호흡량이 기준 호흡량과 오차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부(270)는 그 다음 단계로서 해당 환자 환자의 현재 호흡 주기가 전술한 S370 단계에서 기 설정된 동작 기준값인 기준 주기와 소정의 오차 범위(예를 들면, 5%)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10 that the respiration amount of the patient is outside the reference respiration amount and the error range, the
그 결과, 해당 환자의 현재 호흡 주기가 기준 호흡 주기와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70)는 해당 환자의 가래의 제거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흡입 펌프(210) 및 구동부(230)에 동작 개시 명령을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카테터(100)의 호흡기로의 진입이 개시된다(S490).As a resul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breathing cycle of the patient is within the error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breathing cycle, the
만약, 전술한 S430 단계에서, 해당 환자의 호흡 주기가 기준 호흡 주기와 오차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부(270)는 그 다음 단계로서 해당 환자 환자의 현재 청진음 파형 크기가 전술한 S370 단계에서 기 설정된 동작 기준값인 기준 파형 크기와 소정의 오차 범위(예를 들면, 5%)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5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30 that the respiratory cycle of the patient is outside the reference respiratory cycle and the error range, the
그 결과, 해당 환자의 현재 청진음 파형 크기가 기준 파형 크기와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70)는 해당 환자의 가래의 제거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흡입 펌프(210) 및 구동부(230)에 동작 개시 명령을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카테터(100)의 호흡기로의 진입이 개시된다(S490).As a resul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ze of the current stethoscopic sound waveform of the patient is within the error range of the reference waveform size, the
만약, 전술한 S450 단계에서, 해당 환자의 청진음 파형 크기가 기준 파형 크기와 오차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부(270)는 그 다음 단계로서 해당 환자 환자의 현재 맥박수가 전술한 S370 단계에서 기 설정된 동작 기준값인 기준 맥박수와 소정의 오차 범위(예를 들면, 5%)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7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50 that the magnitude of the stethoscopy waveform of the patient is outside the reference waveform size and error range, the
그 결과, 해당 환자의 현재 맥박수가 기준 맥박수와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70)는 해당 환자의 가래의 제거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흡입 펌프(210) 및 구동부(230)에 동작 개시 명령을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카테터(100)의 호흡기로의 진입이 개시된다(S490).As a resul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pulse rate of the patient is within the error range from the reference pulse rate, the
만약, 전술한 S470 단계에서, 해당 환자의 맥박수가 기준 맥박수와 오차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부(270)는 그 다음 단계로서 해당 환자 환자의 현재 산소 포화도가 전술한 S370 단계에서 기 설정된 동작 기준값인 기준 산소 포화도와 소정의 오차 범위(예를 들면, 5%)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8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70 that the pulse rate of the patient is outside the error range with the reference pulse rate, the
그 결과, 해당 환자의 현재 산소 포화도가 기준 산소 포화도와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70)는 해당 환자의 가래의 제거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흡입 펌프(210) 및 구동부(230)에 동작 개시 명령을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카테터(100)의 호흡기로의 진입이 개시된다(S490).As a resul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oxygen saturation of the patient is within the error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xygen saturation, the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S310 단계 내지 S370 단계를 통해 설정된 기준값을 의사 또는 간호사가 환자의 상태를 직접 진단함으로써, 임의로 설정하여 입력 패널을 통해 직접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value set through steps S310 through S370 may be directly set by the doctor or the nurse by directly diagnosing the patient's condition, and may be directly input through the input panel.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S410, S430, S450, S470, S480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함에 있어서, 그 실행 순서를 관리자가 의료용 석션기(200)의 입력 패널을 통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order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equentially execute steps S410, S430, S450, S470, and S480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administrator can determine the order of execution through the input panel of the
구체적으로, 관리자는 해당 환자의 개별 특성을 고려하여 호흡량, 호흡 주기, 청진음 파형 크기, 맥박수, 산소 포화도 중 상대적으로 큰 변화폭을 갖는 상태 정보를 우선 판단 항목으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각 상태 정보의 판단의 우선 순위를 재설정함으로써, 석션기(200)의 동작 개시 결정에 있어서의 신속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administrator sets the priority informat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variation width among the respiratory volume, the respiratory cycle, the stuttering sound wave size, the pulse rate, and the oxygen satu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By resetting the priority of judg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mptness in determining the operation start of the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어부(270)는 전술한 S410, S430, S450, S470, S480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지 않고 동시에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 상기 5가지의 판단 항목 중에서 관리자가 입력 패널을 통해 설정한 임의의 개수(예를 들면, 3개) 이상이 충족된 경우에만 가래 제거의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석션기(200)의 동작 개시 결정에 있어서의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카테터,
200: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
210: 흡입 펌프,
220: 센서부,
230: 구동부,
240: 청진 마이크,
250: 압력 센서,
260: 맥박 측정부,
270: 제어부,
280: 산소 포화도 측정부.100: catheter, 200: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machine,
210: suction pump, 220: sensor part,
230: driving unit, 240: stethoscope microphone,
250: pressure sensor, 260: pulse measuring part,
270: control unit, 280: oxygen saturation measuring unit.
Claims (3)
(a) 상기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부가, 환자의 호흡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환자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환자 상태 정보와 기 설정된 환자의 기준 상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환자 상태 정보와 기 설정된 환자의 기준 상태 정보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카테터의 상기 환자의 호흡기 내부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medical suction unit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a respiratory apparatus using a catheter,
(a) the control unit of the medical suction unit measuring a plurality of patient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respir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b) the control unit comparing the plurality of patient condition information with reference condition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patient; And
(c) determining whether the catheter enters the patient's respiratory apparatus based on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plurality of patient condition information and predetermined reference state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unit.
상기 환자 상태 정보는,
상기 환자의 청진음 정보, 상기 환자의 맥박 정보, 및 상기 환자의 산소 포화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tient status information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stutter sound information of the patient, the pulse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the oxygen satur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환자의 호흡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호흡 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상태 정보와 기 설정된 환자의 기준 상태 정보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카테터의 상기 환자의 호흡기 내부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형 의료용 석션기.
A medical suction unit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he inside of a respiratory apparatus by using a catheter,
A sensor unit for measuring respir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atheter enters the respiratory apparatus based on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patient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respir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reference condition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patient,
An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pressure machi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4957A KR102075688B1 (en) | 2018-01-15 | 2018-01-15 |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Autonomously Drived Based on Patient's Condi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4957A KR102075688B1 (en) | 2018-01-15 | 2018-01-15 |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Autonomously Drived Based on Patient's Condi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7227 Division | 2016-06-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1822A true KR20180011822A (en) | 2018-02-02 |
KR102075688B1 KR102075688B1 (en) | 2020-02-10 |
Family
ID=6122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4957A KR102075688B1 (en) | 2018-01-15 | 2018-01-15 |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Autonomously Drived Based on Patient's Condi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568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5936B1 (en) * | 2020-12-29 | 2021-07-13 |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 Method for measuring respiratory sounds in telemedicine system, and telemedicine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10784A (en) * | 2008-02-07 | 2011-04-07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Device for measuring and predicting patient respiratory stability |
CN203329150U (en) * | 2013-07-04 | 2013-12-11 | 山东大学齐鲁医院 | Automatic artificial sputum suction airway and sputum suction system with automatic artificial sputum suction airway |
WO2015130007A1 (en) * | 2014-02-28 | 2015-09-03 | (주)엘메카 | Suctioning device having artificial intelligence |
KR20150130007A (en) | 2014-05-13 | 2015-11-23 | 주식회사 만도 | Parking out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
-
2018
- 2018-01-15 KR KR1020180004957A patent/KR10207568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10784A (en) * | 2008-02-07 | 2011-04-07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Device for measuring and predicting patient respiratory stability |
JP5887057B2 (en) * | 2008-02-07 | 2016-03-16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 Device for measuring and predicting patient respiratory stability |
CN203329150U (en) * | 2013-07-04 | 2013-12-11 | 山东大学齐鲁医院 | Automatic artificial sputum suction airway and sputum suction system with automatic artificial sputum suction airway |
WO2015130007A1 (en) * | 2014-02-28 | 2015-09-03 | (주)엘메카 | Suctioning device having artificial intelligence |
KR20150130007A (en) | 2014-05-13 | 2015-11-23 | 주식회사 만도 | Parking out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5936B1 (en) * | 2020-12-29 | 2021-07-13 |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 Method for measuring respiratory sounds in telemedicine system, and telemedicine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5688B1 (en) | 2020-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343118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flow limitation detection of obstructive sleep apnea | |
JP6247217B2 (en) | Detection of mouth breathing in early expiration | |
JP620043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pressure assist devices | |
US11247009B2 (en) | Anomaly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respiratory mechanics parameter estimation | |
US8230858B2 (en) |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respiratory gas monitor | |
US20140235959A1 (en) | Methods and algorithms for supervisory closed-loop determination of optimized scheduling of ventilator weaning trials | |
US20220218928A1 (en) | Method for evaluating volume responsiveness and medical device | |
JP6912388B2 (en) | Non-invasive method of monitoring patient respiratory status via sequential parameter estimation | |
KR101710903B1 (en) |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Autonomously Drived for Patient's Pain relief, and Controlling Method of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 |
KR101710901B1 (en) |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Autonomously Drived Based on Patient's Condi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 |
KR101958267B1 (en) |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Autonomously Drived, and Catheter Used threrin | |
KR20180011822A (en) |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Autonomously Drived Based on Patient's Condi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 |
EP1964514B1 (en) |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respiratory gas monitor | |
KR20180010277A (en) | Controlling Method of the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Autonomously Drived Based on Patient's Condition Information | |
KR101861078B1 (en) | Method for Managing Suction Pump in Network, and Managing Server Used Therein | |
KR101877531B1 (en) |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Autonomously Drived Based on Patient's Condi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 |
KR101877526B1 (en) |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Autonomously Drived for Patient's Pain relief, and Controlling Method of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 |
KR101958307B1 (en) | Controlling Method of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Autonomously Drived | |
KR101958281B1 (en) | 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Autonomously Controlled | |
EP4079221A1 (en) | System for identifying a condition of a user | |
KR20180105820A (en) | Artificial Intelligent Medical Suc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11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62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077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14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4101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