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256A - 통신 시스템, 관리 디바이스,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집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관리 디바이스,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집 방법, 및 프로그램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256A
KR20180011256A KR1020177037059A KR20177037059A KR20180011256A KR 20180011256 A KR20180011256 A KR 20180011256A KR 1020177037059 A KR1020177037059 A KR 1020177037059A KR 20177037059 A KR20177037059 A KR 20177037059A KR 20180011256 A KR20180011256 A KR 20180011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access point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user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히로 미야시따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를 촉진하는데 기여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 집약 디바이스, 및 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2개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하고; 이러한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말에 의한 액세스를, 액세스 정보로서, 출력한다. 집약 디바이스는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한다. 관리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로 송신되는 식별자 문자열을, 입력으로서, 받아들이고, 입력된 문자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로 송신되는 식별자를 변경한다. 관리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는 요청을 집약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집약 디바이스는 액세스 로그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관리 디바이스에 출력한다. 관리 디바이스는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외부에 출력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관리 디바이스,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집 방법, 및 프로그램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발명은 2015년 5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108527호에 기초하고, 그 출원의 내용 전부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관리 디바이스,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집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관리 디바이스,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집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들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들의 보급으로 인해, 3G(3rd Generation)/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회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트래픽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통신 사업자들은, 이동 전화 네트워크 설비 뿐만 아니라, 무선 LAN에 의한 인터넷 접속을 실현하기 위한 설비의 확장을 촉진한다. 구체적으로, 역, 공항 등에 AP(access point)가 설치되고, 통신 사업자와 계약한 사용자에게 무선 LAN에 의한 무선 접속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편의점과 같은 소매점이 점포에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할 수 있거나 또는 자치단체가 지역 활성화를 달성하기 위해 공공 설비에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은 LTE와 같은 회로 네트워크를 액세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무선 LAN을 액세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무선 단말)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특허 문헌 1에서의 단락 [0002] 등 참조).
특허 문헌 2는 Passpoint("Wi-Fi CERTIFIED PASSPOINT" 등록 상표)라고 지칭되는 공중 무선 LAN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특허 문헌 2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계약된 무선 LAN 서비스의 Wi-Fi 영역에 들어가면 사용자 인증이 자동적으로 수행되고, 무선 접속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PCT 국제 출원 공보 제JP-T-2015-502125호의 일본어 번역문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보 제2015-53582호
위 선행 기술 문헌의 각각의 개시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다음의 분석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 사업자, 소매점 등이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한다. 이러한 경우, 단일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의 회사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1)는 소매점에 설치되는 액세스 포인트이고, 통신 사업자와 소매점을 운영하는 회사 사이에 공유된다.
액세스 포인트(11)는 복수 종류의 ESSID들(extended service set identifiers; 이하, 간단히 "SSID들"이라고 기재됨)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1)는 미리 통신 사업자와 계약을 체결한 사용자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SSID_1, 및 소매점에 오는 사용자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SSID_2를 지원한다.
소매점을 방문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조작하여 단말 상에 무선 LAN 설정 화면(Wi-Fi 스폿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LAN을 사용할 경우에는 SSID_1을 선택하거나, 또는 소매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LAN을 사용할 경우에는 SSID_2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단말(61-1)을 소유하는 사용자가 SSID_1을 선택할 때, 액세스 포인트(11)로부터 관리 서버(71)를 향해 사용자 인증을 위한 패킷이 송신된다. 이러한 패킷을 수신한 관리 서버(71)는 SSID_1에 의한 무선 LAN의 사용을 요청하는 단말(61-1)이 유효한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인증하고, 단말(61-1)이 유효한 권한을 가질 때 단말(61-1)로부터 인터넷으로 패킷을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단말(61-2)을 소유하는 사용자가 SSID_2를 선택할 때, 액세스 포인트(11)는 단말(61-2)을 웹 서버(31)에 접속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어를 수행한다. 단말(61-2)을 인터넷에 접속하기 전에, 웹 서버(31)는 단말(61-2)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메일 어드레스, 성별 등)를 수집하기 위한 그리고 사용 규약에 동의함을 획득하기 위한 포털 사이트를 구현한다. 웹 서버(31)는 사용자의 사용 규약에 동의함을 조건으로 단말(61-2)로부터 인터넷으로 패킷을 전송한다.
소매점 등에 설치되는 액세스 포인트는 특정 영역마다 설치되는 집약 디바이스(21)와 통상적으로 접속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집약 디바이스(21)는 액세스 포인트(11)로부터 송신되는 패킷들을 정렬(중계)하고, 액세스 포인트(11)에 접속되는 단말에 대한 정보(단말의 식별자 등)를 수집하여, 액세스 로그로서, 저장한다. 예를 들어, 집약 디바이스(21)는 SSID_1을 선택한 단말(61-1)로부터의 패킷을 관리 서버(71)를 향하여 송신하고, SSID_2를 선택한 단말(61-2)로부터의 패킷을 웹 서버(31)를 향하여 송신한다.
도 17을 사용하여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소매점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소매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LAN 사용자들의 수가 소매점이 예상하는 만큼 증가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소매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LAN을 사용하려고 시도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의 개인 정보, 사용 규약에 동의함 등이 요청된다. 이러한 정보 제공은 소매점 등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LAN의 사용자들의 수의 증가를 방해하는 장애물이 된다고 생각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소매점은 사용자에게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포털 사이트 상에 상품의 광고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달리 말하면, 소매점 등은 사용자에게 인터넷 접속을 제공함에 있어서 포털 사이트를 판매 촉진 수단의 하나로서 고려한다. 자신의 소매점 등의 무선 LAN 접속이 사용되지 않으면,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할 필요성이 감소된다. 이것은 자치단체에 의해 설치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서도 유사하다. 자치단체에 의해 설치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기 위한 사전 준비를 더 많이 요청하는 것은 사용률을 감소시킨다고 생각될 수 있다. 그 결과, 자치단체는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하려는 동기 부여를 덜 받게 된다.
그러나,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는 재해 등의 경우에 통신 수단을 보장하는 통신 인프라스트럭처로서의 양상을 갖는다.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가 촉진되지 않는다는 것은 공중의 이익의 관점에서 마찬가지로 문제점이 있다.
위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를 촉진하는데 기여하는 통신 시스템, 관리 디바이스,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집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들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식별자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말에 의한 액세스를, 액세스 정보로서, 출력하는 액세스 포인트;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출력되는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하는 집약 디바이스; 및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의 문자열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문자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를 변경하는 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관리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집약 디바이스에 요청한다. 집약 디바이스는 액세스 로그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 디바이스에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한다. 관리 디바이스는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외부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르면, 관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관리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들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식별자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말에 의한 액세스를, 액세스 정보로서, 출력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출력되는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하는 집약 디바이스와 접속된다.
또한, 관리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의 문자열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문자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를 변경하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집약 디바이스에 요청하고,
집약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액세스 로그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외부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들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식별자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말에 의한 액세스를, 액세스 정보로서, 생성하고,
생성된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하는 수단;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의 문자열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문자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를 변경하는 수단; 및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수집 방법이 제공된다.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들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식별자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말에 의한 액세스를, 액세스 정보로서, 출력하는 액세스 포인트;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출력되는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하는 집약 디바이스; 및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의 문자열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문자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를 변경하는 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 방법은,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집약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단계; 집약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로그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관리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단계; 및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상에 따르면,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 프로그램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들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식별자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말에 의한 액세스를, 액세스 정보로서, 출력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출력되는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하는 집약 디바이스와 접속되는 관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처리, 즉,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의 문자열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문자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를 변경하는 단계;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집약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집약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액세스 로그로부터 취득하고,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단계의 처리를 실행하게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저장 매체는 반도체 메모리, 하드 디스크, 자기 기록 매체, 및 광 기록 매체와 같은 비-일시적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를 촉진하는데 기여하는 통신 시스템, 관리 디바이스,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집 방법, 및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약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액세스 로그 관리 테이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관리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SSID 설정 변경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9는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Wi-Fi 스폿 선택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앙케이트 결과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LAN 접속들의 수의 그래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단말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Wi-Fi 스폿 선택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일 실시예의 개요가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개요에서 첨부되는 도면 참조 부호들을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예로서 편의상 요소들에 첨부되고, 이러한 개요 설명은 어떠한 제한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101)를 포함하고, 집약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의 출력을 요청한다. 집약 디바이스(102)는 액세스 로그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관리 디바이스(103)에 출력한다. 관리 디바이스(103)는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외부에, 출력한다.
액세스 포인트(101)에 의해 송신될 식별자(구체적으로, ESSID)는 관리 디바이스(103)로부터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액세스 포인트(101)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의 문자열은 소매점의 소유자 등에 의해 임의의 문자열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소매점의 소유자는 식별자의 문자열에서 소매점의 소유자가 알기 원하는 정보에 대한 옵션들을 설정하고, 관리 디바이스(103) 및 집약 디바이스(102)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옵션(식별자)에 관한 정보(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매점의 소유자는 액세스 포인트(101)를 사용하는 간단한 앙케이트(정보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소매점의 소유자는 소매점의 관리에 유익한 것으로 여겨지는 정보를 수집하는 목적으로 앙케이트를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앙케이트 시스템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액세스 포인트(101)를 적극적으로 도입(설치)하려는 동기 부여를 받는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각각의 실시예들 전반적으로 동일한 컴포넌트들에는 동일한 부호들이 할당되고,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가 도면들을 사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10-1 내지 10-n)(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이고; 이하 동일하게 적용됨.), 집약 디바이스(20), 웹 서버(30), 관리 디바이스(40), 및 관리 단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액세스 포인트들(10-1 내지 10-n)을 구별할 특별한 이유들이 없으면 액세스 포인트들(10-1 내지 10-n)은 "액세스 포인트들(10)"로서 간단히 기재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시스템 구성 개요]
액세스 포인트들(10)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nc.) 802.11에 따르는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이다. 액세스 포인트들(10)은 멀티-SSID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중계 디바이스들이고, 각각의 SSID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액세스 포인트들(10) 각각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변경 가능 식별자(SSID, 보다 정확하게는, ESSID)를 브로드캐스트한다.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10)는, 액세스 정보로서, SSID를 사용하는 단말에 의한 액세스의 기록을 집약 디바이스(20)에 출력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여기서, 도 5를 사용하여 이후 설명될 바와 같이, 액세스 정보는 적어도 단말 식별자 및 접속 SSID를 포함한다.
집약 디바이스(20)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10)과 접속되는 디바이스이고,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10)와 인터넷 상의 서버(도시되지 않음) 등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디바이스이다. 집약 디바이스(20)는 또한 액세스 포인트(10)를 사용하는 단말에 의한 액세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 및 관리하는 디바이스이다. 집약 디바이스(20)는, 관리 디바이스(4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10)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SS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관리 디바이스(40)에 출력한다.
웹 서버(30)는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웹 서버(30)는, 예를 들어, 소매점이 사용자에게 인터넷 접속을 제공할 때 사용 규약에 동의함을 획득하기 위한, 그리고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포털 사이트를 구현한다.
관리 디바이스(40)는 액세스 포인트들(10) 및 집약 디바이스(20)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디바이스이다. 관리 디바이스(40)는, 외부 단말(관리 단말(5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0)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SSID의 문자열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문자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10)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를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다. 관리 디바이스(40)는, 집약 디바이스(20)에게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요청하고, 집약 디바이스(20)로부터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기능을 또한 갖는다.
관리 단말(50)은,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가 설치되는 소매점의 소유자 또는 담당자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10)로부터 송신될 SSID를 변경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달리 말하면, 사용자(소매점의 소유자 등)는 관리 단말(50)을 동작시킴으로써 액세스 포인트(10)로부터 송신될 SSID의 문자열을, 관리 디바이스(40)에, 입력한다. 관리 디바이스(40)는 외부 단말(관리 단말(50))로부터 문자열의 입력을 수신하고, 문자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10)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를 변경한다. 관리 단말(50)은 또한 집약 디바이스(20)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 또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단말들(60-1 및 60-2)은 무선 LAN(공중 무선 LAN)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스마트폰들과 같은 무선 단말들이다.
도 2에서는 그 도시가 생략되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액세스 포인트(10-1) 뿐만 아니라 관리 디바이스(40)에 의한 관리의 대상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
도 3은 액세스 포인트(10)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는 통신 인터페이스(201), 전송부(202), 제어부(203), 및 저장부(2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세스 포인트(10)를 구성하는 각 부들은 내부 버스를 통해 접속되고, 상호 통신 가능한 방식으로(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액세스 포인트(10)와 다른 디바이스(무선 단말, 집약 디바이스(20), 및 관리 디바이스(4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무선 IF(interface)부(211) 및 유선 인터페이스부(212)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11)는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를 복조하고, 수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전파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11)는 수신 데이터를 전송부(202)에 전달한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부(211)는 전송부(202)를 통해 제어부(203) 및 유선 인터페이스부(212)로부터 송신 데이터를 취득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11)는 2개의 SSID들을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고, 각각의 SSID가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설정된 비컨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하는 기능을 갖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11)로부터 송신되는 비컨 프레임을 수신한 단말은, 사용자 동작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한 SSID를 선택하고, 선택된 SSID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10)에 송신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211)는 프레임을 수신하여 제어부(203)에 전달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10)가 2개의 SSID들을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고 가정되지만, 액세스 포인트(10)에 의해 지원되는 SSID들의 수를 2로 제한하려고 의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목한다. 액세스 포인트(10)는 3개 이상의 SSID들을 지원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부(212)는 액세스 포인트(10)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의 유선 접속을 실현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유선 인터페이스부(212)는 액세스 포인트(10)와 집약 디바이스(20) 사이의 회선 접속을 중개한다. 대안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0)와 관리 디바이스(40)가 전용 회선 또는 인터넷을 통해 유선 접속될 때, 유선 인터페이스부(212)는 관리 디바이스(40)에 대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액세스 포인트(10)와 관리 디바이스(40)가 무선 접속될 때, 무선 인터페이스부(211)는 관리 디바이스(40)에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관리 디바이스(40)로부터 취득된 데이터(예를 들어, 이후 설명될 SSID 설정 변경 지시)를 제어부(203)에 전달한다.
전송부(202)는 통신 인터페이스(201)로부터 취득된 데이터(패킷)의 전송을 달성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페이스부(211)로부터 취득된 패킷이 인터넷 상의 서버 등으로 향하는 패킷일 때, 전송부(202)는 패킷을 유선 인터페이스부(212)에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유선 인터페이스부(212)로부터 취득된 패킷이 액세스 포인트(10)의 제어하에 있는 단말로 향하는 패킷일 때, 전송부(202)는 패킷을 무선 인터페이스부(211)에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취득된 패킷이 자신의 디바이스(액세스 포인트(10))로 향하는 패킷일 때, 전송부(202)는 패킷을 제어부(203)에 전송한다.
제어부(203)는 전체 액세스 포인트(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3)는 무선 인터페이스부(211)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될 SSID를 무선 인터페이스부(211)에 설정하는 수단(SSID 설정부(221))을 포함한다. 관리 디바이스(40)로부터 SSID 설정 변경에 관한 지시(SSID 설정 변경 지시)를 수신할 때, SSID 설정부(221)는 무선 인터페이스부(211)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될 SSID의 내용(문자열)을 변경한다.
제어부(203)는 액세스 포인트(10)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포함될 단말에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단말이 선택된 SSID의 무선 네트워크에 포함되도록 하는 제어(예를 들어, 단말의 인증 및 연계)를 수행하는 무선 접속부(222)를 포함한다.
제어부(203)는 액세스 포인트(10)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포함된 단말에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접속 처리부(223)를 또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접속 처리부(223)는,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접속 SSID와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단말 식별자; 예를 들어,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액세스 정보로서, 집약 디바이스(20)에 송신한다.
또한, 접속 처리부(223)는 무선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단말의 웹 브라우저로 하여금 웹 서버(30)에 의해 제공되는 포털 사이트에 관한 화면을 표시하게 하는 정보(예를 들어, 웹 서버(30)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생성하고, 이러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한다.
저장부(204)는 제어부(203)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집약 디바이스의 구성]
도 4는 집약 디바이스(20)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집약 디바이스(20)는 통신 제어부(301), 액세스 로그 관리부(302), 및 저장부(3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집약 디바이스(20)를 구성하는 각 부들은 내부 버스를 통해 접속되고 상호 통신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통신 제어부(301)는 집약 디바이스(20)와 다른 디바이스(액세스 포인트(10), 인터넷 상의 라우터와 같은 디바이스, 및 관리 디바이스(40))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통신 제어부(301)는, 액세스 포인트(10)와 집약 디바이스(20)를 접속하는 회선 측의 인터페이스, 집약 디바이스(20)와 인터넷을 접속하는 회선 측의 인터페이스, 및 집약 디바이스(20)와 관리 디바이스(4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각각 포함한다.
액세스 로그 관리부(302)는 액세스 포인트(10)의 접속 처리부(223)에 의해 송신되는 액세스 정보를 시계열로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0)로부터 액세스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액세스 로그 관리부(302)는 저장부(303)에 구축된 액세스 로그 관리 테이블에 엔트리를 추가한다.
도 5는 저장부(303)에 구축된 액세스 로그 관리 테이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액세스 로그 관리 테이블은 적어도 액세스 정보가 취득된 날짜 및 시간, 액세스 정보의 송신 소스인 액세스 포인트(10)의 식별 정보, 및 액세스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단말 식별자 및 접속 SSID에 관한 필드들을 포함한다. 액세스 로그 관리부(302)는,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로부터 액세스 정보에 관한 패킷이 취득되는 날짜 및 시간을 액세스 로그 관리 테이블에 등록될 날짜 및 시간으로서 취급하고, 액세스 정보에 관한 패킷에 포함되는 액세스 포인트(10)의 어드레스(IP 어드레스 및 MAC 어드레스)를 액세스 로그 관리 테이블에 등록될 식별 정보로서 취급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액세스 포인트(10)로부터 집약 디바이스(20)에 송신될 액세스 정보는, 단말 식별자 및 접속 SSID 뿐만 아니라, 단말이 무선 네트워크에 포함되도록 액세스 포인트(10)가 허용한 날짜 및 시간, 및 액세스 포인트(10)의 자신의 식별자(IP 어드레스 등)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러한 경우, 집약 디바이스(20)는 취득된 액세스 정보를 시계열로 저장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되는 액세스 로그 관리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Women?"의 SSID를 사용하는 액세스가 2015년 1월 1일에 2개의 상이한 단말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0-1)에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유사하게, "Men?"의 SSID를 사용하는 액세스가 2015년 1월 1일에 액세스 포인트(10-1)에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관리 디바이스(40)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정보의 출력에 관한 요청(이하, 사용자 식별자 정보 출력 요청이라고 기재됨) 수신시, 액세스 로그 관리부(302)는 필요한 정보(액세스 정보)를 추출하고 이러한 정보를 관리 디바이스(40)에 제공한다(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디바이스(40)는 집약 디바이스(20)가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는 조건을 지정함으로써 사용자 식별자 정보의 출력을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 디바이스(40)는 액세스 포인트(10)를 지정함으로써 사용자 식별자 정보의 출력을 요청하고,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포함될 날짜 및 시간에 관한 범위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2015년 1월 1일을 지정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의 출력에 대한 요청을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포함될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10-1)에 관한 날짜 및 시간으로서, 관리 디바이스(40)로부터, 수신할 때, 액세스 로그 관리부(302)는 액세스 로그 관리 테이블로부터 조건(도 5에 도시되는 제1 내지 제3 행들의 액세스 정보)에 부합하는 액세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사용자 식별자 정보로서, 관리 디바이스(40)에 출력한다.
[관리 디바이스의 구성]
도 6은 관리 디바이스(40)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디바이스(40)는 통신 제어부(401), 제어부(402), 및 저장부(4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리 디바이스(40)를 구성하는 각 부들은 내부 버스를 통해 접속되고 서로 통신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통신 제어부(401)는 액세스 포인트(10), 집약 디바이스(20), 및 관리 단말(50)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통신 제어부(401)는 관리 단말(50) 등으로부터 취득되는 데이터를 제어부(402)에 전달한다.
제어부(402)는 SSID 변경부(411) 및 사용자 식별자 정보 관리부(412)를 포함한다.
관리 단말(50)로부터 SSID 설정 변경에 관한 요청 수신시, SSID 변경부(411)는 SSID를 변경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러한 화면 데이터를 관리 단말(5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SSID 변경부(411)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러한 화면 데이터를 관리 단말(50)에 출력한다. 사용자는 관리 단말(50)을 조작하고, 브로드캐스트될 SSID를 변경하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액세스 포인트(10)를 선택한다. 동시에, 사용자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1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될 SSID의 문자열을, 관리 디바이스(40)에, 입력한다. 최대 32개의 영숫자 문자들(일본어 문자 등의 경우에는 16개의 문자들)의 범위 내의 문자열이 SSID로서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SSID의 문자열)를 취득한 SSID 변경부(411)는 입력 데이터(변경된 SSID에 관한 문자열)를 포함하는 SSID 설정 변경 지시를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10)를 향해 송신한다. 달리 말하면, SSID 변경부(411)는 외부 단말인 관리 단말(5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0)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SSID의 문자열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러한 문자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10)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SSID를 변경한다.
사용자 식별자 정보 관리부(412)는, 관리 단말(50)로부터(액세스 포인트(10)의 관리자 등으로부터) 집약 디바이스(20)에 축적되는 액세스 로그들 중, 어떤 조건에 부합하는 액세스 로그가 사용자 식별자 정보로서 출력될 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사용자 식별자 정보 출력 지시를 입력한다). 이 때,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포함될 구체적인 날짜 및 시간과 액세스 포인트(10)가 관리 단말(50)로부터 지정된다. 사용자 식별자 정보 관리부(412)는, 집약 디바이스(20)가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는 조건으로서 지정되는 범위를 집약 디바이스(20)에 제공하면서,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집약 디바이스(20)에 요청한다. 또한, 집약 디바이스(20)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정보 출력 요청에 대한 응답 취득시, 사용자 식별자 정보 관리부(412)는 이러한 응답을 관리 단말(50)에 출력한다.
저장부(403)는 제어부(402)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시스템 동작]
다음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10-1)가 소매점에 설치되고, 액세스 포인트(10-1)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될 SSID의 문자열이 소매점의 소유자(또는 담당자)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가 설명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이다. 먼저, 액세스 포인트(10-1)가 설치된 소매점의 소유자는, 관리 디바이스(40)에 대해, 관리 단말(50)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10-1)로부터 송신될 SSID의 문자열을 입력한다(단계 S101).
예를 들어, 소매점의 소유자가 자신의 소매점을 방문하는 고객의 성별에 관한 정보를 알기를 원할 때, 소매점의 소유자는 액세스 포인트(10-1)에 설정될 수 있는 2개의 SSID들 중 하나의 SSID로서 "Women?"을 설정한다. 또한, 소유자는 다른 SSID로서 "Men?"을 설정한다. 무선 LAN에 의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것, 및 앙케이트 형태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명칭들이 액세스 포인트의 선택에 표시되어, 이로부터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의 명칭이 선택될 필요가 있다는 것은 소매점의 소유자에 의해 통지되는 등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대안적으로, 문자 수가 허용될 때, 소유자는 SSID들을 사용하는 앙케이트가 실행됨을 명확하게 표시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앙케이트; Women?" 및 "앙케이트, Men?"과 같은 문자열들을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SSID들을 사용하는 앙케이트의 실행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관리 디바이스(40)는 관리 단말(50)로부터의 SSID의 설정 변경을 액세스 포인트(10-1)에 반영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디바이스(40)는 액세스 포인트(10-1)에게 SSID를 단계 S101에서 소유자에 입력된 문자열로 변경하라고 지시한다(SSID 설정 변경 지시; 단계 S102).
액세스 포인트(10-1)의 SSID 설정부(2210f)는, SSID 설정 변경 지시에 기초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211)에, "Women?" 및 "Men?"에 관한 문자열을 브로드캐스트될 SSID로서 설정한다(단계 S103).
그 후, 액세스 포인트(10-1)는 문자열 "Women?"으로 이루어지는 SSID 및 문자열 "Men?"으로 이루어지는 SSID를 포함하는 비컨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한다(단계 S104).
이러한 상황 하에서, 예를 들어, 단말(60-1)을 소유하는 사용자가 단말(60-1)의 인터넷 접속을 원할 때, 이러한 사용자는 단말(60-1)을 조작하여 Wi-Fi 스폿 선택 화면(공중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화면이 단말(60-1)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9에 도시되는 4개의 접속 포인트들(보다 정확하게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송신되는 SSID들) 중에서, 상위 2개의 접속 포인트들은 액세스 포인트(10-1)에 의해 송신되는 2개의 SSID들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4개의 접속 포인트들 중에서, 하위 2개의 접속 포인트들은 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액세스 포인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송신되는 SSID들이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는, SSID들 "Women?"및 "Men?"(앙케이트에서의 옵션들)에 대해 여성 사용자가 "Women?"을 선택하고 남성 사용자가 "Men?"을 선택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달리 말하면, 남성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4개의 접속 포인트들 중에서 최상위 접속 포인트(SSID가 "Men?"인 접속 포인트)를 선택한다고 가정된다. 단말이 터치 패널 조작을 지원할 때, 사용자는 SSID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SSID를 선택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본체 등에 제공되는 하드웨어 키(십자 키, 선택 키 등)를 조작하여, 원하는 SSID를 선택한다.
사용자의 조작을 수신한 단말(60-1)은 선택된 SSID(위 예에서 "Men?"에 관한 SSID)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10-1)에 송신한다(SSID의 선택, 단계 S105). SSID들을 사용하는 앙케이트에 답변하지 않으려는 사용자는 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액세스 포인트(도 9의 하위 2개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무선 LAN으로의 접속을 포기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위에 설명된 프레임 수신시, 액세스 포인트(10-1)는 단말(60-1)에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SSID가 "Men?"인 무선 네트워크에 단말(60-1)을 포함시킨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0-1)는 단말(60-1)에 관한 액세스 정보를 집약 디바이스(20)에 송신한다(단계 S106).
집약 디바이스(20)는 액세스 포인트(10-1)로부터 취득된 액세스 정보를 액세스 로그 관리 테이블에 반영한다(액세스 로그 관리 테이블의 업데이트; 단계 S107).
소매점의 소유자는 관리 단말(50)을 조작하여, 액세스 포인트(10-1)의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는 지시를 관리 디바이스(40)에 발행한다(단계 S201).
이러한 지시를 수신한 관리 디바이스(40)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포함되는 조건을 지정함으로써,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한 출력 요청을 집약 디바이스(20)에 발행한다(단계 S202).
출력 요청을 수신한 집약 디바이스(20)는, 지시에 기초하여, 액세스 로그들로부터 필요한 액세스 정보를 추출하고, 그 결과(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관리 디바이스(40)에 송신한다(단계 S203).
관리 디바이스(40)는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관리 단말(50)에 출력한다. 소매점의 소유자는 관리 단말(50)을 조작하여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확인한다(단계 S204).
이러한 방식으로, 액세스 포인트(10-1)가 설치되는 소매점의 소유자는, 집약 디바이스(20)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소유자가 알고 싶은 것(예를 들어, 소매점을 방문하는 고객의 성별에 관한 정보)을 획득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10)가, 집약 디바이스(20)에, 자신의 디바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단말을 포함시킬 때 사용될 SSID를 포함하는 액세스 정보를 출력한다. 집약 디바이스(20)는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10)에 의해 출력되는 액세스 정보를 축적하고, 액세스 포인트(10)를 사용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에 관한 액세스 로그를 생성한다. 관리 디바이스(40)는 집약 디바이스(20)에게 어떤 SSID가 사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요청하고, 그 결과를 관리 단말(50)을 통해 소매점의 소유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1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될 SSID의 문자열이 소매점의 소유자에 의해 임의의 문자열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소매점의 소유자가 SSID의 문자열에서 알기 원하는 정보에 대한 옵션을 설정하고, SSID의 사용의 결과(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집약 디바이스(20) 및 관리 디바이스(40)로부터 취득함으로써, 간단한 앙케이트가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소매점의 소유자는 소매점의 관리에 유익할 것으로 보이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위에 설명된 앙케이트 시스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동기 부여를 받을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가 촉진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간단한 앙케이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인터넷 접속을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를 들어, 이메일 어드레스 등)가 요구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사용자는 간단한 앙케이트에 답변하는 것만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고, 소매점 등에 설치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함에 있어서 저항이 적다고 생각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사용자는 간단한 앙케이트에 답변함으로써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이점을 누릴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소매점 등에 설치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달리 말하면, 소매점 등에 설치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사용이 촉진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제2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40a)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40)와 관리 디바이스(40a) 사이의 차이점은 제어부(402)가 앙케이트 결과 출력부(413)를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40)는, 집약 디바이스(20)로부터, 관리 단말(50)로부터 지정되는 범위의 사용자 식별자 정보만을 취득하고,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관리 단말(50)에 출력한다. 달리 말하면, 사용자 식별자 정보의 분석은 사용자(소매점의 소유자 등) 측에 맡겨진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40a)는, 관리 디바이스(40)의 기능 이외에,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관한 정보 처리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앙케이트로서 출력하는 기능(앙케이트 결과 출력부(41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앙케이트 결과 출력부(413)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 관리부(412)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로부터, 날짜마다 각각의 SSID를 사용하는 접속들의 수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앙케이트 결과로서 관리 단말(50)에(관리 단말(50)의 화면)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2015년 1월 1일 이후 SSID들 "Women?" 및 "Men?" 각각을 사용하여 행하여진 무선 LAN 접속들의 수가 앙케이트 결과로서 관리 단말(50)에 출력된다. 이러한 앙케이트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소매점의 소유자는 여성들보다 더 많은 남성들이 자신의 상점을 방문한 사실(추세)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유자는 남성용 제품들을 확장하는 것과 같은 대응책을 고려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앙케이트 결과 출력부(413)는 시간대마다 각각의 SSID를 사용하는 접속들의 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결과를 그래프로서 관리 단말(5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하루에 시간대마다 SSID들 "Women?" 및 "Men?" 각각을 사용하는 무선 LAN 접속들의 수의 그래프(앙케이트 결과)가 관리 단말(50)에 출력된다. 이러한 그래프를 취급함으로써, 소매점의 소유자는 시간대마다의 방문자 경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오쯤에 여성 방문자들의 수의 피크가 있고, 정오쯤 및 저녁에 남성 방문자들의 수의 2개의 피크들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매점의 소유자는 소매점의 관리를 위해 이러한 앙케이트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관리 디바이스(40a)는 어떤 종류의 정보 처리(예를 들어, 날짜마다 SSID 접속들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 및 시간대마다 SSID들을 카운트하는 것)가 사용자(소매점의 소유자)에 의해 요구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예를 들어, 관리 디바이스(40a)는 관리 단말(50)에 실행 가능한 정보 처리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관리 디바이스(40a)에 의해 실행될 정보 처리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관리 디바이스(40a)에 의해 실행될 처리를 설명하는 파일(실행 파일, 배치 파일)이 관리 단말(50)로부터 관리 디바이스(40a)에 입력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40a)는 집약 디바이스(20)로부터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관한 정보 처리를 실행하여, 앙케이트 결과로서 생성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소매점의 소유자 등)에게 관리 단말(50)을 통해 제공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SSID를 사용하는 앙케이트 결과를 분석하지 않고도 유익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제3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서는, 집약 디바이스(20)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가 액세스 포인트(10)가 설치되는 소매점의 소유자 등에 의해 참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SSID를 사용하는 접속의 결과(앙케이트 결과)가 단말의 사용자(소매점의 고객)에게 제시될 수 있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40b)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관리 디바이스(40b)와 제2 실시예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40a) 사이의 차이점은 제어부(402)에 포함되는 앙케이트 결과 출력부(413a)의 기능이 상이하다는 점에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앙케이트 결과 출력부(413a)는 집약 디바이스(20)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주기적으로 취득한다. 그 후, 앙케이트 결과 출력부(413a)는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로부터 앙케이트 결과를 생성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확인될 수 있는 웹사이트(예를 들어, 웹 서버(30)에 의해 제공되는 포털 사이트) 상에 및 상점에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1)가 설치되는 소매점 근처에 2개 팀들에 의해 플레이되는 시합의 큰 스포츠 이벤트가 개최되고, 그 소매점의 소유자가 SSID를 사용하여 "어느 팀이 승리할 것인가"에 관한 앙케이트를 수행하는 경우가 고려된다.
이러한 경우, 소매점의 소유자는 2개 타입들의 SSID들 "A 팀이 이길 것인가?" 및 "B 팀이 이길 것인가?"를 액세스 포인트(10-1)에 설정한다. 이러한 2개의 SSID들을 사용하는 액세스가 집약 디바이스(20)에 축적된다. 관리 디바이스(40b)의 앙케이트 결과 출력부(413a)는 집약 디바이스(20) 상의 액세스 로그를 주기적으로 취득하고, 각각의 SSID를 사용하는 접속의 축적 값을 계산한다. 그 후, 앙케이트 결과 출력부(413a)는 계산의 결과를 웹 서버(3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바이스에 출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매점을 방문하는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패배 예측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40b)는 집약 디바이스(20)에 저장되는 액세스 로그를 주기적으로 취득하고, 취득된 액세스 로그로부터 사용자에게 제시될 정보(앙케이트 결과)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이 참여하는 앙케이트의 결과를 알 수 있고, 따라서, 소매점 등에 의해 설치되는 액세스 포인트(10)를 사용하려는 동기 부여를 받을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액세스 포인트의 사용이 더욱 촉진된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제4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에서는, 관리 디바이스(40)가 액세스 포인트(10)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형태가 설명되었다. 제4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10)가 관리 디바이스(40)의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도 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도 2 참조)과의 차이점은 관리 디바이스(40)가 없다는 점 및 집약 디바이스(20)의 일부 기능이 액세스 포인트(10)에 의해 구현된다는 점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SSID의 변경을 위한 지시가 관리 단말(5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0a)에 직접 발행되고, 사용자 식별자 정보가 액세스 포인트(10a)로부터 취득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10a)가 액세스 정보를 집약 디바이스(20a)에 송신하지 않지만, 액세스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10a) 자체 내에 축적하여 저장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액세스 로그를 생성한다. 액세스 포인트(10a)는 또한 생성된 액세스 로그를 사용하여 사용자 식별자 정보 및 앙케이트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 및 앙케이트 결과를 관리 단말(50)에 제공한다.
도 1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10a)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10)와 액세스 포인트(10a)의 차이점은 제어부(203)가 액세스 로그 관리부(224), SSID 변경부(225), 및 사용자 식별자 정보 관리부(226)를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 액세스 로그 관리부(224)의 기능 및 동작은 집약 디바이스(20)에 포함되는 액세스 로그 관리부(302)의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따라서, 상세사항에 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또한, SSID 변경부(225)의 기능 및 동작은 관리 디바이스(40)에 포함되는 SSID 변경부(411)의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따라서 상세사항에 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유사하게, 사용자 식별자 정보 관리부(226)의 기능 및 동작은 사용자 식별자 정보 관리부(412)의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따라서,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10a)는, SSID 변경부(225)를 사용하여, 사용자(소매점의 소유자 등)로부터 SSID 변경 지시를 수신한다. 수신된 변경 지시는 SSID 설정부(221)에 의해 처리되고, 무선 인터페이스부(211)에 의해 설정된 문자열의 SSID가 브로드캐스트된다. 그 후, 무선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SSID에 관한 정보(액세스 정보)가 저장부(204)에 축적되어 액세스 로그로서 관리된다. 그 후, 소매점의 소유자 등이 액세스 포인트(10a)에게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지시할 때, 사용자 식별자 정보 관리부(226)는 액세스 로그 관리부(224)에게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라고 지시하고, 액세스 로그 관리부(224)는 필요한 액세스 정보를 추출한다. 사용자 식별자 정보 관리부(226)는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관리 단말(50)에 출력한다.
달리 말하면, 액세스 포인트(10a)는, 무선 단말에 의한 SSID를 사용하는 액세스에 기초하여, 액세스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접속 처리부(223))을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10a)는 생성된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하는 수단(액세스 로그 관리부(224))을 또한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10a)는, 외부 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될 SSID의 문자열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SSID 변경부(225)), 및, 문자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될 SSID를 변경하는 수단(SSID 설정부(221))를 또한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10a)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SSID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수단(사용자 식별자 정보 관리부(226))을 더 포함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 및 관리 단말에 의해 완성되는 시스템이 관리 디바이스(40)의 기능을 액세스 포인트(10a)에 포함시킴으로써 구축될 수 있고, 간편하고 저렴한 앙케이트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이 추가의 실시예로서 포함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통신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의 구성들 및 동작들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고,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은 멀티-SSID를 지원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0)는 소매점 등에 의해 제공되는 SSID 및 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SSID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회사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10)가 단말에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DHCP 기능은 액세스 포인트(10) 이외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집약 디바이스(2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DHCP 기능은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라우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웹 서버(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무선 단말에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기 전에, 사용 규약에 동의함 등이 획득되지 않을 수 있다.
위에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관리 디바이스의 앙케이트 결과 출력부(413, 413a)가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한 정보 처리(사용자 식별자 정보의 분석)를 수행하지만, 집약 디바이스(20)가 이러한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관리 디바이스(40)가 시스템에 포함되는 액세스 포인트(10)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을 전제로 하지만,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10)에 전용 관리 디바이스가 배치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신규 애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을 단말에 도입하지 않고 간단한 앙케이트 시스템이 구축되는 경우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위에 설명된 앙케이트 시스템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단말에 도입(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Wi-Fi 스폿 선택 화면을 단말에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단말과 액세스 포인트(10)가 미리 정보를 교환하고,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화면이 Wi-Fi 스폿 선택 화면으로서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앙케이트의 내용을 설명하는 질문 문장("당신은 남성입니까 아니면 여성입니까?") 및 이러한 질문에 응답하는 답변들("Women", "Men")이 디스플레이되고,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10)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답변을 사용될 SSID로서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질문 문장과 관련하여 옵션들이 디스플레이되는 형태, 및,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SSID의 문자열 자체가 질문이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긍정되는 SSID의 문자열이 앙케이트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 생각될 수 있다.
소매점의 소유자 등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10)을 통해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제공하라고 관리 디바이스(4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10-1)가 소매점 A에 설치되고 액세스 포인트(10-2)가 소매점 B에 설치되는 경우가 고려된다. 또한, 소매점 A 및 소매점 B가 동일한 소유자에 의해 운영될 때, 소매점들 A 및 B의 소유자는 액세스 포인트들(10-1 및 10-2)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될 SSID를 지정함으로써 관리 디바이스(40)에게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복수의 SSID들(복수의 옵션들)이 송신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실용적인 정보가 취득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10)가 관리 디바이스(40)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열을 변경없이 브로드캐스트한다.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10)는 입력 문자열의 동일성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문자열을 변경하여 입력 문자열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되는 Wi-Fi 스폿 선택 화면에서, "Men?"에 관한 SSID가 항상 "Women?"에 관한 SSID보다 상위에 표시될 때, 사용자에 의한 SSID의 선택은 편향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여성 사용자조차도 순서상 상위에 디스플레이되는 "Men?"을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액세스 포인트(10)(SSID 설정부(221))는, 관리 디바이스(40)로부터 취득된 SSID의 선두에 숫자 등을 할당하고, 할당되는 숫자 등을 주기적으로 변경함으로서,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SSID들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는 일정 기간 동안 "01Men?" 및 "02Women?"의 세트를 포함하는 SSID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그 후 "01Women?" 및 "02Men?"의 세트를 포함하는 SSID들을 브로드캐스트하는 것과 같은 대응책을 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액세스 포인트(10)는 관리 디바이스(40)로부터 입력된 문자열(앙케이트에 대한 옵션으로서의 SSID)을, 이러한 문자열에 프리픽스(prefix)를 할당하고 이러한 프리픽스의 내용을 주기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단말 측 Wi-Fi 스폿 화면이 SSID의 문자열을 문자 코드 순서로 디스플레이하는 사양을 채택할 때,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옵션들(SSID들의 문자열들)의 순서는 위에 설명된 대응책을 취함으로써 시간대에 의존하여 변경되고, SSID들의 디스플레이 순서로 인한 사용자 선택 편향이 감소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가 SSID 변경에 관한 위에 설명된 대응책을 취할 때, 집약 디바이스(20)는 변경 전 및 변경 후 SSID들을 동일한 SSID로서 취급하는 것과 같은 대응책을 취하여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바람직하게 생성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각각의 디바이스들(액세스 포인트, 집약 디바이스, 및 관리 디바이스)의 제어 모듈들(제어부 및 액세스 로그 관리부)은,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컴퓨터로 하여금, 그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위에 설명된 제어부의 처리 등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지만, 다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형태 1]
위에 설명된 제1 양상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참조한다.
[형태 2]
형태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관리 디바이스는 집약 디바이스가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는 조건을 지정하고, 사용자 식별자 정보의 출력을 요청한다.
[형태 3]
형태 2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집약 디바이스는, 액세스 로그로부터, 관리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조건에 부합하는 액세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 결과를 사용자 식별자 정보로서 관리 디바이스에 출력한다.
[형태 4]
형태들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관리 디바이스는 집약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한 정보 처리를 실행하고, 정보 처리의 결과를 외부에 출력한다.
[형태 5]
형태 4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관리 디바이스는 정보 처리의 결과를 웹 서버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출력한다.
[형태 6]
형태들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은 집약 디바이스에 접속되고, 집약 디바이스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의해 출력되는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한다.
[형태 7]
형태 6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관리 디바이스는 집약 디바이스에 접속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지정하고, 지정된 2개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집약 디바이스에게 요청한다.
[형태 8]
형태들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시스템으로서, 액세스 포인트는 관리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열을 변경하고, 변경된 문자열을 브로드캐스트한다.
[형태 9]
위에 설명된 제2 양상에 따른 관리 디바이스를 참조한다.
[형태 10]
위에 설명된 제3 양상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참조한다.
[형태 11]
위에 설명된 제4 양상에 따른 정보 수집 방법을 참조한다.
[형태 12]
위에 설명된 제5 양상에 따른 프로그램을 참조한다.
형태들 9 내지 12는 형태 1이 형태들 2 내지 8로 확장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위에 설명된 특허 문헌들 등 각각의 개시내용 등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본 발명의 전반적인 개시내용(청구항들을 포함함)의 범위 내에서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개념에 기초하여 각각의 실시예 또는 각각의 예의 수정 및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개시되는 요소들(각각의 청구항에서의 요소들, 각각의 실시예 또는 각각의 예에서의 요소들, 각각의 도면에서의 요소들 등을 포함함)의 다양한 조합들 또는 선택들이 본 발명의 전반적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은 청구항들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개시내용 및 기술적 개념에 따라 관련분야에서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는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을 물론 포함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수치들의 범위들과 관련하여, 그 범위들에 포함되는 임의의 수치들 또는 하위 범위들은 달리 설명되지 않을 때에도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1 내지 10-n, 10a, 11, 101: 액세스 포인트
20, 20a, 21, 102: 집약 디바이스
30, 31: 웹 서버
40, 40a, 40b, 103: 관리 디바이스
50: 관리 단말
60-1, 60-2, 61-1, 61-2: 단말
71: 관리 서버
201: 통신 인터페이스
202: 전송부
203, 402: 제어부
204, 303, 403: 저장부
211: 무선 인터페이스부
212: 유선 인터페이스부
221: SSID 설정부
222: 무선 접속부
223 접속 처리부
224, 302: 액세스 로그 관리부
225, 411: SSID 변경부
226, 412: 사용자 식별자 정보 관리부
301, 401: 통신 제어부
413, 413a: 앙케이트 결과 출력부

Claims (12)

  1. 통신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들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식별자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말에 의한 액세스를, 액세스 정보로서, 출력하는 액세스 포인트;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출력되는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하는 집약 디바이스;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의 문자열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문자열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를 변경하는 관리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집약 디바이스에 요청하고,
    상기 집약 디바이스는 상기 액세스 로그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출력하고,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상기 집약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는 조건을 지정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자 정보의 출력을 요청하는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약 디바이스는, 상기 액세스 로그로부터, 상기 관리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조건에 부합하는 액세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 결과를 상기 사용자 식별자 정보로서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통신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상기 집약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된 상기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한 정보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정보 처리의 결과를 외부에 출력하는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상기 정보 처리의 결과를 웹 서버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통신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은 상기 집약 디바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집약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의해 출력되는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액세스 로그를 생성하는 통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상기 집약 디바이스에 접속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2개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상기 집약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통신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관리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열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문자열을 브로드캐스트하는 통신 시스템.
  9. 관리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말에 의한 액세스를, 액세스 정보로서, 출력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출력되는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하는 집약 디바이스
    와 접속되고,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의 문자열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문자열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를 변경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상기 집약 디바이스에게 요청하고, 그리고
    상기 집약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상기 액세스 로그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관리 디바이스.
  10. 적어도 2개 이상의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들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식별자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말에 의한 액세스를, 액세스 정보로서, 생성하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생성된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하는 수단;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의 문자열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문자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를 변경하는 수단;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11. 적어도 2개 이상의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들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식별자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말에 의한 액세스를, 액세스 정보로서, 출력하는 액세스 포인트;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출력되는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하는 집약 디바이스;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의 문자열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문자열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를 변경하는 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수집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수집 방법은,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상기 집약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집약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액세스 로그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단계; 및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수집 방법.
  12. 프로그램으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들을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식별자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말에 의한 액세스를, 액세스 정보로서, 출력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출력되는 액세스 정보를 저장하고, 액세스 로그를 생성하는 집약 디바이스
    와 접속되는 관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의 문자열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문자열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될 식별자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출력하라고 상기 집약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집약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를 상기 액세스 로그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사용자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단계
    의 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KR1020177037059A 2015-05-28 2016-05-27 통신 시스템, 관리 디바이스,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집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800112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8527 2015-05-28
JPJP-P-2015-108527 2015-05-28
PCT/JP2016/065723 WO2016190414A1 (ja) 2015-05-28 2016-05-27 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アクセスポイント、情報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256A true KR20180011256A (ko) 2018-01-31

Family

ID=5739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059A KR20180011256A (ko) 2015-05-28 2016-05-27 통신 시스템, 관리 디바이스,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집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176764A1 (ko)
JP (1) JPWO2016190414A1 (ko)
KR (1) KR20180011256A (ko)
WO (1) WO20161904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41A1 (ko) * 2021-12-03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99757B2 (ja) 2020-03-10 2023-12-18 セイコ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2378B2 (ja) * 2002-10-28 2006-02-01 株式会社日立インフォメ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入退履歴記録管理装置
JP2005332343A (ja) * 2004-05-21 2005-12-02 Seishi Yagi 広告配信システム
JP2007005892A (ja) * 2005-06-21 2007-01-11 Nec Corp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無線lan端末、無線lan端末の情報取得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
JP5074140B2 (ja) * 2007-09-28 2012-11-14 三洋電機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2015043537A (ja) * 2013-08-26 2015-03-05 株式会社ワイヤレスゲート 管理装置およびアクセスポイン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41A1 (ko) * 2021-12-03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0414A1 (ja) 2016-12-01
US20180176764A1 (en) 2018-06-21
JPWO2016190414A1 (ja)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665B1 (ko) 이동 통신 단말과 액세스 포인트 간에 연결 방법 및 시스템
EP2712487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ontent to a wireless station
US89890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pplication information on a wireless station
US9386508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5657038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20140092394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발견 응답의 캐싱
CN103688564A (zh) 针对网络节点的自动接入
JP2015043537A (ja) 管理装置およびアクセスポイント
US9456389B2 (en) Dynamic generation of per-station realm lists for hot spot connections
CN106255106A (zh) 一种无线网络连接方法和装置
WO2018032085A1 (en) System for connecting to a secur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when roaming by means of purchased secure access credentials
JP5658292B2 (ja) 無線端末、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US9113449B2 (en)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zone having plurality of wireless access points, method of connecting mobile terminal to wireless access point by the apparatus, and the mobile terminal
CN103546511A (zh) 通过wifi实现多个wifi设备组建分布式网络的方法、软件程序及服务器
KR20180011256A (ko) 통신 시스템, 관리 디바이스,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집 방법, 및 프로그램
CN105850213A (zh) 用于提供内容数据以及访问内容数据的方法和装置
JP2017041817A (ja) 無線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893095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102236043B1 (ko) 프록시 서버를 이용하는 가용 서비스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2610171B1 (ko) 개별패스워드를 이용한 와이파이 접속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669960B2 (ja) 端末装置、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JP2015211337A (ja) 情報生成装置及び受信装置を備えたシステム
JP5721138B2 (ja) 端末普及数調査システム
US20220408236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for the unambiguous identification of non-associated wi-fi devices
JP2016053785A (ja) 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