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859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859A
KR20180010859A KR1020160093664A KR20160093664A KR20180010859A KR 20180010859 A KR20180010859 A KR 20180010859A KR 1020160093664 A KR1020160093664 A KR 1020160093664A KR 20160093664 A KR20160093664 A KR 20160093664A KR 20180010859 A KR20180010859 A KR 20180010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ver
washing water
protrusions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454B1 (ko
Inventor
김영준
김동철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4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채집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드럼; 및 상기 드럼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통과되어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세탁수가 토출되는 복수의 전면 커버홀이 형성된 필터 전면 커버; 및 상기 필터 전면 커버와 결합되어 내부에 세탁수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이물질이 걸리는 복수의 후면돌기가 형성된 필터 후면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채집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세정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포에서 떨어져 나와 세탁수 내를 부유하는 보푸라기나 기타 이물질들을 수집하는 필터가 장착된다. 이러한 필터는 채집된 이물질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채집된 이물질이 세탁수의 유동에도 이탈되지 않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드럼; 및 상기 드럼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통과되어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세탁수가 토출되는 복수의 전면 커버홀이 형성된 필터 전면 커버; 및 상기 필터 전면 커버와 결합되어 내부에 세탁수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이물질이 걸리는 복수의 후면돌기가 형성된 필터 후면 커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필터내의 세탁수의 유동에도 채집된 이물질이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둘째, 채집된 이물질이 잘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세탁수의 유입과 유출이 원활한 장점도 있다.
셋째, 탈수 후 채집된 이물질이 건조되고 뭉쳐져 청소가 간편한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필터 후면 커버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필터 후면 커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필터에 대한 작용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필터의 필터 후면 커버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필터의 필터 후면 커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30)와, 터브(30) 내에 배치되어 포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드럼(40)과, 드럼(40)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통과되어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10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캐비닛(10)은 상측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터브(30), 드럼(40), 구동모듈(50), 급수모듈(60), 배수모듈(70), 서스펜션모듈(80) 등이 배치된다.
캐비닛(10)의 상측에는 드럼(40)으로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포 출입홀(미도시)이 형성된 탑커버(14)가 배치된다. 탑커버(14)의 상측에는 포 출입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1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캐비닛(10)의 외부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들이며 세탁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2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패널(20)은 도어(11)의 후방에 배치된다.
터브(30)는 캐비닛(10)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한다. 터브(30)는 내부에 드럼(40)을 수용한다. 터브(30)는 서스펜션모듈(80)에 의하여 완충 가능하게 배치된다. 서스펜션모듈(80)은 캐비닛(10)과 터브(30)를 연결하여 터브(30)에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 또는 완충한다. 터브(30)의 하부에는 구동모듈(50)이 배치된다.
드럼(40)은 터브(30) 내에 배치되어 포를 수용한다. 드럼(40)은 구동모듈(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드럼(40)은 드럼(40)의 측면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드럼바디(42)와, 드럼바디(42)의 하측에 결합되어 드럼(40)의 밑면을 형성하는 원형의 드럼베이스(44)와, 드럼베이스(44)의 상측에 펄세이터(91)의 둘레에 배치되는 림형상의 베이스커버(4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세탁기는 드럼(40)의 회전축이 수직한 탑로드 세탁기이다.
펄세이터(91)는 드럼베이스(44)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터브(30) 내의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한다.
구동모듈(50)은 회전력을 발생한다. 구동모듈(50)은 드럼(40)의 드럼베이스(44) 및/또는 펄세이터(91)와 연결되어 드럼(40) 및/또는 펄세이터(91)를 회전한다. 구동모듈(50)은, 터브(30)의 하측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52)와, 모터(52)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54)을 포함한다. 구동축(54)은 터브(30)를 관통하여 드럼베이스(44) 및/또는 펄세이터(91)와 결합된다.
급수모듈(60)은 터브(30)에 세탁수를 공급한다. 급수모듈(60)은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밸브(61)와, 급수밸브(61) 개방시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유동되는 급수유로(62)를 포함한다. 급수유로(62)는 터브(30)로 세탁수를 안내한다. 급수유로(62)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미도시)와 연결되어 급수유로(62)를 유동하는 세탁수는 세제박스에서 세제와 혼합되어 터브(3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배수모듈(70)은 터브(30)에 수용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수모듈(70)은, 터브(30)에 수용된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71)와, 배수펌프(71)에 의하여 펌핑된 세탁수를 캐비닛(10)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72)를 포함한다.
세탁수 유입부(46)는 베이스커버(48)의 하측에 구비되어 펄세이터(91)와 드럼베이스(44) 사이를 유동하는 세탁수가 유입된다. 세탁수 유입부(46)는 대략적으로 'L'자로 형성되어 하부는 드럼베이스(44)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부는 베이스커버(48)를 통하여 세탁수 유로부(47)와 연결된다.
세탁수 유로부(47)는 세탁수 유입부(46)로 유입된 세탁수를 필터(100)로 안내한다. 세탁수 유로부(47)는 드럼바디(42)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세탁수 유로부(47)의 하단은 베이스커버(48)를 통하여 세탁수 유입부(46)와 연결된다. 세탁수 유로부(47)는 전면에 필터(100)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홀(47a)이 형성된다.
필터(100)는 세탁수 유로부(4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필터(100)는 세탁수 유로부(47)의 필터 삽입홀(47a)에 삽입된다. 필터(100)는 세탁수 유로부(47)를 통하여 유입되는 세탁수가 통과하며 세탁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채집한다. 필터(100)를 통과한 세탁수는 드럼(40) 내로 토출된다.
필터(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술한 세탁수 유입부(46), 세탁수 유로부(47) 및 필터(1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2개씩 구비되며 각각 드럼(4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필터 후면 커버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필터 후면 커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100)는, 세탁수가 토출되는 복수의 전면 커버홀(112, 113)이 형성된 필터 전면 커버(110)와, 필터 전면 커버(110)와 결합되어 내부에 세탁수가 유동되는 세탁수 유동 공간(130a)을 형성하고 이물질이 걸리는 복수의 후면돌기(131)가 형성된 필터 후면 커버(130)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에서 상하방향은 중력방향을 의미하며, 상방은 필터(100)를 기준으로 탑커버(14) 방향을 의미하며, 하방은 필터(100)를 기준으로 드럼베이스(44)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후방향은 드럼(4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지름방향을 의미하며, 전방은 필터(100)를 기준으로 드럼(40)의 중심축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필터(100)를 기준으로 터브(30)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양측방향은 드럼(40) 둘레의 접선방향을 의미한다.
필터 전면 커버(110)는 대략적으로 후측과 하측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이 양측방향보다 긴 형태이며, 전후방향 두께는 얇은 형태이다.
필터 전면 커버(110)는 전면에 세탁수가 토출되는 복수의 전면 커버홀(112, 113)이 형성된다. 필터(100) 내부를 유동하는 세탁수는 복수의 전면 커버홀(112, 113)을 통하여 드럼(40) 내로 토출된다. 복수의 전면 커버홀(112, 113)은 필터 전면 커버(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면 상부 커버홀(112)과, 복수의 전면 상부 커버홀(112)의 하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을 포함한다.
복수의 전면 상부 커버홀(112) 각각은 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의 전면 상부 커버홀(112)은 상하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전면 상부 커버홀(112)은 일반적인 세탁시 터브(30)에 수용되는 세탁수의 수위보다 높게 배치된다.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 각각은 좌우폭이 상하폭보다 넓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은 상하방향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 각각은 복수의 전면 상부 커버홀(112) 각각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된다.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은 일반적인 세탁시 터브(30)에 수용되는 세탁수의 수위 범위에 대응되어 배치된다. 일반적인 세탁시 세탁수의 최하수위는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 중 최하에 배치되는 전면 하부 커버홀(113)보다 높고 세탁수의 최상수위는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 중 최상에 배치되는 전면 하부 커버홀(113)보다 낮은 것은 바람직하다.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 중 최하에 배치되는 전면 하부 커버홀(113)의 후방에는 체크밸브(119)가 배치된다.
필터 전면 커버(110)는 필터 후면 커버(130)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전면돌기(115)가 형성된다. 복수의 전면돌기(115)는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전면돌기(115)는 필터 전면 커버(110)의 상항방향 중심축 상에 배치된다.
전면돌기(115)는 다양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 후면 커버(13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는 원기둥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돌기(115)의 후단은 후술할 중심 돌출부(139)와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전면돌기(115)는 전면 하부 커버홀(113) 사이 부분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세탁수 유동 공간(130a)을 유동하는 세탁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걸러 채집한다.
필터 전면 커버(110)의 상단에는 필터 후크(117)가 형성된다. 필터 후크(117)는 세탁수 유로부(47)의 필터 삽입홀(47a)의 상단에 걸린다. 필터 후크(117)에 의하여 필터(100)는 세탁수 유로부(47)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필터 전면 커버(110)의 후방에는 필터 후면 커버(13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필터 전면 커버(110)의 하단에는 체크밸브(119)가 결합된다.
체크밸브(119)는 판상의 형태로 형성되어 필터 전면 커버(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체크밸브(119)는 하단이 필터 전면 커버(110)의 하단과 결합된다. 체크밸브(119)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세탁수의 유동에 따라 하단을 중심으로 필터 전면 커버(110)와 필터 후면 커버(130) 사이에서 회동된다. 체크밸브(119)는 후술할 세탁수 유입홀(130b)을 통하여 세탁수가 세탁수 유동 공간(130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세탁수 유동 공간(130a)의 세탁수 및 이물질이 세탁수 유입홀(130b)을 통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필터 전면 커버(110)의 후면에는 필터 메쉬(190)가 배치된다. 필터 메쉬(190)는 미세의 타공망으로 형성되어 필터 전면 커버(110)의 후면에 밀착된다. 필터 메쉬(190)는 전면 커버홀(112, 113)을 통하여 이물질이 토출되지 않도록 전면 커버홀(112, 113)을 통하여 토출되는 세탁수를 여과한다.
필터 후면 커버(130)는 대략적으로 하측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이 양측방향보다 긴 형태이며, 전후방향 두께는 얇은 형태이다. 필터 후면 커버(130)는 내부에 세탁수가 유동되는 세탁수 유동 공간(130a)을 형성한다.
필터 후면 커버(130)는 하측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세탁수 유입홀(130b)이 형성된다. 세탁수 유입홀(130b)은 체크밸브(119)에 의하여 개폐된다. 필터 후면 커버(130)의 하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힌지돌기(133)가 형성된다. 힌지돌기(133)는 필터 전면 커버(110)의 하단에 형성된 힌지홀(미도시)에 삽입되어 필터 후면 커버(130)가 필터 전면 커버(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필터 후면 커버(130)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필터 손잡이(138)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필터 손잡이(138)를 파지하여 필터 후면 커버(130)를 필터 전면 커버(110)로부터 회동한다.
필터 후면 커버(130)는 필터 전면 커버(110)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후면돌기(131)가 형성된다. 복수의 후면돌기(131)는 세탁수 유동 공간(130a)을 유동하는 세탁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걸러 채집한다. 후면돌기(13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는 필터 전면 커버(11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원기둥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돌기(131)의 전단은 필터 전면 커버(110)와 이격된다. 후면돌기(131)의 전단과 필터 전면 커버(110) 사이의 간격은 전면돌기(115)의 후단과 중심 돌출부(139) 사이의 간격보다 넓다. 후면돌기(131)는 전면돌기(115)보다 길이가 짧다. 복수의 후면돌기(131) 중 어느 두 개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으나, 가장 긴 복수의 후면돌기(131)는 전면돌기(115)보다 길이가 짧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후면돌기(131)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며 두 열의 일부가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복수의 후면돌기(131)는 일부가 필터 후면 커버의 상하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V"자 형태로 배치된다. 복수의 후면돌기(131)는 인접한 두 행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는다. 복수의 후면돌기(131) 중 최하단 행에 속한 복수의 후면돌기(131)의 개수는 다른 행에 속한 복수의 후면돌기(131)의 개수보다 많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후면돌기(131) 각각은 전단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중공(131a)이 형성된다. 후면돌기(131)는 전단 중심에 중공(131a)이 형성되고, 필터 후면 커버(130) 측은 막혀있게 형성된다.
복수의 후면돌기(131)는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 중 최하에 배치되는 전면 하부 커버홀(113)의 상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후면돌기(131)는 체크밸브(119)의 상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후면돌기(131)는 후술할 중심 돌출부(139)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필터 후면 커버(130)는 세탁수가 토출되는 복수의 후면 커버홀(130c)이 형성된다. 복수의 후면 커버홀(130c)은 상하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후면 커버홀(130c)은 필터 후면 커버(130)의 상하중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V"자 형태로 배치된다. 복수의 후면 커버홀(130c)은 복수의 후면돌기(131)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형성된다. 복수의 후면 커버홀(130c)은 일부가 복수의 후면돌기(131)가 배치되는 열과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복수의 후면 커버홀(130c)은 복수의 후면돌기(131)가 배치되는 행과 다른 선상에 배치된다.
후면 커버홀(130c)은 직경의 크기가 매우 작게 형성된다. 복수의 후면 커버홀(130c) 각각은 복수의 전면 커버홀(112, 113) 중 어느 하나보다 크기가 작다. 복수의 후면 커버홀(130c) 각각은 복수의 후면돌기(131)의 직경보다 크기가 작다.
필터 후면 커버(13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필터 전면 커버를 향하여 돌출된 중심 돌출부(139)가 형성된다. 중심 돌출부(139)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중심 돌출부(139)의 높이는 후면돌기(131)의 높이보다 낮다. 복수의 후면 커버홀(130c) 중 일부는 중심 돌출부에 형성된다. 복수의 후면돌기(131)는 중심 돌출부(139)에 배치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필터에 대한 작용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수모듈(60)이 터브(30)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도 7(a)와 같이 세탁수의 수위는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이 배치되는 부분까지 도달한다.
세탁 또는 헹굼이 개시되면 구동모듈(50)이 드럼(40) 및/또는 펄세이터(91)가 회전하여 터브(30)에 수용된 세탁수에 수류가 형성됨에 따라 드럼베이스(44)와 펄세이터(91) 사이의 세탁수가 세탁수 유입부(46)로 유입된다. 세탁수 유입부(46)로 유입된 세탁수는 세탁수 유로부(47)를 따라 상승하여 필터(100)의 세탁수 유입홀(130b)을 통하여 필터(100) 내부의 세탁수 유동 공간(130a)으로 유입된다. 이 때, 체크밸브(119)는 세탁수의 유동압력으로 개방되어 세탁수가 세탁수 유입홀(130b)을 통하여 원활하게 유입된다.
도 7(a)와 같이, 필터(100)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세탁수 유동 공간(130a)을 따라 상승하며,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 및 복수의 전면 상부 커버홀(112)을 통하여 드럼(40) 내로 토출된다. 세탁수가 세탁수 유동 공간(130a)을 따라 상승할 때 "V"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후면돌기(131)와 중심 돌출부(139)에 의하여 좌우방향의 편차없이 세탁수가 유동된다. 세탁수 유동 공간(130a)을 따라 상승하는 세탁수는 직경이 작은 복수의 후면 커버홀(130c)을 통하여 거의 유출되지 않는다.
세탁수 유동 공간(130a)을 유동하는 세탁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은 복수의 후면돌기(131)에 걸려 채집된다.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 및 복수의 전면 상부 커버홀(112)을 통하여 토출되는 세탁수는 필터 메쉬(190)에 의하여 여과되며 필터 메쉬(190)에 걸린 이물질은 세탁수 유동 공간을 유동하며 복수의 후면돌기(131)에 걸려 채집된다.
세탁 또는 헹굼이 종료되면 배수모듈(70)이 작동되어 터브(30) 내의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가 진행된다. 배수시 세탁수가 배출되면 도 7(b)와 같이 세탁수의 수위가 낮아지며 세탁수 유동 공간(130a)에 수용된 세탁수는 하강한다. 세탁수 유동 공간(130a)에 수용된 세탁수가 하강할 때, 체크밸브(119)는 세탁수의 유동압력으로 폐쇄되어 세탁수는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을 통하여 드럼(40) 내부로 토출된다. 세탁수의 하강시 세탁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은 복수의 후면돌기(131)에 걸려 채집되며,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113)을 통하여 토출되는 세탁수는 필터 메쉬(190)에 의하여 여과된다.
세탁수의 하강시 "V"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후면돌기(131)와 중심 돌출부(139)에 의하여 세탁수의 유동이 지연되어 복수의 후면돌기(131)에 채집된 이물질이 세탁수에 쉽게 쓸려내려 가지 않게 된다. 또한, 세탁수의 하강시 복수의 후면돌기() 중 최하단 행에 속한 다수의 후면돌기()에 의하여 세탁수이 유동이 지연되며 상측에서 내려온 이물질이 걸러진다.
세탁수의 배수가 완료된 후 탈수가 개시되면 구동모듈(50)이 드럼(40)을 고속으로 회전한다. 드럼(40)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도 7(c)와 같이 원심력에 의하여 필터 메쉬(190)에 걸린 이물질 및 복수의 후면돌기(131)에 채집된 이물질이 필터 후면 커버(130)의 후면에 밀착되며 복수의 후면돌기(131)에 걸린 채 뭉쳐진다. 또한,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하며 세탁수 유동 공간(130a) 및 이물질에 잔류하는 세탁수는 복수의 후면 커버홀(130c)을 통하여 필터(100) 외부로 유출된다. 이에 따라 탈수시 채집된 이물질은 건조되어 뭉쳐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필터의 필터 후면 커버에 대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후면 커버(230)는 대각선 방향으로 길게 필터 전면 커버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사선 돌출부(235)가 형성된다. 복수의 사선 돌출부(235)는 필터 후면 커버(230)의 상하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사선 돌출부(235)는 필터 후면 커버(230) 상하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V"자 형태로 배치된다. 복수의 사선 돌출부(235)는 복수의 후면돌기(131), 복수의 후면 커버홀(130c) 및 중심 돌출부(139)가 배치된 곳에 형성되지 않는다. 사선 돌출부(235)의 높이는 중심 돌출부(139)보다 낮다.
세탁 또는 헹굼시 세탁수가 세탁수 유동 공간(130a)을 따라 상승할 때 복수의 사선 돌출부(235)에 의하여 좌우방향의 편차없이 세탁수가 유동된다. 또한, 배수시 세탁수가 세탁수 유동 공간(130a)을 따라 하강할 때 복수의 사선 돌출부(235)에 의하여 세탁수의 유동이 지연되어 복수의 후면돌기(131)에 채집된 이물질이 세탁수에 쉽게 쓸려내려 가지 않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필터의 필터 후면 커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후면돌기(331); 각각은 필터 후면 커버(330)로부터 일정 깊이로 중공(331a)이 형성된다. 필터 후면 커버(330)는 후면돌기(131) 방향으로 중공(331a)이 형성되고, 후면돌기(131) 전단은 막혀있게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캐비닛 30: 터브
40: 드럼 42: 드럼바디
44: 드럼베이스 46: 세탁수 유입부
47: 세탁수 유로부 47a: 필터 삽입홀
48: 베이스커버 50: 구동모듈
91: 펄세이터 100: 필터
110: 필터 전면 커버 112: 전면 상부 커버홀
113: 전면 하부 커버홀 115: 전면돌기
117: 필터 후크 119: 체크밸브
130: 필터 후면 커버 130a: 세탁수 유동 공간
130b: 세탁수 유입홀 130c: 후면 커버홀
131: 후면돌기 133: 힌지돌기
138: 필터 손잡이 139: 중심 돌출부
190: 필터 메쉬

Claims (27)

  1.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드럼; 및
    상기 드럼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통과되어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세탁수가 토출되는 복수의 전면 커버홀이 형성된 필터 전면 커버; 및
    상기 필터 전면 커버와 결합되어 내부에 세탁수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이물질이 걸리는 복수의 후면돌기가 형성된 필터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면돌기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며 인접한 두 열의 일부가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면돌기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며 일부가 상기 필터 후면 커버의 상하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V"자 형태로 배치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면돌기는 최하단 행에 속한 상기 복수의 후면돌기의 개수가 다른 행에 속한 상기 복수의 후면돌기의 개수보다 많은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후면 커버는 복수의 후면 커버홀이 형성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면 커버홀은 상기 필터 후면 커버의 상하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V"자 형태로 배치되는 세탁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면 커버홀은 일부가 상기 복수의 후면돌기가 배치되는 열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세탁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면 커버홀은 상기 복수의 후면돌기가 배치되는 행과 다른 선상에 배치되는 세탁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면 커버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전면 커버홀 중 어느 하나보다 크기가 작은 세탁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면 커버홀 각각은 상기 복수의 후면돌기의 직경보다 크기가 작은 세탁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후면 커버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상기 필터 전면 커버를 향하여 돌출된 중심 돌출부가 형성되는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면 커버홀 중 일부는 상기 중심 돌출부에 형성되는 세탁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면 커버홀은, 복수의 전면 상부 커버홀과, 상기 복수의 전면 상부 커버홀의 하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하부 커버홀은 상기 전면 상부 커버홀보다 크기가 큰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부 커버홀은 상기 터브에 수용되는 세탁수의 수위 범위에 대응되어 배치되는 세탁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면돌기는 상기 복수의 전면 하부 커버홀 중 최하에 배치되는 상기 전면 하부 커버홀의 상측에 배치되는 세탁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면돌기 각각은 상기 필터 전면 커버를 향하여 돌출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세탁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돌기는 상기 필터 전면 커버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세탁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돌기의 전단은 상기 필터 전면 커버와 이격되는 세탁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전면 커버는 상기 필터 후면 커버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전면돌기가 형성되는 세탁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돌기는 상기 전면돌기보다 길이가 짧은 세탁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후면 커버는 하측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세탁수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전면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탁수 유입홀을 개폐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면돌기는 상기 체크밸브의 상측에 배치되는 세탁기.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후면 커버는 대각선 방향으로 길게 상기 필터 전면 커버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사선 돌출부가 형성되는 세탁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선 돌출부는 상기 필터 후면 커버의 상하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세탁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선 돌출부는 상기 필터 후면 커버의 상하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V"자 형태로 배치되는 세탁기.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면돌기 각각은 전단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중공이 형성되는 세탁기.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면돌기 각각은 상기 필터 후면 커버로부터 일정 깊이로 중공이 형성되는 세탁기.
KR1020160093664A 2016-07-22 2016-07-22 세탁기 KR102560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64A KR102560454B1 (ko) 2016-07-22 2016-07-22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64A KR102560454B1 (ko) 2016-07-22 2016-07-22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859A true KR20180010859A (ko) 2018-01-31
KR102560454B1 KR102560454B1 (ko) 2023-07-26

Family

ID=6108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664A KR102560454B1 (ko) 2016-07-22 2016-07-22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4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341A (ko) * 2004-06-01 2005-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 장치
KR20090097681A (ko) * 2008-03-12 2009-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필터장치
KR20110063062A (ko) * 2009-12-04 201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JP2013141552A (ja) * 2012-01-12 2013-07-22 Panasonic Corp 洗濯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341A (ko) * 2004-06-01 2005-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 장치
KR20090097681A (ko) * 2008-03-12 2009-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필터장치
KR20110063062A (ko) * 2009-12-04 201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JP2013141552A (ja) * 2012-01-12 2013-07-22 Panasonic Corp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454B1 (ko) 202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397B1 (ko) 세탁장치
KR101360205B1 (ko)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세탁기
KR10171619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481516B1 (ko) 세탁기 필터장치
US20110047714A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the method of the same
KR10161280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4331243B1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640758B1 (ko) 필터가 구비된 드럼세탁기의 리프터
JP2016137154A (ja) 洗濯機
KR10172791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WO2020039770A1 (ja) 洗濯機
KR102442971B1 (ko) 세탁기
KR10162044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010859A (ko) 세탁기
KR100730923B1 (ko) 드럼세탁기의 필터 조절장치
KR101115218B1 (ko)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 장치
KR100751781B1 (ko) 드럼세탁기의 보풀 제거구조
KR101293230B1 (ko) 드럼 세탁기
JP5879490B2 (ja) 洗濯機
KR20180010858A (ko) 세탁기
JPH1147489A (ja) 洗濯機用フィルタ
KR102442966B1 (ko) 탑로드 타입 세탁기
KR100774511B1 (ko)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KR101090477B1 (ko)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 장치
KR20060103982A (ko) 드럼 세탁기의 물순환장치용 필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