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145A - Motor system - Google Patents

Mot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145A
KR20180010145A KR1020170090126A KR20170090126A KR20180010145A KR 20180010145 A KR20180010145 A KR 20180010145A KR 1020170090126 A KR1020170090126 A KR 1020170090126A KR 20170090126 A KR20170090126 A KR 20170090126A KR 20180010145 A KR20180010145 A KR 20180010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gain
transmission element
inertia
loop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3684B1 (en
Inventor
마사시 하나오카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0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6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0003Control strategies in general, e.g. linear type, e.g. P, PI, PID, using robust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14Estimation or adaptation of machine parameters, e.g. flux, current or voltage
    • H02P21/18Estimation of position or 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s
    • H02P2205/07Speed loop, i.e. comparison of the motor speed with a speed re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tor system capable of suppressing vibration by automatic tuning without increasing an operation processing load of a CPU. According to the present, in the motor system (1), a speed loop gain, m_1 is simply calculated by calculating, by a first gain conversion means (15), an inertia ratio Gr(=K_0/K) of a gain, K_0 in case that an operation object (2) is not connected to a motor (3) with respect to a gain, K in case that the operation object (2) is connected to the motor (3), and obtaining the ratio (=Ri/Gr) of any parameter constant, Ri with respect to the inertia ratio, Gr. In a motor control apparatus (4), a third table is stored to correspond to degrade m_1, q_0, and q_1 in response to a degradation of m_1 with respect to a relation of m_1 with m_1, q_0, and q_1. Also, a second gain conversion means (16) performs a conversion from the speed loop gain, m_1 calculated by the first gain conversion means (15) to m_0, q_0, and q_1 with reference to the third table.

Description

모터 시스템 {MOTOR SYSTEM}Motor system {MOTOR SYSTEM}

본 발명은 동작 대상물을 동작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을 피드백 제어하는 모터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system including a motor for operating an operating object and a motor control device for feedback-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종래, 로봇 등을 동작시키는 모터의 제어 장치로서, P-PI 제어(비례ㆍ비례 적분 제어)로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 P-PI 제어를 행하는 모터 제어 장치에서는 모터의 회전 위치와 회전 속도가 피드백됨과 함께, 회전 위치의 편차에 대하여 비례 제어(P제어)가 행해지고, 회전 속도의 편차에 대하여 비례 적분 제어(PI 제어)가 행해진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motor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motor by P-PI control (proportional and proportional integral control) is known as a control device of a motor for operating a robot or the like. In the motor control apparatus that carries out the P-PI control, the rotational posi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re fed back, and the proportional control (P control)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deviation of the rotational position. The proportional integral control (PI control) Is performed.

종래, 이러한 종류의 P-PI 제어를 행하는 모터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동기 제어 장치를 사용한 것이 있다. 이 전동기 제어 장치는 기계 공진에 기인하는 진동 성분을 추출하고, 추출 진동 신호로서 출력하는 진동 추출 필터를 구비한다. 노치 제어부는 추출 진동 신호 및 제2 노치 필터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노치 필터 출력 신호의 진폭이 감소하도록, 제1 노치 필터 및 제2 노치 필터의 각 노치 중심 주파수를 변경한다. 또한, 노치 깊이 제어부는 추출 진동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노치 필터의 노치 깊이를 변경한다. 판단 제어부는 각 노치 필터의 파라미터를 오토 튜닝하여, 기계 진동을 억제한다. 즉, 제2 노치 필터 출력 신호의 진폭이 소정값보다 큰 경우, 노치 제어부를 동작시켜, 기계 공진의 발진에 의한 진동 성분이 감소하도록, 제1 노치 필터 및 제2 노치 필터의 각 노치 중심 주파수를 변경한다. 또한, 제2 노치 필터 출력 신호의 진폭이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 노치 깊이 제어부를 동작시켜, 기계 공진의 발진에 의한 진동 성분이 감소하도록, 제1 노치 필터의 노치 깊이를 변경한다.Conventionally, as a motor system for carrying out this type of P-PI control, for example, an electric motor control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used. This electric motor control apparatus has a vibration extraction filter for extracting a vibration component caused by mechanical resonance and outputting it as an extracted vibration signal. The notch control section changes the notch center frequency of each of the first notch filter and the second notch filter based on the extracted vibration signal and the second notch filter output signal such that the amplitude of the second notch filter output signal decreases. Further, the notch depth control section changes the notch depth of the first notch filter based on the extracted vibration signal. The judgment control section automatically tunes the parameters of each notch filter to suppress the mechanical vibration. That is, when the amplitude of the second notch filter output signal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notch control section is operated to adjust the notch center frequencies of the first notch filter and the second notch filter to Change it. Further, when the amplitude of the second notch filter output signal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notch depth control section is operated to change the notch depth of the first notch filter so that the vibration component due to the oscillation of the mechanical resonance decreases.

또한, 종래, P-PI 제어를 행하는 모터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모터 제어 장치를 사용한 것도 있다. 이 모터 제어 장치는 부하 이너셔값 JL과 목표 응답 주파수 ωf를 입력하면, 모터 이너셔값 JM의 비로부터 구한 이너셔값 보정 게인 JCOM=((JL+JM)/JM)0.5를 사용하여, 속도 루프 게인 kv, 속도 적분 시상수 ti, 위치 루프 게인 kp, 토크 필터 상수 tf, 전류 루프 게인 ki, 전류 적분 시상수 ta 및 필터 시상수 tv를 설정한다. 즉, 복수개 있는 이들 제어 파라미터는 하나의 파라미터인 목표 응답 주파수 ωf와, 이너셔값 보정 게인 JCOM으로부터, 오토 튜닝된다.As a motor system for carrying out P-PI control, there has been used a motor control device disclosed i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in the past. The motor control apparatus using a load inner syeogap JL and a target to enter the response frequency ωf, inner syeogap correction gain JCOM = determined from the ratio of the motor inner syeogap JM ((JL + JM) / JM) 0.5, the speed loop gain kv, speed The integral time constant ti, the position loop gain kp, the torque filter constant tf, the current loop gain ki, the current integration time constant ta, and the filter time constant tv. That is, a plurality of these control parameters are auto-tuned from the target response frequency? F, which is one parameter, and the inertia value correction gain JCOM.

또한, 종래, 로버스트 극배치 제어를 행하는 모터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 장치는 모터의 회전 위치 명령을 입력으로 하고, 모터의 회전 위치를 출력으로 하는 폐루프계를 갖는다. 폐루프계는 전방향 경로에 있어서, 제1 가합점, 비례 게인 요소, 제2 가합점, 적분 필터 요소, 모터 게인 요소 및 모터 요소를 구비한다. 또한, 제1 가합점에는 제1 귀환 경로가 부귀환 접속되고, 제2 가합점에는 미분 필터 요소를 통해 제2 귀환 경로가 부귀환 접속된다. 이 모터 시스템에서는 동작 대상물이나 모터의 이너셔가 커졌을 때에 동작 대상물이나 모터에 진동이 발생해도, 이너셔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외란 응답 특성에 관한 제어 파라미터 q0 및 q1이 오토 튜닝된다. 이 조정에 의해, 동작 대상물이나 모터의 진동을 억제하면서, 폐루프계의 특성이 일정하게 유지된다.Further, a conventional motor system for performing robust pole arrangement control is disclosed i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3. The motor control device in this motor system has a closed loop system that inputs a rotational position command of the motor and outputs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The closed-loop system has a first additive point, a proportional gain element, a second additive point, an integral filter element, a motor gain element and a motor element for an omnidirectional path. Further, the first feedback path is connected to the first feedback path via a feedback connection, and the second feedback path is connected to the second feedback point through the differential filter element via the feedback path. In this motor system, control parameters q 0 and q 1 relating to the disturbance response characteristics are set to auto,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inertia detecting means, even if vibration occurs in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when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or the motor becomes large. Is tuned. By this adjust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loop system are kept constant while suppressing the vibration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일본 특허 제5873975호 공보Japanese Patent No. 5873975 일본 특허 제3561911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561911 일본 특허 공개 제2016-3567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6-35676

그러나, 진동을 검출하여 제어 파라미터를 오토 튜닝하는 상기 종래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모터 시스템에서는 진동의 주파수 및 진동의 진폭을 해석하는 처리가 필요해진다. 그것을 위해서는, 진동의 주파수의 2배보다도 충분히 높은 주파수에서 모터로부터 속도 검출 신호를 샘플링하고, 해석하지 않으면, 진동 추출이 충분한 분해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상기 종래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모터 시스템에서는 모터 제어 장치에 사용되는 연산 장치에 빠른 연산 속도가 필요해져, 연산 부하가 커져 버린다.However, in the motor system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s 1 and 3, in which vibration is detected and control parameters are autotuned, processing for analyzing the frequency of vibration and the amplitude of vibration is required. For this purpose, unless a speed detection signal is sampled from a motor at a frequency sufficiently higher than twice the frequency of the vibration, and the vibration is not analyzed, resolution sufficient for vibration extraction can not be obtained. As a result, in the motor system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atent Documents 1 and 3, a computation device used in the motor control device requires a high computation speed, and the computation load becomes large.

또한, 상기 종래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모터 시스템에서는 제어 파라미터의 연산에 사용되는 이너셔값 보정 게인 JCOM의 계산에 평방근((JL+JM)/JM)0 .5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상기 종래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모터 시스템에서는 그 평방근의 계산에 의해, 모터 제어 장치에 사용되는 연산 장치의 연산 부하가 커져 버린다.In addition, the use of square root ((JL + JM) / JM ) in the calculation of the inner syeogap JCOM correction gain used in the calculation of the control parameters .5 The mo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Patent Document 2. Therefore, in the motor system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atent Document 2, the calculation load of the arithmetic unit used in the motor control apparatus is increased by calculation of the square root thereof.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동작 대상물을 동작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을 피드백 제어하는 모터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A motor system comprising a motor for operating an object to be operated and a motor control device for feedback-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모터의 회전 속도 명령을 입력함과 함께 모터의 회전 위치를 피드백 제어하여 회전 속도를 출력하는, 속도 루프 게인을 인자에 포함하는 전달 함수를 구성하는 폐루프계와,A closed loop system constituting a transfer function including a speed loop gain as a factor for inputting the rotational speed command of the motor and feedback control of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to output the rotational speed,

동작 대상물 및 모터의 이너셔를 검출하는 이너셔 검출 수단과,Inertia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증폭기의 고정 게인과 모터의 토크 상수를 포함하는 고정값을 동작 대상물 및 모터의 이너셔로 나눈 값인 게인 K를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의 입력과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동정(同定)하는 적응 동정 수단과,The gain K, which is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fixed value including the fixed gain of the amplifier supplying the motor with electric power and the torque constant of the motor divided by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is input to the motor position transmitting element and the output from the motor position transmitting element An adaptation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증폭기의 고정 게인과 모터의 토크 상수를 포함하는 고정값을 모터의 이너셔로 나눈 값인 게인 K0의 게인 K에 대한 이너셔비 Gr을 산출하고, 산출한 이너셔비 Gr을 사용한, 이너셔비 Gr을 인자로 하는 소정의 함수값에 대한 임의의 파라미터 상수 Ri의 비로부터 속도 루프 게인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산출 수단에서 산출된 속도 루프 게인에 의해 전달 함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ertia ratio Gr for the gain K of the gain K 0, which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fixed value including the fixed gain of the amplifier that supplies power to the motor and the torque constant of the motor to the inertia of the motor,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inertia ratio Gr is used , And a calculation means for calculating a velocity loop gain from a ratio of an arbitrary parameter constant Ri to a predetermined function value taking the inertia ratio Gr as a factor and correcting the transfer function by the velocity loop gain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means .

적응 동정 수단은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의 입력과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동작 대상물 및 모터의 이너셔를 동정함으로써, 이너셔 검출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The adaptation identifying means can constitute the inertia detecting means by identifying the inertia of the operating object and the motor based on the input to the motor position transmitting element and the output from the motor position transmitting element.

본 구성에 의하면, 전달 함수의 인자인 속도 루프 게인은, 모터에 부하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에 있어서의 게인 K0의, 모터에 부하가 연결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게인 K에 대한 이너셔비 Gr(=K0/K)을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하고, 산출한 이너셔비 Gr을 사용한, 이너셔비 Gr을 인자로 하는 소정의 함수값 f(Gr)에 대한 임의의 파라미터 상수 Ri의 비(=Ri/f(Gr))를 구함으로써, 간단하게 산출된다. 속도 루프 게인은 일정한 비례 상수 Ri에서 함수값 f(Gr)에 반비례하고, 이너셔비 Gr이 커지면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너셔비 Gr이 커지면, 제어 대상의 게인 주파수 특성의 기계 공진 주파수에 있어서의 게인 피크 및 기계 공진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 있어서의 게인은 커지고, 발진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구성에서는 이것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속도 루프 게인이 내려가므로, 폐루프계의 안정도를 나타내는 게인 여유가 확보된다. 따라서, 산출 수단을 구성하는 연산 처리 장치(CPU)의 연산 처리 부하를 크게 하지 않고, 오토 튜닝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CPU의 연산 처리 부하가 적고, 처리 속도가 느린 CPU를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모터 제어 장치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velocity loop gain, which is a factor of the transfer function, is obtained by dividing the inertia ratio Gr (= K (k )) of the gain K 0 when the load is not connected to the motor to the gain K when the load is connected to the motor calculated by the calculating means the 0 / K), and any parameters for the, inertia ratio Gr with the inertia ratio Gr calculated f (Gr) a predetermined function value as a parameter constant, Ri ratio (= Ri / f ( Gr) is calculated, and it is simply calculated. The velocity loop gain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function value f (Gr) at a constant proportional constant Ri, and tends to decrease as the inertia ratio Gr increases. When the inertia ratio Gr is large, the gain at the higher frequency than the gain peak at the mechanical resonance frequency and the mechanical resonance frequency of the gain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control object becomes large, and oscillation easily occurs. However,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velocity loop gain is lowered in the direction of canceling this, a gain margin indicating the stability of the closed loop system is secured. Therefore, the oscillation can be suppressed by auto-tuning without increasing the processing load of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CPU) constituting the calculating mean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use a CPU with a low computation processing load of the CPU and a slow processing speed, so that the cost of the motor control apparatus can be reduced.

또한, 2관성계 또는 다관성계의 구동계에 대하여, 1관성계의 구동계와 동일하도록 추정된 부하 이너셔에 의해 제어 게인을 갱신하면, 서보 발진한다. 그러나, 본 구성에 의하면, 2관성계 또는 다관성계의 구동계에 있어서의 공진에 대하여, 간단한 연산 처리로, 발진을 억제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control gain is updated by the load inertia estimated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drive system of one inertia system with respect to the drive system of a dual inertia system or a multi-inertia system, the servo is oscillated. Howev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scillation can be suppressed by simple arithmetic processing with respect to resonance in a driving system of a two-inertial system or a multi-inertial system.

또한, 본 발명은,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폐루프계가, 속도 루프 게인 및 위치 루프 게인을 인자에 포함하는 전달 함수를 구성하고, 회전 속도 명령 대신에 모터의 회전 위치 명령을 입력함과 함께 모터의 회전 위치를 피드백 제어하여 회전 위치를 출력하고,A transfer function including a closed loop system, a velocity loop gain, and a position loop gain is constituted. In place of the rotational speed command, a rotational position command of the motor is inputted and a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is feedback controlled to output a rotational position ,

산출 수단이, 속도 루프 게인과 일정한 관계를 갖는 값을 위치 루프 게인의 값으로서 산출하고,The calculation means calculates a value having a constant relation with the velocity loop gain as the value of the position loop gain,

산출 수단에서 산출된 속도 루프 게인 및 위치 루프 게인에 의해 전달 함수를 보정하는And corrects the transfer function by the velocity loop gain and the position loop gain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means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위치 루프 게인의 값은 속도 루프 게인과 일정한 관계를 갖는 값으로서 산출 수단에 의해 간단하게 산출되고, 속도 루프 게인에 대하여 제어계의 밸런스가 좋은 값으로 오토 튜닝된다. 이로 인해, 제어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없는, 모터의 회전 속도와 모터의 회전 위치를 고려한 안정된 피드백 제어를, 간단한 연산 처리로, CPU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value of the position loop gain is a value having a constant relationship with the speed loop gain and is simply calculated by the calculating means, and the balance of the control system is auto-tuned to the value of the speed loop gain. This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stable feedback control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nd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without the control becoming unstable without applying a load to the CPU by simple arithmetic processing.

또한, 본 발명은,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폐루프계가, 제1 비례 게인 전달 요소, 모터의 회전 속도 명령이 입력되는 제1 가합점, 적분 필터 전달 요소, 모터 게인 전달 요소 및 모터 위치 전달 요소를 갖는 전방향 경로, 그리고 모터의 회전 위치를 미분 필터 전달 요소를 통해 제1 가합점으로 부귀환하는 제1 귀환 경로를 갖고,A closed loop system, a first proportional-gain transfer element, a first add-on point into which the rotational speed command of the motor is inputted, an integral filter transfer element, a motor gain transfer element and an omni-directional path having a motor position transfer element, Has a first return path for returning to the first junction point via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동작 대상물 및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희망 특성을 갖는 폐루프계의 희망 전달 함수가, 속도 루프 게인을 m1, 라플라스 연산자를 s라 하면, 연산식 m1/(s+m1)로 규정되고,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of the closed loop system having the desired characteristics of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is defined by the equation m1 / (s + m1), where the velocity loop gain is m1 and the Laplace operator is s,

적응 동정 수단에 의해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의 입력과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동정되는, 동작 대상물 및 모터의 점성에 관계되는 항을 동작 대상물 및 모터의 이너셔로 나눈 값인 게인을 p, 외란 응답 특성에 관한 제어 파라미터를 q0 및 q1, 폐루프계의 특성을 희망 전달 함수에 일치시키는 파라미터를 a1=q1+m1-p, b1=q0ㆍm1, b2=(q1-p)ㆍ(m1-p)+q0으로 했을 때에,The gain, which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terms related to viscosity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by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which is identified based on the input to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and the output from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by the adaptive identification means, the parameters to match the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the disturbance response of the q 0 and q 1, characteristic of the closed loop based on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a 1 = q 1 + m 1 -p, b 1 = q 0 and m 1, b 2 = (Q 1 - p) - (m 1 - p) + q 0 ,

제1 비례 게인 전달 요소는 m1,The first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is m 1 ,

적분 필터 전달 요소는 (s2+q1ㆍs+q0)/(s2+a1ㆍs),The integral filter transfer element is (s 2 + q 1 s + q 0 ) / (s 2 + a 1 s)

모터 게인 전달 요소는 1/K,The motor gain transfer elements are 1 / K,

모터 위치 전달 요소는 K/(s2+pㆍs),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is K / (s 2 + p · s),

미분 필터 전달 요소는 (b2ㆍs2+b1ㆍs)/(s2+q1ㆍs+q0)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is (b 2 s 2 + b 1 s) / (s 2 + q 1 s + q 0 )

으로 나타내고,Respectively,

모터 제어 장치에는 m1과 q0, q1의 관계를 대응시킨 테이블이 기억되고,The motor control apparatus has a table associating a relationship between m1 and q 0, q 1 is stored,

산출 수단은, 산출한 속도 루프 게인 m1로부터 q0, q1로의 변환을 테이블을 참조하여 행하는The calculation means performs the conversion from the calculated velocity loop gain m 1 to q 0 and q 1 with reference to the table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m1과 q0, q1의 관계를 대응시킨 테이블이 모터 제어 장치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m1로부터 q0, q1로 변환하는 연산 처리는 테이블을 간단히 검색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산 처리 시간이 단축됨과 함께, CPU의 연산 처리 부하가 한층 저감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table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m 1 and q 0 and q 1 is associated is stored in the motor control device, the arithmetic processing for converting m 1 to q 0 and q 1 can be performed by simply searching the table have. As a result, the operation process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load on the operation processing of the CPU is further reduced.

또한, 본 발명은,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폐루프계가, 제1 비례 게인 전달 요소, 모터의 회전 속도 명령이 입력되는 제1 가합점, 적분 필터 전달 요소, 모터 게인 전달 요소 및 모터 위치 전달 요소를 갖는 전방향 경로, 그리고 모터의 회전 위치를 미분 필터 전달 요소를 통해 제1 가합점으로 부귀환하는 제1 귀환 경로를 갖고,A closed loop system, a first proportional-gain transfer element, a first add-on point into which the rotational speed command of the motor is inputted, an integral filter transfer element, a motor gain transfer element and an omni-directional path having a motor position transfer element, Has a first return path for returning to the first junction point via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동작 대상물 및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희망 전달 함수가, 속도 루프 게인을 m1, 라플라스 연산자를 s라 하면, 연산식 m1/(s+m1)로 규정되고,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is defined by the equation m 1 / (s + m 1 ), where the velocity loop gain is m 1 and the Laplace operator is s,

적응 동정 수단에 의해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의 입력과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동정되는, 동작 대상물 및 모터의 점성에 관계되는 항을 동작 대상물 및 모터의 이너셔로 나눈 값인 게인을 p, 외란 응답 특성에 관한 제어 파라미터를 ωq, 폐루프계의 특성을 희망 전달 함수에 일치시키는 파라미터를 b1=ωqㆍm1, b2=m1-p+ωq로 했을 때에,The gain, which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terms related to viscosity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by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which is identified based on the input to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and the output from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by the adaptive identification means, , A control parameter for the disturbance response characteristic is denoted by qq , and parameters for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loop system to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are b 1 = ω q · m 1 and b 2 = m 1 -p + ω q ,

제1 비례 게인 전달 요소는 m1,The first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is m 1 ,

적분 필터 전달 요소는 (s+ωq)/s,The integral filter transfer element is (s + omega q ) / s,

모터 게인 전달 요소는 1/K,The motor gain transfer elements are 1 / K,

모터 위치 전달 요소는 K/(s2+pㆍs),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is K / (s 2 + p · s),

미분 필터 전달 요소는 (b2ㆍs2+b1ㆍs)/(s+ωq)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is (b 2 s 2 + b 1 s) / (s + ω q )

로 나타내고,Lt; / RTI >

모터 제어 장치에는 m1과 ωq의 관계를 대응시킨 테이블이 기억되고,A table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m 1 and? Q is associated is stored in the motor control apparatus,

산출 수단은 산출한 속도 루프 게인 m1로부터 ωq로의 변환을 테이블을 참조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lculation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rsion from the calculated velocity loop gain m 1 to? Q is performed with reference to the table.

본 구성에 의하면, m1과 ωq의 관계를 대응시킨 테이블이 모터 제어 장치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m1로부터 ωq로 변환하는 연산 처리는 테이블을 간단히 검색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산 처리 시간이 단축됨과 함께, CPU의 연산 처리 부하가 한층 저감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table assoc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 1 and q is stored in the motor control device, the calculation process of converting m 1 to ω q can be performed by simply searching the table. As a result, the operation process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load on the operation processing of the CPU is further reduced.

또한, 본 발명은,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폐루프계가, 회전 속도 명령 대신에 모터의 회전 위치 명령이 입력되는 제2 가합점, 제2 비례 게인 전달 요소, 제1 가합점, 적분 필터 전달 요소, 모터 게인 전달 요소 및 모터 위치 전달 요소를 갖는 전방향 경로, 모터의 회전 위치를 미분 필터 전달 요소를 통해 제1 가합점으로 부귀환하는 제1 귀환 경로, 그리고 모터의 회전 위치를 제2 가합점으로 직접 부귀환하는 제2 귀환 경로를 갖고,The closed loop system has a second additive point, a second proportional gain transfer element, a first additive point, an integral filter transfer element, a motor gain transfer element, and a motor position transfer element, to which a rotational position command of the motor is inputted instead of a rotational speed command And a second return path for directly return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to the second junction, wherein the first return path is a forward return path for return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to the first junction point via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동작 대상물 및 모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희망 전달 함수가, 속도 루프 게인을 m1, 위치 루프 게인을 m0/m1, 라플라스 연산자를 s라 하면, 연산식 m0/(s2+m1ㆍs+m0)으로 규정되고,If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object and the motor is m 0 , the velocity loop gain is m 1 , the position loop gain is m 0 / m 1 , and the Laplace operator is s, the calculation formula m 0 / (s 2 + m 1 · s + m 0 ), < / RTI >

적응 동정 수단에 의해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의 입력과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동정되는, 동작 대상물 및 모터의 점성에 관계되는 항을 동작 대상물 및 모터의 이너셔로 나눈 값인 게인을 p, 외란 응답 특성에 관한 제어 파라미터를 q0 및 q1, 폐루프계의 특성을 희망 전달 함수에 일치시키는 파라미터를 a1=q1+m1-p, b1=q0ㆍm1, b2=(q1-p)ㆍ(m1-p)+q0으로 했을 때에,The gain, which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terms related to viscosity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by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which is identified based on the input to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and the output from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by the adaptive identification means, the parameters to match the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the disturbance response of the q 0 and q 1, characteristic of the closed loop based on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a 1 = q 1 + m 1 -p, b 1 = q 0 and m 1, b 2 = (Q 1 - p) - (m 1 - p) + q 0 ,

제2 비례 게인 전달 요소는 m0,The second proportional gain transfer element is m 0 ,

적분 필터 전달 요소는 (s2+q1ㆍs+q0)/(s2+a1ㆍs),The integral filter transfer element is (s 2 + q 1 s + q 0 ) / (s 2 + a 1 s)

모터 게인 전달 요소는 1/K,The motor gain transfer elements are 1 / K,

모터 위치 전달 요소는 K/(s2+pㆍs),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is K / (s 2 + p · s),

미분 필터 전달 요소는 (b2ㆍs2+b1ㆍs)/(s2+q1ㆍs+q0)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is (b 2 s 2 + b 1 s) / (s 2 + q 1 s + q 0 )

으로 나타내고,Respectively,

모터 제어 장치에는 m1과 m0, q0, q1의 관계를 대응시킨 테이블이 기억되고,The motor control device stores a table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m 1 and m 0 , q 0 , and q 1 is associated,

산출 수단은 ,산출한 속도 루프 게인 m1로부터 m0, q0, q1로의 변환을 테이블을 참조하여 행하는The calculation means performs the conversion from the calculated velocity loop gain m 1 to m 0 , q 0 , q 1 with reference to the table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m1과 m0, q0, q1의 관계를 대응시킨 테이블이 모터 제어 장치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m1로부터 m0, q0, q1로 변환하는 연산 처리는 테이블을 간단히 검색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산 처리 시간이 단축됨과 함께, CPU의 연산 처리 부하가 한층 저감된다.With this arrangement, it m 1 and m 0, q 0, because there is that the table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 of q 1 is stored in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rithmetic processing to convert from m 0, q 0, q 1 from m 1 is a table Can be carried out simply by searching. As a result, the operation process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load on the operation processing of the CPU is further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이너셔비 Gr을 인자로 하는 상기 소정의, 속도 루프 게인을 산출하는 함수가, 이너셔비 Gr만을 인자로 하는 1차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function for calculating the velocity loop gain having the inertia ratio Gr as a factor is a linear function having only the inertia ratio Gr.

본 구성에 의하면,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은 이너셔비 Gr의 증가에 대하여 단순한 반비례의 관계로 감소한다. 이로 인해,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을 산출하는 CPU의 연산 처리는 간단해져, CPU의 연산 처리 부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values of the velocity loop gains m 1 and Kvp decrease in a simple inverse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he inertia ratio Gr. As a result, the calculation processing of the CPU for calculating the values of the velocity loop gains m 1 and Kvp is simplified, and the load of the CPU processing processing can be further suppressed.

또한, 본 발명은 이너셔비 Gr을 인자로 하는 상기 소정의, 속도 루프 게인을 산출하는 함수가, 이너셔비 Gr과 상수를 인자로 하는 1차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function for calculating the velocity loop gain having the inertia ratio Gr as a factor is a linear function having the inertia ratio Gr and a constant as a factor.

본 구성에 의하면, 속도 루프 게인 m1, Kvp와 이너셔비 Gr의 반비례 관계를 상수의 값만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설정 범위를 확장하면서, CPU의 연산 처리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inverse proportion of the speed loop gains m 1 , Kvp and the inertia ratio Gr can be adjusted by a constant valu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mputational processing load of the CPU while expanding the setting range of the velocity loop gains m 1 and Kvp.

또한, 본 발명은 이너셔비 Gr을 인자로 하는 상기 소정의, 속도 루프 게인을 산출하는 함수가, 이너셔비 Gr과 상수를 인자로 하는 2차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function for calculating the velocity loop gain with the inertia ratio Gr as a factor is a quadratic function having the inertia ratio Gr and a constant as a factor.

본 구성에 의하면,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은 단순한 반비례 관계와 다른, 이너셔비 Gr의 증가에 대하여 단조롭게 감소하는 원하는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폐루프계의 명령 응답 특성과 진동 억제 특성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values of the velocity loop gains m 1 and Kvp can be set to a desired relationship that monotonously decreases with respect to the increase of the inertia ratio Gr, which is different from a simple inverse relationship. As a result, both the command response characteristic and the vibration suppression characteristic of the closed loop system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은 파라미터 상수 Ri가, 모터와 동작 대상물 사이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기구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값으로서 모터 제어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ameter constant Ri is stored in the motor control device as a plurality of valu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between the motor and the operation object.

본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모터 제어 장치에 미리 기억된 복수의 파라미터 상수 Ri 중에서 동력 전달 기구의 종류에 따른 파라미터 상수 Ri의 값을 간단히 선택함으로써, 파라미터 설정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저의 편리성을 높인 모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set parameters by simply selecting the value of the parameter constant Ri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mong the plurality of parameter constants Ri previously stored in the motor control devi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tor system that enhances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이너셔비 Gr의 상한값에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inertia ratio Gr is limited.

이너셔비 Gr의 증가에 따라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이 지나치게 작아지고, 이너셔비 Gr의 값에 대응한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을 설정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이너셔비 Gr의 값에 대응한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이, 테이블에 설정된 최소 레벨의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보다 작은 경우,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을 낮출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설정 가능한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최솟값 m1min, Kvpmin으로부터 관계식(m1=Ri/f(Gr), Kvp=Ri/f(Gr))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이너셔비 Gr(=Ri/m1min, =Ri/Kvpmin)을 이너셔비 Gr의 상한값으로서 설정하고, 본 구성과 같이 이너셔비 Gr의 상한값에 제한을 가해 둠으로써, 이너셔비 Gr의 값에 대응한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의 하한에 제한이 가해진다. 이로 인해, 관계식 (m1=Ri/f(Gr), Kvp=Ri/f(Gr))이 항상 성립되고,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을 설정할 수 없게 되는 일은 없어진다.When the values of the velocity loop gains m 1 and Kvp become too small as the inertia ratio Gr increases and the values of the velocity loop gains m 1 and Kvp corresponding to the values of the inertia ratio Gr can not be set, If a speed loop gain, m 1, the value of Kvp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Gr, is smaller than the value of the minimum level, the velocity loop gain m 1, Kvp that is set in the table, the speed loop gain, m 1, can not lower the value of Kvp. In this case, the inertia ratio Gr (g)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relational expression (m 1 = Ri / f (Gr), Kvp = Ri / f (Gr)) from the settable velocity loop gains m 1 and Kvp min of the minimum values m 1min and Kvp min (= Ri / m 1min, = Ri / Kvp min) the as set as the upper limit value of inertia ratio Gr, and placing apply a limit to the upper limit value of inertia ratio Gr as in the present configuration, a speed loop gain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inertia ratio Gr limitations are imposed on the lower limit of the values of m 1 and Kvp. Therefore, the relation (m 1 = Ri / f ( Gr), Kvp = Ri / f (Gr)) is always satisfied, the speed loop gain of 1 m, which do not disappear can set the value of Kvp.

본 발명의 모터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CPU의 연산 처리 부하를 크게 하지 않고, 오토 튜닝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vibration can be suppressed by auto-tuning without increasing the computational processing load of the CPU as described above.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폐루프계를 나타내는 블록선도.
도 3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속도 루프 게인 m1과 이너셔비 Gr의 관계를 단순한 반비례 관계로 나타낸 그래프, (b)는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너셔비 Gr에 상한값 grcamax가 설정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이너셔비 Gr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폐루프계를 나타내는 블록선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폐루프계를 나타내는 블록선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폐루프계를 나타내는 블록선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폐루프계를 나타내는 블록선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 변형예에 관한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폐루프계를 나타내는 블록선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tor system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losed loop system in a motor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 3 (a) shows a first embodiment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velocity loop gain of m 1 and the inertia ratio Gr of the motor system according to the form of a simple inverse relationship graph, (b) is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A graph showing the time variation of the inertia ratio Gr when the upper limit value grcamax is set to the inertia ratio Gr in the motor system.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losed loop system in a motor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losed loop system in a motor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losed loop system in a motor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losed loop system in a motor syste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losed loop system in a motor system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ode for carrying out the mo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tor system 1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터 시스템(1)은 동작 대상물(2)을 동작시키는 모터(3)와, 모터(3)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3)는 AC 서보 모터 또는 DC 서보 모터이고, 예를 들어 동작 대상물(2)인 산업용 로봇의 아암 등을 동작시킨다. 동작 대상물(2)은 벨트 등의 동력 전달 기구(6)를 통해 모터(3)에 접속된다. 모터(3)는 모터(3)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기구(인코더)(5)를 구비하고 있다. 검출 기구(5)의 출력 신호는 모터(3)의 회전을 피드백 제어하는 모터 제어 장치(4)에 입력되어 있다. 모터 제어 장치(4)의 모터 제어 회로는 아날로그 회로(연속 시간계의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디지털 회로(이산 시간계의 회로)로 구성되어도 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The motor system 1 is provided with a motor 3 for operating the object 2 and a motor control device 4 for controlling the motor 3. The motor 3 is an AC servomotor or a DC servomotor, and operates, for example, an arm or the like of an industrial robot, which is the object 2 to be operated. The operation object 2 is connected to the motor 3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6 such as a belt. The motor 3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mechanism (encoder) 5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3. The output signal of the detecting mechanism 5 is inputted to the motor control device 4 for feedback-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3. [ Although the motor control circuit of the motor control device 4 is constituted by an analog circuit (a circuit of a continuous time system), it may be constituted by a digital circuit (a circuit of a discrete time system) or by softwar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시스템(1)에 있어서의 폐루프계(8A)를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losed loop system 8A 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폐루프계(8A)는 제1 비례 게인 전달 요소(9), 모터(3)의 회전 속도 명령이 입력되는 제1 가합점(10), 적분 필터 전달 요소(11), 모터 게인 전달 요소(12) 및 모터 위치 전달 요소(13)를 갖는 전방향 경로, 그리고 모터(3)의 회전 위치를 모터 위치 전달 요소(13)로부터 미분 필터 전달 요소(14)를 통해 제1 가합점(10)으로 부귀환하는 제1 귀환 경로(제1 피드백 경로)를 갖고, 모터(3)의 회전 속도 명령을 입력함과 함께, 모터(3)의 회전 위치를 피드백 제어하여 회전 속도를 출력한다. 이 폐루프계(8A)는 속도 루프 게인 m1을 인자에 포함하는 전달 함수를 구성하고, 라플라스 연산자를 s라 하면, 속도의 희망 전달 함수는 연산식 m1/(s+m1)로 규정된다. 희망 전달 함수는 동작 대상물(2)에 따라 모터(3)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희망 특성을 갖는다. 동작 대상물(2)은 폐루프계(8A)에 의해 회전 제어되는 모터(3)에 의해 동작 대상 속도가 설정된다.The closed loop system 8A includes a first proportional gain transmitting element 9, a first adding point 10 to which a rotational speed command of the motor 3 is inputted, an integral filter transmitting element 11, a motor gain transmitting element 12 And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13 and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3 from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13 to the first junction point 10 via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mission element 14 (First feedback path) for returning, and inputs a rotation speed command of the motor 3 and feedback control of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motor 3 to output the rotation speed. This closed loop system 8A constitutes a transfer function including the velocity loop gain m 1 in the factor, and the Laplace operator is s,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of the velocity is defined by the equation m 1 / (s + m 1 ).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has the desired characteristic of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motor 3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bject 2. The operation object speed is set by the motor 3 whose rotation is controlled by the closed loop system 8A.

적응 동정 수단(21)은 모터(3)에 전력을 공급하는 증폭기의 고정 게인과 모터(3)의 토크 상수를 포함하는 고정값을 동작 대상물(2) 및 모터(3)의 이너셔로 나눈 값인 게인 K(=(증폭기의 고정 게인)ㆍ(모터(3)의 고정값)/(동작 대상물(2) 및 모터(3)의 이너셔))를, 모터 위치 전달 요소(13)로의 입력과 모터 위치 전달 요소(13)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동정한다. 이 동정은 최소 제곱법 등의 동정법에 의해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행해진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증폭기란, 폐루프계(8A)에 있어서의 모터 위치 전달 요소(13)를 제외한 구성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응 동정 수단(21)은 이너셔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모터 위치 전달 요소(13)로의 입력과 모터 위치 전달 요소(13)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동작 대상물(2) 및 모터(3)의 이너셔를 최소 제곱법 등의 동정법에 의해 동정하고,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서대로 검출한다. 또한, 적응 동정 수단(21)은 모터 위치 전달 요소(13)로의 입력과 모터 위치 전달 요소(13)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동작 대상물(2) 및 모터(3)의 점성에 관계되는 항을 동작 대상물(2) 및 모터(3)의 이너셔로 나눈 값인 게인 p를 동정한다. 이 동정도, 최소 제곱법 등의 동정법에 의해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행해진다.The adaptive identification means 21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a fixed value including a fixed gain of an amplifi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3 and a torque constant of the motor 3 by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2 and the motor 3 The gain K (= fixed gain of the amplifier) (fixed value of the motor 3) /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2 and the motor 3)) to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13, Based on the output from the position transmitting element 13. This identification is sequentially perform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by an identification method such as a least squares method. The amplifier referred to here is a constituent portion excluding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13 in the closed loop system 8A. In this embodiment, the adaptive identification means 21 constitutes inertia detection means, and based on the input to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13 and the output from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13, the operation object 2 And the motor 3 are identified by an identification method such as a least squares method, and are sequentially detec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adaptation identifying means 21 also determines the viscometric terms of the operation object 2 and the motor 3 based on the input to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13 and the output from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13 The gain p which is a value divided by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2 and the motor 3 is identified. This identification is sequentially perform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by an identification method such as a least squares method.

외란 응답 특성에 관한 제어 파라미터를 q0 및 q1로 하고, 폐루프계(8A)의 특성을 희망 전달 함수에 일치시키는 파라미터인 a1, b1 및 b2를 각각 다음의 식 (1), (2), (3)으로 나타냈을 때에,A 1 , b 1, and b 2 , which set the control parameters for the disturbance response characteristic to be q 0 and q 1 and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loop system 8A with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ar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1) and (2) and (3), respectively,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제1 비례 게인 전달 요소(9)는 m1, 적분 필터 전달 요소(11)는 (s2+q1ㆍs+q0)/(s2+a1ㆍs), 모터 게인 전달 요소(12)는 1/K, 모터 위치 전달 요소(13)는 K/(s2+pㆍs), 미분 필터 전달 요소(14)는 (b2ㆍs2+b1ㆍs)/(s2+q1ㆍs+q0)으로 표현된다.The first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9 is m 1 , the integral filter transmission element 11 is s 2 + q 1 s + q 0 / s 2 + a 1 s, the motor gain transmission element 12 is 1 / K, the motor position transfer element 13 is K / (s 2 + p s),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14 is (b 2揃 s 2 + b 1揃 s) / (s 2 + q 1揃 s + q 0 ) Is expressed.

제1 게인 변환 수단(15)에는 유저에 의해 설정되는 임의의 파라미터 상수 Ri가 입력된다. 제1 게인 변환 수단(15)은 적응 동정 수단(21)으로 동정된 게인 K와 입력된 파라미터 상수 Ri에 기초하여, 게인 K0의 게인 K에 대한 이너셔비 Gr(=K0/K)을 산출한다. 여기서 게인 K0은 모터(3)에 전력을 공급하는 증폭기의 고정 게인과 모터(3)의 토크 상수를 포함하는 고정값을 모터(3)의 이너셔로 나눈 값(=(증폭기의 고정 게인)×(모터(3)의 고정값)/(모터(3)의 이너셔))이다.The first gain conversion means 15 receives an arbitrary parameter constant Ri set by the user. The first gain conversion means 15 calculates the inner ratio Gr (= K 0 / K) with respect to the gain K of the gain K 0 based on the gain K identified by the adaptive identification means 21 and the input parameter constant Ri do. The gain K 0 is a fixed gain value of the fixed value divided by the inertia of the motor 3 (= (an amplifier comprising the torque constant of a fixed gain and the motor 3 of the amplifi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3) (Fixed value of the motor 3) / (inertia of the motor 3)).

그리고, 제1 게인 변환 수단(15)은 산출한 이너셔비 Gr을 사용한, 이너셔비 Gr을 인자로 하는 소정의 함수값 (f(Gr))에 대한 파라미터 상수 Ri의 비(=Ri/f(Gr))로부터, 속도 루프 게인 m1을 산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함수 f(Gr)가 Gr로 설정되어 있고(f(Gr)=Gr), 속도 루프 게인 m1은 다음의 식 (4)로 표현된다.The first gain converting means 15 calculates the ratio of the parameter constant Ri to a predetermined function value f (Gr) using the inertia ratio Gr calculated as the factor (= Ri / f (Gr ), The velocity loop gain m 1 is calcul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function f (Gr) is set to Gr (f (Gr) = Gr) and the velocity loop gain m 1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4).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모터 제어 장치(4)에는 m1과 q0, q1의 관계가, m1의 저하에 따라 q0, q1도 저하되도록 대응된 제1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제2 게인 변환 수단(16)은 제1 게인 변환 수단(15)이 산출한 속도 루프 게인 m1로부터 q0, q1로의 변환을 제1 테이블을 참조하여 행한다. 이때, 제1 게인 변환 수단(15)이 산출한 속도 루프 게인 m1의 값에 가장 가까운 테이블값의 m1로부터, q0, q1로의 변환을 행한다. 제3 게인 변환 수단(17)은 제1 게인 변환 수단(15)에서 산출된 m1과, 적응 동정 수단(21)으로 동정된 게인 p로부터, 식 (1), (2), (3)에 기초하여, a1, b1 및 b2를 각각 산출한다.The motor control device 4 stores the first table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 1 and q 0 and q 1 so that q 0 and q 1 decrease as m 1 decreases. The second gain converting means 16 performs conversion from the velocity loop gain m 1 calculated by the first gain converting means 15 to q 0 and q 1 with reference to the first table. At this time, conversion from the m 1 of the table value closest to the value of the velocity loop gain m 1 calculated by the first gain converting means 15 to q 0 , q 1 is performed. The third gain converting means 17 calculates the gain of the first gain converting means 15 based on m 1 calculated by the first gain converting means 15 and the gain p identified by the adaptive identifying means 21 in the equations (1), (2) And calculates a 1 , b 1 and b 2 , respectively.

제1 게인 변환 수단(15) 및 제2 게인 변환 수단(16)은 이너셔비 Gr을 산출하고, 산출한 이너셔비 Gr을 사용하여 식 (4)에 의해 속도 루프 게인 m1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구성한다. 제1 게인 변환 수단(15), 제2 게인 변환 수단(16) 및 제3 게인 변환 수단(17)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 제어 장치(4)에 구비된 마이크로컴퓨터의 CPU에 의해 구성된다. 모터 제어 장치(4)는, 제1 게인 변환 수단(15)에서 산출된 속도 루프 게인 m1을 제1 비례 게인 전달 요소(9)에 부여하고, 제1 비례 게인 전달 요소(9)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갱신한다. 또한, 제2 게인 변환 수단(16)에서 구해진 q0, q1 및 제3 게인 변환 수단(17)에서 산출된 a1, b1, b2를 적분 필터 전달 요소(11) 및 미분 필터 전달 요소(14)에 부여하고, 적분 필터 전달 요소(11) 및 미분 필터 전달 요소(14)를 각각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갱신한다. 또한, 적응 동정 수단(21)은 동정한 게인 K를 모터 게인 전달 요소(12)에 부여하고, 모터 게인 전달 요소(12)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갱신한다.The first gain converting means 15 and the second gain converting means 16 calculate the inertia ratio Gr and calculate the velocity loop gain m 1 by using the calculated inertia ratio Gr . The first gain conversion means 15, the second gain conversion means 16 and the third gain conversion means 17 are constituted by a CPU of a microcomputer provided in the motor control device 4 in this embodiment. The motor control device 4 gives the speed loop gain m 1 calculated by the first gain converting means 15 to the first proportional gain transmitting element 9 and outputs the first proportional gain transmitting element 9 to the first proportional gain transmitting element 9 for a predetermined time Sequentially update at intervals. Further, q 0 and q 1 obtained by the second gain converting means 16 and a 1 , b 1 and b 2 calculated by the third gain converting means 17 are multiplied by the integral filter transmitting element 11 and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mitting element (14), and sequentially updates the integral filter transfer element (11) and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14)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urther, the adaptive identification means 21 gives the identified gain K to the motor gain transmission element 12, and sequentially updates the motor gain transmission element 12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이들 갱신에 의해, 폐루프계(8A)의 전달 함수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보정되고, 동작 대상물(2)이나 모터(3)의 이너셔가 커져 진동이 강해지는 경향이 되어도, 폐루프계(8A)의 전달 함수를 희망 전달 함수에 자동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작 대상물(2)이나 모터(3)의 이너셔가 커져도, 폐루프계(8A)의 특성을 안정되도록 변화시켜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Even if the transfer functions of the closed loop system 8A are sequentially correc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2 or the motor 3 becomes large and the vibration tends to become strong by these updates, 8A) can be automatically matched to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stabi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loop system 8A and to suppress the vibration even if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2 or the motor 3 is increased.

이와 같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의하면, 속도 루프 게인 m1은 모터(3)에 동작 대상물(2)이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에 있어서의 게인 K0의, 모터(3)에 동작 대상물(2)이 연결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게인 K에 대한 이너셔비 Gr(=K0/K)을 제1 게인 변환 수단(15)에 의해 산출하고, 산출한 이너셔비 Gr에 대한 임의의 파라미터 상수 Ri의 비(=Ri/Gr)를 구함으로써, 간단하게 산출된다.According to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velocity loop gain m 1 is a gain K 0 of the motor 3 when the object 2 is not connected to the motor 3, The inertia ratio Gr (= K0 / K) with respect to the gain K when the operation object 2 is connected is calculated by the first gain conversion means 15, and an arbitrary parameter constant Ri (= Ri / Gr).

도 3의 (a)의 그래프는 속도 루프 게인 m1과 이너셔비 Gr의 관계를 식 (4)로 표현되는 단순한 반비례 관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의 횡축은 이너셔비 Gr, 종축은 속도 루프 게인 m1이다. 각 특성선 a, b, c는 각각 비례 상수 Ri의 값이 Ri1, Ri2, Ri3(Ri1 <Ri2 <Ri3)일 때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도 루프 게인 m1은 일정한 비례 상수 Ri에서 이너셔비 Gr에 반비례하고, 이너셔비 Gr이 커지면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비례 상수 Ri의 값이 작을수록, 이너셔비 Gr의 증가에 대하여 속도 루프 게인 m1의 값을 낮추는 작용이 강해진다.3 (a)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locity loop gain m 1 and the inertia ratio Gr in a simple inverse proportion relation expressed by equation (4). The horizontal axis of this graph is the inertia ratio Gr, and the vertical axis is the velocity loop gain m 1 . Each of the characteristic lines a, b, and c shows characteristics when the proportional constant Ri is Ri1, Ri2, and Ri3 (Ri1 < Ri2 < Ri3). As shown in this graph, the velocity loop gain m 1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inertia ratio Gr at a constant proportional constant Ri, and tends to decrease as the inertia ratio Gr increases. Further, the smaller the value of the proportional constant Ri, acts to lower the value of the speed loop gain of m 1 with respect to the increase in inertia ratio Gr is strengthened.

비례 상수 Ri는 유저에 의해 설정되는 제어 파라미터이고, 동력 전달 기구(6)의 강성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어, 동력 전달 기구(6)가 벨트 구동과 같은 강성이 작은 기구인 경우에는, 강성이 작을수록, 비례 상수 Ri는 작은 값으로 설정한다. 또한, 동작 대상물(2)의 점성 저항이 작을수록, 비례 상수 Ri는 작은 값으로 설정한다. 비례 상수 Ri가 작은 경우, 이너셔비 Gr의 증가에 따른 속도 루프 게인 m1의 값의 저감율이 커지고, 명령 응답성이 안정되게 되지만, 진동 억제 성능이 향상된다. m1의 값의 저하에 따라 q0, q1의 값도 저하되도록 테이블값을 설정해 두면, 진동 억제 효과가 더욱 강해진다.The proportional constant Ri is a control parameter set by the user and is set according to the rigidity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6. [ For example, when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6 is a mechanism having a small rigidity such as a belt drive, the proportionality constant Ri is set to a smaller value as the stiffness is smaller. Further, the smaller the viscous resistance of the operation object 2, the smaller the proportional constant Ri is set. If the proportional constant Ri is small, the reduction ratio of the speed loop gain values of m 1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the inertia ratio Gr becomes large, but the presented command response is stable, an improvement in vibration suppression performance. If the table value is set so that the values of q 0 and q 1 decrease as the value of m 1 decreases, the vibration suppression effect becomes stronger.

또한, 동력 전달 기구(6)가 볼 나사 구동과 같은 강성이 큰 기구인 경우에는 강성이 클수록, 비례 상수 Ri는 큰 값으로 설정하고, 속도 루프 게인 m1이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도록 한다. 비례 상수 Ri가 큰 경우, 이너셔비 Gr의 증가에 따른 속도 루프 게인 m1의 값의 저감율이 작아져, 명령 응답성이 향상되지만, 진동 억제 성능은 저하된다.Further, when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6 is a mechanism having a large rigidity such as a ball screw drive, the proportionality constant Ri is set to a large value so that the velocity loop gain m 1 does not become too low as the stiffness is great. If the proportional constant Ri large, becomes the reduction ratio of the speed loop gain values of m 1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the inertia ratio Gr small, and improve the responsiveness of the command, but the vibration is suppressed performance is lowered.

이너셔비 Gr이 커지면, 제어 대상의 게인 주파수 특성의 기계 공진 주파수에 있어서의 게인 피크 및 기계 공진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 있어서의 게인은 커지고, 발진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서는 이너셔비 Gr이 커지면, 상기와 같이 이것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속도 루프 게인 m1이 내려가므로, 폐루프계의 안정도를 나타내는 게인 여유가 확보된다. 또한, 속도 루프 게인 m1은 상기와 같이 간단하게 산출된다. 따라서, CPU의 연산 처리 부하를 크게 하지 않고, 오토 튜닝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CPU의 연산 처리 부하가 적고, 처리 속도가 느린 CPU를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모터 제어 장치(4)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유저는 이 오토 튜닝에 의해, 모터 시스템의 사용 개시 시에 무조정으로 발진시키지 않고, 모터(3)를 동작시킬 수 있다.When the inertia ratio Gr is large, the gain at the higher frequency than the gain peak at the mechanical resonance frequency and the mechanical resonance frequency of the gain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control object becomes large, and oscillation easily occurs. However, 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nertia ratio Gr is large, the gain of the gain of the closed loop system is secured since the velocity loop gain m 1 is lowered in the direction of canceling the inertia ratio Gr. Further, the velocity loop gain m 1 is simply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vibration can be suppressed by auto-tuning without increasing the processing load of the CPU.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use a CPU with a low computation processing load of the CPU and a slow processing speed, and thus the cost of the microcomputer constituting the motor control apparatus 4 can be reduced. By this auto-tuning, the user can operate the motor 3 without oscillating without any adjustment at the start of use of the motor system.

또한, 2관성계 또는 다관성계의 구동계에 대하여, 1관성계의 구동계와 동일하도록 추정된 부하 이너셔에 의해 제어 게인을 갱신하면, 서보 발진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2관성계 또는 다관성계의 구동계에 있어서의 공진에 대하여, 간단한 연산 처리로 발진을 억제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control gain is updated by the load inertia estimated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drive system of one inertia system with respect to the drive system of a dual inertia system or a multi-inertia system, the servo is oscillat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scillation can be suppressed by simple arithmetic processing for resonance in a drive system of a dual inertia system or a multi-inertia system.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의하면, m1과 q0, q1의 관계를 대응시킨 제1 테이블이 모터 제어 장치(4)에 기억되어 있다. 이로 인해, m1로부터 q0, q1로 변환하는 연산 처리는 제2 게인 변환 수단(16)에 의해 제1 테이블을 간단히 검색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연산 처리 시간이 단축됨과 함께, CPU의 연산 처리 부하가 한층 저감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motor system 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table in which the relationship of m 1 , q 0 , and q 1 is associated is stored in the motor control device 4. Thus, the arithmetic processing for converting from m 1 to q 0 , q 1 can be performed by simply searching the first table by the second gain converting means 16. As a result, the computation process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computation processing load of the CPU is further reduced.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서는 이너셔비 Gr을 인자로 하는 소정의 함수가, 식 (4)의 분모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너셔비 Gr만을 인자로 하는 1차 함수로서 규정된다. 따라서, 속도 루프 게인 m1의 값은 이너셔비 Gr의 증가에 대하여 단순한 반비례의 관계로 감소한다. 이로 인해, 속도 루프 게인 m1의 값을 산출하는 CPU의 연산 처리는 간단해져, CPU의 연산 처리 부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function having the inertia ratio Gr as a factor is defined as a linear function having only the inertia ratio Gr, as shown in the denominator of the equation (4) . Therefore, the value of the velocity loop gain m 1 decreases in a simple inverse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he inertia ratio Gr. As a result, the calculation processing of the CPU for calculating the value of the velocity loop gain m 1 is simplified, and the load on the calculation processing load of the CPU can be further suppressed.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시스템(1)에 있어서의 폐루프계(8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이 폐루프계(8B)를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Next, the closed loop system 8B 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losed loop system 8B. In Fig. 4,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s those in Fig. 2,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폐루프계(8B)의 속도의 희망 전달 함수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연산식 m1/(s+m1)로 규정된다. 그러나, 외란 응답 특성에 관한 제어 파라미터를 ωq로 하고, 폐루프계(8B)의 특성을 희망 전달 함수에 일치시키는 파라미터인 b1 및 b2를 각각 다음의 식 (5), (6)으로 나타냈을 때에,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of the velocity of the closed loop system 8B is also defined by the same mathematical expression m 1 / (s + m 1 )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th, however, the disturbance response characteristic parameter, b 1, and b the following formula 2, respectively 5, 6, to match the control parameter to a ω q, and the closed loop system desired characteristics of (8B) The transfer function relating the When indicated,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적분 필터 전달 요소(11)는 (s+ωq)/s, 미분 필터 전달 요소(14)는 (b2ㆍs2+b1ㆍs)/(s+ωq)로 표현된다.The integral filter transfer element 11 is represented by (s +? Q ) / s and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14 is represented by (b 2? S 2 + b 1 ? S) / (s +? Q ).

또한, 모터 제어 장치(4)에는 m1과 ωq의 관계가, m1의 저하에 따라 ωq도 저하되도록 대응된 제2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제2 게인 변환 수단(16)은 제1 게인 변환 수단(15)이 전술한 바와 같이 산출한 속도 루프 게인 m1로부터 ωq로의 변환을, 제2 테이블을 참조하여 행한다. 제3 게인 변환 수단(17)은 제1 게인 변환 수단(15)에서 산출된 m1과, 적응 동정 수단(21)으로 동정된 게인 p로부터, 식 (5), (6)에 기초하여, b1 및 b2를 각각 산출한다.The motor control device 4 also stores a second table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 1 and ω q so that ω q decreases as m 1 decreases. The second gain conversion means 16 performs the conversion from the speed loop gain m 1 to ω q calculated by the first gain conversion means 15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table. The third gain converting means 17 calculates the gain of the first gain converting means 15 based on m 1 calculated by the first gain converting means 15 and the gain p identified by the adaptive identifying means 21 based on Expressions (5) and (6) 1 and b 2 , respectively.

모터 제어 장치(4)는 제2 게인 변환 수단(16)에서 구해진 ωq 및 제3 게인 변환 수단(17)에서 산출된 b1, b2를 적분 필터 전달 요소(11) 및 미분 필터 전달 요소(14)에 부여하고, 적분 필터 전달 요소(11) 및 미분 필터 전달 요소(14)를 각각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갱신한다. 이들 갱신에 의해, 폐루프계(8B)의 전달 함수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보정되고, 동작 대상물(2)이나 모터(3)의 이너셔가 커져 진동이 강해지는 경향이 되어도, 폐루프계(8B)의 전달 함수를 희망 전달 함수에 자동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작 대상물(2)이나 모터(3)의 이너셔가 커져도, 폐루프계(8B)의 특성을 안정되도록 변화시켜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motor control device 4 outputs ω q obtained by the second gain converting means 16 and b 1 and b 2 calculated by the third gain converting means 17 to the integral filter transmitting element 11 and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mitting element 14, and sequentially updates the integral filter transmission element 11 and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mission element 14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Even if the transfer functions of the closed loop system 8B are sequentially correc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2 or the motor 3 becomes large and the vibration tends to become strong by these updates, 8B) can be automatically matched to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Thus, even if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2 or the motor 3 is increa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loop system 8B can be changed so as to be stabilized to suppress the vibration.

이와 같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의해서도, 속도 루프 게인 m1은 이너셔비 Gr(=K0/K)을 제1 게인 변환 수단(15)에 의해 산출하고, 산출한 이너셔비 Gr에 대한 임의의 파라미터 상수 Ri의 비(=Ri/Gr)를 구함으로써, 간단하게 산출된다. 이로 인해,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의해서도, CPU의 연산 처리 부하를 크게 하지 않고, 오토 튜닝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Also 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velocity loop gain m 1 i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inertia ratio Gr (= K 0 / K) by the first gain converting means 15, (Ri / Gr) of an arbitrary parameter constant Ri for Gr. As a result,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suppress vibration by auto-tuning without increasing the computational processing load of the CPU, and the same advantageous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exhibited.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있어서는, m1과 ωq의 관계를 대응시킨 제2 테이블이 모터 제어 장치(4)에 기억되어 있다. 이로 인해, m1로부터 ωq로 변환하는 연산 처리는 제2 게인 변환 수단(16)에 의해 제2 테이블을 단순히 검색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산 처리 시간이 단축됨과 함께, CPU의 연산 처리 부하가 한층 저감된다.Further, 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motor control device 4 stores the second table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m 1 and q is associated. Thus, the arithmetic processing for converting from m 1 to ω q can be performed by simply searching the second table by the second gain conversion means 16. As a result, the operation process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load on the operation processing of the CPU is further reduced.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시스템(1)에 있어서의 폐루프계(8C)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이 폐루프계(8C)를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Next, the closed loop system 8C 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losed loop system 8C. In Fig. 5,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as those in Fig. 2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폐루프계(8C)는 속도 루프 게인 m1 및 위치 루프 게인 m0/m1을 인자에 포함하는 전달 함수를 구성하고, 회전 속도 명령 대신에 모터(3)의 회전 위치 명령을 입력함과 함께, 모터(3)의 회전 위치를 피드백 제어하여 회전 위치를 출력한다. 폐루프계(8C)의 위치의 희망 전달 함수는 연산식 m0/(s2+m1ㆍs+m0)으로 규정된다. 또한, 폐루프계(8C)는 도 2에 나타내는 폐루프계(8A)에 비해, 제1 비례 게인 전달 요소(9) 대신에, 제2 가합점(18)과 제2 비례 게인 전달 요소(19)를, 전방향 경로에 있어서의 제1 가합점(10)의 전단에 갖는다. 제2 가합점(18)에는 회전 속도 명령 대신에 모터(3)의 회전 위치 명령이 입력됨과 함께, 모터(3)의 회전 위치가 모터 위치 전달 요소(13)로부터 제2 귀환 경로(제2 피드백 경로)를 통해 직접 부귀환된다. 제2 비례 게인 전달 요소(19)에는 제2 가합점(18)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위치 명령과 회전 위치의 편차가 입력된다. 동작 대상물(2)은 폐루프계(8C)에 의해 회전 제어되는 모터(3)에 의해 동작 대상 위치가 설정된다.The closed loop system 8C constitutes a transfer function including the velocity loop gain m 1 and the position loop gain m 0 / m 1 in the factor and inputs the rotational position command of the motor 3 instead of the rotational speed command , And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3 is feedback-controlled to output the rotational position.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of the position of the closed loop system 8C is defined by the equation m 0 / (s 2 + m 1 s + m 0 ). The closed loop system 8C has a second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19 and a second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19 instead of the first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9 in comparison with the closed loop system 8A shown in Fig. )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junction point 10 in the forward path. The rotational position command of the motor 3 is inputted to the second joining point 18 instead of the rotational speed command and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3 is inputted from the motor position transmitting element 13 to the second feedback path Path). In the second proportional gain transmitting element 19, the deviation of the rotational position command and the rotational position output from the second adding point 18 is input. The operation object position is set by the motor 3 whose rotation is controlled by the closed loop system 8C.

이 폐루프계(8C)에서는 제2 비례 게인 전달 요소(19)는 m0으로 나타내고, 적분 필터 전달 요소(11), 모터 게인 전달 요소(12) 및 미분 필터 전달 요소(14)는 도 2에 나타내는 폐루프계(8A)와 마찬가지로 표현된다.In the closed loop system 8C, the second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19 is represented by m 0 , and the integral filter transmission element 11, the motor gain transmission element 12 and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mission element 14 are represented by Is represented similarly to the closed loop system 8A.

또한, 모터 제어 장치(4)에는 m1과 m0, q0, q1의 관계가, m1의 저하에 따라 m0, q0, q1도 저하되도록 대응된 제3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제2 게인 변환 수단(16)은 제1 게인 변환 수단(15)이 산출한 속도 루프 게인 m1로부터, m0, q0, q1로의 변환을 제3 테이블을 참조하여 행한다. 이때, 제3 테이블의 테이블값은 속도 루프 게인 m1과 일정한 관계를 갖는 값이 위치 루프 게인 m0/m1의 값으로서 산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m1만 단독으로 값을 내리면, m0과의 밸런스가 나빠져, 제어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m1의 값을 내리면 m0의 값을 내리고, m1의 값에 따라 m0의 값을 조정한다. m1의 값에 대하여 m0의 값을 얼마나 낮출지는, 1관성계에서 안정이 되는 m1과 m0의 비율이 되도록 결정한다.In addition, there is a relation of m 1 and m 0, q 0, q 1, a third table corresponds to that in accordance with the decrease in m 1 m 0, q 0, q 1 is lowered stored motor control unit 4 . The second gain conversion means 16 performs the conversion from the velocity loop gain m 1 calculated by the first gain conversion means 15 to m 0 , q 0 and q 1 with reference to the third table. At this time, the table value of the third table is set so that a value having a constant relation with the velocity loop gain m 1 is calculated as a value of the position loop gain m 0 / m 1 . This is because the cases in which lowering the value as m 1 man alone, a bad balance of the m 0, the control is unstable. So, lowering the value of m 1 makes a value of m 0, and adjusts the value of the m 0 according to the value of m 1. for the value of m 1 being much lower the value of m 0, it is determined such that the ratio of m 1 and m 0 is the stability in the first inertial frames.

또한, 이때, 제3 테이블의 테이블값은, 속도 루프 게인 m1과 일정한 관계를 갖는 값이 q0, q1의 값으로서 산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도, m1만 단독으로 값을 내리면, 제어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m1의 값을 내리면 q0, q1의 값을 내리고, m1의 값에 따라 q0, q1의 값을 조정한다.At this time, the table value of the third table is set so that a value having a constant relation with the velocity loop gain m 1 is calculated as the value of q 0 , q 1 . This is also because, if the value of m 1 alone is lowered, the control may become unstable. Thus, when the value of m 1 is decreased, the values of q 0 and q 1 are decreased, and the values of q 0 and q 1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value of m 1 .

제3 게인 변환 수단(17)은 제1 게인 변환 수단(15)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산출된 m1과, 적응 동정 수단(21)으로 동정된 게인 p로부터, 식 (1), (2), (3)에 기초하여, 폐루프계(8C)의 특성을 희망 전달 함수에 일치시키는 파라미터인 a1, b1 및 b2를 각각 산출한다. 모터 제어 장치(4)는 제2 게인 변환 수단(16)에서 구해진 m0, q0, q1 및 제3 게인 변환 수단(17)에서 산출된 a1, b1, b2를 적분 필터 전달 요소(11), 미분 필터 전달 요소(14) 및 제2 비례 게인 전달 요소(19)에 부여하고, 적분 필터 전달 요소(11), 미분 필터 전달 요소(14) 및 제2 비례 게인 전달 요소(19)를 각각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갱신한다. 이들 갱신에 의해, 폐루프계(8C)의 전달 함수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 보정되고, 동작 대상물(2)이나 모터(3)의 이너셔가 커져 진동이 강해지는 경향이 되어도, 폐루프계(8C)의 전달 함수를 희망 전달 함수에 자동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작 대상물(2)이나 모터(3)의 이너셔가 커져도, 폐루프계(8C)의 특성을 안정되도록 변화시켜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ird gain changing means 17 is a first m 1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the gain changing means (15) and, from the gain p identified as adapted identification means (21), formula (1), (2), based on (3), and calculates the closed loop-based parameter, a 1,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8C) to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b 1 and b 2, respectively. The motor control unit 4 outputs m 0 , q 0 , q 1 obtained by the second gain converting means 16 and a 1 , b 1 , b 2 calculated by the third gain converting means 17 to the integral filter transmitting element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14 and the second proportional gain transfer element 19 and the integral filter transfer element 11,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14 and the second proportional gain transfer element 19, Are sequentially upda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Even if the transfer functions of the closed loop system 8C are sequentially correc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2 or the motor 3 becomes large and the vibration tends to become strong by these updates, 8C) can be automatically matched to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Therefore, even if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2 or the motor 3 is increa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loop system 8C can be changed so as to be stabilized to suppress the vibration.

이와 같은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의해서도, 속도 루프 게인 m1은 이너셔비 Gr(=K0/K)을 제1 게인 변환 수단(15)에 의해 산출하고, 산출한 이너셔비 Gr에 대한 임의의 파라미터 상수 Ri의 비(=Ri/Gr)를 구함으로써, 간단하게 산출된다. 이로 인해,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의해서도, CPU의 연산 처리 부하를 크게 하지 않고, 오토 튜닝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s well, the velocity loop gain m 1 i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inertia ratio Gr (= K 0 / K) by the first gain converting means 15, (Ri / Gr) of an arbitrary parameter constant Ri for Gr. As a result,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can also suppress the vibration by auto-tuning without increasing the computational processing load of the CPU, and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exhibited.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있어서는, m1과 m0, q0, q1의 관계를 대응시킨 제3 테이블이 모터 제어 장치(4)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m1로부터 m0, q0, q1로 변환하는 연산 처리는 제2 게인 변환 수단(16)에 의해 제3 테이블을 간단히 검색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산 처리 시간이 단축됨과 함께, CPU의 연산 처리 부하가 한층 저감된다.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motor control device 4 stores the third table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m 1 and m 0 , q 0 , and q 1 is mapped, m 1 To m 0 , q 0 , and q 1 can be performed by simply searching the third table by means of the second gain conversion means 16. As a result, the operation process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load on the operation processing of the CPU is further reduced.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의하면, 위치 루프 게인 m0/m1의 값이, 속도 루프 게인 m1과 일정한 관계를 갖는 값으로서 제2 게인 변환 수단(16)에 의해 간단하게 산출되고, 속도 루프 게인 m1에 대하여 제어계의 밸런스가 좋은 값으로 오토 튜닝된다. 이로 인해, 제어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없는, 모터(3)의 회전 속도와 모터(3)의 회전 위치를 고려한 안정된 피드백 제어를, 간단한 연산 처리로, CPU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motor system 1 of the third embodiment, the value of the position loop gain m 0 / m 1 is a value having a constant relation with the velocity loop gain m 1 by the second gain converting means 16 And the balance of the control system is auto-tuned to a good value with respect to the speed loop gain m 1 . This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stable feedback control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3 and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3 without the control becoming unstable without applying a load to the CPU by simple arithmetic processing.

또한, 상기 폐루프계(8C)에 있어서의, 연산식 m0/(s2+m1ㆍs+m0)으로 규정되는 희망 전달 함수는 이하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defined by the arithmetic expression m 0 / (s 2 + m 1揃 s + m 0 ) in the closed loop system 8C can be modified as follows.

m0/(s2+m1ㆍs+m0)=ω1ㆍω2/(s+ω1)ㆍ(s+ω2) m 0 / (s 2 + m 1 and s + m 0) = ω 1 and ω 2 / (s + ω 1 ) and (s + ω 2)

여기서, ω1, ω2는 희망 전달 함수의 차단 주파수이고, 이하의 관계가 성립된다.Here,? 1 and? 2 are the cut-off frequencies of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and the following relationship is established.

m0=ω1ㆍω2, m1=ω1+ω2 m 0 = ω 1 ω 2 , m 1 = ω 1 + ω 2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m0, m1을 제어하는 대신에, ω1, ω2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Therefore, in the third embodiment, instead of controlling m 0 and m 1 , ω 1 and ω 2 may be controlled.

또한, 적분 필터 전달 요소(11) 및 미분 필터 전달 요소(14)에 있어서의 특성 다항식 (s2+q1ㆍs+q0)은 이하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The characteristic polynomial (s 2 + q 1 s + q 0 ) in the integral filter transmission element 11 and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mission element 14 can be modified as follows.

s2+q1ㆍs+q0=(s+ωq1)ㆍ(s+ωq2)s 2 + q 1 and s + q 0 = (s + ω q1) and (s + ω q2)

여기서, ωq1, ωq2에 대하여, 이하의 관계가 성립된다.Here, the following relationships are established for? Q1 and? Q2 .

q0=ωq1ㆍωq2, q1=ωq1+ωq2 q 0 = ω q1 and q2 ω, q 1 = ω + ω q1 q2

또한, 조정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다음의 식과 같이 ωq1과 ωq2를 동등하게 해도 된다.Further, in order to simplify the adjustment,? Q1 and? Q2 may be equal to each other as in the following expression.

ωq=ωq1=ωq2 ? q =? q1 =? q2

여기서, ωq에 대하여, 이하의 관계가 성립된다.Here, the following relationship holds for? Q.

q0=ωq2, q1=2ㆍωq q 0 = q q 2 , q 1 = 2 q q

따라서, 제1 실시 형태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q0, q1을 제어하는 대신에 ωq1, ωq2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Therefore, in the first and third embodiments, q q1 and q q2 may be controlled instead of q 0 and q 1 .

또한, 상술한 제1, 제2 및 제3의 각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은 로버스트 극배치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P-PI 제어를 행하는 모터 시스템에도 본 발명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robust pole arrangement contro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to a motor system that performs P-PI control.

도 6은 PI 속도 제어를 행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시스템(1)에 있어서의 폐루프계(8D)를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losed loop system 8D 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performs PI speed control. In Fig. 6,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to those in Fig. 2,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폐루프계(8D)는 속도 루프 게인 Kvp를 인자에 포함하는 전달 함수를 구성하고, 모터(3)의 회전 속도 명령을 입력함과 함께, 모터(3)의 회전 위치를 피드백 제어하여 회전 속도를 출력한다. 폐루프계(8D)에 있어서의 제1 가합점(10)에는 모터(3)의 회전 속도 명령이 직접 입력되고, 적분 필터 전달 요소(11)에는 속도 루프 게인 Kvp가 비례 게인 전달 요소로서 포함되어 있다. 폐루프계(8D)에 있어서의 적분 필터 전달 요소(11)는 속도 적분 게인을 Kvi라 하면 Kvpㆍ(1+Kvi/s), 미분 필터 전달 요소(14)는 차단 주파수를 ωc라 하면 ωcㆍs/(s+ωc)로 표현된다. 동작 대상물(2)은 폐루프계(8D)에 의해 회전 제어되는 모터(3)에 의해 동작 대상 속도가 설정된다.The closed loop system 8D constitutes a transfer function including the velocity loop gain Kvp in the factor, inputs the rotational speed command of the motor 3, and feedback-controls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3 to calculate the rotational speed Output. The rotation speed command of the motor 3 is directly inputted to the first junction point 10 of the closed loop system 8D and the integral filter transmission element 11 includes the velocity loop gain Kvp as a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have. The integral filter transfer element 11 in the closed loop system 8D has Kvp (1 + Kvi / s) when the speed integration gain is Kvi and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mission element 14 has? Cs / (s + oc). The operation object speed is set by the motor 3 whose rotation is controlled by the closed loop system 8D.

이 폐루프계(8D)에 있어서도, 적응 동정 수단(21)으로 동정된 게인 K와, 입력된 파라미터 상수 Ri에 기초하여, 게인 K0의 게인 K에 대한 이너셔비 Gr(=K0/K)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이너셔비 Gr을 사용한, 이너셔비 Gr을 인자로 하는 소정의 함수값에 대한 파라미터 상수 Ri의 비로부터, 속도 루프 게인 Kvp를 산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식 (4)에 상당하는 연산식(Kvp=Ri/Gr)으로부터, 속도 루프 게인 Kvp를 산출한다. 또한, 산출한 속도 루프 게인 Kvp에 기초하여, 폐루프계(8D)에 있어서의 각 제어 파라미터를 테이블을 참조하여 순차 갱신한다. 이로 인해,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의해서도, 속도 루프 게인 Kvp가 간단하게 산출되고, CPU의 연산 처리 부하를 크게 하지 않고, 오토 튜닝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Also in this closed loop system (8D), inertia ratio Gr (= K 0 / K) of the gain K of the identified adaptive identification means 21, the gain K, based on the input parameters constant, Ri, gain K 0 . Then, the velocity loop gain Kvp is calculated from the ratio of the parameter constant Ri to a predetermined function value taking the inertia ratio Gr as a factor, using the calculated inertia ratio G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locity loop gain Kvp is calculated from the equation (Kvp = Ri / Gr) corresponding to the equation (4). Further, based on the calculated speed loop gain Kvp, each control parameter in the closed loop system 8D is sequentially updated with reference to the table.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alculate the speed loop gain Kvp also by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to suppress the vibration by auto-tuning without increasing the calculation processing load of the CPU, The same function and effect as those of the shape are exhibited.

도 7은 PI 위치 제어를 행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 시스템(1)에 있어서의 폐루프계(8E)를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도 6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losed loop system 8E 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erforming PI position control. In Fig. 7, the same or similar parts as in Fig. 6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폐루프계(8E)는 속도 루프 게인 Kvp 및 위치 루프 게인 Kpp를 인자에 포함하는 전달 함수를 구성하고, 회전 속도 명령 대신에 모터(3)의 회전 위치 명령을 입력함과 함께, 모터(3)의 회전 위치를 피드백 제어하여 회전 위치를 출력한다. 폐루프계(8E)는 도 6에 나타내는 폐루프계(8D)에 비해, 제2 가합점(18)과 제2 비례 게인 전달 요소(19)를, 전방향 경로에 있어서의 제1 가합점(10)의 전단에 갖는다. 제2 가합점(18)에는 회전 속도 명령 대신에 모터(3)의 회전 위치 명령이 입력됨과 함께, 모터(3)의 회전 위치가 모터 위치 전달 요소(13)로부터 제2 귀환 경로를 통해 직접 부귀환된다. 제2 비례 게인 전달 요소(19)에는 제2 가합점(18)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위치 명령과 회전 위치의 편차가 입력된다. 동작 대상물(2)은 폐루프계(8E)에 의해 회전 제어되는 모터(3)에 의해 동작 대상 위치가 설정된다.The closed loop system 8E constitutes a transfer function including the velocity loop gain Kvp and the position loop gain Kpp in the factor and inputs the rotational position command of the motor 3 instead of the rotational speed command, And outputs the rotation position. The closed loop system 8E is constructed so that the second joining point 18 and the second proportional gain transmitting element 19 are connected to the first joining point 18 in the forward path 10). The rotational position command of the motor 3 is inputted to the second joining point 18 instead of the rotational speed command and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3 is directly inputted from the motor position transmitting element 13 through the second return path, Return. In the second proportional gain transmitting element 19, the deviation of the rotational position command and the rotational position output from the second adding point 18 is input. The operation object position is set by the motor 3 whose rotation is controlled by the closed loop system 8E.

이 폐루프계(8E)에 있어서도, 적응 동정 수단(21)으로 동정된 게인 K와, 입력된 파라미터 상수 Ri에 기초하여, 게인 K0의 게인 K에 대한 이너셔비 Gr(=K0/K)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이너셔비 Gr을 사용한, 이너셔비 Gr을 인자로 하는 소정의 함수값에 대한 파라미터 상수 Ri의 비로부터, 속도 루프 게인 Kvp를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식 (4)에 상당하는 연산식(Kvp=Ri/Gr)으로부터, 속도 루프 게인 Kvp를 산출한다. 또한, 산출한 속도 루프 게인 Kvp에 기초하여, 폐루프계(8E)에 있어서의 각 제어 파라미터를 테이블을 참조하여 순차 갱신한다.Also in this closed loop system (8E), inertia ratio Gr (= K 0 / K) of the gain K of the identified adaptive identification means 21, the gain K, based on the input parameters constant, Ri, gain K 0 . Then, the velocity loop gain Kvp is calculated from the ratio of the parameter constant Ri to a predetermined function value taking the inertia ratio Gr as a factor, using the calculated inertia ratio Gr. Also in this embodiment, the velocity loop gain Kvp is calculated from the equation (Kvp = Ri / Gr) corresponding to the equation (4). Further, on the basis of the calculated speed loop gain Kvp, each control parameter in the closed loop system 8E is sequentially updated with reference to the table.

이때, 위치 루프 게인 Kpp 및 속도 적분 게인 Kvi의 값은 속도 루프 게인 Kvp와 일정한 관계를 갖는 값이 산출된다. 이것은 Kvp만 단독으로 값을 내리면, Kpp 및 Kvi의 밸런스가 나빠져, 제어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Kvp의 값을 내리면 Kpp 및 Kvi의 값을 내리고, Kvp의 값에 따라 Kpp 및 Kvi의 값을 조정한다. Kvp의 값에 대하여 Kpp 및 Kvi의 값을 얼마나 낮출지는, 1관성계에서 안정이 되는 Kvp와 Kpp 및 Kvi의 비율이 되도록 결정한다.At this time, the values of the position loop gain Kpp and the speed integral gain Kvi are calculated to have a constant relationship with the speed loop gain Kvp. This is because, if only the value of Kvp alone is lowered, the balance of Kpp and Kvi becomes worse, and the control may become unstable. Thus, when the value of Kvp is lowered, the values of Kpp and Kvi are lowered, and the values of Kpp and Kvi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value of Kvp. Determining how low the values of Kpp and Kvi for the values of Kvp are to be the ratio of Kvp, Kpp and Kvi, which are stable in one inertial system.

이와 같은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의해서도, 속도 루프 게인 Kvp 및 위치 루프 게인 Kpp가 간단하게 산출되고, CPU의 연산 처리 부하를 크게 하지 않고, 오토 튜닝으로 진동을 억제할 수 있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With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speed loop gain Kvp and the position loop gain Kpp can be simply calculated, and vibration can be suppressed by auto-tuning without increasing the computational processing load of the CPU ,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exhibited.

또한, 상술한 제1 내지 제5의 각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있어서는, 이너셔비 Gr을 인자로 하는 소정의 함수 f(Gr)가 이너셔비 Gr만을 인자로 하는 1차 함수(f(Gr)=Gr)로 설정되고, 속도 루프 게인 m1, Kvp와 이너셔비 Gr이 식 (4)로 표현되는 단순한 반비례 관계에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너셔비 Gr과 상수 Rid0을 인자로 하는 1차 함수(f(Gr)=Gr+Rid0)에 의해 소정의 함수 f(Gr)를 나타내고, 다음의 식 (7.1), (7.2)에 의해 속도 루프 게인 m1, Kvp를 규정해도 된다.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first to fifth embodiments, the predetermined function f (Gr) having the inertia ratio Gr as a factor is a linear function f (Gr) having only the inertia ratio Gr (Gr) = Gr), and the case where the velocity loop gains m 1 , Kvp and the inertia ratio Gr are in a simple inverse proportion relation expressed by the equation (4). However, a predetermined function f (Gr) is represented by a linear function (f (Gr) = Gr + Rid0) having the inertia ratio Gr and the constant Rid0 as a factor and the velocity loop gain m 1 , and Kvp may be specified.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식 (7.1), (7.2)에 의하면, 속도 루프 게인 m1, Kvp와 이너셔비 Gr의 반비례 관계를 상수의 값 Rid0만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설정 범위를 확장하면서, CPU의 연산 처리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quations (7.1) and (7.2), the inverse relationship of the velocity loop gains m 1 , Kvp and the inertia ratio Gr can be adjusted by the constant value Rid 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mputational processing load of the CPU while expanding the setting range of the velocity loop gains m 1 and Kvp.

또한, 이너셔비 Gr과 상수 Rid0을 인자로 하는 2차 함수(f(Gr)=Gr2+Rid1ㆍGr+Rid0)에 의해 소정의 함수 f(Gr)를 나타내고, 다음의 식 (8.1), (8.2)에 의해 속도 루프 게인 m1, Kvp를 규정해도 된다.Further, the second function (f (Gr) = Gr 2 + Rid1 and Gr + Rid0) represents f (Gr), a predetermined function by the following equation (8.1), (8.2) the inertia ratio Gr and the constant Rid0 as a factor The speed loop gains m 1 and Kvp may be defined.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분모를 2차의 분수 함수로 하는 식 (8.1), (8.2)에 의하면,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은 단순한 반비례 관계와 다른, 이너셔비 Gr의 증가에 대하여 단조롭게 감소하는 원하는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 분모가 1차 함수의 반비례 관계보다도, 분모를 2차의 분수 함수로 하는 쪽이, 명령 응답 특성과 진동 억제 특성의 양립을 더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Eqs. (8.1) and (8.2), where the denominator is a second-order fraction function, the values of the velocity loop gains m 1 and Kvp are set to a desired relationship that monotonically decreases with increasing in- . The command response characteristic and the vibration suppression characteristic can be more compatible if the denominator is a second order fraction function rather than an inverse proportion relation of the first order function.

속도 루프 게인 m1, Kvp를 규정하는 각 식 (4), (7.1), (7.2), (8.1), (8.2)에 의해 표현되는 구체적인 특성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속도 루프 게인 m1, Kvp와 이너셔비 Gr의 관계를 실험에 의해 측정한 점을 지나는 특성이 되도록 결정했다. 분모의 함수의 차수가 높을수록, 함수값을 측정점에 피팅시키는 정밀도를 높일 수 있지만, CPU의 연산 처리 부하는 커진다.Each equation defining a speed loop gain, m 1, Kvp (4), (7.1), (7.2), (8.1),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that are represented by (8.2) is, in this embodiment, the velocity loop gain m 1, Kvp And the inertia ratio Gr were determined to be characteristics passing through the points measured by the experiment.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function of the denominator is, the higher the precision of fitting the function value to the measuring point can be increased, but the load of the CPU is increased.

또한, 상술한 제1 내지 제5의 각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있어서는, 유저가 임의의 파라미터 상수 Ri를 모터 제어 장치(4)에 완전히 자유롭게 입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파라미터 상수 Ri를, 모터(3)와 동작 대상물(2) 사이의 동력 전달 기구(6)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값으로 하여, 모터 제어 장치(4)에 기억해 두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모터 제어 장치(4)에 미리 기억된 복수의 파라미터 상수 Ri 중에서 동력 전달 기구(6)의 종류에 따른 파라미터 상수 Ri의 값을 간단히 선택함으로써, 파라미터 설정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저의 편리성을 높인 모터 시스템(1)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first to fifth embodiments, the case where the user completely freely inputs an arbitrary parameter constant Ri to the motor control device 4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arameter constant Ri may be stored in the motor control unit 4 as a plurality of valu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6 between the motor 3 and the operation object 2.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set the parameter by simply selecting the value of the parameter constant Ri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6 among the plurality of parameter constants Ri stored in advance in the motor control device 4. [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motor system 1 in which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enhanced.

또한, 상술한 제1 내지 제5의 각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있어서는, 속도 루프 게인 m1, Kvp로부터 각 제어 파라미터로의 변환을 테이블을 사용하여 행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연산식을 사용한 연산에 의해, 속도 루프 게인 m1, Kvp로부터 각 제어 파라미터로의 변환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each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case where the conversion from the velocity loop gains m 1 and Kvp to the respective control parameters is performed using a table has been described. However, instead of using the table, the conversion from the velocity loop gains m 1 and Kvp to the respective control parameters may be performed by an operation using an operation expression.

또한, 상술한 제1 내지 제5의 각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있어서, 이너셔비 Gr의 상한값에 제한을 설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first to fifth embodiments, the upper limit of the inertia ratio Gr may be set to a limit.

이너셔비 Gr의 증가에 따라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이 지나치게 작아져, 이너셔비 Gr의 값에 대응한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을 설정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이너셔비 Gr의 값에 대응한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이, 테이블에 설정된 최소 레벨의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보다 작은 경우,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을 낮출 수 없다.When the values of the velocity loop gains m 1 and Kvp become too small due to the increase of the inertia ratio Gr and the values of the velocity loop gains m 1 and Kvp corresponding to the values of the inertia ratio Gr can not be set, If the speed loop gain of 1 m, the value of Kvp corresponding to the value smaller than the value of the minimum level of speed loop gain 1 m, Kvp that is set in the table, speed loop gain is 1 m, it can not lower the value of Kvp.

이와 같은 경우, 테이블에서 설정 가능한 속도 루프 게인 m1의 최솟값 m1min, Kvp의 최솟값 Kvpmin으로부터 관계식(m1=Ri/f(Gr), Kvp=Ri/f(Gr))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이너셔비 Gr을, 이너셔비 Gr의 상한값으로 하여, 모터 제어 장치(4)에 설정해 둔다. 이와 같이 이너셔비 Gr의 상한값에 제한을 걸어 둠으로써, 이너셔비 Gr의 값에 대응한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의 하한에 제한이 걸린다. 이로 인해, 관계식(m1=Ri/f(Gr), Kvp=Ri/f(Gr))이 항상 성립되고, 속도 루프 게인 m1, Kvp의 값을 설정할 수 없게 되는 일은 없어진다.In such a case, it is calculated based on the relational expression (m 1 = Ri / f (Gr), Kvp = Ri / f (Gr)) from the minimum value m 1min of the velocity loop gain m 1 settable in the table and the minimum value Kvp min of Kvp The inertia ratio Gr is set to the motor control unit 4 a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inertia ratio Gr. By limiting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inertia ratio Gr in this manner, the lower limit of the values of the velocity loop gains m 1 and Kvp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inertia ratio Gr is limited. Therefore, the relation (m 1 = Ri / f ( Gr), Kvp = Ri / f (Gr)) is always satisfied, the speed loop gain of 1 m, which do not disappear can set the value of Kvp.

예를 들어, 속도 루프 게인 m1의 값이 식 (4)에 의해 산출되고, 도 3의 (a)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도 루프 게인 m1과 이너셔비 Gr의 관계가 단순한 반비례 관계(m1=Ri/Gr)로 표현되는 경우, 테이블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속도 루프 게인 m1의 최솟값을 m1min이라 하면, 이너셔비 Gr의 상한값 grcamax는 식 (4)에 기초하여, 다음의 식 (9)로 표현된다.For example, if the value of the velocity loop gain m 1 is calculated by the equation (4)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locity loop gain m 1 and the inertia ratio Gr is in a simple inverse proportion relationship ( the upper limit value grcamax of the inertia ratio Gr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9) based on the equation (4): m 1 = Ri / Gr where the minimum value of the velocity loop gain m 1 that can be set in the table is m 1 min , ).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도 3의 (b)는 이너셔비 Gr에 상한값 grcamax가 설정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이너셔비 Gr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의 횡축은 시간, 종축은 이너셔비 Gr이다. 이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t에 있어서, 이너셔비 Gr에 상한값 grcamax가 설정되면, 시간 t 이후는,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점증하는 이너셔비 Gr의 추정값이 grcamax[%]로 제한된다. 따라서, 이너셔비 Gr의 설정을 식 (9)로 결정되는 상한값 grcamax로 제한해 둠으로써, 이너셔비 Gr의 값에 대응한 속도 루프 게인 m1의 값의 하한에 제한이 가해지고, 관계식(m1=Ri/f(Gr))이 항상 성립되고, 속도 루프 게인 m1의 값을 설정할 수 없게 되는 일은 없어진다.FIG. 3 (b) is a graph showing the time variation of the inertia ratio Gr when the upper limit value grcamax is set to the inertia ratio Gr. The horizontal axis of this graph is time, and the vertical axis is the inertia ratio Gr. As shown in this graph, when the upper limit value grcamax is set to the inertia ratio Gr at time t, the estimated value of the increasing inertia ratio Gr is limited to grcamax [%] as shown by the chain line after time t. Therefore, by giving it limited to a upper limit value grcamax is determined the setting of the inertia ratio Gr by the formula (9), is limited is applied to the lower limit of the speed loop gain values of m 1 corresponds to the value of inertia ratio Gr, the relation (m 1 = Ri / f (Gr)) is always established and the value of the velocity loop gain m 1 can not be set.

또한, 도 3의 (a)에 나타내는, 속도 루프 게인 m1과 이너셔비 Gr의 관계에 있어서, 이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도 루프 게인 m1의 값에 상한값 m1max를 설정하고, 속도 루프 게인 m1의 값을 유저가 희망하는 상한값 m1max로 포화시키도록 하면, 명령 응답성을 가능한 한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터 시스템(1)에 의하면, CPU의 연산 처리 부하를 크게 하지 않고, 오토 튜닝으로 진동을 억제하여, 명령 응답성을 유저가 희망하는 특성에 가깝게 할 수 있다.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locity loop gain m 1 and the inertia ratio Gr shown in FIG. 3 (a), as shown in the graph, the upper limit value m 1max is set to the value of the velocity loop gain m 1 , If so as to saturate the value of m 1 m in the upper limit 1max to the user desired, it can be as high as possible for the command response. According to such a motor system 1, vibration can be suppressed by auto-tuning without increasing the computational processing load of the CPU, and the command responsiveness can be made closer to the characteristic desired by the user.

도 8은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있어서, 이너셔비 Gr의 상한값에 제한을 설정하는 구성을 추가한 변형예에 의한 폐루프계(8C')의 블록선도이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도 5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8 is a block diagram of a closed loop system 8C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in which a configuration for setting a limit to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inertia ratio Gr is added to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FIG. 8,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s those in FIG. 5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폐루프계(8C')는 CPU에 의해 구성되는 Gr 상한값 산출 수단(22) 및 리미터(23)를, 폐루프계(8C)에 추가하여 갖는다. 이 폐루프계(8C')에서는, 도 5에서 1/K(=Gr/K0)로 표현되어 있던 모터 게인 전달 요소(12)가, 1/K0으로 표현되는 전달 요소(12a)와, Gr로 표현되는 전달 요소(12b)의 2개의 전달 요소로 분할되어 표현되어 있다. Gr 상한값 산출 수단(22)에는 제3 테이블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속도 루프 게인 m1의 최솟값 m1min 및 파라미터 상수 Ri가 부여되어 있다. Gr 상한값 산출 수단(22)은 최솟값 m1min 및 파라미터 상수 Ri로부터, 이너셔비 Gr의 상한값 grcamax를 식 (9)에 의해 산출하고, 기억한다. 식 (4)에 의해 산출되는 속도 루프 게인 m1의 값이 제3 테이블에 있어서 하한 포화되면, 리미터(23)는 전달 요소(12b)에 있어서의 Gr의 값을, Gr 상한값 산출 수단(22)에 의해 산출된 상한값 grcamax로 제한한다. 이에 의해, 1/K 설정값이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바꾸어 말하면, K 설정값이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도록 제한된다. 따라서, 관계식(m1=Ri/Gr)이 항상 성립되고, 속도 루프 게인 m1의 값을 설정할 수 없게 되는 일은 없어진다.The closed loop system 8C 'further includes a Gr upper limit value calculating means 22 and a limiter 23 constituted by a CPU in addition to the closed loop system 8C. In the closed loop system 8C ', the motor gain transmission element 12 expressed by 1 / K (= Gr / K 0 ) in FIG. 5 is composed of a transmission element 12a represented by 1 / K 0 , And is represented by two transfer elements of the transfer element 12b represented by Gr. The Gr upper limit value calculating means 22 is given a minimum value m 1min and a parameter constant Ri of the speed loop gain m 1 that can be set in the third table. Gr upper limit value calculating means 22 is calculated by the upper limit grcamax of inertia ratio Gr from Min m 1min and parameters constant Ri in formula (9) and stores. When the value of the velocity loop gain m 1 calculated by the equation (4) is saturated at the lower limit in the third table, the limiter 23 sets the value of Gr in the transmitting element 12b to the Gr upper limit value calculating means 22, Lt; RTI ID = 0.0 &gt; grcamax &lt; / RTI &gt; Thus, the 1 / K setting value is limited not to be excessively high, in other words, the K setting value is not excessively low. Therefore, the relational expression (m 1 = Ri / Gr) is always established and the value of the velocity loop gain m 1 can not be set.

또한, 상술한 제1 내지 제5의 각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있어서는, 폐루프계(8A, 8B, 8C, 8C', 8D, 8E)의 전달 함수가 다관성계의 특성을 규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폐루프계의 전달 함수가 1관성계의 특성을 규정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폐루프계의 명령 응답 특성은 저하되지만, 유저가 제어 대상 장치의 강성이 높은 1관성계인지, 제어 강성이 낮은 다관성계인지를 의식하지 않고, 제어에 의한 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each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and the modified example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function of the closed loop systems 8A, 8B, 8C, 8C ', 8D, Is described. However, even when the transfer function of the closed loop system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a single inertial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although the command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closed loop system is lowe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scillation due to the control without the user being aware of whether the control target apparatus is a highly rigid single inertia system or a low control rigidity multi- have.

또한, 상술한 제1 내지 제5의 각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에 의한 모터 시스템(1)에 있어서는, 적응 동정 수단(21)이, 동작 대상물(2) 및 모터(3)의 이너셔를 검출하는 이너셔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모터 제어 장치(4)는 적응 동정 수단(21)에 더하여, 동작 대상물(2) 및 모터(3)의 이너셔를 검출하는 이너셔 검출 수단을 별도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In the motor system 1 according to each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and the modification described above, the adaptive identification means 21 detects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2 and the motor 3 A case in which the inertia detecting means is constituted. However, the motor control device 4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in addition to the adaptive identification means 21, inerti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2 and the motor 3.

1 : 모터 시스템
2 : 동작 대상물
3 : 모터
4 : 모터 제어 장치
6 : 동력 전달 기구
8A, 8B, 8C, 8C', 8D, 8E : 폐루프계
9 : 제1 비례 게인 전달 요소
10 : 제1 가합점
11 : 적분 필터 전달 요소
12 : 모터 게인 전달 요소
13 : 모터 위치 전달 요소
14 : 미분 필터 전달 요소
15 : 제1 게인 변환 수단
16 : 제2 게인 변환 수단
17 : 제3 게인 변환 수단
18 : 제2 가합점
19 : 제2 비례 게인 전달 요소
21 : 적응 동정 수단
1: Motor system
2: Operation object
3: Motor
4: Motor control device
6: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8A, 8B, 8C, 8C ', 8D, 8E: closed loop system
9: First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10: First pick-up point
11: integral filter transfer element
12: Motor gain transmission element
13: Motor position transfer element
14: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15: first gain conversion means
16: second gain conversion means
17: Third gain conversion means
18: second combination point
19: Second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21: Adaptation identification means

Claims (11)

동작 대상물을 동작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피드백 제어하는 모터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명령을 입력함과 함께 상기 모터의 회전 위치를 피드백 제어하여 회전 속도를 출력하는, 속도 루프 게인을 인자에 포함하는 전달 함수를 구성하는 폐루프계와,
상기 동작 대상물 및 상기 모터의 이너셔를 검출하는 이너셔 검출 수단과,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증폭기의 고정 게인과 상기 모터의 토크 상수를 포함하는 고정값을 상기 동작 대상물 및 상기 모터의 이너셔로 나눈 값인 게인 K를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의 입력과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동정(同定)하는 적응 동정 수단과,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증폭기의 고정 게인과 상기 모터의 토크 상수를 포함하는 고정값을 상기 모터의 이너셔로 나눈 값인 게인 K0의 상기 게인 K에 대한 이너셔비 Gr을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이너셔비 Gr을 사용한, 상기 이너셔비 Gr을 인자로 하는 소정의 함수값에 대한 임의의 파라미터 상수 Ri의 비로부터 상기 속도 루프 게인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에서 산출된 상기 속도 루프 게인에 의해 상기 전달 함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A motor system comprising a motor for operating an operating object and a motor control device for feedback-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A closed loop system constituting a transfer function including a speed loop gain as a factor for inputting a rotational speed command of the motor and feedback control of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to output a rotational speed;
Inertia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A gain K, which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a fixed value including a fixed gain of an amplifier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motor and a torque constant of the motor by an inertia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An adaptive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based on an output from the adaptive identification means,
Calculating an inertia ratio Gr with respect to the gain K of a gain K 0, which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a fixed value including a fixed gain of an amplifi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a torque constant of the motor by an inertia of the motor, And a calculation means for calculating the velocity loop gain from a ratio of an arbitrary parameter constant Ri to a predetermined function value using the inertia ratio Gr as a factor,
And the transfer function is corrected by the velocity loop gain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means
&Lt; / RTI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계는, 상기 속도 루프 게인 및 위치 루프 게인을 인자에 포함하는 전달 함수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 속도 명령 대신에 상기 모터의 회전 위치 명령을 입력함과 함께 상기 모터의 회전 위치를 피드백 제어하여 회전 위치를 출력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속도 루프 게인과 일정한 관계를 갖는 값을 상기 위치 루프 게인의 값으로서 산출하고,
상기 산출 수단에서 산출된 상기 속도 루프 게인 및 상기 위치 루프 게인에 의해 상기 전달 함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2.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osed loop system comprises a transfer function including the speed loop gain and the position loop gain as factors, inputs a rotation position command of the motor instead of the rotation speed command, And outputs the rotation position,
Wherein the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a value having a constant relationship with the velocity loop gain as a value of the position loop gain,
And the transfer function is corrected by the velocity loop gain and the position loop gain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means
&Lt; / RTI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계는, 제1 비례 게인 전달 요소,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명령이 입력되는 제1 가합점, 적분 필터 전달 요소, 모터 게인 전달 요소 및 모터 위치 전달 요소를 갖는 전방향 경로,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 위치를 미분 필터 전달 요소를 통해 상기 제1 가합점으로 부귀환하는 제1 귀환 경로를 갖고,
상기 동작 대상물 및 상기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희망 특성을 갖는 희망 전달 함수는, 상기 속도 루프 게인을 m1, 라플라스 연산자를 s라 하면, 연산식 m1/(s+m1)로 규정되고,
상기 적응 동정 수단에 의해 상기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의 입력과 상기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동정되는, 상기 동작 대상물 및 상기 모터의 점성에 관계되는 항을 상기 동작 대상물 및 상기 모터의 이너셔로 나눈 값인 게인을 p, 외란 응답 특성에 관한 제어 파라미터를 q0 및 q1, 상기 폐루프계의 특성을 상기 희망 전달 함수에 일치시키는 파라미터를 a1=q1+m1-p, b1=q0ㆍm1, b2=(q1-p)ㆍ(m1-p)+q0으로 했을 때에,
상기 제1 비례 게인 전달 요소는 m1,
상기 적분 필터 전달 요소는 (s2+q1ㆍs+q0)/(s2+a1ㆍs),
상기 모터 게인 전달 요소는 1/K,
상기 모터 위치 전달 요소는 K/(s2+pㆍs),
상기 미분 필터 전달 요소는 (b2ㆍs2+b1ㆍs)/(s2+q1ㆍs+q0)
으로 나타내고,
상기 모터 제어 장치에는 m1과 q0, q1의 관계를 대응시킨 테이블이 기억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산출한 상기 속도 루프 게인 m1로부터 q0, q1로의 변환을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closed loop system includes a first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a first addition point to which a rotational speed command of the motor is input, an integral filter transmission element, a motor gain transmission element, And a first return path for return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to the first junction point via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A desired transfer function having a desired characteristic for controlling the velocity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is defined by an arithmetic expression m 1 / (s + m 1 ) when the velocity loop gain is m 1 and the Laplace operator is s,
Wherein said operation identifying means identifies an operating object and an item related to the viscosity of said motor which are identified based on an input to said motor position transmitting element and an output from said motor position transmitting element by said adaptation identifying means, syeoro the parameters to match the control parameter q 0 and q 1, characteristic of the closed loop based on the gain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p, the disturbance response of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a 1 = q 1 + m 1 -p, b 1 when the q = 0 and m 1, b 2 = + q 0 (q 1 -p) and (m 1 -p),
Wherein the first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is m 1 ,
(S 2 + q 1 s + q 0 ) / (s 2 + a 1 s),
Wherein the motor gain transmission element is a 1 / K,
Wherein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is K / (s &lt; 2 &gt; + p &lt;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has (b 2 s 2 + b 1 s) / (s 2 + q 1 s + q 0 )
Respectively,
In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 table in which the relationship of m 1 , q 0 , and q 1 is associated is stored,
The calculation means performs conversion from the calculated velocity loop gain m 1 to q 0 and q 1 with reference to the table
&Lt; / RTI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계는, 제1 비례 게인 전달 요소,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 명령이 입력되는 제1 가합점, 적분 필터 전달 요소, 모터 게인 전달 요소 및 모터 위치 전달 요소를 갖는 전방향 경로,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 위치를 미분 필터 전달 요소를 통해 상기 제1 가합점으로 부귀환하는 제1 귀환 경로를 갖고,
상기 동작 대상물 및 상기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희망 특성을 갖는 희망 전달 함수는, 상기 속도 루프 게인을 m1, 라플라스 연산자를 s라 하면, 연산식 m1/(s+m1)로 규정되고,
상기 적응 동정 수단에 의해 상기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의 입력과 상기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동정되는, 상기 동작 대상물 및 상기 모터의 점성에 관계되는 항을 상기 동작 대상물 및 상기 모터의 이너셔로 나눈 값인 게인을 p, 외란 응답 특성에 관한 제어 파라미터를 ωq, 상기 폐루프계의 특성을 상기 희망 전달 함수에 일치시키는 파라미터를 b1=ωqㆍm1, b2=m1-p+ωq로 했을 때에,
상기 제1 비례 게인 전달 요소는 m1,
상기 적분 필터 전달 요소는 (s+ωq)/s,
상기 모터 게인 전달 요소는 1/K,
상기 모터 위치 전달 요소는 K/(s2+pㆍs),
상기 미분 필터 전달 요소는 (b2ㆍs2+b1ㆍs)/(s+ωq)
로 나타내고,
상기 모터 제어 장치에는 m1과 ωq의 관계를 대응시킨 테이블이 기억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산출한 상기 속도 루프 게인 m1로부터 ωq로의 변환을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closed loop system includes a first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a first addition point to which a rotational speed command of the motor is input, an integral filter transmission element, a motor gain transmission element, And a first return path for return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to the first junction point via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A desired transfer function having a desired characteristic for controlling the velocity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is defined by an arithmetic expression m 1 / (s + m 1 ) when the velocity loop gain is m 1 and the Laplace operator is s,
Wherein said operation identifying means identifies an operating object and an item related to the viscosity of said motor which are identified based on an input to said motor position transmitting element and an output from said motor position transmitting element by said adaptation identifying means, B 1 = ω q揃 m 1 , b 2 = m 1 - 了 is a parameter for making the control parameter related to the disturbance response characteristic be ω q ,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osed loop system matching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p + omega q ,
Wherein the first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is m 1 ,
Wherein the integral filter transfer element comprises (s + [omega] q ) / s,
Wherein the motor gain transmission element is a 1 / K,
Wherein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is K / (s &lt; 2 &gt; + p &lt;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has (b 2 s 2 + b 1 s) / (s + ω q )
Lt; / RTI &gt;
The motor control device stores a table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m 1 and? Q is associated,
And the calculation means performs the conversion from the calculated velocity loop gain m 1 to? Q with reference to the table
&Lt; / RTI &g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계는, 상기 회전 속도 명령 대신에 상기 모터의 회전 위치 명령이 입력되는 제2 가합점, 제2 비례 게인 전달 요소, 제1 가합점, 적분 필터 전달 요소, 모터 게인 전달 요소 및 모터 위치 전달 요소를 갖는 전방향 경로, 상기 모터의 회전 위치를 미분 필터 전달 요소를 통해 상기 제1 가합점으로 부귀환하는 제1 귀환 경로,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 위치를 상기 제2 가합점으로 직접 부귀환하는 제2 귀환 경로를 갖고,
상기 동작 대상물 및 상기 모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희망 특성을 갖는 희망 전달 함수는, 상기 속도 루프 게인을 m1, 상기 위치 루프 게인을 m0/m1, 라플라스 연산자를 s라 하면, 연산식 m0/(s2+m1ㆍs+m0)으로 규정되고,
상기 적응 동정 수단에 의해 상기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의 입력과 상기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동정되는, 상기 동작 대상물 및 상기 모터의 점성에 관계되는 항을 상기 동작 대상물 및 상기 모터의 이너셔로 나눈 값인 게인을 p, 외란 응답 특성에 관한 제어 파라미터를 q0 및 q1, 상기 폐루프계의 특성을 상기 희망 전달 함수에 일치시키는 파라미터를 a1=q1+m1-p, b1=q0ㆍm1, b2=(q1-p)ㆍ(m1-p)+q0으로 했을 때에,
상기 제2 비례 게인 전달 요소는 m0,
상기 적분 필터 전달 요소는 (s2+q1ㆍs+q0)/(s2+a1ㆍs),
상기 모터 게인 전달 요소는 1/K,
상기 모터 위치 전달 요소는 K/(s2+pㆍs),
상기 미분 필터 전달 요소는 (b2ㆍs2+b1ㆍs)/(s2+q1ㆍs+q0)
으로 나타내고,
상기 모터 제어 장치에는 m1과 m0, q0, q1의 관계를 대응시킨 테이블이 기억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산출한 상기 속도 루프 게인 m1로부터 m0, q0, q1로의 변환을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
3. The mo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losed loop system includes a second additive point, a second proportional gain transfer element, a first additive point, an integral filter transfer element, a motor A forward path having a gain transmission element and a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a first feedback path for return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motor to the first junction point via a differential filter transmission element, And a second feedback path for direct feedback to the junction point,
Desired transfer function having the desired characteristics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object and the motor, when the speed loop gain, m 1, the position loop gain m 0 / m 1, called the Laplace operator s, equation m 0 / (s 2 + m 1 s + m 0 )
Wherein said operation identifying means identifies an operating object and an item related to the viscosity of said motor which are identified based on an input to said motor position transmitting element and an output from said motor position transmitting element by said adaptation identifying means, syeoro the parameters to match the control parameter q 0 and q 1, characteristic of the closed loop based on the gain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p, the disturbance response of the desired transfer function a 1 = q 1 + m 1 -p, b 1 when the q = 0 and m 1, b 2 = + q 0 (q 1 -p) and (m 1 -p),
Wherein the second proportional gain transmission element is m 0 ,
(S 2 + q 1 s + q 0 ) / (s 2 + a 1 s),
Wherein the motor gain transmission element is a 1 / K,
Wherein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is K / (s &lt; 2 &gt; + p &lt;
The differential filter transfer element has (b 2 s 2 + b 1 s) / (s 2 + q 1 s + q 0 )
Respectively,
The motor control device stores a table in which the relationship of m 1 and m 0 , q 0 , and q 1 is associated,
And the calculation means performs conversion from the calculated velocity loop gain m 1 to m 0 , q 0 , q 1 with reference to the table
&Lt; / RTI &gt;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셔비 Gr을 인자로 하는 상기 소정의, 상기 속도 루프 게인을 산출하는 함수는, 상기 이너셔비 Gr만을 인자로 하는 1차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function for calculating the velocity loop gain with the inertia ratio Gr as a factor is a linear function having only the inertia ratio Gr as a factor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셔비 Gr을 인자로 하는 상기 소정의, 상기 속도 루프 게인을 산출하는 함수는, 상기 이너셔비 Gr과 상수를 인자로 하는 1차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function for calculating the predetermined velocity loop gain with the inertia ratio Gr as a factor is a function of a linear function that takes the inertia ratio Gr and a constant as a factor &Lt; / RTI &gt;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셔비 Gr을 인자로 하는 상기 소정의, 상기 속도 루프 게인을 산출하는 함수는, 상기 이너셔비 Gr과 상수를 인자로 하는 2차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function for calculating the predetermined velocity loop gain with the inertia ratio Gr as a factor is a function of a quadratic function having the inertia ratio Gr and a constant as a factor &Lt; / RTI &gt;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상수 Ri는, 상기 모터와 상기 동작 대상물 사이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기구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값으로서 상기 모터 제어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The mo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parameter constant Ri is a value stored in the motor control device as a plurality of valu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between the motor and the operating object A motor system characterized by.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셔비 Gr의 상한값에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The motor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 limit is set in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inertia ratio G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동정 수단은, 상기 이너셔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의 입력과 상기 모터 위치 전달 요소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대상물 및 상기 모터의 이너셔를 동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스템.The mo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adaptation identification means constitutes the inertia detection means, and based on the input to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and the output from the motor position transmission element, And the inertia of the motor and the object to be operated are identified.
KR1020170090126A 2016-07-20 2017-07-17 Motor system KR10245368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42170A JP6751615B2 (en) 2016-07-20 2016-07-20 Motor system
JPJP-P-2016-142170 2016-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145A true KR20180010145A (en) 2018-01-30
KR102453684B1 KR102453684B1 (en) 2022-10-12

Family

ID=6102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126A KR102453684B1 (en) 2016-07-20 2017-07-17 Motor syste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51615B2 (en)
KR (1) KR102453684B1 (en)
CN (1) CN107645267B (en)
TW (1) TWI740954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7284B (en) * 2018-08-15 2021-01-15 江门市蒙德电气股份有限公司 Motor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filtering error
TWI681274B (en) * 2018-11-14 2020-01-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Method for adjusting frequency response parameter of machine tool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10989357B (en) * 2019-12-18 2021-05-04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Iden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omplex electromechanical system
CN110968118B (en) * 2019-12-18 2021-01-05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Control method for six-degree-of-freedom adjusting rotary table
CN111745646B (en) * 2020-06-10 2021-12-24 杭州凯尔达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Robot servo motor gain parameter control method and system
CN111969899B (en) * 2020-08-14 2022-03-18 南京航空航天大学 Low-speed operation control method of permanent magnet direct-drive servo motor
TWI741754B (en) * 2020-08-25 2021-10-01 東元電機股份有限公司 Servomotor stiffness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22224370A1 (en) * 2021-04-21 2022-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Motor control device, motor control system, and motor control method
CN115425892B (en) * 2022-11-08 2023-03-24 季华实验室 Method for identifying rotational inertia of motor and device adopting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911B2 (en) 1977-06-08 1981-01-16
JPH08194542A (en) * 1995-01-17 1996-07-30 Yaskawa Electric Corp Automatic overshootless tuning method
KR20020011430A (en) * 1999-06-04 2002-02-08 하시모토 신이치 Position controller for motor
JP5873975B2 (en) 2010-05-28 2016-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Electric motor control device
JP2016035676A (en) 2014-08-04 2016-03-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Mo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193A (en) * 1991-07-03 1993-01-22 Toshiba Corp Gain regulating method for inverter unit
JP3981773B2 (en) * 1997-05-28 2007-09-26 株式会社安川電機 Robot controller
JP3391378B2 (en) * 1999-12-02 2003-03-31 株式会社安川電機 Motor control device
JP3757101B2 (en) * 2000-06-09 2006-03-22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Online auto tuning servo controller
JP3561911B2 (en) 2000-07-11 2004-09-08 株式会社安川電機 Motor control device
JP4192780B2 (en) * 2003-12-26 2008-12-10 株式会社安川電機 Robot control device
WO2005093939A1 (en) * 2004-03-26 2005-10-06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Motor controller
EP1938499A4 (en) * 2005-09-19 2011-06-29 Univ State Cleveland Controllers, observers,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0845110B1 (en) * 2006-12-29 2008-07-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stimating method of inertia moment for sensorless inverter
CN101584111B (en) * 2007-01-17 2012-11-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Servo mo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8232758B2 (en) * 2009-08-28 2012-07-31 Fanuc Ltd Controller of electric motor having function of estimating inertia and friction simultaneously
CN101895252B (en) * 2010-07-09 2012-06-06 上海新时达电气股份有限公司 Automatic regulating apparatus for controller parameters of servo driver of motor and method thereof
CN101989827B (en) * 2010-11-18 2012-12-05 东南大学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speed loop control parameters of alternating-current servo system based on inertia identification
JP5528421B2 (en) * 2011-12-08 2014-06-25 山洋電気株式会社 Motor control device
CN104993764B (en) * 2015-07-07 2017-11-17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Based on a kind of control method of the electric machine controller of parameter self-tuning
CN204967593U (en) * 2015-09-24 2016-01-13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Adaptive control micro mo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911B2 (en) 1977-06-08 1981-01-16
JPH08194542A (en) * 1995-01-17 1996-07-30 Yaskawa Electric Corp Automatic overshootless tuning method
KR20020011430A (en) * 1999-06-04 2002-02-08 하시모토 신이치 Position controller for motor
JP5873975B2 (en) 2010-05-28 2016-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Electric motor control device
JP2016035676A (en) 2014-08-04 2016-03-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Mo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40954B (en) 2021-10-01
KR102453684B1 (en) 2022-10-12
CN107645267A (en) 2018-01-30
JP6751615B2 (en) 2020-09-09
JP2018014806A (en) 2018-01-25
CN107645267B (en) 2020-05-26
TW201804270A (en)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0145A (en) Motor system
KR102470721B1 (en) Motor system
KR101460463B1 (en) Motor controlling device
US7030581B1 (en) Motor controller
US10310489B2 (en) Servo controller
US20090251092A1 (en) Position controller
JPH0630578A (en) Position controller of electric motor
US20150219510A1 (en) Dynamometer system control device
JP6281751B2 (en) Position control system
JP66715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electric motor
JP6453576B2 (en) Motor system
JP2009303432A (en) Position controller using motor
CN107196581B (en) Control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fine tuning servo motor
KR1013768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gain of sensor, and sensor apparatus
CN109412495B (en) Parameter self-adjusting method,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08310651A (en) Two-degree-of-freedom contro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JP2019008707A (en) Servo controller, servo control method and system
JP2010142020A (en) Servo control device and method
JP2007306779A (en) Motor controller
JP2011147201A (en) Electric motor control apparatus
JP4752298B2 (en) Mo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223960A (en) Controller of motor
JP3975537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4687418B2 (en) Motor control device
JP4420158B2 (en) Motor speed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