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677A -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677A
KR20180009677A KR1020160092033A KR20160092033A KR20180009677A KR 20180009677 A KR20180009677 A KR 20180009677A KR 1020160092033 A KR1020160092033 A KR 1020160092033A KR 20160092033 A KR20160092033 A KR 20160092033A KR 20180009677 A KR20180009677 A KR 20180009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concrete
precast concrete
spacers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성국
Original Assignee
천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성국 filed Critical 천성국
Priority to KR102016009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9677A/ko
Publication of KR20180009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18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cast between filling members
    • E04B5/19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cast between filling members the filling members acting as self-supporting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103/00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 E04B2103/02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of ceramics,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이서가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평한 사전 제작 콘크리트 판의 상면에 리브가 부착되고 용접철망과 강선의 위치를 설계대로 유지시키는 기능의 스페이서가 없는 사전 제작 콘크리트 판과 덧침 콘크리트를 일체화시키고 사전 제작 콘크리트 판 상호간의 측면연결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개선된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얇은 판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용접철망과 하중과 스팬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강선이 배치된 평판부에 용접철망과 강선 사이에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은 있으되 스페이서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 { Spacerless Half Precast Concrete Slab }
본 발명은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평한 스페이서 없는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의 평판부에 용접철망과 강선을 설계대로 고정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페이서가 없는 사전 제작 콘크리트 판과 덧침 콘크리트를 일체화시킨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Half Precast Concrete Slab)은 완전 사전 제작 콘크리트 공법의 장점과 현장타설 공법의 장점을 절충·보완한 효과적인 공법으로 공기단축, 시공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된 합성바닥판의 일종이다.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은 얇은 사전 제작 콘크리트 판을 지지부재(보, 벽 등)에 걸쳐 놓고 그 위에서 상부철근을 배근한 후 나머지 단면인 덧침 콘크리트(Topping concrete)를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채우는 방식으로 거푸집과 동바리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구조 성능과 시공 성능을 향상시킨 공법이다.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으로는 트러스근 보강형, 속빈형 및 더블티형 등이 알려져 있다. 트러스근 보강형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은 트러스 보강근의 하현재를 두께 40~80mm 정도의 얇은 사전 제작 콘크리트 판에 매입하여 굳힌 후 트러스근(옴니어근 또는 카이저 트러스근)의 상현재와 웨브재의 일부를 노출시킨 하프 슬래브로서 현장에서 이 위에 철근 배근 후 현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을 일체화시킨다.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굳을 때까지 트러스근이 사전 제작 콘크리트 판의 휨강도를 높이는 역할도 한다. 속빈형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은 단면 내부에 연속한 공동을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평판형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을 말하는 것으로 제품명으로 스판크리트, 다이나스판 등이 있다. 사전 제작 콘크리트 판 두께는 7~30cm이고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기 때문에 10m 정도의 스팬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장기 처짐이 극히 적어서 균열에 유리하고 경량이면서 휨에 대한 내력이 크다. 더블티형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은 평평한 사전 제작 콘크리트 판의 하면에 리브가 부착된 것으로 그 형상이 두 개의 T자형 리브를 붙여놓은 것과 같다. 피씨판을 데크 플레이트 형상으로 절곡 성형하여 단면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가설시 저항 모멘트가 증가된다.
이들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트러스근 보강형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은 트러스근의 제작 설비가 별도로 필요하고 상부배근작업이 평판에 비해 불편하며 양중시 균열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속빈형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은 두께가 증가하여 층고가 높아지므로 고층건물에 적용할 경우에는 문제가 있다. 더블티형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은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물량이 증가하고 리브가 하면에 돌출되어 있어 평면구성에 제한을 받는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의 단위 폭은 0.6~2.4m 이며,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는 스팬과 하중에 따라 60~150mm 정도로서 이를 이용한 합성바닥판은 방향이든 2방향이든 연직하중은 물론 지진력, 풍력과 같은 수평 하중에 대해서도 저항해야만 한다.
연직하중에 대해 일반적으로 등분포한 하중을 상정 설계하여 합성바닥판 전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큰 하중이 한 지점에 집중되는 경우 일정한 폭의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은 하중이 작용하는 지점의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과 바로 옆에 배치된 부분 피씨 바닥판은 독립적으로 거동할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주차장과 같이 집중하중이 반복적으로 한 곳에 작용하게 되면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의 측면 접합부의 상부 덧침 콘크리트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고 누수로 이어질 수 있다.
수평하중에 대해서 합성바닥판은 건물의 각층에서 작용하는 수평력을 수평저항재의 강성에 의해 분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합성바닥판을 통해서 주변의 보 또는 벽으로 면내전단력이 전달된다. 전단력이 편재되어 있고 수평력에 대한 강성의 분포가 상하층이 크게 다를 때는 설계수평하중에 의한 면내전단력은 커진다. 그리고, 얇은 판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용접철망과 하중과 스팬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강선이 배치된 평판부에서 용접철망과 강선 사이에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스페이서를 삽입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설계대로의 강성을 갖춘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을 제조할 수는 있으나 용접철망을 지지하는 스페이서와 강선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설치하기 위해서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로 원가가 상승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중과 스팬의 변화에 대응이 용이하며 양중을 위한 별도의 양중고리가 필요 없고 자중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소요 바닥판 두께를 확보할 수 있으며 단면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가설할 때 저항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는 스페이서가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전 제작 콘크리트 판과 덧침 콘크리트를 일체화시킬 수 있어 연직하중 및 수평하중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스페이서가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얇은 판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용접철망과 하중과 스팬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강선이 배치된 평판부에서 용접철망과 강선 사이에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없는 상태지만 스페이서의 기능을 유지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설계대로의 강성을 갖춘 스페이서가 없는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얇은 판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용접철망과 하중과 스팬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강선이 배치된 평판부에 스페이서가 없이 용접철망과 강선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평판부의 폭 방향 전체 폭에 걸쳐 또는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며 평판부의 상면과 접하는 부분에 접촉저항을 향상시키기 위한 오목부가 복수로 형성된 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가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서가 없는 구성으로 생산성과 경쟁력이 향상된 스페이서가 없는 사전 제작 콘크리트 판과 덧침 콘크리트를 일체화시켜 연직하중 및 수평하중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어 그 저항효과를 설계에 반영할 수 있고 경쟁력이 있는 사전 제작 콘크리트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에서 스페이서 없애는 끌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스페이서 없애는 끌개 단면도이며,
도 3은 스페이서 없애는 끌개를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가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기존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표기하며,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에서 스페이서를 없애는 끌개(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2, 3, 4,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가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The Double Ribbed Half Precast Concrete Slab)은 평판부와 평판부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부로 구성되되 기존에 용접철망(20)과 강선(21)을 고정해주는 스페이서(40,41)가 없는 구성으로 된다. 리브부에는 현장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Topping Concrete)와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리브부로 구성된다. 평판부는 얇은 판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보강을 위한 용접철망(20)이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강선(21)을 배치하여 하중과 스팬의 변화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스페이서를 없애는 끌개(100)를 이용하는 방법은 스페이서를 없애는 끌개(100)를 콘크리트 타설 장치의 앞부분에 스페이서를 없애는 끌개(100)의 스페이서를 없애는 끌개 고정홈(13)을 고정하고, 스페이서를 없애는 끌개(100)에 용접철망(20)은 용접철망 지지판(10) 상부에 삽입하고, 강선(21)은 강선 지지판(12) 상부에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평판부는 얇은 판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보강을 위한 용접철망(20)이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강선(21)을 배치하고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기 위해 용접철망(20)과 강선(21) 사이에 스페이서(40,41)를 구비하는데 스페이서를 없애는 끌개(100)를 사용함으로서 스페이서 없이 스페이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리브부는 얇은 판으로 구성된 평판부의 강도와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부의 폭 방향 전체 폭에 걸쳐 또는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된다. 그 폭과 높이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양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브부의 폭은 150mm, 높이는 평판부 상면에서 70~160mm까지 조절이 가능하다. 평판부의 상면으로부터 리브부가 시작되는 리브부 양측면에는 리브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를 이용함으로써 양중 고리와 같은 양중을 위한 별도의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리브부와 리브부 사이의 공간은 덕트를 배치하거나 그 자체를 덕트로 이용하여 공기조화설비로도 활용 가능하다. 한편, 리브부 사이에 발포폴리스틸렌(EPS) 등을 채워 넣음으로써 자중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은 기둥 또는 벽 위에 거치한 다음 상부에 보강철근을 배근하고 토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완성한다.
100: 스페이서 없애는 끌개
10: 용접철망 지지판
11: 용접철망 지지판 지지대
12: 강선 지지판
13: 스페이서 없애는 끌개 고정 홈
20: 용접철망
21: 강선
30: 타설 콘크리트
40: 용접철망용 스페이서
41: 강선용 스페이서

Claims (3)

  1. 얇은 판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용접철망과 하중과 스팬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강선이 스페이서 없이 배치된 평판부와,
    평판부의 폭 방향 전체 폭에 걸쳐 또는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며 평판부의 상면과 접하는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
  2. 스페이서를 없애고 용접철망과 강선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기능하는 스페이서를 없애는 끌개가 적용된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
  3. 제2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를 없애는 끌개에서 용접철망과 강선과 바닥면과 접촉하는 부위에 마찰을 줄이기 위한 롤러가 구비된 스페이서를 없애는 끌개를 사용하는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
KR1020160092033A 2016-07-19 2016-07-19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 KR20180009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033A KR20180009677A (ko) 2016-07-19 2016-07-19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033A KR20180009677A (ko) 2016-07-19 2016-07-19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677A true KR20180009677A (ko) 2018-01-29

Family

ID=6102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033A KR20180009677A (ko) 2016-07-19 2016-07-19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96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401B2 (en) Open web composite shear connector construction
EP0454690B1 (en) Prefabricated building foundation element
JP5314356B2 (ja) 合成梁、合成梁施工方法、及び耐火建築物
US9422680B2 (en) Deck
CN104314213A (zh) 一种新型大跨度装配式空心井字楼盖
KR200383490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20090068536A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JP2011231543A (ja) 床組構造、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スラブ版及びその施工方法、合成床版、及び耐火建築物
RU2416007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жесткости для несущих плит перекрытий в зданиях
RU2516174C2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ряженная плита
KR101650431B1 (ko) 공장제작형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와 강재를 결합한 와이드 합성보
KR100998061B1 (ko) 리브형 부분 피씨 바닥판
CN110905112A (zh) 一种预制型钢混凝土叠合板及施工工艺
CN110777998A (zh) 一种建筑楼板及组合楼盖
KR200383489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101338862B1 (ko) 건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를 이용한 층간 슬래브 시공방법
KR20180009677A (ko) 스페이서 없는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
KR101752285B1 (ko)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CN212358790U (zh) 楼层板构件
RU271382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борно-монолит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опирающихся по контуру плит перекрытий с круглыми пустотами с применением неизвлекаемых картонно-полиэтиленовых пустотообразователей
CN203475599U (zh) 耐震、预制的钢管剪力墙混合结构建筑物
KR20180005571A (ko) 2중 리브형 부분 사전 제작 콘크리트 바닥판
KR100579586B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CA2625897A1 (en) Reinforced concrete forming system
RU161507U1 (ru)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е перекрыт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