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498A - 풀 듀플렉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향상된 스케줄링 절차 - Google Patents

풀 듀플렉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향상된 스케줄링 절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498A
KR20180008498A KR1020177033241A KR20177033241A KR20180008498A KR 20180008498 A KR20180008498 A KR 20180008498A KR 1020177033241 A KR1020177033241 A KR 1020177033241A KR 20177033241 A KR20177033241 A KR 20177033241A KR 20180008498 A KR20180008498 A KR 20180008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
stas
duplex
duplex set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머 바트
베누 파카라파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08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04L43/0864Round trip 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Abstract

AP(access point)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이 설명된다. 레거시 STA(station) 호환성(예컨대, 하프 듀플렉스)을 갖는 풀 듀플렉스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AP를 사용하기 위한 스케줄링 절차가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은 풀 듀플렉스 AP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2 개의 안테나들을 갖는 하프 듀플렉스 STA들을 구비할 수 있다. 스케줄링 절차는, 예컨대, STA들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STA들을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 동적 그룹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STA들은, AP가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중 하나에 송신하면서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중 다른 것으로부터 동시에 수신할 수 있도록 그룹화될 수 있다. AP는, 풀 듀플렉스 대역내 통신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STA들을 통한 빔포밍을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풀 듀플렉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향상된 스케줄링 절차
[0001] 본 특허 출원은, 2015 년 5 월 19 일 출원되고 명칭이 "Enhanced Scheduling Procedure for Full Duplex Access Point"이며,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Bhat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출원 제14/715,839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0002] 다음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액세스 포인트에서 풀 듀플렉스 동작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0003]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폭넓게 배치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컨대, 시간, 주파수 및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0004]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STA(station)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는 AP(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네트워크, 이를테면, 인터넷에 커플링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또는 서비스 세트, 예컨대, BSS(basic service set) 또는 ESS(extended service set)의 액세스 포인트에 커플링된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WLAN에서, STA는 DL(downlink) 및 UL(uplink)를 통해 연관된 AP와 통신할 수 있다. STA의 관점에서, DL(또는 순방향 링크)은 AP로부터 스테이션으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할 수 있고, UL(또는 역방향 링크)은 스테이션으로부터 AP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할 수 있다.
[0005]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이를테면, Wi-Fi 네트워크(IEEE 802.11)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STA(station)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는 AP(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네트워크, 이를테면, 인터넷에 커플링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커플링된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0006] 현재 무선 시스템들은 TDD(time division duplex - 예컨대, WLAN) 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 예컨대, 셀룰러)를 사용하는 하프 듀플렉스이다. 대역 통신들에서 풀 듀플렉스(즉, 동일한 대역에서 동시 송신(Tx) 및 수신(Rx))를 구현하기 위한 주요 문제는 SI(self-interference)이다. 연구원들은, RF(radio frequency) 프론트 엔드에서의 아날로그 상쇄 후 기저대역에서의 디지털 상쇄가 SI를 무효화/완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0007] 액세스 포인트에서 풀 듀플렉스 동작을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들이 설명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레거시 STA(station) 호환성(예컨대, 하프 듀플렉스)을 갖는 풀 듀플렉스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AP(access point)를 사용하기 위한 스케줄링 절차가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은 풀 듀플렉스 AP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2 개의 안테나들을 갖는 하프 듀플렉스 STA들을 구비할 수 있다. 스케줄링 절차는, 예컨대, STA들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STA들을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 동적 그룹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STA들은, AP가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중 하나에 송신하면서 동시에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중 다른 것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그룹화될 수 있다. AP는 다운링크 방향으로 빔포밍을 활용할 수 있고, STA들은 업링크 방향으로 빔포밍을 활용하여 풀 듀플렉스 대역내 통신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0008]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방법은 AP(access point)에 의해 제1 STA(first station)로부터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및 AP로부터 제2 STA로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이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과 동시적일 수 있다. AP에 대한 STA들의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제1 STA가 할당될 수 있고 그리고 AP에 대한 STA들의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제2 STA가 할당될 수 있다.
[0009] 방법은 AP로부터 STA들의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로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는 단계, 및 STA들의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로부터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이 제2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과 동시적일 수 있다.
[0010] 방법은 AP에 의해 제1 STA 및 제2 STA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법은 또한 제1 STA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STA가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제2 STA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2 STA가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11] 위치 정보는, STA들과 AP 간의 신호들의 DoA(direction of arrival) 및 RTT(round trip tim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0012] 제1 STA가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는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과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 사이의 평균 물리적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과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 사이의 평균 물리적 거리가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제1 STA가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과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 사이의 평균 물리적 거리가 최대화되는 경우, 제1 STA가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0013]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STA에 대한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 둘 모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STA를 배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14] 방법은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의 STA들에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AP의 풀 듀플렉스 동작들은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0015] 방법은 AP와 제1 STA 사이의 채널, AP와 제2 STA 사이의 채널 및 제1 STA와 제2 STA 사이의 채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것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를, 사운딩(sounding) 동작을 사용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빔포밍 파라미터들은, 결정된 CSI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0016]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또한 설명된다. 장치는 제1 STA(station)로부터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AP(access point)의 수신기; 및 다운링크 송신을 AP로부터 제2 STA로 전송하기 위한 AP의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이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과 동시적이며, AP에 대한 STA들의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제1 STA가 할당되고, AP에 대한 STA들의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제2 STA가 할당된다. 장치는 상술된 그리고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이들 특징들 및 다른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7] 무선 통신을 위한 다른 장치가 설명된다. 장치는, AP(access point)에 의해 제1 STA(station)로부터 AP(access point)로의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AP로부터 제2 STA로의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이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과 동시적이며, AP에 대한 STA들의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제1 STA가 할당되고, AP에 대한 STA들의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제2 STA가 할당된다. 장치는 상술된 그리고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이들 특징들 및 다른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8]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설명된다. 매체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코드는, 디바이스로 하여금, AP(access point)에 의해 제1 STA(station)로부터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AP로부터 제2 STA로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게 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고,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이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과 동시적이며, AP에 대한 STA들의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제1 STA가 할당되고, AP에 대한 STA들의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제2 STA가 할당된다. 코드는,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술된 그리고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된 이들 특징 및 다른 특징을 수행하게 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0019] 상기 내용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들의 특징들 및 기술적 이점들을 상당히 광범위하게 요약하였다. 이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이 설명될 것이다. 개시된 개념 및 특정한 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동일한 목적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구조들을 수정 또는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균등한 구성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본원에 개시된 개념들의 특징들, 이들의 구성 및 동작 방법은, 연관된 이점들과 함께,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고려될 때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 각각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본 청구항들의 제한들의 정의로서 제공되지 않는다.
[0020] 본 발명의 성질 및 이점들의 추가적인 이해는 다음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컴포넌트들 또는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타입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참조 라벨 다음에 대시기호 및 유사한 컴포넌트들 사이를 구별하는 제2 라벨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참조 라벨만이 사용되면, 그 설명은, 제2 참조 라벨과는 무관하게 동일한 제1 참조 라벨을 갖는 유사한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컴포넌트에 적용가능하다.
[0021]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0022]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에 따른,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들을 도시한다.
[0023]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AP(access point)에서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 흐름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0024] 도 4a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통신들에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예를 예시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0025] 도 4b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통신들에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다른 예를 예시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0026] 도 4c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통신들에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또 다른 예를 예시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0027] 도 5a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통신들에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예를 예시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0028] 도 5b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통신들에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다른 예를 포함한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0029]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예를 예시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0030]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다른 예를 예시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0031]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다른 예를 예시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0032] 설명된 특징들은 일반적으로 AP(access point)에서 풀 듀플렉스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들, 방법들, 또는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AP는, AP가 풀 듀플렉스 모드로 하프 듀플렉스 (예컨대, 레거시) STA(station)들과 동작할 수 있게 하는 스케줄링 절차를 구현할 수 있다.
[0033] SA는, AP가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STA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STA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도록, STA들을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예컨대, 제1 세트 및 제2 세트)로 동적 그룹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AP는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로부터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고 동시에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로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0034] AP는, 예컨대, STA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STA들을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로 분리할 수 있다. AP는, STA들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STA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대안으로, AP는, 적절한 방식으로, 이를테면, AP와 개별 STA들 사이의 RTT(round trip time) 및/또는 신호들의 도달 방향을 사용하여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0035] AP는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예컨대, 빔포밍 명령들의 일부로서)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의 STA들에 제공할 수 있다. 빔포밍 파라미터들은 AP에서의 풀 듀플렉스 동작들 동안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AP는, 예컨대, 사운딩 동작을 사용하여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를 획득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결정할 수 있다. AP는, STA들이 활용할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때 CSI를 사용할 수 있다.
[0036] 다음 설명은 예들을 제공하며, 청구항들에 제시된 범위, 적용 가능성, 또는 예들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논의되는 엘리먼트들의 기능 및 배열에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예들은 다양한 절차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적절히 생략, 치환 또는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설명되는 방법들은 설명되는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 관하여 설명되는 특징들은 다른 예들로 결합될 수 있다.
[0037]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구성되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100)(예컨대, Wi-Fi 네트워크)을 예시한다. WLAN(100)는, AP(access point)(105) 및 다수의 연관된 무선 STA(station)들(1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STA는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모바일 스테이션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들,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넷북들, 노트북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랩톱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예컨대, TV들, 컴퓨터 모니터들 등), 프린터들 등을 나타낼 수 있다. MS(mobile station)들, 모바일 디바이스들, AT(access terminal)들,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들, 또는 가입자 유닛들로도 지칭될 수 있는 STA들(115) 각각은 각각의 통신 링크(120)를 통해 AP(105)의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110) 내의 AP(105)와 연관될 수 있거나 통신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통신 링크들(120)은 빔포밍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0038]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STA(115)는 2개 이상의 AP(105)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따라서 상이한 시간들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AP들(105)과 연관될 수 있다. AP(105) 및 연관된 STA들(115)은 BSS(basic service set) 또는 ESS(extended service set)를 나타낼 수 있다. 단일 AP 및 스테이션들의 연관된 세트가 BSS(basic service set)로 지칭될 수 있다. ESS(extended service set)는 연결된 BSS들의 세트이다. DS(distribution system)(미도시)는 확장 서비스 세트 내의 AP들(105)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AP(105)에 대한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110)은 커버리지 영역의 일 부분만을 형성하는 섹터들로 분리될 수 있다(미도시). WLAN(100)은, 상이한 기술들에 대해 커버리지 영역들이 중첩되고 커버리지 영역들의 사이즈가 변하는, 상이한 타입들의 AP들(105)(예컨대, 대도시 영역, 홈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39] STA들(115)이 통신 링크들(120)를 사용하여 AP(105)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지만, 각각의 STA(115)는 또한 직접 무선 링크(125)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STA들(115)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2개 또는 그 초과의 STA들(115)은, STA들(115) 둘 모두가 AP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110) 내에 있을 때 또는 STA(115) 중 하나가 AP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110) 내에 있거나 또는 어느 STA(115)도 AP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110) 내에 있지 않을 때(미도시) 직접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직접 무선 링크(125)의 예들은 Wi-Fi 직접 연결들, Wi-Fi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 링크들을 사용함으로써 확립된 연결들 및 다른 P2P 그룹 연결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40] STA들(115) 및 AP들(105)은 IEEE 802.11 및 802.11b, 802.11g, 802.11a, 802.11n, 802.11ac, 802.11ad, 802.11ah 등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음) 버전들로부터의 PHY(physical) 및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들에 대한 WLAN 라디오 및 기저대역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피어-투-피어(peer-to-peer) 연결들 또는 애드 혹(ad hoc) 네트워크들이 WLAN(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0041] AP(105)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135)를 통해 네트워크(130), 이를테면,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다. AP(105)는,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110) 내의, 단일 STA(115), 또는 다수의 STA들(115)을 목표로 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AP(105)는 유니캐스트 (예컨대, 일대일) 또는 멀티캐스트(예컨대, 일대다) 송신들을 통해 STA들(115)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0042] AP(105)는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STA들(115)은, 예컨대, 하프 듀플렉스 통신들만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AP(105)는, STA들을 상이한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또는 그룹들로 분리함으로써 STA들(115)과의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제공할 수 있다. AP(105)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STA들(115)을, STA(115-a) 및 STA(115-b)를 포함하는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로 그리고 STA(115-c), STA(115-d) 및 STA(115-e)를 포함하는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로 분리할 수 있다.
[0043] AP(105)는 STA들(115)의 위치들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STA들(115)을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 분리할 수 있다. 이 예에서, STA들의 상대적 위치들 ―STA들(115-a 및 115-b)이 상대적으로 서로 가까이 있고 STA들(115-c, 115-d 및 115-e)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대적으로 서로 가까이 있음― 을 고려하여,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는 STA들(115-a 및 115-b)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는 STA들(115-c, 115-d 및 115-e)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AP(105)에 대한 STA들의 상대적인 위치들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STA들을 상이한 세트들로 분리하기 위해 STA들의 위치 정보를 사용는 것은,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가 물리적 거리만큼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AP(105)가 AP(105)에서의 풀 듀플렉스 동작 동안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둘 모두(예컨대, 각각 세트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STA(115))와 통신 중인 경우 통신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도울 수 있다.
[0044] 도 2a는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예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200)은 AP(105-a) 및 복수의 연관된 STA들(115-f, 115-g 및 115-h)을 포함할 수 있다. AP(105-a)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AP(105)의 일 예일 수 있다. 또한, STA들(115-f, 115-g, 115-h)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STA들(115)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의 예들일 수 있다.
[0045]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AP(105-a)는 STA들(115-f, 115-g, 및 115-h)을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 분리할 수 있다. STA(115-f)는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A)에 할당될 수 있고 STA(115-h)는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B)에 할당될 수 있다. STA(115-g)는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A)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B) 둘 모두로부터 배제될 수 있고, 제3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할당될 수 있다.
[0046] 명료함을 위해 3 개의 STA들(115-f, 115-g 및 115-h)만이 도시되었지만, STA(115-f)는 복수의 STA들을 나타낼 수 있고, STA(115-g)는 각각의 복수의 STA들을 나타낼 수 있고 STA(115-f)는 각각의 복수의 STA들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AP(105)는 STA들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STA들을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 분리할 수 있다. 도 2a의 예에서, STA(115-f)를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A)에 할당하고 STA(115-h)를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B)에 할당함으로써 STA들을 분리하는 것이 (예컨대, AP(105)와의 동시 통신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킴으로써) AP(105)와의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향상시키는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A)와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B) 사이의 물리적 거리(예컨대, 다수의 STA들이 세트에 할당되는 경우의 평균 물리적 거리)를 달성할 수 있도록, STA들(115-f, 115-g 및 115-h)이 위치될 수 있다.
[0047] 도 2a에서, AP(105)는 DL(downlink)(205)을 통해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A)(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할당된 STA(115-f)로 나타내어짐)와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AP(105)는 UL(uplink)(210)을 통해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B)(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할당된 STA(115-h)로 나타내어짐)와 동시에 또는 일시에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AP(105)는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A)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B)와의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AP(105)는 DL(205)을 통해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A)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STA들과 통신할 수 있고,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B)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STA들은 UL(210)을 통해 AP(105)와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AP(105)는 UL 또는 DL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법들(이를테면, 802.11ax(UL) 및 802.11ac(DL) 및 이 이후의 것)을 활용할 수 있다.
[0048] 도 2b는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수행하는 도 2a의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예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STA(115-f)는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A)에 할당될 수 있고 STA(115-h)는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B)에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b에서, AP(105)는 UL(uplink)(210-a)을 통해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A)와 통신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AP(105)는 DL(downlink)(205-a)을 통해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B)와 동시에 또는 일시에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AP(105)는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A)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B)와의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AP(105)는 DL(205-a)을 통해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B)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STA들과 통신할 수 있고,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A)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STA들은 UL(210-a)을 통해 AP(105)와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0049] 간결함을 위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AP(105-a)는,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의 상이한 쌍들과, 쌍 중 하나의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STA들과 DL로 그리고 쌍 중 다른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STA들과는 UL로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AP(105-a)는 AP(105-a)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STA들을 임의의 적절한 수의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STA가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둘 모두의 통신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AP(105-a)에서의 풀 듀플렉스 통신들의 일부로서 스케줄링되지 않는 한, 특정 STA가 2 이상의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할당될 수 있고 AP(105-a)와의 통신들에, 특정 STA가 할당되는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중 임의의 것의 일부로서 참여할 수 있도록, 그러한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이 중첩될 수 있다.
[0050] 도 3은 AP(105-b)의 커버리지 영역(미도시) 내의 복수의 STA들(115-i 내지 115-n)과의 풀 듀플렉스 통신을 AP(105-b)에서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 흐름(300)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AP(105-b)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AP(105) 또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 AP(105-a)의 일 예일 수 있다. 또한, STA들(115-i 내지 115-n)은 도 1 또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 STA들(115)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의 예들일 수 있다.
[0051] 305에서, AP(105-b)는 STA들(115-i 내지 115-n)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AP(105-b)는 각각의 STA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STA들과 개별적으로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커버리지 영역 내의 모든 STA들에 도달하도록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310에서, AP(105-b)는 STA들(115-i 내지 115-n)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TA들(115-i 내지 115-n) 각각은 임의의 공지된 기술 또는 이후 개발되는 기술을 사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STA에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위치확인 또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MPS(mobile position system),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갈릴레오 등)을 사용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가 장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각각의 STA는 (예컨대, AP들 및/또는 다른 STA들의 알려진 위치들을 사용하여) 삼각측량 방법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52] STA들(도 3에서 305 및 310으로 예시됨)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STA들(115-i 내지 115-n) 각각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는 AP(105-b)에 의해 대안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AP(105-b)는 위치측정 신호(locating signal)를 각각의 STA에 전송하여, 개별 STA로 하여금 응답으로 AP(105-b)에 응답 신호를 다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AP(105-b)는, AP(105-b)로부터의 위치측정 신호의 출발 시간의 지식, 특정 STA에서의 위치측정 신호의 도달 시간(STA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됨), STA로부터의 신호의 출발 시간(응답 신호에 또한 포함됨) 및 AP(105-b)에서의 응답 신호의 도달 시간을 사용하여 이러한 신호들에 대한 RTT(round trip time)를 결정할 수 있다.
[0053] 또한, AP(105-b)는 STA들로부터 반송된 각각의 응답 신호에 대한 DoA(direction of arrival)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AP(105-b)는 수신된 신호의 DoA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은 DoA에 따라 도달 신호의 상이한 부분들을 수신할 수 있다(또는 어느 부분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신호의 상이한 부분들은, 상이한 신호 강도들이 안테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신되게 할 수 있으며, 상이한 신호 강도들은 DoA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테나 어레이들에 의한 수신 신호의 코히어런트 결합은 DoA 추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신호 패턴들은 더 양호한 DoA 추정치를 산출하기 때문에, 그러한 미리정의된 신호 패턴들이 사용될 수 있다. DoA 추정 기법들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지 않았기 때문에, 간결함을 위해 추가 상세들은 본원에서 제공되지 않는다.
[0054] 315에서, AP(105-b)는, STA들(115-i 내지 115-n)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AP(105-b)에서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STA들을 분리하거나 또는 그룹화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예컨대, AP(105-b)는 STA들(115-i 내지 115-n)을 복수의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AP(105-b)는 복수의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에 STA들(115-i 내지 115-n)을 할당할 수 있다(또는 특정 STA를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중 임의의 것에 할당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AP(105-b)에서, 풀 듀플렉스 통신들로부터 특정 STA를 배제할 수 있다).
[0055] 320에서, AP(105-b)가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그룹 ID(identification)를 할당할 수 있고, 특정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 각각은 특정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멤버쉽을 식별하기 위해 할당받은 그룹 ID를 갖는다. AP(105-b)가 STA들(115-i 내지 115-n)을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 분리하는 방법에 따라, STA들(115-i 내지 115-n) 각각은 그룹 ID들을 갖지 않거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그룹 ID들을 가질 수 있다.
[0056] 325에서, AP(105-b)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술된 것과 같이, 한 쌍의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과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 DL 통신(325-1)은 AP(105-b)로부터 STA(115-i)에 대한 것으로 도시되고 UL 통신은 STA(115-n)로부터 AP(105-b)에 대한 것으로 도시된다. (예컨대, 하나의 하프 듀플렉스 세트를 나타내는 STA(115-i)과의 그리고 다른 하프 듀플렉스 세트를 나타내는 STA(115-n)와의) 이들 통신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AP(105-b)에 의한 모든 가능한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도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0057] AP(105-b)가 3 이상의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을 식별한 경우, AP(105-b)는 STA들에 (AP(105-b)가 어느 STA들에 전송할 데이터를 갖는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AP(105-b)에서의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위해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중 2 개를 선택할 수 있다. AP(105-b)는 또한, 어느 STA들이 AP(105-b)에 전송할 데이터를 갖는지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AP(105-b)에서의 통신들의 전체 스케줄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으며, 이는 추가 또는 다른 팩터들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AP(105-b)는 효율적인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이한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과의 풀 듀플렉스 통신들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0058] 도 4a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통신들에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405)의 예를 예시한 블록도(400-a)를 도시한다. 디바이스(405)는 도 1, 도 2a,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AP들(105)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예일 수 있다. 디바이스(405)는 수신기(410), 통신 관리기(420) 및/또는 송신기(4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405)는 또한 프로세서(미도시)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 각각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0059] 수신기(410), 통신 관리기(420), 및/또는 송신기(415)를 통해, 디바이스(405)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405)는, 복수의 STA들을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 분리하고, STA들에 관한 위치 정보를 획득(또는 결정)하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에 STA들을 할당하고,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를 결정하고,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고 그리고/또는 제공하는 것 등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60] 디바이스(405)의 컴포넌트들 (뿐만아니라 본원에 설명된 다른 관련 디바이스들/장치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총괄적으로, 적용가능한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도록 적응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상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또는 코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다른 타입들의 집적 회로들(예컨대,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및 다른 반주문 IC들)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각각의 컴포넌트의 기능들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범용 또는 주문형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맷화되어 메모리에 포함되는 명령들로 구현될 수 있다.
[0061] 수신기(410)는 정보, 이를테면, 패킷들, 사용자 데이터 및/또는 다양한 정보 채널들(예컨대, 제어 채널들, 데이터 채널들 등)과 연관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410)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STA들(미도시)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수신기(410)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송신기(415)를 통해) 디바이스(405)에 의해 전송된 위치측정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STA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추가로 그러한 응답 신호들의 DoA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410)는 또한 CSI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는 통신 관리기(420)로 그리고 디바이스(405)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전달될 수 있다.
[0062] 송신기(415)는 디바이스(405)의 다른 컴포넌트들로부터 수신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송신기(415)는 정보, 이를테면, 패킷들, 데이터 및/또는 다양한 정보 채널들(예컨대, 제어 채널들, 데이터 채널들 등)과 연관된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기(415)는, 위치 정보, 위치측정 신호들, 그룹 ID들의 할당들, 및 빔포밍 파라미터들 및/또는 명령들에 대한 요청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송신기(415)는 트랜시버 모듈의 수신기(410)와 콜로케이팅될 수 있다. 송신기(415)는 디바이스(405)에서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위해 수신기(410)와 동시에 또는 일시에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63] 통신 관리기(420)는, 도 1, 도 2a,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STA들(미도시)을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 분리할 수 있다. 통신 관리기(420)는, 예컨대, 송신기(415) 및/또는 수신기(410)를 사용하여 STA들에 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결정할 수 있다. 통신 관리기(420)는 디바이스(405)에 대한 풀 듀플렉스 통신들뿐만 아니라 종래의 하프 듀플렉스 통신들을 관리(예컨대, 제어, 포맷, 스케줄링 등)할 수 있다. 통신 관리기(420)는,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이한 모드들, 이를테면, SU(single user), MU(multi-user),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등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관리기(420)는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들(예컨대, 수신기(410) 및 송신기(415))과 함께 제어 또는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64] 도 4b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통신들에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405-a)의 다른 예를 예시한 블록도(400-b)를 도시한다. 디바이스(405-a)는 도 1, 도 2a, 도 2b 및 도 3를 참조하여 설명된 AP들(105)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예일 수 있다. 디바이스(405-a)는 또한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된 디바이스(405)의 예일 수 있다. 디바이스(405-a)는 수신기(410-a), 통신 관리기(420-a) 및/또는 송신기(415-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도 4a의 디바이스(405)의 대응하는 컴포넌트들의 예들일 수 있다. 디바이스(405-a)는 또한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 각각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0065] 수신기(410-a) 및 송신기(415-a)는, 각각 도 4a의 수신기(410) 및 송신기(415)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관리기(420-a)는 STA 위치 분석기(425), STA 세트 할당기(430) 및 듀플렉스 통신 스케줄러(435)를 포함할 수 있다.
[0066] STA 위치 분석기(425)는 수신기(410-a)를 통해 복수의 STA들(미도시)에 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TA 위치 분석기(425)는, 위치 정보(예컨대, RTT 및 DoA)를 사용하여 STA들 각각에 대한 위치들을 도출할 수 있거나, 또는 개별 STA들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가 위치의 형태(예컨대, GPS 좌표들)인 경우 개별 STA들의 위치들을 식별할 수 있다. STA 위치 분석기(425)는 또한 STA들의 상대적인 위치들을 분석할 수 있으며, 그러한 분석들을 위해 디바이스(405)의 위치를 고려할 수 있다.
[0067] STA 위치 분석기(425)는 STA들의 유도된/식별된 위치들을 사용하여 STA들을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 분리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후보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은, 예컨대, STA들을 서로에 대한 STA들의 근접성에 기초하여 STA들을 후보 세트로 함께 그룹화함으로써 STA들의 위치들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STA들 간의 또는 개별 STA들과 후보 세트의 중심 간의 임계 또는 최대 거리는 후보 세트에 STA의 포함을 결정한다. STA 위치 분석기(425)는 (예컨대, 상이한 후보 세트들의 STA들 간의 거리들에 기초하여, 또는 후보 세트들의 중심들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후보 세트들의 STA들 간의 평균 물리적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STA 위치 분석기(425)는 계산된 평균 물리적 거리를 임계 거리와 비교할 수 있다. 임계치가 후보 세트들에 의해 만족되는 경우, STA 위치 분석기(425)는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듀플렉스 통신들을 위해 디바이스(405)에 의해 사용될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서 후보 세트들을 확립할 수 있다.
[0068] 대안으로, STA 위치 분석기(425)는 평균 물리적 거리를 최대화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STA 위치 분석기(425)는 원하는 최대화가 달성될 경우 듀플렉스 통신들을 위해 디바이스(405)에 의해 사용될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서 후보 세트들을 확립할 수 있다.
[0069] STA들의 위치들 이외의 다른 팩터들이, 후보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을 결정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405)는 STA들이 통상적으로 수신 및/또는 송신하는 통신들의 타입들, 소스들 등의 지식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지식은, 디바이스(405)가 관련되었던 STA들과의 사전 통신들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사전 통신들, 배포 리스트들, 구독들 등에 관한 STA들 간의 공통성들은 STA들이 후보 세트들에 대해 고려될 수 있는 표시자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STA들의 능력들, 이를테면, 송신 전력 제어, 변조 및 코딩 방식(들) 및/또는 레이트 적응, OFDMA 기반 송신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STA들의 절전 양상들(예컨대, 수면 기간들, 저전력 모드들 등)이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0070] STA 위치 분석기(425)와 함께, 또는 그에 의해 결정된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을 사용하여, STA 세트 할당기(430)는 개별 STA들을 각각의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에 할당할 수 있다. 이는, STA 세트 할당기(430)가 결정된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각각에 대한 고유 ID(identifier)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STA 세트 할당기(430)는, 디바이스(405)에 의한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과의 듀플렉스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예컨대, 디바이스(405)의 메모리(미도시)에 각각의 ID와 연관된 STA들의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0071] STA 세트 할당기(430)는 또한, STA들이 특정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디바이스(405)에 의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각각의 ID들을 STA들에 통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405)는, 예컨대, 특정 하프 듀플렉스 세트가 조정(예컨대, STA가 세트와 관련하여 너무 멀리 이동하여, 예컨대, 세트의 중심이 임계 거리를 초과하여 시프트되거나 또는 세트의 STA들의 근접성이 서로 충분히 변하는 경우 세트로부터 STA를 제거)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할당된 ID와 함께 STA들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STA들의 동적 그룹화로 지칭될 수 있다. 예컨대, 하프 듀플렉스 세트 내의 다수의 STA들이 동시에 스케줄링되는 경우와 같이 다양한 통신 상황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STA들에 ID들을 할당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0072] 듀플렉스 통신 스케줄러(435)는,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수행하기 위해, 결정된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을 활용할 수 있다. 3 이상의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이 결정되는 경우, 듀플렉스 통신 스케줄러(435)는, (각각 UL 및 DL 통신들을 위해)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의 어느 쌍을 선택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선택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팩터들, 이를테면, 어느 STA들이 디바이스(405)에서의 송신을 대기하는 데이터를 갖는지,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과의 풀 듀플렉스 통신들의 신뢰성(예컨대, 풀 듀플렉스 통신들로부터 발생되는 간섭의 양, 서비스 품질 등), 다른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에 대한 공정성 등에 기초할 수 있다.
[0073] 듀플렉스 통신 스케줄러(435)는 또한, 풀 듀플렉스 통신들이 주어진 시간에 활용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405-a)의 통신 관리기(420-a)는 수신단(receiving end)에서 STA(들)로부터 피드백을 획득하거나 또는 (예컨대, 위치에 기초하여) 간섭을 추정할 수 있다. 간섭이 (예컨대, 빔포밍 능력에 따른 누적 처리량 이득에 기초하여) 임계치 미만인 경우, 디바이스(405-a)는 하프 듀플렉스를 계속하거나 또는 풀 듀플렉스로 전환할 수 있다. 하프 듀플렉스는 풀 듀플렉스의 서브세트로 간주될 수 있다. 디바이스(405-a)에 의한 스케줄링은, 연관된 하프 듀플렉스 (예컨대, 레거시) STA들에 의해 공유되는 능력들에 따라 추가 파라미터들을 감안하거나 또는 고려할 수 있다.
[0074] 도 4c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통신들에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405-b)의 다른 예를 예시한 블록도(400-c)를 도시한다. 디바이스(405-b)는 도 1, 도 2a, 도 2b 및 도 3를 참조하여 설명된 AP들(105)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예일 수 있다. 디바이스(405-b)는 또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된 디바이스들(405, 405-a)의 예일 수 있다. 디바이스(405-b)는 수신기(410-b), 통신 관리기(420-b) 및/또는 송신기(41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도 4a 및 도 4b의 디바이스들(405, 405-a)의 대응하는 컴포넌트들의 예들일 수 있다. 디바이스(405-b)는 또한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 각각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0075] 수신기(410-b) 및 송신기(415-b)는, 각각 도 4a 및 도 4b의 수신기들(410, 410-a) 및 송신기들(415, 415-a)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관리기(420-b)는 사운딩 관리기(440), 빔포밍 파라미터 결정기(445) 및 빔포밍 명령 생성기(450)를 포함할 수 있다.
[0076] 사운딩 관리기(440)는, 송신기(415-b) 및 수신기(410-b)를 통해, 사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운딩 동작의 상세들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본원에서는 제시되지 않는다. 이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사운딩 동작은, 예컨대, 세트의 각각의 STA에 할당된 ID를 사용하여 하프 듀플렉스 세트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STA들과의 사운딩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부터 획득된 CSI는 대응하는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과 연관될 수 있다. CSI는, 송신 또는 수신 빔포밍에 따라 송신 또는 수신 스트림들에 적용(예컨대, 승산)될 수 있는 빔포밍 가중치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77] CSI는 빔포밍 파라미터 결정기(445)에 제공될 수 있다. CSI를 사용하여, 빔포밍 파라미터 결정기(445)는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예컨대, 본원에 논의된 바와 같은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및/또는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 중 하나(또는 둘 모두)의 STA들에 의해 사용될 적절한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고 디바이스(405-b)는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수행하기 위해 STA들과 통신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중 단지 하나만이 디바이스(405-b)와의 동시/일시 통신들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빔포밍을 활용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0078] 빔포밍 명령 생성기(450)는, 빔포밍 파라미터 결정기(445)로부터, 빔포밍을 수행할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대한 ID와 함께, 결정된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빔포밍 명령 생성기(450)는, 예컨대, 통신 관리기(420-b)의 제어 하에서 송신기(415-b)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식별된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에 전송될 빔포밍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빔포밍 명령은, 통신에 참여하는 식별된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이, 디바이스(405-b)와의 동시/일시 통신들 간의 간섭을 완화시키도록 설계되는 송신을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는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서 널(null)을 생성하기 위해 디바이스(405-b)에 대한 빔포밍에 의해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서 간섭을 완화할 수 있거나,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가 제1 하프 이중 세트로부터의 송신에 대응하는 널을 빔포밍할 수 있다.
[0079] 일부 경우들에서, 빔포밍 파라미터 결정기(445) 및/또는 빔포밍 명령어 생성기(450)의 기능들이 개별 STA들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405-b)는 사운딩 매니저(440)에 의해 결정된 적절한 CSI를 사용하여 결정된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적절한 CSI를 각각의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에 전송할 수 있다. CSI가 전송될 경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제공되는 CSI는,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과 디바이스들(405-s) 사이의 채널의 CSI 및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와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 사이의 채널의 CSI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제공된 CSI는,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과 디바이스들(405-s) 사이의 채널의 CSI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와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사이의 채널의 CSI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405)가 빔포밍을 위한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중 오직 하나에만 CSI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디바이스(405-b)와 통신하는 동일한 하프 듀플렉스 세트 내의 다수의 STA들의 경우, 디바이스(405-b)에서도 빔포밍이 사용될 수 있다.
[0080] 도 5a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통신들에 사용될 수 있는 AP(105-c)를 포함하는 시스템(500-a)의 예를 예시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AP(105-c)는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 AP들(105)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AP들의 예, 또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된 디바이스들(405)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스들의 예일 수 있다. AP(105-c)는 프로세서(505), 메모리(510)(소프트웨어(SW)(515)를 포함함),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520),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5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 각각은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예컨대, 버스(54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0081] 트랜시버(들)(520)는, 안테나(들)(525),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C)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D)를 통해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랜시버(들)(520)(또는 AP(105-c)의 다른 컴포넌트들)는 또한, 안테나(들)(525)를 통해 개별 STA들(미도시) 또는 다른 AP들(미도시)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랜시버(들)(520)는, 패킷들을 변조하고, 송신을 위해 변조된 패킷들을 안테나들(840)에 제공하고, 안테나(들)(525)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된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AP(105-c)는 다수의 트랜시버들(5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트랜시버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연관된 안테나들(525)을 갖는다. 트랜시버(들)(520)는, 예컨대, 도 4a의 결합된 수신기(410) 및 송신기(415)의 예일 수 있다.
[0082] 메모리(510)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10)는 또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코드(515)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505)로 하여금,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예컨대, AP(105-c)에서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위해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을 결정하는 것 등을)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으로, 컴퓨터-실행가능 소프트웨어 코드(515)는, 프로세서(505)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컴파일링되고 실행되는 경우), AP(105-c)로 하여금,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83] 프로세서(505)는 지능형 하드웨어 디바이스(예컨대, CPU, 마이크로제어기, ASIC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5)는 다양한 특수 목적 프로세서들, 이를테면, 인코더들, 큐 프로세싱 모듈들,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라디오 헤드 제어기들, DSP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84] AP(105-c)는 통신 관리기(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도 4a 및 4c를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관리기들(420)의 일 예일 수 있다. 통신 관리기(530)는, 상술되고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예컨대, AP(105-c)에서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고 그리고/또는 조정하는 것, STA들에서 빔포밍을 가능하게 하는 것 등)을 수행하기 위해,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서브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85] AP(105-c)는 STA 세트 관리기(5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STA들의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들(예를 들면, 분리, 할당, 식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STA 세트 관리기(535)는, AP(105-c)에서의 풀 듀플렉스 통신들에 대하여 자신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통신 관리기(530)와 협력할 수 있다.
[0086] AP(105-c)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선 백홀 링크들을 가질 수 있다. AP(105-c)는 네트워크(550)와 통신하기 위한 유선 백홀 링크(예컨대, 포트(545), S1 인터페이스 등)를 구비할 수 있다. AP(105-c)는 또한, 다른 기지국들(미도시)과 기지국간 백홀 링크들(이 또한 미도시함)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AP(105-c)는 통신 관리기(530) 또는 AP-특정 통신 관리기(미도시)를 사용하여 다른 AP들과 통신할 수 있으며, 이 통신 관리기(530) 또는 AP-특정 통신 관리기는 AP들 간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서 LTE/LTE-A 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술 내에서 X2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P(105-c)는 또한 통신 관리기(530) 또는 네트워크-특정 통신 관리기(미도시)를 사용하여 네트워크(550)와 통신할 수 있다.
[0087] 도 5b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통신들에 사용될 수 있는 AP(105-d)를 포함하는 시스템(500-b)을 예시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AP(105-d)는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 AP들(105)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예이거나, 또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된 디바이스들(405)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이거나, 또는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된 AP(105-c)의 예일 수 있다. AP(105-d)는 프로세서(505-a), 메모리(510-a),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520-a),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525-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 각각은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예컨대, 버스(540-a)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 각각은 도 5a를 참조하여 상술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0088] 이 예에서, 메모리(510-a)는 통신 관리기(530-a) 및 STA 세트 관리기(535-a)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510-a)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는, 컴파일링되고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505-a)(또는 AP(105-d)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하여금 상술된 그리고 아래에 추가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통신 관리기(530-a) 및 STA 세트 관리기(535-a)의 기능의 서브세트가 메모리(510-a)에 포함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 모든 이러한 기능은 AP(105-d)로 하여금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프로세서(505-a)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다른 조합들이 통신 관리기(530-a) 및 STA 세트 관리기(535-a)의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0089]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600)의 예를 예시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명료함을 위해, 방법(600)이, 도 1 내지 도 3,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된 AP들(105)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의 양상들, 및/또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된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의 양상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방법(600)의 동작들은 상술된 바와 같이 그러한 AP/디바이스 또는 그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방법(600)의 동작들은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관리기(420)에 의해, 또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관리기(530) 및 STA 세트 관리기(535)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AP/디바이스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AP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들을 실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AP/디바이스는 특수-목적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들의 양상들을 수행할 수 있다.
[0090] 블록(605)에서, AP는 제1 STA로부터 업링크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610)에서, AP는 다운링크 송신을 제2 STA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AP에 대한 STA들의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제1 STA가 할당되고 그리고 AP에 대한 STA들의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제2 STA가 할당된다. 다운링크 송신이 업링크 송신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이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과 동시적일 수 있다. 블록(605)에서의 동작(들)은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수신기(410-a) 및 통신 관리기(420-a)의 듀플렉스 통신 스케줄러(43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블록(610)에서의 동작(들)은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송신기(415-a) 및 통신 관리기(420-a)의 듀플렉스 통신 스케줄러(43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TA들이 제1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 사전-분리되지 않는 경우, 그러한 분리는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통신 관리기(420-a)의 STA 위치 분석기(42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91] 방법(600)에 따르면, AP는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풀 듀플렉스 통신들은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로부터 AP로의 업링크 송신을 그리고 AP로부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로의 동시 다운링크 송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풀 듀플렉스 통신들은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로부터 AP로의 업링크 송신을 그리고 AP로부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로의 동시 다운링크 송신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방법(600)에서 사용되는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STA들의 상이한 그룹들에 속하는 2 개의 STA들 간을 단순히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의 STA들은 (예컨대, 주어진 시간에 UL 또는 DL로 통신하는) 하프 듀플렉스 통신들이 가능할 수 있고, (예컨대, UL 및 DL 둘 모두로 동시에 통신하는) 풀 듀플렉스 통신들은 가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대안적인 풀 듀플렉스 통신들이 상이한 시간들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0092]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700)의 다른 예를 예시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명료함을 위해, 방법(700)이, 도 1 내지 도 3,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된 AP들(105)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의 양상들, 및/또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된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의 양상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방법(700)의 동작들은 상술된 바와 같이 그러한 AP/디바이스 또는 그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방법(700)의 동작들은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관리기(420)에 의해, 또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관리기(530) 및 STA 세트 관리기(535)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AP/디바이스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AP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들을 실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AP/디바이스는 특수-목적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들의 양상들을 수행할 수 있다.
[0093] 블록(705)에서, AP는 AP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복수의 STA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705)에서의 동작(들)은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통신 관리기(420-a)의 STA 위치 분석기(42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 예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STA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0094] 블록(710)에서, AP는 획득된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후보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의 STA들 사이의 평균 물리적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710)에서의 동작(들)은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통신 관리기(420-a)의 STA 위치 분석기(42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95] 블록(715)에서, AP는, 평균 물리적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STA들을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또는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할당함으로써, 복수의 STA들을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로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715)에서의 동작(들)은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통신 관리기(420-a)의 STA 위치 분석기(42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TA 위치 분석기(425)는 계산된 평균 물리적 거리를 임계 거리와 비교할 수 있다. 임계치가 후보 세트들에 의해 만족되는 경우, STA 위치 분석기(425)는 AP에 의해 사용될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서 후보 세트들을 확립할 수 있다. 대안으로, 후보 세트들은 평균 물리적 거리를 최대화함으로써 AP에 의해 사용될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로서 확립될 수 있다.
[0096] 그런다음, 블록(720)에서, AP는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를 사용하여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720)에서의 동작(들)은,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수신기(410-a) 및 송신기(415-a)와 함께, 통신 관리기(420-a)의 듀플렉스 통신 스케줄러(43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97]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풀 듀플렉스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800)의 다른 예를 예시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명료함을 위해, 방법(800)이, 도 1 내지 도 3,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된 AP들(105)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의 양상들, 및/또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된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의 양상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방법(800)의 동작들은 상술된 바와 같이 그러한 AP/디바이스 또는 그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방법(800)의 동작들은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관리기(420)에 의해, 또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관리기(530) 및 STA 세트 관리기(535)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AP/디바이스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AP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세트들을 실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AP/디바이스는 특수-목적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들의 양상들을 수행할 수 있다.
[0098] 블록(805)에서, AP는, 복수의 STA들을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로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605)에서의 동작(들)은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통신 관리기(420-a)의 STA 위치 분석기(42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99] 블록(810)에서, AP는 사운딩 동작을 사용하여 STA들의 CSI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810)에서의 동작(들)은 도 4c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통신 관리기(420-b)의 사운딩 관리기(4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100] 블록(815)에서, AP는, STA들을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또는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할당함으로써, 복수의 STA들을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로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815)에서의 동작(들)은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통신 관리기(420-a)의 STA 위치 분석기(42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101] 블록(820)에서, AP는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STA들에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빔포밍 파라미터들은 블록(810)에서 결정된 CSI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대안으로, 예컨대, STA들이 CSI를 사용하여 빔포밍을 결정하고 구현할 수 있는 경우, 블록(810)에서 결정된 CSI가 하프 듀플렉스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STA들에 제공될 수 있다.
[0102] 그런다음, 블록(825)에서, AP는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를 사용하여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825)에서의 동작(들)은, 도 4b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수신기(410-a) 및 송신기(415-a)와 함께, 통신 관리기(420-a)의 듀플렉스 통신 스케줄러(43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풀 듀플렉스 통신들은, 예컨대, 블록(820)에서 제공된 빔포밍 파라미터들에 따라 빔포밍을 활용하는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또는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로 수행될 수 있다.
[0103] 방법들(600, 700, 800, 900 및 1000)이 AP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에서의 풀 듀플렉스 통신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단지 예시적인 구현들이고, 이 방법의 동작들은, 다른 구현들이 가능하도록 재배열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수정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방법들(600, 700, 800, 900 및 1000) 중 2개 또는 그 초과의 것으로부터의 양상들이 결합될 수 있다.
[0104]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상기 제시된 상세한 설명은 예들을 설명하며,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유일한 예들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이 설명에서 사용되는 경우 "예" 및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다른 예들에 비해 유리"하거나 "선호"되는 것이 아니라, "예, 예증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세한 설명은 설명된 기법들의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설명된 예들의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장치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0105] 정보 및 신호들은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0106] 본원의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블록들 및 컴포넌트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0107]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예들 및 구현들은 본 개시내용 및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예컨대, 소프트웨어의 본질로 인해, 상술된 기능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와이어링,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의 결합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을 구현하는 특징들은 또한, 기능들의 부분들이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에서 구현되도록 분산되는 것을 포함하여, 물리적으로 다양한 포지션들에 위치될 수 있다.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그 초과의 항목들의 리스트에서 사용되는 경우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항목들 중 임의의 항목이 단독으로 활용될 수 있거나 또는 열거된 항목들 중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이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컨대, 조성물이 컴포넌트들 A, B 및/또는 C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조성물은 A 만; B 만; C 만; A 및 B의 조합; A 및 C의 조합; B 및 C의 조합; 또는 A, B 및 C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항목들의 리스트(예컨대, 문구 이를테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의 앞에 나오는 항목들의 리스트)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또는"은, 예컨대,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즉, A 및 B 및 C)를 의미하도록 이접적 리스트를 나타낸다.
[0108]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나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컨대,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CD(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것들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0109] 본 개시내용의 앞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내용을 실시하거나 이용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경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본원에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를 따른다.

Claims (27)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AP(access point)에 의해 제1 STA(station)와 제2 STA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STA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STA가 STA들의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STA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2 STA가 STA들의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AP에 의해, 상기 제1 STA로부터의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및
    다운링크 송신을 상기 AP로부터 상기 제2 STA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과 동시적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다운링크 송신을 상기 AP로부터 상기 STA들의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업링크 송신을 STA들의 상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2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과 동시적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TA의 위치 정보, 상기 제2 STA의 위치 정보, 또는 둘 모두는, 상기 AP와 관련되는 신호들의 DoA(direction of arrival) 및 RTT(round trip tim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TA가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과 상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 사이의 평균 물리적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과 상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 사이의 평균 물리적 거리가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STA가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과 상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 사이의 평균 물리적 거리가 최대화되는 경우, 상기 제1 STA가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STA에 대한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 둘 모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STA를 배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 또는 둘 모두의 STA들에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P는,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와 상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풀 듀플렉스 동작들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P와 상기 제1 STA 사이의 채널, 상기 AP와 상기 제2 STA 사이의 채널 및 상기 제1 STA와 상기 제2 STA 사이의 채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것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를, 사운딩(sounding) 동작을 사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CSI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0.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1 STA(station)와 제2 STA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STA로부터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AP(access point)의 수신기;
    상기 제1 STA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STA가 STA들의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제2 STA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2 STA가 STA들의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기 위한 상기 AP의 통신 관리기; 및
    다운링크 송신을 상기 AP로부터 상기 제2 STA에 전송하기 위한 상기 AP의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과 동시적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제2 다운링크 송신을 상기 AP로부터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에 추가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기는 제2 업링크 송신을 상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2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과 동시적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AP와 관련되는 신호들의 DoA(direction of arrival) 및 RTT(round trip tim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STA의 위치 정보, 상기 제2 STA의 위치 정보, 또는 둘 모두를 획득하기 위한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관리기는,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과 상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 사이의 평균 물리적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STA가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기 위한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관리기는,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과 상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 사이의 평균 물리적 거리가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STA가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기 위한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관리기는,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과 상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 사이의 평균 물리적 거리가 최대화되는 경우, 상기 제1 STA가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기 위한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관리기는, 적어도 하나의 STA에 대한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 둘 모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STA를 배제하기 위한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 또는 둘 모두의 STA들에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AP의 상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와 상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풀 듀플렉스 동작들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관리기는,
    상기 AP와 상기 제1 STA 사이의 채널, 상기 AP와 상기 제2 STA 사이의 채널 및 상기 제1 STA와 상기 제2 STA 사이의 채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것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를, 사운딩(sounding) 동작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CSI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AP(access point)에 의해 제1 STA(station)와 제2 STA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STA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STA가 STA들의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제2 STA의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2 STA가 STA들의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AP에 의해, 상기 제1 STA로부터의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다운링크 송신을 상기 AP로부터 상기 제2 STA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과 동시적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TA의 위치 정보, 상기 제2 STA의 위치 정보, 또는 둘 모두는, 상기 AP와 관련되는 신호들의 DoA(direction of arrival) 및 RTT(round trip tim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과 상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 사이의 평균 물리적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STA가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과 상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 사이의 평균 물리적 거리가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STA가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과 상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의 STA들 사이의 평균 물리적 거리가 최대화되는 경우, 상기 제1 STA가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STA에 대한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 둘 모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STA를 배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 및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 또는 둘 모두의 STA들에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AP는, 상기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와 상기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풀 듀플렉스 동작들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AP와 상기 제1 STA 사이의 채널, 상기 AP와 상기 제2 STA 사이의 채널 및 상기 제1 STA와 상기 제2 STA 사이의 채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것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를, 사운딩(sounding) 동작을 사용하여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결정된 CSI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7.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통신을 위한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AP(access point)에 의해, 제1 STA(station)와 제2 STA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하고;
    상기 제1 STA의 상기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STA가 STA들의 제1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게 하고;
    상기 제2 STA의 상기 위치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2 STA가 STA들의 제2 하프 듀플렉스 세트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게 하고;
    상기 AP에 의해, 상기 제1 STA로부터의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다운링크 송신을 상기 AP로부터 상기 제2 STA에 전송하게 하며,
    상기 다운링크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의 적어도 일 부분과 동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통신을 위한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77033241A 2015-05-19 2016-05-17 풀 듀플렉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향상된 스케줄링 절차 KR201800084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15,839 2015-05-19
US14/715,839 US9647823B2 (en) 2015-05-19 2015-05-19 Enhanced scheduling procedure for full duplex access point
PCT/US2016/032893 WO2016187208A1 (en) 2015-05-19 2016-05-17 Enhanced scheduling procedure for full duplex access poi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498A true KR20180008498A (ko) 2018-01-24

Family

ID=5636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241A KR20180008498A (ko) 2015-05-19 2016-05-17 풀 듀플렉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향상된 스케줄링 절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47823B2 (ko)
EP (1) EP3298858A1 (ko)
JP (1) JP2018520557A (ko)
KR (1) KR20180008498A (ko)
CN (1) CN107624228A (ko)
BR (1) BR112017024620A2 (ko)
CA (1) CA2982834A1 (ko)
WO (1) WO20161872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64345B (zh) * 2014-06-05 2019-03-12 英特尔Ip公司 用于全双工无线通信的干扰管理技术
US10469197B2 (en) * 2015-09-25 2019-11-05 Sony Corporatio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US10257108B2 (en) * 2017-03-28 2019-04-09 Intel Corporation Scheduler to improve fairness and throughput for full-duplex WiFi communications
EP3678300A4 (en) 2017-08-28 2020-07-29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US20200154443A1 (en) * 2018-11-08 2020-05-14 Qualcomm Incorporated Full-duplex access points
US20220046611A1 (en) * 2020-08-04 2022-02-10 Qualcomm Incorporated Group common full-duplex (fd) beam
US11895652B2 (en) * 2020-12-04 2024-02-06 Qualcomm Incorporated Beam adjustment/cancellation rules for non-compatible UL/DL beams
US11848896B2 (en) * 2020-12-31 2023-12-1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TDD slot format selection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425000A (en) 1999-10-01 2001-05-10 Nokia Corporation A radio link system
US8112038B2 (en) * 2006-09-15 2012-02-07 Futurewei Technologies, Inc. Beamforming with imperfect channel state information
KR101511786B1 (ko) * 2008-06-30 201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파수 분할 이중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및 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의 이용 방법
US9887728B2 (en) 2011-02-03 2018-02-0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ingle channel full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s
US9137788B2 (en) 2011-09-05 2015-09-15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full duplex radios
KR20130056086A (ko) * 2011-11-21 2013-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간섭 정렬 기법을 이용한 다중 릴레이 전송 장치 및 방법
EP2850741B1 (en) 2012-05-13 2019-05-01 Amir Khandani Distributed collaborative signaling in full duplex wireless transceivers
CN103458420B (zh) 2012-05-31 2016-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8861443B2 (en) * 2012-09-20 2014-10-1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full-duplex wireless systems with simultaneous transmission reception
US9419777B2 (en) 2013-07-15 2016-08-16 Zte Corporation Full duplex oper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9929851B2 (en) 2013-09-16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full duplex communication over a wirel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20557A (ja) 2018-07-26
EP3298858A1 (en) 2018-03-28
BR112017024620A2 (pt) 2018-07-31
WO2016187208A1 (en) 2016-11-24
CA2982834A1 (en) 2016-11-24
US9647823B2 (en) 2017-05-09
CN107624228A (zh) 2018-01-23
US20160344532A1 (en)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1302B2 (en) Base statio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80008498A (ko) 풀 듀플렉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향상된 스케줄링 절차
AU201828786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JP7147790B2 (ja) 電子機器、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0221318A1 (zh) 一种上行波束管理方法及装置
AU2017292029B2 (en) Techniques for signaling a transmit power headroom in a control field
KR20160026091A (ko) 다중 셀 다중 사용자 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빔 호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RE46709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741571A (zh) 用于无线通信系统的电子设备、 方法和存储介质
WO2017003586A1 (en) Soft access point backend data connection speed within a wi-fi beacon
KR20190007415A (ko) 통신 방법, 네트워크 장비 및 단말 장비
US201400642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scovery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85740A (ko) 단말 장치, 기지국, 방법 및 기록 매체
CN115250513A (zh) 一种移动性管理方法及通信装置
CN115668835A (zh) 用于侧链路单播和组播的灵活harq机制自适应
CN115152282A (zh) 侧链无线通信的同步优先级
WO2023115472A1 (en) Methods, devices, and medium for communication
WO2022094769A1 (en) Methods for sidelink communications, terminal devices, network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WO2024092579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idelink communications
KR20230086291A (ko) V2x 사이드링크 전송에서 단말간 조정을 위한 인터-단말 선정 방법
EP32973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ynamic control plane signaling of virtual c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