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913A -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호흡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호흡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913A
KR20180007913A KR1020160089468A KR20160089468A KR20180007913A KR 20180007913 A KR20180007913 A KR 20180007913A KR 1020160089468 A KR1020160089468 A KR 1020160089468A KR 20160089468 A KR20160089468 A KR 20160089468A KR 20180007913 A KR20180007913 A KR 20180007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breathing
information
frequency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1004B1 (ko
Inventor
윤승주
박상현
최윤지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9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00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4Acoustic sensors

Abstract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으로, 들숨시 발생하는 제 1 소리정보와 날숨시 발생하는 제 2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소리정보 및 제 2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호흡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현장에서 환자의 호흡소리를 청음하여 호흡량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자가호흡량을 실시간으로 알려줌으로써 무호흡 또는 호흡감소 등의 문제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호흡 관리 방법{Method for prediction of respiration volume using breathing sound and controlling respir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호흡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자가호흡 및 투입되는 산소량을 실시간으로 알려줌으로써 무호흡 또는 호흡감소 등의 문제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호흡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술이나 간단한 수술시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키기 위해 진정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환자는 자가 호흡으로 호흡을 유지해야 하나 , 진정 시 환자가 마취 약제에 민감하거나 약제가 과다 투여되는 경우 무호흡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사망사고가 발생한다.
진정 시 호흡 억제는 호흡 감소 후 무호흡의 순서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마취제로 인한 빠른 호흡 억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호흡 감소를 예측하고 무호흡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정상 성인은 1분에 250 ml 정도의 산소를 소모하며 대기 중에서 저환기로 인하여 폐포 환기가 1.5 L/분 이하가 되면 저산소증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진정 시 호흡량이 감소하더라도 최소 호흡량이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호흡량을 정량화하여 산소량을 유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특히 고령이나 소아의 진정 시에는 호흡 중단이 발생하게 되면 성인에 비하여 산소 예비력이 작기 때문에 빠른 체내 산소량의 감소로 나타난다. 심지어 폐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호흡을 하고 있더라도 호흡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산소량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호흡량을 정량화할 수 있으면 진정 중 마취제에 의한 호흡량 조절 시 좀더 신속하고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청음 신호만을 가지고 호흡량 추산을 하는 의료기기 존재하지 않고 존재하는 기기도 단순 청음소리를 그래프화 시키는 수준으로 호흡 유무만을 확인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진정시 사용하기에 충분치 않은 점이 있다. 그러므로 청음 기반으로 호흡량을 추산할 있다면, 환자의 호흡 패턴 및 유입되는 산소량에 대한 정보를 간접적으로 얻을 수 있어 진정시술시 도움이 될 수 있다. 현재는 단순 청음소리를 그래프화 시키는 수준으로 호흡 유무만을 알려주고 청음 이외 추가 정보를 주지 않아 이미 무호흡이 발생하게 된 후 의료진에게 정보가 주어지기 때문에 무호흡에 대한 처치가 늦어져 환자가 무호흡으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호흡의 감소를 아는 것에 반하여 높다.
따라서, 호흡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청음을 활용하여 호흡량을 계산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호흡시 발생하는 소리를 청음하고, 이로부터 호흡량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으로, 들숨시 발생하는 제 1 소리정보와 날숨시 발생하는 제 2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소리정보 및 제 2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호흡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소리정보와 제 2 소리정보는 소리 주파수, 크기 및 시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흡량은 상기 제 1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들숨 주파수의 강도(크기)와, 상기 제 2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날숨 주파수의 강도(크기)로부터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흡량은 상기 제 1 및 제 2 소리정보의 주파수별 소리 크기의 총합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소리정보와 제 2 소리정보는 부착형 청음센서로부터 획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흡량은, 호흡 소리의 크기
Figure pat00001
는 하기 식 (1)로 계산되며,
Figure pat00002
(1)
소리의 총합은 하기 식 (2)로 계산되며,
Figure pat00003
(2)
호흡량은 하기 식 (3)으로 계산된다.
Figure pat00004
(3)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에 따라 호흡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호흡량을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호흡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에 사용되는 청음센서를 제공하며, 상기 청음센서는 신체 부착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장치로서, 호흡시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기 위한 청음센서;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청음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고역통과 필터; 상기 청음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소리를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할 수 있는 계수기; 및 상기 분석된 주파수 영역 분석값과 시간 영역 분석값을 이용하여 호흡량을 계산하는 호흡량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청음센서는 상기 들숨시 발생하는 제 1 소리정보와 날숨시 발생하는 제 2 소리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 1 소리정보와 제 2 소리정보는 소리 주파수, 크기 및 시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흡량 계산부는 상기 제 1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들숨 주파수의 강도(크기)와, 상기 제 2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날숨 주파수의 강도(크기)로부터 호흡량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흡량 계산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소리정보의 주파수별 소리 크기의 총합으로 호흡량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현장에서 환자의 호흡소리를 청음하여 호흡량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자가 호흡량과 산소량을 실시간으로 알려줌으로써 무호흡 또는 호흡감소 등의 문제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에 따른 청음기반 호흡량 산출 진단 장비의 블록도 및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에 따른 호흡량 분석 방법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음 기반 호흡량 분석의 일시예로서 청음의 분석 및 계산과정을 통하여 들숨과 날숨과 호흡량을 그래프화 시킨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관리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획득된 들숨과 날숨의 주파수정보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의 호흡을 이루는 들숨과 날숨의 소리 패턴이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즉, 들숨을 통하여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가 환자 폐로 들어간 후, 날숨을 통하여 환자 몸으로부터 나오는데 두 숨 사이에 소리 패턴과 소리 크기가 차이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즉, 본 발명자는 폐의 호흡이 횡격막과 흉곽의 운동에 의해서 진행되며, 횡격막이 하강하고 흉곽이 확장하면서 그 흉곽안의 압력을 변화시켜 대기중의 압력과 폐의 압력 차이에 의해서 호흡하며, 이에 들숨과 날숨의 경우 근육의 운동의 차이에 의해서 생기는 것으로 들숨의 경우 근육이 텐션이 가해지는 것이고, 날숨의 경우 근육의 이완에 의해서 생기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러므로 호흡음은 날숨과 들숨이 각각 다르게 표현되고 각각 분석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호흡량을 각각 계산할 수 있고 두 값을 통해 호흡량을 보정하여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에 따른 청음기반 호흡량 산출 진단 장비의 블록도 및 순서도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호흡으로 인하여 생기는 소리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0),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청음 신호를 특정 주파수대역만 통과시키는 필터부(20), 상기 필터부(20)를 거친 신호를 시간축으로 세분화하는 에폭 슬라이딩 윈도우(30), 상기 에폭에서 주파수영역과 시간적영역의 분석을 하는 계수기(40) 및 계수기 값과 사람의 목구멍 크기와 청음의 소리구간을 곱하여 계산하는 계산부(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20)에 사용하는 필터는 청음신호에서 필요한 부분만 통과시킬 수 있는 고역통과 필터(high pass filter), 저역통과 필터(low pass filter) 또는 정합 필터 (matched filter)를 사용할 수 있고, 측정된 청음 신호를 에폭의 시간축으로 처리하기 전에 설치하거나 후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먼저 들숨시 발생하는 제 1 소리정보와 날숨시 발생하는 제 2 소리정보를 획득한다(S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리정보의 획득은 환자 신체에 부착되거나 삽입된 청음센서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리 정보는 소리의 주파수, 크기 및 시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소리의 주파수별 패턴과 소리의 전체양을 비교할 수 있도록 주파수별 소리 크기와 시간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획득된 제 1 소리정보 및 제 2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호흡량을 결정한다(S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흡량은 상기 제 1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들숨 주파수의 강도(크기)와, 상기 제 2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날숨 주파수의 강도(크기)로부터 결정된다. 즉, 들숨의 속도와 날숨의 각각 주파수의 강도(크기)에 따라 호흡량이 계산되고 그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획득된 들숨의 소리정보와 날숨의 소리정보를 각각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에서 X축은 주파수이고, Y축은 주파수별 소리크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들숨의 경우 날숨에 비하여 주파수별 소리크기가 크고, 그 패턴 또한 다소 상이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자는 이러한 들숨 날숨 주파수의 강도(크기)를 바탕으로호흡량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들숨 주파수의 강도(크기)를 바탕으로 호흡량을 계산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호흡의 들숨시 획득된 소리의 주파수별 크기를 적분하여 소리 총합량(주파수별 소리 크기의 총합)을 구하고, 날숨시 획득된 소리의 주파수별 크기를 적분하여 소리 총합량을 구한다. 들숨과 날숨의 소리의 주파수의 강도(크기)의 총합량은 정상인의 경우 그 값이 동일할 가능성이 높고, 소리의 총합량은 호흡량에 크기에 비례 관계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호흡량 측정 방식을 이용하여 환자의 호흡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호흡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관리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호흡 관리 방법은 상술한 방식에 따라 청음 방식으로 호흡량을 측정한다(S110).
이후, 상기 측정된 호흡량을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한다(S210).
만약 호흡량이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즉, 기준치 미만으로 떨어지거나 호흡이 중단되는 경우, 이를 알리는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S310).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근육 운동의 시간변화율이 폐가 팽창하는 과정보다, 폐가 수축을 하게 되는 과정이 더 크며, 이에 들숨과 날숨에 공기 흐름의 속도가 차이가 나게 되고, 이에 따라 청음의 주파수를 보면, 날숨이 들숨보다 상대적으로 고주파수 영역대가 더 존재하는 점으로부터 소리에 기반하여 각기 다른 청음을 바탕으로 날숨과 들숨에서 호흡량을 각각 계산하고 보정하여 제시한다.
도 5a 및 5b는 들숨/날숨에 고역대필터를 적용한 소리 패턴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날숨이 들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주파음역대에서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량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들숨시 발생하는 소리의 하한 주파수
Figure pat00005
, 상한 주파수
Figure pat00006
으로 할 때, 단위시간당 소리의 크기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1)
이때,
Figure pat00009
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지수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소리의 총합은
Figure pat00010
(2)
로 나타낼 수 있다. 소리의 총합과 호흡량의 총합은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Figure pat00011
(3)
의 관계에 있으며, 여기서
Figure pat00012
는 비례상수로서 환자 기도의 크기 및 상태에 의해서 결정되는 값이다.
날숨의 경우 주기
Figure pat00013
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날숨의 시작은 들숨의 호흡음이 끝나는 곳부터 시작이 되며 호흡음이 중단되는 것까지 날숨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날숨과 들숨의 호흡량이 각각 계산될 수 있고 이는 환경과 환자의 상태 그리고 시술 등으로 발생하는 소음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두 호흡량을 각각할 수 있으며 두 값이 같거나 유사한 경우 날숨의 크기를 제시할 수 있고 두 값의 차이가 호흡량 기준 100ml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적은 값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 기준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다.
본 발명은 상술한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장치는, 호흡시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기 위한 청음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청음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고역통과 필터; 상기 청음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소리를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할 수 있는 계수기; 및 상기 분석된 주파수 영역 분석값과 시간 영역 분석값을 이용하여 호흡량을 계산하는 호흡량 계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상기 청음센서는 부착형 센서로서, 상기 들숨시 발생하는 제 1 소리정보와 날숨시 발생하는 제 2 소리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 1 소리정보와 제 2 소리정보는 소리 주파수, 크기 및 시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흡량 계산부는 상기 제 1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들숨 주파수의 강도(크기)와, 상기 제 2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날숨 주파수의 강도(크기)로부터 호흡량을 결정하며, 상기 호흡량 계산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소리정보의 주파수별 소리 크기의 총합으로 호흡량을 결정한다. 상기 호흡량 계산부에 의한 호흡량 계산방법은 상술한 식을 따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으로, 들숨시 발생하는 제 1 소리정보와 날숨시 발생하는 제 2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소리정보 및 제 2 소리정보로부터 호흡량을 역추산하는 방법으로 소리의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에서 분석을 통하여 처리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청음 신호를 먼저 고역통과 필터를 통과시켜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고 이를 호흡의 시간에 의존하여 일정한 크기로 잘라 에폭(epoch)을 만든다. 여기서 각 에폭별로 호흡량을 분석하게 되며, 신호의 중심주파수, Spectral Edge Frequency 등 주파수 영역의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들숨과 날숨을 판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호흡량을 측정하는 호흡량 산출 진단 장치의 구성은, 청음을 측정하기 위한 청음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청음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고역통과 필터, 상기 고역통과 필터를 거친 신호를 시간축으로 세분화하는 에폭 슬라이딩 윈도우(epoch sliding window), 상기 에폭에서 청음을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할 수 있는 계수기 및 주파수 영역 분석값과 시간 영역 분석값을 이용하여 호흡량을 계산하는 호흡량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청음센서로부터측정된 청음 신호를 저역통과 필터를 사용하고, 호흡량 값은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호흡량 계산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호흡량 값은 잡음에 의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노이즈 제거부 및 퓨리에 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결정되고, 청음 계산부는 청음의 고차함수 또는 지수함수로 변환시켜 적분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Claims (14)

  1.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으로,
    들숨시 발생하는 제 1 소리정보와 날숨시 발생하는 제 2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소리정보 및 제 2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호흡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리정보와 제 2 소리정보는 소리 주파수, 크기 및 시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량은 상기 제 1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들숨 주파수의 강도(크기)와, 상기 제 2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날숨 주파수의 강도(크기)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량은 상기 제 1 및 제 2 소리정보의 주파수별 소리 크기의 총합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리정보와 제 2 소리정보는 부착형 청음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량은,
    호흡 소리의 크기
    Figure pat00014
    는 하기 식 (1)로 계산되며,
    Figure pat00015
    (1)
    소리의 총합은 하기 식 (2)로 계산되며,
    Figure pat00016
    (2)
    호흡량은 하기 식 (3)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Figure pat00017
    (3)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호흡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호흡량을 기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호흡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관리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에 사용되는 청음센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센서는 신체 부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센서.
  10.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장치로서,
    호흡시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기 위한 청음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청음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고역통과 필터;
    상기 청음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소리를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할 수 있는 계수기; 및
    상기 분석된 주파수 영역 분석값과 시간 영역 분석값을 이용하여 호흡량을 계산하는 호흡량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센서는,
    상기 들숨시 발생하는 제 1 소리정보와 날숨시 발생하는 제 2 소리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리정보와 제 2 소리정보는 소리 주파수, 크기 및 시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량 계산부는 상기 제 1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들숨 주파수의 강도(크기)와, 상기 제 2 소리정보로부터 결정된 날숨 주파수의 강도(크기)로부터 호흡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량 계산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소리정보의 주파수별 소리 크기의 총합으로 호흡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장치.
KR1020160089468A 2016-07-14 2016-07-14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호흡 관리 방법 KR101861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468A KR101861004B1 (ko) 2016-07-14 2016-07-14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호흡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468A KR101861004B1 (ko) 2016-07-14 2016-07-14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호흡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913A true KR20180007913A (ko) 2018-01-24
KR101861004B1 KR101861004B1 (ko) 2018-05-24

Family

ID=6102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468A KR101861004B1 (ko) 2016-07-14 2016-07-14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호흡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0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9338A (zh) * 2020-05-29 2021-12-03 高俊阁 一种智能工矿头盔及其监测方法
WO2021253093A1 (en) * 2020-06-18 2021-12-23 ResApp Health Limited Event detection in subject sounds
WO2022239317A1 (ja) * 2021-05-13 2022-11-1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呼吸測定方法、呼吸測定装置および呼吸測定システム
CN113729338B (zh) * 2020-05-29 2024-05-14 高俊阁 一种智能工矿头盔及其监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64029A1 (en) * 2004-04-08 2005-10-08 Valery Telfort Non-invasive ventilation moni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9338A (zh) * 2020-05-29 2021-12-03 高俊阁 一种智能工矿头盔及其监测方法
CN113729338B (zh) * 2020-05-29 2024-05-14 高俊阁 一种智能工矿头盔及其监测方法
WO2021253093A1 (en) * 2020-06-18 2021-12-23 ResApp Health Limited Event detection in subject sounds
WO2022239317A1 (ja) * 2021-05-13 2022-11-1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呼吸測定方法、呼吸測定装置および呼吸測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004B1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10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leep stage
EP3268073B1 (en) Respiratory therapy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EP3337388B1 (en) Screener for sleep disordered breathing
JP5039057B2 (ja) いびき検出を備えるコンピュータ制御cpapシステム
JP2021007792A (ja) 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2008507316A (ja) 非接触マイクを使用する呼吸パターン決定のための装置と方法
WO20150628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health deterioration
EP40967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mouth leak
CN108366756B (zh) 基于呼吸气体确定对象的呼吸特征的装置、系统和方法
KR101861004B1 (ko) 청음 기반 호흡량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호흡 관리 방법
US202200235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management of airway pressure for detection and/or prediction of respiratory failure
US10821246B2 (en)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operating situations in a medical device
KR102379320B1 (ko)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개인 상관계수 기반의 맞춤형 호흡량 측정 장치 및 방법
Smallwood et al. Pressure attenuation during high-frequency airway clearance therapy across different size endotracheal tubes: an in vitro study
KR102379321B1 (ko)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개인 상관계수 기반의 맞춤형 호흡량 측정 시스템
EP3991772A1 (en) Controlling ventilation of a patient based on filtered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s
CN116490234A (zh) 对人工呼吸时的异步的识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