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831A - A folding wheelchair with an excretion device - Google Patents

A folding wheelchair with an excre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831A
KR20180007831A KR1020160089236A KR20160089236A KR20180007831A KR 20180007831 A KR20180007831 A KR 20180007831A KR 1020160089236 A KR1020160089236 A KR 1020160089236A KR 20160089236 A KR20160089236 A KR 20160089236A KR 20180007831 A KR20180007831 A KR 20180007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chair frame
opening
movable board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청-피아오 라이
팅-유 라이
Original Assignee
청-피아오 라이
팅-유 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피아오 라이, 팅-유 라이 filed Critical 청-피아오 라이
Priority to KR1020160089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7831A/en
Publication of KR20180007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8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61G5/08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 A61G5/081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folding side to side, e.g. reducing or expanding the overall width of the wheelchai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wheel chair with an excretion device and includes an aperture at the center of a seat to be coupled with the excretion device. The excretion device comprises: two operable boards having a soft pad; two operation units correspondingly installed to a side surface of a lower surface of one of the operable boards for operation, respectively; and a container bag for receiving excretion, wherein the operable board has a soft pad for moving within the aperture when the operable board is closed, thereby providing a folding wheel chair on which a user is able to ease oneself while sitting thereon.

Description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절첩식 휠체어{A FOLDING WHEELCHAIR WITH AN EXCRETION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wheelchair having an excretion device,

본 발명은 절첩식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용변을 보기 위한 배설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절첩식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wheel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wheelchair provided with an excretion device for viewing a user while sitting on a wheelchair.

노령 세대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휠체어가 우리 사회에서 더욱 주목되고 있다. 휠체어는 장애인과 부상자에게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별도의 도움과 지원이 요구되는 노인에게도 필요하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종류의 휠체어가 개발되고 있다.As the elderly generation rapidly increases, wheelchairs are attracting more attention in our society. Wheelchairs are not only neede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injuries, but also for seniors who need extra help and support in their everyday lives. Therefore, various types of wheelchairs have been developed to satisfy various demands of users.

도 1은 본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는 절첩식 휠체어(10)를 도시하고 있다. 용이한 운반과 편리한 보관을 고려하면, 절첩식 휠체어(10)는 교차 브레이스(cross brace; 12)를 갖는 대칭구조의 의자 프레임(11)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휠체어(11)의 측면에는 두 개의 바퀴가 대칭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의자 프레임(11)의 전방 하부에는 두 개의 다리 바퀴(caster; 14)가 대칭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의자 프레임(11) 사이에는 시트(15)가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대칭적인 등받이 프레임(16)과 두 개의 푸쉬 핸들(17)이 의자 프레임(1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한다. 등받이 프레임(16) 사이에는 브래킷(18)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휠체어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휠체어를 휴대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용변의 욕구를 느낄 때, 사용자는 휠체어를 화장실까지 이동시켜야 한다. 몇몇 경우에는, 그 사용자의 간병인이 그 일을 해야만 하는바, 그 일은 큰 수고를 요한다. 이러한 문제는 사용자가 중증 장애인이거나 심하게 부상을 입은 경우에 더욱 악화된다.Figure 1 shows a foldable wheelchair 10 that is well known in the art. In consideration of easy transportation and convenient storage, the folding wheelchair 10 basically has a chair frame 11 of a symmetrical structure having a cross brace 12. Two wheels are symmetrically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wheelchair 11, and two leg wheels (caster) 14 are provided symmetrically on a front lower portion of the chair frame 11. A seat 15 is disposed between the chair frames 11. Two symmetrical backrest frames 16 and two push handles 17 extend upwardly from the chair frame 11. [ A bracket 18 is disposed between the backrest frames 16.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wheelchair can be moved, and the user can carry the wheelchai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owever, when the user feels desire, the user must move the wheelchair to the toilet. In some cases, the user's caregiver has to do the job, which requires a lot of work. These problems are exacerbated if the user is severely disabled or seriously injured.

도 2A 및 도 2B는 배뇨 또는 배변 기능을 갖는 절첩식 휠체어(10A)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휠체어는, 절첩식 휠체어(10A)가 교차 브레이스(121)에 조리된 의자 프레임(120)과, 그 의자 프레임(120) 상에 배치된 시트(130)를 구비하는 점과, 의자 프레임(120) 하방에는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한 컨테이너(140)가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전술한 휠체어와 구조적으로 상이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휠체어(10A)를 접기 전에 시트(130)와 컨테이너(140)를 제거하여야 하므로, 큰 불편함을 야기한다. 반면, 시트(130)는 용변을 보기 위하여 그 중심에 형성된 개구(131)를 갖는다. 사용자가 배설 이외에 오랫동안 휠체어(10A)에 앉아 있다면, 기분이 언짢게 되는 것은 자명하다. 시장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여러 종류의 휠체어가 존재하지만, 접기 전에 구성요소를 제거하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다시 말하면, 여전히 유감스러운 점이 있다. 2A and 2B show a folding wheelchair 10A having a urination or defecation function. This wheelchai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wheelchair 10A has a chair frame 120 cooked in a cross brace 121 and a seat 130 disposed on the chair frame 120 and a chair frame 120 The lower portion is structurally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wheel chair in that a container 140 for the user to view the toilet is disposed. However, this structure causes a great inconvenience because the seat 130 and the container 140 must be removed before the wheelchair 10A is folded. On the other hand, the sheet 130 has an opening 131 formed at its center for viewing the bowl. If the user is sitting on the wheelchair 10A for a long period of time other than the excretion, it is obvious that the user feels uncomfortable. There are many kinds of wheelchairs with similar functions in the market, but there is still a problem of removing components before folding. In other words, there is still a pitfall.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적인 휠체어로서의 기본 기능 이외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는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절첩식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ing wheelchair having an excretion device capable of seeing a user in a sitting state in addition to a basic function as a conventional wheelchai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절첩식 휠체어를 포함하는바, 상기 절첩식 휠체어는 후방에 배치된 두 개의 대칭적인 푸쉬 핸들과 그 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팔걸이를 갖는 절첩식 의자 프레임과; 안정적인 절첩을 위하여 의자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수의 교차 부재를 갖는 교차 브레이스와; 의자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절첩식 시트와; 의자 프레임에 결합된 후방 프레임 상에 배치된 절첩식 등받이와; 의자 프레임 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바퀴와; 의자 프레임의 전방 하부 아래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다리 바퀴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lding wheelchair having an excretion device, wherein the folding wheelchair includes two symmetrical push handles disposed at the rear and two armrests A folding chair frame; A cross brace having a plurality of cross members coupled to the chair frame for stable folding; A folding sheet for connecting between the chair frames; A folding back disposed on a rear frame coupled to the chair frame; Two wheels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hair frame; And two leg wheels symmetrically disposed below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chair frame.

배설 장치는 시트의 개구 하방에 위치하고, 개구 하방에 인접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표면적이 개구 보다 큰 두 개의 가동형 보드와, 상기 가동형 보드의 개폐 작동을 위하여 가동형 보드의 저면으로부터 의자 프레임의 양 측면으로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작동 유닛과, 가동형 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 인접한 측면 하방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후크와, 방수 재료로 제조되며,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컨테이너 백을 포함하며, 상기 보드 각각은 자유단으로 기능하는 가까운 측면과, 위치설정 부재에 의하여 시트의 저면에 고정된 먼 측면과, 상기 가동형 보드가 폐쇄될 때 개구에 끼워지는 패드를 가지며, 상기 작동 유닛 각각은 3세트의 연결 바아를 갖는 연결 유닛을 가지며, 그 중에서 한 쌍의 제1 연결 바아의 일단부가 한 쌍의 제1 힌지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가동형 보드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한 쌍의 제2 힌지에 의하여 한 쌍의 제2 연결 바아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힌지 각각은 변위를 위하여 한 세트의 슬라이딩 슈트에 결합하고, 제2 연결 바아의 타단부는 한 쌍의 제3 연결 바아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제3 연결 바아는 팔걸이 중 어느 하나의 하방에 배치된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연결된 가동형 보드가 제3 연결 바아의 수직 변위에 따라 개폐되고, 상기 컨테이너 백의 단부는 컨테이너 백이 가동형 보드 하방에 매달리며 가동형 보드가 개방될 때 용변을 받아 내기 위하여 받치고 개방되도록 후크의 위치에 대응하는 개방 단부의 인접한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구멍을 갖는다.The excretion device includes two movable boards located below the opening of the seat, symmetrically adjacent to the opening below the opening, and having a surface area larger than the opening, A plurality of hooks disposed correspondingly below the adjacent side along the edge of the movable board and a container bag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and having an open end, Each of said boards having a proximal side that functions as a free end, a remote side fixed to the bottom of the sheet by the positioning member, and a pad that fits into the opening when said movable board is closed, Each having a connecting unit having three sets of connecting bars, wherein one end of the pair of first connecting bars is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hinges And the other ends ar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pair of second connecting bars by a pair of second hinges, each of the second hinges being connected to one of the movable boards by one set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is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pair of third connecting bars and the third connecting bar moves along the sliding rails disposed below any one of the armrests , The connected movable board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third connecting bar, and the end of the container bag is held at the position of the hook so that the container bag hangs below the movable board and is supported and opened to receive the compartment when the movable board is opened And has a plurality of holes along the adjacent edges of the corresponding open end.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세정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세정 장치는 시트와 교차 부재 사이에서 개구를 향하여 배치되는 스프레이와, 의자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배출구가 펌프에 연결되는 착탈 가능한 물통과, 일단부가 펌프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스프레이에 연결되는 튜브를 구비한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ing apparatus. The cleaning device includes a spray disposed on the chair frame and disposed between the seat and the cross member, a detachable water container having an outlet connected to the pump, and a detachable water contain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ump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ray Tube.

전술한 구조에 의하면, 본 발명은 휴대 및 절첩 가능한 통상의 휠체어의 일반적인 기능들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휠체어 상에서 바로 용변을 불 수 있고, 또한 부가적인 세정을 위하여 세정 장치를 갖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 및 간병인의 부담을 줄여주며, 사용자의 난처한 상황을 회피하기에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leaning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directly use the wheelchair while maintaining the general functions of a foldable and foldable conventional wheelchair, and also for additional cleaning. Therefore, this structure reduces the burden on the user and the caregiver, and is convenient for avoiding the user's embarrassing situation.

도 1은 종래 휠체어의 사시도.
도 2A는 용변을 보기 위한 구조를 구비하는 종래의 휠체어의 분해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휠체어의 사시도.
도 3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A는 다른 각도에서 본 도 3의 또 다른 사시도.
도 4B는 세정 장치가 본 발명의 휠체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4A의 개략도.
도 5는 세정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세정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배설 장치의 분해도.
도 7A는 배설 장치의 컨테이너 백이 받치고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B는 컨테이너 백이 밀봉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배설 장치의 사시도.
도 9A는 통상적인 상태의 배설 장치가 작동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시도.
도 9B는 컨테이너 백이 제거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저면도.
도 9C는 도 9A의 상면도.
도 9D는 도 9B의 정면도.
도 10A는 도 9C의 선 10A-10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10B는 배설 장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11은 폐쇄된 컨테이너 백이 배설 장치 하방에 매달려 있는 것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12는 컨테이너 백이 배설 장치 하방에서 받치고 개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컨테이너 백이 하방에서 받치고 개방되어 있는 배설 장치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14는 접혀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wheelchair;
FIG. 2A is an exploded view of a conventional wheelchair having a structure for viewing a toilet. FIG.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chair shown in Figure 2A;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ig. 4A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Fig. 3 taken at another angle. Fig.
Figure 4B is a schematic view of Figure 4A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device is separate from the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device.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cleaning device.
7 is an exploded view of an excretion device;
7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bag of the excretion device is supported and opened.
7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bag is sealed.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cretion device.
FIG. 9A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the excretory apparatus in a normal state is ready for operation; FIG.
9B is a bottom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tainer bag is removed.
Figure 9C is a top view of Figure 9A.
Figure 9D is a front view of Figure 9B.
FIG. 10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0A-10A in FIG. 9C. FIG.
Fig. 10B is a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the excretion device is in an operating state;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losed container bag hanging below the excretion devic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container bag is supported and opened below the excretion devic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cretion device in which a container bag is supported and opened from below.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lded state;

도 3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절첩식 의자 프레임(20), 교차 브레이스(30), 절첩식 시트(40), 절첩식 등받이(50), 두 개의 바퀴(24), 두 개의 다리 바퀴(25), 개구(41), 배설 장치(60), 및 세정 장치(80)를 구비한다.3 to 10B,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folding chair frame 20, a cross brace 30, a folding seat 40, a folding back 50, two wheels 24, A wheel 25, an opening 41, an excretion device 60, and a cleaning device 80.

의자 프레임(20)은 후방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푸쉬 핸들(21)과 그 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팔걸이(22)를 갖는다. 교차 브레이스(30)는 안정적인 절첩을 위하여 의자 프레임(20)에 결합되는 다수의 교차 부재(31)를 갖는다. 시트(40)는 의자 프레임(20) 사이에 배치된다. 등받이(50)는 의자 프레임(20)에 결합된 후방 프레임(23) 상에 배치된다. 바퀴(24)는 의자 프레임(20) 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리 바퀴(25)는 의자 프레임(20)의 전방 하부 아래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chair frame 20 has two push handles 21 arranged symmetrically rearward and two armrests 22 arranged symmetrically on the sides thereof. The cross braces 30 have a plurality of intersecting members 31 coupled to the chair frame 20 for stable folding. The seat (40) is disposed between the chair frames (20). The backrest (50) is disposed on the rear frame (23) coupled to the chair frame (20). The wheels 24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hair frame 20. [ The leg wheel 25 is disposed symmetrically below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chair frame 20. [

이러한 절첩식 휠체어의 구조는 이미 종래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시트(40)가 인체의 엉덩이의 좌위(坐位)에 대응하여 형성된 개구를 갖는 점에서 그리고 배설 장치(60)가 휠체어 상에서 편리한 배설을 위하여 시트(40)의 개구(41) 하방에 위치하는 점에 있다.The structure of such a folding wheelchair has already been well known in the art.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eat 40 has an opening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itting position of the hip of the human body and that the excretion device 60 is located below the opening 41 of the seat 40 for convenient excretion on the wheelchair As shown in FIG.

배설 장치(60)는 두 개의 가동형 보드(61), 두 개의 작동 유닛(64), 다수의 후크(69), 및 컨테이너 백(70)을 갖는다.The excretion device 60 has two movable boards 61, two operation units 64, a plurality of hooks 69, and a container bag 70.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동형 보드(61)는 개구(41) 하방에 인접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그 표면적은 개구(41)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형 보드(61)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그 각각은 자유단으로 기능하는 가까운 측면과, 위치설정 부재(62)에 의하여 시트(40)의 저면에 고정된 먼 측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설정 부재(62)는 다수의 리벳(42)에 의하여 고정된다. 가동형 보드(61)는 작동 시에 하방으로 개방되고, 다시 폐쇄된다. 게다가, 가동형 보드(61)의 상부면에는 두 개의 패드(63)가 배치되어, 가동형 보드(61)가 폐쇄될 때 개구(41)에 끼워진다. 패드(63)는 개구(41)의 평탄면과 동일한 높이 또는 그보다 약간 높아야 한다.7 and 8, the movable board 61 is symmetrically disposed adjacent to and below the opening 41, and its surface area is larger than the opening 41. [ In this embodiment, the movable board 61 is made of plastic, each of which has a near side functioning as a free end and a far sid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40 by the positioning member 62 .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ing member 62 is fixed by a plurality of rivets 42. [ The movable board 61 is opened downward and closed again in operation. In addition, two pads 63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board 61 so as to be fitted in the opening 41 when the movable board 61 is closed. The pad 63 should be the same height as the flat surface of the opening 41 or slightly higher.

작동 유닛(64)은 가동형 보드(61)의 저면으로부터 의자 프레임(20)의 양 측면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작동한다. 작동 유닛(64) 각각은 적어도 3세트의 연결 바아를 갖는 연결 유닛(640)을 가지며, 그 중에서 한 쌍의 제1 연결 바아(641)의 일단부가 한 쌍의 제1 힌지(65)에 의하여 가동형 보드(61)의 어느 하나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한 쌍의 제2 힌지(66)에 의하여 한 쌍의 제2 연결 바아(642)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힌지(66) 각각은 변위를 위하여 한 세트의 슬라이딩 슈트(chute; 67)에 결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힌지(66)는 작동 시에 슬라이딩 슈트(67)를 따라 변위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블럭(661)을 또한 갖는다. 제2 연결 바아(642)의 타단부는 피벗 결합부(644)에서 한 쌍의 제3 연결 바아(643)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3 연결 바아(643)는 또한 팔걸이(22) 하방에 대응하여 배치된 두 개의 슬라이딩 레일(68)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수직방향 변위에 따라 연결된 가동형 보드(61)를 개폐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s 64 are symmetrically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chair frame 20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board 61 and open and close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Each of the operation units 64 has a connecting unit 640 having at least three sets of connecting bars and one end of the pair of first connecting bars 641 is operated by a pair of first hinges 65 Shaped boards 61 and the other end is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pair of second connecting bars 642 by a pair of second hinges 66. [ Each of the second hinges 66 is coupled to a set of sliding chutes 67 for displacement.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hinge 66 also has a sliding block 661 to be displaceable along the sliding chute 67 in opera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642 is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air of third connecting bars 643 at the pivotal connecting portion 644. The third connecting bar 643 is also movable along the two sliding rails 68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rmrest 22 so that the movable board 61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bar 643 can b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vertical displacement.

본 실시예에서, 제3 연결 바아(643)의 세트 각각은 결합을 위하여 상부에 배치된 가압판(26)을 또한 가지며, 제3 연결 바아(643)의 하단부는 작동 시에 의자 프레임(20) 상에 대응하여 마련된 관통 개구(27)를 통해 각각 결합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26)이 하방으로 가압되어 제3 연결 바아(643)를 이동시키면, 제3 및 제1 연결 바아(642 및 641)는 피벗 결합으로 인하여 변위되어, 결합된 가동형 보드(61)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다. 반대로, 가압판(26)이 상방으로 당겨지고 동시에 제3 연결 바아(643)가 상방으로 당겨지면, 제2 및 제2 연결 바아(642 및 641)는 원위치로 이동하여,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가동형 보드(61)를 폐쇄한다. 작동 유닛(64)이 팔걸이(22) 하방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다. Each of the third set of connecting bars 643 also has a platen 26 disposed thereon for engagement and the lower end of the third connecting bar 643 is mounted on the chair frame 20 Respectively, through the through-holes 27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through-holes. 10B, when the pressure plate 26 is pushed downward to move the third connecting bar 643, the third and first connecting bars 642 and 641 are displaced due to the pivotal connection, The movable board 61 is opened and the user can see the toilet. Conversely, when the pressure plate 26 is pulled upward and the third connecting bar 643 is pulled upward, the second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s 642 and 641 move to the home position, Closing the combined movable board (61). Since the operation unit 64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rmrest 22, the operation unit 64 can be easily operated by the user.

후크(69)는 가동형 보드(61)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 인접한 측면 하방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도 7 및 도 7A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백(70)은 방수 재료로 제조되고, 개방된 단부(71)를 가지며, 그 단부는 가동형 보드(61) 하방에 매달리며 가동형 보드(61)가 도 10B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 때 용변을 받아 내기 위하여 받치고 개방되는 컨테이너 백(70)을 위하여 후크(69)의 위치에 대응하는 개방 단부(71)의 인접한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구멍(72)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백(70)의 개방 단부(71)는 두 개의 지퍼(73)를 갖는바, 하나는 구멍(72) 상방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후크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도 7B에 따르면, 컨테이너 백(70)은 사용 이후에 지퍼(73)로 편리하게 밀봉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A에는 컨테이너 백(70)이 후크(69)에 매달리기 이전의 배설 장치(60)의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The hooks 69 ar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adjacent side along the edge of the movable board 61. 7 and 7A, the container bag 70 is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and has an open end 71, the end of which hangs below the movable board 61, 12B and along the contiguous edge of the open end 7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hook 69 for the container bag 70 which is supported and opened to receive the container when opened as shown in Fig. 72). In this embodiment, the open end 71 of the container bag 70 has two zippers 73, one is disposed above the hole 72, Respectively. In addition, according to Fig. 7B, the container bag 70 can be conveniently sealed to the zipper 73 after use. Figs. 3 to 10A show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excretion device 60 before the container bag 70 is hooked on the hook 69. Fig.

도 11은 컨테이너 백(70)이 폐쇄된 가동형 보드(61) 하방에 매달려 있는 통상적인 휠체어로서 본 발명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용변을 봐야하는 경우에, 본 발명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형 보드(61)를 개방하는 것과 동시에 컨테이너 백(70)을 받치고 열기 위하여 간단히 가압판(26)을 아래로 밀어 제3 연결 바아(643)를 이동시키고 또한 제2 및 제1 연결 바아(642 및 641)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즉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배설 장치(90)를 구비하는 휠체어 상에서 바로 용변을 볼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어디로 외출하는 경우에, 본 발명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한 휴대를 위하여 절첩 가능하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 후방 프레임(23) 상에 절첩부(231)가 설치되어 있다.Fig. 11 shows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ventional wheelchair in which the container bag 70 is suspended below the closed movable board 61. Fig. In the case where the user has to see a bowl,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simply by pressing the platen 26 downward to open and hold the container bag 70 at the same time as opening the movable board 61 as shown in Figs. It can be actuated immediately by pushing the third connecting bar 643 and also moving the second and first connecting bars 642 and 641. Therefore, the user can conveniently see the toilet on the wheelchair with the excretion device 90 convenientl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user goes o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lded for easy carrying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lding section 231 is provided on the rear frame 23. [

다시 도 4 내지 도 6으로 되돌아가면, 본 발명은 또한 용변 이후에 세정을 위한 세정 장치(80)를 구비한다. 세정 장치(80)는 스프레이(81), 탈착가능한 물통(82), 및 튜브(84)를 갖는다. 스프레이(81)는 시트(40)와 교차 부재(31) 사이에서 개구(41)를 향하여 배치된다. 물통(82)은 의자 프레임(20) 상에 배치되며, 배출구(821)가 펌프(82)에 연결되어 있다. 튜브(84)는 일단부가 펌프(83)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스프레이(81)에 연결되어 있다.Returning again to Figures 4-6,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cleaning device 80 for cleaning after use. The cleaning device 80 has a spray 81, a removable water reservoir 82, and a tube 84. The spray 81 is disposed toward the opening 41 between the seat 40 and the cross member 31. The water bottle 82 is disposed on the chair frame 20, and the discharge port 821 is connected to the pump 82. One end of the tube 84 is connected to the pump 83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pray 81.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결합 부재(33)가 교차 부재(31)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결합 부재(33)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장치(80)의 튜브(84)를 위하여 중공 힌지(34)에 의하여 교차 결합되어, 튜브가 그것을 통과해서 스프레이(81)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휠체어 상의 사용자는 용변 이후에 세정 장치(80)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wo engaging members 33 ar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ross member 31, and the engaging member 33 is provided for the tube 84 of the cleaning device 80 as shown in Fig. 9D Is cross-coupled by a hollow hinge (34) so that the tube passes through it and is connected to the spray (81). Therefore, the user on the wheelchair can operate the cleaning device 80 after the use of the toilet.

또한, 베이스(51)와 벨트(52)가 등받이(50)의 후방에 설치되어, 물통(82)이 베이스(51) 상에 배치되어 벨트(52)에 의하여 고정된다. 베이스(51)는 캔버스 천 또는 직물로 제조되며, 제1 내부면(511)과 제2 내부면(521)이 등받이(50)에 고정된다. 벨트(52)는 끈으로 제조된다. 물통(82)의 물이 떨어지면, 벨트(52)를 풀고 물통을 베이스(5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물통(82)은 펌프(83)를 설치하기 위하여 측면에 제1 공간(822)과, 펌프(8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세트(85)를 설치하기 위하여 다른 측면에 제2 공간(823)을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작동을 위하여 별도의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A base 51 and a belt 52 are provided behind the backrest 50 so that a water bottle 82 is disposed on the base 51 and fixed by a belt 52. The base 51 is made of canvas cloth or fabric, and the first inner surface 511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521 are fixed to the backrest 50. The belt 52 is made of a string. When the water in the water bottle 82 falls, the belt 52 can be unfastened and the water bottle can be removed from the base 51. The water reservoir 82 is also provided with a first space 822 on the side and a second space 82 on the other side for installing the battery 83 to supply power to the pump 83, (823).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supply for operation.

배설 장치(60)와 세정 장치(80)의 구조는 절첩식 휠체어의 원래 구조에 조립되어, 통상의 휠체어의 일반적인 기능들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휠체어 상에서 바로 용변을 불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배설 이후에 편리하게 세정 기능을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및 간병인 모두의 부담을 줄여주며, 그들이 일상 생활에서 직면하는 난처한 상황을 회피하게 한다. The structure of the excretion device 60 and the cleaning device 80 can be assembled in the original structure of the folding wheelchair to provide a separate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access the wheelchair directly while maintaining the normal functions of a conventional wheelchair And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cleaning function conveniently after excretion.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burden on both the user and the caregiver, and avoids the embarrassing situation they face in their daily lives.

20: 의자 프레임
30: 교차 브레이스
40: 시트
24: 바퀴
25: 다리 바퀴
41: 개구
60: 배설 장치
80: 세정 장치
20: Chair frame
30: Cross brace
40: sheet
24: Wheels
25: Casters
41: opening
60: Excretion device
80: Cleaning device

Claims (7)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절첩식 휠체어에 있어서,
후방에 배치된 두 개의 대칭적인 푸쉬 핸들과 그 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팔걸이를 갖는 절첩식 의자 프레임과;
안정적인 절첩을 위하여 의자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수의 교차 부재를 갖는 교차 브레이스와;
의자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절첩식 시트와;
의자 프레임에 결합된 후방 프레임 상에 배치된 절첩식 등받이와;
의자 프레임 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바퀴와;
의자 프레임의 전방 하부 아래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다리 바퀴를 포함하며,
배설 장치는 시트의 개구 하방에 위치하고,
개구 하방에 인접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표면적이 개구 보다 큰 두 개의 가동형 보드와,
상기 가동형 보드의 개폐 작동을 위하여 가동형 보드의 저면으로부터 의자 프레임의 양 측면으로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작동 유닛과,
가동형 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 인접한 측면 하방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후크와,
방수 재료로 제조되며,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컨테이너 백을 포함하며,
상기 보드 각각은 자유단으로 기능하는 가까운 측면과, 위치설정 부재에 의하여 시트의 저면에 고정된 먼 측면과, 상기 가동형 보드가 폐쇄될 때 개구에 끼워지는 패드를 가지며,
상기 작동 유닛 각각은 3세트의 연결 바아를 갖는 연결 유닛을 가지며, 그 중에서 한 쌍의 제1 연결 바아의 일단부가 한 쌍의 제1 힌지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가동형 보드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한 쌍의 제2 힌지에 의하여 한 쌍의 제2 연결 바아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힌지 각각은 변위를 위하여 한 세트의 슬라이딩 슈트에 결합하고, 제2 연결 바아의 타단부는 한 쌍의 제3 연결 바아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제3 연결 바아는 팔걸이 중 어느 하나의 하방에 배치된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연결된 가동형 보드가 제3 연결 바아의 수직 변위에 따라 개폐되고,
상기 컨테이너 백의 단부는 컨테이너 백이 가동형 보드 하방에 매달리며 가동형 보드가 개방될 때 용변을 받아 내기 위하여 받치고 개방되도록 후크의 위치에 대응하는 개방 단부의 인접한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In a folding type wheelchair having an excretion device,
A folding chair frame having two symmetrical push handles disposed on the rear side and two armrests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side thereof;
A cross brace having a plurality of cross members coupled to the chair frame for stable folding;
A folding sheet for connecting between the chair frames;
A folding back disposed on a rear frame coupled to the chair frame;
Two wheels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hair frame;
And two leg wheels symmetrically disposed under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chair frame,
The excretion device is located below the opening of the seat,
Two movable boards symmetrically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ing downward and having a surface area larger than the opening,
Two operation units symmetr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hair frame from the bottom of the movable boar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ovable board,
A plurality of hook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adjacent side along the edge of the movable board,
A container bag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and having an open end,
Each of the boards having a proximal side that functions as a free end, a remote side fixed to the bottom of the sheet by the positioning member, and a pad that fits into the opening when the movable board is closed,
Each of the operation units has a connecting unit having three sets of connecting bars, and one end of the pair of first connecting bars is individually connected to one of the movable boards by a pair of first hinges, The ends ar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pair of second connecting bars by a pair of second hinges, each of the second hinges being coupled to a set of sliding chutes for displacement,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And the third connecting bar moves along the sliding rail disposed below any one of the armrests so that the connected movable board is moved to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third connecting bar And is opened /
Wherein the end of the container bag has a plurality of holes along an adjacent edge of the open en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hook so that the container bag hangs downwardly on the movable board and is supported and opened to accommodate when the movable board is opened A wheelchair comprising an excre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세정 장치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세정 장치는 시트와 교차 부재 사이에서 개구를 향하여 배치되는 스프레이와,
의자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배출구가 펌프에 연결되는 착탈 가능한 물통과,
일단부가 펌프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스프레이에 연결되는 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leaning device,
The cleaning apparatus includes a spray disposed between the sheet and the cross member toward the opening,
A detachable water container disposed on the chair frame and having an outlet connected to the pump,
And a tub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ump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rayer.
제2항에 있어서,
두 개의 결합 부재가 교차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결합 부재는 세정 장치의 튜브를 위하여 중공 힌지에 의하여 교차 결합되어, 튜브가 그것을 통과해서 스프레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wo coupling elements are arranged on the top of the crossing element and the coupling element is cross-coupled by a hollow hinge for the tube of the cleaning device so that the tube is connected to the spray through it. .
제2항에 있어서,
베이스와 벨트가 등받이의 후방에 설치되어, 물통이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벨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base and a belt ar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backrest, and a water reservoir is disposed on the base and fixed by a bel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펌프를 설치하기 위하여 측면에 제1 공간과, 펌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세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다른 측면에 제2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ater reservoir has a first space on a side thereof for installing a pump and a second space on another side for installing a battery set for supplying power to the pump.
제1항에 있어서,
제3 연결 바아의 세트 각각은 결합을 위하여 상부에 배치된 가압판을 또한 가지며, 제3 연결 바아의 하단부는 작동 시에 의자 프레임 상에 대응하여 마련된 관통 개구를 통해 각각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third set of connecting bars further having a platen disposed thereon for engagement and the lower end of the third connecting bar engages through a corresponding through opening provided on the chair frame during opera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백은 개방 단부의 인접한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지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bag has at least one zipper on an adjacent edge of the open end.
KR1020160089236A 2016-07-14 2016-07-14 A folding wheelchair with an excretion device KR201800078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236A KR20180007831A (en) 2016-07-14 2016-07-14 A folding wheelchair with an excre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236A KR20180007831A (en) 2016-07-14 2016-07-14 A folding wheelchair with an excre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831A true KR20180007831A (en) 2018-01-24

Family

ID=6102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236A KR20180007831A (en) 2016-07-14 2016-07-14 A folding wheelchair with an excre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7831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4647A (en) * 2018-08-01 2018-12-21 江南大学 A kind of old age defecation auxiliary wheelchair
KR101939344B1 (en) * 2018-06-14 2019-01-16 전길자 Wheelchair for patient
KR102323148B1 (en) 2021-08-23 2021-11-05 김태식 Manual wheelchair for critically-impaired patients
KR102323151B1 (en) 2021-08-23 2021-11-05 김태식 Automated wheelchair for critically-impaired patients
KR20220001283U (en) * 2020-11-27 2022-06-03 이윤 Wheelchair for pepole with lower body disabiliti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344B1 (en) * 2018-06-14 2019-01-16 전길자 Wheelchair for patient
CN109044647A (en) * 2018-08-01 2018-12-21 江南大学 A kind of old age defecation auxiliary wheelchair
CN109044647B (en) * 2018-08-01 2024-04-09 江南大学 Auxiliary wheelchair for defecation of old people
KR20220001283U (en) * 2020-11-27 2022-06-03 이윤 Wheelchair for pepole with lower body disabilities
KR102323148B1 (en) 2021-08-23 2021-11-05 김태식 Manual wheelchair for critically-impaired patients
KR102323151B1 (en) 2021-08-23 2021-11-05 김태식 Automated wheelchair for critically-impaired pati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7831A (en) A folding wheelchair with an excretion device
US8480100B2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US5568933A (en) Foldable wheelchair
US9572733B1 (en) Folding wheelchair with an excretion device
KR20200138824A (en) Multifunctional wheelchair
KR20180059516A (en) Multi-purpose, multi-utility, and reorganizable recliner chair bed
KR102033055B1 (en) A wheelchair with a toilet seat
KR20160125037A (en) Bath chair for an immovable person
US20210361500A1 (en) A folding wheelchair with an excretion device
WO2017185194A1 (en) Foldable wheelchair that allows urination and defecation
CN110603019A (en) Seat arrangement for a wheelchair and wheelchair comprising such a seat arrangement
JP3199367B2 (en) Chair type toilet
US20210298972A1 (en) Retractable bed for subjects with limited or no mobility
EP3266434B1 (en) A folding wheelchair with an excretion device
KR200491817Y1 (en) Movable bedpan for inducing defecation
KR200399753Y1 (en) Portable toilet bowl
CN204319207U (en) Walk help chair for closet
JP3208915U (en) Folding wheelchair that can urinate and defecate
CN208769676U (en) A kind of disabled person's chair
JP2003175084A (en) Care bed
WO2004098480A1 (en) Calf rest for patient chair
CA2868010A1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JP2012105976A (en) Wheelchair for care
TWM541290U (en) Foldable toilet wheelchair
CN211213972U (en) Bed chair for paralytic patient to m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