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214A - Wet type air cleaner - Google Patents

Wet type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214A
KR20180006214A KR1020160087081A KR20160087081A KR20180006214A KR 20180006214 A KR20180006214 A KR 20180006214A KR 1020160087081 A KR1020160087081 A KR 1020160087081A KR 20160087081 A KR20160087081 A KR 20160087081A KR 20180006214 A KR20180006214 A KR 20180006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air
guide pip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광태
Original Assignee
류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광태 filed Critical 류광태
Priority to KR1020160087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6214A/en
Publication of KR20180006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2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8Means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12Fan arrangements for providing forced draf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t-type air cleaner comprising: an air pressure generation unit; a fluid supply unit; and an air purification unit. The air pressure generation unit comprises: a first housing which has a blowhole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blower fan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using to draw in the outside air to supply the same to the blowhole. The fluid supply unit comprises: a second housing which has an open upper part, and is join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housing; a transfer pipe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has open upper part and lower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blowhole; and a water vapor supply container which forms, inside the transfer pipe, a first water storage space with an open top to supply water vapors. The air purification unit comprises a third housing, a first guide pipe, a second guide pipe, a disc assembly, and a cover, wherein the third housing has an insertion hole in the center of an upper end thereof, has an air outlet on an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s joined to an upper part of the second housing; the first guide pipe is seated in the center inside the third housing to form a first fluid path with open upper and lower sides to vertically communicate with the water vapor supply container; the second guide pipe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to form a second fluid path with open upper and lower sides between the third housing and the first guide pipe; a disc assembly is slidably inserted between the first guide pipe and the second guide pip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clined plates for turning fluids downwardly; and the cover covers the insertion hole of the third housing. Accordingly, the fluid paths are configured to enhance the retention time for which the introduced air is in contact with water vapors and the contact area thereof, and to minimize flow resistance, and thus air purification effects are improved.

Description

습식 공기청정기 {WET TYPE AIR CLEANER}[0001] WET TYPE AIR CLEANER [0002]

본 발명은 수증기를 이용하여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을 정화시킬 수 있는 습식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type air cleaner capable of purifying dust or contaminants in air introduced using water vapor.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외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 및 배출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면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Generally, the air purifier removes dust or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and purifies the air in the process of forcibly sucking and discharging the outside air.

통상의 공기청정기는, 필터식과 전기 집진식으로 구분되며, 필터식은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이 필터를 통과하면서 걸러지고, 전기 집진식은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이 전기장에 의해 집진기에 흡착되어 제거된다.Conventional air cleaners are classified into a filter type and an electric dust collecting type. The filter type filters dust and contaminants in the air as they pass through the filter. I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type, dust and contaminants in the air are adsorbed to the dust collector by an electric field.

최근에는 자동차 배출가스와 중국발 황사 등 미세먼지의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러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가 제안된 바 있다.In recent years,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increase of fine dust such as automobile exhaust gas and dust from China has reached a serious level, and an air purifier using water has been proposed.

이와 같이 물을 이용하는 공기 청정기의 한 종류로서, 물을 필터로 이용하는 습식 공기청정기가 대표적이다.As one type of air purifier using water as described above, wet air cleaners using water as a filter are typical.

즉, 상기한 습식 공기청정기는, 물이 담수되고 복수의 개별디스크가 놓인 하부케이스와, 상부에 흡입구와 측면에 배출구 그리고 그사이에 송풍팬을 갖게 되는 상부케이스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송풍팬으로 유입된 공기가 물이 담수된 하부케이스에 지지 및 회전 가능한 복수의 개별디스크에 접촉된 후 상부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는 구조로서, 복수의 개별디스크에 이물질이 흡착되어 공기를 정화시키도록 작용된다.That is, the wet air cleaner described above is constituted of a lower case in which water is dewatered and a plurality of individual discs are placed, and an upper case having an inlet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discharge port at a side surface thereof, and a blower fan thereunder. According to this structur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blowing fa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lurality of individual disks supported and rotatable in a lower case in which water is drained, and then discharged to a discharge port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upper case. So as to purify the air.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습식 공기청정기는, 유입된 공기가 개별디스크에 묻어있는 물 입자와 접촉된 후 즉시 배출구로 배출되어 개별디스크와의 접촉시간이 짧고, 유입되는 공기는 포화상태로서 유입압력에 의해 상당량은 개별디스크와 접촉이 되지 못한 채 배출되어 공기정화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wet air clean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incoming air is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after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water particles buried in the individual disk, so that the contact time with the individual disk is short and the inflow air is satur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air is discharg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individual discs, thereby deteriorating the air purification effect.

또한, 습식 공기청정기의 복수의 개별디스크는 촘촘한 틈새로 결합된 채, 밀폐된 내부에 마련되어 급수나 세척 등 유지관리의 어려움과 더불어, 내부에 저장된 물이 오염된 상태로 계속 사용됨으로써 세균번식 등 위생적인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ndividual disks of the wet air cleaner are provided in a tightly closed space and ar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contaminated with water stored therein, in addition to difficulties in maintenance such as watering and washing, There is a continuing problem.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증기와 공기의 접촉시간 및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공기정화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 습식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t type air cleaner capable of improving the air cleaning effect by increasing contact time and contact area between water vapor and air.

또한, 분해조립이 간편하고 개방된 구조로 개선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오염된 물을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위생적인 습식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ygienic wet air cleaner which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nd which is improved in open structure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separation and discharge of contaminated wat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other problem that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습식 공기청정기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t type air purifier including:

상단에 송풍구가 마련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송풍구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하는 공압발생부;A pneumatic pressure generat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using and having an air blowing fan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air blowing port;

상측이 개구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송풍구와 연통하도록 상하측 개구되게 설치된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내측으로 상측 개구된 제1물저장공간을 형성하여 수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수증기공급용기를 포함하는 유체공급부; 및 A second housing having an upper side opened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ousing; a conveyance pipe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so as to be opened at upper and lower sides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uyeres; A fluid supply unit including a water supply container for forming a water storage space to supply water vapor; And

상단 중심으로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측 원주면으로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3하우징과, 상기 제3하우징의 내측 중심에 안착되어 상기 수증기공급용기와 수직 연통되도록 상하측 개구된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안내관과,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3하우징과 상기 제1안내관 사이에 상하측 개구된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2안내관과, 상기 제1안내관과 상기 제2안내관 사이로 슬라이딩 삽입되며 유체를 하향 선회시키는 복수의 경사판이 설치된 디스크조립체와, 상기 제3하우징의 삽입구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정화부;A third housing having an inlet formed at an upper center thereof and formed with an air vent at an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A second guide tube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port to form a second flow path opened between the third housing and the first guide tube at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1. An air cleaner comprising: a disk assembly slidably inserted between a first guide tube and a second guide tube and having a plurality of swash plates for swirling the fluid downward; and a cover covering the insertion port of the third housing;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 RTI >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이송관 사이에는,Between the second housing and the transfer tube,

상측이 개구된 제2물저장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water storage space having an upper opening is provided.

상기 제1물저장공간과 상기 제2물저장공간은,Wherein the first water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water storage spa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연통 관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ipe.

상기 연통 관로는,The communication pipe includes:

그 내부 유로가 상기 제1물저장공간에 저장되는 물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장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nner channel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so as to be formed higher than 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storage space.

상기 제3하우징의 하단은,The lower end of the third housing

중심이 개구되고, 중심 방향으로 상향 만곡지게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물퇴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enter is opened, a center curvature is formed upward, and a water pit is formed at an edge.

상기 유체공급부는, Wherein the fluid supply portion includes:

상기 제2하우징의 외측에 삽입 가능하며, 상단으로 상기 물퇴수구와 연통되는 물회수구가 형성된 물배출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water discharge container which is insertabl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and has a wate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discharge port at an upper end thereof.

상기 수증기공급용기의 상단에는,At the top of the steam supply vessel,

외측으로 상향 만곡된 응결수 내측 안내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densed water inner guide surface curved upward toward the outside is formed.

상기 수증기공급용기의 바닥에는,At the bottom of the water vapor supply vessel,

초음파 진동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ultrasonic vibrator is installed.

상기 제3하우징의 삽입구 내측은,The inside of the insertion port of the third housing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s formed to be stepped.

상기 제2안내관의 상단에는,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tube,

상기 제3하우징의 삽입구 내측에 안착되도록 플렌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lange is formed to be seated inside the insertion port of the third housing.

상기 커버는,The cover

돔 형상으로서 상기 플렌지에 체결되어 상기 공기정화부의 삽입구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s fastened to the flange as a dome shape to seal the insertion port of the air cleaning portion.

상기 커버의 저면에는,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상기 제1유로를 통해 상향 유동된 공기와 수증기를 상기 제2유로 측으로 하향 유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로안내날개가 반경 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lurality of flow guide vanes for downwardly flowing the air and the water vapor upwardly flow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to the second flow path side are installed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디스크조립체는, The disk assembly includes:

판상으로서 그 중앙으로 상기 제1안내관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경사판이 원주면 방향으로 구비된 복수의 디스크링과, 상기 복수의 디스크링의 내측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체로 지지하는 제1이음부재와, 상기 복수의 디스크링의 외측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체로 지지하는 제2이음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disk rings each having a plate-like shape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tube can pass, the plurality of disk plates having the plurality of swash plate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which connects the outer sides of the plurality of disk rings and supports the disk rings by one unit body.

상기 경사판은, Wherein the swash plate

부채꼴 형상으로서 상기 디스크링의 원주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며 일측 지지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s sloped downward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c ring, and is supported on one sid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유입된 공기가 수증기와 접촉되는 체류시간 및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면서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유로를 구성하여 공기정화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t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air purifying effect by constructing the flow path so as to minimize the flow resistance while increasing the residence time and the contact area of the introduced air with the water vapor .

또한, 분해조립이 간편하고 개방된 구조로서 세척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오염된 물을 분리 배출할 수 있어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has an open structure, is easy to maintain such as washing, and has a sanitary advantage because it can separate and discharge contaminated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공기청정기를 보인 대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조립도,
도 3은 도 2의 '디스크조립체'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커버'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 및
도 5는 도 1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1 is a representative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t typ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Figure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k assembly' of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of FIG. 2 in detail, and FIG.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Fig. 1.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공기청정기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a wet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공기청정기를 보인 대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조립도이며, 도 3은 도 2의 '디스크조립체(34)'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 및 도 4는 도 2의 '커버(35)'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t typ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assembly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k assembly 34'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35' of FIG. 2 in detai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공기청정기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향 공급하기 위한 공압발생부(10)와, 상기 공압발생부(10)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상향 안내하기 위한 유체공급부(20) 및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질을 정화시킨 후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정화부(30)를 포함한다.1, the wet-typ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neumatic pressure generating unit 10 for sucking up and supplying outside air, A fluid supply unit 20 for guiding water vapor upward by using the air purifier 30 and an air purifier 30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dust or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여기서, 상기 공압발생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링 형상의 송풍구(10a)와 외측으로 공기유입구(10b)가 마련된 제1하우징(11)과,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송풍구(10a)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12)으로 구성된다.2,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or 10 includes a first housing 11 having a ring-shaped tuyere 10a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n air inlet 10b at an outer side thereof, And an air blowing fan 12 installed inside the air blowing fan 11 to supply outside air to the blowing out port 10a.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단에는, 끼워맞춤용 홈(11b)이 적어도 한 쌍이 형성되어 후술할 상기 유체공급부(20)의 제2하우징(21)이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그 외부에 사용자가 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버튼(도시 생략함)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조작버튼과 접속되는 PCB 제어부(도시 생략함)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At least one pair of fitting grooves 11b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using 11 so that the second housing 21 of the fluid supply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eated and supported. An operation button (not shown) is provided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a PCB control unit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상기 송풍팬(12)은, 외부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한 PCB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송풍팬(12)은, 상기 PCB 제어부에 의해 후술할 초음파 진동자(23-1)의 가동시간보다 일정시간 더 가동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공기정화부(30) 내부의 습기를 완전히 증발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blower fan 12 is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controller to be controlled. The blowing fan 12 is controlled by the PCB controller to be operated for a time longer than the operation time of the ultrasonic vibrator 23-1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completely evaporate the moisture inside the air purifying unit 30 .

아울러, 상기 유체공급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되어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21)과, 상기 제2하우징(21)의 내측에 상기 송풍구(10a)와 연통하도록 상하측 개구되게 설치된 이송관(22)과, 상기 이송관(22)의 내측으로 상측 개구된 제1물저장공간(23a)을 형성하여 수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수증기공급용기(23)와, 상기 제1물저장공간(23a)과 후술할 제2물저장공간(20a)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시키는 연통 관로(24)와, 상단에 후술할 물퇴수구(31d)와 연통되는 물회수구(25a)가 형성되며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측에 삽입 가능한 물배출용기(25)와,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물투입구(26)로 구성된다.2, the fluid supply unit 20 includes a second housing 21 opened on the upper side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ousing 11, And a first water storage space 23a opened to the inside of the transfer pipe 2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transfer pipe 22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ir outlet 10a, A communication pipe 24 for connecting the first water storage space 23a and a second water storage space 20a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water tub 31d, A water discharge port 25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21 and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water discharge port 25a communicated with the water discharge port 25a, 26).

이때, 상기 제2하우징(21)은, 그 하단에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단에 형성된 끼워맞춤용 홈(11b)에 안착 결합될 수 있는 끼워맞춤용 돌기(21b)가 구비되며, 그 상단에는 끼워맞춤용 홈(21c)이 적어도 한 쌍이 형성되어 후술할 상기 공기정화부(30)의 제3하우징(31)이 안착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housing 21 has a fitting protrusion 21b which can be seated in a fitting groove 11b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using 11 at a lower end thereof, At least one pair of fitting grooves 21c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using 31 so that the third housing 31 of the air purifying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eated and supported.

또한, 상기 제2하우징(21)과 상기 이송관(22) 사이에는, 상측이 개구된 제2물저장공간(20a)이 마련될 수 있다.Further, a second water storage space 20a having an opened upper sid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21 and the transfer pipe 22.

또한,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측에는, 상기 물배출용기(25)가 삽입되어 일체화된 유선형 몸체를 이룰 수 있도록 음형지게 형성된 절취부(21d)가 구비될 수 있다.The cutout portion 21d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21 so that the water discharge container 25 is inserted and formed into a streamlined body.

상기 수증기공급용기(23)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상향 만곡된 응결수 내측 안내면(23b)이 형성되며, 그 높이가 상기 제2하우징(21)의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도 5 참조)되어 상기 이송관(22)으로 상향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수증기가 안정적으로 상향 가이드(도 5 참조)될 수 있다. 상기한 응결수 내측 안내면(23b)은, 습식 공기청정기가 작동 중지되었을 때, 맺혀있는 응결수가 상기 이송관(22)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제1물저장공간(23a)의 내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일정두께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A condensed water inner guide surface 23b curved upward outwar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team supply container 23 and formed to have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using 21 The steam can be stably guided upward (see FIG. 5) by the air supplied upwardly to the transfer pipe 22. When the wet air cleaner is stopped, the condensed water inside guide surface 23b does not flow into the inside of the conveyance pipe 22 and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water storage space 23a 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a certain thickness.

상기 수증기공급용기(23)의 바닥에는, 상기 수증기공급용기(23)에 담겨있는 물에 진동을 일으켜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초음파 진동자(23-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초음파 진동자(23-1)에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한 PCB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An ultrasonic vibrator 23-1 capable of generating water vapor by causing vibration of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23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23. The ultrasonic transducer 23-1 is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controller to be controlled.

그리고 상기 연통 관로(24)는, 상기 제1물저장공간(23a)에 저장되는 물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장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21)의 내압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23-1)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의 원활한 상향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물저장공간(23a)과 상기 제2물저장공간(20a)은, 상기 연통 관로(24)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물이 화살표 방향으로 양방향 유동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pipe 24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so as to be higher than 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storage space 23a to stably form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housing 21, 23-1 so as to form a smooth upward flow path of water vapor.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water storage space 23a and the second water storage space 2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mmunication pipe 24 so that water can be bi-directionally flo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상기 물배출용기(25)는, 내부로 회수된 물의 오염상태 및 수위를 육안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에 음형진 손잡이(25-1)가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e container 25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contaminated state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llected inside can be visually recognized, and the negative shape knob 25-1 may be formed symmetrically on the outer side.

한편, 상기 공기정화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중심으로 삽입구(31a)가 형성되고 상측 원주면으로 공기배출구(31b)가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21)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3하우징(31)과, 상기 제3하우징(31)의 내측에 상기 수증기공급용기(23)와 수직 연통되도록 상하측 개구된 제1유로(32a)를 형성하는 제1안내관(32)과, 상기 삽입구(31a)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3하우징(31)과 상기 제1안내관(32) 사이에 상하측 개구된 제2유로(33a)를 형성하는 제2안내관(33)과, 상기 제1안내관(32)과 상기 제2안내관(33) 사이에 슬라이딩 삽입되며 유체를 접촉시키면서 안내하는 복수의 경사판(34-5)이 설치된 디스크조립체(34)와, 상기 제3하우징(31)의 삽입구(31a)를 덮는 커버(35)로 구성된다.2, an air inlet 31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purifying portion 30 and an air outlet 31b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1, And a first guide pipe (32a)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third housing (31) to form a first flow path (32a) vert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steam supply container (23) And a second guide pipe (33)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port (31a) and forming a second flow path (33a) between the third housing (31) and the first guide pipe (32) , A disk assembly (34) slidably inserted between the first guide pipe (32) and the second guide pipe (33)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ash plates (34-5) guiding the fluid in contact with the fluid, 3 cover 35 for covering the insertion port 31a of the housing 31. [

이때, 상기 제3하우징(31)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하우징(21)의 상단에 형성된 끼워맞춤용 홈(21c)에 안착 결합될 수 있는 또 다른 끼워맞춤용 돌기(31c)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third housing 31 is provided with another fitting protrusion 31c which can be seated in the fitting groove 21c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using 21 .

이러한 상기 제3하우징(31)의 하단은, 중심이 개구되고, 중심 방향으로 상향 만곡지게 형성되어 내부 가장자리의 가장 낮은 위치에 퇴수물을 모을 수 있음은 물론, 외측면을 따라 수증기를 보다 신속하게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하우징(31)의 하단 가장자리 일측에는 물퇴수구(31d)가 형성되어 퇴수물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The lower end of the third housing 31 is centered and curved upward in the center direction so that the collected water can be collected at the lowest position of the inner edge, . In addition, a drain hole 31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edge of the third housing 31 so that the discharged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한 제3하우징(31)의 삽입구(31a)는, 원형 형상으로서 그 내주면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안내관(33)의 상단에는, 상기 제3하우징(31)의 삽입구(31a) 내주면에 안착되도록 플렌지(3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하우징(31)의 단차부에는, 제1걸림공(31e)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렌지(33-1)에는, 상기 제1걸림공(31e)과 대응하는 제2걸림공(33b)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opening 31a of the third housing 3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opening 31a is stepped and the insertion opening 31a of the third housing 31 The flange 33-1 may be formed to be se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nge 33a. A first latching hole 31e may be formed in the stepped portion of the third housing 31. The flange 33-1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latching hole 31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tching hole 31e, A hole 33b may be formed.

상기 제1안내관(32)은, 그 하단에 상기 제3하우징(31)의 하단 중심에 안착될 수 있는 복수의 안착돌기(3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원주면에 상기 디스크조립체(34)를 지지하기 위한 링 형상의 걸림턱(32-2)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tube 32 may have a plurality of seating protrusions 32-1 at its lower end that can be seat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third housing 31, A ring-shaped hook 32-2 for supporting the hook 34 can be provided.

상기 디스크조립체(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서 그 중앙으로 상기 제1안내관(32)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34-1a)이 각각 형성되며 원주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경사판(34-5)이 각각 구비된 복수의 디스크링(34-1)과, 상기 복수의 디스크링(34-1)의 내측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체로 지지하는 제1이음부재(34-2)와, 상기 복수의 디스크링(34-1)의 외측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체로 지지하는 제2이음부재(34-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각 경사판(34-5)은, 부채꼴 형상으로서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디스크링(34-1)의 원주면 방향으로 경사지며, 일측이 상기 디스크링(34-1) 상에 일체로 지지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크조립체(34)는, 세척이 용이하도록 분해조립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disc assembly 34 is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through hole 34-1a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tube 32 can pass, A plurality of disk rings 34-1 each provided with a swash plate 34-5 of a plurality of disk rings 34-1 and a first coupling member 34- 2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34-3 connecting the outer sides of the plurality of disk rings 34-1 and supporting the same with one unit body. Each of the swash plates 34-5 has a fan shape and is incli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k ring 34-1 so as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As shown in Fig. Thus, the disc assembly 34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to facilitate cleaning.

아울러, 상기 커버(35)는, 돔 형상으로서 상기 플렌지(33-1)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제3하우징(31)의 삽입구(31a)를 밀폐시키게 되며, 그 저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로(32a)를 통해 상향 유동된 공기와 수증기를 상기 제2유로(33a) 측으로 하향 유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로안내날개(35-1)가 반경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35)의 상측에는, 파지할 수 있는 음형진 손잡이(35-2)가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하단 가장자리에 상기 제3하우징(31)의 제1걸림공(31e) 및 제2안내관(33)의 제2걸림공(33b)을 각각 관통 후 회전하여 걸림될 수 있는 복수의 'ㄴ' 자 형상의 걸림돌기(35-3)가 구비될 수 있다.The cover 35 is dome-shaped and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33-1 to seal the insertion port 31a of the third housing 31.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35, A plurality of flow guide vanes 35-1 for downward flowing air and water vapor upwardly flow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2a toward the second flow path 33a can be radially installed. In add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35, a negative finger knob 35-2 which can be held can be formed symmetrically, and a first latching hole 31e of the third housing 31 is fixed to a lower edge of the cover 35,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35-3 'that can be engaged and rota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locking holes 33b of the second guide pipe 33, respectively.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습식 공기청정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et ai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will be described.

먼저, 물투입구(26)를 개방하여 물을 상기 제2물저장공간(20a)에 공급하게 되면, 상기 제2물저장공간(20a)과 상기 연통 관로(24)로 연결된 상기 제1물저장공간(23a)으로 물이 일정수위까지 공급된다.The first water storage space 20a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torage space 20a and the second water storage space 20b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storage space 20a by the water supply port 26, And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level 23a up to a certain level.

그런 다음,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부에 마련된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본 발명의 습식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조작버튼과 접속된 PCB 제어부에 의해 상기 송풍팬(12)이 가동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구(10b)를 통해 상기 송풍팬(12)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PCB 제어부에 의해 상기 초음파 진동자(23-1)가 작동하여 상기 제1물저장공간(23a)의 수면 위로 수증기가 발생된다.Then, when the wet ai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y operating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outside the first housing 11, the blower fan 12 is operated by the PCB controller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Air is introduced into the blowing fan 12 through the air inlet 10b and the ultrasonic vibrator 23-1 is operated by the PCB controller to generate water vapor on the water surface of the first water storage space 23a do.

한편, 상기 송풍팬(12)으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상기 송풍구(10a) 측으로 공급되며,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이송관(22)의 내부로 상향 유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blowing fan 12 is supplied to the air blowing port 10a side and flows upward into the inside of the conveying pipe 22 as shown in the arrow direction.

외부의 공기가 상기 이송관(22)의 상단을 벗어남게 동시에 상기 제3하우징(31)의 하단 외면에 형성된 만곡부를 따라 빠른 속도로 유동되면, 이 부분에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물저장공간(23a)으로부터 발생된 수증기가 빠른 속도로 유동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제1안내관(32)의 제1유로(32a)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When the outer air flows at a high speed along the curv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third housing 31 while leaving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pipe 22 at the same time, relatively low pressure is formed in this portion. Accordingly,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first water storage space 23a flows toward the first flow path 32a of the first guide pipe 32 together with air flowing at a high speed.

상기 제1안내관(32)의 제1유로(32a)로 유동되는 공기와 수증기는, 상기 제1안내관(32)의 내벽에 충돌하여 상향 유동된 후, 상기 커버(35)의 저면에 설치된 서로 인접한 유로안내날개(35-1) 간의 사이로 분기되어 외측으로 유동되며, 상기 제2안내관(33)의 제2유로(33a) 측으로 유동된다.Air and water vapor flowing into the first flow path 32a of the first guide pipe 32 collide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first guide pipe 32 to flow upward, And flows to the side of the second flow path 33a of the second guide pipe 33. The flow path guide vanes 35-1 are connected to the flow path guide vanes 35-1.

이때, 상기 제1안내관(32)의 내벽에 맺히는 응결수는, 상기 제1안내관(32)의 안착돌기(32-1)들 사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3하우징(31)의 하단 가장자리로 모이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densation water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guide pipe 32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mounting protrusions 32-1 of the first guide pipe 32 and is collected at the lower end edge of the third housing 31 do.

한편, 상기 제2안내관(33)의 제2유로(33a)에는, 복수의 경사판(34-5)이 구비되어 적층된 복수의 디스크링(34-1)이 설치되어 있는데, 공기와 혼합된 수증기가 이들 경사판(34-5)에 접촉된 후, 상기 디스크링(34-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사선으로 선회 유동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flow path 33a of the second guide pipe 33, a plurality of disk rings 34-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ash plates 34-5 are provided, After the water vapor contacts the swash plate 34-5, the swirling flow of the swirling flow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disk rings 34-1 is repeated.

이때, 미세먼지와 혼합된 수증기는, 상기 경사판(34-5)에 맺히면서 응결수(물방울)를 이루어 낙하하게 된다. 낙하되는 응결수는, 상기 제3하우징(31)의 내부 가장자리로 퇴수물을 이루어 물퇴수구(31d)를 통해 배출되며, 배출되는 퇴수물은 물회수구(25a)를 통해 물배출용기(25)로 모이게 된다.At this time, the water vapor mixed with the fine dust is condensed on the swash plate 34-5 and drops as condensation water (water droplets). The condensed water that falls down is discharged to the inner edge of the third housing 31 through the water pouring port 31d so that the discharg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water discharge container 25 through the water outlet 25a Gathered.

이렇게 하여 상기 디스크링(34-1)을 통과한 공기는, 깨끗이 정화된 상태로 상기 제2안내관(33)의 제2유로(33a)를 벗어나며, 다시 상향 유동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제3하우징(31)의 상측 원주면에 형성된 공기배출구(31b)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진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sk ring 34-1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flow path 33a of the second guide pipe 33 in a clean state and flows upward again to be finally discharged to the third housing 31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31b formed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31a.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습식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유입된 공기가 수증기와 접촉되는 체류시간 및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면서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유로를 구성하여 공기정화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wet ai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low path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flow resistance while increasing the residence time and the contact area with which the introduced air contacts the steam, thereby improving the air purification effect.

또한, 분해조립이 간편하고 개방된 구조로서 세척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오염된 물을 분리 배출할 수 있어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has an open structure, is easy to maintain such as washing, and has a sanitary advantage because it can separate and discharge contaminated wat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공압발생부 10a: 송풍구
10b: 공기유입구 11: 제1하우징
11b: 끼워맞춤용 홈 12: 송풍팬
20: 유체공급부 20a: 제2물저장공간
21: 제2하우징 21b: 끼워맞춤용 돌기
21c: 끼워맞춤용 홈 21d: 절취부
22: 이송관 23: 수증기공급용기
23a: 제1물저장공간 23b: 응결수 내측 안내면
23-1: 초음파 진동자 24: 연통 관로
25: 물배출용기 25a: 물회수구
25-1: 손잡이 26: 물투입구
30: 공기정화부 31: 제3하우징
31a: 삽입구 31b: 공기배출구
31c: 끼워맞춤용 돌기 31d: 물퇴수구
31e: 제1걸림공 32: 제1안내관
32-1: 안착돌기 32-2: 걸림턱
32a: 제1유로 33: 제2안내관
33a: 제2유로 33b: 제2걸림공
33-1: 플렌지 34: 디스크조립체
34-1: 디스크링 34-1a: 관통구멍
34-2: 제1이음부재 34-3: 제2이음부재
34-5: 경사판 35: 커버
35-1: 유로안내날개 35-2: 손잡이
35-3: 걸림돌기
10: air pressure generating part 10a:
10b: air inlet 11: first housing
11b: fitting groove 12: blowing fan
20: fluid supply part 20a: second water storage space
21: second housing 21b: fitting projection
21c: fitting groove 21d: cut-out portion
22: Transfer pipe 23: Water vapor supply container
23a: first water storage space 23b: condensation water inner guide surface
23-1: ultrasonic transducer 24: communication pipe
25: Water discharging container 25a: Water tap
25-1: Handle 26: Water inlet
30: air purifier 31: third housing
31a: insertion port 31b: air outlet
31c: projection for fitting 31d:
31e: first hooking hole 32: first guide pipe
32-1: Retaining projection 32-2: Retaining projection
32a: first flow path 33: second guide path
33a: second flow path 33b: second catching hole
33-1: flange 34: disk assembly
34-1: Disk ring 34-1a: Through hole
34-2: first coupling member 34-3: second coupling member
34-5: swash plate 35: cover
35-1: Flow guide wing 35-2: Handle
35-3:

Claims (14)

상단에 송풍구(10a)가 마련된 제1하우징(11)과,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송풍구(10a)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12)을 포함하는 공압발생부(10);
상측이 개구되어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21)과, 상기 제2하우징(21)의 내측에 상기 송풍구(10a)와 연통하도록 상하측 개구되게 설치된 이송관(22)과, 상기 이송관(22)의 내측으로 상측 개구된 제1물저장공간(23a)을 형성하여 수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수증기공급용기(23)를 포함하는 유체공급부(20); 및
상단 중심으로 삽입구(31a)가 형성되고 상측 원주면으로 공기배출구(31b)가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21)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3하우징(31)과, 상기 제3하우징(31)의 내측 중심에 안착되어 상기 수증기공급용기(23)와 수직 연통되도록 상하측 개구된 제1유로(32a)를 형성하는 제1안내관(32)과, 상기 삽입구(31a)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3하우징(31)과 상기 제1안내관(32) 사이에 상하측 개구된 제2유로(33a)를 형성하는 제2안내관(33)과, 상기 제1안내관(32)과 상기 제2안내관(33) 사이로 슬라이딩 삽입되며 유체를 하향 선회시키는 복수의 경사판(34-5)이 설치된 디스크조립체(34)와, 상기 제3하우징(31)의 삽입구(31a)를 덮는 커버(35)를 포함하는 공기정화부(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And a blowing fan 12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 to supply outside air to the blowing out port 10a. The blowing fan 1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using 11, (10);
A second housing 21 which is opened on the upper sid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ousing 11 and a conveyance pipe (not shown)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2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ir outlet 10a And a water supply container (23) for forming a first water storage space (23a) opened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transfer pipe (22) to supply water vapor; And
A third housing 31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31a at an upper center thereof and formed with an air outlet 31b at an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21; A first guide tube 32 which is seated in an inner center and forms a first flow path 32a which is vertically opened so as to be vertically communicated with the steam supply container 23; A second guide pipe (33) forming a second flow path (33a) between the housing (31) and the first guide pipe (32), the first guide pipe (32) And a cover 35 covering the insertion port 31a of the third housing 31. The disk assembly 34 includes a plurality of swash plates 34-5 slidably inserted between the tubes 33 and rotating the fluid downward, An air purifying unit 30;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21)과 상기 이송관(22) 사이에는,
상측이 개구된 제2물저장공간(20a)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etween the second housing (21) and the transfer tube (22)
And a second water storage space (20a) having an opened upper side is provid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저장공간(23a)과 상기 제2물저장공간(20a)은,
연통 관로(24)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3.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water storage space (23a) and the second water storage space (20a)
(24).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관로(24)는,
그 내부 유로가 상기 제1물저장공간(23a)에 저장되는 물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장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ommunication pipe (24)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so that an inner flow path thereof is formed higher than 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storage space (23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31)의 하단은,
중심이 개구되고, 중심 방향으로 상향 만곡지게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물퇴수구(31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third housing (31)
(31d) is formed at an edg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wet air clean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부(20)는,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측에 삽입 가능하며, 상단으로 상기 물퇴수구(31d)와 연통되는 물회수구(25a)가 형성된 물배출용기(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luid supply part (20)
Further comprising a water discharge container (25) insertabl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21) and having a water inlet (25a)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outlet (31d) at an upper end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공급용기(23)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상향 만곡된 응결수 내측 안내면(2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The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an upper end of the steam supply vessel (23)
And a condensed water inner guide surface (23b) curved upward toward the outside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공급용기(23)의 바닥에는,
초음파 진동자(23-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The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ottom of the steam supply container (23)
Wherein an ultrasonic vibrator (23-1) is instal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31)의 삽입구(31a) 내측은,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2.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ner side of the insertion port (31a) of the third housing (31)
Wherein the air cleaner is formed in a stepped mann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관(33)의 상단에는,
상기 제3하우징(31)의 삽입구(31a) 내측에 안착되도록 플렌지(3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n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ipe (33)
And a flange (33-1) is formed to be seated inside the insertion port (31a) of the third housing (3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5)는,
돔 형상으로서 상기 플렌지(33-1)에 체결되어 상기 공기정화부(30)의 삽입구(31a)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cover (35)
(31-1) of the air purifying portion (30) by closing the flange (33-1) as a dome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5)의 저면에는,
상기 제1유로(32a)를 통해 상향 유동된 공기와 수증기를 상기 제2유로(33a) 측으로 하향 유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로안내날개(35-1)가 반경 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The cover (35)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35)
Wherein a plurality of flow guide vanes (35-1) for downward flow of air and water vapor upwardly flow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2a) toward the second flow path (33a) side are installed in the radial direction.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조립체(34)는,
판상으로서 그 중앙으로 상기 제1안내관(32)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34-1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경사판(34-5)이 원주면 방향으로 구비된 복수의 디스크링(34-1)과, 상기 복수의 디스크링(34-1)의 내측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체로 지지하는 제1이음부재(34-2)와, 상기 복수의 디스크링(34-1)의 외측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체로 지지하는 제2이음부재(3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2. Th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disc assembly (34)
(34-1a)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tube (32) can pass, and the plurality of swash plates (34-5) are provided in a center of a plurality of disk rings A first coupling member 34-2 connecting the inner sides of the plurality of disk rings 34-1 and supporting the inner side of the plurality of disk rings 34-1 as one unit body,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34-3)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to one unit body.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34-5)은,
부채꼴 형상으로서 상기 디스크링(34-1)의 원주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며 일측 지지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1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swash plate (34-5)
Is formed in a fan-shaped shape and is inclined downwa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k ring (34-1) and is supported on one side.
KR1020160087081A 2016-07-08 2016-07-08 Wet type air cleaner KR201800062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081A KR20180006214A (en) 2016-07-08 2016-07-08 Wet type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081A KR20180006214A (en) 2016-07-08 2016-07-08 Wet type ai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214A true KR20180006214A (en) 2018-01-17

Family

ID=6102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081A KR20180006214A (en) 2016-07-08 2016-07-08 Wet type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621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158B1 (en) * 2019-04-22 2019-10-14 조남호 Air purifier
KR20210152989A (en) * 2021-11-13 2021-12-16 주식회사 이코블록 The device of air purication added sanitization as the way of using ultraviolet and making moisture with ultrasonic brush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158B1 (en) * 2019-04-22 2019-10-14 조남호 Air purifier
KR20210152989A (en) * 2021-11-13 2021-12-16 주식회사 이코블록 The device of air purication added sanitization as the way of using ultraviolet and making moisture with ultrasonic brus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6059B1 (en) Vacuum cleaner with a removable cyclone array
US8292979B2 (en) Vacuum cleaner with a removable screen
US9089248B2 (en) Fan motor apparatus having diffuser unit for vacuum cleaner
WO2017101255A1 (en) Filtering-liquid container for de-dusting equipment and de-dusting equipment having same
KR20020009359A (en)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Vaccum Cleaner
EP1498172B1 (en) Dust collector
RU2005140674A (en) VACUUM CLEANER (OPTIONS)
KR100878923B1 (en) Wet air cleanning device
KR101882283B1 (en) A Cyclone Air Purifier having Electro Spraying
RU2005141466A (en) VACUUM CLEANER (OPTIONS)
JP2006150037A (en) Multi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KR20230074254A (en) Sewage tank structure and cleaning equipment for cleaning equipment
JP2014147779A (en) Dirt separator for vacuum cleaner
KR20180006214A (en) Wet type air cleaner
RU2007136188A (en) DUST CLEANER
KR20150109045A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2332897B1 (en) Device for Deodorizing Polluted Air
CN210385392U (en) Low-temperature plasma deodorization device
CN206651798U (en) Gas and dust separating device and dust catcher
KR20170060637A (en) Leak-proof structure for water purifying filter
KR20150127816A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KR101327633B1 (en) Cyclone dust collector
CN216495149U (en) Cleaning device's clean recovery vessel and have its cleaning device
KR102157261B1 (en) Cyclone dust colletctor and vacuum cleaner
NL2027616B1 (en) Domestic air trea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