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505A -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505A
KR20180005505A KR1020160085707A KR20160085707A KR20180005505A KR 20180005505 A KR20180005505 A KR 20180005505A KR 1020160085707 A KR1020160085707 A KR 1020160085707A KR 20160085707 A KR20160085707 A KR 20160085707A KR 20180005505 A KR20180005505 A KR 20180005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oom
control
smart met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154B1 (ko
Inventor
한찬희
신규식
Original Assignee
한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찬희 filed Critical 한찬희
Priority to KR102016008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1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미터와 원격 관제센터가 전력 제어대상인 전력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상태에서, 원격으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 등의 전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미터에 온도, 화재 및 지진 감지와, 침입자 감시 기능을 결합하여 그 감지 및 감시 정보를 관제센터와 공유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 등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SMART METER AND REMOTE POWER CONTROL SSYTEM USING SMART METER}
본 발명은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 미터와 원격 관제센터가 전력 제어대상인 전력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상태에서, 원격으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 등의 전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 미터에 온도, 화재 및 지진 감지와, 침입자 감시 기능을 결합하여 그 감지 및 감시 정보를 관제센터와 공유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 등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공동주택 및 빌딩 등의 경우 전력회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계량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각 호실별로 별도로 계량기를 설치하여 각 호실별로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전력요금을 납부하는 곳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각 호실별로 계량기를 설치해야 하는 등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입주자간 분쟁 소지를 미연에 방지하므로 관리하는 입장에서는 매우 편리한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편리한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정당하게 청구된 전력요금을 명확한 이유없이 장기간 납부하지 않을 경우, 이를 강제하거나 전력을 차단할 수 없어 관리자 입장에서는 골치거리가 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전력요금 체납시 건물의 다른 입주민이 예치한 예비비 등으로 대납하는 경우도 간혹 있어 입주자간 형평성 관점에서 또 다른 문제가 되고 있다.
단지 전력요금에 대한 연체뿐만 아니라, 일부 입주자의 경우 사용이 금지된 전열기구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 관리자 입장에서 보면 과다한 전력소모로 인한 공평성의 문제는 차치하고라도 화재 발생의 소지가 있는 등 안전성에서 또 다른 문제가 되고 있다.
해외의 경우 선불형 전력 요금 계량기가 도입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히 선불형 카드를 읽어들여 충전요금만큼만 전력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 것으로, 온오프라인상으로 전력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상기와 같은 상황 등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미 상용화되고 있는 스마트 미터의 경우, 전력 사용량을 원격에서 측정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은 있으나, 예를 들어 위에 열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미터와 원격 관제센터가 유무선 통신망으로 네트워크화하여 전력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문제가 있는 전력 사용자에 대해서는 원격지에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도, 더 나아가서는 화재, 진동 , 더 나아가서는 지진 감지와, 침입자 감시가 가능하고, 그 정보를 스마트 미터와 관제센터가 서로 공유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원격지에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에 따라 유추 가능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미터는,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하여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관제센터와 공유하도록 하며,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의해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수행하는 제어부;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조건을 가공하도록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부; 정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관제센터로 전송하고,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을 수행하는 전력차단부; 및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호실에 대한 전력량 조절을 수행하는 전력량 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미터는, 스마트 미터와 그 설치된 구역, 건물의 임의의 구역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스마트 미터와 그 설치된 구역, 건물에 대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스마트 미터와 그 설치된 구역, 건물의 임의의 구역에 대한 침입자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이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은, 건물의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 조건에 도달하면, 원격지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의해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수행하는 스마트 미터; 및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미터와 함께 공유하고,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 조건에 도달하면,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스마트 미터로 전송하는 관제센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호실에 대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조건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은 각 호실에 설치된 계량기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은 화재, 진동, 지진에 의해 건물 전체 차원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조건은, 전력요금, 전력 사용량, 전력요금 연체 이력이 개별적 또는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이루어지고, 전력량 조절은 시간별, 요금제별, 계절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은,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하여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관제센터와 공유하도록 하며,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의해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수행하는 제어부;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조건을 가공하도록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부; 정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관제센터로 전송하고,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을 수행하는 전력차단부; 및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호실에 대한 전력량 조절을 수행하는 전력량 조절부로 구성된 스마트 미터; 및 스마트 미터와 함께 공유하는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스마트 미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부; 스마트 미터로부터 전송되어 처리된 각 호실에 대한 정보와,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스마트 미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들 정보를 토대로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스마트 미터로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성된 관제센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에 따르면, 원격지에서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형 스마트 미터를 구성하여, 개별 호실 입주자들의 전력요금 체납 등 여러 가지 정보를 토대로 전력을 차단하거나 전력량을 조절하는 등 관리자가 굳이 개입하지 않고도 각 호실 입주자들에 대한 전력요금 납부를 위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더 나아가서는 화재, 진동 , 더 나아가서는 지진 감지와, 침입자 감시가 가능하고, 그 정보를 스마트 미터와 관제센터가 서로 공유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원격지에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이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자에 대한 전력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미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관제센터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사용자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 개념도이다.
일실시예에서 스마트 미터(100)는, 예를 들어 빌딩에 입주한 각 호실(이하, 전력 사용자와 혼용하기로 한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수행하도록,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200)와 네트워크화된다.
스마트 미터(100)는, 상기와 같이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하여 각 호실에 대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한 후, 이를 관제센터(200)로 전송하여 서로 공유한다. 상기 각 호실에 대한 정보는, 개별 전력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신상정보, 전력 사용량 정보, 전력요금 체납정보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전력량 조절은, 예를 들어 최대 10kw에서 3kw로 줄여 대용량 전열기구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전력량 조절은 또한, 사용시간이 제한되도록 공급시간대를 조절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스마트 미터(100)는 또한, 온도, 더 나아가서는 화재, 진동, 더 나아가서는 지진 감지와, 침입자 감시에 따라 건물 전체 차원에서의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에서 관제센터(200)는, 스마트 미터(100)와 함께 공유하는 전력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개별 전력 사용자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와, 화재 및/또는 지진 발생에 따라 건물 전체 차원에서의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스마트 미터(1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온도신호 및/또는 진동신호를 토대로 발생하고, 이를 스마트 미터(100)로 전송한다.
일실시예에서 관제센터(200)는 또한, 스마트 미터(1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영상신호를 토대로 침입자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제어신호를 스마트미터(100)로 전송한다. 침입자에 대응하도록 발생하는 제어신호는, 예를 들어 경보음 발생, 안내방송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빌딩에 입주한 각 호실마다 계량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이 수행되면, 그 동작이 그 호실에 설치된 계량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계량기의 동작값은 다시 스마트 미터(100)로 전송되어 그에 부합한 전력요금을 그 호실에 부과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관제센터(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용 제어신호를 스마트 미터(100)가 수신하여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관제센터(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가 스마트 미터(1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개별 계량기로 수신되어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미터(100)는 전력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화재, 진동 등의 감지정보와 침입자 등의 감시정보를 관제센터(100)와 공유하면서, 자체적으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격지에 위치한 관제센터(200)는 스마트 미터(100)와 상기 정보들을 공유하되, 스마트 미터(100)와는 별개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별개의 제어동작은, 예를 들어 비상상황 발생에 따른 응급복구를 위한 조치 등이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미터의 구성도이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각 호실에 대한 정보들을 처리하고, 이를 관제센터(200)와 공유하며, 이들 정보들을 처리한 결과에 따라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관제센터(200)의 제어에 의해 수행한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또한, 스마트 미터(100) 자체 및 그 설치된 소정 구역에 대한 온도, 더 나아가서는 화재, 스마트 미터(100) 자체 및 그 설치된 소정 구역에 대한 진동, 더 나아가서는 지진으로 인한 건물의 진동 신호, 그리고 영상촬영을 통한 침입자 등의 영상 신호를 관제센터(200)와 공유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관제센터(200)의 제어에 의해 건물 전체 차원에서의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에서 정보입력부(120)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이 입력되는 정보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이들 정보는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조건으로서 가공되어 저장된다. 상기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해 가공되는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요금 및 그에 대한 체납기간, 사용 전력량 등이 모두 별도로 고려되어 설정될 수도 있고, 이들 정보들이 모두 연관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력요금의 과다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고, 평소 사용하는 전력량에 비해 과다하게 많은 전력량이 소정기간 동안 계속 사용될 경우 등,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조건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온도센서(130)는, 스마트 미터(100) 자체 및 그 설치된 소정 구역, 더 나아가서는 건물 임의의 소정 구역 등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온도센서(130)는, 전력라인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력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온도센서(130)는, 스마트 미터(1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진동센서(140)는, 스마트 미터(100) 자체 및 그 설치된 소정 구역, 더 나아가서는 건물의 진동을 감지하는 수단이다. 진동센서(140)는, 건물의 진동을 감지하여 지진을 판단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진동센서(140)는, 스마트 미터(1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CCTV(150)는, 스마트 미터(100)가 설치된 소정 구역, 더 나아가서는 건물의 소정 구역 등의 상황을 촬영하는 수단이다. CCTV(150)는, 스마트 미터(100)에 대하여 위해를 가하는 상황, 더 나아가서는 건물 소정 구역을 통한 침입자를 촬영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CCTV(150)는, 스마트 미터(1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통신부(160)는, 스마트 미터(100)에서 처리된 각 호실별 정보와, 온도센서(130), 진동센서(140), CCTV(150)를 통해 각각 확보한 온도, 더 나아가서는 화재, 진동, 더 나아가서는 지진 및 영상신호들을 관제센터(200)로 전송하고, 이들 신호들을 토대로 발생한 제어신호를 관제센터(200)로부터 수신하는 수단이다.
일실시예에서 통신부(160)는, TCP/IP 통신 등 일반 인터넷 통신과 전력선 통신(PLC)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망, 3G, 4G, 4G LTE, 5G 등 일반적으로 통신사 망에서 서비스되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원거리 통신망과, 블루투스, 지그비, RF, Wi-Fi 등의 근거리 통신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온도센서(130), 진동센서(140), CCTV(150)가 각각 스마트 미터(100)와 이격되어 설치될 경우, 이들을 통한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고, 그 처리신호들은 원거리 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20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통신부(160)는, 보안 기능이 탑재되어 스마트 미터(100) 및 관제센터(200)에 관련된 자들 이외에는 정보를 알 수 없도록 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전력차단부(170)는, 스마트 미터(100)와 관제센터(200)가 서로 공유하는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관제센터(20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일실시예에서 전력차단부(170)는 또한, 감지된 온도, 더 나아가서는 화재, 진동, 더 나아가서는 지진 감지신호와, 촬영된 영상신호 등을 토대로 관제센터(20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건물 전체 차원에서의 전력 차단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이는 화재나 지진 등 사고발생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전력량조절부(180)는, 스마트 미터(100)와 관제센터(200)가 서로 공유하는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관제센터(20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각 호실에 대한 전력량 조절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일실시예에서 전력차단부(170)는 또한, 감지된 온도, 더 나아가서는 화재, 진동, 더 나아가서는 지진신호와, 촬영된 영상신호 등을 토대로 관제센터(20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건물 전체 차원에서의 전력량 조절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이는 지진, 화재 등 사고발생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전력차단부(170)와 전력량조절부(180)는, 그 동작이 스마트 미터(100)와, 각 호실마다 설치된 계량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정전시 또는 비상상황 발생시에도 동작 및 데이터 보관에 이상이 없도록 전력 저장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관제센터(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가 개별 호실 계량기로 직접 전송되어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도 3의 구성이 개별 호실마다 설치된 계량기에 구성된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제센터의 구성도이다.
일실시예에서 제어부(210)는, 각 호실에 대한 정보들을 스마트 미터(100)와 공유하도록 스마트 미터(1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정보들을 처리하며, 스마트 미터(100) 자체 및/또는 그 설치된 소정 구역에 대한 온도, 더 나아가서는 화재, 스마트 미터(100) 자체 및/또는 그 설치된 소정 구역에 대한 진동, 더 나아가서는 지진신호와, 영상촬영을 통한 침입자 등의 영상신호를 스마트 미터(100)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함에 따라,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과, 건물 전체 차원에서의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이 수행되도록 스마트 미터(100)를 제어한다.
일실시예에서 정보처리부(220)는, 스마트 미터(1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호실에 대한 정보들과, 온도, 더 나아가서는 화재, 진동, 더 나아가서는 지진신호와, 영상신호들을 처리하여,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과, 건물 전체 차원에서의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데이터를 제어부(210)에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정보처리부(220)는 또한, 전력 사용자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이 각종 요금제 및 전력 사용자 정보에 따라 다양한 과정을 거쳐 수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와 연계하여 1달 이상 전력요금 납부를 연체할 경우 전력 사용자 개별 DB로부터 연체정보를 확인하고, 먼저 전력 사용자에게 SMS, 자동응답, 안내 전화 및 문자, 메일 등 다양한 통신수단을 통해 연체 사실을 인지시키고, 즉시 또는 그에 합당한 조치가 소정 기간내에 없을 경우,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저장부(230)는, 스마트 미터(100)와 관제센터(200)가 서로 공유하는 각 호실 전력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온도, 더 나아가서는 화재, 진동, 더 나아가서는 지진정보와, 영상신호를 통한 침입자 정보 등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일실시예에서 저장부(230)는 또한, 각 호실의 전력 사용자에 대한 각종 요금정보, 정산, 청구, 납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통신부(250)는, 스마트 미터(1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전력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온도, 더 나아가서는 화재, 진동, 더 나아가서는 지진신호와, 영상촬영을 통한 침입자 영상신호을 수신하는 수단이다.
일실시예에서 통신부(250)는 또한, 스마트 미터(100)로부터 전송되어 온 상기 각종 신호들을 토대로 발생한 제어신호를 스마트 미터(100)로 전송하는 수단이다.
통신부(250)는, 송수신되는 신호(데이터)의 보안을 위하여 디크립션(데이터 복호화)과 인크립션(데이터 암호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내장되어 신호의 왜곡, 위조 및 변조와 해킹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은, 스마트 미터(100)를 통해 개별 호실 입주자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되며, 이 정보는 스마트 미터(100)와 관제센터(200)가 서로 공유한다.
따라서 개별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은 프로그램하기에 따라 스마트 미터(100)는 또는 관제센터(2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개별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은, 여러 가지 조건들이 개별적으로 반영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들 조건들이 상호 연계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온도, 더 나아가서는 화재, 진동, 더 나아가서는 지진에 따른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은, 이러한 비상 상황으로 인해 이미 전력이 차단되어 있을 수도 있으므로, 실시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전력이 이미 차단된 경우에는 전력 차단은 의미가 없는 것으로 수행되지 않도록 하고, 전력량 조절은 예를 들어 대피가 필요하나 화재 또는 기타 급박한 상황 발생 우려가 큰 경우, 대피 통로상에 설치한 조명기구들만 동작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물론 건물 전체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100 : 스마트 미터 110, 210 : 제어부
120 : 정보입력부 130 : 온도센서
140 : 진동센서 150 : CCTV
160, 250 : 통신부 170 : 전력차단부
180 : 전력량 조절부 200 : 관제센터
220 : 정보처리부 230 : 저장부

Claims (12)

  1. 건물의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 조건에 도달하면, 원격지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 혹은 기기 자체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수행하는 스마트 미터; 및
    상기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미터와 함께 공유하고,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 조건에 도달하면,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스마트 미터로 전송하는 관제센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호실에 대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조건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은 각 호실에 설치된 계량기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은 화재, 진동, 지진에 의해 건물 전체 차원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조건은, 전력요금, 전력 사용량, 전력요금 연체 이력이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연관되어 설정되고, 전력량 조절은 시간별, 요금제별, 계절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6.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하여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관제센터와 공유하도록 하며,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의해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수행하는 제어부;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조건을 가공하도록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부;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관제센터로 전송하고,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을 수행하는 전력차단부; 및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호실에 대한 전력량 조절을 수행하는 전력량 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터.
  7. 제6항에 있어서,
    스마트 미터와 그 설치된 구역, 건물의 임의의 구역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스마트 미터와 그 설치된 구역, 건물에 대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스마트 미터와 그 설치된 구역, 건물의 임의의 구역에 대한 침입자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이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터.
  8.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하여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관제센터와 공유하도록 하며,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의해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수행하는 제어부;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조건을 가공하도록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부;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관제센터로 전송하고,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을 수행하는 전력차단부; 및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 호실에 대한 전력량 조절을 수행하는 전력량 조절부로 구성된 스마트 미터; 및
    스마트 미터와 함께 공유하는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스마트 미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부;
    스마트 미터로부터 전송되어 처리된 각 호실에 대한 정보와,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스마트 미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호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들 정보를 토대로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스마트 미터로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성된 관제센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호실에 대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조건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은 각 호실에 설치된 계량기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은 화재, 진동, 지진에 의해 건물 전체 차원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호실에 대한 전력 차단 또는 전력량 조절을 위한 조건은, 전력요금, 전력 사용량, 전력요금 연체 이력이 개벌적 또는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이루어지고, 전력량 조절은 시간별, 요금제별, 계절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KR1020160085707A 2016-07-06 2016-07-06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KR10194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07A KR101942154B1 (ko) 2016-07-06 2016-07-06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07A KR101942154B1 (ko) 2016-07-06 2016-07-06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505A true KR20180005505A (ko) 2018-01-16
KR101942154B1 KR101942154B1 (ko) 2019-01-24

Family

ID=6106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707A KR101942154B1 (ko) 2016-07-06 2016-07-06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1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03B1 (ko) * 2018-05-24 2019-11-21 주식회사 씨앤유글로벌 지진 감지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및 지진 발생 관리 서버
KR102573036B1 (ko) * 2022-11-24 2023-08-31 주식회사 그리다에너지 전력 요금 절감을 위한 ai 최적 거래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380A (ko) * 2009-01-22 2010-07-30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380A (ko) * 2009-01-22 2010-07-30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03B1 (ko) * 2018-05-24 2019-11-21 주식회사 씨앤유글로벌 지진 감지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및 지진 발생 관리 서버
KR102573036B1 (ko) * 2022-11-24 2023-08-31 주식회사 그리다에너지 전력 요금 절감을 위한 ai 최적 거래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154B1 (ko)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70167B (zh) 用于将电力分配到多个负载的方法和系统
CN108292850B (zh) 用于向具有电流测量值的多个负载供电的方法和系统
CN107478882A (zh) 智能电表远程监控装置
WO2010088663A1 (en) Energy delivery control systems and methods
CA2906127C (en) Security system installation
WO2012084523A2 (en) System and method to enforce utility meter security
KR101942154B1 (ko) 스마트 미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전력 제어시스템
CN103608991A (zh) 智能节点
TW201333480A (zh) 電量表、電量表之盜竊檢測方法,及電力供應系統
KR20100059641A (ko) 유무선 전자지불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기 자동판매기 및 그 충전결제방법
US20170254546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t least one thermal control device, and associated control unit and control system
US20230351883A1 (en) Service device for a fire protection system, corresponding fire protection system, system for operating a fire prote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101917926B1 (ko) 전력 제어를 위한 관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KR20210044595A (ko)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101584353B1 (ko) 스마트기반 지능형 방범 안심케어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CN106463963B (zh) 减少至少一个电力负载消耗的电功率的设备、相关联的系统和方法
EP3667853A1 (en) Power management device, power management system, power management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11553320B1 (en) Detection and handling of home owner moving by a home monitoring system
JP2003153466A (ja) エネルギー供給方法および装置
EP2913636B1 (en) A wireless sensor network
JP2016163450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KR102170932B1 (ko) 절전량 관리장치, 관리서버 및 관리시스템
CN110796793A (zh) 一种蒸汽流量监控热网系统以及蒸汽流量的监控方法
KR101700404B1 (ko)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플러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6895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