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486A -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486A
KR20180005486A KR1020160085646A KR20160085646A KR20180005486A KR 20180005486 A KR20180005486 A KR 20180005486A KR 1020160085646 A KR1020160085646 A KR 1020160085646A KR 20160085646 A KR20160085646 A KR 20160085646A KR 20180005486 A KR20180005486 A KR 20180005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rail
circuit breaker
outer rail
d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1531B1 (en
Inventor
박현성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6008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531B1/en
Publication of KR2018000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4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5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4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2Actuators interloc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lock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enable the interlock operation and return to be smoothly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comprises: a breaker main body accommodated in a switchboard or a cradle; and a draw-in and draw-out unit operated by the engagement of a draw-in and draw-out handle to insert and withdraw the breaker main body. The draw-in and draw-out unit comprises: an interlock out-rail retracted by being interlocked with the engagement of the draw-in and draw-out handle; an interlock inner rail provided inside the interlock out-rail, forming a continuous rail along with the interlock out-rail by being fixated in position when the interlock out-rail is retracted, and moved while supporting an interlock pin pushed up by the interlock out-rail; and a friction reducing member blocking contact between the interlock out-rail and the interlock inner rail by supporting the interlock inner rail on the floor surface of the breaker main body.

Description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0001]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0002]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 device of a circuit breaker.

일반적으로 회로차단기(circuit braker)는 선로 상에서 정상 전류의 개폐 및 사고 전류 발생시 계전기 등의 신호에 의해 그 사고 전류를 차단하는 전기 기기로,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aker, VCB)가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a circuit breaker is an electric device that cuts off a fault current by a signal such as a relay when a normal current is opened and a fault current is generated on a line, and a vacuum circuit breaker (VCB) is typically used .

이러한 회로차단기는 설치형태에 따라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과,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되어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인출입형으로 구별될 수 있다. Such a circuit breaker can be distinguished into a fixed type which is fixedly arrang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type and a drawn type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abinet or the cradle so as to be drawn out.

이 중에서 인출입형 진공차단기는 시스템 운전자의 착오로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차단기본체의 인출입이 시도되는 경우에 인출입이 불가하게 하고, 차단기가 트립(Trip)된 상태에서만 차단기본체의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In the case of the breaker-type vacuum circuit breaker, the circuit breaker body can not be drawn in or out when the breaker body is attempted in the state where the circuit breaker is inserted due to a mistake of the system operator, and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can be pulled out only when the circuit breaker is tripped .

이를 위해, 종래의 기술에 의한 진공차단기는 투입상태에서 표시부를 통해 시스템 운전자에게 인출입이 불가하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차단기본체가 이송되지 않도록 차단기본체를 록킹하는 인터록 장치를 구비한다. To this end, the vacuum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 device for indicating that the system operator can not be drawn in or out through the display part in the closed state, or for locking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so as not to be fed.

그러나, 종래의 인터록 장치는 차단기본체를 인입 또는 인출하거나, 이를 록킹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고,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품 사이의 마찰, 특히 인터록을 구성하는 부품의 하중 등에 의해 인터록 작동 및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interlock devic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for pulling in or pulling out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locking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and interlocking operation and returning smoothly due to friction between the parts, particularly, A phenomenon that is not achieved is caus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88451호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008845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터록 작동 및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조를 개선한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lock device of a circuit breaker that improves the structure so that operation and return of the interlock are smoothly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는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되는 차단기본체와, 인출입핸들의 결속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인출입시키는 인출입유닛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출입유닛은 상기 인출입핸들의 결속에 연동되어 후퇴동작되는 인터록 아웃레일;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시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함께 연속적인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 밀려 올려진 인터록 핀을 지지하며 이동되는 인터록 이너레일; 및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을 상기 차단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하여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접촉을 차단하는 마찰저감부재;를 포함한다.An interlock device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it breaker main body accommodated in an electric distribution board or a cradle, and an interlock device of a circuit breaker including a circuit breaker main body which is operated through engagement of a draw- Wherein the outgoing-in / out unit includes an interlock-out rail interlocked with the engagement of the outflow-in handle and retracted; The interlock outer rail is provided at the inner side of the interlock outer rail and is fixed in position during the retreating operation of the interlock outer rail to form a continuous rail together with the interlock outer rail and supports the interlock pin pushed up by the interlock outer rail, Interlock inner rails; And a friction reduc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interlock inner rail on a bottom surface of the breaker main body to block contact between the interlock outer rail and the interlock inner rail.

또한,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에는 상기 인터록 핀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는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인터록 핀이 수용되며 후퇴동작이 제한되되,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시 상기 인터록 핀을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밀어내며 배출하는 구속홈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interlock inner rails may be formed with receiving grooves for receiving the interlock pins, the interlock outer rails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s to receive the interlock pins and restrict the retraction operation, And a restricting groove for pushing out and discharging the interlock pin from the receiving groove at the time of the retreating operation of the interlock pin.

또한,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상단은 상기 구속홈 및 상기 수용홈에 위치된 상기 인터록 핀을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상단에 밀어 올려 놓을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상단보다는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outer rail is formed to have a height that allows the interlock pin located in the restraining groove and the receiving recess to be pushed up to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inner rail. .

또한,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에 제공되며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 형성된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차단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1돌출구조물 또는 제1부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iction reduc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interlock inner rail and may be supported by a bottom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through a through groove formed in the interlocking outer rail to block contact between the interlock outer rail and the interlock inner rail. A protruding structure or a first bushing member.

또한,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상기 바닥면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2돌출구조물 또는 제2부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riction reduc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otruding structure or a second bushing member formed on the interlocking outer rail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body to block contact between the interlocking outer rail and the bottom surface have.

또한,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 또는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 중 적어도 한 쪽에 제공되어 다른 한 쪽에 지지되며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3돌출구조물 또는 제3보조 부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rotruding structure or a third auxiliary bushing member which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interlock outer rails or the interlock inner rails and is supported on the other side and maintains the g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차단기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인출입핸들의 결속이 제한되고, 회로차단기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회로가 끊어진 상태에서는 인출입핸들의 결속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회로차단기의 운전시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터록 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마찰 등을 최소화하여 작동 및 복귀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ircuit breaker is connected, the coupling of the draw-out mouth handle is limited, and when the circuit breaker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and the circuit is disconnected,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ystem can be improved, and friction and the like can be minimiz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 device, so that operation and return can be smooth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회로차단기의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로차단기의 인입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가 차단기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인출입유닛에 설치된 인터록 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가 조립된 조립체의 사시도.
도 7은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가 조립된 조립체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인터록 아웃레일이 전진 배치된 상태의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인터록 아웃레일이 후퇴된 상태의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가 조립된 조립체의 정단면도.
도 12는 인출입핸들이 이송스크류에 결속되지 않은 상태의 차단플레이트, 인터록 아웃레일 및 인터록 이너레일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인출입핸들이 이송스크류에 결속된 상태의 차단플레이트, 인터록 아웃레일 및 인터록 이너레일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의 록킹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의 록킹 해제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인출입핸들이 이송스크류에 결속될 때의 인터록 레버 및 인터록 바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록 아웃레일이 전진 배치된 상태의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w-out state of a circuit breaker to which a draw-out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shown in Fig. 1 is being pulled.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aw-out mouth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ircuit breaker body.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w-out mouth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lock bar provided in the draw-in / out unit;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in which an interlock outer rail, an interlock inner rail, and an interlock bar are assembled;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an assembly in which an interlock outer rail, an interlock inner rail, and an interlock bar are assembl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lock outer rails, interlock inner rails, and interlock bars shown in Figs.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interlocked outrails, interlock inner rails and interlock bars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lock outrails are advanced.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terlock outrails, the interlock inner rails and the interlock bars with the interlock outrails retracted;
11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assembly incorporating an interlock outer rail, an interlock inner rail, and an interlock bar.
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rupting plate, the interlocking outer rail and the interlocking inner rail in a state in which the drawing-out inlet handle is not engaged with the conveying screw;
1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rupting plate, the interlocking outer rail and the interlocking inner rail in a state in which the drawing-out inlet handle is engaged with the conveying screw;
FIG. 14 is a side view showing a locking operation of the retrieving and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ide view showing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retrieving and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 lever and the interlock bar when the take-out inlet handle is engaged with the feed screw;
Figure 17 is a side view of an interlock outrail, interlock inner rail, and interlock bar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lock outrails are advanc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Referring to FIGS. 1 to 16, the outgoing and going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는 차단기본체(110), 인출입유닛(120) 및 가동샤프트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100)에 적용될 수 있다. First, the drawing-out and interlock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ircuit breaker 100 including a breaker main body 110, a drawing-out input unit 120, and a movable shaft.

또한, 상기 인출입유닛(120)은 인출입핸들(130)에 의해 조작되며, 회전동작을 통해 차단기본체(110)를 인입 및 인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스크류(12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drawing input / output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 conveying screw 122 which is operated by the draw-out input handle 130 and can transfer the breaker main body 110 to the draw-in and draw- .

여기서, 상기 차단기본체(110)는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된 상태로 후술할 인출입유닛(120)에 구비되는 이송스크류(122)에 연결되어, 이송스크류(122)의 회전에 의해 전진 및 후퇴되어 인출입될 수 있다. Here, the breaker main body 110 is connected to a conveying screw 122 provided in a take-in / take-out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advanced and retracted by rotation of the conveying screw 122 in a state accommodated in an electric distribution board or a cradle It can be pulled out.

이송스크류(122)는 전단에 후술할 인출입핸들(130)에 결속되는 연결단(123)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veying screw 122 may have a connecting end 123 coupled to the take-out inlet handle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e front end.

상기 연결단(123)은 후술할 차단플레이트(210)의 후방에 위치하며, 차단플레이트(210)가 후퇴되는 경우에 차단플레이트(21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end 123 may be located behind the blocking plate 210 and may protrude forward of the blocking plate 210 when the blocking plate 210 is retracted.

상기 구동샤프트는 차단기본체(110)에 구비되는 메커니즘(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며 가동접촉자(미도시)를 구동시킬 수 있다. The drive shaft is rotated by a mechanism (not shown) provided in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10 to drive a movable contact (not shown).

여기서,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가 연결된 상태가 차단기의 투입상태이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회로가 끊어진 상태가 차단기의 트립상태이다. Here, the state where the movable contac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not shown) and the circuit is connected is the clos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and the state where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is the trip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본체(110)가 인출입유닛(120)에서 전진 배치된 상태는 차단기가 인출된 상태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본체(110)가 인출입유닛(120)에서 후퇴된 상태는 차단기가 인입된 상태이다.
1,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10 is disposed in the outgoing-in / out-out unit 120 in a state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is drawn out. As shown in FIG. 2, The state of being retracted by the breaker 120 is a state in which the breaker is drawn.

한편, 도 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는 차단플레이트(210), 인터록 아웃레일(220), 인터록 이너레일(230), 인터록 바(240), 지지브라켓(250), 복귀 스프링(260), 인터록 레버(270), 인터록 암(280) 및 마찰저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16, the I / O interlock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p plate 210, an interlock out rail 220, an interlock inner rail 230, A bar 240, a support bracket 250, a return spring 260, an interlock lever 270, an interlock arm 280, and a friction reducing member.

상기 차단플레이트(21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입유닛(120)에 구비되는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을 덮도록 구비되되 인출입핸들(130)의 결속시 인출입핸들(130)에 의해 밀려서 후퇴되어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이 차단플레이트(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12 and 13, the blocking plate 210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connection end 123 of the feed screw 122 provided in the feed-in / out unit 120, The connection end 123 of the transfer screw 122 may be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shutoff plate 210 by being pushed and retracted by the outflow inlet handle 130.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은 이송스크류(122)의 전단에 형성되며, 인출입핸들(130)에 결속되어 인출입핸들(13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위이다. The connecting end 123 of the conveying screw 122 is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conveying screw 122 and is coupled to the draw-out input handle 130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aw-in input handle 130.

일 실시예에서, 차단플레이트(210)는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의 전방에 배치되며, 연결단(123)은 관통할 수 있고 인출입핸들(130)은 관통할 수 없는 관통구멍(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locking plate 2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onnecting end 123 of the conveying screw 122, and the connecting end 123 can be pierced and the withdrawal inlet handle 130 can not penetrate Holes (not shown).

이러한 구성에서, 인출입핸들(130)은 차단플레이트(210)를 후퇴시켜서 관통구멍을 통해 돌출되는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에 결속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draw-out inlet handle 130 can be engaged with the connecting end 123 of the conveying screw 122, which protrudes through the through-hole by retracting the cut-off plate 210.

이때, 차단플레이트(210)가 충분한 거리만큼 후퇴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에 인출입핸들(130)이 결속되지 않게 되어 인출입핸들(130)의 회전력이 이송스크류(122)에 전달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blocking plate 210 is not retracted by a sufficient distance, the draw-out handle 130 is not engaged with the connecting end 123 of the conveying screw 122,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aw- It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22.

한편, 일 실시예에서, 인출입유닛(120)에는 차단플레이트(2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차단플레이트(2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212)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locking plate 210 is removed, the retrieving / inputting unit 120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212 for returning the blocking plate 210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차단플레이트(2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차단플레이트(210)의 거동시 함께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차단기본체(110)의 인입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 형태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The interlock out rail 2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terrupting plate 210 and may be provided to move together with the interrupting plate 210 when the interrupting plate 210 is in motion. The interlock output rail 220 may be provided as a member in the form of a rail extending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breaker main body 110.

또한,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전단에 차단플레이트(210)에 체결되는 연결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nterlock output rail 220 may have a connecting portion 222 which is fastened to the blocking plate 210 at the front end.

이러한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인출입유닛(120)에 구비되며,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입 동작에 대해 독립적으로 거동할 수 있다.The interlock output rails 220 are provided in the draw-in / out unit 120 and can act independently of the draw-in / out operations of the breaker main body 110.

일 예로,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상면이 개방된 각관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interlock out rail 220 may be formed of a member having an open top surf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구속홈(224)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interlock out rail 220 may include a constraining groove 224.

상기 구속홈(224)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부에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estricting groove 224 may b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out rail 220 as shown in FIGS. 6 to 10.

이러한 구속홈(224)은 후술할 인터록 핀(242)이 수용 및 탈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restricting groove 224 is formed so that the interlock pin 242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received and removed.

일 실시예에서, 구속홈(224)은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위치 및 인입위치에 각각 1개소씩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estraint groove 224 may be formed at each of the withdrawal position and the withdrawal position of the circuit breaker body 110, respectively.

또한,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마찬가지로 상면이 개방된 각관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interlock inner rails 230 may be formed of a member having an open top surface like the interlock outer rails 2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이러한 인터록 이너레일(230)에는 구속홈(224)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용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nterlock inner rails 230 may be formed with receiving grooves 234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tricting grooves 224.

상기 수용홈(234)에는 후술할 인터록 핀(242)이 수용될 수 있다. The receiving groove 234 may receive an interlock pin 242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위치는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상태에서 후술할 인터록 핀(242)이 위치하는 부위에 해당하고,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위치는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상태에서 후술할 인터록 핀(242)이 위치하는 부위에 해당한다. The withdrawal positio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10 corresponds to a position where the interlock pin 242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withdrawal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10,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the interlock pin 242 to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in the drawn-in state.

또한, 일 실시예에서, 구속홈(224)은 경사부(224S)를 구비할 수 있다. 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constraining groove 224 may have an inclined portion 224S.

상기 경사부(224S)는 차단플레이트(21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inclined portion 224S may be inclined upwards in the direction of the blocking plate 210. [

이러한 경사부(224S)는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후퇴동작시에 후술할 인터록 핀(242)을 밀어내며 배출할 수 있다. This inclined portion 224S can push out and discharge the interlock pin 242 to be described later at the time of the retreating operation of the interlocking outer rail 220. [

또한, 상기 구속홈(224)의 위치에 대응하여, 수용홈(234)은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위치 및 인입위치 각각에 1개소씩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stricting groove 224, the receiving recess 234 may be formed at each of the drawing position and the drawing position of the circuit breaker body 110, respectively.

다시 말해,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되는 경우에 구속홈(224)에 수용된 인터록 핀(242)은 경사부(224S)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승되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230)이 함께 이동함에 따라 구속홈(224) 및 수용홈(234)으로부터 배출되어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interlock out rail 220 is retracted, the interlock pin 242 accommodated in the constraining groove 224 is slid along the slope portion 224S and is lifted up and placed on the top of the interlock out rail 220 The interlock outer rail 220 and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may be discharged from the restricting groove 224 and the receiving groove 234 and may be supported at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as the interlock outer rail 220 and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move together.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내측에 구비되며,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후퇴동작시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The interlock inner rails 230 are provided inside the interlock out rails 220 and can be fixed in position when the interlock out rails 220 are retracted.

한편, 도 11을 참고하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은 구속홈(224) 및 수용홈(234)에 위치된 인터록 핀(242)를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에 밀어올려 놓을 수 있는 충분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보다는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11,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ing outer rail 220 can push the interlock pin 242 located in the recess 224 and the receiving recess 234 to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And preferably may be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ing inner rail 230. As shown in FIG.

이러한 구조에 따라 인터록 핀(242)은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에 밀려 올려진 상태에서는,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d2)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터록 핀(242)이 인터록 이너레일(23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과는 접촉되지 않음에 따라 마찰 저항을 최소로 할 수 있다.The interlock pin 242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d2 from the top of the interlock out rail 220 when the interlock pin 242 is pushed up to the top of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Is not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output rail 220 in the process of moving along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the frictional resistance can be minimized.

한편, 일 실시예에서, 수용홈(234)은 구속홈(224)과 같이 경사부(224S)를 구비하지 않고 전단과 후단이 모두 수직하게 형성되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the receiving groove 234 may not be provided with the inclined portion 224S like the restricting groove 224, but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y forming both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vertically, no.

또한,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인터록 이너레일(230)과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접촉하는 부분에서 구조적으로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The interlock inner rails 230 may be slid while being accommodated inside the interlock outer rails 220. In this process, the interlock inner rails 230 may be structurally Friction may occur.

본 실시예는 인터록 이너레일(230)과 인터록 아웃레일(220) 사이에 마찰저감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찰저감부재에 의해 인터록 이너레일(230)과 인터록 아웃레일(22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저감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friction reducing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and the interlocked outer rail 220 and is generated between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and the interlocked outer rail 220 Friction can be reduced.

일 예로, 마찰저감부재는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돌출구조물(23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록 아웃레일(220)에는 제1돌출구조물(236)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돌출구조물(236)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관통홈(226)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protruding structure 236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A through groove 226 may be formed in the interlock output rail 220 so as to pass through the first protruding structure 236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ding structure 236.

도 11을 참고하면, 제1돌출구조물(236)은 관통홈(226)을 통과하여 차단기본체(110)의 바닥면(114)에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바닥면(114)에 대해 일정한 간격(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접촉이 최소화되며 슬라이딩이동하게 되어 마찰이 감소되고, 이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11, the first protruding structure 236 can be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114 of the breaker body 110 through the through-hole 226 so that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has a bottom surface 0.0 > d1 < / RTI > Therefore, the interlock inner rails 230 are minimized in contact with the interlocking outlets 220 during the movement, and the sliding movement of the interlock outer rails 230 reduces the friction and smooths the movement.

여기서, 제1돌출구조물(236)은 다양한 형태나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설치 위치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Here, the first protruding structure 236 may be composed of various shapes or structures, and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first protruding structures 236 are not limited.

또한, 제1돌출구조물(236)은 일례로 볼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볼트는 둥근머리 볼트일 수 있고, 볼트의 머리부가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관통홈(226)을 관통하여 바닥면(114)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ding structure 236 may be a bolt, for example. Preferably, the bolt may be a round head bolt, and the head of the bolt may be installed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114 through the through groove 226 of the interlock out rail 220.

한편, 마찰저감부재는 볼트와 같은 제1돌출구조물(236) 외에도 제1부싱부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부싱부재는 마찰이 적아 윤활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로는 예컨대 테프론 등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may be provided as a first bushing member in addition to the first projecting structure 236 such as a bolt. The first bush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lubricating material having low friction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Teflon.

또한, 인터록 아웃레일(22)에 형성되는 관통홈(226)은 인터록 이너레일(230)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조적 강도가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더 크게 형성되거나, 다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through grooves 226 formed in the interlock outer rails 22 are formed to be larger within the allowable structural strength so as to minimize contact with the interlock inner rails 230, .

도 4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인터록 바(240)는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방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향 연장된 바 형태의 부재이다. 또한, 인터록 바(240)의 일측에는 프레임(112)에 구비되는 회로차단기의 조작 기구부에 연결되며 조작을 구속하기 위한 결속부재 연결을 위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4 to 11, the interlock bar 240 is an upwardly extended bar shaped member which is vertically movable above the interlocking outer rail 220. In addition, a hole for connecting a binding member for restricting opera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terlock bar 240, which is connected to an operation mechanism portion of the circuit breaker provided in the frame 112.

이러한, 인터록 바(240)는 하단부가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구속홈(224)에 수용되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후퇴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interlock bar 240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straining groove 224 of the interlocking outer rail 220 to limit the retraction of the interlocking outer rail 220.

다시 말해, 인터록 바(240)의 상승이 제한되는 경우에 인터록 바(240)의 하단부가 구속홈(224)에 수용되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몸체에 걸리게 되므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되지 못하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upward movement of the interlock bar 240 is restricted, the lower end of the interlock bar 240 is received in the constraint groove 224 and caught by the body of the interlock out rail 220, .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바(240)의 하단부에는 봉 형태의 인터록 핀(242)이 구비될 수 있다. 인터록 핀(242)은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구속홈(224)과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수용홈(234)에 수용될 수 있고,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후퇴동작에 의해 올려져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terlock pins 242 in the form of bars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lock bar 240. The interlock pin 242 can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234 of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and the restraining groove 224 of the interlocking outer rail 220 and is raised by the retracting operation of the interlocking outer rail 220 Can be slid along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이러한 인터록 핀(242)은 단면이 원형인 봉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구속홈(224)의 경사부(224S)를 수월하게 타고 올라갈 수 있다.
The interlock pin 242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so that the inclined portion 224S of the constraining groove 224 can be easily ridden.

상기 지지브라켓(250)은 인터록 바(240) 및 인터록 핀(242)이 조립된 조립체를 차단기본체(110)에 승강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The support bracket 250 can support the assembly in which the interlock pin 240 and the interlock pin 242 are assembled to the breaker main body 110 in such a manner that the assembly can be raised and lowered.

일 실시예에서, 지지브라켓(2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을 덮도록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250)에는 인터록 바(240)가 관통 삽입될 수 있고, 내부에 인터록 핀(242)을 수용하되 양측면에는 인터록 핀(242)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승강이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브라켓(250)은 인터록 바(240)가 관통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형태가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bracket 250 may be supported to cover the top of the interlock out rail 220, as shown in FIG. The interlock pin 24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bracket 250 and the interlock pin 242 is accommodated in the support bracket 250 and both ends of the interlock pin 242 are inserted into the guide bracket 250, . Although the support bracket 250 is explained as being inserted through the interlock bar 240, the support bracket 250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또한, 지지브라켓(250)과 인터록 바(240) 사이에는 인터록 바(240)를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복귀 스프링(260)이 구비될 수 있다.A return spring 26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250 and the interlock bar 240 to elastically press the interlock bar 240 downward.

이러한 복귀 스프링(260)은 인터록 바(240)가 구속홈(224) 및 수용홈(234)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인터록 핀(242)이 구속홈(224) 및 수용홈(234)에 수용되도록 인터록 바(240)를 하방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This return spring 260 automatically disengages the interlock pin 242 from the restricting groove 224 and the receiving groove 234 when the interlock bar 240 is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restricting groove 224 and the receiving groove 234. [ It is possible to elastically press the interlock bar 240 downward to be accommodated in the interlock bar 240. [

일 예로, 복귀 스프링(260)은 일단이 인터록 핀(242)에 지지되고 타단이 지지브라켓(250)에 지지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return spring 260 may include a compression coil spring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interlock pin 242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 25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인터록 레버(270)는 인터록 바(240)의 상단에 연결되며, 인터록 바(240)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하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The interlock lever 27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bar 240 and can be rotat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of the interlock bar 240.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레버(270)는 도 4 및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차단기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프레임(112)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인터록 바(240)의 상단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바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4 and 12 to 14, the interlock lever 27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12,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circuit breaker body 110, And a bar-shaped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ar 240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레버(27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바(240)가 하강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interlock lever 270 may be configured to be horizontally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lock bar 240 is disposed in a downward position as shown in FIGS. 14 and 1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인터록 레버(270)는 후술할 인터록 암(280)이 인터록 바(240)를 구속하는 구속력을 인터록 바(240)에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terlock lever 270 may serve as an intermediary for transmitting a restraining force for restricting the interlock bar 240 to the interlock bar 2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인터록 레버(270)를 통해 인터록 암(280)과 인터록 바(240)를 서로 지지시키는 구조는 인터록 암(280)과 인터록 바(240)가 직접 접촉되는 구조보다 강성이 높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terlock arm 280 and the interlock bar 240 are supported by each other through the interlock lever 270 is more rigid and structurally stable than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terlock arm 280 and the interlock bar 240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are advantages.

다시 말해, 인터록 레버(270)는 일단이 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측이 인터록 바(240)에 결합되어 인터록 암(280)의 거동되는 궤적에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interlock lever 270 can be rotatably engaged with the frame 112 at one end and coupled to the interlock bar 240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interlock lever 270 can be kept constant in the trajectory of the interlock arm 280.

이와 달리, 인터록 바(240)의 상단에 직접 인터록 암(280)이 접촉되는 구조의 경우에는 인터록 바(240)의 상단이 측방으로 지지되는 구조 없이 자유단 형태가 되게 되므로, 인터록 암(280) 방향으로 강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몸체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비뚤어지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The interlock arm 28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bar 24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bar 240 is free to be supported laterally, The body can be twisted or skewed in the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인터록 암(280)은 구동샤프트에 거동이 일치되도록 결합되어,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끝단이 하향 배치되어 인터록 레버(270)의 상승을 제한하고, 차단기의 트립상태에서 끝단이 인터록 레버(270)에서 이격되어 인터록 바(240)가 상승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할 수 있다. The interlock arm 280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 lever 280 is coincident with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 lever 270. The end of the interlock lever 280 is positioned downward in the closed state of the interlock lever 280 to limit the upward movement of the interlock lever 270, So that the interlock bar 240 can be raised.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암(280)은 일단이 구동샤프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인터록 바(240)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terlock arm 280 may be configured as a bar-shaped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drive shaf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lock bar 240.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암(28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구동샤프트와 인터록 레버(270) 사이에 수직으로 직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interlock arm 280 may be configured to stand vertically between the drive shaft and the interlock lever 270 in the closed state of the breaker,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인터록 암(280)이 구동샤프트와 인터록 레버(270) 사이에 수직으로 직립 가능한 구조는 인터록 바(240)에 상향으로 강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인터록 암(280)이 높은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terlock arm 280 is vertically erected between the drive shaft and the interlock lever 270, when the upward force is applied to the interlock bar 240, the interlock arm 280 can exhibit high resistance .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outgoing-and-going interlock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차단기의 투입상태인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이 일치되고 이러한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에 인터록 핀(242)이 수용되어 인터록 바(240)는 하강 배치된 상태가 된다. 9, the engaging groove 224 and the receiving groove 234 coincide with each other. When the interlock pin 242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234 and the engaging groove 224, So that the interlock bar 240 is placed in a lowered position.

또한,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인터록 암(28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하방으로 직립하게 배치된다.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is closed, the interlock arm 280 is disposed vertically downwardly as shown in Fig.

이때, 시스템 운전자가 인출입핸들(130)을 결속시키기 위해 차단플레이트(210)를 후퇴시키려고 하면, 인터록 암(280)에 의해 인터록 바(240)의 상승이 제한되고, 인터록 바(240)의 상승이 제한되므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인터록 핀(242)에 걸려서 후퇴되지 않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system operator attempts to retract the shutoff plate 210 to bind the take-out inlet handle 130, the rise of the interlock bar 240 is limited by the interlock arm 280, The interlock out rail 220 is caught by the interlock pin 242 and is not retracted.

이를 통해, 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는 인출입핸들(130)의 결속이 불가하게 된다.
As a result, binding of the draw-out handle 130 becomes impossible in a state in which the breaker is inserted.

한편, 차단기의 트립상태인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암(280)이 일방으로 회전되어 인터록 암(280)의 끝단이 인터록 레버(270)에서 이격되게 된다. When the breaker is in the tripped state, the interlock arm 28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 15, so that the end of the interlock arm 280 is separated from the interlock lever 270.

이를 통해, 인터록 바(240)는 상승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As a result, the interlock bar 240 can be raised.

이때, 시스템 운전자가 인출입핸들(130)을 결속시키기 위해 차단플레이트(210)를 후퇴시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플레이트(210)에 결합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system operator retracts the shutoff plate 210 to bind the outflow inlet handle 130, the interlockout rail 220 coupled to the shutoff plate 210 is retracted as shown in FIG.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될 때, 구속홈(224)의 경사부(224S)는 인터록 핀(242)을 밀어 올리게 되고, 상승 가능한 상태인 인터록 바(240)는 상승되게 된다. 또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될 때, 인터록 이너레일(230)은 마찰저감부재, 즉 제1돌출구조물(236)에 의해 바닥면(114)에 지지되므로,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인너록 이너레일(230)은 이동과정에서 서로 접촉하는 마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더욱 원활하게 이동된다.When the interlock output rail 220 is retracted, the slope portion 224S of the restraining groove 224 pushes up the interlock pin 242, and the interlock bar 240 in the ascendable state is raised. Further, when the interlock outer rail 220 is retracted, the interlock inner rails 230 ar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114 by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i.e., the first projecting structure 236, The inner locker rail 230 can minimize the frictional resistance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moving process, and thus the interlocked outer rail 220 is moved more smoothly.

이를 통해, 인출입핸들(130)은 이송스크류(122)의 연결단(123)에 결속될 수 있게 되고, 시스템 운전자는 인출입핸들(130)을 사용하여 이송스크류(122)를 회전시켜서 차단기본체(110)를 인입시킬 수 있다. This allows the draw-in handle 130 to be bound to the connecting end 123 of the conveying screw 122 and the system operator can rotate the conveying screw 122 using the draw-out mouth handle 130, (Not shown).

차단기 본체가 인입되는 동안, 인출입핸들(130)이 이송스크류(122)에 결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된 상태가 유지된다.
While the breaker main body is being pulled, since the pull-out mouth handle 130 is engaged with the conveyance screw 122, the interlock out-rail 220 is kept retracted as shown in Fig.

한편, 일 실시예에서, 인터록 아웃레일(220)이 후퇴된 경우에,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when the interlock out rail 220 is retreated, the restricting groove 224 and the receiving groove 234 may be arrang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경우에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인터록 이너레일(230)이 조립된 레일 조립체의 상단에는 홈이 형성되지 않고 연속된 모서리 또는 면이 조성된다.When the restraining groove 224 and the receiving recess 234 are arrang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a groove is no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ail assembly in which the interlock outer rail 220 and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are assembled, Or a surface is formed.

이때 인터록 핀(242)은 인터록 아웃레일(220)에 의해 밀려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에 올려진 상태로,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상단과는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터록 이너레일(220)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interlock pin 242 is pushed by the interlock outer rail 220 and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and the interlock inner rail 220 is not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outer rail 220 As shown in FIG.

또한, 인터록 핀(242)은 인터록 이너레일(230)의 상단에 지지되므로 인터록 바(240)의 하강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를 통해, 인터록 암(280)이 인터록 바(240)의 상승을 제한하는 위치로 회전될 수 없게 되므로, 차단기를 투입시킬 수 없게 된다. Since the interlock pin 242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the interlock bar 240 can not be lowered and thus the interlock arm 280 restricts the upward movement of the interlock bar 240. [ The breaker can not be turned 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입 인터록 장치(200)는 차단기본체(110)의 인출입 과정에서 차단기의 투입이 불가능하게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outgoing and going interlock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n operation of disabling the insertion of the circuit breaker in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removing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110.

한편,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이 완료된 경우, 시스템 운전자가 인출입핸들(130)의 결속을 해제하면, 인터록 아웃레일(220)은 탄성부재(212)에 의해 다시 전진 배치되게 된다. When the breaker main body 110 is completely drawn, when the system operator releases the engagement of the take-out input handle 130, the interlock output rail 220 is advanced and retracted by the elastic member 212.

이때,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위치에 형성된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은 서로 일치되게 되고, 이로 인해 구속홈(224)과 수용홈(234)에 인터록 핀(242)이 수용되어 인터록 바(240)가 하강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restricting groove 224 formed in the inserting position of the breaker main body 110 and the receiving groove 234 are alig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interlock pin 242 is accommodated in the restricting groove 224 and the receiving groove 234 So that the interlock bar 240 can be lowered.

이를 통해, 인터록 암(280)이 인터록 바(240)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위치로 회전 배치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차단기의 투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As a result, the interlock arm 280 can be rotated and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rise of the interlock bar 240 can be restrained, so that the breaker can be inserted.

본 실시예에서, 마찰저감부재(236)는 제1돌출구조물을 포함하여, 인터록 이너레일(230)을 바닥면(114)에 지지하여 인터록 이너레일(230)과 인터록 아웃레일(220) 사이의 접촉저항을 감소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록 이너레일(220), 인터록 아웃레일(230)의 마찰을 저감하기 위해 다양하게 변형 또는 개선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236 includes a first protruding structure to support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on the bottom surface 114 to support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between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and the interlock out rail 220 It is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or improve the friction between the interlock inner rails 220 and the interlock out rails 230 as shown in FIG.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록 아웃레일이 전진 배치된 상태의 인터록 아웃레일, 인터록 이너레일 및 인터록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7 is a side view showing interlocked outrails, interlock inner rails, and interlock bars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lock outrails are advanc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고하면, 인터록 아웃레일(220)에는 마찰저감부재로 제2돌출구조물(228)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제2돌출구조물은 차단기본체의 바닥면(114)에 지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second protruding structure 228 may be provided as a friction reducing member in the interlocking outer rail 220, and the second protruding structure may b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114 of the circuit breaker body.

이와 같이, 제2돌출구조물(228)은 인터록 아웃레일(220)과 바닥면(114) 사이의 접촉을 차단하여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슬라이딩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돌출구조물(228)은 볼트 등의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고, 이외에도 마찰저항이 적은 제2부싱부재 등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As such, the second protruding structure 228 can block the contact between the interlocking outer rail 220 and the bottom surface 114 to facilitat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interlocking outer rail 220. Also, the second protruding structure 228 may be provided as a structure such as a bolt, or may be provided as a second bushing member having a low frictional resistance.

또한, 마찰저감부재는 인터록 이너레일(230)과 인터록 아웃레일(220) 사이에 제공되어 다른 한쪽에 지지되며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3돌출구조물 또는 제3부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third protruding structure or a third bush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interlock inner rails 230 and the interlock out rails 220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other side and to maintain the gap.

즉, 제3돌출구조물이 볼트와 같은 구조물로 제공될 경우, 인터록 이너레일(230)에 설치되어 인터록 아웃레일(220)에 지지되며 인터록 이너레일(230)과 인터록 아웃레일(220)의 접촉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며, 인터록 아웃레일(220)에 설치되어 인터록 이너레일(230)과 접촉을 피하는 것도 가능하다.
That is, when the third protruding structure is provided as a bolt-like structure, it is installed on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and supported on the interlock outer rail 220, and the contact between the interlock inner rail 230 and the interlock outer rail 220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locking inner rail 230 from contacting with the interlock outer rail 220.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100: 회로차단기 110: 차단기본체
112: 프레임 120: 인출입유닛
122: 이송스크류 123: 연결단
130: 인출입핸들 200: 인출입 인터록 장치
210: 차단플레이트 212: 탄성부재
220: 인터록 아웃레일 222: 연결부
224: 구속홈 224S: 경사부
226: 관통홈 230: 인터록 이너레일
234: 수용홈 236: 제1돌출구조물
240: 인터록 바 242: 인터록 핀
250: 지지브라켓 252: 가이드홈
260: 복귀 스프링 270: 인터록 레버
280: 인터록 암
100: circuit breaker 110: breaker body
112: Frame 120: Draw-in / out unit
122: Feed screw 123:
130: withdrawal inlet handle 200: withdrawal inlet interlock device
210: blocking plate 212: elastic member
220: Interlock Outrail 222: Connection
224: restraint groove 224S: inclined portion
226: through groove 230: interlock inner rail
234: receiving groove 236: first protruding structure
240: Interlock bar 242: Interlock pin
250: support bracket 252: guide groove
260: return spring 270: interlock lever
280: interlock arm

Claims (6)

배전반 또는 크래들에 수납되는 차단기본체와, 인출입핸들의 결속을 통해 작동되어 상기 차단기본체를 인출입시키는 인출입유닛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출입유닛은
상기 인출입핸들의 결속에 연동되어 후퇴동작되는 인터록 아웃레일;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시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함께 연속적인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 밀려 올려진 인터록 핀을 지지하며 이동되는 인터록 이너레일; 및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을 상기 차단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하여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접촉을 차단하는 마찰저감부재;
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An interlock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comprising: a circuit breaker main body accommodated in an electric distribution board or a cradle; and an input / output unit which is operated through engagement of a take-out input handle to draw out the breaker main body,
The draw-
An interlock outer rail interlocked with the engagement of the draw-out mouth handle and retracted;
The interlock outer rail is provided at the inner side of the interlock outer rail and is fixed in position during the retreating operation of the interlock outer rail to form a continuous rail together with the interlock outer rail and supports the interlock pin pushed up by the interlock outer rail, Interlock inner rails; And
A friction reduc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interlock inner rail on a bottom surface of the breaker main body to block contact between the interlock outer rail and the interlock inner rail;
The interlock device of the circuit brea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에는 상기 인터록 핀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는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인터록 핀이 수용되며 후퇴동작이 제한되되,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후퇴동작시 상기 인터록 핀을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밀어내며 배출하는 구속홈을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lock inner rails are formed with receiving grooves for receiving the interlock pins,
Wherein the interlocking rail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interlock pin is received and restricting movement of the interlocking rail is restricted so as to push the interlock pin out of the receiving groove when the interlocking rail is retracted, The interlock device of the circuit break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의 상단은 상기 구속홈 및 상기 수용홈에 위치된 상기 인터록 핀을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상단에 밀어 올려 놓을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상단보다는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outer rail is formed to have a height that allows the interlock pin located in the restraining groove and the receiving recess to be pushed up to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 inner rail, Interlock device of circuit break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에 제공되며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 형성된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차단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1돌출구조물 또는 제1부싱부재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4. The friction stir welding mach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A first protruding structure provided on the interlock inner rail and passing through a through groove formed in the interlock outer rail to be supported by a bottom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to block contact between the interlock outer rail and the interlock inner rail, The interlock device of the circuit breake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기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과 상기 바닥면의 접촉을 차단하는 제2돌출구조물 또는 제2부싱부재를 더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5. The friction stir welding tool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rotruding structure or a second bushing member formed on the interlocking outer rail and suppor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body to block contact between the interlocking outer rail and the bottom surfa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상기 인터록 아웃레일 또는 상기 인터록 이너레일 중 적어도 한 쪽에 제공되어 다른 한 쪽에 지지되며 간격을 유지시키는 제3돌출구조물 또는 제3부싱부재를 더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5. The friction stir welding tool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 third protruding structure or a third bushing memb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interlock outer rails or the interlock inner rails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other side and to maintain a gap therebetween.
KR1020160085646A 2016-07-06 2016-07-06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1020915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46A KR102091531B1 (en) 2016-07-06 2016-07-06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46A KR102091531B1 (en) 2016-07-06 2016-07-06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486A true KR20180005486A (en) 2018-01-16
KR102091531B1 KR102091531B1 (en) 2020-03-20

Family

ID=6106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646A KR102091531B1 (en) 2016-07-06 2016-07-06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53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3267A (en) * 1996-09-17 1998-04-10 Fujitsu Ltd Electronic device
KR101052636B1 (en) * 2009-03-11 2011-07-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Balance entry / exit prevention device of circuit breaker
KR20140088451A (en) 2013-01-02 2014-07-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3267A (en) * 1996-09-17 1998-04-10 Fujitsu Ltd Electronic device
KR101052636B1 (en) * 2009-03-11 2011-07-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Balance entry / exit prevention device of circuit breaker
KR20140088451A (en) 2013-01-02 2014-07-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531B1 (en)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5676B2 (en) Circuit breaker cart pull-in and pull-out prevention device
US9685282B2 (en) Door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JP2730890B2 (en) Draw-in and draw-out mechanism of electrical breaker with main and auxiliary circuit
JP5237407B2 (en) Circuit breaker plug interlock device
JP5108086B2 (en) Circuit breaker
US8288669B2 (en) Electric switchgear
CN100454702C (en) Switching apparatus having a withdrawable-part rack and a lockable power circuit breaker
EP2230735B1 (en) Electric switchgear
JPH06203734A (en) Drawing-out type low-voltage breaker
CN102110545A (en) Interlock apparatus of ground switch for vacuum circuit breaker
JPH0622418A (en) Safety shutter apparatus of drawer type breaker
KR101261968B1 (en) Vacuum circuit breaker with interlock apparatus
CN107872027B (en) Interlock device for preventing closing during insertion or withdrawal of a circuit breaker in a switchboard
KR101667258B1 (en) Interlock device of circuit breaker
KR200441146Y1 (en) Truck mechanism assembly for vacuum circuit breaker
KR101604280B1 (en) Switchboard
KR20180005486A (en)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20170003662U (en) Handle interlock device of distribution panel
KR101555553B1 (en) Safety Device for Drawable Air Circuit Breaker
KR20120045730A (en) Drawing mecanism with double interlock function for a vacuum circuit breaker
KR20120001458U (en) 3- 3-Position Interlock Mechanism for Vacuum CircuitBreaker
KR101701816B1 (en) Interlock device of circuit breaker
KR200489519Y1 (en) plug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KR102507648B1 (en)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assembly include the same
KR200478313Y1 (en) Safety device of shutter for vaccum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