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451A -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451A
KR20140088451A KR1020130000334A KR20130000334A KR20140088451A KR 20140088451 A KR20140088451 A KR 20140088451A KR 1020130000334 A KR1020130000334 A KR 1020130000334A KR 20130000334 A KR20130000334 A KR 20130000334A KR 20140088451 A KR20140088451 A KR 20140088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moc
shaft
interlock shaft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3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83216B1 (en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216B1/en
Publication of KR20140088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4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2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65F1/002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with means for opening or closing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rtion/withdrawal interlock device for a vacuum circuit break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rtion/withdrawal interlock device for a vacuum circuit breaker, in which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insertion/withdrawal of the circuit breaker when the circuit breaker is supplied and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the supply of the circuit breaker when the circuit breaker is inserted/withdrawn can be performed by a single operation, thereby improving the easiness of use and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 device for the vacuum circuit breaker comprises: an interlock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a girder of a bogie unit and installed spaced apart in parallel to an insertion/withdrawal screw; a MOC bracket installed in a middle portion of the interlock shaf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terlock shaft; a MOC switch installed in the MOC bracket and having a stop pin protruding from a part of a bod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terlock shaft; and a latch piece connected to a part of the interlock shaft and protruding toward the stop pin. In a case where the MOC switch is pressed, if the interlock shaft is rotated, the latch piece is locked to the stop pin and the rotation of the interlock shaft is prevented.

Description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interrupter,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기가 투입되었을 경우 차단기의 인입출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차단기의 인입출 시에는 차단기의 투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단일한 동작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용이성과 기기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증대시킨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out interlock device for a vacuum circuit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 of preventing a breaker from being pulled in and out when a breaker is inserted and preventing a breaker from being inserted into or out of the break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interrupter and a vacuum interrupter, and more particularly,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고압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단락이나 과전류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회로차단기의 일종으로서 진공상태에서의 절연성능과 아크 소호력이 우수한 점을 활용하여 설계된 것이다.In general, a vacuum circuit breaker is a type of circuit breaker installed in a high-voltage power system and configured to protect the power system by shutting off the circuit in the event of a short circuit or an overcurrent, such as an excellent insulation performance in the vacuum state and an arc- .

이러한 진공차단기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를 위해 여러 전기기기를 설치하여 관리하는 배전반에 부설되며, 배전반에 고정된 크래들(Cradle) 내부에 수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배전반 내부에는 회로차단기의 터미널이 크래들의 부하단자에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되는 운전(Connected)위치와 크래들의 단자들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 테스트만 가능한 시험(Test)위치를 가지고 있다. 한편, 차단기 작동의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MOC(Mechanical Operated Cell switch)가 배전함 크래들에 장착되어 차단기가 시험위치에 있을 때에는 진공차단기의 동작(투입,트립)을 테스트하거나 점검하고, 차단기가 운전위치에 있을 때에는 MOC의 접점출력을 이용하여 주변기기들을 동작시키거나 인터록을 구현하여 차단기 운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Such a vacuum circuit breaker is attached to an electric circuit board for installing and managing various electric devices for the operation and control of a power plant, a substation, etc., and is generally stored in a cradle fixed to an electric circuit board. Inside the switchgear, the terminal of the circuit breaker is connected to the load terminal of the cradle and has a test (test) position where the voltage and the current are supplied, and the test position is separated from the terminals of the cradle to test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C (Mechanical Operated Cell switch) indicating the ON / OFF state of the breaker operation is mounted on the cradle of the distribution cabinet, the operation (input, trip) of the vacuum breaker is tested or checked when the breaker is in the test pos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circuit breaker operation by operating the peripheral devices or implementing the interlock by using the contact output of the MOC.

이처럼 차단기를 유지보수하거나 기타 다른 목적을 위해서 크래들 밖으로 인출하거나 다시 크래들 내로 인입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투입(On)상태에서 차단기를 인입출하거나, 차단기 인입출 중 투입을 하는 경우에는 전기적, 기계적 사고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인입출 시에는 투입동작이 차단되고 투입 상태에서는 인입출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록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If the circuit breaker is to be taken out of the cradle for maintenance or other purposes or to be drawn back into the cradle, the circuit breaker may be brought into or out of the on state, An accident occurs. In order to prevent such an accident, an interlock devic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the closing operation is interrupted at the time of inserting / leaving and the inserting / withdrawing is impossible at the inserting state.

도 1 내지 도 3에 종래기술에 따른 인입출 인터록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Figs. 1 to 3 show a drawing-out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은 진공차단기의 일반적인 대차부를 나타낸 것으로 거더(15)와 트럭 본체(16)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인입출 도중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록(Interlock)장치(관련 도면부호 8,10,11,12,13)와, 투입상태에서 인입출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록 장치(관련 도면부호 3,5,6)가 모두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general bogie portion of a vacuum circuit breaker, which is composed of a girder 15 and a truck body 16. FIG. 1 shows an interlock device (related reference numerals 8, 10, 11, 12, and 13) for preventing entry into and out of the apparatus during insertion and withdrawal and an interlock device , 6 are all shown.

도 2는 도 1에서 투입중 인입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인터록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Fig.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lock device for preventing the pull-in and out-out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in Fig.

스크류 레버(1)에 인입출 핸들(미도시)을 끼워 회전시키면 인입출 스크류(2)가 회전하며 트럭 본체(16)가 전후방향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인입출 스크류(2)의 축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전후(방향) 운동이라 하고, 트럭 본체(16)의 바닥면에 평행하고 인입출 스크류(2)의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좌우(방향) 운동이라 하고, 트럭 본체(16)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상하(방향) 운동이라 하기로 한다.When the pull-out handle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screw lever 1 and rotated, the pull-out screw 2 rotates and the truck body 16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Here, the moveme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xis of the pull-out screw 2 is referred to as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al) motion, and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ck body 16 an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ull- (Direction) motion, and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ck body 16 is referred to as an upward / downward (direction) motion.

인입출 스크류(2)는 차단(Disconnected), 시험(Test), 운전(Connected)의 위치별로 홈이 있어 인터록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inlet and outlet screw 2 is formed so as to have an interlock function by the positions of Disconnected, Test, and Connected.

MOC 핀(3)은 차단기가 운전상태가 되면 눌러져서 롤러(4) 눌러주게 된다.The MOC pin (3) is pushed and pressed by the roller (4) when the circuit breaker is in operation.

스톱퍼(5)는 롤러(4)에 의해 전후운동을 하게 되며, 인터록 어셈블리(6)가 좌우운동을 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The stopper 5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roller 4 and serves to prevent the interlock assembly 6 from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인터록 어셈블리(6)는 인입출 스크류(2)가 회전할 경우 인입출 스크류(2)의 홈에서 빠져나오게 되지만, 스톱퍼(5)에 의해 인터록 어셈블리(6)의 좌우 운동이 제한을 받는 경우에는 인터록 어셈블리(6)가 인입출 스크류(2)의 홈에 고정되므로 인입출 스크류(2)의 회전운동을 제한하게 되고 인입출 스크류(2)의 전후운동도 불가능하게 된다.The interlock assembly 6 is pulled out of the groove of the inlet and outlet screw 2 when the inlet and outlet screw 2 rotates but when the stopper 5 restricts the lateral movement of the interlock assembly 6, The assembly 6 is fixed to the groove of the inlet / outlet screw 2, so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inlet / outlet screw 2 is restricted and the forward / backward movement of the inlet / outlet screw 2 becomes impossible.

도 3은 도 1에서 인입출 도중에 투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인터록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lock device for preventing input during insertion and extraction in Fig. 1. Fig.

인터록 레버(7)가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경우 인터록 레버 축(9)에 결합되어 있는 래치(8)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래치(8)는 인터록 어셈블리(6)의 좌우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래치(8)가는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는 경우 래치(8)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래치핀(10)이 하강하면서 크로스 레버(11)의 우측단을 누르므로 크로스 레버(11)는 인입출 스크류(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좌측단 위의 투입방지 샤프트(12)를 상승시킨다. 투입방지 샤프트(12)에 의해 투입버튼(13)의 작동은 제한된다. When the interlock lever 7 is rotated 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latch 8 coupled to the interlock lever shaft 9 is also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latch 8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ateral movement of the interlock assembly 6 . When the latch 8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latch pin 10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latch 8 descends and presses the right end of the cross lever 11,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inlet / outlet screw 2, and lifts the anti-injection shaft 12 at the left end. The operation of the closing button 13 is restricted by the closing preventing shaft 12. [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록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진공차단기 대차부는 인입출 핸들(미도시)에 의해 인입출이 가능하게 되는데, 거더(15)는 크래들에 고정되어 있고 트럭 본체(16)만 전후운동이 가능케 된다.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The vacuum breaker truck can be pulled in and out by a pull-out handle (not shown). The girder 15 is fixed to the cradle and only the truck body 16 is allowed to move back and forth.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차단기 투입의 경우를 살펴보면, MOC 핀(3)이 눌리게 되면 롤러(4)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스톱퍼(5)가 전진 운동을 하므로 인터록 어셈블리(6)의 작동을 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인입출 스크류(2)는 인터록 어셈블리(6)에 걸려서 회전이 되지 못하므로 트럭 본체(16)의 인입출은 저지된다.2, when the MOC pin 3 is pushed, the roller 4 descends and the stopper 5 advances.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 assembly 6 is stopped . Therefore, the pull-out screw 2 is caught by the interlock assembly 6 and can not be rotated, so that the pull-out of the truck body 16 is blocked.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인터록이 해제되어 인입출이 가능한 경우를 살펴보면, 인터록 레버(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인터록이 해제되면 인터록 레버 축(9)에 결합되어 있는 래치(8)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인터록 어셈블리(6)의 좌우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가게 된다. 따라서, 인입출 스크류(2)는 회전하면서 인터록 어셈블리(6)를 밀어내고 전후진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므로 트럭 본체(16)의 인입출이 가능해진다. 이 때, 래치(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래치핀(10)은 하강하므로 크로스 레버(11)를 인입출 스크류(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크로스 레버(11)의 좌측단에 지지되는 투입방지 샤프트(12)는 상승하여 투입버튼(13)의 작동을 방지하게 된다.3, when the interlock lever 7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release the interlock, the latch 8 coupled to the interlock lever shaft 9 is also rotated clockwise To move to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eft-right movement of the interlock assembly 6. Therefore, the pull-out screw 2 can push the interlock assembly 6 while rotating and move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the truck body 16 can be pulled out. At this time, as the latch 8 rotates clockwise and the latch pin 10 descends, the cross lever 11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pull-out screw 2 so that the cross lever 11 The injection preventing shaft 12 supported at the left end is raised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closing button 13. [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록 장치는 인입출 시 투입방지를 위한 인터록 기능과 투입상태에서의 인입출 방지를 위한 인터록 기능이 별개로 수행되고 있으며, 투입상태에서의 인입출 방지를 위한 인터록의 경우, 사용되는 부품의 수가 과도하게 많아 작동 불량이나 파손의 여지도 크다.
As described above, the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performed separately from the interlock function for preventing input / output of the interlock device and the interlock function for preventing the inserting / The number of parts used is excessively large, so that there is a large possibility of malfunction or damag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단기가 투입되었을 경우 차단기의 인입출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차단기의 인입출 시에는 차단기의 투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단일한 동작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용이성과 기기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증대시킨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complish a function of preventing a breaker from being pulled in and out when a breaker is inserted and preventing a breaker from being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break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lock device for a vacuum interrupter that increases ease of use and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 인터록 장치는 인입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대차부의 트럭본체가 전후진 운동을 하며, 상기 인입출 스크류의 일측에서 상기 인입출 스크류의 작동을 저지할 수 있는 인터록 어셈블리와 상기 인터록 어셈블리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는 래치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있는 진공차단기 인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의 거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입출 스크류에 평행하게 이격하여 설치되는 인터록 샤프트; 상기 인터록 샤프트의 중간부에서 상기 인터록 샤프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MOC 브래킷; 상기 MOC 브래킷에 설치되며, 몸체 일부에는 상기 인터록 샤프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스톱핀이 돌출 형성되는 MOC 스위치; 및 상기 인터록 샤프트의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톱핀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MOC 스위치가 눌린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인터록 샤프트가 회전하면 상기 스톱핀에 상기 걸림편이 걸리게 되어 상기 인터록 샤프트의 회전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acuum interrupter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uck main body of the bogie part performs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y rotation of the pulling-out screw, and the interlocking interlock devic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pulling-out screw from one side of the pulling- A vacuum interrupter interlock device comprising: an assembly; and a latch assembly capable of restricting operation of the interlock assembly, the interlock shaft comprising: an interlock shaft rotatably coupled to a girder of the bogie portion and spaced parallel to the inlet and outlet screws; An MOC bracket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interlock shaf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terlock shaft; A MOC switch installed in the MOC bracket and having a stop pin protru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terlock shaft; And an engaging piece coupled to a part of the interlock shaft and protruding toward the stop pin. When the MOC switch is in a pressed state, when the interlock shaft rotates, the engaging piece is engaged with the stop pin, And the rotation of the interlock shaft is blocked.

여기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인터록 샤프트의 단면 형상에 대향하는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인터록 샤프트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ngaging piece may include a body portion having an insertion groove fac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terlock shaft,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lock shaft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또한, 상기 걸림편의 양측에서 상기 걸림편을 지지하는 걸림편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comprise a latch piece bracket for supporting the latch piece on both sides of the latch piece.

한편, 상기 MOC 스위치의 몸체에는 상기 MOC 브래킷의 세로홈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가이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MOC 스위치가 공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Meanwhile, a guide extending through the vertical groove of the MOC bracket may protrude from the body of the MOC switch so that the MOC switch is not idly rotated.

본 발명에 따른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에 의하면, 차단기가 투입되었을 경우 차단기의 인입출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차단기의 인입출 시에는 차단기의 투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단일한 동작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용이성과 기기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vacuum interru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breaker from being pulled in and out when the breaker is inserted and preventing the breaker from being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breaker by a single ope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ase of use and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apparatus are increased.

또한, 종래기술에 사용되던 롤러나 스톱퍼 등이 배제됨으로써 부품수를 줄여 구성 및 작용이 단순화되어 장치의 안정성이 증대되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Also, since the rollers, stoppers, and the like used in the prior art are exclude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structure and operation can be simplified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apparatus and reduce the cos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록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투입중 인입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인터록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인입출 도중에 투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인터록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a) 차단상태 (b) 투입상태를 나타낸다.
1 is a plan view of an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lock device for preventing the pull-in and out-out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in Fig.
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lock device for preventing input during insertion and extraction in Fig. 1. Fig.
4 is a top view of an interlock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Figure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Figure 5;
FIG. 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n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a blocking state (b) a closing st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nner that allow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invention are limi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 인터록 장치는 인입출 스크류(30)의 회전에 의해 대차부의 트럭본체(25)가 전후진 운동을 하며, 상기 인입출 스크류(30)의 일측에서 상기 인입출 스크류(30)의 작동을 저지할 수 있는 인터록 어셈블리(40)와 상기 인터록 어셈블리(40)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는 래치 어셈블리(50)가 구비되어 있는 진공차단기 인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의 거더(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입출 스크류(30)에 평행하게 이격하여 설치되는 인터록 샤프트(60); 상기 인터록 샤프트(60)의 중간부에서 상기 인터록 샤프트(6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MOC 브래킷(70); 상기 MOC 브래킷(70)에 설치되며, 몸체 일부에는 상기 인터록 샤프트(60)와 평행한 방향으로 스톱핀(85)이 돌출 형성되는 MOC 스위치(80); 및 상기 인터록 샤프트(60)의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톱핀(85)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편(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e vacuum interrupter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uck body 25 of the truck portion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rotation of the inlet / outlet screw 30, An interlock assembly (40) capable of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screw (30) and a latch assembly (50) capable of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 assembly (40) An interlock shaft (60) rotatably coupled to the inlet / outlet screw (20) and spaced parallel to the inlet / outlet screw (30); An MOC bracket 70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interlock shaft 6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terlock shaft 60; A MOC switch 80 installed in the MOC bracket 70 and having a stop pin 85 protru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terlock shaft 60; And a locking piece 65 coupled to a part of the interlock shaft 60 and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top pin 85.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4 is a plan view of an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and 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FI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진공차단기의 대차부는 거더(20)와 트럭 본체(25)로 구성되어 있다. 거더(20)는 진공차단기 외함이나 크래들에 고정되어 있으며, 트럭 본체(25)는 전후진 운동이 가능하다. 인입출 스크류 레버(31)에 인입출 핸들(미도시)을 끼워서 돌리면 인입출 스크류(30)가 회전하며 트럭 본체(25)가 전후진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인입출 스크류(30)의 축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전후진(방향) 운동이라 하고, 트럭 본체(25)의 바닥면에 평행하고 인입출 스크류(2)의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좌우(방향) 운동이라 하고, 트럭 본체(25)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상하(방향) 운동이라 하기로 한다.The braking portion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is composed of the girder 20 and the truck body 25. The girder 20 is fixed to a vacuum breaker enclosure or a cradle, and the truck body 25 is capable of moving back and forth. When the pull-out screw lever (31) is inserted into the pull-out screw lever (31), the pull-out screw (30) rotates and the truck body (25) can move back and forth. Here,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xis of the pull-out screw 30 is referred to as forward-backward (directional) movement, and moving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ck body 25 an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ull- (Direction) motion, and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ck body 25 is referred to as an upward / downward (direction) motion.

인입출 스크류(30)에는 차단(Disconnected), 시험(Test), 운전(Connected)의 위치별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인터록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The inlet and outlet screw 30 is formed with grooves for the positions of Disconnected, Test, and Connected, so that an interlock function can be performed.

인터록 어셈블리(40)는 인입출 스크류(30)의 일측에 설치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터록 어셈블리 걸림편(41)은 인입출 스크류(30)가 회전할 경우 인입출 스크류(30)의 홈에서 미끄러져 빠져나오게 되며, 인입출 스크류(30)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래치 어셈블리(50)에 의해 인터록 어셈블리 걸림편(41)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경우에는 인입출 스크류(30)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The interlock assembly 4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awing-out screw 30.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he interlock assembly engaging piece 41 slides out of the groove of the pull-out screw 30 when the pull-out screw 30 rotates, and the pull-out screw 30 rotates freely . However, when the movement of the interlock assembly latch piece 41 is restricted by the latch assembly 50, the rotation of the pull-out screw 30 becomes impossible.

래치 어셈블리(50)는 인터록 어셈블리(40)의 일측에서 후술하는 인터록 샤프트(60)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래치 어셈블리(50)는 인터록 어셈블리(40)의 후방에서 인터록 어셈블리 걸림편(41)의 좌우 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래치(51)와 후술하는 크로스 레버(100)의 일측에서 크로스 레버(100)의 일단을 승강시킬 수 있는 래치핀(52)을 포함한다.The latch assembly 50 is coupled to the interlock shaft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one side of the interlock assembly 40. The latch assembly 50 includes a latch 51 capable of restricting the lateral movement of the interlock assembly latch piece 41 at the rear of the interlock assembly 40 and a latch 51 for latching the cross lever 100 at one side of the cross lever 100, And a latch pin 52 capable of lifting one end.

인터록 샤프트(60)는 인입출 스크류(30)에 평행하게 이격하여 설치된다. 인터록 샤프트 레버(61)는 거더(20)에 장착되며,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언록(unlock)상태가 되고,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록(lock)상태가 된다. The interlock shaft 60 is install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drawing-out screw 30. The interlock shaft lever 61 is mounted on the girder 20 and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angle to be unlocked and conversely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to be locked.

MOC 브래킷(70)은 인터록 샤프트(60)의 중간부에서 인터록 샤프트(6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MOC 브래킷(70)의 몸체면은 엎어진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인터록 샤프트(60)가 통과되도록 설치된다. MOC 브래킷(70) 측면에는 세로홈(71)이 형성된다.The MOC bracket 70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interlock shaft 6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terlock shaft 60. The body surface of the MOC bracket 70 is formed to be in the shape of an overturned 'C' so that the interlock shaft 60 is passed therethrough. A vertical groove 71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MOC bracket 70.

MOC 스위치(80)는 MOC 브래킷(70)에 설치되며, MOC 스위치 핀(81)이 토글 형식으로 작동되어 MOC 스위치 몸체(82)가 상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MOC 스위치 몸체(82) 일부에는 인터록 샤프트(60)와 평행한 방향으로 스톱핀(85)이 돌출 형성된다. MOC 스위치 몸체(82) 타부에는 판상의 가이드(83)가 돌출 형성되어 MOC 브래킷(70)의 세로홈(71)을 통과하여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83)가 세로홈 내에서 상하운동만 가능하므로 MOC 스위치 몸체(82)는 상하운동만 할 수 있고, MOC 스위치 몸체(82)의 축을 기준으로 공회전되지 않는다. The MOC switch 80 is installed on the MOC bracket 70 and the MOC switch pin 81 is operated in a toggle manner so that the MOC switch body 82 can move up and down. A stop pin 85 protrudes from a part of the MOC switch body 82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terlock shaft 60. A guide 83 in the form of a plate is protrudingly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MOC switch body 82 so as to extend through the vertical grooves 71 of the MOC bracket 70. Since the guide 83 can move only up and down in the vertical groove, the MOC switch body 82 can only move up and down, and is not idle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MOC switch body 82.

걸림편(65)은 인터록 샤프트(60)의 일부에 결합되며 스톱핀(85)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걸림편(65)의 몸체부(66)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몸체부(66)를 관통하는 삽입홈(67)은 단면 형상이 인터록 샤프트(60)의 단면과 같다. 삽입홈(67)을 통해 몸체부(66)는 인터록 샤프트(60)에 끼워질 수 있다.The engaging piece 65 is engaged with a part of the interlock shaft 60 and is form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stop pin 85. The body portion 66 of the engaging piece 6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insertion groove 67 penetrating through the body portion 66 has the same sectional shape as that of the interlock shaft 60. [ The body portion 66 can be fitted into the interlock shaft 60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67.

걸림편 브래킷(90)은 'ㄴ'자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걸림편(65)의 양측에서 걸림편(65)을 지지한다. 걸림편 브래킷(90)의 수직면에는 관통홀(91)이 형성되어 인터록 샤프트(60)에 끼워지며, 걸림편 브래킷(90)은 트럭 본체(25)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The engaging piece brackets 90 are provided in a pair formed in a "C" shape to support the engaging pieces 65 on both sides of the engaging pieces 65. [ A through hole 91 is formed in a vertical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bracket 90 so as to be fitted in the interlock shaft 60 and the engaging piece bracket 9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ck body 25.

크로스 레버(100)는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레버로서 중간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인입출 스크류(30)에 끼워져서 인입출 스크류(30)의 축을 중심으로 시소처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크로스 레버(100)의 일단(101)은 래치핀(52)의 아래에 놓이며, 타단(102)는 투입버튼(105)의 아래에 놓인다.
The cross lever 100 is a lever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and is inserted into the pull-out screw 30 so as to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round the axis of the pull- This is possible. One end 101 of the cross lever 100 is placed under the latch pin 52 and the other end 102 is placed under the closing button 105.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차단기 인터록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a) 차단상태 (b) 투입상태를 나타낸다.Operation of the vacuum interrupter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n inter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a blocking state (b) a closing state.

먼저, 차단기 투입시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First, let's look at the operation when the breaker is turned on.

차단기가 투입되면 MOC 스위치 핀(81)이 눌리게 되고, MOC 스위치 몸체(82)는 하강하여 스톱핀(85)이 걸림편(60)과 맞닿게 된다. 대차부를 전후진 운동시키기 위해서는 인터록 샤프트(60)를 언록(unlock)상태로 놓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인터록 샤프트(60)를 언록(unlock)상태로 놓기 위하여 인터록 샤프트 레버(6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인터록 샤프트(60)에 결합되어 있는 걸림편(65)이 스톱핀(85)에 걸려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인터록 샤프트(60)는 록(lock)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차단기 투입시 대차부가 인입출되지 않는다. 한편, 걸림편(65)이 스톱핀(85)을 측면에서 누르므로 MOC 스위치 몸체(82)는 회전력을 받게 되는데, 가이드(83)에 의해 회전운동이 제한되므로 MOC 스위치 몸체(82)는 헛돌지 않고 상하운동만을 하게 된다.When the circuit breaker is turned on, the MOC switch pin 81 is pressed, and the MOC switch body 82 is lowered so that the stop pin 85 abuts against the latch piece 60. It is necessary to put the interlock shaft 60 in an unlocked state in order to move the bogie part forward and rearward. To interlock the interlock shaft 60 in an unlocked state, the interlock shaft lever 61 is rotated clockwise The interlock shaft 60 is kept in a locked state because the engagement piece 65 coupled to the interlock shaft 60 is caught by the stop pin 85 and the movement is restricted. Therefore, when the breaker is charged, the bogie portion is not drawn in or out. The MOC switch body 82 receives rotation force because the stopper pin 65 presses the stop pin 85 from the side of the stopper pin 85. Since the rotation of the MOC switch body 82 is restricted by the guide 83, But only up and down movements.

대차부 인입출시 차단기 투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작동은 종래기술과 같으므로 별도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The operation for preventing the input of the breaking-in-break circuit breaker is the same as that of the prior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separately.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20 거더 25 본체
30 인입출 스크류 31 인입출 스크류 레버
40 인터록 어셈블리 41 인터록 어셈블리 걸림편
50 래치 어셈블리 51 래치
52 래치핀 60 인터록 샤프트
61 인터록 샤프트 레버 65 걸림편
66 몸체부 67 삽입홈
70 걸림편 브래킷 71 세로홈
80 MOC 스위치 81 MOC 스위치 핀
82 MOC 스위치 몸체 83 가이드
85 스톱핀 90 걸림편 브래킷
91 관통홀 100 크로스 레버
101 일단 102 타단
105 투입버튼
20 Girders 25 Body
30 Inlet / Outlet Screw 31 Inlet / Outlet Screw Lever
40 interlock assembly 41 interlock assembly clamping piece
50 Latch Assembly 51 Latch
52 Latch pin 60 Interlock shaft
61 interlock shaft lever 65 latching piece
66 Body part 67 Inserting groove
70 Retaining bracket 71 Vertical groove
80 MOC switch 81 MOC switch pin
82 MOC switch body 83 guide
85 Stop pin 90 Retaining bracket
91 Through hole 100 Cross lever
101 one end 102 end
105 Input Button

Claims (4)

인입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대차부의 트럭본체가 전후진 운동을 하며, 상기 인입출 스크류의 일측에서 상기 인입출 스크류의 작동을 저지할 수 있는 인터록 어셈블리와 상기 인터록 어셈블리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는 래치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있는 진공차단기 인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의 거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입출 스크류에 평행하게 이격하여 설치되는 인터록 샤프트;
상기 인터록 샤프트의 중간부에서 상기 인터록 샤프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MOC 브래킷;
상기 MOC 브래킷에 설치되며, 몸체 일부에는 상기 인터록 샤프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스톱핀이 돌출 형성되는 MOC 스위치; 및
상기 인터록 샤프트의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톱핀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MOC 스위치가 눌린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인터록 샤프트가 회전하면 상기 스톱핀에 상기 걸림편이 걸리게 되어 상기 인터록 샤프트의 회전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 인터록 장치.
An interlock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pull-out screw from one side of the pull-out screw, and a latch capable of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 assembly, the pull- A vacuum interrupter interlock arrangement having an assembly,
An interlock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girder of the bogie portion and spaced parallel to the inlet and outlet screw;
An MOC bracket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interlock shaf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terlock shaft;
A MOC switch installed in the MOC bracket and having a stop pin protru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terlock shaft; And
And a locking piece coupled to a part of the interlock shaft and protruding toward the stop pin,
Wherein when the MOC switch is in the depressed state, when the interlock shaft rotates, the latch pin is hooked on the stop pin, thereby preventing rotation of the interlock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인터록 샤프트의 단면 형상에 대향하는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인터록 샤프트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 인터록 장치.
The interlock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atching piece includes a body portion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fac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terlock shaft,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lock shaft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의 양측에서 상기 걸림편을 지지하는 걸림편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 인터록 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latch piece bracket for supporting the latch piece on both sides of the latch pie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OC 스위치의 몸체에는 상기 MOC 브래킷의 세로홈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가이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MOC 스위치가 공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 인터록 장치.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guide extending through a longitudinal groove of the MOC bracket is protruded from the body of the MOC switch so that the MOC switch does not idle.
KR1020130000334A 2013-01-02 2013-01-02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KR1017832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334A KR101783216B1 (en) 2013-01-02 2013-01-02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334A KR101783216B1 (en) 2013-01-02 2013-01-02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451A true KR20140088451A (en) 2014-07-10
KR101783216B1 KR101783216B1 (en) 2017-09-29

Family

ID=5173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334A KR101783216B1 (en) 2013-01-02 2013-01-02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21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58B1 (en) 2015-04-30 2016-10-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Interlock device of circuit breaker
KR20180005486A (en) 2016-07-06 2018-01-16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CN111404069A (en) * 2019-01-02 2020-07-10 Ls产电株式会社 Lead-in and lead-out device of circuit breaker comprising interlocking module
CN115196222A (en) * 2022-09-19 2022-10-18 烟台康骨堂医药科技有限公司 Waste collection device for clinical nursing work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58B1 (en) 2015-04-30 2016-10-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Interlock device of circuit breaker
KR20180005486A (en) 2016-07-06 2018-01-16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CN111404069A (en) * 2019-01-02 2020-07-10 Ls产电株式会社 Lead-in and lead-out device of circuit breaker comprising interlocking module
US11476646B2 (en) 2019-01-02 2022-10-18 Ls Electric Co., Ltd. Retracting and extending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with interlock module
CN115196222A (en) * 2022-09-19 2022-10-18 烟台康骨堂医药科技有限公司 Waste collection device for clinical nursing work
CN115196222B (en) * 2022-09-19 2022-11-15 烟台康骨堂医药科技有限公司 Waste collection device for clinical nursing 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216B1 (en) 2017-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159B1 (en)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vuit breaker
KR101031965B1 (en) Device for preventiong withdrawing or inserting in circuit breaker
CA1289607C (en) Draw-in and draw-out mechanism of an electrical circuit breaker with main and auxiliary circuits
KR101783216B1 (en)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EP2341590B1 (en) Plug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US7943873B2 (en) Circuit breaker with locking mechanism
KR20030090765A (en) Low voltage switchgear comprising a locking device for an appliance module
KR20190041335A (en) Releasing Device of Door Interlock of Circuit Breaker
KR101604280B1 (en) Switchboard
KR101690133B1 (en) Interlock Device of Ring Main Unit
KR20110015920A (en) Withdrawable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20160063560A (en) Interlock device of vaccum circuit breaker
KR101627678B1 (en) Three-stage withdrawal port device of the low-pressure motor control panel unit
JP2023502907A (en) plug-in circuit breaker
JP2013013326A (en) Switchboard
KR20180077920A (en) Position detector for vacuum circuit breaker
KR101479530B1 (en) pad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installed inan apartment house
CN216749645U (en) Switch and draw-out type switch device and bypass type switch device using same
KR200478313Y1 (en) Safety device of shutter for vaccum circuit breaker
KR101522263B1 (en) Withdraw prevention mechanism for air circuit breaker and air circuit breaker having the withdraw prevention mechanism
KR102553186B1 (en) Air Circuit Breaker having Interlock Device
US2916571A (en) Circuit breaker truck position interlock
CN114300288A (en) Switch, and draw-out type switch device and bypass type switch device using same
KR20230141228A (en) Circuit Breaker having Interlock Device for Drawing-In And Drawing-Out
JPH0241244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