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340A - Dron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 Google Patents

Dron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340A
KR20180005340A KR1020160085261A KR20160085261A KR20180005340A KR 20180005340 A KR20180005340 A KR 20180005340A KR 1020160085261 A KR1020160085261 A KR 1020160085261A KR 20160085261 A KR20160085261 A KR 20160085261A KR 20180005340 A KR20180005340 A KR 20180005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movement
wearable
finger
d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2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1927B1 (en
Inventor
조화주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로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로그 filed Critical (주)아이티로그
Priority to KR1020160085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927B1/en
Publication of KR20180005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3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9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ne system capable of being controlled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IoT) which can adjust a moving direction of a drone by using wearable gloves. The drone system capable of being controlled through the IoT comprises: the wearable gloves sensing movement of fingers; and the drone in which the moving direction is adjusted by the movement of each of the fingers sensed by the wearable gloves. Also, the drone system capable of being controlled through the IoT comprises: the wearable gloves sensing three-dimensional movement thereof; and the drone in which the moving direction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s.

Description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Dron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system,

본 발명은 드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s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ones system that is controllable over the Internet.

사람이 기체에 타지 않고 원격으로 조종 가능한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드론(drone)으로 대표되며, 현재 군사용 뿐만 아니라 민간 시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which can be remotely operated without people getting on board, are represented by drones and are now widely used in civilian markets as well as military.

드론은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특정 지역을 관리, 감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론은 자유롭고 신속하게 이동하여, 탑재된 카메라나 센서를 통해 특정 지역에 대한 원격 감시를 진행 할 수 있다. 즉, 드론은 조난자 수색, 산불 감시, 교통 위반 단속, 우범 지역 및 국경 지역 감시 같은 공공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Drones can be used to manage and monitor specific areas where access is difficult. Specifically, the drone can move freely and quickly, and can carry out remote monitoring of a specific area through the mounted camera or sensor. That is, the drones can be used for public purposes such as victim search, wildfire monitoring, traffic violation control, hunting areas and border area surveillance.

드론은 공중으로 이동하므로 이동성이 뛰어나다. 즉, 심각한 교통 체증, 험난한 도로 사정에도 드론은 공중을 통해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The drones move to the air, so they are very mobile. In other words, even in severe traffic congestion and rough roads, the drones can move quickly through the air.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8737호는 "간편운전기능을 가지는 인명구조, 환경감시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 및 간편조정기능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익수자를 구조할 수 있는 드론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48737 discloses a " life-saving structure and environment monitoring drones having a simple operation function ", and a drones capable of quickly and safely constructing a dewatering device using a remote and simple adjustment function Lt; / RTI >

도 1은 종래의 드론 조절용 조이스틱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joystick for dron control.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좌측 조절스틱(11) 및 우측 조절스틱(12)을 이용하여 드론의 이동방향을 조절한다.Referring to FIG. 1, the user adjust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dron using the left adjustment stick 11 and the right adjustment stick 12.

일반적으로 좌측 조절스틱(11)을 앞뒤로 움직일 경우(스로틀, Throttle), 드론은 수직방향(지면-공중)으로 상하이동한다.In general, when the left adjustable stick 11 is moved back and forth (throttle), the drone moves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ground-air).

또한, 좌측 조절스틱(11)을 좌우로 움직일 경우(요우, Yaw), 드론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In addition, when the left adjustable stick 11 is moved left and right (yaw), the drone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또한, 우측 조절스틱(12)을 앞뒤로 움직일 경우(피치, Pitch), 드론은 수평방향으로 전진이동 및 후진이동한다.Further, when the right adjustable stick 12 is moved back and forth (pitch, pitch), the drone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우측 조절스틱(12)을 좌우로 움직일 경우(롤, Roll), 드론은 수평방향으로 좌측이동 및 우측이동한다.Further, when the right adjustable stick 12 is moved left and right (roll, roll), the drone moves leftward and righ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와 같이 종래의 드론은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이동을 제어하였으나 조이스틱만으로는 드론의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힘들었다. 또한, 조이스틱만으로는 지정된 하나의 드론만을 조정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Thus, although the conventional drones control movement using a joystick,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on with the joystick alone. Al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only one designated dron can be adjusted with the joystick alone.

KRKR 10-2016-004873710-2016-0048737 A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웨어러블 장갑을 이용하여 드론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을 제공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provides a dron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the moving direction of a dron using a wearable gl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장갑; 및 상기 웨어러블 장갑이 감지하는 각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방향이 조절되는 드론; 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glove for sensing movement of a finger; And a dron whose movement direction is adjusted corresponding to movement of each finger sensed by the wearable glove; A dron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Internet is provided.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갑 및 상기 드론은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며, 각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드론에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arable gloves and the drone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and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movement of each finger is transmitted to the drones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갑은, 각각의 손가락의 독립적인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움직임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arable glove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tion detection sensors for sensing independent movement of each fing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신의 삼차원 움직임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장갑; 및 상기 웨어러블 장갑의 삼차원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방향이 조절되는 드론; 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arable glove for sensing three-dimensional motion of the wearer; And a dron whose moving direction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A dron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Internet is provided.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갑 및 상기 드론은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며, 상기 웨어러블 장갑의 삼차원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드론에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wearable glove and the dron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is transmitted to the drones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갑은, 상기 웨어러블 장갑의 삼차원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세방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arable glove includes a posture orientation sensor for sensing a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의 움직임 및 자신의 삼차원 움직임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장갑; 및 상기 웨어러블 장갑이 감지하는 각 손가락의 움직임 및 상기 웨어러블 장갑의 삼차원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방향이 조절되는 드론;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arable glove for sensing movement of a finger and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finger; And a dron whose movement direction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each finger sensed by the wearable glove and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갑 및 상기 드론은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며, 각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웨어러블 장갑의 삼차원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2 제어신호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드론에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wearable glove and the dron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firs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each finger and a secon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And is transmitted to the drones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갑은, 각각의 손가락의 독립적인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움직임 감지센서; 및 상기 웨어러블 장갑의 삼차원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세방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arable glove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tion detection sensors for sensing independent movements of respective fingers; And a posture orientation sensor for sensing a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은 웨어러블 장갑을 이용하여 드론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드론의 이동방향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dr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on using the wearable gloves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on can be more precisely controlled.

또한, 웨어러블 장갑은, 복수의 드론 중에서 터치 스크린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드론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웨어러블 장갑을 이용하여 복수의 드론의 이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earable glove can adjust the moving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selected by the touch screen, the movement directions of the plurality of drones can be controlled by using one wearable glove.

도 1은 종래의 드론 조절용 조이스틱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의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복수의 드론의 제어과정을 도시한 도면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joystick for dron control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o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on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on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ntrol process of a plurality of drone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ron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The drone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only a simple structure for clear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s to be proposed.

도 2를 참조하면, 드론 시스템(1)은 드론(100) 및 웨어러블 장갑(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dron system 1 includes a dron 100 and a wearable glove 20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드론 시스템(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main operation of the dron system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 웨어러블 장갑(200)의 제1 실시예 - - First Embodiment of Wearable Glove (200)

웨어러블 장갑(200)은 사용자가 한손에 착용하거나, 양손에 각각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wearable glove 200 is configured to be worn by a user with one hand or worn by both hands,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ense movement of each finger.

이때, 웨어러블 장갑(200)은 복수의 움직임 감지센서(201,202,203,204,205)와, 동작 제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wearable glov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motion detection sensors 201, 202, 203, 204, and 205,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220.

각 감지센서는 손가락이 펴진 상태인지, 구부러진 상태인지를, 턴온(TURN ON) 또는 턴오프(TURN OFF)로 구분하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Each sensing sensor may be constituted by a switching element that distinguishes whether the finger is in the open state or the bent state by turning on (TURN ON) or turning OFF (TURN OFF).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손가락(201)을 구부리는 경우, 전원이 턴온(TURN ON)되도록 동작한다. 이때, 턴온(TURN ON)의 오동작을 방지하게 위해, 제1 손가락(201)을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구부렸을 때 전원이 턴온(TURN ON)되고, 다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구부렸을 때 전원이 턴오프(TURN OFF)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bends the first finger 201, the power source is turned on (TURN ON).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turn-on (TURN ON), the power is turned on when the first finger 201 is ben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URN OFF).

한편, 제2 손가락(202)의 턴온(TURN ON)/턴오프(TURN OFF)와,On the other hand, the turn-on / turn-off (TURN OFF) of the second finger 202,

제3 손가락(203)의 턴온(TURN ON)/턴오프(TURN OFF)와,Turn on / turn off (TURN OFF) of the third finger 203,

제4 손가락(204)의 턴온(TURN ON)/턴오프(TURN OFF)와,Turn on / turn off (TURN OFF) of the fourth finger 204,

제5 손가락(205)의 턴온(TURN ON)/턴오프(TURN OFF)의 경우의 수를 각가 조합할 경우, 모두 16가지 상태를 지시할 수 있으므로, 16가지 상태에 각각 대응하여 드론이 이동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turns of the fifth finger 205 is TURN ON / TURN OFF, it is possible to indicate all 16 states, so that the drones move corresponding to the sixteen states You can tell.

즉, 손가락의 16가지 상태에 각각 대응하여 드론의 동작(스로틀, 요우, 피치, 롤)을 지시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indicate the operation of the drone (throttle, yaw, pitch, roll)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xteen states of the fingers.

- 웨어러블 장갑(200)의 제2 실시예 - - Second Embodiment of Wearable Glove (200)

웨어러블 장갑(200)은 사용자가 한손에 착용하거나, 양손에 각각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손가락의 움직임 및 장갑을 착용한 손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wearable glove 200 is configured to be worn by a user in one hand or worn by both hands,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ense movement of each finger and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a hand wearing gloves.

이때, 웨어러블 장갑(200)은 복수의 움직임 감지센서(201,202,203,204,205)와, 자세방위센서(210)와, 동작 제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wearable glov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motion detection sensors 201, 202, 203, 204, 205, a posture orientation sensor 210,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220.

각 감지센서는 손가락이 펴진 상태인지, 구부러진 상태인지를, 턴온(TURN ON) 또는 턴오프(TURN OFF)로 구분하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Each sensing sensor may be constituted by a switching element that distinguishes whether the finger is in the open state or the bent state by turning on (TURN ON) or turning OFF (TURN OFF).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손가락(201)을 구부리는 경우, 전원이 턴온(TURN ON)되도록 동작한다. 이때, 턴온(TURN ON)의 오동작을 방지하게 위해, 제1 손가락(201)을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구부렸을 때 전원이 턴온(TURN ON)되고, 다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구부렸을 때 전원이 턴오프(TURN OFF)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bends the first finger 201, the power source is turned on (TURN ON).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turn-on (TURN ON), the power is turned on when the first finger 201 is ben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URN OFF).

또한, 웨어러블 장갑(200)의 자세방위센서(210)는 삼차원적 움직임을 감지한다.Also, the posture orientation sensor 210 of the wearable glove 200 senses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즉, 자세방위센서(210)는 3차원 공간에서 동작들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중 가장 대중화된 센서이며, 9축 센서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9축이라 함은 가속도 3축, 관성 3축, 지자기 3축으로 총 9축의 값이 측정되기 때문에 9축 센서라고 지칭되며, 온도값에 대한 보정을 위해 온도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orientation orientation sensor 210 is the most popular among the sensors capable of sensing operation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may be referred to as a 9-axis sensor. The 9 axis is referred to as a 9 axis sensor since the values of 9 axes are measured as three axes of acceleration, 3 axes of inertia and 3 axes of geomagnetism, and a temperature sens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correcting the temperature value.

따라서 자세방위센서(210)는 웨어러블 장갑(200)을 착용한 손의 3차원적인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orientation sensor 210 can sense the three-dimensional motion of the wearer wearing the wearable glove 200.

이때, 제2 손가락(202)의 턴온(TURN ON)/턴오프(TURN OFF)와, 제3 손가락(203)의 턴온(TURN ON)/턴오프(TURN OFF)와, 제4 손가락(204)의 턴온(TURN ON)/턴오프(TURN OFF)와, 제5 손가락(205)의 턴온(TURN ON)/턴오프(TURN OFF)의 각각 4가지 턴온(TURN ON) 상태와,At this time, the TURN ON / TURN OFF of the second finger 202, the TURN ON / TURN OFF of the third finger 203, the fourth finger 204, Turn ON / turn off of the fifth finger 205 and turn on / turn off of the fifth finger 205, respectively, and the turn-

자세방위센서(210)에서 감지하는 웨어러블 장갑(200)의 3차원적인 움직임을 각각 조합하여, 드론의 동작(스로틀, 요우, 피치, 롤)을 지시할 수 있다.(Throttle, yaw, pitch, roll) of the drones by combining the three-dimensional motions of the wearable gloves 200 sensed by the orientation-orientation sensor 210, respectively.

- 웨어러블 장갑(200)의 제3 실시예 - Third Embodiment of Wearable Glove 200 -

웨어러블 장갑(200)은 사용자가 한손에 착용하거나, 양손에 각각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손가락의 움직임 및 장갑을 착용한 손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wearable glove 200 is configured to be worn by a user in one hand or worn by both hands,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ense movement of each finger and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a hand wearing gloves.

이때, 웨어러블 장갑(200)은 복수의 움직임 감지센서(201,202,203,204,205)와, 자세방위센서(210)와, 동작 제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wearable glov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motion detection sensors 201, 202, 203, 204, 205, a posture orientation sensor 210,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220.

복수의 움직임 감지센서(201,202,203,204,205)는 각각의 손가락의 독립적인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각 손가락이 위치한 장갑의 내부에 배치된다. 참고적으로, 각 감지센서는 장갑 외부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각 손가락의 표면을 입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otion detection sensors 201, 202, 203, 204, and 205 are disposed inside the gloves in which the respective fingers are located so as to detect independent movement of the respective fingers. For reference, each sensing sensor may b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glove, and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urface of each finger three-dimensionally.

즉, 각 감지센서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담당하는 손가락의 구부러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감지센서는 손가락의 구부러진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2차원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each sensing sensor is configured to have an elastic force so as to be able to grasp the degree of bending of a finger to be handled. The sensing sensor may be composed of a device whose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finger,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device whose resistance changes in accordance with two-dimensional movement.

따라서 감지센서는 손가락이 펴진 상태인지, 구부러진 상태인지, 얼마나 구부러진 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refore, the detection sensor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finger is in the opened state, the bent state, and the bent state.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손가락(201)을 구부리는 경우, 전원이 턴온(TURN ON)되도록 동작한다. 이때, 턴온(TURN ON)의 오동작을 방지하게 위해, 제1 손가락(201)을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구부렸을 때 전원이 턴온(TURN ON)되고, 다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구부렸을 때 전원이 턴오프(TURN OFF)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bends the first finger 201, the power source is turned on (TURN ON).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turn-on (TURN ON), the power is turned on when the first finger 201 is ben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URN OFF).

또한, 제2 손가락(202)의 구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스로틀(Throttle) 동작 즉, 드론이 수직방향(지면-공중)으로 상하이동하도록 설정된다.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second finger 202, a throttle operation, that is, a dron is set to mov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ground-air).

또한, 제3 손가락(203)의 구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요우(Yaw) 동작, 즉 드론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다.Also, the yaw operation, that is, the dron is set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third finger 203.

또한, 제4 손가락(204)의 구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피치(Pitch) 동작, 즉 드론이 수평방향으로 전진이동 및 후진이동 하도록 설정된다.In addition, the pitch operation, that is, the dron is set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fourth finger 204.

또한, 제5 손가락(205)의 구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롤(Roll) 동작, 즉 드론이 수평방향으로 좌측이동 및 우측이동 하도록 설정된다.In addition, the roll operation, that is, the drones is set to move leftward and righ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fifth finger 205.

이때, 사용자의 세부설정에 따라 각 손가락에 대응하는 동작(스로틀, 요우, 피치, 롤)의 설정위치는 각각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tting position of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throttle, yaw, pitch, rol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tailed setting of the user.

참고적으로, 사용자는 좌측 손 및 우측 손에 각각 웨어러블 장갑(200)을 동시에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양손에 웨어러블 장갑을 착용했을 경우, For reference, the wearer can wear the wearable glove 200 at the same time on the left hand and the right hand, respectively. Thus, when the user wears wearable gloves on both hands,

우측 손의 제2 손가락(202)의 구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스로틀(Throttle)의 상승 동작이 진행되고, 좌측 손의 제2 손가락의 구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스로틀(Throttle)의 하강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The upward movement of the throttle advances in accordance with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second finger 202 of the right hand and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throttle can proceed in response to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second finger of the left hand have.

또한, 우측 손의 제3 손가락(203)의 구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요우(Yaw)의 시계방향회전 동작이 진행되고, 좌측 손의 제3 손가락의 구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요우(Yaw)의 반시계방향회전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third finger 203 of the right hand,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yaw progresses, and in response to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third finger of the left hand, A clockwise rotation operation can proceed.

또한, 우측 손의 제4 손가락(204)의 구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피치(Pitch)의 수평전진 동작이 진행되고, 좌측 손의 제4 손가락의 구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피치(Pitch)의 수평후진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Further, the horizontal advancing operation of the pitch is progressed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fourth finger 204 of the right hand, and the horizontal backward movement of the pitch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fourth finger of the left hand The operation can proceed.

또한, 우측 손의 제5 손가락(205)의 구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롤(Roll) 동작의 수평 우측이동 동작이 진행되고, 좌측 손의 제5 손가락의 구부리는 동작에 대응하여 롤(Roll) 동작의 수평 좌측이동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right movement of the roll movement is progressed in response to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fifth finger 205 of the right hand, and the roll operation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fifth finger of the left hand. The horizontal leftward movement operation of the left-hand side can proceed.

한편, 웨어러블 장갑(200)의 자세방위센서(210)는 삼차원적 움직임을 감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orientation orientation sensor 210 of the wearable glove 200 senses a three-dimensional movement.

즉, 자세방위센서(210)는 3차원 공간에서 동작들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중 가장 대중화된 센서이며, 9축 센서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9축이라 함은 가속도 3축, 관성 3축, 지자기 3축으로 총 9축의 값이 측정되기 때문에 9축 센서라고 지칭되며, 온도값에 대한 보정을 위해 온도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orientation orientation sensor 210 is the most popular among the sensors capable of sensing operation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may be referred to as a 9-axis sensor. The 9 axis is referred to as a 9 axis sensor since the values of 9 axes are measured as three axes of acceleration, 3 axes of inertia and 3 axes of geomagnetism, and a temperature sens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correcting the temperature value.

따라서 자세방위센서(210)는 가속도 센서와, 관성 센서(자이로 센서)와,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refore, the orientation-orientation sensor 210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n inertial sensor (gyro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는 중력 가속도(g=9.8㎨)가 포함된 정보를 나타내며, 가속도 센서에서 3개의 축이라 함은 센서가 3차원에서 움직일 때 x축,y축,z축 방향의 가속도를 감지한다.Acceleration sensors represent information including gravitational acceleration (g = 9.8 ㎨). In the acceleration sensor, three axes sense acceleration in the x-, y-, and z-axes when the sensor moves in three dimensions.

또한, 관성 센서(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데, 각속도는 시간당 회전하는 각도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inertial sensor (gyro sensor) measures the angular velocity, and the angular velocity means the angle of rotation per hour.

또한, 지자기 센서는 가속도를 이용하여 절대적인 방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Also, the geomagnetic sensor is used to measure the absolute direction using the acceleration.

따라서 자세방위센서(210)는 웨어러블 장갑(200)을 착용한 손의 3차원적인 움직임을 감지한 후, 그 움직임에 대응하여 드론(100)의 스로틀(Throttle), 요우(Yaw), 피치(Pitch) 및 롤(Roll) 동작을 설정한다.Therefore, the posture orientation sensor 210 senses the three-dimensional motion of the hand wearing the wearable glove 200 and then detects throttle, yaw, pitch (pitch) of the dragon 100, ) And roll operation.

예를 들면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갑(200)의 손바닥이 지면을 향하고, 손등은 공중을 향하도록 움직인 후, 제1 손가락(201)을 소정의 횟수 구부리면 전원이 턴온(TURN ON) 되면서, 현재의 3차원 위치를 디폴트값으로 설정하며, 드론(100)은 현재의 위치에서 호버링 동작을 진행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urns the hand of the wearable glove 200 toward the ground and the back of the hand moves toward the air, when the first finger 201 is ben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power turns on (TURN ON) Sets the dimension position to a default value, and the drone 100 proceeds with the hovering operation at the current position.

이때, 사용자가 손을 수평으로 앞으로 밀거나 뒤로 당기면 그 동작에 대응하여 드론(100)은 피치동작을 진행한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pushes his / her hand horizontally forward or backward, the drone 100 proceeds to pitch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또한, 사용자가 손을 수평방향으로 좌우로 이동시키면 그 동작에 대응하여 드론(100)은 롤동작을 진행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moves the hand horizontally to the left and right, the drone 100 advances the roll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또한, 사용자가 손을 수직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 시키면 그 동작에 대응하여 드론(100)은 스로틀 동작을 진행한다. When the user raises and lowers the h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rone 100 proceeds to the throttl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이 우측 또는 좌측을 향하도록 손을 회전시키면 그 동작에 대응하여 드론(100)은 요우동작을 진행한다. Further,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 so that the finger faces the right or left side, the drone 100 advances the yaw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또한, 사용자가 손바닥이 공중을 향하도록 빠르게 회전시키면 그 동작에 대응하여 드론(100)이 뒤집어지는 동작을 진행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palm rapidly toward the air, the operation of the drone 100 is reverse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또한, 사용자의 손을 움직이는 속도에 비례하여 스로틀(Throttle), 요우(Yaw), 피치(Pitch) 및 롤(Roll)의 진행속도가 조절된다. In addition, the speed of the throttle, yaw, pitch, and roll is adjusted in proportion to the speed at which the user's hand is moved.

즉, 자세방위센서(210)가 감지하는 3차원 움직임에 대응하여 드론(100)의 이동방향이 조절된다.That i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ones 100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three-dimensional motion detected by the orientation-orientation sensor 210.

기본적으로 복수의 움직임 감지센서(201,202,203,204,205) 및 자세방위센서(210) 중 어느 하나만이 드론(100)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도록 설정된다.Basically,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motion detection sensors 201, 202, 203, 204, and 205 and the orientation / orientation sensor 210 is set to adjus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ones 100.

이때, 사용자의 세부설정에 의해 복수의 움직임 감지센서(201,202,203,204,205) 및 자세방위센서(210)가 복합적으로 드론(100)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motion detection sensors 201, 202, 203, 204 and 205 and the orientation / orientation sensor 210 can control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drones 100 according to the user's detailed setting.

사용자는 복수의 움직임 감지센서(201,202,203,204,205)의 움직임의 가중치(0 ~ 100%)와, 자세방위센서(210)의 움직임의 가중치(0 ~ 100%)를 각각 설정함으로써, 드론(100)의 동작제어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감지센서 및 자세방위센서(210)가 서로 상반되는 동작을 동시에 지시할 경우, 가중치가 높게 설정된 어느 하나의 센서만이 동작한다.The user sets the motion weight (0 to 100%) of the motion detection sensors 201, 202, 203, 204 and 205 and the motion weight (0 to 100%) of the posture orientation sensor 210, Can be set to suit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For reference, when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orientation sensor 210 simultaneously instruct opposite operations, only one sensor having a high weight is operated.

한편, 하나의 드론을 제어할 때, 사용자의 오른손에 착용한 웨어러블 장갑(200)은 복수의 움직임 감지센서(201,202,203,204,205)에 대응하는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왼손에 착용한 웨어러블 장갑(200)은 자세방위센서(210)에 대응하는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드론(100)을 더욱 다이나믹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른손으로는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드론(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왼손으로는 손의 3차원적인 움직임으로 드론(100)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when one dron is controlled, the wearable glove 200 worn by the user's right hand outputs a firs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motion detection sensors 201, 202, 203, 204, 205, and wearable gloves 200 can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rientation-orientation sensor 210, so that the drones 100 can be dynamically controlled. That is, the right hand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ones 100 by the movement of the fingers, and the left hand can simultaneous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ones 100 by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hands.

동작 제어부(220)는 복수의 움직임 감지센서(201,202,203,204,205) 및 자세방위센서(210)의 감지신호(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를 드론 자세제어신호로 변환하고,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드론(100)에게 전달한다. 여기에서 무선통신방식은 와이파이(WIFI) 방식 등의 로컬 무선네트워크 방식과, 2G, 3G, LTE 방식 등의 광대역 무선네트워크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220 converts the sensing signals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of the plurality of motion sensors 201, 202, 203, 204 and 205 and the orientation sensor 210 into a drones posture control signal, To the drone (100).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 local wireless network method such as a WIFI method, and a broadband wireless network method such as 2G, 3G, or LTE method.

즉, 웨어러블 장갑(200) 및 드론(100)은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각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1 제어신호와 웨어러블 장갑의 삼차원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2 제어신호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드론(100)에게 전달된다.That is, the wearable glove 200 and the drones 100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each finger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hree- Is transmitted to the dron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2)의 구성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3)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복수의 드론의 제어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on system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on system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The drone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only a simple structure for clear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s to be proposed.

도 3, 3a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2)은 복수의 드론(101,102,103), 웨어러블 장갑(200), 휴대용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3A and 4, the dron system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drones 101, 102, and 103, a wearable glove 200, and a portable terminal 300.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3)은 복수의 드론(101,102,103), 웨어러블 장갑(200), 터치 스크린(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ron system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drones 101, 102, and 103, a wearable glove 200, and a touch screen 23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드론 시스템(2)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main operation of the dron system 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웨어러블 장갑(200)은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움직임 및 자신의 삼차원 움직임을 감지한다.A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he wearable glove 200 senses the movement of the finger and its own three-dimensional movement.

복수의 드론(101,102,103)은 웨어러블 장갑(200)이 감지하는 각 손가락의 움직임 및 웨어러블 장갑의 삼차원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방향이 조절된다.The plurality of drills (101, 102, 103) are adjusted in the mov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each finger sensed by the wearable glove (200) and the three dimensional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휴대용 단말기(300)는 복수의 드론(101,102,103)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드론을 선택하여 제어한다.The portable terminal 300 monitors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1, 102 and 103 in real time and selects and controls one of the drones using a touch screen.

즉, 웨어러블 장갑(200)은 휴대용 단말기(300)의 터치 스크린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드론의 이동방향을 조절한다.That is, the wearable glove 200 adjusts the movement direction of at least one or more drones selected by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여기에서 휴대용 단말기(3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portable terminal 300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d a smart pad, and is assumed to be a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a smart phone in the present embodiment.

휴대용 단말기(300)의 터치 스크린에는 복수의 드론(101,102,103)의 위치가 동시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복수의 드론(101,102,10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드론이 웨어러블 장갑(2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동작한다.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1, 102 and 103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ccordingly,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1, 102, and 103, the selected dron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200.

기본적으로 휴대용 단말기(300)와 웨어러블 장갑(200)은 드론을 제어하기 전에 사용자 인증 및 동기화 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휴대용 단말기(300)와 웨어러블 장갑(200)은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로컬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30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드론을 선택할 경우, 드론 선택신호는 웨어러블 장갑(200)을 경유하여 해당 드론에게 전달된다.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the wearable glove 200 must perform user authentication and synchronization before controlling the drones and 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the wearable glove 200 must perform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 Therefore, when a dron is selected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the dron sel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dron via the wearable glove 200.

이때, 사용자의 세부설정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300)의 드론 선택신호는 웨어러블 장갑(200)을 경유하지 않고, 해당 드론에게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300)와 드론은 무로컬 무선통신방식 또는 광대역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detailed setting of the user, the dron selection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drone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wearable gloves 2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the drone are connected by a non-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복수의 드론(101,102,103)은, 휴대용 단말기(300) 및 웨어러블 장갑(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이웃하는 드론을 경유하여 상호간에 전달하도록 동작한다.The plurality of drills (101, 102, 103) operate to transfer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the wearable glove (200) to each other via a neighboring drone.

즉, 웨어러블 장갑(200)이 제3 드론(103)을 제어할 때, 제어신호를 유효하게 전달할 수 있는 유효거리 이내에 제3 드론(103)이 위치할 경우에는 제어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제3 드론(103)과 웨어러블 장갑(200)의 이격거리가 유효거리를 초과할 경우 드론(100)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That is, when the wearable glove 200 controls the third drones 103, there is no problem in the control when the third drones 103 are positioned within the effective distance at which the control signals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Howev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drones 103 and the wearable gloves 200 exceeds the effective distanc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drones 100 can not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2)은, 복수의 드론(101,102,103)이 상호간에 신호를 경유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되므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제1 드론(101)이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제2 드론(102)에게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제2 드론(102)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제3 드론(103)에게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The drones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transmit a plurality of drones 101, 102 and 103 via signals to each other so that after the first drones 101 at the closest distance receive the control signals The second drones 102 may transmit the control signals to the third drones 103 that are farthest from the first drones 102 and 103, respectively.

결과적으로 제3 드론(103)이 유효거리를 초과하더라도 다른 드론에 의해서 제어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휴대용 단말기(300)가 제어할 수 있는 유효거리가 증가한다.As a result, even if the third drone 103 exceeds the effective distance, the control signal can be received by the other drone, so that the effective distance that the portable terminal 300 can control substantially increases.

한편, 휴대용 단말기(300)의 터치 스크린과 웨어러블 장갑(200)을 이용하여 복수의 드론(101,102,103)을 제어하는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drones 101, 102, and 103 using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the wearable glov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제1 드론(101), 제2 드론(102) 및 제3 드론(103)이 소정의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호버링 - 공중에서 현재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 하고 있다고 가정한다.It is assumed that the first drones 101, the second drones 102, and the third drones 103 are hovering-maintaining the current position in the air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우선,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제1 드론(101) 선택한 후, 제1 드론(101)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중에 제2 드론(102)을 선택했을 경우, 제1 드론(101)은 마지막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을 미리 설정된 기본거리 또는 기본각도만큼 수행한 후 호버링 동작을 진행한다. First, when the user selects the first drones 101 using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selects the second drones 102 whil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ones 101, The controller 101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last control signal by a predetermined basic distance or a basic angle, and then performs a hovering operation.

예를 들면 제1 드론(101)의 마지막 제어신호가 수평 전진이동 동작이고 기본거리가 3m 일 경우, 제1 드론(101)은 3m 수평전진 한 후 그 위치에서 호버링 동작을 진행한다.For example, when the last control signal of the first drones 101 is a horizontal advance movement operation and the basic distance is 3 m, the first drones 101 advances 3 m horizontally, and proceeds to hover at that position.

다음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제2 드론(102)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중에 "정렬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1 드론(101)과 제3 드론(103)은 각각 현재 고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2 드론(102)과의 간격을 각각 최대 유효거리 만큼 유지하도록 이동한다.Next, when selecting the "alignment mode" in the cours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ones 102 selected by the user, the first drones 101 and the third drones 103, respectively, 2 drones 102 to the maximum effective distance.

이때, 정렬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드론(102)을 이동시키는 경우, 제1 드론(101) 및 제3 드론(103)도 제2 드론(102)과의 간격을 유지한 채 동시에 이동한다. 즉, 사용자가 제2 드론(102)을 제어하는 동작과 동일하게 제1 드론(101) 및 제3 드론(103)도 동시에 이동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moves the second drones 102 while maintaining the alignment mode, the first drones 101 and the third drones 103 are also maintain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second drones 102 Move. That is, the first dron 101 and the third dron 103 move simultaneously as the user controls the second dron 102.

참고적으로, 정렬모드에서 복수의 드론(101,102,103) 중 어느 하나의 드론이 지면과 충돌할 수 있는 위험거리에 근접할 경우, 해당 드론의 정렬동작은 해제되고 그 위치에서 호버링 동작을 진행한다. 또한, 정렬모드는 휴대용 단말기(300) 또는 웨어러블 장갑(200)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For reference, in the alignment mode, when the drones of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1, 102, and 103 approach a dangerous distance at which they can collide with the ground, the sorting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rones is released and the hovering operation proceeds at that position. In addition, the alignment mode is configured to be selectable in the portable terminal 300 or the wearable glove 200.

한편, 휴대용 단말기(300)의 터치 스크린에서는 각 드론의 관점, 즉 선택된 드론의 1인칭 시점에서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선택된 드론의 시야를 참고하여 드론을 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n image at the viewpoint of each dron, that is, the first person's view of the selected dron can b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dron with reference to the view of the selected dron.

또한, 도 3의 휴대용 단말기(300)의 터치 스크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드론(101,102,103) 간에 제어신호를 경유하여 전달할 때, 각 드론 사이의 통신상태가 선의 굵기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of FIG. 3, when communica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drones 101, 102 and 103 via the control signal, the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drones can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line thickness .

즉, 제1 드론(101, D1)과 제2 드론(102, D2) 사이의 통신상태 표시선은, 제2 드론(102, D2)과 제3 드론(103, D3) 사이의 통신상태 표시선보다 굵게 표시되는데, 통신상태 표시선이 굵을수록 통신상태가 원활한 것이며, 이러한 통신상태 표시선을 통해 조절가능한 유효거리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communication status indicating lin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rums 101 and D1 and the second drones 102 and D2 is thicker than the communication status indicating line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drums 102 and D2 and 103 and D3 The larger the communication status indication line is, the more the communication status is smooth, and the effective distance that can be adjus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status indication line can be indirectly confirmed.

한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3)은, 복수의 드론(101,102,103), 웨어러블 장갑(200) 및 터치 스크린(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3A, the dron system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drones 101, 102, and 103, a wearable glove 200, and a touch screen 230.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3)은, 웨어러블 장갑(200)에 터치 스크린(230)이 부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30)을 터치하여 복수의 드론(101,102,10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드론이 웨어러블 장갑(2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동작한다.The dron system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s a touch screen 230 attached to the wearable glove 200. When a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230 to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1, The selected drones ar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20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드론 시스템(3)의 웨어러블 장갑(200)은,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움직임 및 자신의 삼차원 움직임을 감지한다. 또한,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복수의 드론(101,102,10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드론이 웨어러블 장갑(2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다.The wearable glove 200 of the dron system 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etects movement of the finger and its own three-dimensional movement, a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101, 102, and 103, the selected dron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200 .

즉, 도 3a의 드론 시스템(3)은, 도 3의 드론 시스템(2)의 휴대용 단말기(300)의 터치 스크린이 웨어러블 장갑(200)에 부착되어, 웨어러블 장갑(200)과 터치 스크린(230)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예시가 도시된 것이다.The dron system 3 shown in FIG. 3A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of the dron system 2 shown in FIG. 3 is attached to the wearable glove 200 and the wearable glove 200 and the touch screen 230, An example of this integrated type is shown.

웨어러블 장갑(200)에 부착되는 터치 스크린(230)은, 플렉서블 재질의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웨어러블 장갑(200)의 손등 또는 손바닥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The touch screen 230 attached to the wearable glove 200 is preferably a flexible material display and can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wearable glove 200 or the palm of the wearable glove 200.

터치 스크린(230)의 동작은, 휴대용 단말기(300)의 터치 스크린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230 is the same as that of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은 웨어러블 장갑을 이용하여 드론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드론의 이동방향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dr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on using the wearable gloves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on can be more precisely controlled.

또한, 웨어러블 장갑은, 복수의 드론 중에서 터치 스크린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드론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웨어러블 장갑을 이용하여 복수의 드론의 이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earable glove can adjust the moving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selected by the touch screen, the movement directions of the plurality of drones can be controlled by using one wearable glov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드론
200 : 웨어러블 장갑
300 : 휴대용 단말기
100: Drones
200: Wearable gloves
300: portable terminal

Claims (9)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장갑; 및
상기 웨어러블 장갑이 감지하는 각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방향이 조절되는 드론;
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
Wearable gloves to detect finger movements; And
A dron whose movement direction is adjusted corresponding to movement of each finger sensed by the wearable glove;
A dron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via the Inter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갑 및 상기 드론은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며,
각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드론에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able gloves and the drones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Wherein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each finger is transmitted to the drones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갑은,
각각의 손가락의 독립적인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움직임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wearable glove,
And a plurality of motion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independent movements of the respective fingers.
자신의 삼차원 움직임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장갑; 및
상기 웨어러블 장갑의 삼차원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방향이 조절되는 드론;
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
Wearable gloves to detect their own three dimensional movement; And
A dron whose moving direction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A dron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via the Intern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갑 및 상기 드론은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며,
상기 웨어러블 장갑의 삼차원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드론에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earable gloves and the drones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Wherein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is transmitted to the drones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갑은,
상기 웨어러블 장갑의 삼차원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세방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wearable glove,
And a posture orientation sensor for sensing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손가락의 움직임 및 자신의 삼차원 움직임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장갑; 및
상기 웨어러블 장갑이 감지하는 각 손가락의 움직임 및 상기 웨어러블 장갑의 삼차원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방향이 조절되는 드론;
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
A wearable glove that senses the movement of the finger and its own three-dimensional movement; And
A dron whose movement direction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each finger sensed by the wearable glove and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A dron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via the Intern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갑 및 상기 드론은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며,
각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웨어러블 장갑의 삼차원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2 제어신호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드론에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earable gloves and the drones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Wherein a firs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movement of each finger and a secon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are transmitted to the drones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갑은,
각각의 손가락의 독립적인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움직임 감지센서; 및
상기 웨어러블 장갑의 삼차원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세방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wearable glove,
A plurality of motion detection sensors for sensing independent movements of respective fingers; And
And a posture orientation sensor for sensing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wearable glove.
KR1020160085261A 2016-07-06 2016-07-06 Dron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KR1019119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261A KR101911927B1 (en) 2016-07-06 2016-07-06 Dron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261A KR101911927B1 (en) 2016-07-06 2016-07-06 Dron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340A true KR20180005340A (en) 2018-01-16
KR101911927B1 KR101911927B1 (en) 2018-10-25

Family

ID=6106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261A KR101911927B1 (en) 2016-07-06 2016-07-06 Dron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9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2080A (en) * 2018-02-12 2019-08-23 赵博实 Wearable one hand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ontrol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2893A (en) * 2012-11-15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device for representing brail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62895A (en) * 2012-11-15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device for conrolling an externa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514658B1 (en) * 2014-01-08 2015-05-2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Wearable game manipulation system based on arduino and method for game manipul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039589A (en) * 2016-03-22 2016-04-11 주식회사 엣지모 Wireless space control device using finger sensing method
US20160162022A1 (en) * 2014-12-08 2016-06-09 Rohit Seth Wearable wireless hmi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2893A (en) * 2012-11-15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device for representing brail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62895A (en) * 2012-11-15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device for conrolling an externa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514658B1 (en) * 2014-01-08 2015-05-2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Wearable game manipulation system based on arduino and method for game manipul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20160162022A1 (en) * 2014-12-08 2016-06-09 Rohit Seth Wearable wireless hmi device
KR20160039589A (en) * 2016-03-22 2016-04-11 주식회사 엣지모 Wireless space control device using finger sens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2080A (en) * 2018-02-12 2019-08-23 赵博实 Wearable one hand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927B1 (en)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5645B2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terminal
JP6769001B2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terminal
KR101911916B1 (en) Drone syste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drones
CN104094196B (en) For the system and method for the enhanced interaction based on posture
WO2018187916A1 (en) Cradle head servo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WO2011109229A1 (en) Intuitive multiple degrees of freedom portable control device
EP3700639A1 (en) Controller with situational awareness display
WO2020157955A1 (en) Virtual object display device and virtual object display method
US20220350330A1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terminal
WO2020261595A1 (en) Virtual reality system,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911927B1 (en) Dron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KR20180025416A (en) Drone fly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motion recognition and virtual reality
KR20190087029A (en) Drone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KR20190087031A (en) Drone syste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drones
JP6560479B1 (en) Unmanned aircraft control system, unmanned aircraft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200093123A (en) Drone system using the Wearable gloves
CN207133968U (en) Remote control
WO2018151582A1 (en) Wheelchair driving apparatus using smartphone body motions
KR20180072928A (en) Goggle-type display apparatus with head-tracker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gimbal
UA126711U (en) DEVICES FOR INTERACTIONS WITH A COMPUTERIZED DEVICE
WO202204458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21084884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ent control method
KR101929113B1 (en) System for controlling remote based motion recognition
KR20180086659A (en) Universal controlling device for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