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856A - Braket For Safety Helmet - Google Patents

Braket For Safety Helm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856A
KR20180004856A KR1020160083907A KR20160083907A KR20180004856A KR 20180004856 A KR20180004856 A KR 20180004856A KR 1020160083907 A KR1020160083907 A KR 1020160083907A KR 20160083907 A KR20160083907 A KR 20160083907A KR 20180004856 A KR20180004856 A KR 20180004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face
safety helmet
bracket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운수
서정민
Original Assignee
(주)써보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써보레 filed Critical (주)써보레
Priority to KR1020160083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4856A/en
Publication of KR2018000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8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for a safety helmet. When a worker wears face protecting equipment, the bracket for the safety helmet is stably worn on a face of the worker by enabling a combining length of the safety helmet and the face protecting equipment to be variable. When the face protecting equipment is removed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safety helmet, the worker easily removes the equipment by sufficiently securing a rotating radius regardless of size of a front part of the safety helmet. The bracket for the safety helmet can be combined with and applied to any type of helmet having pockets by including a fixed bar. When the worker wears the face protecting equipment on the face and the face protecting equipment is placed on an upper end of the safety helmet, the bracket for the safety helmet prevents escape by enabling the face protecting equipment to receive power in a center direction of a head of the worker; and applying rotating elastic force to a back direction of the worker.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supporting units; a rotating arm unit; a strap connecting unit; and a rotating unit.

Description

안전모 브라켓 {Braket For Safety Helmet}{Braket For Safety Helmet}

본 발명은 안전모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모와 안면보호장비의 결합길이가 가변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안면보호장비를 착용할 시에는 안면에 안정적으로 착용이 유지되다가, 안전모 상방으로 안면보호장비를 탈거할 경우에는 안전모의 앞창 사이즈와 상관 없이 회전반경이 충분히 확보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장비를 탈거하여 안전모 상단에 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고정바를 구비하여 포켓이 형성된 어떠한 종류의 안전모에도 결합 및 적용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후하방으로 회동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안면에 안면보호장비를 착용했을 경우의 뿐만 아니라 안면보호장비가 안전모 상단에 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안면보호장비가 작업자 두부의 중심 방면으로 힘을 받게 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안전모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lmet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lmet bracket which has a variable length of a coupling between a helmet and a face protection device, so that when the wearer wears the face protection device, the wearer is stably worn on the face, When the equipment is removed, the rotation radius is sufficiently secur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front helmet,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remove the equipment and mount it on the top of the safety helmet. And the face protec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safety cap as well as when the operator wears the face protection device on the face and is formed so as to give the rotation elastic force to the backward and downward direction of the operator, A safety motor that is prevented from escaping by receiving force in the direction It relates to Phuket.

용접은 2개 이상의 고체금속을 하나로 접합시키는 금속 가공으로써, 용접을 하기 위해서는 높은 에너지 열원이 필요한데 이러한 에너지원으로 고압전기나 산소, 아세틸렌, 아르곤 등의 고압·폭발성 가스가 사용된다. 용접에 의한 유해성과 위험성은 용접작업에서 발생하는 용접흄(흄 중에 포함된 금속성분) 또는 유해가스, 유해광선, 소음, 고열환경 등으로 인해 비롯되는 것이다. Welding is a metal process that joins two or more solid metals together. High energy sources such as high-pressure electricity, oxygen, acetylene, argon, etc. are used for welding. The hazards and hazards caused by welding are caused by welding fumes (metal components contained in fumes), harmful rays, noise, and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at arise in welding work.

특히 좁고 폐쇄된 작업장에서 아크용접을 하는 경우 용접 작업자들은 용접과정에서 발생되는 용접흄, 질소산화물 등에 의해 건강손상을 입게 되며, 최근에는 용접 시 발생되는 흄에 의한 진폐증(용접폐증) 뿐만 아니라 망간에 함유된 용접봉의 사용으로 인한 망간중독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용접 작업자들의 건강문제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Especially, in case of arc welding in a narrow and closed workshop, welding workers suffer health damage due to welding fumes and nitrogen oxides generated in the welding process. In recent years, as well as pneumoconiosis caused by welding fumes (welding fumes) Manganese poisoning accidents have occurred due to the use of the welding electrodes. Therefore, measures against the health problems of the welding workers are required.

뿐만 아니라 용접 작업시에는 강한 빛이 방출될 뿐만 아니라, 파편이 튀게 되므로 빛에 작업자의 눈이 노출될 경우 시력 손상을 일으키고, 파편에 의해 작업자의 안구를 손상시키는 등 상해를 입힐 수 있다. 때문에, 아크 및 가스용접, 절단 작업시에 발생하는 유해광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용접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얼굴 및 목 부분의 열상이나 가열된 용재 등의 파편에 의한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자동 차광 용접면이나 자동 차광 고글 등의 안면보호장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not only strong light is emitted during welding, but splashes are splashed, which can cause visual damage if the operator's eyes are exposed to light, and can cause injuries such as damage to the operator's eye by debris. In order to protect workers from the risk of burns due to splintering such as heat on the face and neck or heatwood caused by heat generated during welding,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eyes from harmful rays generated during welding and cutting Face shields such as automatic shading welding surfaces and automatic light shielding goggles are widely used.

특히 위험한 작업 환경에서는 작업자가 안전을 위해 반드시 안전모를 착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안면보호장비는 일반적으로 스트랩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안전모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작업시 회전하여 작업자의 안면이나 안구를 차폐하고 작업 완료시에 작업자의 안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안면보호장비가 안전모와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작업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분실의 위험도 더 커지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in a dangerous work environment, since the operator wears a safety helmet for safety, the facial protective equipment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safety helmet throug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trap so as to shield the operator's face or eyeball It is often provided to open the operator's face at the completion of the work. If facial protective equipment is not connected to the helmet, the operator may feel uncomfortable and the risk of loss may increase.

종래의 안면보호장비 체결수단은 안전모에 형성된 포켓에 삽입설치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지지바가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바의 끝단에 결합되는 마감캡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안면보호장비 체결수단의 지지바에 취부되는 안면보호장비는 지지바를 회전축으로 작업자의 안면을 차폐하는 차폐위치와 작업자의 안면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하게 된다. The conventional facial protection device fastening means includes a supporting plate having a supporting bar form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 finishing cap coupled to an end of the supporting bar. The facial protective equipment attached to the support bar of the conventional facial protective equipment fastening means is rotated between the shielding position for shielding the operator's face with the rotation axis and the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operator's face.

이때, 안면보호장비는 고정된 지지바에 의해 회동하게 되므로 차폐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회동반경이 동일하다. 이에 따라, 자동 차광 용접면이나 자동 차광 고글 등의 안면보호장비는 안전모의 상부가 높은 경우에 안전모 상부에 걸리게 되거나 안전모의 앞창에 걸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 되었다. At this time, since the facial protective equipment is rotated by the fixed supporting bar, the rotating radius for rotating between the shield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is the same. As a result, facial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an automatic light shielding welding surface or an automatic light shielding goggle is frequently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afety cap or on the front window of the safety cap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safety cap is high.

따라서, 안면보호장비는 회동구간 중 회동반경이 가장 큰 구간(안전모의 앞창)을 지나는 구간을 고려하여 제작되어야 하므로 안면보호장비는 개방위치에서 안전모 앞창의 길이만큼 안전모의 상방으로 이격되고, 이로 인해 안전모와 안면보호장비의 결합길이가 상방으로 이격거리만큼 증가하게 됨으로써 무게중심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Therefore, since the facial protective equipment should be manufactured considering the section passing through the section where the turning radius is the greatest in the turning section (the front window of the safety helmet), the facial protection equipment is spaced upward from the helmet up to the length of the helmet front window in the open position, As the combined length of the helmet and the face protection equipment increased by the distance upwards, the center of gravity mov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때문에, 작업자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안전모와 안면보호장비의 무게중심이 전후좌우로 변하게 되어 용접작업 중 작업자가 머리를 숙이거나 젖히게 되면 안전모가 작업자의 머리에서 탈거되거나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는 등 위험한 환경에 노출된 작업자에게 또 다른 형태의 위험을 가하는 안전상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As a resul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afety helmet and face protection equipment changes to the left, right, and rear of the worker even when the worker moves in the slightest direction. When the worker is bowed or tilted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the safety helmet is removed from the worker's head, There is a serious problem of safety that poses another form of risk to exposed workers.

또한, 전후좌우로 쏠리는 안전모와 안면보호장비의 하중이 작업자의 목 부위에 가해지게 되어 작업도중 작업자의 피로도가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아울러, 앞창이 긴 안전모에 설치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안전모의 앞창이 후방을 향하도록 착용해야 안면보호장비의 회동이 가능했으므로, 안전모가 제대로 착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착용감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In addition, the load of the safety helmet and the face protection equipment which are shifted to the left, right, and rear sides is applied to the neck of the worker,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fatigue of the worker is greatly increased during the work. In addition, when the front window is installed on a long safety helmet, the worker must wear the helmet with the front window facing the rear so that the safety helmet can not be properly worn and the wearing comfort is significantly reduced.

한국등록특허 제1129717호 (2012.03.16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129717 (registered on March 16, 20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모와 안면보호장비의 결합길이가 가변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안면보호장비를 착용할 시에는 안면에 안정적으로 착용이 유지되다가, 안전모 상방으로 안면보호장비를 탈거할 경우에는 안전모의 앞창 사이즈와 상관 없이 회전반경이 충분히 확보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장비를 탈거하여 안전모 상단에 거치시키는 것이 가능한 안전모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cial protective device, In addition, when the face protection device is removed above the safety cap, the rotation radius is sufficiently secur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front cap of the safety cap,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remove the device and mount the cap on the top of the safety ca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켓 내부의 측방과 벽면을 모두 가압할 수 있는 고정바를 구비하여 포켓이 형성된 어떠한 종류의 안전모에도 결합 및 적용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후하방으로 회동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안면에 안면보호장비를 착용했을 경우의 뿐만 아니라 안면보호장비가 안전모 상단에 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안면보호장비가 작업자 두부의 중심 방면으로 힘을 받게 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안전모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bar which is provided with a fixing bar capable of pressing both the side and the wall surface inside the pocket so that it can be coupled and applied to any type of safety helmet having pockets formed therein, Not only when the face protection device is worn on the face, but also when the face protec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safety cap, the face protection device receives force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worker's head to prevent the escape of the safety cap brack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안전모의 양측부에 취부되고, 일측에 스트랩을 통해 안면보호장비가 결합되어 상기 안면보호장비가 작업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차폐위치와 작업자의 안면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하는 안전모 브라켓에 있어서, 고정바가 형성되어 상기 안전모의 양측부 포켓 홈에 취부되는 한 쌍의 지지부;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취부되고, 타단부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회전암부; 일단부가 상기 회전암부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결합홈 사이에 개재되고, 타단부 일측에 상기 스트랩이 걸리는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스트랩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회전암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암부에 회동탄성력을 부여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브라켓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fety device comprising: a safety cover attached to both side portions of a helmet; a face protection device is attached to a side of the safety cap through a strap, A pair of supporting portions formed on both side portion pocket grooves of the helmet with a fixing bar formed thereon to rotate the helmet bracket between open positions for opening the face of the helmet; A rotary arm portion having one end rotat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other end; A strap connecting portion having one end interposed between the engaging grooves so as to be pivotable about the rotary arm portion and a connecting link for engaging the strap at one end of the other end; And rota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rotating arm portion to impart rotational elastic force to the rotating arm portion.

그리고,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회전암부에 후하방으로 회동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바가 상기 포켓 홈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부여하고, 상기 고정바는, 상기 지지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포켓 홈의 측방으로 고정력을 부여하는 제 1 고정바와, 상기 포켓 홈의 내부 벽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안전모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고정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voting means imparts a pivotal elastic force to the rotary arm portion with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as a rotation axis,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bar inserted into the pocket groove to give a fixing force, The fixing bar may include a first fixing ba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to apply a fixing force to the side of the pocket groove and a second fixing bar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helmet to pres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ocket groove desirable.

여기에, 제 1 고정바에는 측방으로 제 1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제 2 고정바에는 상기 경사진 방향으로 제 2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first fixing bar is provided with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laterally, and the second fixing bar is formed with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in the inclined direc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안면보호장비가 차폐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경우에 가변적인 회전반경을 통해 안전모의 앞창 길이를 보상받게 되어 회전 동작이 가능하고, 개방위치에서 안면보호장비와 안전모의 결합길이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안면보호장비를 회동 반경을 고려하여 설계할 필요가 없고 안전모의 무게중심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안전모가 작업자의 머리로부터 탈거되거나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는 등 작업자에게 위험을 가하는 안전상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acial protective equipment rotates between the shielding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the length of the front helmet can be compensated for by the variable radius of rotation and rotation operation is possible. In the open position, By reducing the coupling length of the helmet, it is not necessary to design the facial protective equipment in consideration of the turning radius, and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elmet is moved downward, the helmet is detached from the worker's head, There is an effect that a safety problem can be prevented in advance.

그리고, 안전모에 포켓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지지부의 고정바를 포켓의 사이즈와 무관하게 삽입하여 단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탈부착이 용이하여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여 작업자의 안전 뿐 아니라 전체적인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안전모 및 안면보호장비와 결합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소형이면서도 실제 적용이 간단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공급 단가를 실현함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ants are formed in the safety helmet, the fixing bar of the supporting part can be inserted firml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pocket, so that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operator, There is an effect. In addition, since it is merely required to be combined with existing safety helmets and facial protection devices, it is economical in that it is small in size, simple in practice, and relatively low in cost, thereby enhancing price competitiven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의 외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의 내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에서 회전암부와 스트랩 연결부의 회동 형태를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을 안전모와 안면보호장비에 결합하여, 안면보호장비가 차폐위치와 개방위치를 이동하는 동작을 도시한 실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lme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ternal side view of a helme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ner side view of a helme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view of a helme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of a helme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rotation type of a rotary arm and a strap connection portion in a helme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a face shield device is moved between a shield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by coupling a helmet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helmet and a face shiel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in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s shall not be limited to the concept of a term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1)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1)의 외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1)의 내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1)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1)의 후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lmet brack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outer side view of a helmet brack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 top view of the helmet brack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rear view of the helical brack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적으로,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안전모 브라켓(1)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모의 포켓 홈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기준으로 방향을 정하여 설명할 것임을 밝힌다. 즉, 도면은 작업자의 좌측 귀 부근에 취부되는 좌측용 안전모 브라켓(1)을 도시하였는데 여기에서 전방은 작업자의 안면 방향이며, 후방은 지면 방향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 설정을 기준으로 발명의 내용이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도면에 미도시된 우측용 안전모 브라켓(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First of all,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will be explained that the helmet bracket 1 is oriented on the basis of a form coupled to pocket grooves of a helmet worn by an operator. That is, the figure shows a left side helmet bracket 1 to be attached to the left ear of the operator, wherein the front side is the face direction of the operator and the rear side is the ground direction. The content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such direction setting, and the same is also applied to the right hard shell bracket 1 not shown in the drawin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1)은, 안전모의 양측부에 취부되고, 일측에 스트랩을 통해 안면보호장비가 결합되어 안면보호장비가 작업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차폐위치와 작업자의 안면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하는 장치로써, 지지부(10), 회전암부(20), 스트랩 연결부(30) 및 회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5, a helical brack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both sides of a helmet, and a face protecting apparatus is attached to a side of the helmet through a strap, And includes a support portion 10, a rotary arm portion 20, a strap connection portion 30, and a rotation means 40. The support portion 10, the rotary arm portion 20, the strap connection portion 30,

지지부(10)는 고정바(11)가 형성되어 안전모의 양측부 포켓 홈에 취부되는 역할을 한다. 고정바(11)가 포켓 홈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부여하는 것인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가지 형태의 고정바(11)를 구비한다. 포켓 홈의 내부에서 측방으로 고정력을 부여하는 제 1 고정바(11a)와, 포켓 홈의 내부벽 표면을 가압하도록 안전모의 내측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고정바(11b)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supporting part 10 is formed with a fixing bar 11 and is attached to both side pocket grooves of the helmet. The fixing bar 11 is inserted into the pocket groove to give a fixing for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bar 11 is provided with two types of fixing bars. A first fixing bar 11a for applying a fixing force to the inside of the pocket groove in a lateral direction and a second fixing bar 11b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inner center of the safety cap so as to pres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ocket groove.

이를 위해 제 1 고정바(11a)는 지지부(10)의 양 측면에 형성이 되며, 다른 종류의 안전모 포켓 사이즈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제 1 가압돌기(11aa)가 측방으로 구비된다. 제 2 고정바(11b)는 포켓에 삽입되었을 때 안전모 포켓 홈에 결속이 단단하게 이루어지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의 수직축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추가로 제 2 가압돌기(11ba)를 구비하여 가압력을 부가시키고 제 2 고정바(11b)와 포켓 홈의 내부벽 표면 사이에 마찰력이 생기도록 한다.To this end, the first fixing bar 11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portion 10, and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11aa is provided laterally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fferent types of helmet pocket sizes. The second fixing bar 11b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i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0 as shown in FIG. 5 so as to be tightly coupled to the safety cap pocket groove when the second fixing bar 11b is inserted into the pocket, So that a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fixing bar 11b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ocket groove.

이렇게 제 1 고정바(11a)와 제 1 가압돌기(11aa)를 통해 포켓 홈 내부의 측방을 가압하고, 제 2 고정바(11b)와 제 2 가압돌기(11ba)를 통해 포켓 홈 내부벽 표면을 가압함으로써, 지지부(10)가 안전모의 양측부에 끼움결합되어 단단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안전모에 결속된 상태를 기준으로, 지지부(10)의 중심부에는 외측으로 결합돌부(12)가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side of the pocket groove is pressed through the first fixing bar 11a and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11a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ocket groove is pressed through the second fixing bar 11b and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11ba So that the support portions 10 are fitted to both sides of the helmet so as to be tightly coupled. A coupling protrusion 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10 on the outer side based on a state of being bound to the safety cap.

참고로 포켓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안전모에 본 발명의 안전모 브라켓(1)을 설치할 경우에는, 안전모 브라켓(1)을 안전모 외측에 볼트 결합 등의 방식으로 취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보다 적합한 방식은, 안전모 포켓의 역할을 대신 할 수 있는 별도의 부속품을 안전모에 설치하고, 이 부속품에 본 발명의 안전모 브라켓(1)을 취부시키는 방식이다.For reference, when the helmet brack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elmet having no pockets,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helmet bracket 1 to the outside of the helmet by bolting or the like. A more suitable method at this time is a method in which a separate accessory for substituting for the role of the safety pouch is installed in the safety helmet and the helmet brack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accessory.

회전암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1)에서 몸체가 되는 부분으로써 일단부가 지지부(10)의 결합돌부(12)에 회동 가능하게 취부되고, 타단부 일측에는 결합홈(22)이 형성된다. 회전암부(20)의 결합공(21)에 지지부(10)의 결합돌부(12)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이를 회전축으로 하여 지지부(10)가 회동 가능한 구조인 것이다.The rotary arm 20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 of the supporting part 10 and has a coupling groove 22 at one end thereof as a body of the helical brack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upling portion 12 of the support portion 1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oupling hole 21 of the rotary arm portion 20 and the support portion 10 is rotatable about the rotary shaft.

스트랩 연결부(30)는 일단부가 회전암부(20)의 결합홈(22)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고, 이 결합된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스트랩 연결부(30)가 회전암부(20)로부터 회동이 가능하며, 타단부 일측에는 연결고리(31)가 형성되어 안면보호장비로부터 연결되는 스트랩 혹은 안면보호장비의 체결부가 직접 걸릴 수 있다. 이 때, 스트랩은 주로 밴드 형태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주로 사용될 것이다. 직물,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end of the strap connection portion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coupling grooves 22 of the rotary arm portion 20 and the strap connection portion 30 is rotatable from the rotary arm portion 20 with the combined portion as a rotary shaft And a connection ring 3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ther end so that the fastening part of the strap or face protection equipment connected from the face protection equipment can be directly hooked. At this time, the strap is mainly used as a band-like elastic material. Cloth, plastic, and the like.

회동수단(40)은 상기 지지부(10) 및 상기 회전암부(20)를 연결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회전암부(20)의 결합공(21)에 지지부(10)의 결합돌부(12)가 삽입될 때 이 회전축을 따라 회동스프링(미도시) 등이 구비되어 회전암부(20)에 회동탄성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회동스프링 뿐 아니라 어떠한 수단도 이용 가능하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동수단(40)은, 회전암부(20)에 후하방으로 회동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회동탄성력의 방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에서 다시 살펴보도록 한다.The rotation means 40 is formed at a portion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10 and the rotary arm portion 20 and the coupling projection portion 12 of the support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1 of the rotary arm portion 20 A rotating spring (not shown) or the like is provided along the rotating shaft to impart a rotating elastic force to the rotating arm 20. [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ing means 40 imparts a rotational elastic force to the pivot arm 20 in a rearward and downward direc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rection of the pivoting elastic for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1)에서 회전암부(20)와 스트랩 연결부(30)의 회동 형태를 도시한 동작도이다.FIG. 6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arm 20 and the strap connection 30 in the helical bracke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1)에서는 회동 가능한 회전축이 크게 2곳이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도 6a에서는 스트랩 연결부(30)의 일단부가 회전암부(20)의 결합홈(22) 사이에 개재되어 이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한 동작을 도시하고 있고, 도 6b에서는 회전암부(20)의 결합공(21)에 지지부(10)의 결합돌부(12)가 삽입되어 고정된 채로 이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암부(20)가 회동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helical brack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large rotatable rotary shafts. 6A shows an operation in which one end of the strap connection portion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engaging grooves 22 of the rotary arm portion 20 and is rotated with the rotary shaft as the rotary shaft. In FIG. 6B, 21 shows the operation in which the rotary arm 20 rotates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12 of the support 10 inserted and fixed with the rotary shaft.

그리고, 이러한 도 6b에 나타난 안전모 브라켓(1)의 형태는 작업자가 안전모와 안면보호장비를 모두 착용하였을 때 안전모 브라켓(1)의 기본 형태와 가장 비슷한 형태라 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helmet bracket 1 shown in FIG. 6B is the most similar to the basic shape of the helmet bracket 1 when the operator wears both the helmet and the face protecting equipmen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1)을 안전모(C)와 안면보호장비(M)에 결합하여, 안면보호장비(M)가 차폐위치와 개방위치를 이동하는 동작을 도시한 실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moving the helmet bracke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afety helmet C and the face protection equipment M so that the face protection equipment M moves between the shield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FIG.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실제 안전모(C)와 안면보호장비(M)를 모두 착용하고, 안전모(C)와 안면보호장비(M) 사이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1)을 통해 체결하였을 때의 형태를 살펴볼 수 있고, 더불어 안면보호장비(M)가 차폐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의 동작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7, a worker wears both the actual helmet C and the face protective equipment M, and installs the helmet bracke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helmet C and the face protective equipment M, And the operation mode when the facial protective equipment M moves between the shield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can be confirmed.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안면보호장비(M)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마스크 탈착형 자동 차광 고글의 실시예로써, 고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고, 추가로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안면보호커버를 포함하는 마스크부를 부착할 수 있는 장치이다. For reference, the face protection apparatus M shown in the drawing is an embodiment of the mask detachment type automatic light shielding goggle develop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e shielding apparatus M can be formed in a goggle shape to protect the eyes of the operator, And a masking portion including a face protection cover for covering the face.

도 7a는 이러한 안면보호장비(M)의 양 측부에 스트랩(S)을 연결하고, 이러한 스트랩(S)을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 브라켓(1)의 스트랩 연결부(30)에 형성된 연결고리(31)에 걸어놓은 상태로, 안전모 브라켓(1)의 지지부(10)를 안전모(C) 양 측부에 형성된 포켓(CP) 홈에 고정바(11)를 삽입하여 결속시킨 상태이다.7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rap S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ace protection device M and the strap S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oop 31 formed in the strap connection portion 30 of the helmet brack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10 of the helmet bracket 1 is fastened by inserting the fastening bar 11 into the pocket CP formed in both sides of the helmet C. [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암부(20)는 지지부(10)를 기준으로 했을 때 후하방으로 회동탄성력을 부여받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암부(20)는 후하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안면보호장비(M)는 작업자의 안면에 밀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모 브라켓(1)이 자연스럽게 누운 'ㄴ' 형상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rotary arm 20 is rotated backward and downward because the rotary arm 20 is given a rotating elastic force back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10, The hard mask bracket 1 is naturally kept in the 'C' shape because the cover M is closely contacted to the operator's face.

그러다가 도 7b와 같이 작업자가 안면보호장비(M)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안전모(C) 상단으로 탈거하는 동작을 시도할 경우, 'ㄴ'자 형태였던 안전모 브라켓(1)이 일자 형태로 펼쳐지게 되므로 회전의 반경이 회전암부(20)의 길이 뿐 아니라, 회전암부(20)와 스트랩 연결부(30)를 모두 합친 길이가 되어 증가하게 된다. 7B, when the operator attempts to remove the top of the safety helmet C in order to move the face protection device M to the open position, the helmet bracket 1, which was in the form of a "B" shape, The radius of rotation is increased not only by the length of the rotary arm 20 but also by the combined length of the rotary arm 20 and the strap connection 30.

이 때문에 안전모(C)의 앞창 사이즈와 상관 없이 회전 반경이 충분히 확보되어 손쉽게 안면보호장비(M)를 안전모(C) 상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더해 약간의 탄성이 있는 스트랩(S)의 길이 또한 늘어날 수 있으므로 안전모 브라켓(1)이 일자로 펼쳐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면보호장비(M)를 안면의 전방으로 잡아당길 경우 회전 반경은 더욱 커지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front window of the helmet C, the turning radius is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face protecting apparatus M can be easily moved to the upper end of the helmet C.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helmet bracket 1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turning radius can be further increased when the operator pulls the facial protective equipment M toward the front of the face.

이 후 도 7c와 같이 작업자가 안면보호장비(M)를 개방위치로 이동시켜 안전모(C) 상단에 거치시킬 경우에는, 회전암부(20)가 다시금 지지부(10)를 중심으로 후하방으로 회동탄성력을 받기 때문에 안면보호장비(M)에 하방으로 힘이 적용되어 안전모(C) 위에 밀착이 이루어지는 온전한 'ㄴ'자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7C, when the operator moves the facial protective equipment M to the open position and mounts the facial protective device M on the upper end of the safety cap C, the rotary arm 20 again rotates backward and downward about the support 10, So that a full 'b' shape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downward to the face protection device M and the contact is made on the safety cap C can be stably maintained.

이렇게 안전모(C)와 안면보호장비(M)의 결합길이가 가변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안면보호장비(M)를 착용할 시에는 안면에 안정적으로 착용이 유지되다가, 안전모(C) 상방으로 안면보호장비(M)를 탈거할 경우에는 안전모(C)의 앞창 사이즈와 상관 없이 회전반경이 충분히 확보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장비를 탈거하여 안전모(C) 상단에 거치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The combined length of the helmet C and the face protective equipment M is variable so that when the operator wears the face protective equipment M, the wearer is stably worn on the face, When the equipment M is removed, the turning radius is sufficiently secured irrespective of the size of the front window of the safety helmet C,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remove the equipment and mount it on the upper end of the safety helmet C.

아울러, 작업자의 후하방으로 회동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회동수단(4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안면에 안면보호장비(M)를 착용했을 경우의 뿐만 아니라, 안면보호장비(M)가 안전모(C) 상단에 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안면보호장비(M)가 작업자 두부의 중심 방면으로 힘을 받게 되어 이탈이 방지되어 작업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최적의 착용감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urning means 40 is provided so as to impart the rotational elastic force to the backward and downward direction of the operator, as shown in Fig. 7, not only when the operator wears the face protecting apparatus M on the face, Even if the equipment (M)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safety helmet (C), the face protection equipment (M) receives a force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worker's head to prevent the escape of the worker's safety and convenience. .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hould include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안전모 브라켓
10 : 지지부
11 : 고정바
11a : 제 1 고정바 11aa : 제 1 가압돌기
11b : 제 2 고정바 11ba : 제 2 가압돌기
12 : 결합돌부
20 : 회전암부
21 : 결합공 22 : 결합홈
30 : 스트랩 연결부 31 : 연결고리
40 : 회동수단
1: Hardware bracket
10: Support
11: Fixed bar
11a: first fixing bar 11aa: first pressing projection
11b: second fixing bar 11ba: second pressing projection
12:
20:
21: engaging hole 22: engaging groove
30: strap connection part 31:
40:

Claims (4)

안전모의 양측부에 취부되고, 일측에 스트랩을 통해 안면보호장비가 결합되어 상기 안면보호장비가 작업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차폐위치와 작업자의 안면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하는 안전모 브라켓에 있어서,
고정바가 형성되어 상기 안전모의 양측부 포켓 홈에 취부되는 한 쌍의 지지부;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취부되고, 타단부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회전암부;
일단부가 상기 회전암부에 회동 가능하게 상기 결합홈 사이에 개재되고, 타단부 일측에 상기 스트랩이 걸리는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스트랩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회전암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암부에 회동탄성력을 부여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브라켓.
A helmet bracket mounted on both sides of a helmet and rotatable between a shielding position where the face protection device is worn on the operator's face and an open position where the operator's face is opened, ,
A pair of support portions having fixing bars formed on both side portion pocket grooves of the helmet;
A rotary arm portion having one end rotat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other end;
A strap connecting portion having one end interposed between the engaging grooves so as to be pivotable about the rotary arm portion and a connecting link for engaging the strap at one end of the other end; And
And rota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rotating arm portion to impart rotational elastic force to the rotating arm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회전암부에 후하방으로 회동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means
And a rotating elastic force is imparted to the rotating arm portion in a rearward and downward direction with the center of the supporting portion as a rotational axi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바가 상기 포켓 홈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부여하고,
상기 고정바는,
상기 지지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포켓 홈의 측방으로 고정력을 부여하는 제 1 고정바와,
상기 포켓 홈의 내부 벽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안전모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고정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ocket groove to provide a fixing force,
The fixing bar may include:
A first fixing bar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portion to apply a fixing force laterally to the pocket grooves,
And a second fixing bar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helmet so as to pres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ocket groove.
제 3항에 있어서,
제 1 고정바에는 측방으로 제 1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제 2 고정바에는 상기 경사진 방향으로 제 2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pressing bar is formed laterally on the first fixing bar,
And the second fixing bar is provided with a second pressing protrusion in the inclined direction.
KR1020160083907A 2016-07-04 2016-07-04 Braket For Safety Helmet KR201800048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907A KR20180004856A (en) 2016-07-04 2016-07-04 Braket For Safety Helm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907A KR20180004856A (en) 2016-07-04 2016-07-04 Braket For Safety Helm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856A true KR20180004856A (en) 2018-01-15

Family

ID=6100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907A KR20180004856A (en) 2016-07-04 2016-07-04 Braket For Safety Helm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485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979B1 (en) Headband for mask
US11324274B2 (en) Welding helmet
KR101116947B1 (en) Face protector with dual protection shield
KR200405939Y1 (en) Coupling structure of LCD shielding screen for welding mask
KR101000752B1 (en) Welding helmet coupler
KR101660000B1 (en) Welding Mask Having Safety Helmet
CN102370541A (en) Perspective protector for welding
KR20090011507A (en) Protect glasses using work
KR20180004856A (en) Braket For Safety Helmet
JP6239236B2 (en) Welding surface
CN213722879U (en) Novel welding protective mask
JP3224635U (en) Helmet face shields and helmets
KR100814366B1 (en) Welding mask
KR101986257B1 (en) Support pads for headband
JP6230745B1 (en) Working hood
CN209965346U (en) Safety helmet for electric welding
CN204092331U (en) The electric welder's helmet that a kind of applicable power system uses in safeguarding
KR20110109156A (en) A safety helmet having a welding mask
KR200487082Y1 (en) Multirpurpose safety mask
KR101923541B1 (en) Light shield plate for face protection mask
US11406539B2 (en) Facial protection equipment for easy operation of rotating opening and closing
CN219375169U (en) Detachable lens type cold welding machine welding cap
KR20160002830U (en) The window of preventing fog for welding helmet
JP3220327U (en) Protective gear
CN214632600U (en) Hardware processing spot welding gogg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