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556A - Planting apparatus of heating for mini succulent plant in a greenhouse - Google Patents

Planting apparatus of heating for mini succulent plant in a green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556A
KR20180004556A KR1020160084275A KR20160084275A KR20180004556A KR 20180004556 A KR20180004556 A KR 20180004556A KR 1020160084275 A KR1020160084275 A KR 1020160084275A KR 20160084275 A KR20160084275 A KR 20160084275A KR 20180004556 A KR20180004556 A KR 20180004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mini
vertical support
greenhouse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상용
남상우
소창호
Original Assignee
(사)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장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대한민국(농림축산식품부장관) filed Critical (사)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8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4556A/en
Publication of KR2018000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5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mini succulent plants. More specifically, as a planting tray, in which mini succulent plants are planted and cultivated, is buried under the ground or changed in height depending on whether the season is summer or winter, an area for the heating of a greenhouse is able to be reduced to save costs for heating, and since ventilation between planting trays is easy, temperature control, planting, and shipment of succulent plants are convenien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reenhouse comprising a fixing frame installed on the ground, glass or vinyl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and an internal storage space part installed on the inner floor; a vertical support frame supported on the ground in the internal storage space part to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omprising a guide screw part formed on a side; and a planting tray comprising a moving roller installed on both sides to be moved up and down by being interlocked with the guide screw part, a control motor controlling the moving roller, and a planting space part formed to plant mini succulent plants.

Description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Planting apparatus of heating for mini succulent plant in a greenhous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mini succulent plants,

본 발명은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ㆍ동 절기에 따라 미니 다육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하는 식재 트레이를 지면에 내설 또는 트레이의 높낮이를 변경하여 하우스 난방 면적을 줄여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고, 식재 트레이와 식재 트레이 사이에 통풍이 용이하여 온도조절 및 다육식물 식재 및 출하가 용이한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mini succulent plant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mini succulent pl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for cultivating mini succulent plants according to the summer season, And a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a mini succulent plant which is easy to ventilate between a planting tray and a planting tray and whose temperature is controlled and which is easily planted and planted.

일반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은 강재 파이프 또는 합성수지재 파이프로 반원형 구조물 형성하고 그 외부에 비닐을 설치하는 일반적인 비닐하우스 구조로 형성되거나, 수직의 벽면과 경사진 지붕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옥형 고정 구조물을 형성하고, 가옥형 고정 구조물을 각각의 면에 투명 유리 또는 투명 비닐 등의 투명체를 설치하여 온실을 형성하는 기술들이 널이 사용되고 있다. Generally, a greenhouse for growing plants is formed of a general vinyl house structure in which a semicircular structure is formed of a steel pipe or a synthetic resin pipe and a vinyl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r a house-like fixing structure composed of a vertical wall surface and an inclined roof surface is formed And a technique of forming a greenhouse by providing a transparent structure such as transparent glass or transparent vinyl on each side of a house-like fixing structure is used.

이와 같은 온실 구조를 통해 온실은 그 실내에서 열을 발생시키거나 태양을 통해 전달받은 열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와 환경을 장시간 유지함으로써, 외기 온도가 낮은 계절에 여러 가지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여 열대 지방이 아닌 곳에서 작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Through such a greenhouse structure, the greenhouse can maintain the temperature and environment suitable for plant growth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generating heat in the room or minimizing the heat loss transmitted through the sun, So that crops can be cultivated in places other than the tropics.

상기와 같은 통상의 온실 구조를 볼 때 외부 피복재가 염화비닐필름, 폴리에틸렌필름, 아세트산비닐필름 등의 비닐로 되어 있고, 온실의 골조는 원형강관, 사각관 등의 철재류, 볼트 또는 피스 나사못 등으로 조립되어 하여 설치비용이 싸고 쉽게 시공할 수 있어 다수의 농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In view of the normal greenhous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covering material is made of vinyl chloride film, polyethylene film, vinyl acetate film or the like, and the frame of the greenhouse is assembled by a steel pipe such as a round steel pipe, a square pipe,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and it is easy to construct and is used in many farm households.

즉, 비닐하우스는 외부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추운 동절기에도 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greenhouse can maintain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outside, so that crops can be cultivated even in the cold winter season.

이러한 비닐하우스를 이용해 작물을 재배함에 있어서, 낮의 경우에는 햇빛에 의해 비닐하우스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밤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가 많이 내려가 작물의 생육에 지장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ase of cultivating crops using such a greenhouse, it was possibl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by the sunlight in the daytime, but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was lowered at night, and the growth of the crops was hinder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비닐하우스 상부에 보온덮개를 설치해왔는데, 상기와 같은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378549호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1)과, 내부에서 이중 보온을 목적으로 설치된 보온커튼(10)을 지지하는 승강프레임(3)과, 상기 보온커튼(10)의 개폐를 위한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승강프레임(3)의 상부에서 위치가 지지되며 개폐용 모터(6)에 의해 회동되는 개폐 구동축(5)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되, 구동축(5) 상에는 와이어(7)가 권취된 다수의 권취드럼(4)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각 권취드럼(4)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어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고 있는 와이어(7)를 따라 보온커튼(10)이 양측으로 동시 개폐가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되, 상기 와이어(7)는 승강프레임(3)의 양측단 및 중앙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로울러(9)에 의해 좌/우 대칭형태로 안내되는 구조이다.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a heat-insulating lid has been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lastic house. The heat-insulating lid of the plastic house is composed of a base frame 1 constituting the framework of the plastic hous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78549, (3) for supporting a heating curtain (10)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opening and closing the heating curtain (10), and a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eating curtain (10) A plurality of winding drums 4 on which a wire 7 is wound are mounted on a driving shaft 5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driving shaft 5, And the heating curtains 10 are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at the same time along the wires 7 extending to both sides from the respective winding drums 4 and forming one cycle, Control (7) is a structure which is guided in the left / right symmetrical form by the lifting frame (3)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9) are respectively arranged at both ends and the center of.

상기와 같이 종래의 온실하우스는 온실하우스의 외부에 보온덮개를 개폐하는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여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고 있으나 온실하우스 전체면적을 난방하기 때문에 난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greenhouses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s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s to open and close the heat shields. However, since the entire area of the greenhouses is heated, the heating efficiency is lowered.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37854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378549.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니 다육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하는 식재 트레이를 지면에 내설 또는 트레이의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어 하우스 난방을 위한 면적을 줄여 난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식재된 식재 트레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어 통풍이 용이하여 온도조절 및 다육식물 식재 및 출하가 용이한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nting tray for planting and cultivating mini succulent plants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tray or the height of the tra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a mini succulent plant which is easy to ventilate and can control the temperature and facilitate the planting of the succulent plant and shipm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유리 또는 비닐이 설치되며 내부 지면바닥면에는 내설저장공간부가 형성된 온실하우스와 상기 온실하우스의 내설저장공간부 내측 지면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가이드 나사부가 형성된 수직지지프레임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의 가이드 나사부에 맞물려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는 이동롤러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이동롤러를 제어하는 제어모터 및 미니 다육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식재공간부가 형성된 식재 트레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cluding a greenhouse having a fixed frame on the ground, glass or viny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A vertical support frame which is supported on an inner ground surface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 vertical support frame having a guide thread on one side thereof, and a movable roller on both sides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thread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And a planting tray on which a planting space is formed so as to plant the mini succulent plant.

또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의 나사부가 형성된 타측면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의 상부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어 회전지지되도록 일측면에 힌지공이 형성되는 회전지지바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where the threaded portion is formed, a hinge shaf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roove, and a rotation support ba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inge shaft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

또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은 제1수직지지프레임과 제2수직지지프레임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1수직지지프레임의 상부는 지면으로 절곡되어 안착할 수 있도록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의 일측에는 중심부에 힌지축이 형성된 회전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수직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제1수직지지프레임의 단턱부에 안착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안착지지대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수직지지프레임의 회전홈부에 형성된 힌지축에 삽입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ertical support frame is divided into a first vertical support frame and a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frame is bent to the ground to form a step portion, and at one side of the step portion, And a rotary support portion having a hinge shaft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frame, and a seat support suppor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so as to be seated and supported by a step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frame, And a hinge hole is formed in the hinge shaft so as to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hinge shaft.

또한, 상기 제2수직지지프레임의 일측 외주측면에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부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이동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롤러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보온권취롤러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guide groov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and a moving roll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groove por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portion. .

또한, 상기 온실하우스의 내설저장공간부 상부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설치되어 회동하는 보온권취롤러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온권취롤러부의 일측단에는 상기 보온권취롤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터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control motor for controlling the warm-up take-up roller un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warm-up take-up roller unit, .

또한, 상기 식재 트레이의 내부바닥면에는 경사면을 조절하는 튜브경사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tray may further include a tube inclination part for adjusting the inclined surface.

또한, 상기 식재 트레이의 외주바닥면에는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구 및 열을 발산하는 램프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water jet opening for spraying water and a lamp for radiating heat are installed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tra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는 미니 다육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하는 트레이를 지면에 내설 또는 식재 트레이의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어 하우스 난방을 위한 면적을 줄여 난방효율을 증대시킴과 다육식물 출하시 용이하게 출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식재된 식재 트레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어 통풍 및 온도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mini succulent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by reducing the area for house heating because the height of the trays for cultivating and cultivating mini succulent plants can be changed on the ground or the planting tray can be chang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shipped easily at the time of shipment of succulent plants,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each of the planted food trays so that the ventilation and temperature can be easily controlled.

도 1은 종래의 비닐하우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를 나타낸 측단단면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를 나타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a는 본 발명의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b는 도 6a에 대한 평면도.
도 7a, 7b는 도 6a에 대한 작동 실시예.
도 8은 도 6a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식재 트레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식재 트레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inyl hous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mini succulent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mini succulent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B is a side elevational sectional view showing a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mini succulent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and 4B are views showing a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mini succulent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nother embodiment of a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mini succulent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plan view of Figure 6a.
Figures 7a and 7b show an operational embodiment of Figure 6a.
Figure 8 is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6a.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mini succulent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planting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planting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2 내지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1)는 지면에 고정프레임(12)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2)의 외주면에는 유리 또는 비닐이 설치되며 내부 지면바닥면에는 내설저장공간부(14)가 형성된 온실하우스(10)와 상기 온실하우스(10)의 내설저장공간부(14) 내측 지면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가이드 나사부(22)가 형성된 수직지지프레임(20)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의 가이드 나사부(22)에 맞물려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는 이동롤러(32)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이동롤러(32)를 제어하는 제어모터(34) 및 미니 다육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식재공간부(36)가 형성된 식재 트레이(3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2 to FIG. 3, a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1 for a mini sucker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ationary frame 12 on the ground, and glass or vinyl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ionary frame 12 A greenhousing house 10 having a built-in storage space 14 form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floor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greenhousing 10 of the greenhouse 10, A moving roller 3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supporting frame 20 in which the upper supporting frame 20 is formed and the guide screw 22 of the vertical supporting frame 20 so as to move up and down, And a planting tray 30 in which a planting space 36 is formed so that mini-succulent plants can be plant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1)는 지면에 고정프레임(12)을 사각 또는 타원형으로 지지하며 외주에는 유리 또는 비닐이 설치된 온실하우스(10)를 형성하되 상기 온실하우스(10) 지면 바닥 내부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내설저장공간부(14)가 이루어진다. In the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1 for a mini succulent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eenhouse 10 having a rectangular or elliptical shape is supported on a surface of a fixed frame 12 and glass or vinyl is installed around the greenhouse 10, )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ground.

상기와 같은 온실하우스(10)의 내설저장공간부(14)는 최소한 상기 식재 트레이(30)가 내설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recessed storage space 14 of the greenhouses 10 is formed so that the planting tray 30 can be installed at least.

즉, 상기 식재 트레이(30)를 상기 온실하우스(10)의 내설저장공간부(14)에 내설시 지열에 의한 보온효과와 난방 면적을 낮추어 난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when the planting tray 30 is placed in the recessed storage space 14 of the greenhouse 10, the heating effect by the geothermal heat and the heating area can be lowered, thereby reducing the heating cost.

이와 같이 상기 온실하우스(10)의 내부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내설저장공간부(14) 내측에 최소 4개의 수직지지프레임(20)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설치하되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의 전체 길이 중 1/3 정도는 상기 온실하우스(10)의 내설저장공간부(14)에 내설되고 2/3 정도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식재 트레이(30)는 동절기에 상기 온실하우스(10)의 내설저장공간부(14)에 내설되어 난방비용을 절감하고, 하절기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통풍하므로써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In this way, at least four vertical support frames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recessed storage space portion 14 formed inside the greenhouse 10 in a predetermined size, Of the entire length of the greenhouse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about 2/3 of the total length of the greenhouses 10, 10 to reduce the heating cost, and in the summer, the temperature is easily controlled by venting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이 상기 식재 트레이(30)를 상기 온실하우스(10)의 내설저장공간부(14)에 내설 및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의 일측면은 가이드 나사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식재 트레이(30)의 양측면에는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의 가이드 나사부(22)에 맞물리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이동롤러(32)가 설치되며 상기 식재 트레이(30)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롤러(32)를 구동제어할 수 있는 제어모터(3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planting tray 30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ssed storage space 14 of the greenhouse 10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guide roller 22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and a moving roller 32 having thread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anting tray 30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screw 22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30) is provided with a control motor (34) capable of driving and controlling the moving roller (32).

즉, 상기 식재 트레이(30)의 제어모터(34)에 의해 각각 식재 트레이(30)를 상, 하 조절하여 이동할 수 있어 하절기에 식재 트레이(30) 사이 통풍이 용이하여 식재 트레이(3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동절기에는 지면바닥면에 형성된 온실하우스(10)의 내설저장공간부(14)로 내설이 용이하여 난방시 지열로 인하여 난방면적 및 난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lanting tray 30 can be moved upward and downward by the control motor 34 of the planting tray 30 so that ventilation of the planting tray 30 is facilitated during the summer season, The temperature can be adjusted. In winter, the interior space of the greenhouses 10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und can be easily built up, and the heating area and heating cost can be reduced due to the geothermal heat.

또한, 상기 식재 트레이(30)에 내설되는 다육식물을 식재 및 출하시 작업자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이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succulent plant placed in the planting tray 3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or during planting and shipment,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increased.

이와 같이 상기 식재 트레이(30)가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에 상, 하로 이동시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어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의 가이드 나사부(22)가 형성된 타측에는 삽입홈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24)의 상부에 힌지축(26)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26)에 삽입되어 회전하여 지지되도록 일측면에 힌지공(44)이 형성되는 회전지지바(42)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planting tray 30 moves up and down on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the planting tray 30 may be detached from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to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5, an insertion groove 2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where the guide thread 22 is formed, and a hinge shaft 26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24 And a rotation support bar 42 having a hinge hole 44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be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26 so as to be rotatably supported.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온실하우스(10)의 내부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내설저장공간부(14) 내측 모서리에 설치된 수직지지프레임(20)이 상기 내설저장공간부(14)에 2/3 정도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있어 동절기에 상기 식재 트레이(30)를 상기 온실하우스(10)의 내설저장공간부(14)에 내설시 난방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덮개를 덮을 때 상부로 돌출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으로 인하여 용이하지 못한 것을 방지하고자 도 6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0)은 제1수직지지프레임(27)과 제2수직지지프레임(28)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1수직지지프레임(27)의 상부는 지면으로 절곡되어 안착할 수 있도록 단턱부(27-3)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27-3)의 일측에는 중심부에 힌지축(27-4)이 형성된 회전홈부(27-5)가 구비되며 상기 제2수직지지프레임(28)의 하부에는 상기 제1수직지지프레임(27)의 단턱부(27-3)에 안착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안착지지대(28-3)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수직지지프레임(27)의 회전홈부(27-5)에 형성된 힌지축(27-4)에 삽입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공(28-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installed at the inner corner of the internal space 14 formed inside the greenhouse 10 has a size of about 2/3 in the internal space 14 Which is protruded upward when the lid is covered to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when the planting tray 30 is installed in the recessed storage space 14 of the greenhouse 10 in the winter season, 6A and 6B, the vertical support frame 20 is divided into a first vertical support frame 27 and a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28,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frame 27 is formed with a step 27-3 so that it can be folded and grounded on the ground. A hinge shaft 27-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ep 27-3, Is provided with the rotation groove portion (27-5) formed with the second vertical support A seat support 28-3 is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frame 27 so as to be seated on the step 27-3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frame 27, The hinge shaft 28-4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and coupled with the hinge shaft 27-4 formed in the rotary groove 27-5 of the hinge shaft 27. [

즉, 도 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지지프레임(27)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나사부(27-2)와 제2수직지지프레임(28)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나사부(28-2)에 맞물려 상, 하 이동하는 식재 트레이(30)가 지면의 내설저장공간부(14)로 내설시 상기 제1수직지지프레임(27)의 힌지축(27-4)에 삽입된 상기 제2수직지지프레임(28)의 힌지공(28-4)이 회전되어 상기 제2수직지지프레임(28)이 지면의 내설저장공간부(14)로 회전되어 상기 제2수직지지프레임(28)의 상부에 보온을 할 수 있는 보온재를 용이하게 덮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7A and 7B, a guide thread 27-2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frame 27 and a guide thread 28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28 2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27-4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frame 27 when the food preparation tray 30 is moved into the recessed storage space part 14 of the paper, The hinge hole 28-4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28 is rotated so that the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28 is rotated into the recessed storage space portion 14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capable of inserting the upper portion can be easily covered.

상기 제1수직지지프레임(27)의 단턱부(27-3)에는 볼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지지프레임(28)의 안착지지대(28-3)에는 결합너트가 구비되어 더욱더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수직지지프레임(28)이 지면의 내설저장공간부(14)로 회전시 내부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수직지지프레임(28)의 일측끝단 가이드 나사부(28-2) 하부면에 별도의 지지파이프 및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bolt is formed on the step portion 27-3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frame 27 and a fitting nut is provided on the support support 28-3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28 to be further supported and fixed And the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28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28 so as to prevent and support the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28 from being rotated inward when the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28 rotates to the recessed storage space part 14 of the paper. It is preferable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aded portion 28-2 by using a separate support pipe and a wire rope.

상기와 같이 상기 식재 트레이(30) 지면의 내설저장공간부(14)로 내설하여 상부에 보온재를 덮을 때, 보다 용이하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직지지프레임(28)의 일측 외주측면에는 가이드 홈부(28-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부(28-6)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이동롤러(52)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롤러(52)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보온권취롤러부(5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8, wh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placed in the recessed storage space part 14 of the food preparation tray 30 as described above, A guide groove portion 28-6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a moving roller 5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groove portion 28-6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portion 28-6 and is connected to the moving roller 52,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ectrode 50 and the second electrode 50 are provided.

상기 온실하우스(10) 지면의 내설저장공간부(14)는 이물질 유입과 작업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실하우스(10)의 내설저장공간부(14) 상부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설치되어 회동하는 보온권취롤러부(62)가 구비되며 상기 보온권취롤러부(62)의 일측단에는 상기 보온권취롤러부(62)를 제어하는 제어모터(6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9, in order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and the fall of the worker, the internal space 14 of the greenhouse 1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terior space 14 of the greenhouses 10 A control motor 64 for controlling the take-up winding roller unit 62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eat-take-up roller unit 62 .

즉, 상기 온실하우스(10) 지면의 내설저장공간부(14) 상부 외주면에 서로 연결된 보온권취롤러부(62)와 제어모터(64)가 설치되므로써 상기 온실하우스(10)의 내설저장공간부(14)로 이물질 및 작업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온실하우스(10)의 내설저장공간부(14)로 상기 식재 트레이(30)를 내설시 상기 보온권취롤러부(62)에 형성되는 보온재가 상기 온실하우스(10)의 내설저장공간부(14) 외벽으로 따라 이동되므로써 상기 온실하우스(10) 내설저장공간부(14)의 난방효율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o say, since the warming-up roller portion 62 and the control motor 64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space 14 of the greenhousing 10 ar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greenhouse 10, The heat insulation roller unit 62 may prevent the foreign material and the operator from falling down by the heat insulating roller unit 14 when the planting tray 30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14 of the greenhouses 10,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space 14 for storing the greenhouses 10 can be further increased by being moved along the outer wall of the recessed storage space 14 of the greenhouses 10.

상기 식재 트레이(30)에 식재된 다육식물을 출하시, 보다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 트레이(30)의 내부바닥면에는 경사면을 조절하는 튜브경사부(70)가 설치되어 상기 식재 트레이(30)에 식재된 다육식물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출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tray 30 is provided with a tube slope portion 70 (see FIG. 10) for adjusting the slope of the planting tray 30, ) Is installed in the planting tray 30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ship the succulent plant planted in the planting tray 30.

이와 같이 식재 트레이(30)의 외주바닥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 트레이(30)에 식재된 다육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물 분사부(37) 및 난방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열을 발산하는 램프(38)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11, on the outer peripheral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tray 30, a water spraying section 37 for supplying water to the succulent plants planted in the planting tray 30, It is preferable that a lamp 38 is provided.

즉, 상기 식재 트레이(30)에 식재된 다육식물에 외부로부터 물을 분사시 하우스(10)의 내설저장공간부(14)로 물이 유입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식재 트레이(30)의 내부 공간과 대응되는 상기 식재 트레이(30)의 외주바닥면에 물을 공급하는 물 분사부(37)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at is, when water is sprayed from the outside onto the succulent plant planted in the planting tray 30, water may flow into the planting storage space 14 of the house 10, It is most preferable that a water spraying part 37 for supplying water to the outer peripheral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tray 30 corresponding to the space is formed.

또한, 상기 식재 트레이(30)에 열을 발산하는 램프(38)를 설치하므로서 난방효율이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heat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installing the lamp 38 for radiating heat to the planting tray 30.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는 미니 다육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하는 트레이를 지면에 내설 또는 식재 트레이의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어 하우스 난방을 위한 면적을 줄여 난방효율을 증대시킴과 다육식물을 출하시 용이하게 출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식재된 식재 트레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어 통풍이 용이하여 온도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mini succulent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by reducing the area for house heating because the tray for planting and cultivating mini succulent plants can be changed in height or height of the tray And succulent plants can be easily shipped at the time of shipment, and the planted food trays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so that the ventilation is easy and the temperature can be easily controlled.

1 :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
10 : 온실하우스 12 : 고정프레임
14 : 내설저장공간부
20 : 수직지지프레임 22 : 가이드 나사부
26 : 힌지축 27 : 제1수직지지프레임
27-3 : 단턱부 27-2 : 나사부
27-4 : 힌지축 27-5 : 회전홈부
28 : 제2수직지지프레임 28-2 : 나사부
28-3 : 안착지지대 28-4 : 힌지공
30 : 식재 트레이 32 : 이동롤러
34 : 제어모터 36 : 식재공간부
37 : 물 분사부 38 : 램프
42 : 회전지지바 44 : 힌지공
50,62 : 보온권취롤러부 52 : 이동롤러
64 : 제어모터
70 : 튜브경사부
1: Greenhouse cultivation equipment for mini succulent plants
10: Greenhouse House 12: Fixed frame
14:
20: vertical support frame 22: guide thread
26: Hinge shaft 27: First vertical support frame
27-3: step portion 27-2: thread portion
27-4: Hinge shaft 27-5:
28: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28-2:
28-3: seat support 28-4: hinge ball
30: Planting tray 32: Moving roller
34: control motor 36: planting space
37: Water sprayer 38: Lamp
42: rotation support bar 44: hinge ball
50, 62: a warming-up take-up roller section 52:
64: Control motor
70: Tube inclination

Claims (7)

지면에 고정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주면에는 유리 또는 비닐이 설치되며 내부 지면바닥면에는 내설저장공간부가 형성된 온실하우스와;
상기 온실하우스의 내설저장공간부 내측 지면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가이드 나사부가 형성된 수직지지프레임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의 가이드 나사부에 맞물려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는 이동롤러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이동롤러를 제어하는 제어모터 및 미니 다육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식재공간부가 형성된 식재 트레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
A greenhouse provided with a fixed frame on the ground, glass or viny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and a built-in storage space on the bottom of the ground;
A vertical support frame suppor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greenhouses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guide threads on one side thereof;
A control motor for controlling the moving rollers, and a planting tray having a planting space part for planting mini succulent plan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thereof so as to be abl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by engaging with the guide threaded parts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Features a greenhouse cultivation system for mini succulent pla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의 나사부가 형성된 타측면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의 상부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어 회전지지되도록 일측면에 힌지공이 형성되는 회전지지바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roove is formed i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where the screw is formed and a hinge shaft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roove and a rotation support bar is formed at a side of the hinge shaft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A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mini succulent pla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은 제1수직지지프레임과 제2수직지지프레임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1수직지지프레임의 상부는 지면으로 절곡되어 안착할 수 있도록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의 일측에는 중심부에 힌지축이 형성된 회전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수직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제1수직지지프레임의 단턱부에 안착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안착지지대이 구비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수직지지프레임의 회전홈부에 형성된 힌지축에 삽입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support frame is divided into a first vertical support frame and a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frame is folded to the ground to form a step, and a hinge shaft The first vertical supporting frame is provided with a rotary groove formed t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ing frame is provided with a seating support so as to be seated and supported on a step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ing frame. And a hinge hole is formed on the shaft so as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haf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지지프레임의 일측 외주측면에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부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이동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롤러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보온권취롤러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guide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 frame, and a guide roll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guiding groove, Greenhouse cultivation equipment for mini succulent pla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하우스의 내설저장공간부 상부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설치되어 회동하는 보온권취롤러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온권취롤러부의 일측단에는 상기 보온권취롤러부를 제어하는 제어모터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 motor for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heat insulating take-up roller un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eat-insulating take-up roller unit, A greenhouse cultivation apparatus for mini succulent pla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 트레이의 내부바닥면에는 경사면을 조절하는 튜브경사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tray further comprises a tube inclination part for adjusting the incline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 트레이의 외주바닥면에는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구 및 열을 발산하는 램프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다육식물용 온실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ater jet opening for spraying water and a lamp for emitting heat are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tray.
KR1020160084275A 2016-07-04 2016-07-04 Planting apparatus of heating for mini succulent plant in a greenhouse KR201800045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275A KR20180004556A (en) 2016-07-04 2016-07-04 Planting apparatus of heating for mini succulent plant in a green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275A KR20180004556A (en) 2016-07-04 2016-07-04 Planting apparatus of heating for mini succulent plant in a greenho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556A true KR20180004556A (en) 2018-01-12

Family

ID=6100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275A KR20180004556A (en) 2016-07-04 2016-07-04 Planting apparatus of heating for mini succulent plant in a green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455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5537A (en) * 2021-11-04 2022-01-04 华南农业大学 Method for promoting branches of cajuput trees by high-temperature treatment
CN116784134A (en) * 2023-08-07 2023-09-22 盈江县盈乐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Novel warmhouse booth struc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5537A (en) * 2021-11-04 2022-01-04 华南农业大学 Method for promoting branches of cajuput trees by high-temperature treatment
CN113875537B (en) * 2021-11-04 2022-05-13 华南农业大学 Method for promoting branches of cajuput trees by high-temperature treatment
CN116784134A (en) * 2023-08-07 2023-09-22 盈江县盈乐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Novel warmhouse booth structure
CN116784134B (en) * 2023-08-07 2024-03-15 盈江县盈乐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Warmhouse booth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0398B2 (en) Configurable modular hydroponics system and method
CA2777694C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5224895B2 (en) House for plant cultivation
JP5218777B2 (en) Rack for plant cultivation
KR100797799B1 (en) Apparatus opening and closing skylight of greenhouse
US9854751B2 (en) Greenhouse and method for cooling same
KR101927620B1 (en) Plant factory type Greenhouse
JP5595452B2 (en) House for plant cultivation
KR20180004556A (en) Planting apparatus of heating for mini succulent plant in a greenhouse
KR20160116070A (en) mushroom growing house
KR101305406B1 (en) Vinyl greenhouse for rooftop
KR101709680B1 (en) plant factory system arranged inside window with solar cell
KR101284568B1 (en) A greenhouse for crop cultivation
KR20180104848A (en) Seedling cultivation house
WO2020157351A1 (en) Device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and/or mushrooms
CN205431264U (en) Solar energy plant factory greenhouse
KR20220072913A (en) Greenhouse for hydroponic spray cultivation stacked in vertical multilayers
KR20140135395A (en) mushroom growing appraratus and mushroom growing house using the same
JP6692067B2 (en) Agricultural temperature control system, agricultural house
KR20200143619A (en) Plant cultivation system
KR20230135824A (en) Container type plants cultivation system
JPS6374429A (en) Hydroponic facilities for leaf vegetables
RU225205U1 (en) DEVICE FOR GROWING GARDEN PLANTS
CN210840889U (en) Greenhouse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t control
RU2787699C1 (en) Indoor green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