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465A -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465A
KR20180004465A KR1020160084038A KR20160084038A KR20180004465A KR 20180004465 A KR20180004465 A KR 20180004465A KR 1020160084038 A KR1020160084038 A KR 1020160084038A KR 20160084038 A KR20160084038 A KR 20160084038A KR 20180004465 A KR20180004465 A KR 20180004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float
water tank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미
Original Assignee
이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미 filed Critical 이경미
Priority to KR102016008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4465A/ko
Publication of KR20180004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감지 및 표시하고, 그에 따라 물의 공급과 차단을 하는 수위감지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수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내부 상측에 결합되며, 상단에는 결합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대의 하단으로는 2개의 지지대가 서로 이격되도록 길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 끝에는 걸림대가 구비되는 가이드대; 상기 가이드대의 상단부측에 결합되어 수조 내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는 리니어홀센서; 상기 가이드대의 지지대가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외측을 감싸며 상하 이동하는 부력체의 플로우트; 및 상기 플로우트의 가이드공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플로우트와 일체로 상하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수조의 물 수위를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감지함으로써 현재 수위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고장의 염려가 적으며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감지장치{Water Level S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조의 수위에 따라 물의 공급과 차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수위조절장치에서 수위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감지 및 표시하고, 그에 따라 물의 공급과 차단을 하는 수위감지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산업의 발달과 경제 성장에 따라서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수위조절 장치의 사용도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공업용 냉각수 저수조의 수위를 조절하거나, 오폐수의 정화를 위한 정화조의 수위를 조절하거나, 또는 가정용 물탱크, 양변기, 정수기 등에서도 수조 내의 물의 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해 수위조절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위조절장치는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이 채용되고 있는데, 예를들면, 전극봉 방식, 오뚜기볼 방식 플롯 방식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일명 리드 스위치(REED SWITCH) 방식이 있는데, 이 방식은 파이프 속에 리드 스위치를 넣고 외부 파이프를 관통시키는 볼(BALL) 속에 영구 자석을 넣어서 수위에 따라서 볼의 위치가 이동할 때 리드 스위치를 온/오프 시켜서 수조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 수위 조절 장치는 최하 수위가 되는 경우 및 최상의 수위가 되는 경우에만 작동을 하여 물의 공급과 차단만을 하게 되어 현재 수조의 수위 상태를 정확하기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또한, 수위 조절 장치의 리드 스위치는 소모품으로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고장이 발생하게 되고 외부 충격에도 약해 내구성이 양호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리드 스위치 등이 고장이 나게 되어 물의 수위와 상관없이 수조 내로 물이 계속해서 유입되거나 반대로 물이 전혀 없는데도 물이 유입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서, 수조의 물 수위를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감지하여 현재 수위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수위감지장치의 수위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고장의 염려가 적으며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인 수위감지장치의 수위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내부 상측에 결합되며, 상단에는 결합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대의 하단으로는 2개의 지지대가 서로 이격되도록 길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 끝에는 걸림대가 구비되는 가이드대; 상기 가이드대의 상단부측에 결합되어 수조 내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는 리니어홀센서; 상기 가이드대의 지지대가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외측을 감싸며 상하 이동하는 부력체의 플로우트; 및 상기 플로우트의 가이드공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플로우트와 일체로 상하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플로우트의 가이드공 중앙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중앙지지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조의 물 수위를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감지함으로써 현재 수위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고장의 염려가 적으며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장치의 중도부를 상하로 절개한 상태의 개념적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장치의 중도부를 상하로 절개하여 분해한 상태의 개념적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장치를 하단부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상태의 개념적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감지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개념적인 예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수위감지장치는(100) 수조 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조의 내부 상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대(110)와 가이드대(110) 상부측에 구비되는 리니어홀센서(120) 및 부력체의 플로우트(130), 그리고 자성체(140)를 포함하여 구성 가능하다.
여기서, 가이드대(110)는 수조 내부의 상단에 고정되어 수조 내부의 바닥면에 근접하도록 길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단에는 나사가 형성된 결합대(112)가 구비되고, 결합대(112)의 하단에는 가는 폭의 2개의 지지대(114)가 서로 이격되어 하단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지지대(114)의 하단에는 2개의 지지대(114)를 연결하는 걸림대(116)가 구비된다.
여기서, 리니어홀센서(120)는 가이드대(110)의 상단부측, 즉 결합대(112)에 결합되어 수조 내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리니어홀센서(120)는 그 자체로 결합대(112)에 결합 구성될 수도 있으나, PCB 보드에 결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선에 의해 리니어홀센서(120)에 전원이 공급되고, 감지된 데이터값에 값에 의해 물공급밸브(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등의 제어를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리이어홀센서(120)가 결합대(112) 내부에 매립 구성된다.
여기서, 플로우트(130)는 부력을 가지는 부력체로서, 가이드대(110)의 지지대(114)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하 자유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 중앙부에는 가이드공(132)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자성체(140)는 자성을 가지는 마그네틱으로서, 플로우트(130)의 가이드공(132)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플로우트(130)와 일체로 상하 이동한다. 이를 위해 플로우트(130)의 가이드공(132) 중앙부 사이를 중앙지지대(134)가 가로질러 구비되고, 중앙지지대(134)에 의해 자성체(140)가 지지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위감지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위감지장치(100)는 플로우트(130)의 가이드공(132)에 가이드대(110)의 지지대(114)가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며, 플로우트(130)는 지지대(114)의 최하단 걸림대(116)에 걸린 상태로 위치한다.
이때, 플로우트(130)에 결합된 자성체(140)는 가이드대(110)의 상부 결합대(112)에 구비된 리니어홀센서(120)와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리니어홀센서(120)에서 감지되는 자속 데이타값은 '0'이 된다.
그리고, 별도의 제어에 의해 수조에 점차 물이 채워지게 되면, 점차 플로우트(130)가 부력에 의해 가이드대(110)의 지지대(114)를 타고 상승하게 된다. 이때, 플로우트 중앙의 중앙지지대(134)에 결합된 자성체(140)도 일체로 상승하게 되며, 리니어홀센서(120)와 자성체(140)의 사이가 점차 가까워지면서 리니어홀센서(120)에서 읽어 들이는 자속 제이터값도 점차 변하게 된다.
즉, 플로우트(130)가 가이드대(110)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리니어홀센서(120)에 전달되는 자속 데이타값이 '0'인데 반하여, 플로우트(130)가 부력에 의해 점차 상승하면서 자성체(140)와 리니어홀센서(120) 사이가 가까워지면서 자속 데이터값도 점차 커지면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리니어홀센서(120)에서 감지하여 전달되는 자속의 데이터값을 AD Converter에서 0 ~ +5V 이내의 전압값으로 출력하게 되며, 이를 그대로 0 ~ 5의 값으로 수위를 표현할 수도 있으나, 자성체(140)가 가이드대(110)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수위값을 '0'으로 표시하고, 이후 자성체(140)가 점차 상승하면서 가이드대(11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수위값을 '100'으로 표시되도록 수위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타값은 AD Converter에서 8bit의 분해능으로 표현하여 256개의 데이타값으로 구분한 후 각각의 데이타값에 맞는 수위로 표현을 하게 된다. 즉, 데이타값이 '00000000'이면 수위를 '0'으로 표시하고, '10000000'이면 수위가 '50'이 되도록 표시하며, '11111111'이면 수위가 '100'이라고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위감지장치는 설정값 최하의 수위부터 최상의 수위까지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감지 및 표현이 되므로, 수위의 현재 상태를 식별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조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가 수위조절장치에 미리 설정한 최저 수위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수조 내에 물을 채우도록 하고, 최상 수위 설정값이 되면 자동으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위감지장치는 가습기, 비데 등에 사용하는 경우 수조의 바닥면에 뒤집어진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플로우트(130)가 상승한 상태이면 만수위로 표시되고, 플로우트(130)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저수위로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감지장치(100)는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수위를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체크 및 표현함으로써, 현재 수위를 정확하게 판단, 감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제조원가의 절감과 제품의 수명 연장 및 유지비용의 절감 등 경제적인 효과가 큰 장점이 있다.
100 : 수위감지장치 110 : 가이드대
112 : 결합대 114 : 지지대
116 : 걸림대 120 : 리니어홀센서
130 : 플로우트 140 : 자성체

Claims (2)

  1. 수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내부 상측에 결합되며, 상단에는 결합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대의 하단으로는 2개의 지지대가 서로 이격되도록 길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 끝에는 걸림대가 구비되는 가이드대;
    상기 가이드대의 상단부측에 결합되어 수조 내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는 리니어홀센서;
    상기 가이드대의 지지대가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외측을 감싸며 상하 이동하는 부력체의 플로우트; 및
    상기 플로우트의 가이드공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플로우트와 일체로 상하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플로우트의 가이드공 중앙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중앙지지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감지장치.
KR1020160084038A 2016-07-04 2016-07-04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감지장치 KR20180004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38A KR20180004465A (ko) 2016-07-04 2016-07-04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38A KR20180004465A (ko) 2016-07-04 2016-07-04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465A true KR20180004465A (ko) 2018-01-12

Family

ID=6100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038A KR20180004465A (ko) 2016-07-04 2016-07-04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44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1016A (zh) * 2019-04-15 2020-10-2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水箱的水位检测装置、蒸箱以及蒸箱的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1016A (zh) * 2019-04-15 2020-10-2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水箱的水位检测装置、蒸箱以及蒸箱的控制方法
CN111831016B (zh) * 2019-04-15 2021-12-0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蒸箱以及蒸箱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983B1 (ko) 플로트 위치 센서
CN203523560U (zh) 一种鱼缸自动换水水位控制器
KR101123157B1 (ko) 플로트 레벨센서를 이용한 수위감지장치
CN108279058A (zh) 水箱组件和电器设备
KR20180004465A (ko)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감지장치
JP7031050B2 (ja) 流速流向計
CN207582578U (zh) 给水控制系统及给水系统
CN208026357U (zh) 水箱组件和电器设备
CN103472248B (zh) 电磁流速仪定位装置及定位方法
KR20150004237U (ko)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감지장치
CN105236045A (zh) 液位开关和液位控制装置
JP2009168639A (ja) 濃度検知装置
CN204116972U (zh) 一种水位自动控制装置
CN203749195U (zh) 净饮机
KR101821019B1 (ko) 욕조 시스템
KR100408162B1 (ko) 다기능 수질 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CN205582817U (zh) 一种浮球感应器
CN104771069A (zh) 净饮机
CN207663987U (zh) 一种di纯水站供水控制装置
CN204439177U (zh) 具有止位机构的液位报警装置
KR20240060973A (ko) Mr센서를 이용한 액체레벨 측정장치
JP5247403B2 (ja) 流体の流量異常検出装置
CN112304013A (zh) 储水装置、制冷设备及冰箱
CN204128550U (zh) 一种固体摆电感式水平检测传感器
JP2019174258A (ja) 液面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