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405A -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405A
KR20180004405A KR1020160060511A KR20160060511A KR20180004405A KR 20180004405 A KR20180004405 A KR 20180004405A KR 1020160060511 A KR1020160060511 A KR 1020160060511A KR 20160060511 A KR20160060511 A KR 20160060511A KR 20180004405 A KR20180004405 A KR 20180004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user
sensing
treadmil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4887B1 (ko
Inventor
설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중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중아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중아이에스
Priority to KR1020160060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887B1/ko
Priority to US15/213,924 priority patent/US20170333751A1/en
Publication of KR20180004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 A63B22/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electrically, e.g. D.C. motors with variable speed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3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by performance parameters, e.g. distance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72Limiting the applied force, torque, movement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27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when used improperly, e.g. by giving a war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Visualisation of specific exercise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Visualisation of specific exercise parameters
    • A63B2071/0652Visualisation or indication relating to symmetrical exercise, e.g. right-left performance related to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4Frequency, e.g. of vibration osc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닝머신에서 운동 중인 사용자의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좌우밸런스상태를 알려주어, 사용자의 좌우 밸런스를 교정시켜 주도록 구현한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러닝머신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가 운동할 시에, 좌측과 우측의 진동의 크기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켜 전달하기 위한 두 개의 감지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좌우의 밸런스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알림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balance correcting system of running machine}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러닝머신에서 운동 중인 사용자의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좌우밸런스상태를 알려주어, 사용자의 좌우 밸런스를 교정시켜 주도록 구현한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현대사회는 생활이 윤택해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면서, 실내에서 간편하게 설치하여 운동할 수 있는 러닝머신(running machine)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러닝머신은 사용자가 제자리에서 자신에 적합한 속도로 원하는 시간만큼 걷거나 달리면서 심폐기능을 강화시키고 나아가 다리의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개발된 운동기구이다.
러닝머신은 프레임과, 프레임에 결합되는 러닝벨트와, 러닝벨트가 프레임에 대해 회전하여 순환되도록 러닝벨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구비한다. 여기서, 회전유닛은 프레임과 러닝벨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와, 롤러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프레임에는 러닝속도나 운동량 등이 표시되는 LCD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러닝벨트는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일방향 및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모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66540호(2003.08.09 공개)는 러닝머신에 적용된 광센서열에 의하여 주행벨트상에서 운동자의 위치를 정밀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동자의 위치가 바뀔 때마다 모터의 회전속도를 가감하는 것이 가능하여 운동자의 의지에 따라 자동으로 벨트 속도가 변화시켜 줄 수 있는 러닝머신에서 밸런스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러닝머신의 벨트 아래에 좌우측으로 여러 곳의 센서를 부착하고, 초기화면에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와, 러닝머신 시동 전에 좌우측으로 설치된 센서로 좌우측 체중을 측정 및 표시하여 어느 한쪽으로의 취우침을 판별하여 상태 및 그 데이터를 캐릭터 기능과 접목하여 LCD화면에 출력하는 단계(S2)와, 전력을 공급하여 러닝머신을 구동하면서(S3) 운동자의 좌우측 체중을 누적된 데이터로 수집하여 치우침의 정도를 계산하고 그래픽 화하여 운동중 밸런스 상태를 측정 및 표시하고(S4) 프로그램 단계별 종료시 밸런스 상태를 도식화하여(S5) 밸런스 상태에 따라 다마고치 기능 등을 캐릭터에 접목하여 운동지수, 밸런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러닝머신에서 벨트아래에 좌우측으로 밸런스 측정 장치인 센서를 부착하여 좌우측 체중을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캐릭터 기능 및 아바타와 다마고치 기능에 접목하여 LCD 화면에 밸런스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2-0013649호(2002.02.21 공개)는 러닝머신에 적용된 광센서열에 의하여 주행벨트상에서 운동자의 위치를 정밀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동자의 위치가 바뀔 때마다 모터의 회전속도를 가감하는 것이 가능하여 운동자의 의지에 따라 자동으로 벨트 속도가 변화할 수 있는 운동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러닝머신과 이 러닝머신에서의 속도/위치 적응형 제어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주행벨트의 진행 방향에 따라 좌우로 다수의 광센서가 배열되는데, 광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고, 주행벨트의 한쪽 측면에는 발광부가 배열되고 각 발광부와 대향하는 반대쪽 측면에는 수광부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러닝머신은 심전도 측정, 심박수 측정 등 여러 기능이 접목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러닝머신에서 운동하는 과정에서 좌측과 우측 밸런스의 정도를 판단하여 어느 한쪽의 치우침 없이 운동하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 바른 자세로 운동하는지를 판별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66540호 한국공개특허 제2002-001364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러닝머신에서 운동 중인 사용자의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좌우밸런스상태를 알려주어, 사용자의 좌우 밸런스를 교정시켜 주도록 구현한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러닝머신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가 운동할 시에, 좌측과 우측의 진동의 크기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켜 전달하기 위한 두 개의 감지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좌우의 밸런스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알림장치를 포함하는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알림장치는,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감지세기신호를 비교하여, 비교값에 따른 밸런스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밸런스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의 밸런스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알림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밸런스상태정보를 수신받아 밸런스상태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좌측감지세기신호와 우측감지세기신호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에 밸런스유지정보를 상기 알림부로 전송하고,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 밸런스차이정보를 상기 알림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밸런스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음성출력신호로 변환시켜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밸런스상태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출력신호로 변환시켜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알림장치는,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감지세기신호의 진폭과 파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측정부는, 감지세기신호에서 한 주기의 파장과 한 주기의 파장이 걸린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감지장치는, 사용자의 러닝속도와 러닝머신 벨트의 속도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러닝속도와 러닝머신 벨트의 속도가 동일하도록 러닝머신 벨트의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러닝머신에서 운동 중인 사용자의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좌우밸런스상태를 알려주어, 사용자의 좌우 밸런스를 교정시켜 주도록 구현한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한쪽의 치우침 없이 올바른 자세로 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자세 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알림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는 탈부착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10)은, 두 개의 감지장치(100), 알림장치(200)를 포함한다.
감지장치(100)는, 러닝머신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가 운동할 시에, 좌측과 우측의 진동의 크기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켜 알림장치(2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감지장치(100)는, 러닝머신 벨트 하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거나, 러닝머신 벨트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가 러닝머신에서 운동할 시에, 사용자의 운동(예를 들면, 걷는 운동, 뛰는 운동 등)에 의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지장치(100)는, 예를 들어 진동센서로서, 기계적인 구조물 및 운동체의 진동을 검출하는데, 센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센싱되어 진동을 검출할 수 있으며, 진동원 및 주파수에 따라 응용할 수 있는 센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센서는, 빠른 진동에 적합한 압전가속도방식 또는 느린 진동, 미약한 진동에 적합한 외팔보진동방식을 사용하여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지장치(100)는, 러닝머신에서 운동 중인 사용자 왼발의 진동을 감지하여 좌측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키며, 사용자 오른발의 진동을 감지하여 우측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지장치(100)는, 사용자의 러닝속도와 러닝머신 벨트의 속도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러닝속도와 러닝머신 벨트의 속도가 동일하도록 러닝머신 벨트의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지장치(100)는, 예를 들어, 러닝머신 벨트의 속도가 사용자의 러닝속도보다 빠를 경우에, 러닝머신 벨트의 속도를 자동으로 낮춰주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운동 중 운동피로로 인해 쓰러져 다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알림장치(200)는, 감지장치(100)로부터 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좌우의 밸런스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장치(200)는, 감지장치(100)로부터 좌측감지세기신호와 우측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좌측감지세기신호와 우측감지세기신호를 비교하여, 감지세기신호의 크기가 큰 방향으로 사용자가 기울어져서 운동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장치(200)는, 예를 들어, 감지장치(100)로부터 50(dB)의 좌측감지세기신호와 80(dB)의 우측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을 경우에, 우측감지세기신호가 좌측감지세기신호보다 크다고 판독하며, 이에 사용자가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운동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10)은, 감지장치(100)가 설치된 러닝머신에서 운동 중인 사용자의 진동을 감지하고 알림장치(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좌우밸런스상태를 알려주어, 사용자의 좌우 밸런스를 교정시켜 주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한쪽의 치우침 없이 올바른 자세로 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자세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알림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알림장치(200)는, 제어부(210), 알림부(22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감지장치(100)로부터 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감지세기신호를 비교하여, 비교값에 따른 밸런스상태정보를 알림부(220)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10)는, 좌측감지세기신호와 우측감지세기신호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에 밸런스유지정보를 알림부(220)로 전송하고,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 밸런스차이정보를 알림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10)는, 예를 들어 오차범위 값을 ±5(dB)로 지정하고, 감지장치(100)로부터 50(dB)의 좌측감지세기신호와 80(dB)의 우측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을 경우에, 좌측감지세기신호와 우측감지세기신호의 차이값이 -30(dB)로 오차범위 내에 속하지 않다고 판독하여, 밸런스차이정보를 알림부(2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감지장치(100)로부터 50(dB)의 좌측감지세기신호와 55(dB)의 우측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을 경우에, 좌측감지세기신호와 우측감지세기신호의 차이값이 -5(dB)로 오차범위 내에 속한다고 판독하여, 밸런스유지정보를 알림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알림부(220)는, 제어부(210)로부터 밸런스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의 밸런스상태를 알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220)는, 제어부(210)로부터 밸런스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음성출력신호로 변환시켜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220)는, 제어부(210)로부터 밸런스상태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출력신호로 변환시켜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LCD 모니터, 태블릿PC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220)는, 제어부(210)로부터 밸런스유지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밸런스유지정보를 화면신호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에 "좌우 밸런스 유지" 문구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초록색 경고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좌우 밸런스를 유지하며 운동하는 중임을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220)는, 제어부(210)로부터 밸런스유지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밸런스유지정보를 음성신호로 출력하여, 스피커를 통해 "좌우 밸런스 유지"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좌우 밸런스를 유지하며 운동하는 중임을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220)는, 제어부(210)로부터 밸런스차이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밸런스차이정보를 화면신호로 출력하여, 화면에 "좌측(또는, 왼발) 기울어짐" 또는 "우측(또는, 오른발) 기울어짐" 문구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빨간색 경고등을 좌측 또는 우측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좌우 밸런스가 유지되지 않고 운동하는 중임을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220)는, 제어부(210)로부터 밸런스차이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밸런스차이정보를 음성신호로 출력하여, 스피커를 통해 "좌측(또는, 왼발) 기울어짐" 또는 "우측(또는, 오른발) 기울어짐"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좌우 밸런스가 유지되지 않고 운동하는 중임을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220)는, 측정부로부터 운동상태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운동상태정보를 음성신호 또는 화면신호로 변경하여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장치(200)는, 제어부(210)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해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장치(200)는, 제어부(210)에서 기 설정된 오차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오차범위 값을 저장해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장치(200)는, 통신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제어부(210)로부터 밸런스상태정보를 수신받아 밸런스상태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230)는, 제어부(210)로부터 밸런스유지정보를 수신받아 밸런스유지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이동통신단말기는, 통신부(230)로부터 밸런스유지전송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밸런스유지전송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예를 들면, "좌우 밸런스 유지" 문구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230)는, 제어부(210)로부터 밸런스차이정보를 수신받아 밸런스차이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이동통신단말기는, 통신부(230)로부터 밸런스차이전송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밸런스차이전송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예를 들면, "좌측(또는, 왼발) 기울어짐" 또는 "우측(또는, 오른발) 기울어짐" 등과 같은 문구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230)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구동제어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키패드,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본인의 나이, 성별을 입력하면,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구동제어신호로 변경하여 통신부(230)로 전송시켜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장치(200)는, 측정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는, 감지장치(100)로부터 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감지세기신호의 진폭과 파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측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측정부는, 감지세기신호에서 한 주기의 파장과 한 주기의 파장이 걸린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예를 들면, 세게 걷는 상태, 가볍게 뛰는 상태, 천천히 걷는 상태, 천천히 달리는 상태 등과 같은 운동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정부는, 한 주기의 파장 대비 걸린 시간이 길 경우에, 사용자가 걷고 있는 상태라고 측정할 수 있고, 한 주기의 파장 대비 걸린 시간이 짧을 경우에, 사용자가 뛰고 있는 상태라고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정부는, 한 주기의 파장 대비 진폭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힘을 주어서 운동하거나 혹은 가볍게 운동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정부는, 측정된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운동상태정보로 저장하고, 해당 저장한 운동상태정보를 알림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알림장치(200)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통신부(230)로 전송하고, 통신부(230)가 해당 구동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210)로 전송하며, 제어부(210)가 해당 구동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러닝머신으로 전송하여, 러닝머신의 제어장치가 구동제어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구동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운동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장치(200)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30대/남성 정보에 대응하는 구동제어신호를 통신부(230)로 전송하고, 통신부(230)가 해당 구동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210)로 전송하며, 제어부(210)가 해당 구동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러닝머신으로 전송하여, 러닝머신의 제어장치가 30대/남성 정보에 대응하는 운동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10)은, 두 개의 감지장치(100), 알림장치(200), 두 개의 감지보조장치(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감지장치(100), 알림장치(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감지보조장치(300)는, 감지장치(100)의 좌측과 우측 각각 고정 설치되어, 사용자가 운동할 시에, 진동의 크기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켜 알림장치(2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감지보조장치(300)는, 감지장치(100)의 좌측과 우측 각각 고정 설치되고, 감지장치(100)와 함께 러닝머신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자가 운동할 시에, 사용자의 발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침에 의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지보조장치(300)는, 예를 들어 진동센서로서, 기계적인 구조물 및 운동체의 진동을 검출하는데, 센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센싱되어 진동을 검출할 수 있으며, 진동원 및 주파수에 따라 응용할 수 있는 센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센서는, 빠른 진동에 적합한 압전가속도방식 또는 느린 진동, 미약한 진동에 적합한 외팔보진동방식을 사용하여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지보조장치(300)는, 러닝머신에서 운동 중인 사용자의 왼발 또는 오른발의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장치(100)에서 감지한 진동의 세기보다 큰 경우에, 좌측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키거나 우측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감지보조장치(300)는, 사용자의 왼발 또는 오른발이 왼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 좌측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좌측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알림장치(200)로 전달하며, 사용자의 왼발 또는 오른발이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 우측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우측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알림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지보조장치(300)는,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와 같이 발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감지장치(100)의 좌측과 우측 각각 고정 설치되어, 사용자가 운동할 시에, 사용자의 발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침에 의한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지보조장치(300)는, 러닝머신에서 운동 중인 사용자의 왼발 또는 오른발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좌측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키거나 우측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감지보조장치(300)는, 사용자의 왼발 또는 오른발이 왼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 좌측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좌측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알림장치(200)로 전달하며, 사용자의 왼발 또는 오른발이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 우측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우측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알림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지보조장치(300)는, 사용자의 왼발과 오른발이 모두 좌우밸런스가 맞지 않는 경우에, 좌측치우침감지세기신호와 우측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동시에 생성시켜, 알림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알림장치(200)는, 감지보조장치(300)로부터 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좌우의 밸런스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장치(200)는, 감지보조장치(300)로부터 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변경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장치(200)는, 감지보조장치(300)로부터 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변경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장치(200)는, 감지보조장치(300)로부터 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치우침감지세기신호를 화면신호로 변경하여, 해당 화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왼발 좌측 치우침" 또는 "오른발 좌측 치우침"등의 문구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좌우 밸런스가 유지되지 않고 운동하는 중임을 알려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10)은, 두 개의 감지장치(100), 알림장치(200), 탈부착장치(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감지장치(100), 알림장치(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탈부착장치(400)는, 일측이 러닝머신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감지장치(100)를 고정 설치하여, 감지장치(100)를 러닝머신에 탈부착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장치(400)는, 러닝머신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장치(400)는, 다른 일측에 감지장치(100)와 감지보조장치(300)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장치(400)는, 러닝머신의 일측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기존의 러닝머신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있는 탈부착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탈부착장치(400)는, 설치부(410), 탈부착부(420)를 포함한다.
설치부(410)는, 하부면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일측이 러닝머신에 고정 설치되며, 다른 일측이 감지장치(100)를 고정 설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설치부(410)는,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이 러닝머신에 삽입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설치부(410)는, 관통홀의 내부면을 암나사로 형성하여, 하부가 수나사로 형성된 탈부착부(420)와 체결할 수 있다.
탈부착부(420)는, 설치부(410)의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관통홀과 체결하거나 관통홀과의 체결을 해제하여 감지장치(100)를 러닝머신에서 탈부착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420)는, 설치부(410)의 관통홀과 체결하기 위해 하부를 수나사로 형성하며, 상부를 손잡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정방향 회전시켜 줌으로써, 설치부(410)의 관통홀과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가 체결하여, 설치부(410)를 러닝머신에 부착시켜 주도록 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탈부착부(420)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역방향 회전시켜 줌으로써, 설치부(410)의 관통홀과 체결된 수나사를 상부방향으로 올려주어, 러닝머신에 고정 설치된 설치부(410)를 탈착시켜 주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100: 감지장치
200: 알림장치
210: 제어부
220: 알림부
230: 통신부
300: 감지보조장치
400: 탈부착장치
410: 설치부
420: 탈부착부

Claims (10)

  1. 러닝머신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가 운동할 시에, 좌측과 우측의 진동의 크기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감지세기신호를 생성시켜 전달하기 위한 두 개의 감지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좌우의 밸런스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알림장치를 포함하는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장치는,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감지세기신호를 비교하여, 비교값에 따른 밸런스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밸런스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의 밸런스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밸런스상태정보를 수신받아 밸런스상태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좌측감지세기신호와 우측감지세기신호의 차이값이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에 밸런스유지정보를 상기 알림부로 전송하고,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 밸런스차이정보를 상기 알림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밸런스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음성출력신호로 변환시켜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밸런스상태정보를 수신받아 화면출력신호로 변환시켜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장치는,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세기신호를 전달받아 감지세기신호의 진폭과 파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감지세기신호에서 한 주기의 파장과 한 주기의 파장이 걸린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사용자의 러닝속도와 러닝머신 벨트의 속도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러닝속도와 러닝머신 벨트의 속도가 동일하도록 러닝머신 벨트의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KR1020160060511A 2016-05-18 2016-05-18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KR101854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511A KR101854887B1 (ko) 2016-05-18 2016-05-18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US15/213,924 US20170333751A1 (en) 2016-05-18 2016-07-19 Balancing system for treadmi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511A KR101854887B1 (ko) 2016-05-18 2016-05-18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405A true KR20180004405A (ko) 2018-01-12
KR101854887B1 KR101854887B1 (ko) 2018-06-20

Family

ID=6032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511A KR101854887B1 (ko) 2016-05-18 2016-05-18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333751A1 (ko)
KR (1) KR101854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876A (ko) 2021-02-26 2022-09-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 상태 분석 및 피드백을 위한 ui 체계를 갖는 러닝머신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8591B2 (en) 2016-08-27 2022-04-12 Peloton Interactive, Inc. Exercise machine controls
US11383134B2 (en) 2016-08-27 2022-07-12 Peloton Interactive, Inc. Exercise machine controls
WO2018044721A1 (en) 2016-08-27 2018-03-08 Peloton Interactive, Inc. Exercise system and method
US11219799B2 (en) 2016-08-27 2022-01-11 Peloton Interactive, Inc. Exercise system and method
US11311791B2 (en) 2016-08-27 2022-04-26 Peloton Interactive, Inc. Exercise system and method
TWD193251S (zh) * 2017-02-24 2018-10-01 力伽實業股份有限公司 Treadmill
USD940264S1 (en) * 2017-09-21 2022-01-04 Shandong Mbh Fitness Co., Ltd. Treadmill
TWI787428B (zh) * 2018-01-05 2022-12-21 美商派樂騰健康科技有限公司 運動系統及方法
USD919719S1 (en) * 2019-01-23 2021-05-18 Xiamen Renhe Sports Equipment Co., Ltd. Treadmill
USD910123S1 (en) * 2019-09-27 2021-02-09 Zepp, Inc. Treadmill
USD889569S1 (en) * 2019-10-18 2020-07-07 Jiangxi EQI Industrial Co., Ltd Treadmill
USD888845S1 (en) * 2019-10-18 2020-06-30 Jiangxi EQI Industrial Co., Ltd Treadmill
USD934961S1 (en) * 2020-06-10 2021-11-02 Jiangxi EQI Industrial Co., Ltd Treadmill
USD908817S1 (en) * 2020-07-01 2021-01-26 Shenzhen Xunya E-Commerce Co., Ltd. Treadmill
USD907722S1 (en) * 2020-07-02 2021-01-12 Shenzhen Shifeier Technology Co., Ltd. Treadmill
USD934353S1 (en) * 2020-07-20 2021-10-26 Sailvan Times Co., Ltd. Treadmill
KR102487252B1 (ko) * 2020-11-11 2023-01-12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언택트 기반 네트워크 증강 런닝 머신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USD973153S1 (en) * 2021-05-03 2022-12-20 Landice, Inc. Treadmill
USD999851S1 (en) * 2023-04-18 2023-09-26 Hong Kong Honcang Technology Co., Limited Treadmill
USD1019824S1 (en) * 2023-10-31 2024-03-26 Shenzhen Shenlaiyibi Technology Co., Ltd. Treadmil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649A (ko) 2000-08-14 2002-02-21 오희범 운동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러닝머신과 이 러닝머신에서의속도/위치 적응형 제어방법
KR20030066540A (ko) 2003-07-15 2003-08-09 주식회사 로보피아 러닝머신에서 밸런스 측정 장치 및 방법
JP4862895B2 (ja) * 2007-01-30 2012-01-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歩行能力診断システム
JP2012075587A (ja) * 2010-09-30 2012-04-19 Panasonic Corp 他動運動機器
KR101179152B1 (ko) * 2010-04-28 2012-09-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로드셀을 이용한 자동 속도조절 러닝머신 및 로드셀을 이용한 긴급정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6451B1 (en) * 2012-01-11 2016-12-27 Bertec Corporation Force measur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649A (ko) 2000-08-14 2002-02-21 오희범 운동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러닝머신과 이 러닝머신에서의속도/위치 적응형 제어방법
KR20030066540A (ko) 2003-07-15 2003-08-09 주식회사 로보피아 러닝머신에서 밸런스 측정 장치 및 방법
JP4862895B2 (ja) * 2007-01-30 2012-01-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歩行能力診断システム
KR101179152B1 (ko) * 2010-04-28 2012-09-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로드셀을 이용한 자동 속도조절 러닝머신 및 로드셀을 이용한 긴급정지장치
JP2012075587A (ja) * 2010-09-30 2012-04-19 Panasonic Corp 他動運動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876A (ko) 2021-02-26 2022-09-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 상태 분석 및 피드백을 위한 ui 체계를 갖는 러닝머신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33751A1 (en) 2017-11-23
KR101854887B1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887B1 (ko) 러닝머신 좌우 밸런스 교정 시스템
JP5321002B2 (ja) 体動バランス検出装置、体動バランス検出プログラム、体動バランス検出方法
JP5504810B2 (ja) 歩行姿勢判定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TWI638746B (zh) 自行車踏板
US9808672B2 (en) Position sensor on a treadmill
US9943722B2 (en) Determining work performed on a treadmill
ES2320373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valuar las capacidades musculares de los atletas mediante pruebas breves.
CN105015663B (zh) 踩踏状态检测设备
KR101604024B1 (ko) 운동량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853465B1 (ko) 보폭 산출과 nfc 기능을 갖는 러닝머신 시스템
KR101345798B1 (ko) 트레드밀의 제어 방법
JP2010178982A5 (ko)
KR20080016223A (ko) 트레드밀 및 그 제어 방법
JP6436138B2 (ja) 倒立振子型移動体、および足関節トルク推定方法
KR100913600B1 (ko) 근력 측정기
US104900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fatigue in an athlete
KR100819205B1 (ko) 운동 상태를 감지하는 지능형 런닝 머신 및 이를동작시키는 방법
US20150057576A1 (en) Wearable muscle strength training detector device
JP2015171511A (ja) 歩行訓練装置
JP2018093961A (ja) 訓練システム、および足関節トルク推定方法
KR102172585B1 (ko) 스마트 미러를 구비한 다기능 운동장치
KR20180088960A (ko) 스마트 장갑을 이용하는 운동 교정 시스템
KR102287930B1 (ko) 골프 타격 연습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103355A (ko) 개인 운동량 조절 시스템
KR102475009B1 (ko) 운동량 측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운동량 측정 시스템 및 운동량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