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642U -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 - Google Patents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642U
KR20180003642U KR2020170003104U KR20170003104U KR20180003642U KR 20180003642 U KR20180003642 U KR 20180003642U KR 2020170003104 U KR2020170003104 U KR 2020170003104U KR 20170003104 U KR20170003104 U KR 20170003104U KR 20180003642 U KR20180003642 U KR 201800036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body frame
lever member
ba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찬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3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642U/ko
Publication of KR201800036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6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8Manual release or trip mechanisms, e.g. for test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은 바디프레임, 접점 분리에 의해서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바와 연계되며, 상기 바디프레임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트립부재, 상기 트립부재와 연계된 레버비트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된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레버부재 및 하단부가 상기 레버부재의 타단부에 연계되고, 상단부는 신축하는 솔레노이드에 연계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에 연계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트리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부재는, 상기 레버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Latch unit for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차단기는 비교적 저전압의 송배전선로에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와 같은 사고전류가 발생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선로를 차단하고, 선로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소화시키는 산업용 전력기기이다.
고압차단기는 크게 통전회로를 폐로시키는 투입동작과, 통전회로를 개로시키는 차단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고압차단기의 투입 및 차단동작은 일반적으로 통전회로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행된다.
고압차단기는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구비되는 과전류 보호 계전기(Over Current Relay: OCR)에서 사고 전류를 감지하면, 과전류 보호 계전기가 회로 차단기의 트립 코일을 여자시켜 기계적으로 잠겨(Lock)있는 트립 래치(Latch)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고, 이에 내부의 스프링(Spring) 힘으로 가동 접점이 이동하며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분리된다.
여기서, 고압차단기는 사고 발생 시 고장전류를 짧은 시간에 차단하는 것이 중요한 성능 인자이다. 즉, 제품 경쟁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차단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차단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차단 동작시에 레버부재 상에서 트리거부재가 접촉하는 공간 마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러나 레버부재와 트리거부재 사이의 마진을 과하게 줄이면 안정적으로 차단바를 클로즈(Close) 완료시키지 못하고 차단바가 재 오픈(Open)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클로즈 메커니즘이 동작되면, 트리거부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이동하며, 이때 트리거부재가 스토퍼부와 충돌하면서 튕겨져서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일부 회전하는데, 여기서 상기 레버부재와 트리거부재 사이의 마진이 과하게 작으면 일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트리거부재가 레버부재에서 이탈하면서 차단바가 재 오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차단바의 클로즈 동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차단바의 오픈시의 차단시간을 줄일 수 있는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6323호
본 고안의 목적은 차단바의 클로즈 동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차단바의 오픈시의 차단시간을 줄일 수 있는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은 바디프레임, 접점 분리에 의해서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바와 연계되며, 상기 바디프레임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트립부재, 상기 트립부재와 연계된 레버비트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된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레버부재 및 하단부가 상기 레버부재의 타단부에 연계되고, 상단부는 신축하는 솔레노이드에 연계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에 연계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트리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부재는, 상기 레버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의 상기 트리거부재는, 상기 가이드홀에 연계되는 상기 힌지축이 구비되며, 하단부는 상기 레버부재의 타단부에 연계되고, 상단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계되는 트리거바 및 일단부는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디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트리거바를 상기 솔레노이드가 위치하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타측으로 가압하는 간극조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의 상기 간극조정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홀이 경사지게 형성된 방향과 수평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의 상기 트리거바는, 상기 힌지축이 구비된 부분보다 하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스토퍼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의 상기 가이드홀이 형성된 방향은, 상기 레버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트리거부재에 밀착할 때 가압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선으로 하여 20 ~ 40도 기울어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은 차단바의 클로즈 동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차단바의 오픈시의 차단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에서 트리거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이 차단바를 오픈하는 동작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이 차단바를 클로즈하는 동작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고안이나 본 고안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고안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에 관한 것으로, 차단바(B)의 클로즈 동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차단바(B)의 오픈시의 차단시간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을 도시한 정면도로써, 도 1의 (a)는 차단바(B)가 하향 이동되어 클로즈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의 (b)는 차단바(B)가 상향 이동되어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은 바디프레임(10), 접점 분리에 의해서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바(B)와 연계되며, 상기 바디프레임(10)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트립부재(20), 상기 트립부재(20)와 연계된 레버비트(3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프레임(10)의 일측에 결합된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레버부재(30) 및 하단부가 상기 레버부재(30)의 타단부에 연계되고, 상단부는 신축하는 솔레노이드(S)에 연계되어 상기 바디프레임(10)에 결합된 힌지축(41a)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트리거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부재(40)는, 상기 레버부재(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바디프레임(10)에 형성된 가이드홀(11)에 상기 힌지축(41a)이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트리거부재(40)가 고정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홀(11)에 힌지축(41a)이 삽입되어 경사 방향으로 위치 변경하게 이동되면서 회전 작동하기 때문에, 차단바(B)의 오픈 동작에 의한 트리거부재(40)의 반 시계 방향 회전시에 회전에 의한 이동에 더하여 경사진 가이드홀(11)이 힌지축(41a)에서 이동된 직선 이동이 부가되어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하단부가 이동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차단바(B)의 오픈 동작 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바(B)의 클로즈 동작시에는 반대로, 트리거부재(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단부를 이동시키며, 상기 트리거부재(40)가 레버부재(30)에 의해서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하단부가 가압되기 직전 간극조절 스프링(42)에 의해 가이드홀(11) 하단부가 상기 힌지축(41a)과 밀착되어 있음으로써 마진을 증가시켜 클로즈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디프레임(10)은 상기 트립부재(20), 레버부재(30), 트리거부재(40) 등이 결합된 바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회전 영역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의 상기 트리거바(41)는, 상기 힌지축(41a)이 구비된 부분보다 하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상기 바디프레임(10)에 형성된 스토퍼부(1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부(12)는 상기 차단바(B)를 하향 이동시켜 클로즈 동작시키기 위해서 상기 트립부재(20), 레버부재(30)와 연계된 상기 트리거부재(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 회전을 중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12)는 그 직경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트리거부재(40)와 레버부재(30) 사이의 마진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부(12)의 직경이 크면 상기 트리거부재(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동되는 거리가 줄어들어 상기 레버부재(30)와의 마진을 작게 유지하며, 반대로 상기 스토퍼부(12)의 직경이 작으면 상기 트리거부재(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동되는 거리가 늘어나 상기 레버부재(30)와의 마진을 크게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본원고안에서는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힌지축(41a)이 경사진 형태의 긴 홀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홀(11)에 연계됨으로써, 상기 차단바(B)의 클로즈 동작 시에는 상기 스토퍼부(12)의 직경이 작은 경우와 유사하게 상기 레버부재(30)와 트리거부재(40) 사이의 마진이 클 때와 유사한 효과를 확보(도 4의 (a) 상태)할 수 있고, 상기 차단바(B)의 오픈 동작 시에는 상기 스토퍼부(12)의 직경이 큰 경우와 유사하게 상기 레버부재(30)와 트리거부재(40) 사이의 마진이 작을 때와 유사한 효과를 확보(도 4의 (b) 상태 또는 도 3의 (a) 상태)하게 된다.
상기 트립부재(20)는 상기 레버부재(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면, 상기 레버부재(30)의 레버비트(32)와 연계된 부분이 이탈하면서 반시계 방향을 회전하여 상기 차단바(B)를 오픈 상태로 위치 변경하게 작동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트립부재(20)는 트립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도 일측은 상기 레버부재(30)의 돌출된 레버비트(32)에 걸려지게 구비되며, 타측에 차단바(B)가 연계되게 구비되며, 더 구체적으로, 상기 트립부재(20)는, 일단부는 상기 트립축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가이드가 결합되는 제1트립암 및 일단부가 상기 제1트립암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트립축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차단바(B)에 연계되는 제2트립암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트립암은 상기 지지가이드를 매개로 하여 상기 레버비트(32)와 연계되는 구성이고, 상기 제2트립암은 상기 차단바(B)와 연계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제1트립암과 제2트립암은 서로 결합되어 제공됨으로써, 상기 제1트립암의 작동이 상기 제2트립암의 작동과 함께 수행된다.
상기 레버부재(30)는 상기 솔레노이드(S)의 작동에 의한 고압전류 차단의 구동을 상기 차단바(B)와 연계된 트립부재(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레버부재(30)는 레버바디(31), 레버비트(32)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바디(31)의 일단부가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하단부에 접하게 구비되어 타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레버바디(31)의 일측에 레버비트(32)가 형성되어 상기 트립부재(20)가 걸려지게 구비된다.
상기 트리거부재(40)는 상단부는 상기 솔레노이드(S)와 연계되고, 하단부는 상기 레버부재(30)와 연계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S)가 과전류의 감지에 의한 고압차단을 위해서 상기 트리거부재(4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트리거부재(40)의 상단부를 밀게 구동하면, 상기 트리거부재(40)는 회전되어 하단부는 상단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하단부는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하단부에 연계된 상기 레버부재(30)의 일단부에서 이탈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30)의 일단부는 타단부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상기 트리거부재(40)는 고정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바디프레임(10)에 형성된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홀(11)에 힌지축(41a)이 삽입되어 경사 방향으로 위치 변경하게 이동되면서 회전 작동하기 때문에, 차단바(B)의 오픈 동작시에는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하단부와 상기 레버부재(30)와의 마진을 감소시켜 차단바(B)의 오픈 동작 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고, 상기 차단바(B)의 클로즈 동작시에는 반대로,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하단부와 상기 레버부재(30)와의 마진을 증가시켜 클로즈 동작 시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트리거부재(40)는 트리거바(41), 간극조정 스프링(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에서 트리거부재(4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이 차단바(B)를 오픈하는 동작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이 차단바(B)를 클로즈하는 동작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3의 (a)는 차단바(B)가 클로즈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b)는 솔레노이드(S)가 과전류의 감지에 의한 고전압 차단을 위해서 상기 트리거부재(40) 방향으로 전진하여 차단바(B)가 오픈되는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특히 오픈 동작시에는 레버부재(30)에 의해 트리거부재(40) 하단부가 가압되어 경사진 긴 홀 형태의 가이드홀(11)의 상단부와 상기 힌지축(41a)이 밀착되어 있어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하단부와 레버부재(30) 사이의 마진이 작아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도 4의 (a)는 차단바(B)의 클로즈를 위해서 클로즈 메커니즘이 동작되어 트리거부재(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직후 레버부재(30)에 의해 트리거부재(40) 하단부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로 간극조정 스프링(42)에 의해 가이드홀(11) 하단부와 힌지축(41a)이 밀착되어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하단부와 레버부재(30) 사이의 마진이 커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가이드홀(11)과 연계된 상기 트리거부재(40)의 상기 힌지축(41a)은 상기 스토퍼부(12)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레버부재(30)와 연계되는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하단부는 상기 스토퍼부(12)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트리거부재(40)는 상기 스토퍼부(12)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41a)이 상기 가이드홀(11)의 하단부에 밀착되면, 상기 힌지축(41a)은 상기 레버부재(30)에서 멀어지는 방향(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하단부는 상기 힌지축(41a)이 이동한 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므로, 상기 레버부재(30) 방향(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하단부는 상기 레버부재(30)와의 마진이 커지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의 (b)는 클로즈 동작이 끝난 시점으로 레버부재(30)가 트리거부재(40)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트리거부재(40)가 가이드홀(11)을 타고 이동하여 가이드홀(11)의 상단부와 힌지축(41a)이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에는 상기 트리거부재(40)의 하단부와 레버부재(30) 사이의 마진이 다시 작아지는 효과를 가져 신속한 오픈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의 상기 트리거부재(40)는, 상기 가이드홀(11)에 연계되는 상기 힌지축(41a)이 구비되며, 하단부는 상기 레버부재(30)의 타단부에 연계되고, 상단부는 상기 솔레노이드(S)에 연계되는 트리거바(41) 및 일단부는 상기 힌지축(41a)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디프레임(10)에 결합되어, 상기 트리거바(41)를 상기 솔레노이드(S)가 위치하는 상기 바디프레임(10)의 타측으로 가압하는 간극조정 스프링(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트리거바(41)는 힌지축(41a)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솔레노이드(S)와 레버부재(30)를 연계시켜주며, 최종적으로는 상기 차단바(B)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켜 오픈 또는 클로즈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트리거바(41)에는 가이드홀(11)이 연계되는 힌지축(41a)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홀(11)은 상기 트리거바(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이 아니고, 상기 트리거바(41)의 길이 방향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긴 홀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힌지축(41a)을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와 시계 방향 회전시에 상기 트리거바(41)의 하단부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홀(11)은 상기 트리거바(41)의 하단부에 구비된 레버부재(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y축 상단 x축 좌단에서 y축 하단 x축 우단으로 경사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의 상기 가이드홀(11)이 형성된 방향은, 상기 레버부재(30)의 타단부가 상기 트리거부재(40)에 밀착할 때 가압하는 방향(y)에 수직한 방향(x)을 기준선으로 하여 20 ~ 40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각도(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리거바(41)는 차단바(B)의 클로즈 시에 상기 레버부재(30)의 타단부에 접하는 하단부가 상기 레버부재(30)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에 의해서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트리거바(41)는 상기 가이드홀(11)을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레버부재(30)가 상향으로 상기 트리거바(41)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트리거바(41)는 상기 가이드홀(11)을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하향 이동의 구동력은 상기 트리거바(41)의 자중(自重) 또는 후술할 간극조정 스프링(42)에 의한 가압력에 의한다.
상기 간극조정 스프링(42)은 상기 트리거바(41)에 구비된 힌지축(41a)에 결합되어 상기 트리거바(41)를 하향하여 가압하는 힘을 부가하게 된다. 다만, 상기 간극조정 스프링(42)의 팽창 가압 탄성력은 상기 레버부재(30)가 상향으로 상기 트리거바(41)를 가압하는 힘보다는 작은 탄성력을 설정되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의 상기 간극조정 스프링(42)은, 상기 가이드홀(11)이 경사지게 형성된 방향과 수평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간극조정 스프링(42)이 상기 트리거바(41)에 하향하는 가압력을 제공할 때, 그 가압력이 분산되지 않고 상기 트리거바(41)에 제공되도록 상기 간극조정 스프링(42)은 경사진 홀 형태의 상기 가이드홀(11)과 수평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10: 바디프레임 11: 가이드홀
12: 스토퍼부 20: 트립부재
30: 레버부재 31: 레버바디
32: 레버비트 40: 트리거부재
41: 트리거바 42: 간극조정 스프링

Claims (5)

  1. 바디프레임;
    접점 분리에 의해서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바와 연계되며, 상기 바디프레임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트립부재;
    상기 트립부재와 연계된 레버비트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된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레버부재; 및
    하단부가 상기 레버부재의 타단부에 연계되고, 상단부는 신축하는 솔레노이드에 연계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에 연계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트리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부재는, 상기 레버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재는,
    상기 가이드홀에 연계되는 상기 힌지축이 구비되며, 하단부는 상기 레버부재의 타단부에 연계되고, 상단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계되는 트리거바; 및
    일단부는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디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트리거바를 상기 솔레노이드가 위치하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타측으로 가압하는 간극조정 스프링;
    을 포함하는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조정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홀이 경사지게 형성된 방향과 수평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바는, 상기 힌지축이 구비된 부분보다 하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상기 바디프레임에 형성된 스토퍼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이 형성된 방향은, 상기 레버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트리거부재에 밀착할 때 가압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선으로 하여 20 ~ 40도 기울어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
KR2020170003104U 2017-06-16 2017-06-16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 KR201800036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04U KR20180003642U (ko) 2017-06-16 2017-06-16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04U KR20180003642U (ko) 2017-06-16 2017-06-16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42U true KR20180003642U (ko) 2018-12-27

Family

ID=64954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104U KR20180003642U (ko) 2017-06-16 2017-06-16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642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323A (ko) 2007-08-10 2009-02-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고차단 패스트 트립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6323A (ko) 2007-08-10 2009-02-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고차단 패스트 트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6016B2 (ja) 配線用遮断器
JP5059930B2 (ja) 回路遮断器のロック装置
KR101278501B1 (ko) 기계적 트립 기구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KR101522267B1 (ko) 회로 차단기
KR20180003642U (ko)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
KR20090016323A (ko) 기중차단기의 고차단 패스트 트립장치
KR101498686B1 (ko) 진공인터럽트의 투입과 개방 동작을 위한 수동 투개방 조작기
US7138597B2 (en) Circuit breaker with arc gas propelled movable contact and opposed arc cutoff shutters
US10497526B2 (en) Molded-case circuit breaker with main contact interlock feature
KR200487292Y1 (ko) 진공 차단기용 접지스위치의 인터록 장치
KR101297549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부족 전압 트립 장치
KR200392656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구동장치
US10438763B2 (en) Magnetic trip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KR20180003641U (ko) 고압차단기용 래치유닛
KR20040070544A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KR101759601B1 (ko) 기중 차단기용 지연시간 발생장치
KR200401941Y1 (ko) 진공 회로 차단기의 트립장치
KR102539220B1 (ko) 자동 복구 누전 차단기용 핸들 구동 장치
KR102226948B1 (ko) 순시차단용 구동장치
KR101715662B1 (ko) 차단기
US1287545A (en) Electric switch.
KR101734047B1 (ko) 차단기
US3158714A (en) Spring-close high speed breaker
KR101700866B1 (ko) 전원차단기의 구동장치
KR20160130053A (ko) 회로 차단기의 트립 구동 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