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616U -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 - Google Patents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616U
KR20180003616U KR2020170003010U KR20170003010U KR20180003616U KR 20180003616 U KR20180003616 U KR 20180003616U KR 2020170003010 U KR2020170003010 U KR 2020170003010U KR 20170003010 U KR20170003010 U KR 20170003010U KR 20180003616 U KR20180003616 U KR 201800036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charging cable
coupled
storage space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950Y1 (ko
Inventor
남영화
김태웅
이대훈
김동호
Original Assignee
남영화
김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화, 김태웅 filed Critical 남영화
Priority to KR2020170003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950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6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9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2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having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H02J2007/0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잉크펜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펜부와, 상기 펜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수납부와, 상기 펜부의 상부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펜부의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수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펜부와 상기 수납부를 결합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물건이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Pen with built-in power supply cable and storage space}
본 고안은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때 사용되는 전원충전케이블이 펜 내부에 장착되어 있어 상시 휴대 및 충전이 가능하고 수납공간에 물건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은 크게 펜축 속에 잉크를 저장하고 사용할 때 모세관현상을 이용해서 잉크가 알맞게 흘러나오도록 만들어진 만년필과 작은 볼이 지면과의 마찰로 회전하여 카트리지로부터 잉크를 뽑아내어 볼에 묻은 잉크가 종이에 전사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볼펜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펜은 가볍고 옷에 걸거나 필통에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며 잉크가 저장된 펜축이나 카트리지를 교체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휴대성이 용이한 펜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적이고 최근 휴대용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에 직접 필기가 가능하게 되면서 펜을 휴대하는 경우가 줄어들고 있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9614호는 다기능 볼펜에 관한 것으로서, 볼펜 본연의기능인 필기구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운동경기가 있는 주간, 야간 경기장에서 응원을 하는데 시각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야간에 산행을 할 때 인명구조의 신호용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야간에 횡단보도를 건널 때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할 수 있는 다기능 볼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펜에 수성잉크와 형광잉크를 각각 수용하여 펜의 기능과 형광잉크를 통한 안정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펜의 기능을 확장시키기도 어렵고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사용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전원충전케이블의 경우 휴대용 단말기, 태블릿 PC 등의 휴대장치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최근 휴대용 단말기와 태블릿 PC가 대중화 되면서 다양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원충전케이블의 경우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 태블릿 PC에 사용되는 규격에 대응되는 전원충전케이블을 구비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휴대성이 떨어지고 소지한 전원충전케이블들이 서로 엉켜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961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에 사용되는 전원충전케이블이 수용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전원충전케이블을 펜으로부터 탈부착 시켜 사용할 수 있는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잉크를 이용하여 종이에 필기를 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장치를 결합시켜 필요에 따라 기능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펜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시켜 잃어버리기 쉬운 소형 물건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은 내부에 잉크펜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펜부와; 상기 펜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수납부와; 상기 펜부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펜부와 수납부를 연결시켜 고정하는 연결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물건이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은 상기 커버의 하부면과 상기 연결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물건을 고정시켜 충격을 완화 및 소음을 방지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펜부와 상기 수납부의 외부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휴대용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의 충전포트에 결합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체의 하단에 형성되며 PC 또는 충전기에 형성된 USB포트에 결합되는 USB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펜부 및 상기 수납부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자성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는 상기 펜부의 상부면과 상기 수납부의 하부면은 금속체로 형성되어 있어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은 상기 연결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쇠와; 상기 펜부의 상부와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는 각각 상기 고정쇠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펜부 및 상기 수납부는 자기력에 의해 결합된 후 상기 고정쇠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은 상기 수납부 내부에는 보조배터리, 변환용 젠더, 후레쉬, 메모리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은 내부에 잉크펜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펜부와, 상기 펜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수납부와, 상기 펜부의 상부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펜부의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수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펜부와 상기 수납부를 결합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물건이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은 내부에 잉크펜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펜부와, 상기 펜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수납부와, 상기 펜부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펜부와 수납부를 연결시켜 고정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일단은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타단은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상기 수납부의 상부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펜부와 상기 수납부의 외부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휴대용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의 충전포트에 결합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체의 하단에 형성되며 PC 또는 충전기에 형성된 USB포트에 결합되는 USB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USB단자는 케이블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연결체 내부에 자동으로 권취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상기 발광부는 상기 수납부의 외면에 형성된 핀셋에 의해 가압되면 전원이 공급되어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상기 펜부의 끝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휴대용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에 형성된 터치스크린에 사용할 수 있는 펜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에 사용되는 전원충전케이블이 수용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전원충전케이블을 펜으로부터 탈부착 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에 의하면 잉크를 이용하여 종이에 필기를 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장치를 결합시켜 필요에 따라 기능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에 의하면 펜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시켜 잃어버리기 쉬운 소형 물건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조립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내부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전원충전케이블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전원충전케이블이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에 터치스크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펜촉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때 사용되는 전원충전케이블이 펜 내부에 장착되어 있어 상시 휴대 및 충전이 가능하고 수납공간에 물건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은 내부에 잉크펜(130)(도2 참조)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펜부(100)와, 펜부(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수납부(200)와, 펜부(100)의 상부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펜부(100)의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수납부(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펜부(100)와 수납부(200)를 결합시키는 연결부(300)(도2 참조)와, 수납부(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납부(200)에 수용된 물건이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커버(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펜부(100)는 내부에 볼펜, 만년필, 수성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도 2의 잉크펜(130)이 수용된 후 펜부(100) 하부로 돌출되어 있게 되며 사용자는 펜부(100)를 손으로 잡고 필기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연결부(300)는 수납부(200)와 펜부(10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펜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후 수납부(200) 내부로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연결부(200)는 펜부(100) 내부의 잉크가 완전히 소모되는 경우 도 2의 잉크펜(130)을 교체하거나 수납부(200) 내에 물건을 수용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수납부(200)와 탈부착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수납부(200)는 내부에 물건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물건을 넣거나 빼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커버(500)는 수납부(200)의 개구된 상부를 막기 위한 것으로 커버(500)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물건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빠져나가지 않도록 막게 되며, 수납부(200)에 수납된 물건을 꺼낼 경우 커버(500)를 수납부(200)로부터 분리시킨 후 수용된 물건을 꺼낼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펜부는 펜부(100)는 중공축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몸체(110)와, 몸체(110) 내부에 삽입되고 끝단에는 잉크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볼펜, 만년필, 수성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잉크펜(130)과, 몸체(110) 하부에 결합되며 잉크펜(130)의 끝단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체(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1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중공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지지체(120)가 결합되어 몸체(110) 내부에 수용된 잉크펜(130)의 끝단이 지지체(1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잉크펜(130)의 끝단을 제외한 하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지지체(120)는 잉크펜(130)의 하부와 밀착되어 잉크펜(130)의 하부 원추형으로 된 면을 지지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잉크펜(130)은 필요에 따라 지지체(120)를 몸체(110)로부터 분리시켜 몸체(110)의 하부로 빼내거나 지지체(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110)의 상부로 잉크펜(130)을 빼낼 수 있게 되며 잉크펜(130)의 상부에는 연결부(300)가 가압하여 필기할 때 잉크펜(13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몸체(110)의 상부 내면에는 원판이 형성되어 있어 잉크펜(130)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잉크펜(130)은 몸체(110) 하부로부터 유입되거나 분리되게 된다.
연결부(300)는 몸체(110) 상부 내측에 결합되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체(310)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부(200)에 형성된 수납체(2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체(210)의 내부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연결체(3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수납체(210)와 나사 결합되게 된다.
이때 연결체(310)의 내측에는 잉크펜(130)을 이용하여 필기할 때 잉크펜(130)이 몸체(11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가압체(360)가 잉크펜(13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게 된다.
즉, 가압체(360)는 잉크펜(130)의 상부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잉크펜(130)을 교환할 때는 지지체(120)를 분리시켜 교체하거나 잉크펜(130)을 상부 방향으로 가압시키면 잉크펜(130)의 상단 및 외주면이 가압체(130)에 의해 가압되면서 잉크펜(130)을 교체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수납부(200)는 몸체(110)의 외부 및 내부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의 중공축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는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부 또는 하부를 통해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납체(210)와, 수납체(2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수납체(210)를 옷이나 종이에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클립(2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납체(210)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어 상부와 하부를 통해 내부에 소형 물건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또한 수납체(210)의 외주면에는 펜을 옷에 꽂거나 책 또는 노트 등의 종이에 꽂아놓을 수 있도록 클립(220)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커버(500)의 하부면과 연결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수납부(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납부(200)에 수용된 물건을 고정시켜 충격을 완화 및 소음을 방지시키는 완충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납부(200) 내부에는 보조배터리, 변환용 젠더, 후레쉬, 메모리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충부(600)는 수납부(200) 내부에 수용된 보조배터리, 변환용 젠더, 후레쉬, 메모리카드가 수납체(210) 내부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다.
완충부(600)는 스펀지로 형성되어 수납체(210) 내부에 삽입되는 커버(500) 하부면과 연결체의 상부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어 수납체(210) 내부에 수용된 물건의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때 수납체(210) 내주면을 따라 완충부(600)를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또는 필기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수납체(210) 내부에 수용된 물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부(600)는 향기가 발생되는 액상물질이 도포되어 있어 수납체(210)에 수용된 물건을 꺼낼 때 향기가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수납체(210)에 보조배터리가 수납되는 경우 수납체(210)의 크기는 보조배터리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시킨 후 수납체(210)의 상부에 충전 젠더가 결합되어 휴대용 단말기, 태블릿 PC, 노트북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변환용 젠더는 마이크로 5핀-USB, 마이크로 5핀-마이크로 5핀, USB-USB C타입, 마이크로 5핀-USB C타입, USB C타입-USB C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연결부(300)는 상기 펜부(100)와 상기 수납부(2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펜부(100)와 수납부(200)를 연결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300)는 연결체(310)로 형성되어 상단, 중단, 하단으로 나누어지며, 연결체(31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몸체(110)와 수납체(2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110)와 수납체(210)의 내부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게 되며, 상단과 하단의 외주면과 몸체(110) 및 수납체(21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연결체(310)의 중단은 몸체(110)와 수납체(21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연결체(31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수납체(210)와 몸체(110) 내부에 삽입되면서 나사산으로 결합되어 몸체(110)와 수납체(210)를 서로 연결시켜 고정하게 된다.
또한 연결부(300)는 펜부(100) 및 수납부(200)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자성체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300)와 접촉되는 펜부(100)의 상부면과 수납부(200)의 하부면은 금속체로 형성되어 있어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300)의 연결체(310)는 상단, 중단, 하단으로 나누어지며, 연결체(31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수납부(200)의 수납체(210) 내부와 펜부(100)의 몸체(110)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수납체(210)와 몸체(110)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체(310)의 상단과 하단 외주면과, 수납체(210)와 몸체(110)가 닿는 연결체(310)의 중단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자성체가 형성되어 있어 수납체(210)와 몸체(110)가 삽입되면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즉, 수납체(210)의 하부와 몸체(110)의 상부는 자기력에 반응되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 연결체(310)의 상단과 하단이 내부로 삽입되면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300)의 상부와 하부에는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쇠(312)와, 펜부(100)의 상부와 수납부(200)의 하부에는 각각 고정쇠(312)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을 더 포함하며, 펜부(100) 및 수납부(200)는 자기력에 의해 결합된 후 고정쇠(312)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110)와 수납체(210)가 연결체(310)에 자기력으로 결합된 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체(310)의 상단과 하단에는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쇠(312)가 형성되고, 몸체(110) 상부에는 제1회전방지홈(160)이 형성되고 수납체(210) 하부에는 제2회전방지홈(240)이 형성되어 고정쇠(312)가 삽입되게 된다.
즉, 연결체(31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수납체(210)와 몸체(110)에 삽입되면 고정쇠(312)가 제1회전방지홈(160)과 제2회전방지홈(240)에 각각 삽입되면서 몸체(110)와 수납체(210)는 고정쇠(312)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납체(210)와 몸체(110)가 연결체(310)에 의해 결합된 후 자유회전이 되지 않도록 구속되며, 수직방향으로 간편하게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은 내부에 잉크펜(130)(도5 참조)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펜부(100)와, 펜부(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수납부(200)와, 펜부(100)와 수납부(200) 사이에 위치하여 펜부(100)와 수납부(200)를 연결시켜 고정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은 수납부(200)의 내부에 삽입되며 타단은 수납부(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수납부(200)의 상부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펜부(100)는 내부에 볼펜, 만년필, 수성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도 5의 잉크펜(130)이 수용된 후 펜부(100) 하부로 돌출되어 있게 되며 사용자는 펜부(100)를 손으로 잡고 필기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300)는 수납부(200)와 펜부(10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펜부(100)와 수납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펜부(100) 내부의 잉크가 완전히 소모되는 경우 도 5의 잉크펜(130)을 교체하거나 수납부(200) 내에 물건을 수용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200)는 내부에 물건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물건을 넣거나 빼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발광부(400)는 수납부(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빛을 조사되게 되며, 이를 통해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 볼펜을 이용하여 주위를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펜부(100)는 중공축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몸체(110)와, 몸체(110) 내부에 삽입되고 끝단에는 잉크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볼펜, 만년필, 수성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잉크펜(130)과, 몸체(110) 하부에 결합되며 잉크펜(130)의 끝단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체(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1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중공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지지체(120)가 결합되어 몸체(110) 내부에 수용된 잉크펜(130)의 끝단이 지지체(1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잉크펜(130)의 끝단을 제외한 하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지지체(120)는 잉크펜(130)의 하부와 밀착되어 잉크펜(130)의 하부 원추형으로 된 면을 지지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잉크펜(130)은 필요에 따라 지지체(120)를 몸체(110)로부터 분리시켜 몸체(110)의 하부로 빼내거나 지지체(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110)의 상부로 잉크펜(130)을 빼낼 수 있게 되며 잉크펜(130)의 상부에는 연결부(300)가 가압하여 필기할 때 잉크펜(13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몸체(110)의 상부 내면에는 원판이 형성되어 있어 잉크펜(130)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잉크펜(130)은 몸체(110) 하부로부터 유입되거나 분리되게 된다.
또한 연결부(300)는 펜부(100)와 수납부(200)의 외부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연결체(310)와, 연결체(310)의 상단에 형성되며 휴대용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의 충전포트에 결합되는 연결단자(320)와, 연결체(310)의 하단에 형성되며 PC 또는 충전기에 형성된 USB포트에 결합되는 USB단자(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체(310)는 중단은 몸체(110)와 수납체(210)의 외부 지름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체(310)의 상단에는 휴대용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의 충전포트에 대응되는 규격의 연결단자(320)가 형성되고 연결체(310)의 하부에는 PC 또는 충전기의 USB포트 규격에 대응되는 USB단자(330)가 형성된다.
이때 연결체(310)는 상단, 중단, 하단으로 나누어지며, 연결체(31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몸체(110)와 수납체(2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110)와 수납체(210)의 내부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게 되며, 상단과 하단의 외주면과 몸체(110) 및 수납체(21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되게 된다.
즉, 연결체(310)의 중단은 몸체(110)와 수납체(21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연결체(31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수납체(210)와 몸체(11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되게 된다.
연결단자(320)와 USB단자(330)는 연결체(310)를 통해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휴대용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에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연결단자(3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 5핀 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USB단자(330)는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USB포트 규격에 대응되는 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변환용 젠더로 사용하는 경우 USB단자(330)는 USB-C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수납부(200)는 몸체(110)의 외부 및 내부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의 중공축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는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부 또는 하부를 통해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납체(210)와, 수납체(2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수납체(210)를 옷이나 종이에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클립(2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납체(210)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어 상부와 하부를 통해 내부에 소형 물건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또한 수납체(210)의 외주면에는 펜을 옷에 꽂거나 책 또는 노트 등의 종이에 꽂아놓을 수 있도록 클립(220)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발광부(400)는 중단이 수납부(200)의 외부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은 수납부(200)의 내부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체(420)와, 결합체(420) 상단에 형성되며 전원을 공급받으면 빛을 조사하도록 다수의 LED가 형성된 LED모듈(410)과, 건전지(440)와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전원공급장치(430)와, 결합체(420)의 상단에 결합되어 LED모듈(410)에서 조사되는 빛을 집광시키고 LED모듈(410)을 보호하는 렌즈(4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원공급장치(430)는 결합체(420) 하단에 형성되어 건전지(440)의 마이너스 극에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스프링(431)과, 결합체(420)의 하단에서부터 이격되어 건전지(440)의 플러스 극에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원단자(432)와, 결합체(420)로부터 이격된 전원단자(432)를 결합체(420)와 연결시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대(4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체(420)는 수납체(210)의 상부에 결합되게 되며 하단은 수납체(210)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산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단은 렌즈(450)가 나사산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결합체(420)의 상단면에는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LED가 형성된 LED모듈(4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체(420)의 상단에 결합되는 렌즈(45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집광되어 후레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원공급장치(430)에는 건전지(440)가 결합되어 LED모듈(4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건전지(440)는 전원공급장치(430)의 스프링(431)과 전원단자(432)에 접촉된 후 연결대(433)를 통해 LED모듈(4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전원공급장치(430)는 수납체(210)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 건전지(44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게 되며 건전지(440)의 크기에 따라 수납체(210) 내부의 수납공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잇게 된다.
또한 발광부(400)의 결합체(420)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납체(210) 내부에 물건을 수용한 후 결합체(420)가 수납체(210)의 상단을 막아 내부 수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광부(400) 대신 향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도 있다.
분사부(도시되지 않음)는 수납체(210)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중단은 수납체(210)의 외부지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분사장치(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고 하단은 수납체(210) 내부에 삽입되도록 수납체(210)의 내부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후 나사산으로 결합되는 고정체(도시되지 않음)와, 고정체(도시되지 않음)의 하단에 결합되어 수납체(210) 내부에 위치하고 소량의 향수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용기(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분사장치는 용기 내부에 호스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분사장치를 가압하면 호스를 통해 용기 내부에 수용된 향수원액을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향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분사장치가 가압되지 않도록 상부에는 뚜껑이 결합될 수 있으며, 용기 내부에는 다양한 물질이 수용되어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즉, 용기 내부에 물을 수용시키는 경우 분사장치를 통해 미스트로 사용하거나 용기에 액상의 선크림 용액을 저장함으로써 선 스프레이로 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내부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발광부(400)는 수납부(200)의 외면에 형성된 핀셋에 의해 가압되면 전원이 공급되어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광부(400)의 전원공급장치(430)에 형성된 연결대(433)는 건전지(440)의 마이너스 극과 플러스극을 서로 연결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중간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 일반적으로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되게 된다.
이때 수납부(200)의 수납체(210) 외주면에 형성된 클립(220)은 가압되면 수납체(210)에 형성된 관통홈(211)을 통해 수납체(2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되며 클립(220)이 연결체(310)를 가압하면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클립(220)의 끝단은 수납체(210) 방향으로 삼각형 형태로 둘출 되는데 돌출된 면에는 금속체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대(433)가 서로 분리된 부위에 전기가 통하도록 함으로써 LED모듈(410)에서 빛이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립(220)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에 스위치를 형성시켜 클립(220)의 가압에 의해 스위치가 동작되게 함으로써 LED모듈(410)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게 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전원충전케이블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연결부(300)에 형성된 연결단자(320)와 USB단자(330)는 케이블(311)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블(311)은 연결체(310) 내부에 자동으로 권취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블(311)은 일반적으로 연결체(310) 내부에 자동으로 권취되어 있으며 연결단자(320) 또는 USB단자(330)를 연결체(310)로부터 이격되도록 잡아당기게 되면 케이블(311)이 연결체(310) 외부로 나오게 된다.
이때 연결단자(320)와 USB단자(330)는 케이블(311)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전원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블(311)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연결체(310) 내부에 형성된 자동권취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체(310) 내부로 삽입되게 되며 이로 인해 연결단자(320) 또는 USB단자(330)가 연결체(31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체(3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각각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고정돌기(3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단자(320)의 하부면과 USB단자(330)의 상부면에는 각각 연결체(310)에 형성된 고정돌기(312)의 개수, 크기, 형상에 대응되는 돌기홈(340)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단자(320)와 USB단자(330)가 연결체(310)에 밀착되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블(311)은 연결체(310) 내부에서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연결단자(320) 또는 USB단자(330)는 케이블(311)에 의해 연결체(310)와 밀착되게 되된다.
이때 고정돌기(312)는 연결단자(320)와 USB단자(330)에 각각 형성된 돌기홈(340)에 삽입되어 연결단자(320)와 USB단자(33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돌기(312) 내부에는 자성체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단자(320)와 USB단자(330)에 형성된 돌기홈(340) 내부에는 금속체가 형성되어 있어 자성체에 의한 자기력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연결체(310)가 도 5의 몸체(110)나 수납체(210)에 나사산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결체(310)의 상부와 하부에는 도 5의 몸체(110) 및 수납체(210)의 내부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로 돌출된 후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연결체(310)의 상단과 하단이 나사산에 의해 직접 도 5의 몸체(110)와 수납체(210) 내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단자(320) 하부와 USB단자(330) 상부에 형성된 원통의 크기가 축소되고 연결체(310)는 상단, 중단, 하단으로 구분시켜 단차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중단의 크기는 도 5의 몸체(110) 및 수납체(210)의 외부지름에 대응되고, 상단과 하단은 도 5의 몸체(110) 및 수납체(210)의 내부지름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후 나사산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전원충전케이블이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연결체(310) 상단과 하단 양측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쇠(350)가 형성되게 되며, 연결체(310)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쇠(350)는 몸체(110)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고정홈(150)을 따라 삽입되고, 연결체(310)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쇠(350)는 수납체(210)의 하부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고정홈(230)을 따라 삽입된 후 자성체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고정홈(150)과 제2고정홈(230)의 끝단에는 자성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체(310)에 형성된 고정쇠(350)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1고정홈(150)과 제2고정홈(230)을 따라 이동된 후 끝단에 밀착되면 자성체의 자기력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나사산에 의한 결합방식에 비해 보다 간결하고 빠르게 수납체(210) 또는 몸체(110)를 탈부착 시킬 수 있어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도 5의 잉크펜(130)을 쉽게 교체하거나 수납체(210) 내부에 물품을 쉽게 보관하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체(310)에 형성된 연결단자(320)와 USB단자(330)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펜을 빠르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연결체(310)가 분리되는 경우 수납체(210)의 상부에 결합된 도 5의 결합체(420)를 몸체(110)와 수납체(210) 사이에 위치시켜 이용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연결체(310)와 도 5의 결합체(420)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의 결합체(420) 또한 고정쇠(350)가 형성되어 있어 몸체(110)와 수납체(210)를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에 터치스크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펜촉(140)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의 펜부(100)는 지지체(120)의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터치스크린에 반응하는 스타일러스 펜 형태의 펜촉(140)을 결합시켜 터치펜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펜촉(140)은 외부로 노출된 잉크펜(130)의 끝단을 감싸 잉크가 마르지 않도록 방지하는 뚜껑역할과 더불어 휴대용 단말기나 태블릿 PC에 형성된 터치스크린에 사용하는 터치펜으로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지지체(120)의 끝단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단차가 형성된 후 단차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시키고 펜촉(140) 내주면에는 잉크펜(130)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고 내경은 지지체(120)의 끝단에서 돌출된 단차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펜촉(140)은 지지체(120)의 끝단에 결합되어 잉크펜(130)의 끝단이 마르지 않도록 방지함과 동시에 터치펜으로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잉크펜(130)을 이용하는 경우 수납체(210) 내부에 펜촉(140)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에 사용되는 전원충전케이블이 수용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전원충전케이블을 펜으로부터 탈부착 시켜 사용할 수 있고, 잉크를 이용하여 종이에 필기를 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장치를 결합시켜 필요에 따라 기능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펜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시켜 잃어버리기 쉬운 소형 물건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펜부
110 : 몸체 120 : 지지체
130 : 잉크펜 140 : 펜촉
150 : 제1고정홈 160 : 제1회전방지홈
200 : 수납부
210 : 수납체 211 : 관통홈
220 : 클립 230 : 제2고정홈
240 : 제2회전방지홈
300 : 연결부
310 : 연결체 311 : 케이블
312 : 고정돌기 320 : 연결단자
330 : usb단자 340 : 돌기홈
350 : 고정쇠 360 : 가압체
400 : 발광부
410 : LED모듈 420 : 결합체
430 : 전원공급장치 431 : 스프링
432 : 전원단자 433 : 연결대
440 : 건전지 450 : 렌즈
500 : 커버 600 : 완충부

Claims (7)

  1. 내부에 잉크펜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펜부와;
    상기 펜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수납부와;
    상기 펜부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펜부와 수납부를 연결시켜 고정하는 연결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물건이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
  2. 내부에 잉크펜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펜부와;
    상기 펜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수납부와;
    상기 펜부의 상부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펜부의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수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펜부와 상기 수납부를 결합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물건이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부면과 상기 연결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물건을 고정시켜 충격을 완화 및 소음을 방지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펜부와 상기 수납부의 외부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휴대용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의 충전포트에 결합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체의 하단에 형성되며 PC 또는 충전기에 형성된 USB포트에 결합되는 USB단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펜부 및 상기 수납부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자성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는 상기 펜부의 상부면과 상기 수납부의 하부면은 금속체로 형성되어 있어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쇠와;
    상기 펜부의 상부와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는 각각 상기 고정쇠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펜부 및 상기 수납부는 자기력에 의해 결합된 후 상기 고정쇠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내부에는 보조배터리, 변환용 젠더, 후레쉬, 메모리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
KR2020170003010U 2017-06-14 2017-06-14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 KR200491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010U KR200491950Y1 (ko) 2017-06-14 2017-06-14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010U KR200491950Y1 (ko) 2017-06-14 2017-06-14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16U true KR20180003616U (ko) 2018-12-26
KR200491950Y1 KR200491950Y1 (ko) 2020-07-08

Family

ID=6495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010U KR200491950Y1 (ko) 2017-06-14 2017-06-14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95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614Y1 (ko) 2003-10-15 2004-01-24 박성태 다기능 볼펜
KR200342301Y1 (ko) * 2003-11-05 2004-02-18 김대중 버튼체에 점멸수단을 갖는 볼펜
KR101306494B1 (ko) * 2012-10-05 2013-09-09 이철재 양쪽 스피커끼리 부착이 가능한 이어폰
KR101422692B1 (ko) * 2013-09-06 2014-07-23 (주) 이모텔리 다기능 펜형 메모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614Y1 (ko) 2003-10-15 2004-01-24 박성태 다기능 볼펜
KR200342301Y1 (ko) * 2003-11-05 2004-02-18 김대중 버튼체에 점멸수단을 갖는 볼펜
KR101306494B1 (ko) * 2012-10-05 2013-09-09 이철재 양쪽 스피커끼리 부착이 가능한 이어폰
KR101422692B1 (ko) * 2013-09-06 2014-07-23 (주) 이모텔리 다기능 펜형 메모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950Y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7304A (en) Combination of laser pointer and ballpoint pen
US6773192B1 (en) Light-emitting USB mobile disk-pen
US20080166175A1 (en) Holding and Using an Electronic Pen and Paper
CN102340955A (zh) 手写笔固定结构
US7897885B2 (en) Digitizer pen capable of utilizing solar power
US7311460B2 (en) Digital data storage device mounted in a pen shaped housing
US9884510B1 (en) Pen combination
WO2008125000A1 (fr) Stylo lumineux à del
KR101422692B1 (ko) 다기능 펜형 메모리
KR20180003616U (ko) 전원충전케이블이 내부에 장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펜
CN209971980U (zh) 一种多功能笔
JP5196839B2 (ja) 液状化粧料収納容器
CN103722949A (zh) 配有led灯的笔
WO2006081729A1 (en) A light emitting pen with led
KR100840549B1 (ko) 다기능 usb 펜
US20090129065A1 (en) Pen with magnifier
KR20170010475A (ko) 스마트 펜
KR20180001832U (ko) 보조배터리 기능을 가진 필통
KR101397475B1 (ko) 발광펜
KR101403576B1 (ko) 가루 볼펜
CN208597822U (zh) 一种夜晚会发光的化妆工具
CN202242681U (zh) 一种笔筒
CN219505768U (zh) 一种揉擦笔
US3020578A (en) Combination ink well and felt nib pen
CN207909091U (zh) 一种多功能手写笔笔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