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475B1 - 발광펜 - Google Patents

발광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475B1
KR101397475B1 KR1020130014624A KR20130014624A KR101397475B1 KR 101397475 B1 KR101397475 B1 KR 101397475B1 KR 1020130014624 A KR1020130014624 A KR 1020130014624A KR 20130014624 A KR20130014624 A KR 20130014624A KR 101397475 B1 KR101397475 B1 KR 101397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power
power supply
supply uni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현
서정은
김영섭
이지원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대에 장착되는 USB 포트 또는 USB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축전할 수 있도록 하고, 펜을 이용한 발광 필요시 전원버튼을 간단히 조작하여 축전된 전원이 펜대 내부에 설치된 램프로 공급되도록 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전원이 흐르는 각종 USB 장치를 통해 언제든지 손쉽게 전원을 공급받아 축전할 수 있고, 필요시 펜대를 파지한 손으로 전원버튼을 간단히 눌러 펜의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면서, 펜의 발광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부에 펜심(12)이 설치되고 전,후단에 전방캡(13)과 후방캡(14)이 결합되는 펜대(11)와; 상기 펜대(11)에 장착되고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부(20)와; 상기 펜대(11)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2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펜대(11)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램프(30)와; 상기 펜대(11)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램프(30)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버튼(40)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전원공급부(20)는 USB 장치와 접속하는 USB 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USB 포트(21)와; 상기 USB 포트(21)와 연결되고, USB 포트(21)에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회로(23)와; 상기 충전회로(23)와 연결되고, 충전회로(23)에 의해 충전되어 램프(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24)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발광펜{light pen}
본 발명은 펜의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펜대에 장착되는 USB 포트 또는 USB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축전할 수 있도록 하고, 펜을 이용한 발광 필요시 전원버튼을 간단히 조작하여 축전된 전원이 펜대 내부에 설치된 램프로 공급되도록 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전원이 흐르는 각종 USB 장치를 통해 언제든지 손쉽게 전원을 공급받아 축전할 수 있고, 필요시 펜대를 파지한 손으로 전원버튼을 간단히 눌러 펜의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면서, 펜의 발광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를 하기 위해 쓰이는 필기도구(이하 '펜(pen)'이라 한다.)에는 오일, 수성잉크를 넣어 만든 펜심을 펜대(pen holder) 속에 내장한 볼펜(ball pen), 사인펜(sign pen), 만년필(fountain pen) 및 직경 1mm 이하의 가는 심을 넣은 축관을 펜대 속에 내장하여 사용하는 샤프펜슬(sharp pencil)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와 같은 볼펜이나 사인펜 등의 각종 펜은 주된 필기 목적 이외에 별도의 기능을 부가하여 상품성을 높인 제품이 제조,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펜대에 향기 또는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결합하거나, 시계, 돋보기 등 각종 액세서리(accessory)를 결합한 제품들이 유통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필기기능 이외에 각종 부가기능을 갖는 펜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6664599호(2012.06.19)의 "향기 발산 조절 필기구"와,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11972호(1999.03.25)의 "필기구를 바르게 잡았는지 알려주는 자동 펜"과,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70547호(2002.03.20)의 "돋보기 렌즈가 달린 펜" 등이 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다양한 부가기능을 갖는 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실생활에 좀 더 편리하고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발광기능를 갖는 펜을 제공하고자 한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6664599호(2012.06.19) "향기 발산 조절 필기구"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11972호(1999.03.25) "필기구를 바르게 잡았는지 알려주는 자동 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70547호(2002.03.20) "돋보기 렌즈가 달린 펜"
따라서, 본 발명은 실생활에서 좀 더 편리하고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발광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펜대에 장착된 전원공급부에서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전원버튼을 간단히 눌러주어 펜대 내측에 설치된 램프를 발광시켜 펜대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발광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개인컴퓨터 단말기, 노트북, 휴대폰과 같은 USB 호스트의 USB 포트(이하 'USB 장치'라 한다.)와 접속할 수 있는 USB 포트 또는 USB 커넥터를 펜대에 장착하여 USB 장치에 흐르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축전할 수 있도록 하고, 펜을 이용한 발광 필요시 전원버튼을 간단히 조작하여 축전된 전원이 펜대 내부에 설치된 램프로 공급되도록 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발광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펜심이 설치되고 전,후단에 전방캡과 후방캡이 결합되는 펜대와; 상기 펜대에 장착되고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펜대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펜대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램프와; 상기 펜대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버튼;을 포함하는 발광펜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 전원이 흐르는 USB 장치와 접속하는 USB 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USB 포트와; 상기 USB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USB 포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회로와; 상기 충전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충전회로에 의해 충전되어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 전원이 흐르는 USB 장치와 직접 접속하여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USB 커넥터와; 상기 USB 커넥터와 연결되고, 상기 USB 커넥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회로와; 상기 충전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충전회로에 의해 충전되어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램프의 양극단자 및 음극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상기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양극체와 음극체가 각각 접속되어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에 있어서, 상기 USB 커넥터는 상기 펜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펜대의 내부에서 외부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펜에 의하면, 외부 전원을 펜대에 장착된 전원공급부로 공급받고 전원버튼을 눌러 펜대 내측에 설치된 램프를 발광시켜 펜대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기 기능과 함께 실생활에 좀 더 편리하고 유익한 발광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펜대에 장착되는 USB 포트 또는 USB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축전할 수 있도록 하고, 펜을 이용한 발광 필요시 전원버튼을 간단히 조작하여 축전된 전원이 펜대 내부에 설치된 램프로 공급되도록 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전원이 흐르는 각종 USB 장치를 통해 언제든지 손쉽게 전원을 공급받아 축전할 수 있고, 필요시 펜대를 파지한 손으로 전원버튼을 간단히 눌러 펜의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면서, 펜의 발광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은 망간, 알카리, 수은전지와 같은 1 차 전지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10)에 있어서, 전원공급부(2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10)에 있어서, 전원공급부(2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에 있어서, 전원공급부(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펜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것인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펜심(12)이 설치되고 전,후단에 전방캡(13)과 후방캡(14)이 결합되는 펜대(11)와; 상기 펜대(11)에 장착되고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부(20)와; 상기 펜대(11)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2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펜대(11)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램프(30)와; 상기 펜대(11)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램프(30)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버튼(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펜대(11)와 전원공급부(20) 및 램프(30)와 전원버튼(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펜(10)은 펜대(11)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파지하여 필기를 할 수 있고, 필요시 펜대(11)를 파지한 손의 엄지나 검지를 이용하여 펜대(11) 외면 일측에 결합된 전원버튼(40)을 간단히 눌러주면 펜대(11) 내측의 램프(30)가 전원공급부(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펜대(11)의 외부로 빛을 발산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펜(1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광펜(10)은 내부에 필기를 위한 펜심(12)이 설치되고 전단과 후단에 전방캡(13)과 후방캡(14)이 각각 결합되는 펜대(11)가 구비된다.
상기 펜대(11)는 후방캡(14)의 누름 동작에 따라 내부의 펜심(12)이 전,후진하여 전방캡(13)의 선단부 구멍으로 펜심(12)의 선단부가 출몰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펜대(11)에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부(20)가 구비되는 바, 전원공급부(20)는 펜대(11) 내부에 설치된 펜심(12)의 전,후진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구성으로 상기 펜대(11)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0)가 위치하는 펜대(11) 외면부는 펜대(11)의 다른 외면부 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전원공급부(20)가 위치하는 펜대(11) 외면부에는 전원공급부(20)를 외부로 노출 또는 인출입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를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20)는 손으로 펜대(11)를 파지하는데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10)은 전원공급부(2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펜대(11)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램프(30)가 펜대(11)의 내측에 구비된다.
펜대(11) 내측에 설치되는 램프(30)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갖고 전원공급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램프(30)는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램프(30)는 펜대(11)의 전방캡(13) 인접부에 위치되도록 설치하고 전방캡(13)에는 램프(30)의 빛이 통과하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방캡(13)을 투명재질로 구성하여 램프(30)의 빛이 펜대(11)의 전방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램프(30)의 설치는 펜대(11)의 외면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은 램프(30)의 설치위치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형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10)은 램프(30)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버튼(40)이 펜대(11) 외면 일측에 구비된다.
전원버튼(40)은 전원공급부(20)와 램프(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펜대(11)의 외면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전원버튼(40)의 설치위치는 펜대(11)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또는 검지로 간단히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버튼(40)은 푸시버튼 스위치가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10)에 있어서, 전원공급부(2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펜(10)에 있어서, 전원공급부(20)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개인컴퓨터 단말기, 노트북, 휴대폰과 같은 외부 전원이 흐르는 USB 호스트의 USB 포트(이하 'USB 장치'라 한다.)와 접속하는 USB 케이블(도시생략)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USB 포트(21)와; 상기 USB 포트(21)와 연결되고, USB 포트(21)에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회로(23)와; 상기 충전회로(23)와 연결되고, 충전회로(23)에 의해 충전되어 램프(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USB 포트(21)와 충전회로(23) 및 축전지(24)로 구성될 수 있는 전원공급부(20)는 외부 전원이 흐르는 USB 장치와 접속하는 USB 케이블을 본 발명 발광펜(10)의 펜대(11)에 설치된 USB 포트(21)에 접속하여 외부 전원이 충전회로(23) 및 축전지(24)를 통해 램프(30)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10)에 있어서, 전원공급부(2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펜(10)에 있어서, 전원공급부(20)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USB 장치와 직접 접속하여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USB 커넥터(22)와; 상기 USB 커넥터(22)와 연결되고, 상기 USB 커넥터(22)에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회로(23)와; 상기 충전회로(23)와 연결되고, 상기 충전회로(23)에 의해 충전되어 상기 램프(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USB 커넥터(22)와 충전회로(23) 및 축전지(24)로 구성될 수 있는 전원공급부(20)는 USB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USB 커넥터(22)를 직접 USB 장치에 접속하여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USB 커넥터(22)는 슬라이딩 방식 또는 원터치 방식으로 펜대(11) 내부에서 외부로 출몰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며, 펜대(11)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USB 커넥터(22)의 출몰구조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외부 누름판을 이용한 슬라이딩 방식 또는 내부 스프링을 이용한 원터치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출몰 방식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USB 포트(21) 또는 USB 커넥터(22)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충전하고 축전하는 충전회로(23) 및 축전지(24)의 구성과 작용 또한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10)에 있어서, 전원공급부(20)의 충전회로(23)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플래시 메모리와; USB 포트(21) 또는 USB 커넥터(22) 및 플래시 메모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발광펜(10)의 발광 기능과 더불어 USB 드라이브의 기능을 갖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원공급부(20)의 충전회로(23)에는 축전지(24)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충전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에 있어서, 전원공급부(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펜(10)에 있어서, 전원공급부(20)는, 램프(30)의 양극단자 및 음극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단자(26) 및 제2 단자(27)와; 상기 제1 단자(26) 및 제2 단자(27)에 양극체와 음극체가 각각 접속되어 상기 램프(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25)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단자(26)와 제2 단자(27) 및 건전지(25)로 구성될 수 있는 전원공급부(20)는 망간, 알카리, 수은전지와 같은 1차 전지의 전원을 램프(3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건전지(25)는 부피가 작은 수은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10)은 외부 전원을 펜대(11)에 장착된 전원공급부(20)로 공급받고 펜대(11)를 파지한 손으로 전원버튼(40)을 간단히 눌러 펜대(11) 내측에 설치된 램프(30)를 발광시켜 펜대(11)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10)은 펜대(11)에 장착되는 USB 포트(21) 또는 USB 커넥터(22)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축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전원이 흐르는 각종 USB 장치를 통해 언제든지 손쉽게 전원을 공급받아 축전할 수 있게 되어 발광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펜(10)은 건전지(25)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발광펜, 11:펜대, 12:펜심, 13:전방캡, 14:후방캡
20:전원공급부, 21:USB 포트, 22:USB 커넥터, 23:충전회로, 24:축전지, 25:건전지, 26:제1 단자, 27:제2 단자
30:램프
40:전원버튼

Claims (5)

  1. 내부에 펜심이 설치되고 전,후단에 전방캡과 후방캡이 결합되는 펜대;
    상기 펜대에 장착되고 외부 전원이 공급되되, 외부 전원이 흐르는 USB 장치와 직접 접속하여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USB 커넥터, 상기 USB 커넥터와 연결되고, 상기 USB 커넥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회로, 상기 충전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충전회로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지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부;
    상기 펜대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펜대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인 램프;
    상기 펜대 외측에 설치되는 푸쉬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USB 커넥터는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펜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펜대의 내부에서 외부로 출몰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원공급부가 위치하는 펜대의 외면부가 펜대의 다른 외면부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가 위치하는 펜대의 외면부에 상기 전원공급부의 외부 노출 또는 인출입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충전회로에 상기 USB 커넥터에 접속되는 저장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플래시 메모리와, 상기 USB 커넥터 및 플래시 메모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가 포함되어 발광 기능과 더불어 USB 드라이브의 기능을 갖게 되는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부의 충전회로에 상기 축전지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충전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14624A 2013-02-08 2013-02-08 발광펜 KR101397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624A KR101397475B1 (ko) 2013-02-08 2013-02-08 발광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624A KR101397475B1 (ko) 2013-02-08 2013-02-08 발광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475B1 true KR101397475B1 (ko) 2014-05-20

Family

ID=5089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624A KR101397475B1 (ko) 2013-02-08 2013-02-08 발광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4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768A (ko) 2017-05-10 2018-11-20 우용성 다기능 필기구
KR20230045963A (ko) * 2021-09-29 2023-04-05 최민철 조명을 구비하는 연필깍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1577U (ko) * 1990-02-01 1991-10-23
KR200306928Y1 (ko) * 2002-11-23 2003-03-11 김홍연 발광 샤프 펜슬
US7029193B1 (en) * 2005-03-02 2006-04-18 Henry Chao Minidrive pen with laser and illuminating function
KR20110002710U (ko) * 2009-09-10 2011-03-16 홍인철 메모지없이 메모가 가능한 필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1577U (ko) * 1990-02-01 1991-10-23
KR200306928Y1 (ko) * 2002-11-23 2003-03-11 김홍연 발광 샤프 펜슬
US7029193B1 (en) * 2005-03-02 2006-04-18 Henry Chao Minidrive pen with laser and illuminating function
KR20110002710U (ko) * 2009-09-10 2011-03-16 홍인철 메모지없이 메모가 가능한 필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768A (ko) 2017-05-10 2018-11-20 우용성 다기능 필기구
KR20230045963A (ko) * 2021-09-29 2023-04-05 최민철 조명을 구비하는 연필깍지
KR102612364B1 (ko) * 2021-09-29 2023-12-11 최민철 조명을 구비하는 연필깍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475B1 (ko) 발광펜
CN200984897Y (zh) 带led灯的多功能笔
US20140085248A1 (en) Double head stylus having light pointer
US6719473B1 (en) Light emitting pen for illumination at night and for writting
CN103722949A (zh) 配有led灯的笔
CN207938223U (zh) 一种教学用激光笔
CN202573472U (zh) 月光笔
CN205853696U (zh) 一种多用笔
CN201099091Y (zh) 带手电的多用圆珠笔
CN201033511Y (zh) 多功能夜书笔
TWM398069U (en) Wind powered illumination and charging device
CN201698371U (zh) 便携式鼠标笔
JP2011003108A (ja) ライトペン
CN201984443U (zh) 一种手写笔及使用手写笔的移动终端
CN220390819U (zh) 多功能医用笔
KR20090010483U (ko) 발광 고형 도포구
CN202541083U (zh) 发光圆珠笔
CN212160718U (zh) 一种带有翻页笔功能的u盘
TWM463389U (zh) 兼具觸控與提供光源功能的複合式筆具
RU99380U1 (ru) Ручка "фея" для письма с подсветкой нижней части корпуса
CN202976011U (zh) 红外线电子白板书写笔
CN202088728U (zh) 一种带有led发光的笔
CN210110084U (zh) 教学用多功能激光笔
CN2467330Y (zh) 电光笔
CN104417179A (zh) 一种带照明和时间显示功能的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