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607U - 노트북 거치대 - Google Patents

노트북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607U
KR20180003607U KR2020170003025U KR20170003025U KR20180003607U KR 20180003607 U KR20180003607 U KR 20180003607U KR 2020170003025 U KR2020170003025 U KR 2020170003025U KR 20170003025 U KR20170003025 U KR 20170003025U KR 20180003607 U KR20180003607 U KR 201800036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book
base plate
fitting groove
inclined memb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403Y1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신영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목재 filed Critical (주)신영목재
Priority to KR2020170003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0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6Cooling means comprising thermal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2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20
    • G06F2200/202Air convective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사부재와 지지부재가 베이스판과 착탈식으로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노트북 사용시에는 신속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베이스판로부터 경사부재 및 지지부재를 분리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노트북 거치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노트북 거치대{NOTEBOOK COMPUTER STAND}
본 고안은 노트북이 안착되는 판 형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경사부재 끼움홈과;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끼움홈과;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에 끼움되어 상기 베이스판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하여 노트북의 뒷면을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높여줌으로써 노트북 모니터의 위치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끼움홈에 끼움되어 상기 베이스판에 안착되는 노트북의 하부를 지지하여 노트북이 베이스판 상에서 거치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부재와 지지부재가 베이스판과 착탈식으로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노트북 사용시에는 신속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베이스판로부터 경사부재 및 지지부재를 분리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 간편한 이유로 인하여 노트북, 넷북 등의 전자기기의 보급이 늘어나서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노트북은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를 약칭한 것으로서, 개인이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노트 크기로 축소하여 제작된 컴퓨터를 말한다. 상기한 노트북은 그 제작 특성을 통해 휴대하면서 필요시 언제 어디서든 문서작성 및 정보의 입, 출력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노트북은 키보드와 모니터가 붙어서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사용시에 노트북 모니터가 너무 낮아서 자세를 구부리거나 시선을 아래쪽에 두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노트북을 책상에 내려놓고 영화감상이나 인터넷 강의 수강 또는 서핑 등을 장시간 할 경우 거북목, 어깨결림 현상 등 몸이 불편해지며 인체에 전자기기가 가까울수록 전자파에 더 쉽게 노출되므로 유익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트북 거치대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노트북 거치대는 상기 노트북 배면을 지지하는 거치판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판은 경사지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노트북 화면을 정면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노트북 거치대와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456534호(명칭: 노트북 거치대)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노트북 거치대는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 및 설치가 어렵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노트북에 연결하는 전원선과 인터넷 선 등의 선 정리를 할 수 있는 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노트북 거치대는 무게가 무겁고, 공간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노트북의 하면을 전제적으로 접촉하여 지지하는 구성을 가지는 노트북 거치대의 경우, 노트북의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별도의 냉각팬을 노트북 거치대에 설치하여야 하고, 냉각팬을 전원선을 연결하여 구동시켜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전원에너지가 필요하게 되어, 구입비용은 물론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노트북 사용시 신속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노트북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미사용시 부품을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휴대,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노트북 사용시 방출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노트북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노트북이 안착되는 판 형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경사부재 끼움홈과;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끼움홈과;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에 끼움되어 상기 베이스판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하여 노트북의 뒷면을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높여줌으로써 노트북 모니터의 위치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끼움홈에 끼움되어 상기 베이스판에 안착되는 노트북의 하부를 지지하여 노트북이 베이스판 상에서 거치되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부재와 지지부재가 베이스판과 착탈식으로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노트북 사용시에는 신속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베이스판로부터 경사부재 및 지지부재를 분리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베이스판은 다단으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는 노트북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하기 위한 방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장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은 소정길이와 폭으로 절개된 복수의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은 노트북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경사부재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부로부터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 모서리가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에 끼움되는 경사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부재를 바닥면에 놓고 베이스판의 후방에서 경사부재 끼움홈에 경사판의 상단 모서리를 끼워 고정하면 베이스판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져 노트북 본체의 저면 상부를 지지하여 노트북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하되, 노트북 거치시 맞닿는 면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모서리가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끼움홈에 끼움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노트북의 단부에 밀착되어 노트북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상의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단과 하단의 모서리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지지부재 끼움홈에 삽입될 때 상부로 돌출되는 폭이 상이하도록 하여 노트북 본체의 두께에 따라 지지되는 면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베이스판과, 경사부재 및 지지부재는 목재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노트북 사용시 눈 높이를 올려주어 자세 교정의 효과가 있고, 장시간 노트북 사용에 적합하도록 경사지게 거치시켜 허리와 손목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경사부재와 지지부재가 베이스판과 착탈식으로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노트북 사용시 누구나 쉽게 신속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베이스판으로부터 경사부재 및 지지부재를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베이스판과 경사부재 및 지지부재가 경량 재질로 이루어져 운반이나 이동이 용이하며, 베이스판 상에 방열홈을 형성하여 노트북 사용시 방출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5 내지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의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노트북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노트북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누구나 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량 재질로 이루어져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기존의 노트북 거치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노트북이라 함은 본체와 모니터가 힌지결합된 통상의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를 지칭하나, 노트북과 같이 지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단말기기(예를 들어 태블릿PC)도 해당될 수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는 베이스판(100)과, 경사부재(200)와, 지지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100)은 노트북(N)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각 또는 직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소정두께의 판재이다.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의 경사부재 끼움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에는 베이스판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하는 경사부재(200)가 끼움된다.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의 지지부재 끼움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 끼움홈에는 노트북의 하부를 지지하여 노트북이 베이스판 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는 지지부재(300)가 끼움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경사부재(200)는 경사부재 끼움홈(110)에 끼움되어 베이스판(100)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하여 노트북(N)을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경사지게 높여줌으로써 노트북 모니터의 각도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도 2 내지 3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하부에서 경사부재 끼움홈(110)에 경사부재(200)가 끼움되어 베이스판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부재 끼움홈(1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장홀일 수 있고, 경사부재(200)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판형의 하판(210)과, 상기 하판의 상단에 형성되는 "∧"자 형상의 경사판(220)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00)는 바닥면에 안착되어 경사판(220)의 상단 모서리가 베이스판의 후방에서 경사부재 끼움홈(110)에 끼워져 베이스판(100)을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경사판(220)은 경사부재가 경사부재 끼움홈(110) 내부에서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경사부재 끼움홈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판(210)은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베이스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경사판과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110)은 노트북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다단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 열로 배열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2개의 경사부재 끼움홈(110)이 상하로 소정간격으로 배열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판(220)의 상단 모서리가 상측의 경사부재 끼움홈에 끼워질 때보다 하측의 경사부재 끼움홈에 끼워질 때 지면과 베이스판(100)이 이루는 각도가 더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2개의 경사부재 끼움홈 가운데 하나의 경사부재 끼움홈에 상기 경사판을 끼워 노트북을 원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의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는 베이스판(400)과, 경사부재(500) 및 지지부재(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부재 끼움홈(410)은 소정길이와 폭으로 절개된 복수의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경사부재(500)는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는 상기 경사부재, 즉 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의 판재를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에 수직으로 끼움결합하여 상기 경사부재(500)의 상단 모서리가 노트북(N) 본체의 바닥면을 지지하여 노트북이 거치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경사부재(500)는 노트북 거치시 맞닿는 면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단 모서리가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410)은 노트북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 다단으로 복수 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경사부재 끼움홈을 복수 열로 형성하여 노트북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구성은 위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600)는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재 끼움홈(420)에 끼움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바로 이루어지되, 지지부재 끼움홈에 삽입되었을 때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노트북의 단부에 밀착되면서 노트북을 지지하므로 밀착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600)는 상단과 하단의 모서리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측 모서리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면, 지지부재 끼움홈에 삽입되었을 때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노트북 본체의 두께에 따라 밀착되는 면적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서 상기 베이스판(100,400)은 휴대,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다단으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8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3개의 패널(이하 상부패널, 중간패널, 하부패널)이 상하 다단으로 조립되어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상기 중간패널(102)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파인 슬라이딩 끼움홈이 형성되거나 상부로 돌출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하단에는 끼움돌기 또는 슬라이딩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패널(101)의 하단에는 상기 중간패널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홈에 슬라이딩 끼움되어 중간패널과 체결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하부패널(103)의 상단에는 상기 중간패널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슬라이딩 끼움되는 슬라이딩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패널(101)의 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자 형상의 끼움돌기(140)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패널(102)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자 형상의 끼움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패널(101)과 중간패널(102), 그리고 중간패널(102)과 하부패널(103)이 "┻"자 형상의 끼움돌기와 끼움홈를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결합되면 상부패널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돌기의 "━"자 바가 중간패널의 끼움홈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하는 형태가 되므로 결속력을 확보하여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 4 및 8과 같이 상부패널(101,401)과 중간패널(102,402) 및 하부패널(103,403)이 조립,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노트북 사용시에는 신속하게 조립하여 노트북을 거치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복수의 패널로 분리하여 용이하게 휴대하거나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판의 일측에는 노트북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하기 위한 방열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기존의 노트북 거치대 중에서 노트북의 하면을 전제적으로 접촉하여 지지하는 구성을 가지는 노트북 거치대의 경우 노트북의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별도의 냉각팬을 노트북 거치대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냉각팬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노트북 거치대, 즉 본 고안의 베이스판의 면적이 더 넓어져야 하므로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제품의 부피가 더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판(100) 상에 방열홈(130)을 형성함으로써 노트북(N) 사용시 방출되는 열이 효율적으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베이스판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세워져 있으므로 베이스판 후방의 공기가 방열홈 내부로 투입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노트북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노트북 거치대로 열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는 경량화를 위해 상기 베이스판(100,400)과, 경사부재(200,500) 및 지지부재(300,600)가 목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노트북 거치대는 주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재질로 형성되어 무겁고 열전도율이 비교적 높아 신체와 접촉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는 목재 재질(예를 들어 편백나무나)로 이루어져 열전달이 적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고, 자외선을 흡수하여 눈의 피로감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화학 가공을 하지 않은 저온건조된 천연목재를 통해 베이스판과 경사부재 및 지지부재를 제조하면 오랜시간이 경과해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피톤치드와 향을 발산할 수 있다. 피톤치드(phytoncide)는 수목이 각종 병원균, 해충 및 세균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공기 중에 발산하는 천연 항균물질로서, 주성분인 트로폴론(tropolone) 계통의 유기화합물이 살균, 항균, 진정, 탈취, 스트레스 해소,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의 면역기능증대, 집먼지 진드기 퇴치 및 기피효과 등 인체에 유익한 장점이 있다. 편백나무는 이러한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양이 가장 큰 수목으로 알려져 있어서, 이를 적용한 제품들(예를 들어 베개)이 제조되고, 삼림욕을 위해 편백나무 숲이 조성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효능이 있는 편백나무를 통해 제조된 베이스판과 경사부재 및 지지부재를 통해 노트북 거치대로 조립하여 노트북 사용시에는 노트북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고, 노트북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예를 들어 베이스판에 수분을 공급하여 다량의 피톤치드를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경사부재와 지지부재가 베이스판과 착탈식으로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노트북 거치대로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쉽게 분리하여 보관하거나 조립된 상태에서 수분을 공급하여 실내에서도 다량의 피톤치드를 흡수할 수 있는 현저한 장점이 있다.
100 : 베이스판
110 : 경사부재 끼움홈
120 : 지지부재 끼움홈
130 : 방열홈
140 : 끼움돌기
150 : 끼움홈
200 : 경사부재
210 : 하판
220 : 경사판
300 : 지지부재
400 : 베이스판
410 : 경사부재 끼움홈
420 : 지지부재 끼움홈
500 : 경사부재
600 : 지지부재
N : 노트북

Claims (11)

  1. 노트북이 안착되는 판 형의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경사부재 끼움홈(110)과;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끼움홈(120)과;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에 끼움되어 상기 베이스판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하여 노트북의 뒷면을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높여줌으로써 노트북 모니터의 위치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경사부재(200)와;
    상기 지지부재 끼움홈에 끼움되어 상기 베이스판에 안착되는 노트북의 하부를 지지하여 노트북이 베이스판 상에서 거치되도록 하는 지지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부재와 지지부재가 베이스판과 착탈식으로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노트북 사용시에는 신속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베이스판로부터 경사부재 및 지지부재를 분리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다단으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는 노트북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하기 위한 방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장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은 소정길이와 폭으로 절개된 복수의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은 노트북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부로부터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 모서리가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에 끼움되는 경사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부재를 바닥면에 놓고 베이스판의 후방에서 경사부재 끼움홈에 경사판의 상단 모서리를 끼워 고정하면 베이스판이 지면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경사부재 끼움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져 노트북 본체의 저면 상부를 지지하여 노트북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하되,
    노트북 거치시 맞닿는 면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모서리가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끼움홈에 끼움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노트북의 단부에 밀착되어 노트북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상의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단과 하단의 모서리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지지부재 끼움홈에 삽입될 때 상부로 돌출되는 폭이 상이하도록 하여 노트북 본체의 두께에 따라 지지되는 면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과, 경사부재 및 지지부재는 목재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KR2020170003025U 2017-06-14 2017-06-14 노트북 거치대 KR200489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025U KR200489403Y1 (ko) 2017-06-14 2017-06-14 노트북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025U KR200489403Y1 (ko) 2017-06-14 2017-06-14 노트북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07U true KR20180003607U (ko) 2018-12-24
KR200489403Y1 KR200489403Y1 (ko) 2019-06-12

Family

ID=6495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025U KR200489403Y1 (ko) 2017-06-14 2017-06-14 노트북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03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771U (ja) * 2010-11-24 2011-02-03 操 佐々木 折畳式携帯書見台
KR20120094245A (ko) * 2011-02-16 2012-08-24 (주)뉴디아인덱스 접철식 독서대
KR20130003298U (ko) * 2011-11-25 2013-06-04 주식회사에이엠 휴대폰 거치가 가능한 탁상용 메모보드
JP3186271U (ja) * 2013-07-17 2013-09-26 株式会社トップ・ギア 携帯電話スタンド
JP2014165598A (ja) * 2013-02-22 2014-09-08 Seiwa Material:Kk 携帯情報端末機器の簡易スタンド
JP2016083341A (ja) * 2014-10-28 2016-05-19 田中 正明 書見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771B2 (ja) * 1993-12-28 2001-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の運転状態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771U (ja) * 2010-11-24 2011-02-03 操 佐々木 折畳式携帯書見台
KR20120094245A (ko) * 2011-02-16 2012-08-24 (주)뉴디아인덱스 접철식 독서대
KR20130003298U (ko) * 2011-11-25 2013-06-04 주식회사에이엠 휴대폰 거치가 가능한 탁상용 메모보드
JP2014165598A (ja) * 2013-02-22 2014-09-08 Seiwa Material:Kk 携帯情報端末機器の簡易スタンド
JP3186271U (ja) * 2013-07-17 2013-09-26 株式会社トップ・ギア 携帯電話スタンド
JP2016083341A (ja) * 2014-10-28 2016-05-19 田中 正明 書見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03Y1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9499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cooling an electronic device
US11608931B2 (en) Adjustable stand for computing device
USD888714S1 (en) Keyboard base for portable computer
KR101690125B1 (ko) 공간 활용도를 높인 피씨방용 컴퓨터 책상
US8027155B2 (en) Computer attachable to an undersurface of a desk
US11254489B2 (en) Shower door glass pane packaging assembly
US20060164806A1 (en) Extendable and recievable heat-dissipating base set for notebooks
US5121974A (en) Computer desk apparatus
US20120134110A1 (en) Server cabinet and server system using the same
US6056256A (en) Method for separating electronic equipment modules using spacer devices
US20050227608A1 (en) Fan mounting structure
US7008028B2 (en) Corner computer workcenter
KR200489403Y1 (ko) 노트북 거치대
US7545637B2 (en) Supporting frame for notebook computer
US20150235532A1 (en) Tablet stan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10198037B2 (en) Low profile auxiliary component mounting article
US20090126904A1 (en) Thermal module allowing adjustment in the height of heat sink relative to fixing rack
CA2835982A1 (en) Drive array
CN205093832U (zh) 一种多功能办公用的电脑桌
US20120018395A1 (en) Organizer/Storage System that Mounts on Top of a Computer Workstation
CN206414018U (zh) 一种易装卸的多功能组合书柜
US905884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hard disk frame
CN104287449A (zh) 一种组合式红木桌子
KR102096665B1 (ko) 컴퓨터 책상
US20070001082A1 (en) Support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