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398A -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398A
KR20180003398A KR1020160164176A KR20160164176A KR20180003398A KR 20180003398 A KR20180003398 A KR 20180003398A KR 1020160164176 A KR1020160164176 A KR 1020160164176A KR 20160164176 A KR20160164176 A KR 20160164176A KR 20180003398 A KR20180003398 A KR 20180003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team
cover
discharge hole
steam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8175B1 (ko
Inventor
이준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03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커버에 설치되어 증기를 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증기배출구와 상기 증기배출구의 증기배출공 끝단에 구비되는 압력추와 상기 압력추를 감싸도록 내부홈이 형성된 압력추커버와 상기 압력추커버 외주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압력스프링이 설치되는 압력스프링하우징과 상기 압력추커버에서 외부배출공까지 증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증기배출통로와 상기 압력추커버의 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력추커버를 밀어올리도록 힌지 결합된 누름패널과 상기 누름패널이 작동되도록 결합된 조건부제어장치; 그리고, 상기 조건부제어장치에 전기접점을 제어하는 압력센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A steam exhausting device of electric pressure cooker)}
본 발명은 전기 압력 취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 증기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배출 증기 온도 및 소음을 겸감 시킬 수 있는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압력밥솥은 전기를 가열원으로 사용하여 취사작용을 행하며, 밥솥내부를 고압으로 유지하여 가열온도를 정상기압에서 보다 높게 함으로써 취사공정을 신속히 이루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 배출장치는 덮개에 설치되어,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증기가 외부로 배출 되도록 하여,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 압력밥솥의 신호추는 배출되는 증기압에 의해 대단히 뜨거워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손으로 만지기가 그리 쉽지 않다. 특히 유아나 아동들에게는 그 신호추가 호기심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압력밥솥 내의 증기압 배출장치의 구성은 뜨거워진 신호추를 직접 조작자가 만지지 않고도 연동하는 결합된 구성요소에 의해 증기압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으로부터 해소될 수 있지만 이러한 장치에 고장이 발생되면 작동이 원할치 못하게 되어 원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생산자쪽에서는 원가상승을, 구매자쪽에서는 구입비상승 및 수리비용 발생 등이 초래되어 오히려 구매의욕을 저하시키게 하는 문제점을 낳게 할 수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2050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될 것으로, 압력 취사도구 커버 내부에 설치된 방열장치와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여 조건부로 증기를 배출하여 증기 배출시 발생되는 온도 및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커버에 설치되어 증기를 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증기배출구; 상기 증기배출구의 증기배출공 끝단에 구비되는 압력추; 상기 압력추를 감싸도록 내부홈이 형성된 압력추커버; 상기 압력추커버 외주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압력스프링이 설치되는 압력스프링하우징; 상기 압력추커버에서 외부배출공까지 증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증기배출통로; 상기 압력추커버의 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력추커버를 밀어올리도록 힌지 결합된 누름패널; 상기 누름패널이 작동되도록 결합된 조건부제어장치; 그리고, 상기 조건부제어장치에 전기접점을 제어하는 압력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조건부제어장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증기배출구를 통과한 증기가 이동하는 증기배출통로에 방열판을 설치하여 배출증기의 온도를 경감시킨다.
상기 조건부제어장치는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증기압력이 제어 압력 이상일 때 누름패널을 회전시켜 압력추커버를 밀어올림으로써, 증기의 압력에 의해 압력추가 개방되어 증기를 배출시켜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건부제어장치는 누름패널을 회전시켜 증기를 배출시킨 후,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증기압력이 제어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누름패널을 원위치시켜 압력스프링하우징에 설치된 압력스프링에 의해 압력추커버가 아래로 당겨짐에 따라 압력추가 증기배출공을 닫아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압력 센서를 통해 실시간 측정된 증기압력이 제어 압력 이하일 때는 조건부 제어장치를 통해서 증기배출구의 압력추가가 증기 배출을 차단하고, 제어 압력 이상일 때는 압력추가 개방되어 증기를 배출하도록 하여 제어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되는 증기는 배출과정에서 방열판을 거치면서 온도가 경감되고, 최종 배출구까지의 구조적 공간을 통해 증기 체류시간을 늘려서 증기배출속도를 저하시켜 소음이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커버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가 배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커버(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커버(100)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11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가 배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110)는 내부에 증기배출공(310)이 형성된 증기배출구(300)와 증기배출구(300)의 증기배출공(310) 끝단에 구비되는 압력추(320)와 압력추(320)를 감싸도록 내부홈이 형성된 압력추커버(330)와 압력추커버(330) 외주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압력스프링(350)이 설치되는 압력스프링하우징(340)과 압력추커버330)에서 외부배출공(420)까지 증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증기배출통로(400)와 압력추커버(330)의 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력추커버(330)를 밀어올리도록 힌지 결합된 누름패널(220)과 누름패널(220)이 작동되도록 결합된 조건부제어장치(210) 그리고, 조건부제어장치(210)에 전기접점을 제어하는 압력센서(200)로 구성된다.
증기배출구(30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증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증기배출공(310)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압력추(320)가 놓여 구성된다.
압력추(320)는 증기배출공(310)의 상부를 막아 증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압력밥솥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가 압력센서(200)의 측정에 따라 제어압력 아래일 경우 압력추(320)는 증기배출공(310)을 계속 막고 있게 되며, 제어압력 이상일 경우는 조건부제어장치(210)에 의해 누름패널(220)이 회전하게 되면서, 압력스프링하우징(340)을 밀어올림으로써, 압력추(320)가 개방되어 고온의 증기가 빠져나가게 된다.
압력추커버(330)는 내부 수용홈에 압력추(32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압력추커버(330)의 턱과 외주면에는 압력스프링하우징(340)이 형성되며, 압력스프링하우징(340)의 내부홈에는 압력스프링(350)이 설치된다.
압력스프링(350)의 하부는 압력추커버(330)에 지지되고, 상부는 압력스프링하우징(340)의 내부홈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이렇게 압력스프링(350)이 설치되는 것은 압력밥솥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가 빠져나가 제어압력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조건부제어장치(210) 및 누름패널(220)이 원위치로 가게 되고, 압력스프링(350)에 의해 압력추커버(330)를 아래로 밀어냄으로써, 압력추커버(350)의 내부홈에 구비된 압력추(320)가 증기배출공(310)을 막아 증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압력추(320)와 압력추커버(330)를 빠져나간 증기는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110)의 내부에 형성된 증기배출통로(400)를 통해 외부배출공(420)을 통해 외부로 완전히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빠져나가는 고온의 증기는 증기배출통로(400)에 설치된 방열판(410)에 의해 배출되는 증기의 온도를 경감시키게 되며, 증기배출통로(400)를 최대한 길게 형성함으로써 외부배출공(42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증기의 온도를 최대한 낮추게 하여 배출 증기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누름패널(220)은 압력추커버(33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조건부제어장치(210)에 의해 일정한 회전반경을 가지게 된다.
조건부제어장치(210)는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커버(100)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센서(200)의 압력밥솥 내부의 압력 측정값에 따라 작동된다.
즉, 압력센서(200)에서 측정된 값이 제어압력 이상일 경우 조건부제어장치(210)가 작동하여 누름패널(220)을 밀어 일정간격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된 누름패널(2200이 압력추커버(330)를 밀어 올림으로써 압력추(320)가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건부제어장치(210)는 일례로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력밥솥에 잘 씻은 쌀을 넣고 취사를 하게 되면, 취사공정 중에 고온의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온의 증기가 발생하면 커버에 설치되어있는 압력센서(200)에 의해 압력값을 측정하게 되고, 압력값이 제어압력을 넘어서게 되면, 압력센서(200)는 조건부제어장치(210), 즉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켜 누름패널(220)을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고, 누름패널(220)의 회전에 따라 압력스프링하우징(340)을 밀어올림으로써, 압력추(320)가 개방되게 되어 증기가 압력추커버(330)를 빠져나가 증기배출통로(400)를 통과하여 외부배출공(420)을 통해 외부로 완전히 빠져나가게 된다.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가 증기가 빠져나가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압력추커버(330)를 빠져나간 증기는 증기배출통로(400)로 들어서게 되고, 증기배출통로(400)에는 방열판(41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온의 증기가 방열판(410)에 의해 온도가 경감되고, 길게 형성된 증기배출통로(400)를 이동하면서 온도는 더 떨어지게 되어 외부배출공(420)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110)의 온도 및 소음 경감은 증기 배출 장치에 따라 방열장치와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여 조건부 배출을 함으로써, 기존의 전기 압력밥솥 배출증기 온도 및 소음인 100℃, 90dB에서 80℃, 80dB로 각각 20%, 10% 만큼 배출증기의 온도 및 소음이 경감되어 전기 압력밥솥의 고온 증기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증기 제어에 관련된 요소기능의 작동정밀도와 신뢰성이 고도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버
110: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
200: 압력센서
210: 조건부 제어장치
220: 누름패널
300: 증기배출구
310: 증기배출공
320: 압력추
330: 압력추커버
340: 압력스프링하우징
350: 압력스프링
400: 증기배출통로
410: 방열판
420: 외부배출공

Claims (5)

  1.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커버에 설치되어 증기를 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증기배출구;
    상기 증기배출구의 증기배출공 끝단에 구비되는 압력추;
    상기 압력추를 감싸도록 내부홈이 형성된 압력추커버;
    상기 압력추커버의 턱과 외주면에 걸처 설치되고, 내부에 압력스프링이 설치되는 압력스프링하우징;
    상기 압력추커버에서 외부배출공까지 증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증기배출통로;
    상기 압력추커버의 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력추커버를 밀어올리도록 힌지 결합된 누름패널;
    상기 누름패널이 작동되도록 결합된 조건부제어장치; 그리고,
    상기 조건부제어장치에 전기접점을 제어하는 압력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제어장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구를 통과한 증기가 이동하는 증기배출통로에 방열판을 설치하여 배출증기의 온도를 경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제어장치는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증기압력이 제어압력 이상일 때 누름패널을 회전시켜 압력추커버를 밀어올림으로써, 증기의 압력에 의해 압력추가 개방되어 증기를 배출시켜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
  5. 제 1항 및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제어장치는 누름패널을 회전시켜 증기를 배출시킨 후,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증기압력이 제어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누름패널을 원위치시켜 압력스프링하우징에 설치된 압력스프링에 의해 압력추커버가 아래로 당겨짐에 따라 압력추가 증기배출공을 닫아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

KR1020160164176A 2016-06-30 2016-12-05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 KR101848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82415 2016-06-30
KR1020160082415 2016-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398A true KR20180003398A (ko) 2018-01-09
KR101848175B1 KR101848175B1 (ko) 2018-04-11

Family

ID=6100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176A KR101848175B1 (ko) 2016-06-30 2016-12-05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1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8371A (zh) * 2018-01-29 2018-05-29 北京国知智权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蒸柜余热余气回收利用系统
KR102003378B1 (ko) 2018-06-14 2019-10-02 (주)힌지코리아 압력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CN110464198A (zh) * 2018-05-11 2019-11-1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集中进排汽的烹饪器具
ES2945581A1 (es) * 2021-12-31 2023-07-04 Cecotec Res And Development S L Dispositivo de evacuacion de vapor para olla expr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290A (ko) * 2019-07-10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뚜껑 개방 시 내부 증기를 배출하는 전기압력밥솥
KR20210007291A (ko) 2019-07-10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압력 밥솥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8371A (zh) * 2018-01-29 2018-05-29 北京国知智权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蒸柜余热余气回收利用系统
CN108078371B (zh) * 2018-01-29 2021-03-26 新昌县馁侃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蒸柜余热余气回收利用系统
CN110464198A (zh) * 2018-05-11 2019-11-1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集中进排汽的烹饪器具
KR102003378B1 (ko) 2018-06-14 2019-10-02 (주)힌지코리아 압력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ES2945581A1 (es) * 2021-12-31 2023-07-04 Cecotec Res And Development S L Dispositivo de evacuacion de vapor para olla exp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175B1 (ko)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175B1 (ko) 전기 압력 취사기구의 증기 배출장치
CN103405147B (zh) 一种易于合盖的电压力锅
US20120097148A1 (en) Gas Burner for a Gas Hob, Gas Cook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Gas Hob
TW201736778A (zh) 具有溫度感測功能之瓦斯爐
JP5079861B2 (ja) ガスコンロ
CN204680503U (zh) 一种灭火变压器箱体
CN205619388U (zh) 具有防烫提示功能的燃气灶
JP2016539780A (ja) 安定性と熱効率が向上された二重調理容器
CN204483834U (zh) 电压力锅延时关闭装置
JP2008215741A (ja) レンジフード
KR200480298Y1 (ko) 안전 장치를 구비한 가스 및 전기 겸용 레인지
CN206160090U (zh) 一种用于锅炉安全的保护装置
CN204063159U (zh) 燃气灶前阀自动控制装置
US9476598B2 (en) Oven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ven appliance
CN206160091U (zh) 一种工业锅炉安全自控系统
CN106568076B (zh) 一种锅炉保护控制系统
KR101847062B1 (ko) 가스레인지용 과열방지 장치
KR20160045293A (ko) 안전장치 및 경보장치를 구비한 가스 및 전기 겸용 레인지와 그 안전 제어방법
CN206745173U (zh) 锅盖结构及电压力锅
KR101615910B1 (ko) 오븐형 압력솥
CN204739630U (zh) 一种灶具防烧锅装置
KR20100056360A (ko)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도자기 내솥 덮개의 배출장치
KR102344491B1 (ko) 열전대를 이용한 과열방지 장치를 갖는 가스조리기기
CN110030591A (zh) 一种陶瓷或紫砂电陶炉
KR100614805B1 (ko) 가스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