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339U - Member for furniture - Google Patents

Member for furni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339U
KR20180003339U KR2020180002175U KR20180002175U KR20180003339U KR 20180003339 U KR20180003339 U KR 20180003339U KR 2020180002175 U KR2020180002175 U KR 2020180002175U KR 20180002175 U KR20180002175 U KR 20180002175U KR 20180003339 U KR20180003339 U KR 201800033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base plate
joining
joint
joi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17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욱
Original Assignee
박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욱 filed Critical 박정욱
Publication of KR201800033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33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Abstract

가구용 부재가 개시된다. 상기 가구용 부재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동일 평면을 향해 펼쳐지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수 있게 구성되는 증강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측에 하향 경사진 제1 접합면; 및 제1 접합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증강집합체는, 단면 형상이 삼각형 형상이고, 상기 제2 접합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2 접합면에 접하는 제3 접합면 및 상기 제3 접합면과 대칭되는 제4 접합면을 포함하는 제1 소단위집합체; 상기 제4 접합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4 접합면에 접하는 제5 접합면, 상기 제5 접합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접합면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연장되고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1 접합면에 접하는 제6 접합면, 상기 제6 접합면과 대칭되는 제7 접합면 및 상기 제7 접합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5 접합면과 동일 높이로 연장되는 제8 접합면을 포함하는 제2 소단위집합체; 상기 제1 소단위집합체와 동일 형상이고, 상기 제8 접합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8 접합면에 접하는 제9 접합면 및 상기 제9 접합면과 대칭되는 제10 접합면을 포함하는 제3 소단위집합체; 및 상기 제10 접합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10 접합면에 접하는 제11 접합면, 상기 제11 접합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7 접합면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연장되고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7 접합면에 접하는 제12 접합면 및 상기 제12 접합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는 제13 접합면을 포함하는 제4 소단위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mber for furniture is disclosed. Wherein the furniture member comprises: a base plat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an enhancement aggregate disposed at one end of the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be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late is expanded and flush with the base plate, A first abutment surface inclined downwardly on at least one end of said square plate shape; And a second joint surface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joint surface, wherein the enhancement aggregate has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is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joint surface to fold the enhancement aggregate toward the base plate A first sub-aggregate including a third abutment surface abutting on the second abutment surface and a fourth abutment surface symmetrical with the third abutment surface; A fifth joint surface connected to an end of the fourth joint surface and contacting the fourth joint surface when the augmented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 fifth joint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fth joint surface and being equal to a height of the first joint surface A sixth joining surface extending from the seventh joining surface, the sixth joining surfac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joining surface when the enhancement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 seventh joining surface symmetrical with the sixth joining surface, A second subunit assembly including an eighth bonding surface extending at the same height as the fifth bonding surface; A ninth bonding surface which is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ubgrid aggregate and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eighth bonding surface and is in contact with the eighth bonding surface when the enhancement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 third subunit assembly including a tenth junction surface; And an eleventh junction surface connected to an end of the tenth junction surface and contacting the tenth junction surface when the enhancement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n eleventh junction surface extending from the eleventh junction surface, A second joint surface extending at the same height and contacting the seventh joint surface when the augmented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nd a second joint surfac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twelfth joint surface and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nd a fourth sub-aggregate aggregate including a thirteenth sub-aggregate surface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Description

가구용 부재{MEMBER FOR FURNITURE}[0001] MEMBER FOR FURNITURE [0002]

본 고안은 가구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 가구용 선반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er for furniture and can be used as a furniture shelf.

일반적으로 가구용 선반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선반의 두께를 두껍게 한다. 그러나 이는 재료가 많이 들고, 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Generally, the thickness of the shelf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furniture shelf. However, this has a problem that the material is large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등록실용 20-0331836Registration Practice 20-0331836

본 고안은 플레이트 전체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용이하게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부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mber for furniture which is capable of easily reinforcing the strength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entire plat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부재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 및A furnitur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동일 평면을 향해 펼쳐지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수 있게 구성되는 증강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측에 하향 경사진 제1 접합면; 및 제1 접합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증강집합체는, 단면 형상이 삼각형 형상이고, 상기 제2 접합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2 접합면에 접하는 제3 접합면 및 상기 제3 접합면과 대칭되는 제4 접합면을 포함하는 제1 소단위집합체; 상기 제4 접합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4 접합면에 접하는 제5 접합면, 상기 제5 접합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접합면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연장되고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1 접합면에 접하는 제6 접합면, 상기 제6 접합면과 대칭되는 제7 접합면 및 상기 제7 접합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5 접합면과 동일 높이로 연장되는 제8 접합면을 포함하는 제2 소단위집합체; 상기 제1 소단위집합체와 동일 형상이고, 상기 제8 접합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8 접합면에 접하는 제9 접합면 및 상기 제9 접합면과 대칭되는 제10 접합면을 포함하는 제3 소단위집합체; 및 상기 제10 접합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10 접합면에 접하는 제11 접합면, 상기 제11 접합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7 접합면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연장되고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7 접합면에 접하는 제12 접합면 및 상기 제12 접합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는 제13 접합면을 포함하는 제4 소단위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enhancement aggregate disposed at one end of the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be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in a state of being unfolded and coplanar with the base plate, wherein the base plate has at least one A first abutment surface inclined downwardly on the end side of the base member; And a second joint surface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joint surface, wherein the enhancement aggregate has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is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joint surface to fold the enhancement aggregate toward the base plate A first sub-aggregate including a third abutment surface abutting on the second abutment surface and a fourth abutment surface symmetrical with the third abutment surface; A fifth joint surface connected to an end of the fourth joint surface and contacting the fourth joint surface when the augmented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 fifth joint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fth joint surface and being equal to a height of the first joint surface A sixth joining surface extending from the seventh joining surface, the sixth joining surfac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joining surface when the enhancement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 seventh joining surface symmetrical with the sixth joining surface, A second subunit assembly including an eighth bonding surface extending at the same height as the fifth bonding surface; A ninth bonding surface which is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ubgrid aggregate and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eighth bonding surface and is in contact with the eighth bonding surface when the enhancement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 third subunit assembly including a tenth junction surface; And an eleventh junction surface connected to an end of the tenth junction surface and contacting the tenth junction surface when the enhancement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n eleventh junction surface extending from the eleventh junction surface, A second joint surface extending at the same height and contacting the seventh joint surface when the augmented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nd a second joint surfac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twelfth joint surface and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nd a fourth sub-aggregate aggregate including a thirteenth sub-aggregate surface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구용 부재는, 상기 제13 접합면에 접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의 일부 영역 및 상기 제1 접합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유동방지홈; 상기 제6 접합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6 접합면이 상기 제1 접합면에 접할 때 상기 제1 접합면 상의 제1 유동방지홈에 체결되는 제1 유동방지돌기; 상기 제7 접합면에 형성되는 제2 유동방지홈; 상기 제12 접합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2 접합면이 상기 제7 접합면에 접할 때 상기 제2 유동방지홈에 체결되는 제2 유동방지돌기; 및 상기 제13 접합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3 접합면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할 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상의 제1 유동방지홈에 체결되는 제3 유동방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urniture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flow preventing grooves formed on the first bonding surface and a partial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contacting the thirteenth bonding surface; A first flow preventive protrusion formed on the sixth joint surface and fastened to the first flow preventive groove on the first joint surface when the sixth joint surface contacts the first joint surface; A second flow preventing groove formed on the seventh bonding surface; A second flow preventive protrusion formed on the 12th abutment surface and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flow preventive groove when the 12th abutment surface abuts on the seventh abutment surface; And a third flow prevention protrusion formed on the thirteenth bonding surface and engaged with the first flow prevention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when the thirteenth bonding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부재에 의하면 플레이트의 전체의 두께를 증가시켜서 제작하지 않고도 쉽게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urnitur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ength can be easily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entire thickness of the plate.

또한, 가구용 선반으로 사용될 수 있고, 베이스플레이트가 가구의 내부에 고정되는 선반으로 사용될 때 베이스플레이트의 단부측은 두께가 증가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선반 전체의 두께를 증가하지 않고도 쉽게 강도가 증가된 가구용 선반을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가구의 강도를 증가시켜서 가구의 파손을 억제하여 가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end side of the base plate is fixed in an increased thickness when it is used as a shelf for furniture, and when the base plate is used as a shelf fixed to the inside of the furniture, the shelf is easily fixed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entire shelf.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furniture, thereby restraining the breakage of the furniture, thereby increasing the service life of the furnitur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증강집합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mber for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Fig.
FIGS. 3 and 4 are a fron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reinforcing aggregate shown in FIG. 1 is fold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증강집합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a fron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reinforcing aggregate shown in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부재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증강집합체(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furnitur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110, a reinforced aggregate 120.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장롱 등의 가구 내의 선반으로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증강집합체(120)와의 접합을 위해 제1 접합면(111) 및 제2 접합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면(111)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측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 접합면(112)은 제1 접합면(111)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 및 하면에 수직하다.The base plate 1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The base plate 110 is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having a certain thickness. The base plate 110 may be used as a shelf in a furniture such as a chaise lounge. The base plate 110 may include a first abutment surface 111 and a second abutment surface 112 for attachment to the augmented aggregate 120. The first abutment surface 111 is formed downwardly on at least one end side of the square plate shape. The second joining surface 112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joining surface 111 and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plate 110.

증강집합체(120)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와 동일 평면을 향해 펼쳐지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를 향해 접힐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증강집합체(120)는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1 소단위집합체(121), 제2 소단위집합체(122), 제3 소단위집합체(123), 제4 소단위집합체(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aggregate 12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base plate and is configured to be folded in the same plane as the base plate 110 and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110 in the unfolded state. The incremental aggregate 120 may include a first subunit aggregate 121, a second subunit aggregate 122, a third subunit aggregate 123 and a fourth subunit aggregate 124 that are sequentially arranged.

제1 소단위집합체(121)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 및 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삼각형 형상이다. 제1 소단위집합체(121)는 제3 접합면(1211) 및 제4 접합면(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접합면(1211)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2 접합면(112)의 단부에 연결되어 증강집합체(120)가 베이스플레이트(110)를 향해 접힐 때 제2 접합면(112)에 접한다. 제4 접합면(1212)은 제3 접합면(1211)과 대칭되게 구비된다.The first sub-aggregate aggregate 121 has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plate 110. The first sub-aggregate aggregate 121 may include a third bonding surface 1211 and a fourth bonding surface 1212. The third abutment surface 121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abutment surface 112 of the base plate 110 to abut the second abutment surface 112 when the augmentation aggregate 120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110 . The fourth joining surface 1212 is provided symmetrically with the third joining surface 1211.

제2 소단위집합체(122)는 제5 접합면(1221), 제6 접합면(1222), 제7 접합면(1223) 및 제8 접합면(12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접합면(1221)은 제4 접합면(1212)의 단부에 연결되어 증강집합체(120)가 베이스플레이트(110)를 향해 접힐 때 제4 접합면(1212)에 접하며, 제2 접합면(112)과 평행하다. 제6 접합면(1222)은 제5 접합면(1221)으로부터 연장되되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1 접합면(111)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연장되고, 증강집합체(120)가 베이스플레이트(110)를 향해 접힐 때 제1 접합면(111)에 접하며, 제1 접합면(111)이 경사지는 각도와 동일 각도로 경사진다. 제7 접합면(1223)은 제6 접합면(1222)과 대칭되게 배치된다. 제8 접합면(1224)은 제7 접합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제5 접합면(1221)과 동일 높이로 연장되고, 제5 접합면(1221)과 평행하다.The second sub-aggregate aggregate 122 may include a fifth joining surface 1221, a sixth joining surface 1222, a seventh joining surface 1223, and an eighth joining surface 1224. The fifth abutment surface 122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ourth abutment surface 1212 to abut the fourth abutment surface 1212 when the augmentation aggregate 120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110, 112). The sixth joining face 1222 extends from the fifth joining face 1221 and extends to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first joining face 111 of the base plate 110, The first contact surface 111 i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contact surface 111 is inclined. The seventh bonding surface 1223 is disposed symmetrically with the sixth bonding surface 1222. [ The eighth bonding face 1224 extends from the seventh bonding face, extends at the same height as the fifth bonding face 1221, and is parallel to the fifth bonding face 1221.

제3 소단위집합체(123)는 제1 소단위집합체(121)와 동일 형상이고, 제9 접합면(1231) 및 제10 접합면(1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9 접합면(1231)은 제2 소단위집합체(122)의 제8 접합면(1224)의 단부에 연결되어 증강집합체(120)가 베이스플레이트(110)를 향해 접힐 때 제8 접합면에 접한다.The third subunit aggregate 123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ubunit aggregate 121 and may include a ninth bonding surface 1231 and a tenth bonding surface 1232. The ninth bonding surface 123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eighth bonding surface 1224 of the second sub-group 122 and abuts the eighth bonding surface when the augmentation aggregate 120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110.

제4 소단위집합체(124)는 제11 접합면(1241), 제12 접합면(1242) 및 제13 접합면(1243)을 포함한다. 제11 접합면(1241)은 제3 소단위집합체(123)의 제10 접합면(1232)의 단부에 연결되어 증강집합체(120)가 베이스플레이트(110)를 향해 접힐 때 제3 소단위집합체(123)의 제10 접합면(1232)에 접하고, 제8 접합면(1224)과 평행하다. 제12 접합면(1242)은 제11 접합면(1241)으로부터 연장되되 제2 소단위집합체(122)의 제7 접합면(1223)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연장되고, 증강집합체(120)가 베이스플레이트(110)를 향해 접힐 때 제7 접합면(1223)에 접하며, 제7 접합면(1223)이 경사지는 각도와 동일 각도로 경사진다. 제13 접합면(1243)은 제12 접합면(1242)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증강집합체(120)가 베이스플레이트(110)를 향해 접힐 때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접한다.The fourth sub-aggregate aggregate 124 includes an eleventh bonding surface 1241, a twelfth bonding surface 1242, and a thirteenth bonding surface 1243. The eleventh bonding surface 124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tenth bonding surface 1232 of the third subcomponent aggregate 123 to form the third subcomponent aggregate 123 when the reinforcing aggregate 120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110. [ And is in parallel with the eighth junction surface 1224. The tenth junction surface 1232 of the second trench 1212 is in contact with the tenth junction surface 1232, The twelfth bonding surface 1242 extends from the eleventh bonding surface 1241 and extends to the same height as the seventh bonding surface 1223 of the second subcomponent aggregate 12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venth joining surface (1223) when it is folded toward the first joining surface (110), and i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angle at which the seventh joining surface (1223) is inclined. The thirteenth bonding surface 1243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twelfth bonding surface 1242 to abut the top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when the reinforcing aggregate 120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110.

이러한 제1 소단위집합체(121), 제2 소단위집합체(122), 제3 소단위집합체(123), 제4 소단위집합체(124)는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ubunit aggregate 121, the second subunit aggregate 122, the third subunit aggregate 123, and the fourth subunit aggregate 124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부재는 복수의 제1 유동방지홈(131), 제1 유동방지돌기(141), 제2 유동방지홈(132), 제2 유동방지돌기(142) 및 제3 유동방지돌기(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urnitur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low prevention grooves 131, a first flow prevention protrusion 141, a second flow prevention groove 132, a second flow prevention protrusion 142, And a third flow prevention protrusion 143. [

복수의 제1 유동방지홈(131)은 제4 소단위집합체(124)의 제13 접합면(1243)에 접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의 일부 영역 및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1 접합면(111)에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의 일부 영역에는 2개의 제1 유동방지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접합면(111)에는 하나의 제1 유동방지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flow prevention grooves 131 are formed i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in contact with the thirteenth bonding surface 1243 of the fourth subcomponent aggregate 124 and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in the first bonding surface 111). For example, two first flow preventing grooves 131 are formed i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and one first flow preventing groove 131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surface 111 .

제1 유동방지돌기(141)는 제2 소단위집합체(122)의 제6 접합면에 형성되고, 제6 접합면(1222)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1 접합면(111)에 접할 때 제1 접합면(111) 상의 제1 유동방지홈(131)에 체결된다. 제1 유동방지돌기(141)는 제1 접합면(111) 상에 형성되는 제1 유동방지홈(13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다.The first flow prevention protrusion 141 is formed on the sixth bonding surface of the second subset 122 and when the sixth bonding surface 1222 contacts the first bonding surface 111 of the base plate 110, 1 joint surface 111. The first flow prevention groove 131 is formed on the first joint surface 111 and the first flow prevention groove 131, The first flow prevention protrusions 141 ar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first flow prevention grooves 131 formed on the first contact surface 111.

제2 유동방지홈(132)은 제2 소단위집합체(122)의 제7 접합면(1223)에 형성된다.The second flow preventing groove 132 is formed in the seventh bonding surface 1223 of the second sub-aggregate 122.

제2 유동방지돌기(142)는 제4 소단위집합체(124)의 제12 접합면(1242)에 형성되고, 제12 접합면(1242)이 제7 접합면(1223)에 접할 때 제2 유동방지홈(132)에 체결된다.The second flow prevention protrusions 142 are formed on the 12th bonding surface 1242 of the fourth subgrid aggregate 124 and the second flow prevention protrusions 142 are formed when the 12th bonding surface 1242 contacts the seventh bonding surface 1223. [ And is fastened to the groove 132.

제3 유동방지돌기(143)는 제4 소단위집합체(124)의 제13 접합면(1243)에 형성되고, 제13 접합면(1243)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접할 때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 상의 제1 유동방지홈(131)에 체결된다.The third flow prevention protrusion 143 is formed on the thirteenth bonding surface 1243 of the fourth subcomponent aggregate 124. When the thirteenth bonding surface 1243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Not shown).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10) 및 증강집합체(120)의 서로 평행한 일면에는 시트(130)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소단위집합체(121), 제2 소단위집합체(122), 제3 소단위집합체(123), 제4 소단위집합체(124)는 시트(130)에 부착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나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eet 130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ase plate 110 and the reinforcing aggregate 120 parallel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subunit aggregate 121, the second subunit aggregate 122, the third subunit aggregate 123, and the fourth subunit aggregate 124 may be attached to the sheet 130 and connected to each other.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부재는 가구의 선반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furniture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helf of furniture.

사용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강집합체(120)가 베이스플레이트(110)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가구의 내외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3 and 4, the reinforced aggregate 120 may be fix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urniture in a folded state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10, as shown in FIGS.

증강집합체(120)가 베이스플레이트(110) 방향으로 접힐 때 순차적으로 제4 소단위집합체(124), 제3 소단위집합체(123), 제2 소단위집합체(122) 및 제1 소단위집합체(121)를 포개면서 베이스플레이트(110)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The third subunit aggregate 123, the second subunit aggregate 122 and the first subunit aggregate 121 are sequentially stacked when the incremental aggregate 120 is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10 And can b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10.

즉, 증강집합체(120)를 베이스플레이트(110) 방향으로 접을 때, 먼저 제4 소단위집합체(124)를 제3 소단위집합체(123) 방향으로 접으면 제4 소단위집합체(124)는 제3 소단위집합체(123) 및 제2 소단위집합체(122)와 포개어진다. 이때, 제4 소단위집합체(124)의 제12 접합면(1242)은 제2 소단위집합체(122)의 제7 접합면(1223)에 접하고, 제4 소단위집합체(124)의 제11 접합면(1241)은 제3 소단위집합체(123)의 제10 접합면(1232)에 접하며, 제3 소단위집합체(123)의 제9 접합면(1231)은 제2 소단위집합체(122)의 제8 접합면(1224)에 접하게 된다. 또한 제4 소단위집합체(124)의 제12 접합면(1242)에 형성된 제2 유동방지돌기(142)는 제2 소단위집합체(122)의 제7 접합면(1223)에 형성된 제2 유동방지홈(132)에 체결되어 제4 소단위집합체(124) 및 제2 소단위집합체(122)는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incremental aggregate 120 is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10, the fourth subunit aggregate 124 is first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subunit aggregate 123, (123) and the second subunit aggregate (122). At this time, the 12th bonding surface 1242 of the fourth sub-unit aggregate 124 is in contact with the seventh bonding surface 1223 of the second sub-unit aggregate 122 and the 11th bonding surface 1241 of the fourth sub- And the ninth bonding surface 1231 of the third subcomponent aggregate 123 abuts the eighth bonding surface 1224 of the second subcomponent aggregate 122. The ninth bonding surface 1231 of the third subcomponent aggregate 123 contacts the tenth bonding surface 1232 of the third subcomponent aggregate 123, . The second flow prevention protrusions 142 formed on the 12th contact surface 1242 of the fourth subcomponent aggregate 124 are formed in the second flow prevention grooves 1223 formed on the seventh junction surface 1223 of the second sub- 132 so that the fourth subunit aggregate 124 and the second subunit aggregate 122 are stably stacked without flow.

이어서, 제4 소단위집합체(124) 및 제3 소단위집합체(123)가 제2 소단위집합체(122)에 포개어진 상태로 제2 소단위집합체(122)를 베이스플레이트(110) 방향으로 접으면 제2 소단위집합체(122)는 제1 소단위집합체(121) 및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1 접합면(111) 상에 포개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4 소단위집합체(124)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포개어진다. 이때, 제2 소단위집합체(122)의 제5 접합면(1221)은 제1 소단위집합체(121)의 제4 접합면(1212)에 접하고, 제2 소단위집합체(122)의 제6 접합면(1222)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1 접합면(111)에 접하고, 제1 소단위집합체(121)의 제3 접합면(1211)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2 접합면(112)에 접하고, 제4 소단위집합체(124)의 제13 접합면(1243)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접하게 된다. 또한 제2 소단위집합체(122)의 제6 접합면(1222)에 형성된 제1 유동방지돌기(141)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1 접합면(111)에 형성된 제1 유동방지홈(131)에 체결되고, 제4 소단위집합체(124)의 제13 접합면(1243)에 형성된 제3 유동방지돌기(143)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유동방지홈(131)에 체결되어 제2 소단위집합체(122) 및 제4 소단위집합체(124)는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fourth subunit aggregate 124 and the third subunit aggregate 123 ar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10 with the second subunit aggregate 122 folded in the second subunit aggregate 122, The aggregate 122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abutment aggregate 121 and the first abut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late 110 while the fourth subcomponent aggregate 124 is super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Loses. At this time, the fifth abutment surface 1221 of the second sub-group aggregate 122 is in contact with the fourth abutment surface 1212 of the first sub-group aggregate 121 and the sixth abutment surface 1222 of the second sub- Is abutted against the first abut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late 110 and the third abutment surface 1211 of the first subcomponent assembly 121 abuts against the second abutment surface 112 of the base plate 110, The thirteenth bonding surface 1243 of the fourth sub-unit aggregate 12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The first flow preventive protrusion 141 formed on the sixth abutment surface 1222 of the second sub-aggregate assembly 122 includes a first flow preventive groove 131 formed on the first abutment surface 111 of the base plate 110, And the third flow prevention protrusion 143 formed on the thirteenth bonding surface 1243 of the fourth sub-unit aggregate 124 is fastened to the first flow prevention groove 13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The second sub-aggregate aggregate 122 and the fourth sub-aggregate aggregate 124 are stably superimposed on the base plate 110 without flowing.

이와 같이 제1 소단위집합체 내지 제4 소단위집합체(124)를 베이스플레이트(110) 방향으로 접으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단부측의 두께가 증가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 없이 증강집합체(120)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When the first subunit aggregate to the fourth subunit aggregate 124 are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10, the thickness of the end of the base plate 110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base plate 110. Thus, the strength of the base plate 110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augmented aggregate 120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base plate 110.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부재는 플레이트의 전체의 두께를 증가시켜서 제작하지 않고도 쉽게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furniture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strength can be easily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entire thickness of the plate.

한편,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부재는 가구용 선반으로 사용될 수 있고, 베이스플레이트(110)가 가구의 내부에 고정되는 선반으로 사용될 때 베이스플레이트(110)의 단부측은 두께가 증가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선반 전체의 두께를 증가하지 않고도 쉽게 강도가 증가된 가구용 선반을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가구의 강도를 증가시켜서 가구의 파손을 억제하여 가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Meanwhile, the furniture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furniture shelf, and when the base plate 110 is used as a shelf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furniture, the end side of the base plate 110 is in a state of increased thickn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rniture shelf with increased strength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entire shelf, and furthermore, the strength of the furniture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damage of the furniture can be suppressed and the life of the furniture can be increased.

상기 설명에서는 상기 증강집합체(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일측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증강집합체(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양측 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증강집합체(120)는 복수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inforced aggregate 120 is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110, but the reinforced aggregate 12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110. That is, the plurality of enhancement aggregates 120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시트(130)는 생략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각각의 소단위집합체(121, 122, 123, 124)들은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et 130 may be omitted, and in such a case, the sub-aggregate aggregates 121, 122, 123, and 124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set forth herein.

Claims (2)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동일 평면을 향해 펼쳐지고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수 있게 구성되는 증강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측에 하향 경사진 제1 접합면; 및
제1 접합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 접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증강집합체는,
단면 형상이 삼각형 형상이고, 상기 제2 접합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2 접합면에 접하는 제3 접합면 및 상기 제3 접합면과 대칭되는 제4 접합면을 포함하는 제1 소단위집합체;
상기 제4 접합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4 접합면에 접하는 제5 접합면, 상기 제5 접합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접합면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연장되고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1 접합면에 접하는 제6 접합면, 상기 제6 접합면과 대칭되는 제7 접합면 및 상기 제7 접합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5 접합면과 동일 높이로 연장되는 제8 접합면을 포함하는 제2 소단위집합체;
상기 제1 소단위집합체와 동일 형상이고, 상기 제8 접합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8 접합면에 접하는 제9 접합면 및 상기 제9 접합면과 대칭되는 제10 접합면을 포함하는 제3 소단위집합체; 및
상기 제10 접합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10 접합면에 접하는 제11 접합면, 상기 제11 접합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7 접합면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연장되고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제7 접합면에 접하는 제12 접합면 및 상기 제12 접합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증강집합체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접힐 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는 제13 접합면을 포함하는 제4 소단위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부재.
A rectangular plate-shaped bas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And an augmented aggregate disposed at one end of the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be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in a unfolded and unfolded state in the same plane as the base plate,
Wherein the base plate comprises:
A first abutment surface inclined downwardly on at least one end of said square plate shape; And
And a second joint surface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joint surface,
The augmented aggregate may comprise,
A third joint surface that is triangular in cross-sectional shape and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joint surface to contact the second joint surface when the enhancement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nd a fourth join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ourth joint surface, A first subunit assembly including a bonding surface;
A fifth joint surface connected to an end of the fourth joint surface and contacting the fourth joint surface when the augmented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 fifth joint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fth joint surface and being equal to a height of the first joint surface A sixth joining surface extending from the seventh joining surface, the sixth joining surfac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joining surface when the enhancement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 seventh joining surface symmetrical with the sixth joining surface, A second subunit assembly including an eighth bonding surface extending at the same height as the fifth bonding surface;
A ninth bonding surface which is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ubgrid aggregate and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eighth bonding surface and is in contact with the eighth bonding surface when the enhancement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 third subunit assembly including a tenth junction surface; And
An eleventh joining surface connected to an end of the tenth joining surface and contacting the tenth joining surface when the augmented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n eleventh joining surface extending from the eleventh joining surface and being equal to a height of the seventh joining surface And a second joining fac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first joining face and contacting the seventh joining face when the reinforcing aggregate is folded toward the base plate, And a fourth sub-aggregate aggregate comprising a thirteenth abutment surface abutting the top surface of the plate.
Member for furni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용 부재는,
상기 제13 접합면에 접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의 일부 영역 및 상기 제1 접합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유동방지홈;
상기 제6 접합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6 접합면이 상기 제1 접합면에 접할 때 상기 제1 접합면 상의 제1 유동방지홈에 체결되는 제1 유동방지돌기;
상기 제7 접합면에 형성되는 제2 유동방지홈;
상기 제12 접합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2 접합면이 상기 제7 접합면에 접할 때 상기 제2 유동방지홈에 체결되는 제2 유동방지돌기; 및
상기 제13 접합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3 접합면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할 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상의 제1 유동방지홈에 체결되는 제3 유동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urniture member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flow preventing grooves formed on the first bonding surface and a partial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contacting the thirteenth bonding surface;
A first flow preventive protrusion formed on the sixth joint surface and fastened to the first flow preventive groove on the first joint surface when the sixth joint surface contacts the first joint surface;
A second flow preventing groove formed on the seventh bonding surface;
A second flow preventive protrusion formed on the 12th abutment surface and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flow preventive groove when the 12th abutment surface abuts on the seventh abutment surface; And
And a third flow prevention protrusion formed on the thirteenth bonding surface and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flow prevention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when the thirteenth bonding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
Member for furniture.
KR2020180002175U 2017-05-18 2018-05-18 Member for furniture KR20180003339U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2450 2017-05-18
KR2020170002450 2017-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339U true KR20180003339U (en) 2018-11-28

Family

ID=6455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175U KR20180003339U (en) 2017-05-18 2018-05-18 Member for furni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339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36Y1 (en) 2003-07-31 2003-11-01 이명선 Reinforced shel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36Y1 (en) 2003-07-31 2003-11-01 이명선 Reinforced shel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59115T5 (en) Mechanical coupling system for floor panels
US20160302584A1 (en) Foldable bed frame
KR20180003339U (en) Member for furniture
JP2015152065A (en) ball screw device
JP6343186B2 (en) Portable slope
KR101649747B1 (en) A steel form assembly for atypical concrete structures
EP2715010A1 (en) Mounting clip for holding roof panel seam
KR102288318B1 (en) Architectural exterior panel using joining member and joining member
KR101392000B1 (en) Parts set for assembly type furniture
KR20170002780U (en) Joint for connecting square pipe
KR20170065873A (en) Profile Nut
US9578958B2 (en) Cardboard construction
WO2020036547A2 (en) A connection element
JP5546840B2 (en) Connector
JP6595214B2 (en) A fixture with a top plate
CN111465335A (en) Chair (Ref. TM. chair)
JP7416405B2 (en) Corner joint for panels
KR102135592B1 (en) combine apparatus
JP6713855B2 (en) Floor materials and connecting members
EP2793209B1 (en) Universal holding element
SE1850225A1 (en) A corner element for a cage-like structure and a cage-like structure provided with such corner elements
JP5748222B2 (en) Bonding structure of plate material
JP2005073902A (en) Paper chair
JP3214818U (en) Wood connection bracket
US754067A (en) Joint for chair-seat sections or similar purpo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