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233U -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233U
KR20180003233U KR2020170002276U KR20170002276U KR20180003233U KR 20180003233 U KR20180003233 U KR 20180003233U KR 2020170002276 U KR2020170002276 U KR 2020170002276U KR 20170002276 U KR20170002276 U KR 20170002276U KR 20180003233 U KR20180003233 U KR 201800032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disposable
frequency
portions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문기
김기완
Original Assignee
신성윤
김찬곤
은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윤, 김찬곤, 은정우 filed Critical 신성윤
Priority to KR2020170002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233U/ko
Publication of KR20180003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2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12Surgical forceps with a single pivotal connection
    • A61B17/282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53Sphinc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14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현재까지 고주파에 의한 치핵 응고 시술은 1970년대 중반부터 도입되어 현재까지도 사용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시술자나 시술보조자가 느끼는 점은 처음 시술 시와 같은 고주파 출력으로 시술이 이루어져야 하느데 즉 응고되는 정도가 비슷해야 되는데, 더 강한 세기의 출력이 필요하며, 즉 처음 시술시 보다도 더 강한 출력 세기로 자칫 잘못하면 과도한 응고로 인한 부작용등으로 시술 후 심한 분비물과 출혈 등의 부작용으로 시달리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하겠다.,
이유는 시술시 생기는 피의 혈흔 때문에 고주파 응고 시 니들에 혈흔이 응착이 되어 세척을 하더라도 눈에 보이지 않는 응착된 혈흔의 피막으로 인하여 고주파 발진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
소독의 개념에서도 '종합 병원' 규모인 경우에는 가스 소독기로 멸균할 수가 있지만 '의원' 급에서는 일반 스팀 소독기가 주종이기 때문에 소독을 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집게의 전선이나 절연 차폐물 등이 열에 망가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애로점 때문에 시술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일회용의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색인어]
일회용 교체 부의 고주파 도전판, 일회용 교체 부의 온도 센서판, 패릴린 절연 코팅, 고주파 발진 니들, 일회용 교체 부의 절연 지주대

Description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Disposable high frequency temperature control device hemorrhoid forceps}
.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종래의 기술]
본 고안은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와 같이 항문 점막은 그 내부가 혈액으로 형성이 되어 있어서 대변이 항문 밖으로 용이하게 나올 수 있도록 쿠션 역할을 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만이 무게중심이 그곳에 있기 때문에 변비, 임신, 무거운 무게 운반, 장시간 앉아서 일하는 사람 등 생활환경에 따라서 출혈이나 통증을 동반하거나, 늘어져서 항문 밖으로 탈출되는 것이 바로 치핵이다.
여기에는 출혈이 심한 내치핵, 통증이 심한 외치핵과 탈항 등으로 배변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상당히 지장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물론 치료법으로는 근본적인 근치 수술이 좋겠으나, 모두 다 절제하고 나면 항문이 좁아지거나 수술시 잘못하여 항문 괄약근을 손상을 주게 되면 배변의 능력이 상실하게 되어 혹 설사라도 있으면 원거리 여행 시에는 기저귀를 착용해야 하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가 있다.
이러한 연유로 비수술적인 요법을 선호하여 다양한 시술법이 소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여러 분야에서 고주파의 열을 이용한 치료법이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고주파 암 치료기, 고주파 여드름 치료기, 고주파 통중 치료기, 고주파 디스크 수액 감압 치료기 등 -
상기한 치질 수술용 기구에 관련된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임에 따라 생략하기로 하며, 부가적으로 상기한 치질 수술용 기구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0187961 호(명칭; 치핵 수술용 기구)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 가 있다.
그 동안 고주파에 의한 치핵 응고 시술은 1970년대 중반부터 도입되어 현재까지도 사용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시술자나 시술보조자가 느끼는 점은 처음 시술시와 같은 고주파 출력으로 시술시 응고되는 정도가 비슷해야 되는데 더 강한 세기의 출력이 필요하다, 즉 처음 시술시 보다도 더 강한 출력 세기로 자칫 잘못하면 과도한 응고로 이어질 수가 있는데, 이유는 시술시 생기는 피의 혈흔 때문에 고주파 응고시 니들에 혈흔이 응착이 되어 세척을 하더라도 눈에 보이지 않는 응착된 혈흔의 피막으로 인하여 고주파 발진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소독의 개념에서도 '종합 병원' 규모인 경우에는 가스 소독기로 멸균할 수가 있지만 '의원' 급에서는 일반 스팀 소독기가 주종이기 때문에 소독을 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배선이나 절연 차폐물 등이 열에 망가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알코올 등으로 소독을 대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애로점 때문에 시술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일회용의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발명을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주파가 출력되는 니들의 전극 판을 일회용으로 구성하여 소독의 위험에서 안전할 수 있는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주파가 출력되는 니들의 전극 판이 일회용으로 구성하여 고주파 열에 의한 재 사용 시 발생하는 즉 점막 응고시 혈흔의 니들에 응착으로 인한 고주파 출력의 방해에 대하여 고주파를 안정적으로 발진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주파의 발진시 생기는 점막하층의 가열온도를 온도센서에 의하여 온도 콘트롤 장치에서 제어함과 동시에 부저를 울리게 하는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주파의 발진시 생기는 점막상층의 응고를 막기 위하여 고주파 발진 니들의 하단에 인체에 무해한 패릴린으로 절연 코팅하는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힌지 체결된 한 쌍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고주파 발진 전극 판, 온도센서 판이 차폐물로 피복처리 되어 고주파 출력선과 온도 센서 선으로 각 각 고주파 기기와 온도 콘트롤 장치에 연결되어 고안이 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의 선단과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교체부의 후미는 요철로 서로 연결되어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을 ?징으로 한다.
[발명 의 구성]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100)의 일회용 교체 부(K)와 몸체 부(15) 전체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고,
도 2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100)의 일회용 교체 부(K)와 몸체 부(15)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100)의 일회용 교체 부(K)의 후미부분과 몸체 부(15, 15a)의 선단 접촉 삽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100)는 가위 형태로 상호 힌지(19)체결되어 연결된 한쌍의 몸체 부(15, 15a)와 상기 몸체 부(15,15a)의 상단 부와 일회용으로 탈착이 되는 교체 부(K)로 구성이 되어 있다. 상기 몸체 부(15, 15a)의 상방에 위치한 관체(22)에는 고주파 출력선과 온도 센서선(28)이 내부에 있어서 고주파 기기(미 도시)와 온도 콘트롤 장치(26)에 연결되어 있다.
도2에서 몸체 부(15,15a)의 선단 부에 온도 센서 판(11)과 고주파 도전 판(21)이 피복 절연 부(14d, 16d)에 의하여 차폐 절연 되어있고,
또한 상기 몸체 부(15,15a)의 선단 부의 고주파 도전 판(18c, 21)의 삽입 공간부의 18b, 20b는 교체 부(K)의 18a, 20a와 삽입 연결이 된다.
상기 교체 부(k)의 고주파 도전 판(18,20)은 온도 센서 판(10,13)의 연결 도전 체(40,41)는 니들(30,32)에서 고주파 열이 발생 시 상기 고주파 열을 온도 센서 판(10,13)에 전달이 되어 온도 센서선(28)을 경유하여 온도 콘트롤러에 도달이 되게 한다.
상기 기술한바와 같이 교체 부(k)와 몸체 부(15,15a)의 상호 삽입이 되는 부위는 구조가 요철 형태로 되어 고정 나사(50,51)에 의하여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여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상으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주파 발진으로 시술하는 치질 수술용 집게 장치에 있어서 소독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재 사용시 발생하는 혈흔(blood stain)의 응착으로 인한 부작용을 헤결할 수가 있는 효과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니들의 하방에 패릴린 코팅을 하여, 점막 상층의 응고를 막을 수가 있어서 시술 후 치료 경과를 최대한 앞당기는 효과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고주파 발진을 온도 센서에 의한 온도 코트롤러의 조절로 인하여 과도한 응고를 막아서 시술 후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빠른 회복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의 전체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의 일회용으로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A-A로 절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의 일회용으로 교체되는 집게의 몸체부와 교체부의 접촉 삽입되는 부분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3; 일회용 교체 부의 온도 센서 판
10a, 13a; 일회용 교체 부 온도 센서 판의 교체부 쪽 삽입 판
10b; 집게 몸체 부의 온도 센서 판의 10a삽입 공간
11; 집게 몸체 부의 온도 센서 판
12, 12a; 집게 손잡이
13a; 일회용 교체 부의 온도 센서 판의 집게 쪽 삽입 판
13b; 집게 몸체 부의 온도 센서 판의 13a삽입 공간
13c; 집게 몸체 부의 온도 센서 판
14, 16; 일회용 교체 부의 절연 지주대
14d, 16d; 몸체 부의 절연 지주대
15, 15a;몸체 부
18, 20; 일회용 교체 부의 고주파 도전 판
18c, 21; 몸체 부의 고주파 도전 판
18a, 20a; 일회용 교체 부의 고주파 도전 판의 삽입 판
18b; 집게 몸체 부의 고주파 도전 판의 18a의 삽입 공간
20b; 집게 몸체 부의 고주파 도전 판의 20a의 삽입 공간
21; 집게 몸체 부의 고주파 도전판 24; 고주파 출력선
26; 온도 콘트롤러 26a; 온도 표시창
28; 온도 센서선 30,32; 고주파 발진 니들
34, 36; 패릴린 절연 코팅
40, 41; 고주파 발진 도전 판과 온도 센서 판의 연결 도전체
50, 51; 일회용 교체되는 부분의 온도 센서 판과 집게 몸체 부분의 온도센서 판을 고정 시키는 나사
.

Claims (3)

  1. 힌지(19) 체결된 한쌍의 몸체 부(15,15a)와 상기 몸체 부(15,15a)의 선단에는 차폐물(14d,16d)로 피복 처리되며 고주파 출력 전선(24)과 연결되는 각각의 고주파 도전 판(18c, 21)은 차폐물을 관통하여 고주파를 출력사카는 다수개의 니들(30,32)과 온도 센서 판(10,13)은 온도콘트롤러(26)에 연결되어 이루어진 통상의 치질 수술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체 몸체부(15,15a)를 일회용으로 탈착이 가능한 교체 부(K)와 몸체부(15,15a)로 분리시키는 것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 부(15,15a)의 선단 부의 고주파 도전 판(18c, 21)에 위치한 삽입 공간부의 18b, 20b는 교체부(K)의 18a, 20a와 삽입 연결이 되고, 교체 부(k)의 고주파 도전 판(18,20)과 온도 센서 판(10,13)은 센서 판(40,41)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니들(30,32)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열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15,15a)의 선단부의 고주파 도전 판(18c, 21)의 삽입 공간 부의 18b, 20b는 교체 부(K)의 18a, 20a와 삽입 연결이 요철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몸체 부(15,15a)와 교체 부(K)는 고정나사(50,51)에 의하여 고정이 되는 것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 장치
KR2020170002276U 2017-05-08 2017-05-08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장치 KR201800032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76U KR20180003233U (ko) 2017-05-08 2017-05-08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276U KR20180003233U (ko) 2017-05-08 2017-05-08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33U true KR20180003233U (ko) 2018-11-16

Family

ID=6455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276U KR20180003233U (ko) 2017-05-08 2017-05-08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23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7615B2 (en) Apparatus and cosmetic method for body orifice remodeling
JP7287888B2 (ja) ジェネレータ、電極付きのカテーテル、及び肺通路の治療方法
KR102322636B1 (ko) 질 이완 및 재형성을 위한 고주파 및 플라즈마 디바이스
CN105283143B (zh) 电外科装置和方法
US49209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ndoscopic treatment of deep tumors using RF hyperthermia
KR102059213B1 (ko) 신체 장기의 조직을 찾아내는 동시에 테라피를 전달하고 전달된 테라피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 및 카테터 구조
EP3537945B1 (en) Anoscope
JP2010503477A (ja) 組織の種類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230172650A1 (en) Pulsed electric field waveform manipulation and use
CN113423355A (zh) 用于内窥镜式鼻后神经消融的器械
CN105636535B (zh) 双极凝结探针和勒除器
Memon Surgical diathermy
KR20180003233U (ko) 일회용 고주파 온도 콘트롤 치질 집게장치
KR20070035155A (ko) 외장튜브 및 그 내부에 삽입된 전극도자를 포함하는시술기구
KR101828849B1 (ko) 칼침을 이용한 이명치료시스템
CN211132261U (zh) 一种手术用加温器
CN209789999U (zh) 痔疮水解治疗装置
KR200360506Y1 (ko) 치핵 수술용 기구
KR200187961Y1 (ko) 치핵 수술용 기구
RU273857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порации
JP2010269053A (ja) 医療器具
JP2004188023A (ja) レゼクトスコープ装置
RU2238056C2 (ru) Способ остановки кровотечений из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ого тракта и электрод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0743023A (zh) 一种手术用加温器
JP2023090686A (ja) 不可逆電気穿孔リターン電極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