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134U - Easy-to-sort dental bur stand - Google Patents

Easy-to-sort dental bur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134U
KR20180003134U KR2020170002044U KR20170002044U KR20180003134U KR 20180003134 U KR20180003134 U KR 20180003134U KR 2020170002044 U KR2020170002044 U KR 2020170002044U KR 20170002044 U KR20170002044 U KR 20170002044U KR 20180003134 U KR20180003134 U KR 201800031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r
dental
classified
ho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04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학범
Original Assignee
김학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범 filed Critical 김학범
Priority to KR2020170002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134U/en
Publication of KR201800031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34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61G15/16Storage, holding or carrying means for dental handpiec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용 버(dental bur)가 블럭부와 프레임부에 의해 각각 대분류 및 소분류로 분류되고, 프레임부 상부면에 표시부가 위치되어 치과용 버가 종류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됨에 따라 그 사용과 보관이 용이하고, 치과용 버가 삽입되는 버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동심원부가 형성되어 버 삽입홀의 시인성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심원부의 두께를 서로 달리하고, 또한 동심원부의 가장자리에 돌기가 더 형성되는 방법으로 치과용 버가 크기 및 거칠기 별로 정리될 수 있으며, 블럭부, 프레임부, 표시부 및 동심원부가 본체 상에 그대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투명한 필름부 상에 표시되고 이 필름부는 커버부에 의해 보호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나 목적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될 수 있는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는 상부면에 치과용 버가 삽입되는 버 삽입홀이 정렬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 측에 선택적으로 덮여지는 커버로 구성된 치과용 버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 상측에 띠 형상으로 표시되되 다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어 그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버 삽입홀들이 대분류로 분류되게 하는 다수의 블럭부와, 대분류로 분류된 상기 블럭부 별로 두 개 이상의 버 삽입홀들이 별도로 묶여지도록 구획되어 별도로 묶여진 상기 버 삽입홀들이 소분류로 분류되게 하는 다수의 프레임부와, 상기 제 프레임부 일측에 각각 표시되어 상기 프레임부 내의 상기 버 삽입홀 내에 삽입되는 상기 치과용 버들의 종류가 문자/숫자/기호로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버 삽입홀의 외측 가장자리에 표시되는 동심원부가 포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idea that dental burs are classified into major and minor categories respectively by block and frame parts, and since the display part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part, And a concentric circular portion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urr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dental burr is inserted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burr insertion hole can be enhanced and the thickness of the concentric circular portion is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furthermore, The dental bur can be sorted by size and roughness, and the block portion, the frame portion, the display portion, and the concentric circle portion are not displayed on the body as they are, but ar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film portion and the film portion is protected by the cover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burr stand which can be classified and used according to a symbol or purpo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ntal burr stand which is easy to be classified includes a body in which a burr insertion hole into which a dental burr is inserted is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and a cover selectively covered on an upper surface side of the body A dental burr st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block parts, each of which is formed in a strip shape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so that the burr holes located below the burr holes are classified into major classes; A plurality of frame portions for dividing the plurality of burr holes into two or more burr holes, the burr holes being divided into two or more burr holes, A display portion in which the type of the dental burr inserted in the hole is indicated by letters / numbers / symbols; And a concentric circle displayed in the place.

Description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Easy-to-sort dental bur stand}[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sy-to-sort dental bur stand,

본 고안은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용 버(dental bur)가 블럭부와 프레임부에 의해 각각 대분류 및 소분류로 분류되고, 프레임부 상부면에 표시부가 위치되어 치과용 버가 종류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됨에 따라 그 사용과 보관이 용이하고, 치과용 버가 삽입되는 버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동심원부가 형성되어 버 삽입홀의 시인성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심원부의 두께를 서로 달리하고, 또한 동심원부의 가장자리에 돌기가 더 형성되는 방법으로 치과용 버가 크기 및 거칠기 별로 정리될 수 있으며, 블럭부, 프레임부, 표시부 및 동심원부가 본체 상에 그대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투명한 필름부 상에 표시되고 이 필름부는 커버부에 의해 보호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나 목적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될 수 있는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burr stand which is easy to be classified, and more specifically, a dental bur is divided into a large class and a small class by a block part and a frame part, As the dental burrs are clearly arranged according to the types, it is easy to use and store, and the concentric circle portion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urr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dental burr is inserted,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burr insertion hole can be enhanced. The dental bur can be sorted by size and roughness in such a manner that the protrusions are further formed on the edge of the concentric circle portion and the dental bur can be sorted by size and roughness and the block portion, the frame portion, the display portion, And this film part is protected by the cover part, i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r purpose and used Will facilitate relates to a dental burr stands for classification.

치과용 버(dental bur)는 치과 치료 시 저속 또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치아의 상아질(dentin)과 법랑질(enamel), 또는 금속이나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인공 치아의 일부분을 삭제하거나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치과용 버는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금속, 세라믹 및 기타 경질 소재의 절삭, 드릴링 등에 폭넓게 사용된다.A dental bur is used to remove or grind a portion of an artificial tooth made of a dentin and an enamel of a tooth or a metal or a ceramic while rotating at a low speed or a high speed in a dental treatment. In addition to dental burrs, it is widely used for cutting, drilling, etc. of various kinds of metals, ceramics and other hard materials.

이러한 치과용 버는 치료하는 치아의 위치 또는 치료 방법에 따라 선택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치과용 버 내에서도 헤드부(절삭부 내지 연마부)의 크기 및 표면 거칠기가 각각 다른 치과용 버가 있으며, 대부분의 치과는 모든 종류의 치과용 버가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These dental burrs are used in various ways to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reated tooth or the treatment method. Further, even in the dental burr of the same kind, there are dental burrs having different sizes and surface roughnesses of the head part (cutting part to the abrasive part), and most dentists usually have all kinds of dental burrs.

이러한 치과용 버의 헤드부는 치아의 상아질(dentin)과 법랑질(enamel), 또는 금속이나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인공 치아의 일부분을 삭제하거나 연마하기 위해서 절삭부 내지 연마부가 구비되며, 이러한 헤드부 하측에는 핸드피스 측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된다.The head portion of the dental bur has a cutting portion and a polishing portion for removing or polishing a portion of a dental tooth and an enamel of a tooth or a part of an artificial tooth made of a metal or a ceramic. And an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the engageable portion to be rotatable.

이와 같은 치과용 버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버 스탠드(Bur Stand)라는 고정거치대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된다. 즉, 치과용 버의 결합부가 체결홀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버스탠드(Bur Stand) 내에 보관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버 스탠드(Bur Stand)는 단지 치과용 버(dental bur)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홀만 형성되어 있어서 치과용 버(dental bur)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분류 상태로 보관될 수 없었다. 때문에 사용자가 치과용 버(dental bur)의 헤드부 형태를 일일이 눈으로 확인하면서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치과용 버는 그 형태별로 별도의 명칭이 없어 사용자가 보조자에게 특정 형태의 치과용 버(dental bur)를 요청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Such a dental burr is stored in a state where it is inserted into a fixed stand such as a bur stand in whic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That is, the dental burr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and stored in the bur stan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bur stand, only a fastening hole for inserting a dental bur is formed, so that a dental bur can not be stored in a sorted stat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find the shape of the head of the dental bur while visually checking the shape of the head.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user can not request a specific type of dental bur from the assistant because the dental bur has no separate name for each type.

1. 한국 특허등록 제10-1310080호(2013년09월12일)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10080 (September 12, 2013) 2.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96514호(2002년11월16일)2.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Bulletin No. 20-0296514 (November 16, 2002) 3. 한국 특허공개 제10-2010-0098053호(2010년09월06일)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98053 (September 6, 2010)

따라서 본 고안은 치과용 버(dental bur)가 블럭부와 프레임부에 의해 각각 대분류 및 소분류로 분류되고, 프레임부 상부면에 표시부가 위치되어 치과용 버가 종류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됨에 따라 그 사용과 보관이 용이하고, 치과용 버가 삽입되는 버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동심원부가 형성되어 버 삽입홀의 시인성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심원부의 두께를 서로 달리하고, 또한 동심원부의 가장자리에 돌기가 더 형성되는 방법으로 치과용 버가 크기 및 거칠기 별로 정리될 수 있으며, 블럭부, 프레임부, 표시부 및 동심원부가 본체 상에 그대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투명한 필름부 상에 표시되고 이 필름부는 커버부에 의해 보호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나 목적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될 수 있는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ental bur is divided into a large class and a small class by a block part and a frame part respectively, and a display part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part, It is easy to store and the concentric circular part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urr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dental burr is inserted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burr insertion hole can be increased and the thicknesses of the concentric circular par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projections are further formed at the edge of the concentric part The dental burr can be sorted by size and roughness and the block portion, the frame portion, the display portion and the concentric circle portion are not displayed on the body as they are, but ar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film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al burstand which can be classifi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ymbol or purpose of a dental clinic. It shall b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면에 치과용 버가 삽입되는 버 삽입홀이 정렬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 측에 선택적으로 덮여지는 커버로 구성된 치과용 버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 상측에 띠 형상으로 표시되되 다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어 그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버 삽입홀들이 대분류로 분류되게 하는 다수의 블럭부와, 대분류로 분류된 상기 블럭부 별로 두 개 이상의 버 삽입홀들이 별도로 묶여지도록 구획되어 별도로 묶여진 상기 버 삽입홀들이 소분류로 분류되게 하는 다수의 프레임부와, 상기 제 프레임부 일측에 각각 표시되어 상기 프레임부 내의 상기 버 삽입홀 내에 삽입되는 상기 치과용 버들의 종류가 문자/숫자/기호로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버 삽입홀의 외측 가장자리에 표시되는 동심원부가 포함되는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al burr stand comprising a main body on which a burr hole for inserting a dental burr is inserted, and a cover selectively covered on an upper surface side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block portions which are display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so that the burr holes located below the burr holes are classified into major classes; A plurality of frame portions which are divided so that the insertion holes are separately bundled so that the separately buried burring holes are classified into a small classification; and a plurality of frame portions which are respectively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fram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bur insert holes in the frame portion, A display portion in which the type of the burr insertion hole is indicated by letters / numbers / symbols; and a concentric circle portion It provides the diver stand for a classification that also facilitates the dentist.

본 고안에서 상기 다수의 블럭부는 각각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럭부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프레임부, 표시부 및 동심원부는 그 상측의 상기 블럭부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block portions are formed in different colors, and the frame portion, the display portion, and the concentric portion located below the block portion are formed in the same color as the block portion on the upper side thereof.

본 고안에서 상기 블럭부, 프레임부, 표시부 및 동심원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의 필름부 상에 표시되고, 상기 필름부가 상기 본체 상에 안착 위치되며, 상기 필름부에는 상기 버 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portion, the frame portion, the display portion, and the concentric circle portion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re displayed on a transparent film portion, the film portion is seated on the main body, And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r insert hole.

본 고안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안착 위치된 상기 필름부 상에는 상기 필름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의 커버부가 안착 위치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제 1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관통공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portion of a transparent material, which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lm portion, is seated on the film portion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over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

본 고안에서 상기 필름부 및 커버부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제 1 체결공 및 제 2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1 체결공 및 제 2 체결공 내에 일체로 관통 위치되는 체결돌기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필름부 및 커버부는 상기 체결돌기에 의해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edges of the film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respectively, and fastening protrusions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edg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penetrate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s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s, And the position of the film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s fixed by the fastening protrusion.

본 고안에서 상기 동심원부는 소분류로 분류된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 내에서 상기 치과용 버가 크기별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ic circular part is formed thicker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dental bur can be classified in size in one frame part classified into the small classification.

본 고안에서 소분류로 분류된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 내에서 상기 치과용 버가 거칠기 별로가 분류될 수 있도록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동심원부의 가장자리에 돌기가 더 표시된다.The protrusions are further displayed on the edge of the concentric circle located on the right side so that the dental bur can be classified by roughness in one frame section classified into small categories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은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에 의하면 치과용 버(dental bur)가 블럭부와 프레임부에 의해 각각 대분류 및 소분류로 분류되고, 프레임부 상부면에 표시부가 위치되어 치과용 버가 종류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됨에 따라 그 사용과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ental burr stand as described above, the dental bur is divided into a large class and a small class by the block part and the frame part, the display part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part, It is easy to use and store as it is clearly organized by type.

그리고 치과용 버가 삽입되는 버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동심원부가 형성되어 버 삽입홀의 시인성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심원부의 두께를 서로 달리하고, 또한 동심원부의 가장자리에 돌기가 더 형성되는 방법으로 치과용 버가 크기 및 거칠기 별로 정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 concentric circular part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urr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dental bur bur is inserted,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bur burrow hole can be enhanced.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concentric ring par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be sorted by size and roughness.

뿐만 아니라, 블럭부, 프레임부, 표시부 및 동심원부가 본체 상에 그대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투명한 필름부 상에 표시되고 이 필름부는 커버부에 의해 보호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나 목적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lock portion, the frame portion, the display portion, and the concentric circle portion are not displayed on the main body as they are, they ar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film portion and the film portion is protected by the cover portion, There are advantage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의 부분확대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burr st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burr stand which is easy to s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A and 3B are partial enlarged views of a dental burr stand easy to s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의 부분확대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burr stand which is easy to s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burr stand which is easy to s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partial enlarged views of a dental burr stand easy to s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는 상부면에 치과용 버가 삽입되는 버 삽입홀이 정렬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 측에 선택적으로 덮여지는 커버로 구성된 치과용 버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 상측에 띠 형상으로 표시되되 다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어 그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버 삽입홀들이 대분류로 분류되게 하는 다수의 블럭부와, 대분류로 분류된 상기 블럭부 별로 두 개 이상의 버 삽입홀들이 별도로 묶여지도록 구획되어 별도로 묶여진 상기 버 삽입홀들이 소분류로 분류되게 하는 다수의 프레임부와, 상기 제 프레임부 일측에 각각 표시되어 상기 프레임부 내의 상기 버 삽입홀 내에 삽입되는 상기 치과용 버들의 종류가 문자/숫자/기호로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버 삽입홀의 외측 가장자리에 표시되는 동심원부가 포함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ntal burr stand which is easy to be classified includes a body in which a burr insertion hole into which a dental burr is inserted is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and a cover selectively covered on an upper surface side of the body A dental burr st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block parts, each of which is formed in a strip shape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so that the burr holes located below the burr holes are classified into major classes; A plurality of frame portions for dividing the plurality of burr holes into two or more burr holes, the burr holes being divided into two or more burr holes, A display portion in which the type of the dental burr inserted in the hole is indicated by letters / numbers / symbols; And a concentric circle displayed at the leading edge.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3B,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dental burr stand 1, which is easy to s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치과용 버 스탠드는 그 상부면에 치과용 버(6)가 삽입되는 버 삽입홀(3)이 정렬 형성된 본체(2)와, 이 본체(2)의 상부면 측에 선택적으로 덮여지는 커버(4)가 포함되어 구성된다는 점을 밝혀둔다.The dental bur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 on which a burr hole 3 into which a dental bur 6 is inserted is aligned, And a cover 4 selectively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side.

전술한 본체(2)의 상부면에는 블럭부(10)가 띠 형상으로 표시되는데, 이 블럭부(10)는 다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어 그 하측에 위치되는 버 삽입홀(3)들이 대분류로 분류되게 한다. 이러한 블럭부(10)는 각각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고, 블럭부(10) 하측에 위치되는 후술 될 프레임부(20), 표시부(30) 및 동심원부(40)는 그 상측의 블럭부(10)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된다.The block portion 10 is formed in a shape of a stri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The block portion 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so that the bur insert holes 3 located below the block portion 10 are classified into a major category . The display unit 30 and the concentric circle unit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ch are located below the block unit 10, are formed on the upper block unit 10, As shown in FIG.

즉, 띠 형상의 블럭부(10)는 본체(2)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블럭부(10)는 소정 길이마다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색상에 따라 버 삽입홀(3)들이 대분류로 구획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블럭부(10)는 예를 들면, 빨간색, 파란색, 흰색, 초록색 등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블럭부(10) 하측에 위치되는 프레임부(20), 표시부(30) 및 동심원부(40)는 블럭부(10)와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된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대분류가 일목요연하게 확인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대분류가 색상으로 구획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색상 대신 서로 다른 무늬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분류 가능한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strip-shaped block portions 10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and the block portions 10 are formed in different colors for respective predetermined lengths, ) Are divided into major categories. Each of the blocks 10 is divided into a red, a blue, a white, a green, and the like. The frame portion 20, the display portion 30 and the concentric portion 40 are displayed in the same color as the block 10. This is to allow a large category to be identified by the user at a glanc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rge classification is divided into hues,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different patterns instead of hues, and any other sorting means can be selectively used.

전술한 대분류로 분류된 블럭부(10) 별로 두 개 이상의 버 삽입홀(3)들이 프레임부(20)에 의해서 별도로 묶여 져 구획되는데, 이 프레임부(20)는 버 삽입홀(3)들이 소분류로 분류되게 한다. 이러한 프레임부(20)는 대분류로 분류된 버 삽입홀(3)들이 예를 들면, 4개 또는 8개씩 묶여서 분류될 수 있게 하는데, 하나의 블럭부(10) 내에서 다수 개의 프레임부(20)가 형성된다.Two or more burring holes 3 are separately bundled and separated by the frame portion 20 for each block portion classified into the above-described major blocks. The frame portion 20 is formed by inserting the burring holes 3 into the sub- . The frame portion 20 allows the burr insertion holes 3 classified into the major category to be classified into four or eight pieces, for example. In the one block portion 10, .

그리고 전술한 프레임부(20) 일측에는 표시부(30)가 각각 표시되는데, 이 표시부(30)는 전술한 프레임부(20) 내의 버 삽입홀(3) 내에 삽입되는 치과용 버(6)들의 종류가 문자/숫자/기호로 표시되는 것이다. 이러한 표시부(30)는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문자와 숫자로 조합될 수도 있고 숫자와 기호, 문자와 기호 등 다양한 조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치과용 버(6)의 경우 공식적인 명칭이 별도로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후술 될 필름부(50) 상에 사용자가 직접 유성펜 등을 사용하여 기재할 수도 있고, 문자/숫자/기호 스티커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필름부(50) 제작시 인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30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frame unit 20.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the type of the dental burs 6 inserted into the bur insert hole 3 in the frame unit 20 Is represented by letters / numbers / symbols. The display unit 30 may be combined with letters and numbers as shown in the figure, or may be displayed in various combinations such as numbers, symbols, letters, and symbols. In the case of the dental burr 6, since there is no separate formal name, the dental bur 6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For this purpose, the user may directly write on the film portion 50 to be described later using a lubricant pen, A number / symbol sticker may be used, or may be print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film portion 50. [

또한, 전술한 버 삽입홀(3)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동심원부(40)가 표시되는데, 이 동심원부(40)는 사용자가 치과용 버(6)를 선택할 때 그 시인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동심원부(40)는 동심원부(40)는 소분류로 분류된 하나의 프레임부(20) 내에서 치과용 버(6)가 크기별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소분류로 분류된 하나의 프레임부(20) 내에서 치과용 버(6)가 거칠기 별로 분류될 수 있도록 우측에 위치되는 동심원부(40)의 가장자리에 돌기(41)가 더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레임부(20)에 의해서 동일한 소분류로 분류된 치과용 버(6) 중에서도 크기가 더 크고 작은 것들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으며, 거칠기도 손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A concentric circular portion 40 is displayed on the outer edge of the burr insertion hole 3. The concentric circular portion 40 enhances the visibility when the user selects the dental bur 6. In the concentric circular part 40, the concentric circular part 40 is formed thicker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dental bur 6 can be classified in size in one frame part 20 classified into the small classification. In addition, the protrusion 41 is further displayed on the edge of the concentric circle portion 40 located on the right side so that the dental bur 6 can be classified by roughness in one frame portion 20 classified into the small classification.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select larger and smaller dental burrs 6 classified by the same small classification by the frame unit 20, and also can easily select the roughness.

한편, 전술한 본체(2) 상부면에는 필름부(50) 및 커버부(60)가 차례로 안착 배치되는데, 이 필름부(50)는 전술한 블럭부(10), 프레임부(20), 표시부(30) 및 동심원부(40)가 표시되는 것이고, 커버부(60)는 블럭부(10), 프레임부(20), 표시부(30) 및 동심원부(40)가 표시된 필름부(50)가 보호되게 하는 것이다.The film unit 50 and the cover unit 60 are disposed in ord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The film unit 50 includes the block unit 10, the frame unit 20, The cover portion 60 is provided with the film portion 50 in which the block portion 10, the frame portion 20, the display portion 30 and the concentric portion 40 are marked. To be protected.

이러한 필름부(50)는 전술한 본체(2)의 상부면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로 제조되고, 이 필름부(50)에는 버 삽입홀(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관통공(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부(60)는 전술한 필름부(50)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로 제조되고, 이 커버부(60)에는 전술한 제 1 관통공(5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관통공(61)이 형성된다.The film portion 5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and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film portion 50 has a through- (51) is formed. The cover portion 6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lm portion 50 and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cover portion 60 is provid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5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51, (61) are formed.

그리고 필름부(50) 및 커버부(60)의 네 군데 가장자리에는 각각 제 1 체결공(52) 및 제 2 체결공(62)이 관통 형성되고, 본체(2)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제 1 체결공(52) 및 제 2 체결공(62) 내에 일체로 관통 위치되는 체결돌기(5)가 돌출 구비된다. 따라서 전술한 필름부(50) 및 커버부(60)는 체결돌기(5)가 제 1 체결공(52) 및 제 2 체결공(62) 내에 관통 위치되면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필름부(50) 및 커버부(60)가 제 1 체결공(52), 제 2 체결공(62) 및 체결돌기(5)에 의해 위치고정 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자성체나 양면테이프 등 별도의 탈부착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 first fastening hole 52 and a second fastening hole 62 are formed in the four edges of the film portion 50 and the cover portion 60, And a fastening protrusion (5) projecting integrally through the hole (52)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62).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film portion 50 and the cover portion 60 can be fixed while the fastening protrusion 5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52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62.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portion 50 and the cover portion 60 are fixed by the first fastening hole 52, the second fastening hole 62,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5, Needless to say, a separ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means such as a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may be used.

이상에서와 같은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1)에 의하면 치과용 버(6, dental bur)가 블럭부(10)와 프레임부(20)에 의해 각각 대분류 및 소분류로 분류되고, 프레임부(20)에는 표시부(30)가 형성되어 치과용 버(6)가 종류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됨에 따라 그 사용과 보관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dental burr stand 1 as described above, the dental bur 6 is classified into the major category and the minor category respectively by the block part 10 and the frame part 20, Since the display unit 30 is formed in the mouthpiece 20 and the dental burrs 6 are clearly grouped according to the kind, it is easy to use and store.

그리고 치과용 버(6)가 삽입되는 버 삽입홀(3)의 가장자리에 동심원부(40)가 형성되어 버 삽입홀(3)의 시인성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심원부(40)의 두께를 서로 달리하고, 또한 동심원부(40)의 가장자리에 돌기(41)가 더 형성되는 방법으로 치과용 버(6)가 크기 및 거칠기 별로 정리될 수 있다.The concentric portion 40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urr hole 3 in which the dental bur 6 is inserted so that the visibility of the burr hole 3 can be increased and the thickness of the concentric portion 40 can be increased And the protrusions 41 are further formed at the edge of the concentric circle portion 40, the dental bur 6 can be sorted by size and roughness.

뿐만 아니라, 블럭부(10), 프레임부(20), 표시부(30) 및 동심원부(40)가 본체(2) 상에 그대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투명한 필름부(50) 상에 표시되고 이 필름부(50)는 커버부(60)에 의해 보호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나 목적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 portion 10, the frame portion 20, the display portion 30 and the concentric portion 40 are not displayed as they are on the main body 2 but ar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film portion 50, (50) is protected by the cover part (60) and can be classified and used according to the taste or purpose of the user.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lthough 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and scope.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ll implemen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
2 : 본체
3 : 버 삽입홀
4 : 커버
5 : 체결돌기
6 : 치과용 버
10 : 블럭부
20 : 프레임부
30 : 표시부
40 : 동심원부
41 : 돌기
50 : 필름부
51 : 제 1 관통공
52 : 제 1 체결공
60 : 커버부
61 : 제 2 관통공
62 : 제 2 체결공
1: Easy-to-sort dental stand
2: Body
3: Burr insertion hole
4: cover
5: fastening projection
6: Dental burr
10:
20:
30:
40: concentric circle
41: projection
50:
51: first through hole
52: first fastening hole
60: Cover part
61: second through hole
62: second fastening hole

Claims (7)

상부면에 치과용 버(6)가 삽입되는 버 삽입홀(3)이 정렬 형성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상부면 측에 선택적으로 덮여지는 커버(4)로 구성된 치과용 버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상부면 상측에 띠 형상으로 표시되되 다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어 그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버 삽입홀(3)들이 대분류로 분류되게 하는 다수의 블럭부(10);
대분류로 분류된 상기 블럭부(10) 별로 두 개 이상의 버 삽입홀(3)들이 별도로 묶여지도록 구획되어 별도로 묶여진 상기 버 삽입홀(3)들이 소분류로 분류되게 하는 다수의 프레임부(20);
상기 프레임부(20) 일측에 각각 표시되어 상기 프레임부(20) 내의 상기 버 삽입홀(3) 내에 삽입되는 상기 치과용 버(6)들의 종류가 문자/숫자/기호로 표시되는 표시부(30); 및
상기 버 삽입홀(3)의 외측 가장자리에 표시되는 동심원부(40)가 포함되는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
A dental burr (1) comprising a main body (2) in which a burr hole (3) for inserting a dental burr (6) is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over (4) selectively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main body In the stand,
A plurality of block units 10, which are display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and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so that the burr holes 3 located below the burr holes 3 are classified into major classes;
A plurality of frame portions 20 partitioned into two or more burr holes 3 separately for each of the block portions 10 classified into the major categories so that the burr holes 3 separately classified are classified into a small category;
A display unit 30 which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frame unit 20 and in which the types of the dental burs 6 inserted into the bur insert hole 3 in the frame unit 20 are represented by letters / ; And
And a concentric circular part (40) displayed on an outer edge of the bur insert hole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럭부(10)는 각각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럭부(10)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프레임부(20), 표시부(30) 및 동심원부(40)는 그 상측의 상기 블럭부(10)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portion 20, the display portion 30, and the concentric portion 40, which are located below the block portion 10, are form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block portion 10 on the upper side, Is formed in the same color as that of the dental burr stand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10), 프레임부(20), 표시부(30) 및 동심원부(40)는 상기 본체(2)의 상부면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의 필름부(50) 상에 표시되고, 상기 필름부(50)가 상기 본체(2) 상에 안착 위치되며, 상기 필름부(50)에는 상기 버 삽입홀(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관통공(5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
The method of claim 2,
The block portion 10, the frame portion 20, the display portion 30 and the concentric portion 4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and ar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film portion 50 The film portion 50 is seated on the main body 2 and the first through hole 51 is formed in the film portion 5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r insert hole 3 Dental burstands for easy classifica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상부면에 안착 위치된 상기 필름부(50) 상에는 상기 필름부(50)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의 커버부(60)가 안착 위치되며, 상기 커버부(60)에는 상기 제 1 관통공(5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관통공(6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
The method of claim 3,
A transparent cover 60 is seated on the film unit 50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lm unit 50, And a second through hole (6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5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50) 및 커버부(60)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제 1 체결공(52) 및 제 2 체결공(6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2)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1 체결공(52) 및 제 2 체결공(62) 내에 일체로 관통 위치되는 체결돌기(5)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필름부(50) 및 커버부(60)는 상기 체결돌기(5)에 의해서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fastening hole 52 and a second fastening hole 62 are formed in the edges of the film portion 50 and the cover portion 60 respectively. A fastening protrusion 5 integrally penetrating through the hole 52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62 is protruded so that the film portion 50 and the cover portion 60 are fixed by the fastening protrusion 5 to the position Wherein the dental prosthesis is fixed to the dental prosthesi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동심원부(40)는 소분류로 분류된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20) 내에서 상기 치과용 버(6)가 크기별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centric circular part (40) is thicker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dental burr (6) can be classified in size in one frame part (20) classified into a small classification. Easy dental burr stand.
청구항 6에 있어서,
소분류로 분류된 하나의 상기 프레임부(20) 내에서 상기 치과용 버(6)가 거칠기 별로 분류될 수 있도록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동심원부(40)의 가장자리에 돌기(41)가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가 용이한 치과용 버 스탠드.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trusions 41 are further displayed on the edge of the concentric circular part 40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so that the dental bur 6 can be classified by roughness in one frame part 20 classified into small classification Easy to classify dental burstands.
KR2020170002044U 2017-04-24 2017-04-24 Easy-to-sort dental bur stand KR2018000313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44U KR20180003134U (en) 2017-04-24 2017-04-24 Easy-to-sort dental bur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44U KR20180003134U (en) 2017-04-24 2017-04-24 Easy-to-sort dental bur st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34U true KR20180003134U (en) 2018-11-02

Family

ID=6432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044U KR20180003134U (en) 2017-04-24 2017-04-24 Easy-to-sort dental bur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134U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514Y1 (en) 2002-03-09 2002-11-29 최흥 Hanger for tooth tool
KR20100098053A (en)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쎄타텍 Dental bu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10080B1 (en) 2013-04-18 2013-09-23 신원덴탈(주) Dental bur stand locking struc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514Y1 (en) 2002-03-09 2002-11-29 최흥 Hanger for tooth tool
KR20100098053A (en)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쎄타텍 Dental bu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10080B1 (en) 2013-04-18 2013-09-23 신원덴탈(주) Dental bur stand locking struc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730A (en) Dental porcelain shading guide and method of use therefore
US7028588B2 (en) Tool having easily identified size
US3949506A (en) Plaque with repositionable ornamental team units
USD875753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biological slide scanning
TW200818024A (en) Two dimensions code with a logo
US6464497B2 (en) Packaging box for use with endodontic instruments
US4043573A (en) Note pad construction
US3295236A (en) Golf head cover with replaceable number or indicating means
KR20180003134U (en) Easy-to-sort dental bur stand
KR20130002439U (en) Toothbrush
US48788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teeth for crown or bridge work or other dental work
AU2005203325A1 (en) Plug identity system
US2932107A (en) Key identification and filing means
US20040139642A1 (en) Organization system for identifying instruments
KR101475381B1 (en) Toothbrush with user identifier
US6679372B1 (en) Quarter displaying and teaching device
ES2233148B1 (en) PROCEDURE FOR THE CONFECTION OF ACRYLIC ENROLLMENT PLATES WITH CHARACTERS OF ONE OR VARIOUS COLORS.
JP3125251U (en) Jewel cut confirmation instrument
KR101460603B1 (en) Puzzle Calendar
JP3131421U (en) Eyebrow template
JP2003340621A (en) Method for displaying diameter of drill, and drill
CH714611B1 (en) Component and watch, bag and jewelry with the component.
RU2603556C2 (en) Toothbrush comprising a kit for decorating mentioned toothbrush
KR940008630Y1 (en) Candle for cake
KR20180133638A (en) Toothbrush using for expression distingu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