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070A - A cup conveyance bag with the beverage - Google Patents
A cup conveyance bag with the bever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3070A KR20180003070A KR1020160082414A KR20160082414A KR20180003070A KR 20180003070 A KR20180003070 A KR 20180003070A KR 1020160082414 A KR1020160082414 A KR 1020160082414A KR 20160082414 A KR20160082414 A KR 20160082414A KR 20180003070 A KR20180003070 A KR 201800030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main body
- present
- hole
- beve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5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8—Hand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컵 운반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가 담긴 다수개의 컵을 동시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컵 운반용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conve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conveying apparatus capable of safely and conveniently conveying a plurality of cups containing beverage at the same time.
일반적으로, 음료 등을 담기 위한 컵은 우리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생활용품 중의 하나로 사용목적에 따라 금속, 플라스틱, 종이 등의 재질로 제조되고 있다.BACKGROUND ART Generally, cups for storing beverages are one of household items commonly used in daily life, and they are made of metal, plastic, paper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이러한 컵 중에서 플라스틱이나 종이로 제조되는 컵은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특징이 있어 일회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특히 종이로 제작된 종이컵은 음료 자판기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Of these cups, cups made of plastic or paper are often used for disposable purposes because they are easy to use and hygienic, and paper cups made of paper are mainly used in beverage vending machines and the like.
그리고, 음료 자판기는 우리의 생화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고 편리하게 바로 마실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자판기는 커피 자판기이다.In addition,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is easily accessible at the periphery of our living, is cheap and convenient to drink, and is used by many people. The most widely used vending machine is a coffee machine.
즉, 커피 자판기는 통상 동전을 투입하거나 카드를 넣으면 하나씩 추출되는 종이컵에 소정량의 커피가 자동으로 나오게 되어 있다.In other words, a coffee vending machine usually puts a coin or a card,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coffee automatically comes out to a paper cup which is extracted one by one.
이러한, 커피 자판기는 원두 또는 인스턴트 커피로서 커피가 포함하고 있는 각종 성분이 뜨거운 물에 더 잘 용해되어 차 또는 커피의 색향미를 최대한으로 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뜨거운 커피가 대분이다.These coffee vending machines are coffee beans or instant coffees, because most of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coffee are more soluble in hot water, which can bring out the color flavor of tea or coffee to the fullest.
그런데, 이러한 자판기에 사용되는 종이컵은 사용자가 커피가 담긴 종이컵을 한손으로 파지하여 운반하기에 적당한 크기이지만, 여러개의 컵을 운반하는데에는 제한을 받게 되어 쟁반과 같은 형태의 판지를 이용하여 운반하고 있으나, 이는 운반중 종이컵 내에 뜨거운 커피를 쏟아서 손을 델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aper cup used in such a vending machine is a size suitable for the user to grasp the paper cup containing the coffee with one hand and carry it. However, the paper cup is conveyed by using the same type of paperboard , Which had a problem that the coffee was poured into the cup during transportation and the hand was liable to be drowned.
또한, 패스트푸드점 등과 같은 간이 음식점 등에서도 콜라, 사이다, 주스, 커피 등의 여러 가지 음료수를 판매하고, 이러한 음료수는 테이크 아웃을 많이 하게 된다.Also, fast food restaurants such as fast food restaurants sell various kinds of drinks such as cola, cider, juice, and coffee, and such drinks lead to a lot of takeout.
현재 음료가 담긴 컵을 포장하여 가져가기 위한 테이크 아웃용 캐리어는 판지를 재단한 후 컵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그리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가 구성되어 있다. A carry-out carrier for wrapping a cup containing the present beverage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in which a cup is accommodated after cutting the cardboard, and a gripping part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cup.
그리나, 종래의 테이크 아웃용 캐리어는 판지를 재단한 후 사용자가 직접 접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테이크 아웃용 캐리어의 제작이 어렵고, 접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rry-out carrier, after the cardboard has been cut, the user has to separately carry out the folding work,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take-out carrier, and the folding time is long.
그리고, 테이크 아웃 캐리어에 음료가 담긴 컵을 거치시켜 운반하는 과정에서 캐리어의 흔들림 등에 의해 컵에 담긴 내용물이 컵의 외부로 흘러넘치는 경우에는 캐리어의 재질 특성상 내용물이 종이로 이루어진 캐리어에 스며들게 됨으로써, 컵을 운반할 수 있는 캐리어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When the contents of the cup float over the outside of the cup due to shaking of the carrier or the like during the course of carrying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in the take-out carrier, the contents are impregnated into the carrier made of paper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of the carri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unction of the carrier which can carry the carrier is lost.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0685호 "음료가 담긴 컵 운반용 봉지"가 제시된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30685 entitled "Cup for Carrying a Cup Containing Drink"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봉지의 내측에 컵이 안착될 수 있도록 수납부가 형성되어 이 수납부에 음료가 담긴 컵이 수납되고, 상부에는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음료가 뜨거운 커피 등이 담긴 경우에는 뜨거운 음료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손잡이구멍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이 수증기에 의해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 storag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cup can be seated inside the bag, a cup containing the drink is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and a handle hole capable of gripping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hen coffee or the like is contained,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hot beverage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hole is formed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ch causes a problem of burning by the steam.
그리고, 뜨거운 음료가 담긴 컵이 수납부에 안착됨으로써, 컵과 봉지가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컵의 뜨거운 열이 그대로 봉지로 전달되어 손잡이구멍을 이용하여 파지한 사람의 손으로 전달되게 되어 파지하는데 상당히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up containing the hot beverage is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cup and the bag are kept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hot heat of the cup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bag and then delivered to the gripper's hand using the handle hole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considerably inconvenient to grip.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컵이 수납되는 안착공이 형성된 받침판을 봉지 형상의 본체 내측에 수납시키되, 본체에는 받침판의 안착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컵이 이 관통공을 통하여 하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안착됨으로써, 내용물이 담긴 다수개의 컵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And the bottom portion is seat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so that a plurality of cups containing the contents can be easily carried.
그리고, 본체에 수납하여 다수개의 컵을 운반할 때 받침판에 형성된 안착공에 컵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본체의 내측으로 수납하여 운반할 때 본체와 뜨거운 컵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받침판에 의해 방지되어 컵의 뜨거운 열이 손잡이공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하게 컵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When a plurality of cups are housed in the main body and are hous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cup is seated in the air-through hole formed in the base plate, when the main body and the hot cup are directly contac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up can be safely transported by preventing the hot heat of the cup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handle hole.
또한, 받침판에 컵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본체의 내측에 수납하여 운반함으로써, 운반 중에 컵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cup from tilting or flowing in one direction during transportation, and to carry it safely, by storing the cup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while the cup is seated on the base plate.
그리고, 본체는 비닐의 재질을 이용하여 봉지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받침판과 분리하고 본체는 접은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컵 운반용구의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When the container is not used, it is separated from the base plate, and the body is stored in a folded state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stored easily without occupying a lot of space when storing the container. It has its purpose.
또한, 받침판의 안착공에 안착된 컵의 하부가 본체의 관통공을 통하여 하부로 돌출되게 안착시킴으로써, 컵의 무게 중심이 본체의 하부에 위치되어 운반시 컵의 흔들림 및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ttom of the cup seat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protrudes downward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main bod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up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cup from shaking and tilting to one side during transportation The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to d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컵 운반용구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납되되, 컵이 안착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p convey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so as to ope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upport plat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
여기서, 상기 본체는 하부에 컵이 수용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receiving cups in a lower portion thereof.
나아가, 상기 본체는 비닐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by being a vinyl paper.
그리고, 상기 받침판은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안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holes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받침판은 판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upport plate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부에 손잡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a handle hole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컵이 수납되는 안착공이 형성된 받침판을 봉지 형상의 본체 내측에 수납시키되, 본체에는 받침판의 안착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컵이 이 관통공을 통하여 하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안착됨으로써, 내용물이 담긴 다수개의 컵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main body so that the cup is received in the main body through the through-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a plurality of cups containing the contents.
그리고, 본체에 수납하여 다수개의 컵을 운반할 때 받침판에 형성된 안착공에 컵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본체의 내측으로 수납하여 운반할 때 본체와 뜨거운 컵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받침판에 의해 방지되어 컵의 뜨거운 열이 손잡이공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하게 컵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When a plurality of cups are housed in the main body and are hous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cup is seated in the air-through hole formed in the base plate, when the main body and the hot cup are directly contact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afely carry the cup by preventing the hot heat of the cup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handle hole.
또한, 받침판에 컵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본체의 내측에 수납하여 운반함으로써, 운반 중에 컵이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up is receiv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while the cup is seated on the receiving tray, the cup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or flowing in one direction during transportation, and can be safely transported.
그리고, 본체는 비닐의 재질을 이용하여 봉지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받침판과 분리하고 본체는 접은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컵 운반용구의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container is not used, it is separated from the base plate, and the body is stored in a folded state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stored easily without occupying a lot of space when storing the container. .
또한, 받침판의 안착공에 안착된 컵의 하부가 본체의 관통공을 통하여 하부로 돌출되게 안착시킴으로써, 컵의 무게 중심이 본체의 하부에 위치되어 운반시 컵의 흔들림 및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ttom of the cup seat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protrudes downward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main bod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up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cup from shaking and tilting to one side during transportation There is an effect to be able to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를 보인 단면도.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본체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받침판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ed state of th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up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show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foo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p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p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cup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본체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받침판을 보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up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view showing a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bas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100)는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수납공간(112)이 형성된 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수납되되, 음료가 담긴 컵(102)이 안착 고정되는 받침판(210)으로 구성된다.1 to 5, a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비닐지로 제작되되, 상부 양측에는 서로 대응되게 손잡이공(114)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16)이 일정하게 배열되도록 형성된다.Here, the
나아가, 상기 본체(110)는 양측 및 하부에는 평면으로 접을 수 있고, 컵이 수용되면 받침판(210)에 의해 평면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절첩선(118)이 형성된다.Further, the
이때,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6)은 본체(110)을 절첩선(118)을 이용하여 접었을 때 하부에 형성되게 되며, 받침판(210)을 수납공간(112)에 수납시키게 되면 본체(110)의 바닥부가 평평해지면서 하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가 위치되게 된다.The through
즉,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6)은 본체(110)의 하단부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2열로 다수개가 형성된다.That is, a plurality of through
따라서, 상기 본체(1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절첩선(118)을 이용하여 접어서 보관을 하고, 사용시에는 펼쳐서 사용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그리고, 상기 받침판(210)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판재를 사각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작하고, 이 사각 형상으로 제작된 받침판(210)이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6)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음료가 담긴 컵(102)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공(212)이 형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받침판(210)에 형성된 안착공(212)은 길이 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부에 배치되게 2열로 다수개가 형성되게 된다.Here, a plurality of the
이때, 상기 받침판(210)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로 보관을 하고, 사용시에는 본체(110)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시켜 본체(110)의 바닥면이 평평하게 되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110)의 관통공(116)과 받침판(210)의 안착공(212)이 서로 일치되어 연통되도록 수납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받침판(210)을 본체(110)의 내측면 바닥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음료가 담긴 컵(102)을 안착공(212)에 안착시키게 되면 컵(102)은 받침판(210)의 안착공(212)에 안착 고정됨과 동시에 컵(102)의 하부가 본체(110)의 관통공(116)을 통하여 하부로 돌출된 상태로 안착 고정되게 된다.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up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100)는 본체(110)와 받침판(210)이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110)는 접혀진 상태에서 보관을 하게 되는데, 컵(102)을 거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110)를 펼친 상태에서 본체(110)의 내측 바닥면에 받침판(210)을 안착시키게 된다.The
이때, 상기 받침판(210)을 본체(110)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시킬 때 받침판(210)에 의해 본체(110)의 하부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6)은 받침판(210)에 의해 평평하게 형성된 하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받침판(210)의 안착공(212)과 서로 연통되게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The bottom of the
이 상태에서 음료가 담긴 컵(102)을 받침판(210)의 안착공(212)에 안착시키게 되면 컵(102)은 받침판(210)의 안착공(212)에 안착됨과 동시에 본체(110)의 관통공(116)을 통하여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따라서, 상기 받침판(210)의 안착공(212)에 음료가 담긴 컵(102)이 안착되어 본체(110)의 관통공(116)을 통하여 컵(102)의 하부가 하단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뜨거운 내용물이 담긴 컵(102) 인 경우, 본체(110)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받침판(210)과 받침판(210) 상부의 본체(110) 공간부에 의해 차단하게 되어 사용자는 안전하게 본체(110)의 손잡이공(114)을 이용하여 파지한 상태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The
또한, 상기 받침판(210)의 안착공(212)에 안착된 컵(102)의 무게 중심이 본체(110)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본체(110)의 내측에 안착된 받침판(210)이 운반 중 비틀어는 등 받침판(210)의 유동되는 것을 방지되고, 컵(102)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전하게 컵(102)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The center of gravity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100)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110)로부터 받침판(210)을 분리하고, 본체(110)는 절첩선(118)을 이용하여 접은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컵 운반용구(100)의 부피가 작아 보관공간을 적게 차지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또한, 상기 본체(110)에 받침판(21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음료가 담긴 컵(102)을 받침판(210)의 안착공(212)에 안착시키게 되면 컵(102)의 무게에 의해 받침판(210)이 본체(110)의 내측에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안전하게 음료가 담긴 컵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6A and 6B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p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6)은 본체(110)의 하단 중앙부에 1열로 다수개가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through
그리고, 상기 받침판(210)은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6)에 대응되게 중앙부에 1열로 다수개의 안착공(212)이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본체(11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를 접었을 때 관통공(116)은 하단부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받침판(210)을 수납하기 위하여 본체(110)를 펼칠 경우에는 본체(110)의 바닥면이 평평해지면서 관통공(116)이 중앙부에 위치하면서 원형을 형성하게 된다.6B, 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cup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us constituted is the same as in the former case, and a description of the working relationship is omitted here.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7A and 7B are view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cup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하단 중앙부에 1개의 관통공(116)이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one through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수납공간(112) 바닥면에 안착되는 받침판(210)에는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6)에 대응되게 중앙부에 안착공(212)이 형성된다.An
이때, 상기 본체(11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를 접었을 때 관통공(116)은 하단부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받침판(210)을 수납하기 위하여 본체(110)를 펼칠 경우에는 본체(110)의 바닥면이 평평해지면서 관통공(116)이 중앙부에 위치하면서 원형을 형성하게 된다.7B, 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cup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us constituted is the same as in the former case, and a description of the working relationship is omitted her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운반용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컵 운반용구
102 : 컵
110 : 본체
112 : 수납공간
114 : 손잡이공
116 : 관통공
118 : 절첩선
210 : 받침판
212 : 안착공100: cup carrier 102: cup
110: main body 112: storage space
114: handle ball 116: through ball
118: fold line 210:
212: Opening
Claims (6)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납되되, 컵이 안착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운반용구.In a cup carrier,
A main body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o that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And a support plate housed inside the main body, wherein the cup is seated thereon.
상기 본체는 하부에 컵이 수용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운반용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a cup is received.
상기 본체는 비닐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운반용구.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body is a vinyl paper.
상기 받침판은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안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운반용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plate has a plurality of air holes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main body.
상기 받침판은 판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운반용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plate is made of a plate material.
상기 본체는 상부에 손잡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운반용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handle hol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2414A KR20180003070A (en) | 2016-06-30 | 2016-06-30 | A cup conveyance bag with the bever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2414A KR20180003070A (en) | 2016-06-30 | 2016-06-30 | A cup conveyance bag with the bever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3070A true KR20180003070A (en) | 2018-01-09 |
Family
ID=6100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2414A KR20180003070A (en) | 2016-06-30 | 2016-06-30 | A cup conveyance bag with the bever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3070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3707A (en) * | 2020-01-17 | 2021-07-28 |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 Germanium photodetector embedded in a multi-mode interferomet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935798A2 (en) * | 2006-12-20 | 2008-06-25 | Portabrands Limited | Bag |
US20090230083A1 (en) * | 2008-03-13 | 2009-09-17 | Blue Shoe Innovations, Llc | Beverage and food carrier and dispensing systems therefor |
JP2014189314A (en) * | 2013-03-27 | 2014-10-06 | Morofuji:Kk | Foldable container |
CN204548886U (en) * | 2015-03-25 | 2015-08-12 | 东莞市石龙联兴实业有限公司 | A kind of beverage to-go box |
-
2016
- 2016-06-30 KR KR1020160082414A patent/KR20180003070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935798A2 (en) * | 2006-12-20 | 2008-06-25 | Portabrands Limited | Bag |
US20090230083A1 (en) * | 2008-03-13 | 2009-09-17 | Blue Shoe Innovations, Llc | Beverage and food carrier and dispensing systems therefor |
JP2014189314A (en) * | 2013-03-27 | 2014-10-06 | Morofuji:Kk | Foldable container |
CN204548886U (en) * | 2015-03-25 | 2015-08-12 | 东莞市石龙联兴实业有限公司 | A kind of beverage to-go box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3707A (en) * | 2020-01-17 | 2021-07-28 |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 Germanium photodetector embedded in a multi-mode interferome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31353A (en) | Drinking cup device | |
US5259528A (en) | Combination food, drink, utensil and napkin tray | |
US20210137294A1 (en) | Attachable Beverage Niche Cooperates for a System to manage Food and Drink | |
ES250951U (en) | Container holding socket for molded tray | |
US20030141355A1 (en) | Food and condiment holder | |
KR20180003070A (en) | A cup conveyance bag with the beverage | |
US3417873A (en) | Food dispensing rack | |
KR200471304Y1 (en) | Food Package Carrier | |
US3806699A (en) | Heated lunch box | |
KR200493525Y1 (en) | warm and cool-keeping bag for golf cart and bag set having this same | |
KR200258661Y1 (en) | Portable for a paper cup holder | |
US2583951A (en) | Cup, saucer, and cream jug | |
KR200305808Y1 (en) | Box for easily carrying food | |
KR102098830B1 (en) | carrier having cup holder | |
JP7521086B1 (en) | Instant noodles in a bag | |
JP3229461U (en) | Two-kind beverage paper pack container | |
CN208761277U (en) | A kind of coffee tyre packaged combination | |
KR102657740B1 (en) | Carrier structure for food packaging containers | |
KR20230052640A (en) | Prefab Bag for Carrying Drinks | |
KR20170053602A (en) | Receptacle for food and drink | |
CN215456091U (en) | Portable food cup | |
GB2261594A (en) | A drinking vessel provided with a lid | |
KR200167436Y1 (en) | Conveyance device for many coffee cups in coffee vending machine | |
JP6145740B1 (en) | Outdoor tableware | |
JP3102075U (en) | Cup noodle lid holder and chopstick res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