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054U -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054U
KR20180003054U KR2020180004667U KR20180004667U KR20180003054U KR 20180003054 U KR20180003054 U KR 20180003054U KR 2020180004667 U KR2020180004667 U KR 2020180004667U KR 20180004667 U KR20180004667 U KR 20180004667U KR 20180003054 U KR20180003054 U KR 201800030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sertion groove
skirt portion
wall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국
김용훈
박광수
이한슬
차규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180004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054U/ko
Publication of KR201800030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가 상하로 적층 상태에서 용기간 밀착으로 인한 밀폐가 방지되어 용기간 분리가 순조로움으로써 차후 제품 포장 과정에서 자동 투입 작업 등의 연속 진행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하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 용기{thermoforming packing container for improving efficiency of packing operations}
본 고안은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용기간 밀착으로 인한 밀폐가 방지되어 용기간 분리가 순조로움으로써 차후 제품 포장 과정에서 자동 투입 작업 등의 연속 진행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하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식품류 등의 상품 포장 수단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2324호(공고일 : 2003. 01. 30.)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각종의 '포장 용기'가 이용되고 있다.
이때, 포장 용기는, 사출성형, 블로우성형, 열성형 중의 어느 한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사출성형은, 금형 내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성형하는 방식으로, 내면 형상과 외면 형상이 상이한 포장 용기 제조시 주로 적용된다.
그리고 블로우성형은, 용융 수지에 고압의 공기를 불어 넣어 성형하는 방식으로, 병 형태 포장 용기 제조시 주로 적용된다.
그리고 열성형은, 0.3-3.0mm 두께의 합성수지 시트를 가열한 후 프레싱하여 성형하는 방식으로, 내면 형상과 외면 형상이 동일한 포장 용기 제조시 주로 적용된다.
한편, 물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품 포장 이전까지 포장 용기를 상하로 적층, 즉 스태킹(stacking)하여 보관 및 이송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때, 사출성형 포장 용기는, 내면 형상과 외면 형상이 상이함에 따라 상하 적층시 용기간 밀착이 방지되므로 용기간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블로우성형 포장 용기는 통상 병 형태임에 따라 그 형태적 특성상 상하 적층 자체를 실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열성형 포장 용기는, 내면 형상과 외면 형상이 동일한바, 상하 적층시 상층 용기의 외면이 하층 용기의 내면에 밀착되며 밀폐됨에 따라 음압(陰壓)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하여 용기간 분리가 순조롭지 않았으므로 차후 제품 포장 과정에서 자동 투입 작업 등을 실시하고자 할 때 연속 진행이 곤란하여 포장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용기가 상하로 적층 상태에서 용기간 분리가 순조로움으로써 차후 제품 포장 과정에서 자동 투입 작업 등의 연속 진행이 원활해짐에 따라 포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열성형 포장 용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2324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열성형 포장 용기 상하 적층시 상층 용기의 외면이 하층 용기의 내면에 밀착되며 밀폐됨에 따라 음압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하여 용기간 분리가 순조롭지 않아 차후 제품 포장 과정에서 자동 투입 작업 등을 실시하고자 할 때 연속 진행이 곤란함으로 인하여 포장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포장 용기는, 바닥; 상기 바닥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벽체; 상기 벽체 상단으로부터 이어지되, 상기 벽체와 단차를 두고 형성되는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 상단을 따라 형성되며, 상면에 리드필름이 씰링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외면의 하단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스커트부의 외면 하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3-8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그 높이가 0.5-2.0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그 폭이 1.0-5.0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다각형 또는 호형(弧形)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포장 용기는, 스커트부의 외면 하단에 삽입홈이 형성되는바, 상하 적층시 상층 용기의 스커트부 저면과 하층 용기의 플랜지 상면이 접촉할 때 삽입홈에 의해 미접촉 부위가 발생하여 이를 통해 통기가 이루어지므로 용기간 밀착으로 인한 밀폐가 방지될 수 있어 상하 적층 상태에서 용기간 분리가 순조로우므로 차후 제품 포장 과정에서 자동 투입 작업 등을 실시하고자 할 때 연속 진행이 원활할 수 있어 포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포장 용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포장 용기의 외형을 보인 저면측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포장 용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포장 용기의 상하 적층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포장 용기에서 삽입홈에 의한 밀폐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포장 용기에서 삽입홈이 호형으로 형성된 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포장 용기'(이하, '용기'라 함)(A)는, 바닥(10)과, 벽체(20)와, 스커트부(30)와, 플랜지(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10)은 상품(도면상 미도시) 안착면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기 바닥(10)은 가급적 평탄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닥(10)에 의해 상품(도면상 미도시)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벽체(20)는 상기 바닥(10)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이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벽체(20)로 인하여 상기 바닥(10) 상부로 구획된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에 의해 상품의 수용이 가능하다.
상기 스커트부(30)는, 상기 벽체(20) 상단으로부터 이어지되, 상기 벽체(20)와 단차를 두고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스커트부(30)는 외면의 하단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31)을 포함한다.
상기 스커트부(30)가 상기 삽입홈(31)을 포함함으로써 용기(A) 상하 적층 과정에서 상층 용기(A)의 상기 스커트부(30) 저면과 하층 용기(A)의 상기 플랜지(40) 상면이 접촉할 때 상기 삽입홈(31)에 의해 미접촉 부위, 다시 말해 개방 부위가 발생하여 이를 통해 통기가 이루어지므로 용기(A)간 밀착으로 인한 밀폐가 방지될 수 있어 용기(A) 상하 적층 상태에서 용기(A)간 분리가 순조로워진다.
이때, 상기 삽입홈(31)은 상기 스커트부(30)의 외주면 하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3-8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홈(31)이 3개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용기(A) 상하 적층 과정에서 상기 삽입홈(31)에 의해 상층 용기(A)와 하층 용기(A) 사이에 발생하는 미접촉 부위가 미미하여 용기(A)간 밀폐 방지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삽입홈(31)이 8개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용기(A) 성형을 위한 금형 제작시의 번거로움이 커질 수 있으므로 상기 삽입홈(31)은 상기 스커트부(30)의 외면 하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3-8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31)은 그 높이(h)가 0.5-2.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홈(31)의 높이(h)가 0.5mm 미만인 경우, 용기(A) 상하 적층 과정에서 상기 삽입홈(31)에 의해 상층 용기(A)와 하층 용기(A) 사이에 발생하는 미접촉 부위가 미미하여 용기(A)간 밀폐 방지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삽입홈(31)의 높이(h)가 2.0m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삽입홈(31)을 통해 상하로 적층된 용기(A) 사이로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는바, 상기 삽입홈(31)은 그 높이(h)가 0.5-2.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31)은 그 폭(w)이 1.0-5.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홈(31)의 폭(w)이 1.0mm 미만인 경우, 용기(A) 상하 적층 과정에서 상기 삽입홈(31)에 의해 상층 용기(A)와 하층 용기(A) 사이에 발생하는 미접촉 부위가 미미하여 용기(A)간 밀폐 방지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삽입홈(31)의 폭(w)이 5.0m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삽입홈(31)을 통해 상하로 적층된 용기(A) 사이로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는바, 상기 삽입홈(31)은 그 폭(w)이 1.0-5.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31)은 용기(A) 상하 적층 과정에서 상층 용기(A)와 하층 용기(A) 사이에 미접촉 부위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다각형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호형이 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0)는 상기 스커트부(30) 상단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플랜지(40)의 상면에는 리드필름(도면상 미도시)이 씰링됨으로써 상기 벽체(20) 내부에 수용되는 상품이 밀봉된다.
한편, 상기 바닥(10)과, 상기 벽체(20)와, 상기 스커트와, 상기 플랜지(40)는 가요성 합성수지로 형성됨으로써 재질 특성상 유통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미치는 충격의 완화가 가능하므로 손상 및 변형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용기(A)는 열성형 방식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성형 방식 특성상 용기(A) 내면 형상과 외면 형상이 동일해진다.
본 고안에 의한 용기(A)의 상하 적층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용기(A)에서 상기 벽체(20)는 상품 포장 이전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A) 어느 하나의 내측으로 다른 하나의 용기(A) 삽입이 가능하므로 이에 의해 용기(A)가 상하로 적층된다.
이때, 상층 용기(A)의 상기 바닥(10)이 하층 용기(A)의 상기 벽체(20)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층 용기(A)의 상기 스커트부(30) 저면이 하층 용기(A)의 상기 플랜지(40) 상면과 접촉함에 따라 하층 용기(A) 내측으로의 상층 용기(A) 삽입이 제한된다.
다만, 용기(A) 상하 적층 상태에서 상층 용기(A)의 상기 스커트부(30) 저면 둘레 전 구간이 하층 용기(A)의 상기 플랜지(40) 상면 둘레 전 구간에 밀착되는 경우, 상층 용기(A)와 하층 용기(A) 사이가 밀폐되며 음압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하므로 용기(A)간 분리가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상기 스커트부(30)는, 외면의 하단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기 삽입홈(31)을 포함하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용기(A)의 상기 스커트부(30) 저면이 하층 용기(A)의 상기 플랜지(40) 상면과 접촉할 때 상기 삽입홈(31)에 의해 미접촉 부위, 다시 말해 개방 부위가 발생하여 상층 용기(A)와 하층 용기(A) 사이에서 통기(도 5의 화살표 표시 참조)가 이루어지므로 이에 의해 용기(A)간 밀착으로 인한 밀폐가 방지될 수 있어 상하 적층 상태에서도 용기(A)간 분리가 순조로워진다.
따라서, 차후 상품 포장 과정에서 본 고안에 의한 용기(A)를 상하 적층 상태로 두고 자동 투입장치(도면상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자동 투입 작업 등을 실시하게 되면 용기(A)간 순조로운 분리에 의해 작업의 연속 진행이 원활해지므로 포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포장 용기(A)는, 상기 스커트부(30)의 외면 하단에 상기 삽입홈(31)이 형성되는바, 상하 적층시 상층 용기(A)의 상기 스커트부(30) 저면과 하층 용기(A)의 상기 플랜지(40) 상면이 접촉할 때 상기 삽입홈(31)에 의해 미접촉 부위가 발생하여 이를 통해 통기가 이루어지므로 용기(A)간 밀착으로 인한 밀폐가 방지될 수 있어 상하 적층 상태에서도 용기(A)간 분리가 순조로우므로 차후 제품 포장 과정에서 자동 투입 작업 등을 실시하고자 할 때 연속 진행이 원활할 수 있어 포장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바닥 20 : 벽체
30 : 스커트부 31 : 삽입홈
40 : 플랜지 A : 열성형 포장 용기
w : 삽입홈의 폭 h : 삽입홈의 높이

Claims (5)

  1. 바닥;
    상기 바닥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벽체;
    상기 벽체 상단으로부터 이어지되, 상기 벽체와 단차를 두고 형성되는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 상단을 따라 형성되며, 상면에 리드필름이 씰링되는 플랜지;
    를 포함하되,
    상하로 적층시 상층의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벽체 사이 단차 부위 저면이 하층의 상기 플랜지 상면과 접촉하는 포장 용기로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벽체와 단차를 두는 하단의 외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벽체와의 사이 단차 부위 상부로 돌출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 용기가 상하로 적층되어 상층 상기 포장 용기의 상기 스커트부와 상기 벽체 사이의 단차 부위 저면이 하층 상기 포장 용기의 상기 플랜지 상면에 접촉할 때 상기 삽입홈에 의해 미접촉 부위가 발생하여 통기가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홈은,
    상기 스커트부의 외면에 위치하는 입구부의 측방향 폭이 상기 스커트부의 내면에 위치하는 출구부의 측방향 폭보다 넓은 포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스커트부의 외면 하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3-8개 형성되는 것인 포장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그 높이가 0.5-2.0mm로 형성되는 것인 포장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그 폭이 1.0-5.0mm로 형성되는 것인 포장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는 열성형 방식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KR2020180004667U 2018-10-12 2018-10-12 포장 용기 KR201800030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67U KR20180003054U (ko) 2018-10-12 2018-10-12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67U KR20180003054U (ko) 2018-10-12 2018-10-12 포장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790U Division KR20180000099U (ko) 2016-06-29 2016-06-29 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54U true KR20180003054U (ko) 2018-10-23

Family

ID=6404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667U KR20180003054U (ko) 2018-10-12 2018-10-12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0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212B1 (ko) * 2019-01-25 2019-08-28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324Y1 (ko) 2002-10-05 2003-01-30 구본수 식품 포장용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324Y1 (ko) 2002-10-05 2003-01-30 구본수 식품 포장용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212B1 (ko) * 2019-01-25 2019-08-28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WO2020153806A1 (ko) * 2019-01-25 2020-07-30 씨제이제일제당(주)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2102B2 (en) Thermoplastic tray
US11427368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ouble walled container
US8205415B2 (en) Method of packaging and shipping roast and ground coffee
JP2013032187A (ja) 射出成形機能部付きの容器及び該容器を成形する工具
RU2563761C2 (ru) Упаковка,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форму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MX2013001532A (es) Metodo para formar paquete, paquete y preforma de paquete.
WO2008134174A1 (en) Reduced material container
KR20180000099U (ko) 포장 용기
KR20180003054U (ko) 포장 용기
CN109562851B (zh) 用于包装容器的支撑件
US10961010B2 (en) Tray with enhanced rigidity and crush strength
US20220073230A1 (en)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 with integrated spout
EP1544129B1 (en) Thermoformed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6981146B2 (ja) プラスチック製容器輸送用トレイ
JP5370835B2 (ja) 耐圧用ボトル
JP2007099321A (ja) 運搬用容器
US20150342416A1 (en) Plastic canister with improved strength and a package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2011020687A (ja) 耐圧用ボトル
JP5156365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EP1524202A1 (en) Thermoformed plastic container and methods for its manufacture
CA2354716A1 (en) Nestable, thermoformed plastic container
KR20120004188U (ko) 2단 과일포장용기
KR20020097096A (ko) 다단 적층이 가능한 형태의 용기 제작 방법 및 그 구조
JP2010241476A (ja) 耐圧用ボ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