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048U - 헤어 밴드 - Google Patents

헤어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048U
KR20180003048U KR2020170001859U KR20170001859U KR20180003048U KR 20180003048 U KR20180003048 U KR 20180003048U KR 2020170001859 U KR2020170001859 U KR 2020170001859U KR 20170001859 U KR20170001859 U KR 20170001859U KR 20180003048 U KR20180003048 U KR 201800030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air
band body
knot
bran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라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라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라파
Priority to KR2020170001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048U/ko
Publication of KR20180003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4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45D2008/004

Abstract

본 고안은 샴푸, 염색, 퍼머 등 미용 시술을 받을 때 머리카락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헤어 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헤어 밴드는, 신축성을 갖고,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 본체; 상기 밴드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분지부와 제2 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분지부와 상기 제2 분지부의 단부가 접합되어 상기 제1 분지부와 상기 제2 분지부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형성부; 상기 밴드 본체의 타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밴드 본체 측은 폐쇄되고 상기 밴드 본체의 반대 측은 개방되어 일측이 폐쇄된 관 형태를 갖고 신축성이 있는 폐쇄 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관형부를 상기 개구 형성부의 상기 개구로 통과시키고, 상기 폐쇄 관형부의 개방된 부분을 상기 제1 분지부와 상기 제2 분지부의 단부가 접합된 부분 위에 바깥으로 접어 말아 매듭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매듭 부분을 이마 쪽에 위치시켜 머리에 착용함으로써 머리카락이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샴푸, 염색, 퍼머 등 미용 시술을 받기 위해 헤어 밴드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로 하면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헤어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 밴드 {Hair band}
본 고안은 샴푸, 염색, 퍼머 등 미용 시술을 받을 때 머리카락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헤어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밴드는 샴푸, 염색, 퍼머 등 미용 시술을 받을 때 머리카락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종래의 헤어 밴드는 탄성력이 있는 원형의 띠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헤어 밴드는 내부에 탄력성이 있는 고무 재질의 심재와, 이러한 심재를 감싸는 섬유 재질의 외피로 이루어진다.
헤어 밴드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프리 사이즈로 제작되고, 또한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이동이 있는 경우에도 헤어 밴드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헤어 밴드는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머리를 적절하게 압박하는 정도의 탄성력과 지름을 갖게 된다.
헤어 밴드가 사용자의 머리를 너무 압박할 경우, 사용 중에 쉽게 흘러내리지는 않지만, 압박감으로 인해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고, 또한 헤어 밴드를 벗은 후에 얼굴 부위에 자국이 생길 수 있다. 헤어 밴드가 사용자의 머리를 느슨하게 압박할 경우, 사용자의 불편은 줄어들 수 있겠지만, 사용 중에 쉽게 흘러내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착용시에 불편을 덜 느끼면서 사용 중에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헤어 밴드가 요구된다.
또한, 사용자가 미용 시술을 받을 때는 약품 등이 얼굴 부위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밴드로 테두리를 형성한 헤어 캡을 착용하는데, 헤어 캡의 고무 밴드가 얼굴 부위와 접촉되어 자국이 생기거나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52208호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샴푸, 염색, 퍼머 등 미용 시술을 받기 위해 헤어 밴드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로 하면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헤어 밴드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헤어 밴드와 함께 헤어 캡을 착용할 때, 헤어 캡의 고무 밴드가 얼굴 부위와 접촉되어 불편을 야기하거나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헤어 밴드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 밴드는, 신축성을 갖고,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 본체; 상기 밴드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분지부와 제2 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분지부와 상기 제2 분지부의 단부가 접합되어 상기 제1 분지부와 상기 제2 분지부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형성부; 상기 밴드 본체의 타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밴드 본체 측은 폐쇄되고 상기 밴드 본체의 반대 측은 개방되어 일측이 폐쇄된 관 형태를 갖고 신축성이 있는 폐쇄 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관형부를 상기 개구 형성부의 상기 개구로 통과시키고, 상기 폐쇄 관형부의 개방된 부분을 상기 제1 분지부와 상기 제2 분지부의 단부가 접합된 부분 위에 바깥으로 접어 말아 매듭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매듭 부분을 이마 쪽에 위치시켜 머리에 착용함으로써 머리카락이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 본체는 길이 방향의 가운데 부분에 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고리에는 고무 밴드의 일측을 묶어 고정하고, 상기 고무 밴드의 타측은 상기 매듭에 걸어, 상기 고무 밴드가 상기 매듭 부분을 후방으로 당기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미용 작업 중에 상기 매듭 부분이 얼굴 부분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 본체는 폭 방향의 가운데 부분에 두께가 얇아지는 단면 축소부를 갖고, 상기 단면 축소부는 상기 밴드 본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상기 헤어 밴드는 섬유 재질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샴푸, 염색, 퍼머 등 미용 시술을 받기 위해 헤어 밴드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로 하면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헤어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헤어 밴드와 함께 헤어 캡을 착용할 때, 헤어 캡의 고무 밴드가 얼굴 부위와 접촉되어 불편을 야기하거나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헤어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 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헤어 밴드에서 개구 형성부와 폐쇄 관형부를 인접하게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폐쇄 관형부를 개구 형성부의 개구로 통과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폐쇄 관형부를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폐쇄 관형부를 개구 형성부의 접합된 부분 위로 접어 말아서 매듭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매듭을 형성한 헤어 밴드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고리에 고무 밴드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매듭에 고무 밴드의 타측을 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사용자가 헤어 캡을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 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헤어 밴드에서 개구 형성부와 폐쇄 관형부를 인접하게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폐쇄 관형부를 개구 형성부의 개구로 통과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폐쇄 관형부를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폐쇄 관형부를 개구 형성부의 접합된 부분 위로 접어 말아서 매듭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헤어 밴드(100)는 밴드 본체(110), 개구 형성부(120) 및 폐쇄 관형부(130)를 포함한다.
밴드 본체(110)는 신축성을 갖고,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밴드 본체(110)는 폭 방향의 가운데 부분에 두께가 얇아지는 단면 축소부(112)를 갖는다. 이러한 단면 축소부(112)는 밴드 본체(110)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밴드 본체(110)의 외부에서 볼 때, 단면 축소부(112)는 다른 부분보다 오목하게 들어가면서 길게 연장되는 홈을 형성하게 된다.
밴드 본체(110)는 내부에 탄성력을 갖는 고무 재질의 심재(110a)와, 이러한 심재(110a)를 둘러싸는 섬유 재질의 외피(1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피(110b)의 표면에는 머리 부분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많은 융털이 형성될 수 있다.
밴드 본체(110)는 일측의 a 구간, 가운데의 b 구간, 타측의 c 구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b 구간은 밴드 본체(110)의 길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a 구간과 c 구간은 길이를 짧게 차지한다. 이 중에서, 심재(110a)는 b 구간에만 삽입되고, a 구간과 c 구간에는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a 구간과 c 구간은 b 구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밴드 본체(110)는 길이 방향의 가운데 부분에 고리(11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111)는 고무 밴드(140)의 일측을 묶어서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고리(111)에는 고무 밴드(140)의 일측을 묶어 고정하고, 고무 밴드(140)의 타측은 매듭에 걸어, 고무 밴드(140)가 매듭 부분을 후방으로 당기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미용 작업 중에 매듭 부분이 얼굴 부분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개구 형성부(120)는 밴드 본체(110)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다. 개구 형성부(120)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분지부(121)와 제2 분지부(122)를 구비한다. 제1 분지부(121)와 제2 분지부(122)의 단부는 서로 접합되어, 제1 분지부(121)와 제2 분지부(122) 사이에는 개구(124)가 형성된다. 개구(124)는 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 분지부(121)와 제2 분지부(122)의 단부가 접합된 부분은 도면부호 123으로 표시된다.
폐쇄 관형부(130)는 신축성을 갖고, 밴드 본체(110)의 타측에 일체로 연결된다. 폐쇄 관형부(130)에서, 밴드 본체(110) 측은 폐쇄부(131)로 형성되고 밴드 본체(110)의 반대 측은 개방부(132)로 형성되어, 폐쇄 관형부(130)는 일측이 폐쇄된 관 형태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헤어 밴드(100)를 사용하기 위해 폐쇄 관형부(130)를 개구 형성부(120)의 개구(124) 사이로 넣여 매듭(135)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헤어 밴드(100)의 폐쇄 관형부(130)와 개구 형성부(120)를 인접하게 위치시킨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면, 폐쇄 관형부(130)를 개구 형성부(120)의 개구(124)로 통과시킨다. 도 5는 폐쇄 관형부(130)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면, 폐쇄 관형부(130)를 개구 형성부(120)의 접합된 부분(123) 위로 접어 말아서 매듭(135)을 형성한다. 매듭(135)은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밴드 본체(110)에 밀착되도록 크게 형성할 수도 있고, 밴드 본체(110)에서 이격되게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본 고안의 헤어 밴드(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고무 밴드(140)를 매듭(135)에 거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하다. 도 7은 매듭(135)을 형성한 헤어 밴드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고리(111)에 고무 밴드(140)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매듭(135)에 고무 밴드(140)의 타측을 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사용자가 헤어 캡(150)을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매듭(135) 부분을 이마 위에 위치시키고 고리(111)가 있는 부분을 머리 뒤쪽에 위치시켜 헤어 밴드를 착용한다. 고리(111)에는 고무 밴드(140)가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135)이 있는 부분은 사용자의 피부, 즉 이마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본 고안의 헤어 밴드(100)에서는, 사용자의 이마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주로 섬유 재질의 폐쇄 관형부(130)와 개구 형성부(120)가 위치되고, 머리 부분을 압박하도록 탄력성이 있는 밴드 본체(110)는 머리의 옆이나 뒤에 위치된다. 그에 따라, 종래의 헤어 밴드에서 이마 부분을 탄성 밴드가 압박하여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거나 이마 부분에 자국이 생기는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매듭(135)이 있는 부분은 사용자의 이마와 밀착되는 것이 아니고, 이마와 매듭(135) 사이에 약간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이마를 압박하지 않아 착용감을 좋게 한다. 밴드 본체(110)에서 이마에 인접하는 부분과, 폐쇄 관형부(130) 및 개구 형성부(120)는 비교적 폭이 넓게 제작되어, 이마 부분과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매듭(135) 부분이 사용 중에 이마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들은 폭이 넓게 제작되지만, 이 부분에는 압박감을 줄 수 있는 탄성 밴드가 포함되지 않아 사용자의 착용감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헤어 밴드(100)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가 작은 경우, 매듭(135)을 밴드 본체(110)에 근접하도록 크게 형성한다. 사용자의 머리가 큰 경우, 매듭(135)을 밴드 본체(110)에서 이격되게 작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폐쇄 관형부(130)와 개구 형성부(120)가 소정의 길이를 가지므로, 매듭(135)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그 길이에 대응하는 만큼 헤어 밴드(1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된다.
종래의 헤어 밴드에서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관계없이 프리 사이즈로 제작하다 보니, 헤어 밴드의 지름을 비교적 작게 제작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착용시 사용자의 압박감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면, 고리(111)에 걸려진 고무 밴드(140)의 타측을 매듭(135)에 걸어 고무 밴드(140)가 매듭(135) 부분을 적절한 힘으로 당기도록 한다. 이는 헤어 밴드(100)의 사용 중에 매듭(135) 부분이 이마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추가로 방지한다. 고무 밴드(140)는 가늘고 당기는 힘이 커지는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압박감을 주지는 않는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헤어 캡(150)의 앞 부분이 매듭(135)을 덮도록 위치시키고, 옆 라인은 밴드 본체(110)의 단면 축소부(112)를 따라 연장되도록 착용한다. 그에 따라, 헤어 캡(150) 하단의 밴드 부분이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지 않아 헤어 캡(150)의 착용감을 좋게 한다. 또한, 단면 축소부(112)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헤어 캡(15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혹시 미용 시술 중에 약품이 헤어 캡(150)의 밖으로 흘러나오는 경우에도 약품이 밴드 본체(110)에 흡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헤어 밴드(100)에서는 밴드 본체(11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폐쇄 관형부(130)와 개구 형성부(120)를 이용하여 매듭(135)을 형성함으로써, 헤어 밴드(100)가 이마 부분을 압박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고리(111) 부분에 고무 밴드(140)를 고정시키고 매듭(135)에 걸도록 하여, 사용 중에 헤어 밴드(100)가 이마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밴드 본체(110)에 형성되는 단면 축소부(112)는 헤어 캡(150)의 착용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헤어 밴드
110a : 심재
110b : 외피
110 : 밴드 본체
111 : 고리
112 : 단면 축소부
120 : 개구 형성부
121 : 제1 분지부
122 : 제2 분지부
123 : 접합부
124 : 개구
130 : 폐쇄 관형부
131 : 폐쇄부
132 : 개방부
140 : 고무 밴드
150 : 헤어 캡

Claims (4)

  1. 헤어 밴드에 있어서,
    신축성을 갖고,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 본체;
    상기 밴드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분지부와 제2 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분지부와 상기 제2 분지부의 단부가 접합되어 상기 제1 분지부와 상기 제2 분지부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형성부;
    상기 밴드 본체의 타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밴드 본체 측은 폐쇄되고 상기 밴드 본체의 반대 측은 개방되어 일측이 폐쇄된 관 형태를 갖고 신축성이 있는 폐쇄 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관형부를 상기 개구 형성부의 상기 개구로 통과시키고, 상기 폐쇄 관형부의 개방된 부분을 상기 제1 분지부와 상기 제2 분지부의 단부가 접합된 부분 위에 바깥으로 접어 말아 매듭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매듭 부분을 이마 쪽에 위치시켜 머리에 착용함으로써 머리카락이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헤어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본체는 길이 방향의 가운데 부분에 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고리에는 고무 밴드의 일측을 묶어 고정하고, 상기 고무 밴드의 타측은 상기 매듭에 걸어, 상기 고무 밴드가 상기 매듭 부분을 후방으로 당기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미용 작업 중에 상기 매듭 부분이 얼굴 부분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헤어 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본체는 폭 방향의 가운데 부분에 두께가 얇아지는 단면 축소부를 갖고,
    상기 단면 축소부는 상기 밴드 본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헤어 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 밴드는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헤어 밴드.
KR2020170001859U 2017-04-13 2017-04-13 헤어 밴드 KR201800030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859U KR20180003048U (ko) 2017-04-13 2017-04-13 헤어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859U KR20180003048U (ko) 2017-04-13 2017-04-13 헤어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48U true KR20180003048U (ko) 2018-10-23

Family

ID=6404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859U KR20180003048U (ko) 2017-04-13 2017-04-13 헤어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04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208A (ko) 2001-05-30 2004-06-22 안드레아스 쉔펠트 종양 치료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208A (ko) 2001-05-30 2004-06-22 안드레아스 쉔펠트 종양 치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2729B1 (en) Head cover with pocket
US7798155B2 (en) Headwear with interwoven gripping fibers
US20030221243A1 (en) Head covering with pouch
US20090151048A1 (en) Hair sleeve
US20220132966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tegrating hair extensions
US8985123B2 (en) Cap for brushing hair into a wrap style
US1991982A (en) Hair band
US20170007007A1 (en) Hairdressing cape and fastening
US20150359284A1 (en) Waterproof Hair Sleeve
KR101754578B1 (ko) 안면당김기능을 갖는 마스크팩 지지밴드
KR20180003048U (ko) 헤어 밴드
KR200441386Y1 (ko) 인체환경을 고려한 일체형 염색커버
KR20140003055U (ko) 커트보가 일체로 형성된 미용가운
KR20200074421A (ko) 머리 정리용 수건
US20080245384A1 (en) Hair extension, clasping mechanism for a hair extens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905489B1 (ko) 착용이 용이한 꽁지머리 팩
US20210093033A1 (en) Headwear
CA2208017A1 (en) Hair care
US2286652A (en) Swimming cap
KR100848327B1 (ko) 물흐름방지구
KR200485740Y1 (ko) 고정수단을 갖는 가발
KR20130006667U (ko) 가림판부가 일체로 형성된 퍼머액 흐름방지용 헤어밴드
KR101623548B1 (ko) 가발의 골조구조
CN209846229U (zh) 一种可穿辫的冬用保暖帽
CN212280108U (zh) 一次性固发式帽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