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935U - 모자 걸이기구 - Google Patents

모자 걸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935U
KR20180002935U KR2020170001663U KR20170001663U KR20180002935U KR 20180002935 U KR20180002935 U KR 20180002935U KR 2020170001663 U KR2020170001663 U KR 2020170001663U KR 20170001663 U KR20170001663 U KR 20170001663U KR 20180002935 U KR20180002935 U KR 201800029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inear member
hanger
presen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일택
Original Assignee
전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일택 filed Critical 전일택
Priority to KR2020170001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935U/ko
Publication of KR20180002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0Hat holders; Hat rac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 개의 모자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납 내지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장소에 대한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 모자 걸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체인 또는 로프와 같이 가요성을 갖는 기다란 선형부재; 상기 선형부재의 일단 또는 양단을 못, 후크 또는 봉과 같이 무엇을 걸어놓을 수 있도록 걸턱을 제공하는 실내의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선형부재고정수단; 상기 선형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서 모자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모자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자 걸이기구{Hanger For Hats}
본 고안은 모자 걸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모자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납 내지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장소에 대한 제약을 거의 받지 않으며 한눈으로 보관된 모자를 식별하여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실내장식용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모자 걸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모자는 본래 머리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지만, 햇빛을 가리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며, 특히 패션의 일부로 활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모자를 애용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몇 개의 모자 정도는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모자는 머리에 씌워지는 부분인 캡부위 때문에 부피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 의류하고는 형태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옷과 함께 옷장이나 옷걸이에 보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모자는 전용 걸이기구에 걸어 보관하게 된다.
한편 기존의 일반적인 모자걸이구는 외부 힘 또는 모자를 수납 및 회수 과정에서 모자걸이기구가 약간이라도 흔들릴 경우 수납되어있는 모자들이 떨어지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114510호는 옷걸이 겸용 모자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옷걸이와 모자걸이 두 가지를 겸할 수 있으며, 모자의 형태를 원형 그대로 보존할 수 있는 모자걸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챗살처럼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결합된 다수의 프레임에서, 상기 프레임 중 하나는 끝단에 고정막대가 형성되고 나머지 프레임은 끝단에 고정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가 형성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이는 하나의 모자를 걸어 보관하기 위한 것이며 복수 개의 모자를 걸 수 없는 구성이므로 본 고안의 개발 취지와는 상이하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86223호는 모자를 휴대하는 모자홀더와 선글라스를 포함한 안경을 휴대하는 안경홀더를 형성하여 모자 및 안경을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가방의 연결고리에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리하게 모자 및 안경을 휴대할 수 있는 모자 및 안경 걸이대를 제공한다. 이 종래기술은 모자를 걸어 휴대하는 모자홀더와 상기 모자홀더 상부에 형성되어 안경을 걸어 휴대하는 안경홀더를 형성한 홀더부와, 홀더부와 사각링으로 결합되고, 가방의 연결고리에 걸어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제안한다. 그러나 이 역시 복수 개의 모자를 걸 수 없는 구성이므로 본 고안의 개발 취지와는 상이하다.
이처럼 종래 제안되어 왔던 모자걸이구는 하나의 모자를 캡의 형태가 잘 유지되도록 보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 것이 많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114510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86223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개의 모자를 좀 더 편리하게 보관 또는 수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시 취사선택이 용이하도록 보관되어 있는 모자를 한 눈으로 전부 볼 수 있으며, 걸이용 후크를 여러 개 설치할 공간이 마땅히 없거나, 여러 개의 걸이용 후크를 벽에 설치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모자걸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체인 또는 로프와 같이 가요성을 갖는 기다란 선형부재; 상기 선형부재의 일단 또는 양단을 못, 후크 또는 봉과 같이 무엇을 걸어놓을 수 있도록 걸턱을 제공하는 실내의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선형부재고정수단; 상기 선형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서 모자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모자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걸이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자홀더는 모자를 탄성적으로 파지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집게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자홀더는 모자를 탄성적으로 파지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집게일 수 있으며; 상기 집게는 고리에 의해 상기 선형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자홀더는 일단이 상기 선형부재에 고리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서 모자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 엘(L)자 또는 유(U)자 형태의 후크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선형부재고정수단은 탄성적으로 거동하는 레버를 손으로 잡고 젖힘으로써 로프 등을 끼워 걸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클립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걸턱을 제공하는 실내 고정물에 선형부재를 걸어놓음으로써 상기 선형부재에 설치된 모자홀더에 복수 개의 모자를 걸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선형부재는 집안 곳곳에 이미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하기에 편리한 장소에 사용자가 설치한 걸이못 또는 후크 등을 이용하여 횡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직하방향으로 늘어지게 설치하거나 기타 옷걸이 등에 자유롭게 걸쳐지게 설치함으로써 모자를 한눈으로 볼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모자걸이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모자걸이구에 의하면, 집게 형태의 모자홀더를 통해 외부 힘 또는 모자를 수납 및 회수 과정에서 모자걸이구가 흔들릴 수 있는데, 이 상황에서도 다른 모자의 수납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불편함이 없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자 걸이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자 걸이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자 걸이기구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자 걸이기구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자 걸이기구의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자 걸이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자 걸이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모자걸이기구는 가요성으로 된 선형부재(10)와, 선형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모자홀더(20)와, 선형부재(10)를 소정 장소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선형부재고정수단(30)을 포함한다.
선형부재(10)는 길이가 0.6 ~ 1.5m 되는 체인(10') 또는 로프(10", 도 6 참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와이어 또는 가죽끈 등이 선형부재(10)로 사용될 수도 있다. 선형부재(10)의 소재도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모자걸이기구는 실내장식적인 기능을 가지므로 설계자의 의도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가 선택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는 체인(10')이 선형부재로 예시되어 있다. 소재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선형부재(1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길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50cm 정도 되는 선형부재(10) 3개를 삼각 또는 사각구도가 되도록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미도시됨).
선형부재(10)는 선형부재 고정수단에 의해 실내의 벽에 설치된 못 또는 후크에 걸어놓을 수 있다. 선형부재고정수단은 선형부재(10)의 일단 또는 양단을 걸이못(4, 도 4 참조), 후크(2, 도 2 참조) 또는 봉(3)과 같이 무엇을 걸어놓을 수 있도록 걸턱을 제공하는 실내의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도 2에 의하면 선형부재의 일단이 접착제 또는 못으로 벽에 고정되는 고정판(1)에 설치된 후크(2)에 걸려져 설치되고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옷걸이 등을 위한 봉(3)에 설치되고 있다. 도 4에 의하면 2개의 걸이못(4)을 이용하여 선형부재(10)가 횡으로 걸려져 설치되고 있다. 걸이못(4)은 실내 벽에 설치될 수도 있고 방의 출입문에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선형부재(10) 자체가 선형부재고정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체인(10')에 자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고리를 이용하여 걸이못(4)에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 의하면 선형부재(10)의 늘어지는 정도(또는 팽팽한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모자홀더(20)가 선형부재(10)의 연장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선형부재(10) 상에 설치된다. 모자홀더(20)는 모자(H)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 개로 구성된다. 모자홀더(20)의 설치간격이 모자 하나의 폭에 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간격을 줄임으로써 모자(H)끼리 조금씩 겹쳐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모자홀더(20)는 모자를 탄성적으로 파지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집게(20')일 수 있다. 집게(20')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모자(H)를 클립하기 위한 것이며 모자의 챙부위나 캡 뒷부분에 마련된 캡조절부위를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집게(20')는 도 1의 확대도에 표시된 것처럼 집게(20')의 일측 레버 끝에 연결되는 고리에 의해 선형부재(10)에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집게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모자를 걸어놓기 쉽기도 하고 모자가 가지런히 걸려있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선형부재고정수단(30)은 가방이나 핸드백 등의 멜빵에 널리 사용되기도 하는 클립일 수 있다. 클립은 평상시는 폐곡선 형태로 되어 있다가 탄성적으로 거동하는 레버를 손으로 잡고 젖힘으로써 쉽게 일측을 개방하여 다른 고리나 선형부재를 끼울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에는 그러한 형태의 선형부재고정수단(30)이 예시되어 있다. 선형부재고정수단(30)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산장비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탄성적으로 거동하는 레버를 손으로 잡고 젖힘으로써 로프 등을 끼워 걸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카라비너(carabiner)일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서로 방식으로 선형부재(10)를 걸어놓을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선형부재(10)가 세로로 매달리게끔 설치되고 있다. 이 경우에 여러 개의 모자(H)를 모자홀더(20)에 걸어놓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된다.
도 4는 선형부재(10)를 횡으로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에 의하면 모자(H)는 횡방향으로 나열되게 된다. 모자(H)의 설치 가능한 개수는 선형부재(10)의 길이와 모자홀더(20)의 개수에 의해 정해짐은 물론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자 걸이기구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자 걸이기구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모자홀더(20)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며, 도 6은 선형부재(10)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모자홀더(20)가 모자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 엘(L)자 또는 유(U)자 형태의 후크(20")일 수 있다. 후크(20")는 일단이 선형부재에 고리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서 모자(H)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후크(20")는 선형부재(10)에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에 의하면 세로로 설치되든 가로로 설치되든 후크(20")가 고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후크(20")의 끝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 소재로 된 미끄럼방지캡(22)이 끼워질 수 있다.
도 6은 선형부재(1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선형부재(10)는 로프(10")로 되어 있다. 로프(10")의 연장방향을 따라 고리(21)가 끼워지고 있으며, 이 고리(21)에 집게(20')와 같은 모자홀더가 매달리도록 설치된다. 로프(10")는 특수하게 만들어진 것으로서 고리(21)를 중간마다 끼우기 쉽도록 꼬임 형성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모자홀더(20)는 일체로 된 선형 탄성소재를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자체적으로 탄성적으로 거동하며 열리거나 닫히게 되어 있는 클립(20"')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 클립은 쉽게 선형부재(10)에 설치하거나 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모자홀더(20)는 모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홀딩하기 위한 것이어서 큰 탄성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누구나 쉽게 개방시킬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며 모자에 흠집을 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모자홀더(20)의 소재에 있어서도 모자에 상처를 내지 않고 녹이 방지되도록 합성수지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모자 걸이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그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사용자의 개성이나 환경에 따라 실로 다양한 장소에 본 고안의 모자 걸이기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자홀더(20)의 설치 개수도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모자의 개수에 맞춰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모자홀더(20)도 몇가지 형태가 포함되는 키트 방식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취향이나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설치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선형부재 10' : 체인
10" : 로프 20 : 모자홀더
20' : 집게 20" : 후크
20"' : 클립 21 : 고리
30 : 선형부재고정수단

Claims (4)

  1. 체인 또는 로프와 같이 가요성을 갖는 기다란 선형부재;
    상기 선형부재의 일단 또는 양단을 못, 후크 또는 봉과 같이 무엇을 걸어놓을 수 있도록 걸턱을 제공하는 실내의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선형부재고정수단;
    상기 선형부재의 연장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서 모자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모자홀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걸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홀더는 모자를 탄성적으로 파지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집게일 수 있으며;
    상기 집게는 고리에 의해 상기 선형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걸이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홀더는 일단이 상기 선형부재에 고리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서 모자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 엘(L)자 또는 유(U)자 형태의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걸이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부재고정수단은 탄성적으로 거동하는 레버를 손으로 잡고 젖힘으로써 로프 등을 끼워 걸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걸이기구.
KR2020170001663U 2017-04-04 2017-04-04 모자 걸이기구 KR201800029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63U KR20180002935U (ko) 2017-04-04 2017-04-04 모자 걸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63U KR20180002935U (ko) 2017-04-04 2017-04-04 모자 걸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35U true KR20180002935U (ko) 2018-10-12

Family

ID=6386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663U KR20180002935U (ko) 2017-04-04 2017-04-04 모자 걸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93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555A (ko) 2021-01-13 2022-07-20 김동철 모자형태 변형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모자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510A (ko) 2011-04-07 2012-10-17 강원일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KR20130086223A (ko) 2010-09-21 2013-07-3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측정 수집 방법 및 무선 단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223A (ko) 2010-09-21 2013-07-3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측정 수집 방법 및 무선 단말
KR20120114510A (ko) 2011-04-07 2012-10-17 강원일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555A (ko) 2021-01-13 2022-07-20 김동철 모자형태 변형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모자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1192A (en) Apparatus for hanging cords from a gutter or the like
US5842613A (en) Eyeglass holder
US20130333197A1 (en) Decorative lighting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US20110225774A1 (en) Drapery hardware
US7500586B2 (en) Hanger for headbands and elastic ponytail loops
US9986865B2 (en) Retrofittable system and apparatus for hanging articles on pre-installed supports
US7040517B1 (en) Hat hanger
US20070170334A1 (en) Hanging device for supporting an article and associated hanger
US20090095848A1 (en) Device for hanging decorative lighting
KR20180002935U (ko) 모자 걸이기구
KR20140084047A (ko) 반지 홀더, 반지 홀더와 반지 진열대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반지를 반지 홀더에 연결하기 위한 방법
US10854118B2 (en) Structural sign mounts for gutters
CA3054900C (en)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a curtain rod
US20140034587A1 (en) Hanging Assembly for Footwear Storage
US20050012006A1 (en) Support
US6062232A (en) Hair accessory holder for upright attachment
US20200352362A1 (en) Slotted Upright Attachment Adaptor Kit
US20070076165A1 (en) Double clipping device
US5454539A (en) Plate holder device
WO2006018659A1 (en) A device for attaching an object to a surface
KR101347251B1 (ko) 착탈형 걸이구
KR200407551Y1 (ko) 광고판 줄고정용 학모양 천정고리
US201602304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vertical blind vane swaying
US20020166930A1 (en) Wall article hang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JP3195264U (ja) 携帯用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718;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7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28

Effective date: 20200410